KR20200003443A - 급여 선사용 결제 및 결제액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급여 선사용 결제 및 결제액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3443A
KR20200003443A KR1020180076225A KR20180076225A KR20200003443A KR 20200003443 A KR20200003443 A KR 20200003443A KR 1020180076225 A KR1020180076225 A KR 1020180076225A KR 20180076225 A KR20180076225 A KR 20180076225A KR 20200003443 A KR20200003443 A KR 20200003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card
salary
amount
pay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7233B1 (ko
Inventor
김지영
Original Assignee
김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영 filed Critical 김지영
Priority to KR1020180076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233B1/ko
Publication of KR20200003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여 제공사 회원으로부터 급여를 받는 급여 소득자 회원에게 급여 선사용 카드를 발급한 카드사의 카드사 서버가, 상기 카드사와 가맹 계약을 맺은 가맹 판매점에 비치된 결제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급여 소득자 회원이 자기의 급여 선사용 카드로 상기 가맹 판매점에서 결제하는 결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수행하는 급여 선사용 결제 및 결제액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급여 선사용 결제 및 결제액 처리 방법{PAYMENT METHOD BY USING AN ADVANCE ON SALARY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 PAYMENT}
본 발명은 급여 선사용 결제 및 결제액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매자로 하여금 매월 받을 것이 확실한 급여를 물품/서비스 구매 대금으로 먼저 사용케 하고, 위 구매 대금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물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한 대가로 지급하여야 하는 대금이 대부분 현금으로 결제되었으나, 오늘날에는 오히려 현금 결제보다 카드 결제가 보편화되어 있다. 이는 IT 기술의 발달, 카드 소지의 편리함, 카드 사용으로 인한 절세 및 각종 혜택 등이 어우러진 결과라 볼 수 있다.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물품/서비스 대금 결제용 카드는 크게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로 구분될 수 있다.
신용카드는 신용카드 사용자가 물품 또는 서비스를 먼저 구매하고 나중에 선 구매한 물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대금을 지급하는 신용 거래에서 사용되는 카드이다. 신용카드 사용자가 신용카드로 대금을 결제한 경우, 신용카드를 발급한 신용카드 회사는 물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한 공급자에게 결제액을 먼저 지불하고, 매월 지정된 날짜에 신용카드 사용자가 지정한 예금계좌로부터 한 달 간의 누적 결제액을 자동으로 지급받는다.
신용카드를 이용한 상거래에서는 위와 같이 신용카드 사용자가 신용카드 회사의 돈으로 먼저 물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게 되므로 신용카드 사용자가 신용카드 회사에게 빚을 지게 되는데, 그러면 신용카드 사용자가 신용카드 회사에게 빚을 갚지 못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물론, 신용카드 회사는 신용카드 사용자의 신용도에 맞추어 신용카드 사용액의 한도를 설정해 놓기는 하지만, 그렇더라도 신용카드 사용자의 채무 불이행이 발생할 여지가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는다. 실제로도 신용카드 사용자의 채무 불이행이 빈번하게 일어나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한편, 체크카드를 이용한 상거래의 경우, 체크카드 사용자가 물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한 즉시 대금이 체크카드 사용자가 지정한 예금계좌로부터 공급자에게 지불된다. 즉, 체크카드 사용자는 자기 예금계좌의 잔액 범위 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체크카드가 사용되면 채무 불이행이 발생하지는 않지만, 신용카드가 사용되는 경우에 비해 결제 한도가 제한적이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21799호(카드 이용금약의 급여공제금 대체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앞서 본 바와 같이 신용카드는 결제 한도가 상대적으로 큰 반면 채무 불이행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고, 체크카드는 채무 불이행의 위험을 초래하지는 않으나 결제 한도가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채무 불이행의 위험 없이도 결제 한도 증액이 실현될 수 있도록, 구매자로 하여금 매월 받을 것이 확실한 급여를 물품/서비스 구매 대금으로 먼저 사용케 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위 구매 대금을 처리하기 위한 기술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급여 제공사 회원으로부터 급여를 받는 급여 소득자 회원에게 급여 선사용 카드를 발급한 카드사의 카드사 서버가, 상기 카드사와 가맹 계약을 맺은 가맹 판매점에 비치된 결제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급여 소득자 회원이 자기의 급여 선사용 카드로 상기 가맹 판매점에서 결제하는 결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수행하는 급여 선사용 결제 및 결제액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급여 선사용 결제 방법의 일 실시예는, 상기 결제 이벤트에 참여한 가맹 판매점인 결제점의 결제 단말기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결제 정보 수신 단계; 상기 결제 정보가 유효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결제 이벤트 유효성 판단 단계; 및 상기 결제 이벤트가 유효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결제 정보에 포함된 결제액으로부터 상기 결제 이벤트에 대한 가맹 수수료를 차감한 가맹 수수료 차감 결제액을 상기 결제점에 송금하고, 상기 결제 이벤트에 참여한 급여 소득자 회원인 결제자의 급여 제공사 회원으로부터 상기 결제액을 상기 결제자의 급여 제공사 회원이 회원 가입 시 설정한 집금일에 집금하는 결제액 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위 결제액 처리 단계에서는, 원가절감액에다가 상기 결제점의 규모에 따른 할인율을 곱한 할인액을 미리 저장된 신용카드 가맹 수수료 수준의 수수료로부터 차감하여 상기 가맹 수수료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신용카드 가맹 수수료 수준의 수수료에다가 미리 저장된 원가절감율을 곱한 후 지연이자를 차감하여 상기 원가절감액을 산출하되, 상기 지연이자는 상기 가맹 수수료 차감 결제액의 송금일보다 상기 집금일이 지연되는 정도에 따라 다르게 산출한다. 위 가맹 수수료 산출 시 사용되는 할인율은 상기 가맹 판매점의 규모가 작을수록 더 크게 설정되어 미리 저장된다.
상기 할인율은 상기 가맹 판매점이 가장 작은 규모의 소상공인이면 100%로, 가장 큰 규모의 대기업이면 0%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원가절감액으로부터 상기 할인액을 차감하여 반환액을 산출하고, 상기 반환액을 결제자에게 송금하는 반환액 송금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드사 서버는 상기 급여 제공사 회원으로 하여금 상기 집금일을 상기 결제 이벤트가 발생한 날 또는 이 날로부터 7일 이내의 날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매주 복수 요일로 설정케 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카드사 서버는 상기 결제액 처리 단계에서 상기 집금일과 동일하거나 늦은 날에 상기 가맹 수수료 차감 결제액을 상기 결제점에 송금한다.
상기 카드사 서버는, 가맹 판매점들 각각에 비치된 결제 단말기의 고유 식별 코드의 상태를 "유지", "만료" 및 "해지" 중 어느 하나로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되, 업데이트 날짜가 가맹 계약의 만료일 이전이면 "유지"로, 업데이트 날짜가 가맹 계약 만료일 이후이면 "만료"로, 업데이트 날짜가 가맹 계약 해지일 이후이면 "해지"로 업데이트한다. 그리고 상기 결제 정보에 포함된 결제 단말기 고유 식별 코드가 "만료" 또는 "해지"이면 상기 결제 이벤트 유효성 판단 단계에서 상기 결제 이벤트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카드사 서버는, 급여 소득자 회원들 각각에게 발급된 급여 선사용 카드의 고유 식별 코드의 상태를 "유지", "퇴사", "탈퇴" 및 "한도 초과" 중 어느 하나로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되, 급여 소득자 회원이 급여 선사용 카드의 발급 당시 소속되었던 급여 제공사 회원으로부터 퇴사한 날이 업데이트 날짜 이전이면 "퇴사"로, 급여 소득자 회원이 급여 선사용 카드의 발급 당시 소속되었던 급여 제공사 회원의 회원 탈퇴일이 업데이트 날짜 이전이면 "탈퇴"로, 급여 소득자 회원의 누적 결제액이 월간 카드 사용 한도를 초과하면 "초과 한도"로, 나머지의 경우에는 "유지"로 업데이트한다. 그리고 상기 결제 정보에 포함된 급여 선사용 카드 고유 식별 코드가 "퇴사" 또는 "탈퇴" 또는 "한도 초과"이면 상기 결제 이벤트 유효성 판단 단계에서 상기 결제 이벤트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카드사 서버는, 급여 제공사 회원에 소속된 급여 소득자 회원의 목록을 표시한 웹페이지를 급여 제공사 회원에게 제공하고, 이 웹페이지에 표시된 급여 소득자 회원들 중 결제자에 해당하는 회원의 누적 결제액을 결제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갱신하다가 급여일에는 위 웹페이지에 표시된 급여 소득자 회원들 모두의 누적 결제액을 "0"으로 초기화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급여 소득자 회원이 매월 받을 것이 확실한 급여를 카드사의 가맹 판매점에서 먼저 사용할 수 있고, 이때 발생하는 카드사의 원가절감액 중 일부 또는 전부가 할인액으로 산출되어 가맹 판매점으로 귀속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위 가맹 판매점으로 귀속되지 않은 원가절감액이 카드사에 귀속되지 않고, 반환액으로 산출되어 급여 소득자 회원에게 귀속되는 효과도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맹 수수료 차감 결제액이 가맹 판매점에 송금되는 시점으로부터 결제액이 급여 제공사 회원으로부터 집금되는 시점이 지연되는 정도가 제한적이므로, 위 할인액 및 반환액이 모두 소진되어 가맹 판매점 및 급여 소득자 회원에게 귀속되지 못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위 가맹 수수료 차감 결제액의 송금이 위 결제액 집금보다 늦은 시점에 이루어지므로, 가맹 판매점 및 급여 소득자 회원에게 각각 귀속되는 할인액 및 반환액이 항상 최대로 보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여 선사용 결제 및 결제액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여 선사용 결제 및 결제액 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결제 이벤트 유효성 판단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결제액 처리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급여 선사용 결제 및 결제액 처리 방법의 변형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급여 선사용 결제 및 결제액 처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급여 선사용 결제 및 결제액 처리 방법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급여 소득자의 회원 가입, 급여 제공사의 회원 가입, 카드사의 급여 선사용 카드 발급, 판매점 가맹이 선행되어야 하는바, 이 절차들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 급여 제공사의 회원 가입 >
급여 제공사가 자사 소속 급여 소득자의 복지 내지 편의를 위해 카드사의 회원으로 가입하려면, 우선 위 카드사에 의해 운영되는 카드사 서버(110)가 제공하는 "급여 제공사 회원 가입용 웹페이지"에 접속한다.
이후, 급여 제공사는 "급여 제공사 회원 가입용 웹페이지"에 생성되어 있는 정보 입력란들에 자사 정보[회사명, 회사 주소, 사업자등록번호, 집금 계좌, 집금일, 급여일, 아이디, 패스워드 등] 및 사원 정보[사원명, 사원 생년월일, 사원번호 등]를 입력하고, 회원 가입을 신청한다.
그러면 카드사 서버(110)는 위 자사 정보 및 사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하고, 위 급여 제공사를 회원으로 등록한다(이하에서는 카드사의 회원으로 등록된 급여 제공사를 "급여 제공사 회원"이라 함).
카드사 서버(110)는 급여 제공사 회원에게 "급여 제공사 정보 수정용 웹페이지"를 제공하게 되는데, 그러면 급여 제공사 회원은 회원 가입 이후라 하더라도 필요한 때마다 위 "급여 제공사 정보 수정용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자사 정보 및 사원 정보(사원의 삭제 및 신규 추가를 포함함)를 수정할 수 있다. 수정된 자사 정보 및 사원 정보는 카드사 서버(110)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다.
< 급여 소득자의 회원 가입 및 급여 선사용 카드 발급 >
급여를 매월 정기적으로 받는 자인 급여 소득자가 카드사의 회원으로 가입하려면, 우선 카드사 서버(110)가 제공하는 "급여 소득자 회원 가입용 웹페이지"에 접속한다.
이후, 급여 소득자는 위 "급여 소득자 회원 가입용 웹페이지"에 생성되어 있는 정보 입력란들에 개인 정보(이름, 거주지 주소, 생년월일, 휴대폰 번호, 실수령 급여, 반환액 입금 계좌, 사원번호, 아이디, 패스워드 등)를 입력하고, 역시 위 "급여 소득자 회원 가입용 웹페이지"에 제공된 급여 제공사 선택란에서 자신이 소속된 급여 제공사를 선택함으로써, 회원 가입을 신청한다.
이때, 급여 소득자가 급여 제공사 선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카드사 서버(110)는 급여 소득자가 해당 선택란을 클릭하면 급여 제공사 회원들의 목록을 제공하거나, 급여 제공사 회원들을 검색할 수 있는 검색 팝업창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급여 소득자는 제공된 급여 제공사 회원들의 목록에서 자신이 소속된 급여 제공사 회원을 선택할 수 있고, 후자의 경우, 검색 팝업창에 회사명, 사업자등록번호 등 중 적어도 하나를 검색어로 입력하여 검색된 급여 제공사 회원을 선택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급여 소득자의 회원 가입 신청이 있으면, 카드사 서버(110)는 급여 소득자가 선택한 급여 제공사 회원의 사원들 중에 회원 가입을 신청한 급여 소득자와 일치하는 사원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만일 일치하는 사원이 있다면 급여 소득자를 회원으로 등록하고(이하에서는 카드사의 회원으로 등록된 급여 소득자를 "급여 소득자 회원"이라 함), 급여 소득자가 제공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한다.
이때, 카드사 서버(110)는 급여 소득자 회원의 실수령 급여에다가 미리 정해진 비율을 곱하여 실수령 급여보다 작은 월간 카드 사용 한도를 산출하고,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한다. 또한, 카드사 서버(110)는 급여 제공사 회원에게 "급여 가불 확인용 웹페이지"를 제공하고, 이 "급여 가불 확인용 웹페이지"에 급여 제공사 회원에 소속된 직원들 중 급여 소득자 회원이 된 자들의 목록을 제공한다.
또한, 카드사 서버(110)는 급여 소득자 회원에게 발급할 급여 선사용 카드에 고유 식별 코드를 부여한 후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하고, 카드사는 급여 선사용 카드를 급여 소득자 회원에게 발급한다. 여기서, 급여 선사용 카드는 보통의 신용카드나 체크카드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의 플라스틱 카드뿐만 아니라, 결제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카드사 서버(110)는 급여 소득자 회원에게 "급여 소득자 정보 수정용 웹페이지"를 제공하게 되는데, 그러면 급여 소득자 회원은 회원 가입 이후라 하더라도 필요한 때마다 위 "급여 소득자 정보 수정용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개인 정보 및 기 선택한 급여 제공사를 수정할 수 있다. 수정된 정보는 카드사 서버(110)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다.
< 판매점 가맹 >
판매점은 물품 또는 서비스를 대가를 받고 제공하는 모든 업체를 의미한다. 카드사는 다수의 판매점들과 급여 선사용 카드 사용에 대한 가맹 계약을 맺어, 급여 소득자 회원의 편의를 도모한다.
카드사와 가맹 계약을 맺은 가맹 판매점에 대한 가맹 정보[판매점 이름, 주소, 대표자, 사업자등록번호, 판매점 규모, 입금 계좌, 가맹 계약 기간, 가맹 계약 해지일 등]는 카드사 서버(110)가 제공하는 "가맹 판매점 등록용 웹페이지"에 가맹 판매점이 직접, 또는 가맹 계약서를 보유한 카드사가 접속하여 신규로 입력하거나, 기 입력된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사 서버(110)는 "가맹 판매점 등록용 웹페이지"에 입력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한다.
이때, 카드사 서버(110)는 "판매점 규모"를 입력하고자 하는 입력자가 "소상공인", "소기업", "중기업", "중견기업" 및 "대기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위 "가맹 판매점 등록용 웹페이지"를 제공한다. 가맹 판매점이 "판매점 규모"를 직접 입력한 경우(예컨대, "소상공인"), 카드사는 가맹 판매점을 직접 방문하거나 서류를 받아 조사하여 해당 가맹 판매점이 "판매점 규모"로 입력한 내용(예컨대, "소상공인)이 사실인지를 확인한다. 만일, 사실이라면 카드사는 입력된 정보를 그대로 두고, 사실이 아니라면 조사한 내용(예컨대, "소기업)"으로 "판매점 규모"를 수정 입력한다. 수정된 정보는 카드사 서버(110)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다.
한편, 카드사는 급여 선사용 카드로 결제할 때 사용될 결제 단말기(120)를 가맹 판매점에 비치하고 통신망에 연결하며, 카드사 서버(110)는 위 결제 단말기(120)에 고유 식별 코드를 부여하고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한다.
< 결제 이벤트 이후의 과정 >
위와 같은 상태가 되면, 급여 소득자 회원이 자기의 급여 선사용 카드로 가맹 판매점에서 결제하는 결제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카드사 서버(110)는 결제 정보 수신 단계(S110), 결제 이벤트 유효성 판단 단계(S130), 결제액 처리 단계(S150) 및 반환액 송금 단계(S170)를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결제 이벤트에 참여한 가맹 판매점 및 급여 소득자 회원을 각각 결제점 및 결제자로 하여 설명한다.
(1) 결제 정보 수신 단계(S110)
결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카드사 서버(110)가 결제점의 결제 단말기(120)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한다. 이 결제 정보에는 결제액, 결제 단말기(120)의 고유 식별 코드, 결제 단말기(120)가 읽어들인 급여 선사용 카드의 고유 식별 코드를 포함한다.
(2) 결제 이벤트 유효성 판단 단계(S130)
카드사 서버(110)는 결제 단말기(120)의 고유 식별 코드가 결제 이벤트 발생 시점에 유효한 것인지를 확인한다.
이 확인의 용이성 내지 신속성을 위해 카드사 서버(110)는 모든 가맹 판매점에 비치된 결제 단말기(120)의 고유 식별 코드의 상태를 "유지", "만료" 및 "해지" 중 어느 하나로 매일 업데이트하여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한다. 위 "유지"는 업데이트 날짜가 가맹 계약의 만료일 이전인 상태를, "만료"는 업데이트 날짜가 가맹 계약 만료일 이후인 상태를, "해지"는 업데이트 날짜가 가맹 계약 해지일 이후인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카드사 서버(110)는 결제 이벤트 발생 시점에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 결제 단말기(120)의 고유 식별 코드가 "유지" 상태이면 결제 단말기(120)의 고유 식별 코드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만료" 상태 및 "해지" 상태이면 무효인 것으로 판단한다.
카드사 서버(110)는 급여 선사용 카드의 고유 식별 코드가 결제 이벤트 발생 시점에 유효한 것인지도 확인한다.
이 확인의 용이성 내지 신속성을 위해 카드사 서버(110)는 모든 급여 소득자 회원에게 발급된 급여 선사용 카드의 고유 식별 코드의 상태를 "유지", "퇴사", "탈퇴" 및 "한도 초과" 중 어느 하나로 매일 업데이트하여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한다.
위 "퇴사"는 급여 소득자 회원이 급여 선사용 카드의 발급 당시 소속되었던 급여 제공사 회원으로부터 퇴사한 날이 업데이트 날짜 이전인 상태를, "탈퇴"는 급여 소득자 회원이 급여 선사용 카드의 발급 당시 소속되었던 급여 제공사 회원의 회원 탈퇴일이 업데이트 날짜 이전인 상태를, "한도 초과"는 급여 소득자 회원의 누적 결제액이 월간 카드 사용 한도를 초과한 상태를, "유지"는 위 세 경우가 아닌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카드사 서버(110)는 결제 이벤트 발생 시점에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 결제자의 급여 선사용 카드의 고유 식별 코드가 "유지" 상태이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 "퇴사" 상태, "탈퇴" 상태 및 "한도 초과" 상태이면 무효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상의 판단 결과에 따라 카드사 서버(110)는 결제 이벤트의 유효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사 서버(110)는 결제점에 비치된 결제 단말기(120)의 고유 식별 코드 및 결제자가 사용한 급여 선사용 카드의 고유 식별 코드가 모두 "유지" 상태인 경우에만 결제 이벤트가 유효인 것으로 판단하고 결제 승인 신호를 결제점의 결제 단말기(120)로 송신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결제 이벤트가 무효인 것으로 판단하고 결제 거부 신호를 결제점의 결제 단말기(120)로 송신한다.
(3) 결제액 처리 단계(S150)
결제 이벤트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카드사 서버(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점의 결제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결제액에서 결제 이벤트에 대한 가맹 수수료를 차감한 가맹 수수료 차감 결제액을 결제점의 계좌로 송금한다. 또한, 결제 이벤트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카드사 서버(110)는 결제자의 급여 제공사 회원의 집금 계좌로부터 결제액을 집금일에 집금한다. 따라서 위 가맹 수수료 차감 결제액 송금 및 결제액 집금을 완료하고 나면, 카드사는 가맹 수수료만큼의 이익을 얻게 된다.
여기서, 결제 이벤트에 대한 가맹 수수료는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해당 결제 이벤트에 대한 "신용카드 가맹 수수료 수준의 수수료"로부터 원가절감액에다가 할인율을 곱한 할인액을 차감하여 산출된다.
[수학식 1]
가맹 수수료 = 신용카드 가맹 수수료 수준의 수수료 - 할인액
(단, 할인액 = 원가절감액 * 할인율)
신용카드 가맹 수수료는 신용카드 회사가 업종마다 다르게 설정하고 있고, 같은 업종이라 하더라도 신용카드 회사마다 다르다. 즉, 각 업종에 대한 신용카드 회사들의 가맹 수수료를 종합해 보면 특정 값으로 정해지지 않고 상한과 하한을 갖는 범위로 정해진다. 이러한 업계 현황을 고려하여 카드사는 "신용카드 가맹 수수료 수준의 수수료"를 각 업종에 대하여 신용카드 가맹 수수료의 상한 및 하한 사이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결정할 수 있고, 이를 본 발명에서는 "신용카드 가맹 수수료 수준"이라고 표현하였다.
카드사는 "신용카드 가맹 수수료 수준의 수수료"를 업종별로 결정한 후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하고, 그러면 결제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카드사 서버(110)는 저장된 "신용카드 가맹 수수료 수준의 수수료"를 가맹 수수료 산출에 사용한다.
[수학식 1]의 원가절감액은 신용카드 회사의 신용카드 가맹 수수료에 반영된 원가에 비해 절감되는 금액을 의미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신용카드 가맹 수수료는 VAN 수수료(신용카드 회사가 결제 단말기의 설치 및 운영에 대한 대가로 VAN 사에 지불하는 비용), 신용카드 회사의 일반 관리비, 영업비 등의 원가를 고려하여 신용카드 회사가 결정한다.
그리고 신용카드 회사는 신용카드 사용자가 결제한 대금을 가맹 판매점에 먼저 지불하므로 선 지불을 위한 자금을 마련해 놓고 있어야 하고, 선 지불 후 매월 한 번 신용카드 사용자로부터 대금을 회수하므로 선 지불 시점보다 대금 회수 시점이 지연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자 비용도 부담해야 하며, 신용카드 사용자로부터 대금을 제때 또는 아예 회수하지 못할 위험도 감수해야 한다.
따라서 신용카드 회사는 신용카드 가맹 수수료를 결정할 때 위와 같은 자금조달비용(선 지불을 위한 자금 보유, 선 지금보다 대금 회수가 지연됨으로 인한 이자 비용, 대금 회수 지연 내지 불능에 대한 위험)도 원가로 고려하고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결제자의 결제액을 결제자의 급여 제공사 회원으로부터 집금하므로 결제액 회수 지연 내지 불능의 위험이 거의 없고, 급여 제공사 회원으로부터의 집금이 결제자의 매 결제마다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급여 제공사 회원의 집금일 설정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자금조달비용(직접비 및 간접비를 포함)을 신용카드가 사용되는 경우에 비해 현격히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절감된 자금조달비용을 본 발명에서 "원가절감액"이라 한다.
카드사는 "신용카드 가맹 수수료 수준의 수수료"에 대한 자금조달비용 감소액의 비율, 즉 원가절감율을 미리 결정해 놓고, 카드사 서버(110)로 하여금 "신용카드 가맹 수수료 수준의 수수료"에다가 위 원가절감율을 곱하여 원가절감액을 산출케 하되, 카드사가 가맹 수수료 차감 결제액을 결제점에 송금한 날보다 결제자의 급여 제공사 회원으로부터 결제액을 회수하는 날이 지연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지연이자를 제하고 원가절감액을 산출케 할 수 있다. 이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아래 [수학식 2]와 같다.
[수학식 2]
원가절감액 = 신용카드 가맹 수수료 수준의 수수료 * 원가절감율 - 지연이자
위 [수학식 1]의 할인율은 가맹 판매점 규모에 따라 카드사가 미리 설정하여 저장한 정보로서, 카드사 서버(110)가 [수학식 1]의 가맹 수수료를 산출할 때마다 사용한다. 이때, 할인율은 가맹 판매점의 규모가 작아질수록 더 크게 설정되고, 바람직하게는 가장 규모가 작은 "소상공인"에 대하여는 할인율을 100%로, 가장 규모가 큰 "대기업"에 대해서는 할인율을 0%로 설정한다.
할인율이 이와 같이 설정되면, 소상공인에게는 카드사의 원가절감액이 모두 귀속되고, 소기업, 중기업 및 중견기업으로는 카드사의 원가절감의 일부가 귀속되며, 대기업으로는 카드사의 원가절감액이 전혀 귀속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가맹 판매점을 보호 및 육성하는데 일조할 수 있다.
(4) 반환액 송금 단계(S17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가맹 판매점이 가장 규모가 작은 소상공인일 경우에만 카드사의 원가절감액 전액이 가맹 판매점으로 귀속되고, 나머지 규모의 가맹 판매점으로는 카드사의 원가절감액 중 일부 또는 전부가 귀속되지 않고 남아있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이를 카드사에게 귀속시키지는 않고, 결제자에게 귀속시킨다.
이를 위해 카드사 서버(110)는 우선 원가절감액으로부터 할인액(수학식 1 참조)을 차감하여 반환액을 산출하고, 이후 반환액을 결제자의 계좌로 송금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결제점이 소상공인이면 카드사의 원가절감액이 모두 결제점에 귀속되고, 결제점이 소기업, 중기업 및 중견기업이면 카드사의 원가절감액이 결제점 및 결제자에게 분배되어 귀속되며, 결제점이 대기업이면 카드사의 원가절감액이 모두 결제자에게 귀속된다.
(5) 할인액/반환액 보장 및 최대화를 위한 조치
앞서 < 급여 제공사의 회원 가입 >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급여 제공사 회원은 "급여 제공사 회원 가입용 웹페이지"에서 집금일을 입력할 수 있고, "급여 제공사 정보 수정용 웹페이지"에서 기 입력 집금일을 변경할 수 있다.
그런데 위 집금일이 결제자의 결제일과 최대한 가깝도록 입력된다면 [수학식 2]의 지연이자를 줄일 수 있어, 할인액 및 반환액의 증가를 꾀할 수 있다.
따라서 카드사 서버(110)는 위 두 웹페이지의 집금일 입력란을 급여 제공사 측에서 클릭하였을 때, "직원 결제일", 직원 결제일 후 7일 이내의 날들 중 어느 한 날[예컨대, "직원 결제일 1일 후", "직원 결제일 2일 후", "직원 결제일 6일 후", "직원 결제일 7일 후" 등], 매주 복수 요일[예컨대, "매주 월, 수, 금", "매주 화, 목" 등]을 제시하고, 이 날들 중 어느 하나를 급여 제공사 회원에게 집금일로 선택케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가사 결제점에 가맹 수수료 차감 결제액을 결제 이벤트 당일 송금한다 하더라도 지연이자는 최대 7일치 분으로 한정되므로 할인액 및 반환액이 모두 소진되어 버리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카드사 서버(110)는 위 결제액 처리 단계(S150)에서 집금일과 동일하거나 집금일보다 늦은 날에 가맹 수수료 차감 결제액을 결제점에 송금할 수 있는데, 그러면 위 날들 중 어느 것이 집금일로 선택되더라도 지연이자는 한 푼도 발생하지 않으므로 항상 할인액 및 반환액이 최대로 보장될 수 있게 된다.
(6) 반환액 송금 후 조치 및 반환액 처리의 변형예
반환액 송금까지 이루어지고 나면 카드사 서버(110)는 앞서 < 급여 소득자의 회원 가입 및 급여 선사용 카드 발급 > 부분에서 설명한 "급여 가불 확인용 웹페이지"를 업데이트한다.
구체적으로, 카드사 서버(110)는 "급여 가불 확인용 웹페이지"에 표시된 급여 소득자 회원들 중 결제자에 해당하는 회원의 누적 결제액을 갱신한다. 그리고 급여일에 위 누적 결제액을 "0"으로 초기화한다.
또한, 반환액 송금이 이루어지면, 카드사 서버(110)는 결제자의 휴대폰으로 결제액, 송금된 반환액 및 누적 결제액을 결제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전송한다.
한편, 앞서서는 카드사 서버(110)가 결제자가 소속된 급여 제공사 회원으로부터 결제액을 집금하고, 반환액을 결제자에게 송금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사 서버(110)는 반환액 송금 단계(S170)를 생략하고, 결제액 처리 단계(S150)에서 결제자가 소속된 급여 제공사 회원으로부터 반환액이 차감된 결제액을 집금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고, 상술한 실시예들이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10 : 카드사 서버 112 : 데이터베이스
120 : 결제 단말기 S110 : 결제 정보 수신 단계
S130 : 결제 이벤트 유효성 판단 단계
S150 : 결제액 처리 단계 S170 : 반환액 송금 단계

Claims (8)

  1. 급여 제공사 회원으로부터 급여를 받는 급여 소득자 회원에게 급여 선사용 카드를 발급한 카드사의 카드사 서버가, 상기 카드사와 가맹 계약을 맺은 가맹 판매점에 비치된 결제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급여 소득자 회원이 자기의 급여 선사용 카드로 상기 가맹 판매점에서 결제하는 결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수행하는 급여 선사용 결제 및 결제액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결제 이벤트에 참여한 가맹 판매점인 결제점의 결제 단말기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는 결제 정보 수신 단계;
    상기 결제 정보가 유효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결제 이벤트 유효성 판단 단계; 및
    상기 결제 이벤트가 유효하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결제 정보에 포함된 결제액으로부터 상기 결제 이벤트에 대한 가맹 수수료를 차감한 가맹 수수료 차감 결제액을 상기 결제점에 송금하고, 상기 결제 이벤트에 참여한 급여 소득자 회원인 결제자의 급여 제공사 회원으로부터 상기 결제액을 상기 결제자의 급여 제공사 회원이 회원 가입 시 설정한 집금일에 집금하는 결제액 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액 처리 단계에서는,
    원가절감액에다가 상기 결제점의 규모에 따른 할인율을 곱한 할인액을 미리 저장된 신용카드 가맹 수수료 수준의 수수료로부터 차감하여 상기 가맹 수수료를 산출하고,
    상기 신용카드 가맹 수수료 수준의 수수료에다가 미리 저장된 원가절감율을 곱한 후 지연이자를 차감하여 상기 원가절감액을 산출하되, 상기 지연이자는 상기 가맹 수수료 차감 결제액의 송금일보다 상기 집금일이 지연되는 정도에 따라 다르게 산출하며,
    상기 가맹 수수료 산출 시 사용되는 할인율은 상기 가맹 판매점의 규모가 작을수록 더 크게 설정되어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급여 선사용 결제 및 결제액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할인율은 상기 가맹 판매점이 가장 작은 규모의 소상공인이면 100%로, 가장 큰 규모의 대기업이면 0%로 설정되어 있는 급여 선사용 결제 및 결제액 처리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가절감액으로부터 상기 할인액을 차감하여 반환액을 산출하고, 상기 반환액을 결제자에게 송금하는 반환액 송금 단계;를 포함하는 급여 선사용 결제 및 결제액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서버는 상기 급여 제공사 회원으로 하여금 상기 집금일을 상기 결제 이벤트가 발생한 날 또는 이 날로부터 7일 이내의 날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매주 복수 요일로 설정케 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급여 선사용 결제 및 결제액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서버는 상기 결제액 처리 단계에서 상기 집금일과 동일하거나 늦은 날에 상기 가맹 수수료 차감 결제액을 상기 결제점에 송금하는 급여 선사용 결제 및 결제액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서버는,
    가맹 판매점들 각각에 비치된 결제 단말기의 고유 식별 코드의 상태를 "유지", "만료" 및 "해지" 중 어느 하나로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되, 업데이트 날짜가 가맹 계약의 만료일 이전이면 "유지"로, 업데이트 날짜가 가맹 계약 만료일 이후이면 "만료"로, 업데이트 날짜가 가맹 계약 해지일 이후이면 "해지"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결제 정보에 포함된 결제 단말기 고유 식별 코드가 "만료" 또는 "해지"이면 상기 결제 이벤트 유효성 판단 단계에서 상기 결제 이벤트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급여 선사용 결제 및 결제액 처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서버는,
    급여 소득자 회원들 각각에게 발급된 급여 선사용 카드의 고유 식별 코드의 상태를 "유지", "퇴사", "탈퇴" 및 "한도 초과" 중 어느 하나로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되, 급여 소득자 회원이 급여 선사용 카드의 발급 당시 소속되었던 급여 제공사 회원으로부터 퇴사한 날이 업데이트 날짜 이전이면 "퇴사"로, 급여 소득자 회원이 급여 선사용 카드의 발급 당시 소속되었던 급여 제공사 회원의 회원 탈퇴일이 업데이트 날짜 이전이면 "탈퇴"로, 급여 소득자 회원의 누적 결제액이 월간 카드 사용 한도를 초과하면 "초과 한도"로, 나머지의 경우에는 "유지"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결제 정보에 포함된 급여 선사용 카드 고유 식별 코드가 "퇴사" 또는 "탈퇴" 또는 "한도 초과"이면 상기 결제 이벤트 유효성 판단 단계에서 상기 결제 이벤트를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급여 선사용 결제 및 결제액 처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사 서버는, 급여 제공사 회원에 소속된 급여 소득자 회원의 목록을 표시한 웹페이지를 급여 제공사 회원에게 제공하고, 이 웹페이지에 표시된 급여 소득자 회원들 중 결제자에 해당하는 회원의 누적 결제액을 결제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갱신하다가 급여일에는 위 웹페이지에 표시된 급여 소득자 회원들 모두의 누적 결제액을 "0"으로 초기화하는 급여 선사용 결제 및 결제액 처리 방법.
KR1020180076225A 2018-07-02 2018-07-02 급여 선사용 결제 및 결제액 처리 방법 KR102197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225A KR102197233B1 (ko) 2018-07-02 2018-07-02 급여 선사용 결제 및 결제액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225A KR102197233B1 (ko) 2018-07-02 2018-07-02 급여 선사용 결제 및 결제액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443A true KR20200003443A (ko) 2020-01-10
KR102197233B1 KR102197233B1 (ko) 2020-12-31

Family

ID=69158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225A KR102197233B1 (ko) 2018-07-02 2018-07-02 급여 선사용 결제 및 결제액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2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799A (ko) 2004-09-03 2006-03-0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카드 이용금액의 급여공제금 대체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기록매체
KR20070117497A (ko) * 2006-06-08 2007-12-12 박철현 구매현금 결제방법 및 시스템
JP2017091302A (ja) * 2015-11-12 2017-05-25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クレジットカード決済システム及びクレジットカード決済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1799A (ko) 2004-09-03 2006-03-0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카드 이용금액의 급여공제금 대체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위한 기록매체
KR20070117497A (ko) * 2006-06-08 2007-12-12 박철현 구매현금 결제방법 및 시스템
JP2017091302A (ja) * 2015-11-12 2017-05-25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クレジットカード決済システム及びクレジットカード決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233B1 (ko) 2020-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7096B1 (en) Individualized incentives to improve financing outcomes
US10007953B1 (en) Fund withholding for payroll payments
US7188083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rapid collection of income taxes
US20150120426A1 (en) Consolidating and Leveraging Features of a Loyalty Program
US8160921B2 (en) System for incentivizing financial account users
US20150058190A1 (en) Rapid tax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US201202156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with a single payment card on which prepaid and/or reward balances are tracked for multiple merchants
US10373185B1 (en) Dynamically financed customer engagement campaign
US8156039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mortgage rebate transaction card account
US20110106696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ayment Processing
KR20070033588A (ko) 전자상거래를 통한 금융상품 이자지원시스템
US200500276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accounts
US20190188659A1 (en) System to allocate payroll funds to prepaid instruments
US20200320643A1 (en) Integration of transaction information with payroll information for payroll payment processing
KR101409993B1 (ko) 채권자와 채무자의 대부 계약을 중개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중개 시스템
US6889200B2 (en) Rapid tax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for debit-type transactions
JP2004265369A (ja) 金銭支払いシステム及び方法
US10083489B1 (en) Payroll correction
EP1498833A1 (en) Consideration payment management method and server, consideration payment management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consideration payment management medium and consideration payment recording medium
KR20150124187A (ko) 금융 계좌의 이자 지급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계좌 운용 서비스 장치와 시스템
US202103428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ed invoice settlement
JP6510472B2 (ja) 決済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003443A (ko) 급여 선사용 결제 및 결제액 처리 방법
KR102197232B1 (ko) 급여 선사용 결제 방법
US20150019415A1 (en) Automatic consumer debit and pay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