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3442A - A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3442A
KR20200003442A KR1020180076219A KR20180076219A KR20200003442A KR 20200003442 A KR20200003442 A KR 20200003442A KR 1020180076219 A KR1020180076219 A KR 1020180076219A KR 20180076219 A KR20180076219 A KR 20180076219A KR 20200003442 A KR20200003442 A KR 20200003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lyol
energy
catalyst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2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48921B1 (en
Inventor
박형숙
송창익
정찬엽
양세우
조윤경
강양구
박은숙
김현석
박상민
양영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76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921B1/en
Publication of KR20200003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4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9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two-part urethane-based adhesive composition. The urethane-based adhesive composition having the constant curing rate can be provided, thereby improving the processability associated with the production of a battery module. The two-part urethane-based adhesive composition comprises: a main agent unit including a polyol resin, an additive, and a catalyst; and a curing agent unit including a polyisocyanate compound.

Description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A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A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출원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이차 전지에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또는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고, 대표적인 것은 리튬 이차 전지이다.The secondary battery includes a nickel cadmium battery, a nickel hydrogen battery, a nickel zinc battery 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typical.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 산화물과 탄소 소재를 각각 양극 및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를 포함하는데, 외장재의 형상에 따라 캔형 이차 전지와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단일의 이차 전지는 배터리셀로 호칭될 수 있다.Lithium secondary batteries mainly use lithium oxide and carbon materials as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respectively.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re respectively coated, and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negative electrode plate is dispos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n exterior material for sealingly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solution. And pouch type secondary batteries. Such a single secondary battery may be referred to as a battery cell.

자동차나 전력저장장치와 같은 중대형 장치의 경우에는, 용량 및 출력을 높이기 위해 많은 수의 배터리 셀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 모듈이 사용되거나 그러한 배터리 모듈이 복수 개 연결된 배터리 팩이 사용될 수 있다.In the case of medium and large devices such as automobiles and power storage devices, a battery module in which a large number of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a battery pack in which a plurality of such battery modules are connected may be used to increase capacity and output power.

상기와 같이 배터리 모듈이나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방법 중 하나는, 복수의 배터리 셀을 배터리 모듈 내부에 고정 시킬 수 있는 접착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접착 소재는, 배터리 모듈 표면에 형성된 주입홀을 통해 배터리 모듈 내부에 주입될 수 있다.One of the methods of configuring the battery module or the battery pack as described above is to use an adhesive material to fix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side the battery module. In this case, the adhesive material may be injected into the battery module through an injection hole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본 출원의 일 목적은 배터리 모듈 내로 주입된 후 일정한 경화속도를 갖고, 공정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One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n adhesive composition which has a constant curing rate after being injected into a battery module and can improve process efficiency.

본 출원의 다른 목적은 우수한 방열 성능의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having excellent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a battery pack including the battery module, and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본 출원의 상기 목적 및 기타 그 밖의 목적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출원에 의해 모두 해결될 수 있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all be solv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in detail below.

본 출원에 관한 일례에서, 본 출원은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팩에 사용되는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adhesive composition for use in a battery module or battery pack.

본 출원에 따라 제조되는 조성물은 이액형 우레탄계 조성물이다. 이액형 우레탄은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폴리올계 화합물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폴리우레탄을 의미하는 것으로, 단일 조성 내에 우레탄기를 갖는 일액형 폴리우레탄과는 구별된다.The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two-component urethane-based composition. Two-component urethane means a polyurethane formed by mixing an isocyanate compound and a polyol compound, and is distinguished from a one-component polyurethane having a urethane group in a single composition.

상기 이액형 폴리우레탄의 경우, 폴리올 등을 포함하는 주제와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포함하는 경화제가 상온에서 반응하여 경화될 수 있다. 즉, 본 출원에 따라 제조되는 조성물은 상온 경화형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상온」이란 특별히 가온 또는 감온되지 않은 상태로서, 약 10℃이상 30℃ 미만 범위 내의 어느 한 온도, 예를 들면, 약 15℃ 이상, 약 18℃ 이상, 약 20℃ 이상, 또는 약 23℃ 이상이고, 약 27℃ 이하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주제 성분과 경화제 성분이 혼합되면서 경화가 이루어지는 상온 경화형 이액형 우레탄계 조성물은, 주제 성분(폴리올)과 경화제 성분(이소시아네이트)의 물리적인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주제 성분과 경화제 성분의 반응물(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two-component polyurethane, a main agent including a polyol and a curing agent including an isocyanate may be reacted at room temperature to cure. That is, the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a room temperature curing type. In the present application, "room temperature" is a state in which it is not particularly warmed or reduced, and any temperature within a range of about 10 ° C or more and less than 30 ° C, for example, about 15 ° C or more, about 18 ° C or more, about 20 ° C or more or about 23 ° C. or higher and about 27 ° C. or lower. The room temperature curing type two-component urethane-based composition in which curing is performed while mixing a main component and a curing agent component may include a physical mixture of the main component (polyol) and the curing agent component (isocyanate), and / or a reactant of the main component and the curing agent component. (Cured product).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폴리올 수지를 포함하는 주제부, 및 적어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은 상기 폴리올 유래 단위와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유래 단위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올 유래 단위는 폴리올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우레탄 반응하여 형성되는 단위이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유래 단위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폴리올과 우레탄 반응하여 형성되는 단위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mposition may include a main portion including at least a polyol resin, and a curing agent portion including at least a polyisocyanate compound. Accordingly, the cured product of the resin composition may include both the polyol-derived unit and the polyisocyanate-derived unit. In this case, the polyol-derived unit may be a unit formed by a polyol reacting with a polyisocyanate and a urethane, and the polyisocyanate-derived unit may be a unit formed by reacting a polyol with a urethane.

상기 조성물은 우레탄 경화 반응의 진행을 위하여 소정의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기 설명되는 용도를 갖는 본 출원의 조성물은 소정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정상 필요에 따라 요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또는 열전도성, 절연성, 내열성(TGA 분석) 및 방열성(열전도성)과 같은 물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다.The composition may include a predetermined catalyst for the progress of the urethane curing reaction. In addition,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ving the uses described below may further comprise additives for implementing certain functions. For example, additives may be used to secure thixotropy as needed in the process, or to secur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thermal conductivity, insulation, heat resistance (TGA analysis), and heat dissipation (thermal conductivity).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배터리 모듈의 케이스 내부로 주입되고, 배터리 모듈 내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과 접촉하여 배터리 셀을 모듈 케이스 내에서 고정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도와 관련하여, 도 1 내지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Specifically, the composition is injected into the case of the battery module and can be used to contact the one or more battery cells present in the battery module to secure the battery cell within the module case. Regarding the above use,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1은 하나의 하부판(10a)과 4개의 측벽(10b)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모듈 케이스(10)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 2는 배터리 셀(20)이 수납되어 있는 도 2의 모듈 케이스(10)를 상부에서 관찰한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 케이스는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상부판(10c)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듈 케이스의 하부판, 측벽 및/또는 상부판에는, 도 3에서와 같이,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홀은 수지 조성물을 주입하는데 사용되는 주입홀(50a)일 수 있고, 주입홀을 통해 주입된 조성물이 측벽, 하부판 또는 상부판의 말단까지 잘 주입되었는지 여부를 관찰하기 위하여 형성된 관찰홀(50b)일 수 있다. 주입홀(50a)은 하부판(10a)의 대략 중간부에 위치할 수 있고, 관찰홀(50b)은 상기 주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판과 하부판의 말단에 형성될 수 있다. 모듈 케이스 내에 수지 조성물을 주입하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 케이스의 개구부에 수지 조성물을 부어서 수지 조성물을 주입하거나, 모듈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전술한 주입홀에 의해 수지 조성물을 주사(injection)하는 방식, 배터리 셀과 배터리 모듈 양자에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적절한 고정을 위해 상기 주입 공정은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셀을 일정하게 진동시키면서 수행될 수도 있다. 배터리 셀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방식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주입된 조성물을 상온에서 소정 시간 유지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고, 셀의 열 안정성을 저해시키지 않는 수준에서 약 30℃ 내지 50℃범위의 열을 일정시간 인가하여 경화를 촉진시킬 수도 있다.1 shows an example module case 10 comprising one bottom plate 10a and four sidewalls 10b. 2 is a schematic view of the module case 10 of FIG. 2 in which the battery cells 20 are housed. As shown in Figure 1, the module case may further include a top plate (10c) for sealing the interior space. As shown in FIG. 3, a hole may be formed in the lower plate, the side wall, and / or the upper plate of the module case. The hole may be an injection hole 50a used to inject the resin composition, and the observation hole 50b formed to observe whether the composition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is well injected to the end of the side wall, the lower plate or the upper plate. Can be. The injection hole 50a may be located at an approximately middle portion of the lower plate 10a, and the observation hole 50b may be formed at the ends of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on which the injection hole is formed. The method of injecting the resin composition into the module cas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known method may be applied. For example, the resin composition is poured into the opening of the module case to inject the resin composition, or the resin composition is injec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injection holes formed in the module case, the resin composition in both the battery cell and the battery module. The method of applying this may be applied. The implant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while constantly vibrating the battery module or battery cell for proper fixation. The manner of curing the resin composition to fix the battery cell is also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 method of maintaining the injected composition at room temperature for a predetermined time may be used, or curing may be performed by applying heat in a range of about 30 ° C. to 50 ° C. for a predetermined time at a level that does not impair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cell.

배터리 모듈로 주입되는 조성물의 경화와 관련하여, 각 성분이 배합된 조성물의 경화 속도가 너무 빨라 점도가 급격히 높아진 경우에는 모듈 내부로의 균일한 주입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에, 경화 속도가 느려서 배터리 모듈로 주입된 접착제가 소정 시간 경과 후에도 충분히 경화되지 않을 경우에는 점도가 낮기 때문에, 조성물 주입 이후 후속 공정에 따라 모듈을 이동시키거나 모듈을 뒤집는 작업이 이어질 경우 접착제가 누출되거나 부품이 오염될 수 있고, 접착제를 통해 접착시키고자 했던 부품들 간 계면이 들 뜨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경화속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경화물을 통해 배터리 모듈에 부여하고자 하는 특성(예, 충격 내구성, 절연성, 방열성, 접착성 등)을 충분히 구현할 수 없다. 특히, 배터리 모듈에 사용되는 접착제 성분은 방열 성능이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과량의 첨가제(예: 방열성 필러, 절연성 필러 등)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조성물의 점도가 크게 증가하게 되므로, 조성물의 배터리 모듈에 대한 주입 공정성이 악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볼 때, 적정 경화 속도의 확보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Regarding the curing of the composition injected into the battery modu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uniform injection into the module is not easy when the curing rate of the composition in which each component is blended is so high that the viscosity is sharply increased. On the other hand, if the adhesive injected into the battery module does not cure sufficiently after a predetermined time due to a slow curing rate, the adhesive has a low viscosity. Leaks or parts may be contaminated, and the interface between the parts to be bonded through the adhesive may be raised. As such, when the curing speed is not constant, the characteristics (eg, impact durability, insulation, heat dissipation, adhesiveness, etc.) to be imparted to the battery module through the cured product may not be sufficiently realized. In particular, the adhesive component used in the battery module may include an excess of additives (eg, a heat dissipating filler, an insulating filler, etc.) in order to ensur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or insulation, in which case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is greatly increased, Injection processability of the battery module may be deteriorated. In view of this point, it can be said that securing an appropriate curing rate is very important.

한편, 수지 조성물이 배터리 모듈 내로 과량 주입되는 등으로 인해서 배터리 모듈 외부로 역토출되는 경우에는 역토출된 수지 조성물을 제거하여야 한다. 배터리 모듈에 형성되어 있는 주입홀을 통하여 수지 조성물을 배터리 모듈 내로 주입하기 전에 배터리 모듈의 주입홀에 접착 테이프를 부착하고, 수지 조성물 주입 후 일정시간 경과 후에 부착된 접착 테이프를 박리하면서 역토출된 수지 조성물이 함께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수지 조성물의 경화 정도에 따라서 역토출된 수지 조성물을 배터리 모듈에서 잔여물 없이 제거될 수 있다. 역토출된 수지 조성물을 배터리 모듈에서 잔여물 없이 제거된다는 의미는 역토출된 수지 조성물이 배터리 모듈 내부로 주입된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거할 때, 제거되는 부분이 엿 늘어지는 것처럼 꼬리(Tail)을 남기지 않고 배터리 모듈내로 주입된 수지 조성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는 수지 조성물의 제거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적인 사진이다. 도 4의 좌측 사진은 수지 조성물이 잔여물 없이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적인 사진이고, 우측 사진은 수지 조성물이 잔여물을 남기고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적인 사진이다. 조성물 주입 이후 추가적인 공정성 등을 고려하면, 역토출된 수지 조성물을 잔여물 없이 배터리 모듈에서 제거 가능한 시점이 단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sin composition is back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module due to excessive injection into the battery module, etc., the back discharged resin composition should be removed. Before injecting the resin composition into the battery module through the injection hole formed in the battery module, the adhesive tape is attached to the injection hole of the battery module, and the resin is discharged back while peeling off the adhesive tape after a certain time after the resin composition is injected. The compositions can be removed together. In this case, the back discharged resin composition may be removed from the battery module without a residue depending on the degree of curing of the resin composition. The removal of the back discharged resin composition without residue from the battery module means that when the back discharged resin composition is removed from the resin composition injected into the battery module, the removed portion does not leave a tail as if it is drooping. It may mean to be separated from the resin composition injected into the battery module. 4 is an exemplary photograph showing a removal state of the resin composition. 4 is an exemplary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sin composition is removed without a residue, and a photograph on the right is an example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sin composition is removed with a residue. In consideration of additional processability after composition injection, it is preferable to shorten the time point at which the discharged resin composition can be removed from the battery module without residue.

본 출원의 접착제 조성물은 제조 공정상 일정한 경화속도를 제공할 수 있는 조성물로서, 폴리올과의 상용성이 고려되어 제조된 조성물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상용성을 판단하는 기준은 하기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배합에너지(mixing energy)이다.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composition that can provide a constant curing rat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may be a composition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compatibility with the polyol.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compatibility in the present application is mixing energy as described below.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폴리올 함유 주제부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함유 경화제부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제부는 폴리올 수지, 첨가제 및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하기 설명되는 것과 같이, 각 성분의 배합에너지 및 우레탄 반응의 속도 결정 단계 등을 고려할 때, 본 출원의 조성물은 폴리올 수지, 첨가제 및 촉매를 포함하도록 제조된 주제부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부와 혼합함으로써 형성되는 조성물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mposition may be prepared by mixing the polyol-containing main portion and the polyisocyanate compound-containing curing agent portion. In this case, the main part may include a polyol resin, an additive, and a catalyst. That is, as described below, in consideration of the compounding energy of each component and the rate determining step of the urethane reaction, etc.,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polyisocyanate compound containing a polyisocyanate compound. It may be a composition formed by mixing with a curing agent portion.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조성물은 하기 수학식 1을 각각 만족하는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composition may include the polyisocyanate compound and / or additives that satisfy each of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δ (배합에너지) = (용매의 혼합 에너지) - (용질의 자가 혼합 에너지) < 0δ (mixed energy) = (mixed energy of solvent)-(self-mixed energy of solute) <0

상기 수학식 1에서 에너지의 단위는 Kcal/mol이고, 용매는 폴리올 수지이며, 용질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 또는 첨가제이다.In Equation 1, the unit of energy is Kcal / mol, the solvent is a polyol resin, and the solute is a polyisocyanate mixture or additive.

상기 주제부는 상온 및 전단속도 2.5/s 지점에서 측정된 점도가 100,000 내지 400,000cP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점도가 너무 낮기 때문에 접착 조성물이 주입된 배터리 모듈의 이동 과정에 있어서 부품의 오염이나 계면 박리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너무 높기 때문에, 배터리 모듈로의 주입 공정에 적합하지 못하다. 상기 주제부의 점도는 유변물성 측정기(ARES)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The main part may have a viscosity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and a shear rate of 2.5 / s at a range of 100,000 to 400,000 cP. If less than the above range, since the viscosity is too low, contamination or interfacial peeling of components may occur during the movement of the battery module in which the adhesive composition is injected. In addition, when it exceeds the said range, since a viscosity is too high, it is not suitable for the injection process into a battery module. The viscosity of the subject portion can be measured by a rheometer (ARES).

상기 배합에너지(mixing energy)는 COSMOlogic 社의 COSMO-RS 이론 계산 패키지인 COSMOtherm (version C30_1301)과 DFT 계산 패키지인 Turbomole (version 6.5)을 이용해 계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OSMOtherm으로는 BP _TZVP_C30_1301 파라미터 셋이 이용되고, Turbomole의 경우 BP functional/def-TZVP basis가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배합에너지 계산시에 △Gfus 의 값도 고려될 수 있는데, 본 출원에서는 배합에너지 계산과 관련된 각 구성 물질이 액체 상태로 가정되므로, 그 값이 0(zero)으로 취급된다. The mixing energy may be calculated using COSMOlogic's COSMO-RS theoretical calculation package COSMOtherm (version C30_1301) and DFT calculation package Turbomole (version 6.5). Specifically, the BP_TZVP_C30_1301 parameter set is used as the COSMOtherm, and the BP functional / def-TZVP basis may be used in the case of Turbomole. In general, ΔG fus when calculating the blended energy The value of can also be considered. In this application, since each constituent material related to the compounding energy calculation is assumed to be in the liquid state, the value is treated as zero.

또한, 상기 수학식 1에서, 용매의 혼합에너지와 용질의 자가 혼합 에너지는 - 40 내지 120 ℃범위 내 어느 특정 온도에서 계산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매의 혼합 에너지' 와 '용질의 자가 혼합 에너지'는 모두 40 ℃에서 측정된 값일 수 있고, 이 경우 수학식 1의 배합에너지는 40 ℃에서의 배합에너지로서 0 미만의 값을 갖는 것이다.In addition, in Equation 1, the mixing energy of the solvent and the self mixing energy of the solute may be a value calculated at a specific temperature in the range of −40 to 120 ° C. For example, the 'mixed energy of the solvent' and the 'self-mixed energy of the solute' may both be a value measured at 40 ℃, in this case, the blending energy of Equation 1 is a blending energy at 40 ℃ less than 0 To have.

상기 수학식 1의 배합에너지는 용매인 폴리올과의 상대적인 관계에서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 하한은 조성물 형성을 위해 선택되는 물질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것고, 그 값이 특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설명되는 특성 또는 구성을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수학식 1의 배합에너지 하한 값은 약 - 2.5, -2, - 1.5 - 1.0 또는 -0.5 일 수 있다.Since the compounding energy of Equation 1 is determined in a relative relationship with a polyol which is a solvent, the lower limi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terial selected for forming the composition, and the value thereof is not specified. When using a polyisocyanate compound and additives having the properties or configurations described below, the lower blending energy value of Equation 1 may be about -2.5, -2, -1.5-1.0 or -0.5.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첨가제가 상기 수학식 1을 만족한다는 것은, 상기 수식을 만족하지 못하는 다른 물질 대비, 폴리올과의 배합성이 우수하는 것을 의미한다. 균일한 배합은 조성물 내에서 각 성분이 우수한 분산상태를 가질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균일한 경화 속도를 구현하는데 기여한다.When the polyisocyanate compound or additive satisfies Equation 1 above, it means that the polyisocyanate compound or additive is excellent in blendability with the polyol, compared to other materials that do not satisfy the above formula. Uniform formulation allows each component in the composition to have a good dispersion, thus contributing to achieving a uniform cure rate.

상기 배합에너지를 만족하고, 동시에 경화후 배터리 모듈용 접착제에 필요한 물성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구체적인 구성 성분은 아래와 같다.Specific components for satisfying the compounding energy, and at the same time to provide the physical properties required for the adhesive for the battery module after curing is as follows.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주제부에 포함되는 폴리올 수지로는 에스테르계 폴리올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에스테르계 폴리올을 사용할 경우, 수지 조성물 경화 후에 배터리 모듈 내에서 우수한 접착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In one example, an ester-based polyol resin may be used as the polyol resin included in the main part. In the case of using an ester-based polyol, it is advantageous to ensure excellent adhesion in the battery module after curing the resin composition.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에스테르계 폴리올로는, 예를 들어, 카복실산계 폴리올이나 카프로락톤계 폴리올이 사용될 수 있다.In one example, as the ester polyol, for example, a carboxylic acid polyol or a caprolactone polyol may be used.

상기 카복실산계 폴리올은 카복실산과 폴리올(ex. 디올 또는 트리올 등)을 포함하는 성분을 반응시켜서 형성할 수 있고, 카프로락톤계 폴리올은 카프로락톤과 폴리올(ex. 디올 또는 트리올 등)을 포함하는 성분을 반응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르복실산은 디카복실산일 수 있다.The carboxylic acid-based polyol may be formed by reacting a component including a carboxylic acid and a polyol (ex. Diol or triol, etc.), and the caprolactone-based polyol may include caprolactone and a polyol (ex. Diol or triol). It can form by making a component react. In this case, the carboxylic acid may be a dicarboxylic acid.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폴리올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폴리올일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polyol may be a polyol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or 2.

[화학식 1][Formula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화학식 2][Formula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화학식 1 및 2에서, X는 카복실산 유래의 단위이고, Y는 폴리올 유래의 단위이다. 폴리올 유래의 단위는, 예를 들면, 트리올 단위 또는 디올 단위일 수 있다. 또한, n 및 m은 임의의 수일 수 있다.In formulas (1) and (2), X is a unit derived from carboxylic acid, and Y is a unit derived from polyol. The unit derived from a polyol may be a triol unit or a diol unit, for example. Also, n and m can be any number.

상기 화학식에서 카복실산 유래 단위는 카복실산이 폴리올과 반응하여 형성된 단위이고, 폴리올 유래 단위는 폴리올이 카복실산 또는 카프로락톤과 반응하여 형성된 단위이다.In the above formula, the carboxylic acid-derived unit is a unit formed by reacting a carboxylic acid with a polyol, and the polyol-derived unit is a unit formed by reacting a polyol with a carboxylic acid or caprolactone.

즉, 폴리올의 히드록시기와 카복실산의 카복실기가 반응하면, 축합 반응에 의해 물(HO2) 분자가 탈리되면서 에스테르 결합이 형성되는데, 상기 화학식 1의 X는 상기 카복실산이 상기 축합 반응에 의해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한 후에 상기 에스테르 결합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Y는 상기 축합 반응에 의해 폴리올이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한 후에 그 에스테르 결합을 제외한 부분이다. 상기 에스테르 결합은 화학식 1에 표시되어 있다.That is, when the hydroxyl group of the polyol and the carboxyl group of the carboxylic acid react, the water (HO 2 ) molecules are detached by the condensation reaction, and an ester bond is formed. After that means a portion except the ester bond portion. In addition, Y is a part except the ester bond after a polyol forms an ester bond by the said condensation reaction. The ester bond is shown in the formula (1).

또한, 화학식 2의 Y 역시 폴리올이 카프로락톤과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한 후에 그 에스테르 결합을 제외한 부분을 나타낸다. 상기 에스테르 결합은 화학식 2에 표시되어 있다.In addition, Y of the formula (2) also represents a portion excluding the ester bond after the polyol forms an ester bond with the caprolactone. The ester bond is shown in the formula (2).

한편, 상기 화학식에서 Y의 폴리올 유래 단위가 트리올 단위와 같이 3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폴리올로부터 유래된 단위인 경우, 상기 화학식 구조에서 Y 부분에는, 분지가 형성된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polyol-derived unit of Y in the formula is a unit derived from a polyol including three or more hydroxy groups, such as a triol unit, a structure in which a branch is formed in the Y part in the formula structure may be implemented.

상기 화학식 1에서, X의 카복실산 유래 단위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목적하는 물성의 확보를 위해서 프탈산 단위, 이소프탈산 단위, 테레프탈산 단위, 트리멜리트산 단위,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단위, 헥사히드로프탈산 단위, 테트라클로로프탈산 단위, 옥살산 단위, 아디프산 단위, 아젤라산 단위, 세박산 단위, 숙신산 단위, 말산 단위, 글라타르산 단위, 말론산 단위, 피멜산 단위, 수베르산 단위, 2,2-디메틸숙신산 단위, 3,3-디메틸글루타르산 단위, 2,2-디메틸글루타르산 단위, 말레산 단위, 푸마루산 단위, 이타콘산 단위 및 지방산 단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위일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범위의 낮은 유리전이 온도를 고려하면, 방향족 카복실산 유래 단위보다는 지방족 카복실산 유래 단위가 바람직할 수 있다.In Chemical Formula 1, the type of the carboxylic acid-derived unit of X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 order to secure desired physical properties, phthalic acid units, isophthalic acid units, terephthalic acid units, trimellitic acid units, tetrahydrophthalic acid units, hexahydrophthalic acid units, Tetrachlorophthalic acid unit, oxalic acid unit, adipic acid unit, azelaic acid unit, sebacic acid unit, succinic acid unit, malic acid unit, glataric acid unit, malonic acid unit, pimelic acid unit, suberic acid unit, 2,2-dimethyl It may be any one uni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uccinic acid unit, 3,3-dimethylglutaric acid unit, 2,2-dimethylglutaric acid unit, maleic acid unit, fumaric acid unit, itaconic acid unit and fatty acid unit. . In view of the low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in the above-described ranges, aliphatic carboxylic acid derived units may be preferred over aromatic carboxylic acid derived units.

한편, 화학식 1 및 2에서 Y의 폴리올 유래 단위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목적하는 물성의 확보를 위해서, 에틸렌글리콜 단위, 디엘틸렌글리콜 단위, 프로필렌글리콜 단위, 1,2-부틸렌글리콜 단위, 2,3-부틸렌글리콜 단위, 1,3-프로판디올 단위, 1,3-부탄디올 단위, 1,4-부탄디올 단위, 1,6-헥산디올 단위, 네오펜틸글리콜 단위, 1,2-에틸헥실디올 단위, 1,5-펜탄디올 단위, 1,9-노난디올 단위, 1,10-데칸디올 단위, 1,3-시클로헥산디메탄올 단위,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단위, 글리세린 단위 및 트리메틸롤프로판 단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ype of the polyol-derived unit of Y in the general formula (1) and (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order to ensure the desired physical properties, ethylene glycol units, diethylene glycol units, propylene glycol units, 1,2-butylene glycol units, 2,3-butylene glycol unit, 1,3-propanediol unit, 1,3-butanediol unit, 1,4-butanediol unit, 1,6-hexanediol unit, neopentyl glycol unit, 1,2-ethylhexyl Diol units, 1,5-pentanediol units, 1,9-nonanediol units, 1,10-decanediol units, 1,3-cyclohexanedimethanol units, 1,4-cyclohexanedimethanol units, glycerin units and It may b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imethylolpropane units.

한편,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임의의 수이며, 그 범위는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물인 수지층이 목적하는 물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n은 약 2 내지 10 또는 2 내지 5일 수 있다.Meanwhile, n in Formula 1 may be any number, and the range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desired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in composition or the cured resin layer thereof. For example, n may be about 2-10 or 2-5.

또한, 상기 화학식 2에서 m은 임의의 수이며, 그 범위는 수지 조성물 또는 그 경화물인 수지층이 목적하는 물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m은 약 1 내지 10 또는 1 내지 5일 수 있다.In addition, m in the formula (2) is an arbitrary number, the range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desired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in composition or the cured resin layer thereof, m is about 1 to 10 or 1 to 5 days Can be.

화학식 1 및 2에서 n과 m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폴리올의 결정성 발현이 강해지면서 조성물의 주입 공정성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When n and m in the formulas (1) and (2) are out of the above ranges, the crystalline expression of the polyol may become stronger and may adversely affect the injection processability of the composition.

상기 폴리올의 분자량은 하기 설명되는 저점도 특성이나, 내구성 또는 접착성 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약 300 내지 2,000의 범위 내일 수 있다.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를 사용하여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화 후 수지층의 신뢰성이 좋지 못하거나 휘발 성분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ol may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low viscosity characteristics, durability, or adhesiveness described below, for example, may be in the range of about 300 to 2,000.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olecular weight" may b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measured using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 If it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resin layer may not be reliable after curing, or problems related to volatile components may occur.

본 출원에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2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olyisocyanate may mean a compound including two or more isocyanate groups.

본 출원에서, 경화제부에 포함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목적하는 물성의 확보를 위해 방향족기를 포함하지 않는 비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지방족 또는 지환족 계열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할 경우, 반응속도가 지나치게 빠르고, 경화물의 유리전이온도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본 출원 조성물의 사용 용도에 적합한 공정성과 물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kind of polyisocyanate included in the curing agent por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 non-aromatic isocyanate compound containing no aromatic group may be used to secure desired physical properties. That is, it may be advantageous to use aliphatic or cycloaliphatic series. When using an aromatic polyisocyanate, since the reaction rate is too fast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ured product may be high, it may be difficult to secure processability and physical properties suitable for u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composition.

예를 들어, 지방족 또는 지방족 고리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나 그 변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 디이소시아네이트, 노르보르난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 에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프로필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트랜스사이클로헥산-1,4-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네이트메틸)사이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디사이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고리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상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카르보디이미드 변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나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열된 화합물 중 2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aliphatic or alicyclic cyclic polyisocyanates or modified substances thereof can be used. Specifically, aliphatic polyisocyanate, such as hexamethylene diisocyanate, trimethylhexamethylene diisocyanate, lysine diisocyanate, norbornane diisocyanate methyl, ethylene diisocyanate, propylene diisocyanate or tetramethylene diisocyanate; Aliphatic cyclic polyisocyanates such as transcyclohexane-1,4-d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bis (isocyanatemethyl) cyclohexane diisocyanate or 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Or at least one of the above carbodiimide-modified polyisocyanates and isocyanurate-modified polyisocyanates; And the like can be used. In addition, mixtures of two or more of the compounds listed above may be used.

수지 조성물 내에서 상기 폴리올 (유래) 성분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유래) 성분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들 간 우레탄 반응이 가능하도록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The ratio of the polyol (derived) component and the polyisocyanate (derived) component in the resin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to enable urethane reaction therebetween.

상기 우레탄계 조성물에 포함되는 폴리올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은, 경화 후 0℃ 미만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에서 「경화 후 유리전이온도」란, 상온 및 30 내지 70% 상대습도 조건에서 24시간 경화 상태를 기준으로, FT-IR 분석에 의해 확인되는 2250 cm-1 부근에서의 NCO 피크 기준 전환율(conversion)이 80% 이상인 경화물에 대하여 측정된 유리전이온도일 수 있다.The polyol resin and the isocyanate component included in the urethane composition may have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less than 0 ° C. after curing.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fter hardening" refers to the NCO peak reference conversion rate near 2250 cm -1 as confirmed by FT-IR analysis, based on a 24-hour curing state at room temperature and 30 to 70% relative humidity conditions.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measured for a cured product having a conversion of 80% or more.

상기 유리전이온도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배터리 모듈이나 배터리 팩이 사용될 수 있는 낮은 온도에서도 브리틀(brittle)한 특성을 비교적 단 시간내에 확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내충격성이나 내진동 특성이 보장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범위를 만족하지 못할 경우에는, 경화물의 점착 특성(tacky)이 지나치게 높거나 열안정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경화 후 우레탄계 조성물이 갖는 유리전이온도의 하한은 - 70℃ 이상, - 60℃ 이상, - 50℃ 이상, - 40℃ 이상 또는 - 30℃ 이상일 수 있고, 그 상한은 - 5℃ 이하, - 10℃ 이하, - 15℃ 이하, 또는 - 20℃ 이하일 수 있다.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range is satisfied, the brittle characteristic can be secured within a relatively short time even at a low temperature at which the battery module or the battery pack can be used, and thus shock resistance and vibration resistance can be ensured. Can be. On the other hand, when the said range is not satisfie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the adhesiveness (tacky) of hardened | cured material may be too high or thermal stability may fall. In one example, the lower limit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urethane-based composition after curing may be-70 ℃ or more,-60 ℃ or more,-50 ℃ or more,-40 ℃ or more or-30 ℃ or more, the upper limit is-5 C or less, -10 degrees C or less, -15 degrees C or less, or -20 degrees C or less.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조성물에는 열전도성(방열성) 필러가 첨가제로서 배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열전도성 필러는, 열전도도가 약 1 W/mK 이상, 약 5 W/mK 이상, 약 10 W/mK 이상 또는 약 15 W/mK 이상인 재료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전도성 필러의 열전도도는 약 400 W/mK 이하, 약 350 W/mK 이하 또는 약 300 W/mK 이하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열전도성 필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절연성 등을 함께 고려할 때 세라믹 필러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루미나, AlN(aluminum nitride), BN(boron nitride), 질화 규소(silicon nitride), SiC 또는 BeO 등과 같은 세라믹 입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필러의 형태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우레탄계 조성물의 점도, 조성물이 경화된 수지층 내에서의 침강 가능성, 목적하는 열저항 내지는 열전도도, 절연성, 충진 효과 또는 분산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필러의 사이즈가 커질수록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지고, 수지층 내에서 필러가 침강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사이즈가 작아질수록 열저항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적정 종류 및 크기의 필러가 선택될 수 있고, 필요하다면 2종 이상의 필러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충진되는 양을 고려하면 구형의 필러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네트워크의 형성이나 전도성 등을 고려하여 침상이나 판상 등과 같은 형태의 필러도 사용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with a thermally conductive (heat resistant) filler as an additive. As used herein, the term thermally conductive filler may refer to a material having a thermal conductivity of about 1 W / mK or more, about 5 W / mK or more, about 10 W / mK or more, or about 15 W / mK or more. Specifically,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thermally conductive filler may be about 400 W / mK or less, about 350 W / mK or less or about 300 W / mK or less. The type of thermally conductive filler that can be u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 ceramic filler in consideration of insulation and the like. For example, ceramic particles such as alumina, aluminum nitride (AlN), boron nitride (BN), silicon nitride, SiC, or BeO may be used. The form or ratio of the fill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s appropriate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viscosity of the urethane-based composition, the possibility of sedimentation in the cured resin layer, the desired thermal resistance or thermal conductivity, insulation, filling effect or dispersibility, and the like. Can be. In general, the larger the size of the filler, the higher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and the higher the possibility that the filler precipitates in the resin layer. In addition, the smaller the size, the higher the heat resistance tends to be.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 a filler of an appropriate type and size may be selected, and two or more fillers may be used together if necessary. In addition, it is advantageous to use a spherical filler in consideration of the filling amount, but fillers in the form of a needle or plate may be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formation of a network or conductivity.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조성물은, 평균 입경이 0.001 ㎛ 내지 80 ㎛의 범위 내에 있는 열전도성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러의 평균 입경은 다른 예시에서 0.01 ㎛ 이상, 0.1 ㎛ 이상, 0.5 ㎛ 이상, 1 ㎛ 이상, 2 ㎛ 이상, 3 ㎛ 이상, 4 ㎛ 이상, 5 ㎛ 이상 또는 약 6 ㎛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필러의 평균 입경은 다른 예시에서 약 75 ㎛ 이하, 약 70 ㎛ 이하, 약 65 ㎛ 이하, 약 60 ㎛ 이하, 약 55 ㎛ 이하, 약 50 ㎛ 이하, 약 45 ㎛ 이하, 약 40 ㎛ 이하, 약 35 ㎛ 이하, 약 30 ㎛ 이하, 약 25 ㎛ 이하, 약 20 ㎛ 이하, 약 15 ㎛ 이하, 약 10 ㎛ 이하 또는 약 5 ㎛ 이하일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composition may include a thermally conductive filler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e range of 0.001 μm to 80 μm. In another example,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ller may be at least 0.01 μm, at least 0.1 μm, at least 0.5 μm, at least 1 μm, at least 2 μm, at least 3 μm, at least 4 μm, at least 5 μm, or at least about 6 μm.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filler is, in another example, about 75 μm or less, about 70 μm or less, about 65 μm or less, about 60 μm or less, about 55 μm or less, about 50 μm or less, about 45 μm or less, about 40 μm or less, about 35 μm or less, about 30 μm or less, about 25 μm or less, about 20 μm or less, about 15 μm or less, about 10 μm or less, or about 5 μm or less.

우수한 방열 성능을 얻기 위하여, 열전도성 필러가 고함량 배합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러는, 전체 수지 성분, 즉 상기 에스테르계 폴리올 수지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을 합한 100 중량부 대비, 약 50 내지 2,00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필러의 함량은 전체 수지 성분 보다 과량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스테르계 폴리올 수지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을 합한 100 중량부 대비, 약 100 중량부 이상, 약 150 중량부 이상, 약 200 중량부 이상, 약 250 중량부 이상, 약 300 중량부 이상, 약 350 중량부 이상, 약 400 중량부 이상, 약 500 중량부 이상, 약 550 중량부 이상, 약 600 중량부 이상 또는 약 650 중량부 이상의 필러가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필러가 상기 범위만큼 사용되는 경우, 주제부와 경화제부에 동일한 양으로 분배될 수 있다.In order to obtain excellent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it may be considered that a high content of thermally conductive filler is blended. For example, the filler may be used in the range of about 50 to 2,0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resin component, that is, the total content of the ester-based polyol resin and the polyisocyanate. In another example, the filler content may be used in excess of the total resin component. Specifically,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content of the ester-based polyol resin and polyisocyanate, about 100 parts by weight or more, about 150 parts by weight or more, about 200 parts by weight or more, about 250 parts by weight or more, about 300 parts by weight, At least about 350 parts by weight, at least about 400 parts by weight, at least about 500 parts by weight, at least about 550 parts by weight, at least about 600 parts by weight or at least about 650 parts by weight of fillers may be used. In one example, when the filler is used in the above range, it may be dispensed in the same amount in the main portion and the hardener portion.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방열성(열전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또는 공정상 필요에 따른 요변성 확보를 위해서, 과량의 필러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데, 과량의 필러가 사용될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지면서 배터리 모듈의 케이스 내로 상기 조성물을 주입할 때의 공정성이 나빠질 수 있다. 따라서, 과량의 필러를 포함하면서도, 공정성에 방해가 되지 않을 만큼의 충분한 저점도 특성이 필요하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ecure heat dissipation (thermal conductivity) or in order to obtain thixotropy according to a process necessity, an excess filler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The processability when injecting the composition into the case may be wors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low viscosity characteristic sufficient to include an excess of filler but not to interfere with fairness.

하나의 예시에서, 에스테르계 폴리올 수지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성분 각각은 10,000 cP 이하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지 성분은 8,000 cP 이하, 6,000 cP 이하, 4,000 cP 이하, 2,000 cP 또는 1,000 CP 이하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도의 상한이 900 cP 이하, 800 cP 이하, 700 cP 이하, 600 cP 이하, 500 cP 이하, 또는 400 cP 이하일 수 있다.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각 수지 성분의 점도 하한은 50 cP 이상 또는 100 cP 이상일 수 있다. 점도가 너무 낮을 경우 공정성은 좋을지 모르나, 원재료의 분자량이 낮아지면서 휘발 가능성이 높아지고, 내열성/내한성, 난연성, 및 접착력이 열화될 수 있는데, 상기 하한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점도는, 예를 들어, Brookfield LV type 점도계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측정될 수 있다.In one example, each of the ester-based polyol resin and the polyisocyanate compound component may have a viscosity of 10,000 cP or less. Specifically, the resin component may have a viscosity of 8,000 cP or less, 6,000 cP or less, 4,000 cP or less, 2,000 cP or 1,000 CP or less. Preferably, the upper limit of the viscosity may be 900 cP or less, 800 cP or less, 700 cP or less, 600 cP or less, 500 cP or less, or 400 cP or less. Although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lower limit of the viscosity of each resin component may be 50 cP or more or 100 cP or more. If the viscosity is too low, the fairness may be good, but as the molecular weight of the raw material is lowered, the likelihood of volatilization may increase, and heat resistance / cold resistance, flame retardancy, and adhesive strength may deteriorate. Such disadvantages may be prevented by satisfying the lower limit. The viscosity can be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for example using a Brookfield LV type viscometer.

한편, 에스테르계 폴리올은 경화 후 접착성 확보에는 유리하지만, 결정성이 강한 편이기 때문에 상온에서 왁스(wax) 상태가 될 가능성이 높고, 점도 상승으로 인해 적절한 주입 공정성을 확보하기 불리한 측면이 있다. 설령 멜팅(melting)을 통해 점도를 낮추어 사용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저장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결정성으로 인해, 필러와 혼합한 이후에 이어질 수 있는 조성물의 주입 또는 도포 공정에서 결정화에 의한 점도 상승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공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에스테르계 폴리올은 하기 특성을 만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ster-based polyols are advantageous for securing adhesiveness after curing, but because of their strong crystallinity, they are likely to be in a wax state at room temperature, and have disadvantages in securing proper injection processability due to an increase in viscosity. Even if the viscosity is lowered through melting, the crystallinity naturally occurring during the storage process causes a viscosity increase due to crystallization in the injection or application process of the composition which may follow after mixing with the filler. As a result, fairness may be reduced.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ester polyol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may satisfy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본 출원에서, 상기 에스테르계 폴리올은 비결정성이거나, 충분히 결정성이 낮은 폴리올일 수 있다. 상기에서 「비결정성」이란,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분석에서 결정화 온도(Tc)와 용융 온도(Tm)가 관찰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DSC 분석은 10℃/분의 속도로 - 80 내지 60℃의 범위 내에서 수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속도로 25℃에서 50℃로 승온 후 - 70℃로 감온하고, 다시 50℃로 승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충분히 결정성이 낮다」는 것은, DSC 분석에서 관찰되는 용융점 또는 용융온도(Tm)가 15℃ 미만으로서, 약 10℃ 이하, 5℃ 이하, 0℃ 이하, - 5℃ 이하, - 10℃ 이하, 또는 - 20℃ 이하 정도인 경우를 의미한다. 이때, 용융점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상기 용융점은 약 - 80℃ 이상, 약 - 75℃ 이상 또는 약 - 70℃ 이상일 수 있다. 폴리올이 결정성이거나 상기 용융점 범위를 만족하지 않는 것과 같이 (상온) 결정성이 강한 경우에는, 온도에 따른 점도 차이가 커지기 쉽기 때문에, 필러와 수지를 혼합하는 공정에서 필러의 분산도와 최종 혼합물의 점도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고, 공정성을 저하하며, 그 결과 배터리 모듈용 접착 조성물에서 요구되는 내한성, 내열성 및 내수성을 만족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ester-based polyol may be amorphous or polyol having a low enough crystallinity. "Amorphous" means the case where no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c) and melting temperature (Tm) are observed in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analysis. At this time, the DSC analysis can be carried out in the range of -80 to 60 ℃ at a rate of 10 ℃ / min, for example, after the temperature is raised from 25 ℃ to 50 ℃ at the rate-to 70 ℃, and again It may be made by heating up to 50 ℃.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low enough crystallinity" means that the melting point or melting temperature (Tm) observed in the DSC analysis is less than 15 ° C, about 10 ° C or less, 5 ° C or less, 0 ° C or less, -5 ° C or less, It means the case of -10 degrees C or less, or -20 degrees C or less. In this case, the lower limit of the melting poi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the melting point may be about −80 ° C. or more, about −75 ° C. or more, or about −70 ° C. or more. In the case where the polyol is crystalline or has a strong (at room temperature) crystallinity such as not satisfying the melting point range, the viscosity difference with temperature tends to be large, so that the filler dispersion and the viscosity of the final mixture in the process of mixing the filler and the resin It may adversely affect, lower the processability, and as a result it may be difficult to meet the cold resistance, heat resistance and water resistance requir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the battery module.

상기 언급된 열도전성 필러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 조성물이 경화된 수지층의 절연 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그래파이트(graphite) 등과 같은 탄소(계) 필러의 사용이 고려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퓸드 실리카, 클레이 또는 탄산칼슘 등과 같은 필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필러의 형태나 함량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수지 조성물의 점도, 수지층 내에서의 침강 가능성, 요변성, 절연성, 충진 효과 또는 분산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thermally conductive fillers, various kinds of additives may be used. For example, in order to secure the insulating properties of the resin layer on which the resin composition is cured, the use of a carbon (based) filler such as graphite may be considered. Alternatively, for example, fillers such as fumed silica, clay or calcium carbonate may be used. The form or content ratio of the fill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viscosity of the resin composition, the possibility of sedimentation in the resin layer, thixotropy, insulation, filling effect or dispersibility.

그 밖에도 상기 조성물은 필요한 점도의 조절, 예를 들면 점도를 높이거나 혹은 낮추기 위해 또는 전단력에 따른 점도의 조절을 위하여 점도 조절제, 예를 들면, 요변성 부여제, 표면 처리제, 커플링제, 희석제, 분산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osition may be a viscosity modifier such as a thixotropy agent, a surface treatment agent, a coupling agent, a diluent, a dispersant to adjust the required viscosity, for exampl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viscosity or to adjust the viscosity according to shear force. And additives such as the like.

요변성 부여제는 수지 조성물의 전단력에 따른 점도를 조절하여 배터리 모듈의 제조 공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요변성 부여제로는, 퓸드 실리카 등이 예시될 수 있다.The thixotropic agent may adjust the viscosity according to the shear force of the resin composition so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attery module is effectively performed. Examples of the thixotropic agent that can be used include fumed silica and the like.

표면 처리제는 수지층에 도입되어 있는 필러의 표면 처리를 위한 것이고, 상기와 같은 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라면 업계에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The surface treating agent is for surface treatment of the filler introduced into the resin layer, and various kinds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can exhibit the above-described action.

커플링제의 경우는, 예를 들면, 알루미나와 같은 열전도성 필러의 분산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라면 업계에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oupling agent, for example, it can be used to improve the dispersibility of a thermally conductive filler such as alumina, and various kinds known in the ar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can exhibit the above action.

희석제 또는 분산제는 통상 수지 조성물의 점도를 낮추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라면 업계에서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Diluents or dispersants are usually used to lower the viscosity of the resin composition, so long as they can exhibit the same action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various kinds known in the art.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분산제로는 음이온성 인산 에스테르계 분산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인산 에스테르계 분산제는 하기 화학식 1의 단위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In one example, an anionic phosphate ester-based dispersant may be used as the dispersant. Phosphoric acid ester-based dispersa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ncludes a unit of the formula (1).

[화학식 3][Formula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R1은 및 R2 각각은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20 사이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 옥사이드 반복 단위를 n개 갖는 폴리알킬렌 옥사이드일 수 있다. 상기 반복 단위 n은 1 내지 5일 수 있다.  In Formula 3, R1 and R2 may each independently be hydrogen,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or a polyalkylene oxide having n alkylene oxide repeat units having 1 to 4 carbon atoms. The repeating unit n may be 1 to 5.

상기 화학식 3의 일 말단과 결합되는 다른 관능기 또는 화학 구조의 종류나 극성 여부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분산제는 화학식 3의 관능기를 통해 필러 표면에 흡착될 수 있고, 화학식 3 관능기의 일 말단과 결합하는 다른 관능기 또는 화학 구조에 의해서는 분산에 필요한 입체 장애(steric hindrance), 입체 반발(steric repulsion) 또는 이온 반발(ionic repulsion)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 충분하다.The type or polarity of other functional groups or chemical structures bonded to one terminal of Chemical Formula 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dispersant may be adsorbed onto the filler surface through the functional group of Formula 3, and steric hindrance, steric repulsion required for dispersion by another functional group or chemical structure that binds to one end of the Formula 3 functional group. It is sufficient to be able to obtain a steric repulsion or ionic repulsion effect.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난연제 또는 난연 보조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특별한 제한 없이 공지의 난연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상의 필러 형태의 난연제나 액상 난연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난연제로는, 예를 들면, 멜라민 시아누레이트(melamine cyanurate) 등과 같은 유기계 난연제나 수산화 마그네슘 등과 같은 무기계 난연제 등이 있다. 수지층에 충전되는 필러의 양이 많은 경우 액상 타입의 난연 재료(TEP, Triethyl phosphate 또는 TCPP, tris(1,3-chloro-2-propyl)phosphate 등)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난연상승제의 작용을 할 수 있는 실란 커플링제가 추가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esin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flame retardant or a flame retardant aid. In this case, a known flame retardant may be us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and for example, a solid filler-type flame retardant or a liquid flame retardant may be applied. Flame retardants include, for example, organic flame retardants such as melamine cyanurate and inorganic flame retardants such as magnesium hydroxide. When the amount of filler filled in the resin layer is large, a liquid type flame retardant material (TEP, Triethyl phosphate or TCPP, tris (1,3-chloro-2-propyl) phosphate, etc.) may be used. In addition, a silane coupling agent may be added that can act as a flame retardant synergist.

상기 조성물이 포함하는 촉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계 (중심) 촉매 또는 주석 (중심) 촉매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kind of catalyst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known catalyst may be used. For example, an iron-based (center) catalyst or a tin (center) catalyst and the like can be used.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촉매는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catalyst may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2).

[수학식 2][Equation 2]

δ (배합에너지) = (용매의 혼합 에너지) - (용질의 자가 혼합 에너지) < 2.5δ (mixed energy) = (mixed energy of solvent)-(self-mixed energy of solute) <2.5

상기 수학식 2에서 에너지의 단위는 Kcal/mol이고, 용매는 폴리올 수지이고, 용질은 촉매이다.In Equation 2, the unit of energy is Kcal / mol, the solvent is a polyol resin, and the solute is a catalyst.

본원 조성물에 사용되는 촉매의 경우, 앞서 설명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나 첨가제 보다는 배합에너지가 더 클 수 있다. 즉, 촉매와 폴리올의 배합성은 나머지 성분 보다 낮을 수 있다. 이론상으로는 수학식 1과 마찬가지로 촉매와 폴리올의 배합에너지 값이 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현실적으로 사용되는 촉매 성분을 고려하면 상기 수학시 2로 표시되는 배합에너지는 약 0 초과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하한은 약 2.0, 1.5, 1.0, 또는 0.5일 수 있다. 상기 수학식 2로 표시되는 배합에너지를 갖는 촉매 성분이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우, 하기 설명되는 바와 같이, 조성물 제조시에는 배합에너지가 보다 큰 촉매 성분이 다른 성분 보다 먼저 폴리올과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the catalyst used in the composition, the blending energy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isocyanate compound or additive described above. That is, the blendability of the catalyst with the polyol may be lower than the rest of the components. In theory, as in Equation 1, it is preferable that the blending energy value of the catalyst and the polyol is less than 0, but considering the catalyst component used in practice, the blending energy represented by the formula 2 may have a value greater than about 0. For example, the lower limit can be about 2.0, 1.5, 1.0, or 0.5. When the catalyst component having the blending energy represented by the above formula (2) is included in the composition, as described below, it is preferable that the catalyst component having the larger blending energy is blended with the polyol before the other components when preparing the composition. .

상기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용제형 조성물, 수계 조성물 또는 무용제형 조성물일 수 있으나, 후술하는 제조 공정의 편의 등을 고려할 때, 무용제형이 적절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may include a composition as described above, and may also be a solvent-type composition, an aqueous composition, or a solvent-free composition, but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described below, a solvent-free type may be appropriate.

본 출원에 관한 다른 일례에서, 본 출원은 상기 설명된 조성물의 배합 또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첨가제 및 촉매의 폴리올에 대한 배합에너지에 따라 폴리올과 개별 성분의 배합 순서를 조절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방법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첨가제, 및 촉매 각각의 배합에너지를 계산하고, 계산된 배합 에너지가 높은 성분을 폴리올 수지와 먼저 배합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relat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method of blending or preparing the compositions described above. The preparation method may be performed while adjusting the blending order of the polyol and the individual components according to the blending energy of the isocyanate compound, the additive, and the catalyst with respect to the polyol. Specifically, the preparation method may be performed while calculating the blending energy of each of the polyisocyanate compound, the additive, and the catalyst, and first blending the component having the high calculated blending energy with the polyol resin.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각 구성성분은 소정의 배합에너지를 만족하고, 동시에 경화후 배터리 모듈용 접착제에 필요한 물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As described above, each component used to prepare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selected so as to satisfy a predetermined compounding energy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the necessary properties for the adhesive for the battery module after curing.

상기 제조방법은 하기 수학식 1을 각각 만족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첨가제를 폴리올 수지와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may include a step of blending a polyisocyanate or an additive that satisfies the following Equation 1 with the polyol resin.

[수학식 1][Equation 1]

δ (배합에너지) = (용매의 혼합 에너지) - (용질의 자가 혼합 에너지) < 0δ (mixed energy) = (mixed energy of solvent)-(self-mixed energy of solute) <0

상기 수학식 1에서 에너지의 단위는 Kcal/mol이고, 용매는 폴리올 수지이고, 용질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 또는 첨가제이다.In Equation 1, the unit of energy is Kcal / mol, the solvent is a polyol resin, and the solute is a polyisocyanate mixture or additive.

또한, 상기 제조방법은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상기 촉매를 폴리올 수지와 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combining the catalyst satisfying the following equation (2) with a polyol resin.

[수학식 2][Equation 2]

δ (배합에너지) = (용매의 혼합 에너지) - (용질의 자가 혼합 에너지) < 2.5δ (mixed energy) = (mixed energy of solvent)-(self-mixed energy of solute) <2.5

상기 수학식 2에서 에너지의 단위는 Kcal/mol이고, 용매는 폴리올 수지이고, 용질은 촉매이다.In Equation 2, the unit of energy is Kcal / mol, the solvent is a polyol resin, and the solute is a catalyst.

상기 수학식 1 및 2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앞서 조성물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Specific contents related to Equations 1 and 2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above composition.

본 출원에서 배합이란, 2 이상의 성분이 물리적으로 혼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올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폴리올과 폴리올 외의 성분 중 하나 이상이 물리적으로 혼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합은 폴리올과 촉매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제조된 경우뿐 아니라, 폴리올과 촉매의 혼합물에 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첨가제 성분이 추가로 투입된 경우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ormulation may mean that two or more components are physically mixed. For example, referring to a polyol, it may mean that one or more of the polyol and components other than the polyol are physically mixed. Therefore, the above formulation may be used to encompass not only the case where a mixture containing a polyol and a catalyst is prepared, but also a case where an isocyanate and / or additive component is additionally added to the mixture of the polyol and the catalyst.

계산된 배합에너지와 관련하여, 상기 제조방법은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Regarding the calculated compounding energy, the manufacturing method may be performed in the following manner.

예를 들어, 폴리올과 촉매의 배합에너지가 가장 크고, 그 다음으로 폴리올과 첨가제의 배합에너지가 크고, 그 다음으로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배합에너지가 큰 경우라면, 폴리올과 촉매를 먼저 배합할 수 있다. 촉매와 폴리올의 배합에너지가 가장 크다는 것은 촉매와 폴리올의 상용성이 좋지 못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폴리올과 촉매가 배합되기 이전에 다른 성분(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첨가제)이 촉매 보다 먼저 폴리올과 배합되는 경우나 이액형 우레탄계 조성물을 구성하는 모든 성분이 동시에 혼합되는 경우에는, 폴리올과 촉매의 반응이 다른 성분에 의해 방해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배합에너지가 높은, 즉 폴리올과의 상용성이 낮은 촉매를 폴리올과 먼저 충분히 배합한 이후에 다른 구성성분을 배합하여 우레탄 반응을 진행시키는 것이 일정한 경화 속도를 확보하는데 있어서 유리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방법은 폴리올 수지와 촉매를 먼저 배합하고, 첨가제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순차로 추가 배합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조방법은 폴리올 수지, 첨가제 및 촉매를 포함하도록 제조된 주제부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부와 혼합함으로써 형성되는 이액형 우레탄계 접착 조성물의 제조방법일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blending energy of the polyol and the catalyst is the largest, followed by the blending energy of the polyol and the additive, and the blending energy of the polyol and the polyisocyanate is large, then the polyol and the catalyst can be blended first. . The greatest mixing energy of the catalyst and polyol means that the compatibility between the catalyst and the polyol is poor. That is, when other components (eg, isocyanates and / or additives) are combined with the polyol before the catalyst or before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two-component urethane-based composition are mixed at the same time before the polyol and the catalyst are blended, This means that the reaction between and the catalyst can be interrupted by other components. Therefore, it is advantageous to ensure a constant curing rate by admixing a catalyst having a high blending energy, that is, a low compatibility with the polyol, with the polyol first and then mixing other components to proceed the urethane reaction. In one example, the method may be performed by first blending the polyol resin and the catalyst, followed by further compounding the additive and the polyisocyanate compound sequentially. That is, in one example, the manufacturing method may be a method for preparing a two-component urethane-based adhesive composition formed by mixing a main part prepared to include a polyol resin, an additive, and a catalyst with a curing agent part including a polyisocyanate compound.

우레탄 반응에 있어서 촉매와 폴리올의 결합(바인딩)이 속도 결정단계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상기와 같은 배합 순서를 가질 경우 촉매와 폴리올이 균일한 콤플렉스를 이루는 조건을 형성할 수 있고, 이는 추후 이소시아네이트가 배합되면서 폴리올과의 만날 때에 균일한 경화 속도를 가질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출원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은 개선된 공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It is known that the binding (binding) of the catalyst and the polyol in the urethane reaction is a rate determining step. When the compounding sequence is as described above, the catalyst and the polyol may form a condition in which a uniform complex is formed. It is thought to be able to have a uniform curing rate when meeting with the polyol. Thus, the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can provide improved processability.

배합은 상온 이상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30 이상 내지 70 ℃ 이하, 또는 40 이상 60 ℃ 이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온도를 만족하여 배합하는 경우, 상온 및 전단속도 2.5/s 지점에서 측정된 점도가 100,000 내지 400,000cP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배합이 이루어지는 경우, 첨가제, 예를 들어, 방열성 필러나 난연제 성분이 부서지면서 요변성이 발생하는데, 상기 온도 미만의 온도에서는 온도가 낮기 때문에, 첨가제 성분의 부서짐이 더 심하고 그에 따라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지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compounding is made at the temperature above normal temperature. For example, it may be made at 30 to 70 ℃ or less, or 40 to 60 ℃ or less. When the compound is satisfied to satisfy the above temperature, the viscosity measured at the normal temperature and the shear rate of 2.5 / s may satisfy the range of 100,000 to 400,000 cP. In the case of the compounding, thixotropy occurs as the additive, for example, the heat dissipating filler or the flame retardant component is broken, but because the temperature is low at the temperature below the temperature, the additive component is more broken and thus the viscosity becomes excessively high. .

배합 시간의 경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올과의 상용성이 가장 낮은 성분, 예를 들어, 촉매에 대해서는 적어도 20분 이상 또는 30분 이상 배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 비교적 상용성이 좋은 나머지 성분에 대해서는 1분 이상 또는 5분 이상의 시간 동안 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배합 시간의 상한은 경화 속도나 경화 정도를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고, 예를 들어 10 시간 이하 또는 5 시간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배합에는 예를 들어, Planatary mixer, trimixer, paste mixer, 반응기, 온도를 가할 수 있는 밀링기 등의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The blending tim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blended for at least 20 minutes or at least 30 minutes for components having the lowest compatibility with polyols, for example, catalysts, and for the remaining components having good compatibility. Formulation may take place for at least 1 minute or at least 5 minutes. The upper limit of the blending time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curing rate or degree of curing, and may be, for example, 10 hours or less or 5 hours or less. For this formulation, for example, equipment such as a planatary mixer, a trimixer, a paste mixer, a reactor, and a milling mill can be used.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배합은, 배합에너지가 측정된 온도와 거의 유사한 또는 동일한 온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배합에너지가 측정된 온도와 실제 배합이 이루어지는 온도의 차이는 약 ± 10 ℃ 또는 ± 5 ℃ 정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합에너지가 40 ℃ 에서 계산된 경우라면, 상기 배합 역시 40 ℃에서 또는 30 내지 50 ℃ 부근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배합은 배합에너지가 측정된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blending may be at a temperature that is approximately equal to or the same as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blending energy is measur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blending energy is measured and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actual blending is made may be about ± 10 ° C or ± 5 ° C. For example, if the blending energy is calculated at 40 ° C, the blending may also be done at 40 ° C or near 30 to 50 ° C. Alternatively, the blending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above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blending energy is measured.

본 출원의 일례에 따르면, 일정한 경화속도를 갖는 우레탄계 접착제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배터리 모듈 제조와 관련된 공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urethane-based adhesive composition having a constant curing rate may be provided. Accordingly, the fairness associated with battery module manufacturing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출원에서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모듈 케이스를 도시한다.
도 2는 모듈 케이스 내에 배터리 셀이 수납되어 있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주입홀과 관찰홀이 형성된 예시적인 하부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수지 조성물의 제거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적인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서 준비된 성분들의 폴리올에 대한 배합에너지 측정 결과를 도시한다.
1 illustrates an example module case that may be appli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2 schematically illustrates a form in which a battery cell is accommodated in a module case.
3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xample bottom plate in which injection and observation holes are formed.
4 is an exemplary photograph showing a removal state of the resin composition.
Figure 5 shows the results of the blending energy measurement of the polyol of the components prepared in Example 1.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출원의 배터리 모듈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범위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scope given below.

관련 평가 방법Related evaluation method

* 각 성분의 배합에너지(mixing energy): 배합에너지 계산에는 COSMOlogic 社의 COSMO-RS 이론 계산 패키지인 COSMOtherm (version C30_1301)과 DFT 계산 패키지인 Turbomole(version 6.5)를 이용하였다. COSMOtherm은 BP _TZVP_C30_1301 파라미터 셋을 이용했으며, Turbomole의 경우 BP functional/def-TZVP basis를 사용하였다. 배합에너지는 - 40 에서 120 범위에서 계산되었고, 그 결과는 도 5와 같다. 표 1에는 일부 온도 구간에 대한 결과만을 기록하였다. * Mixing energy of each component : COSMOlogic's COSMO-RS theoretical calculation package COSMOtherm (version C30_1301) and DFT calculation package Turbomole (version 6.5) were used to calculate the blended energy. COSMOtherm used the BP _TZVP_C30_1301 parameter set and Turbomole used the BP functional / def-TZVP basis. The compounding energy was calculated in the range of -40 to 120, and the result is shown in FIG. Table 1 only records the results for some temperature intervals.

* 점도: 주제부의 점도는 유변물성측정기(ARES)를 사용하여 0.01 내지 10.0/s까지의 전단 속도(shear rate)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하기 표 2 및 3에 기록된 점도는 2.5/s 지점에서의 점도이다. * Viscosity: The viscosity of the main part was measured under shear rate conditions from 0.01 to 10.0 / s using a rheometer (ARES). The viscosity reported in Tables 2 and 3 below is at the 2.5 / s point.

* 테이프 제거: 배터리 모듈의 제작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배터리 모듈 케이스에 수지 조성물을 수용하는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는 테이프를 부착하고, 부착된 테이프의 개구부에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도포한 후부터 80분 경과 후에 테이프를 제거 하였을 때 경화된 수지 조성물이 잔여물 없이 배터리 모듈에서 제거가 가능한 시간을 측정하였다. * Remove tape: The tape having an opening for accommodating the resin composition was attached to the aluminum battery module case used for manufacturing the battery module, the resin composition was applied to the opening of the attached tape, and the tape was removed after 80 minutes. When the cured resin composition can be removed from the battery module without residue was measured.

* 열전도도: Hot disk 장비를 이용하여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접착제 샘플의 열전도 특성을 측정하였다. Hot disk 장비의 경우 ISO 22007-2 규격을 따르며, 니켈선이 이중 스파이럴 구조로 되어 있는 센서가 가열하면서 온도 변화(전기저항 변화)를 측정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주제부와 경화제 성분을 이액형 카트리지에 각각 넣고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5mm두께 이상의 몰드에 도포하고, 이를 경화시켜 샘플을 제조하였다. 경화가 완료된 샘플은 Hot disk 장비를 이용하여 Through plane 방향으로 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Thermal conductivity: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adhesive sample formed from the composition was measured using a hot disk device. In the case of hot disk equipment, it follows the ISO 22007-2 standard, and a nickel spiral double spiral sensor measures the temperature change (electric resistance change) while heating. Specifically, the main part and the hardener component were put in a two-component cartridge, respectively, mixed at a ratio of 1: 1, and applied to a mold having a thickness of 5 mm or more, and the samples were cured. The hardened sample was measured for thermal conductivity in the through plane direction using a hot disk device.

실시예Example  An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실시예Example 1 One

조성물의 구성 성분Components of the Composition

하기와 같이 이액형 우레탄계 조성물 제조를 위한 구성 성분을 준비하였다.A component for preparing a two-component urethane composition was prepared as follows.

폴리올: 부탄디올과 카프로락톤이 약 1.2:7.8 수준으로 에스테르 반응하여 형성된 양말단 폴리올(상온 점도 260 cps)을 사용하였다.Polyol: A sock end polyol (normal temperature viscosity of 260 cps) formed by esterifying butanediol and caprolactone at a level of about 1.2: 7.8 was used.

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에 연결된 아민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와 우레아 결합하여 형성된 이소시아네이트(상온 점도 170 cps)를 사용하였다Isocyanate: An isocyanate (normal temperature viscosity of 170 cps) formed by urea-linked amine linked to isocyanurate with hexamethylene diisocyanate (HDI) was used.

첨가제: 액상 난연제(인(P)성분 함량 10~12%)를 주제 100 중량부 대비 15 중량부 사용하였다. 그리고, 인산계 분산제(BYK 111)를 주제 100 중량부 대비 0.27 중량부 사용하였다. Additives: A liquid flame retardant (phosphorus (P) component content of 10-12%) was used 1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ain body. In addition, 0.27 parts by weight of the phosphoric acid dispersant (BYK 111) was us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ain ingredient.

촉매 성분: 소정 함량의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DBTDL: dibutyltin dilaurate)Catalyst Ingredient: Dibutyltin Dilaurate (DBTDL)

조성물의 제조Preparation of the composition

상기 폴리올을 촉매와 40 ℃에서 50분 동안 배합하였다. 이후, 난연제 및 분산제를 상기 폴리올과 촉매의 배합물에 투입하고, 40 ℃에서 10분간 배합하였다. 이후, 열전도성 필러(알루미나)를 크기별(2, 20, 40 ㎛)로 나누어 3차례에 걸쳐 분할 투입하고, 주제부를 제조하였다. 투입된 열전도성 필러의 비율은 전체 폴리올 100 중량부 대비 1,000 중량부이다. 제조된 주제부의 점도는 표 2와 같다.The polyol was combined with the catalyst at 40 ° C. for 50 minutes. Thereafter, a flame retardant and a dispersant were added to the blend of the polyol and the catalyst and blended at 40 ° C. for 10 minutes. Thereafter, the thermally conductive filler (alumina) was divided into three sizes (2, 20, and 40 µm), divided into three portions, and a main portion was prepared. The ratio of the injected thermally conductive filler is 1,000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polyol. The viscosity of the prepared main parts is shown in Table 2.

이후, 폴리이소시아네이트(경화제부)와 상기 주제부를 배합하고, 우레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테이프 공정성과 열전도도를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Thereafter, a polyisocyanate (curing agent part) and the main part were combined to prepare a urethane composition. The results of measuring tape fairness and thermal conductivity are shown in Table 2.

실시예Example 2 2

하기 표 2에 기재된 것과 같이 배합 조건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로 배합하였다. 점도, 공정성, 및 열전도도에 관한 측정 결과는 표 2와 같다.It mix | blended in the same procedure as Example 1 except having changed mix | blending conditions as shown in following Table 2. The measurement results regarding the viscosity, processability, and thermal conductivity are shown in Table 2.

실시예Example 3 3

하기 표 2에 기재된 것과 같이 배합 조건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순서로 배합하였다. 점도, 공정성, 및 열전도도에 관한 측정 결과는 표 3과 같다.It mix | blended in the same procedure as Example 1 except having changed mix | blending conditions as shown in following Table 2. The measurement results regarding the viscosity, processability, and thermal conductivity are shown in Table 3.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실시예 1과 다르게, 모든 구성 성분을 동시에 혼합하고, 40 ℃ 조건에서 10분간 배합하여 우레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점도, 공정성, 및 열전도도에 관한 측정 결과는 표 3과 같다.Unlike Example 1, all the components were mixed at the same time, and blended for 10 minutes at 40 ℃ condition to prepare a urethane composition. The measurement results regarding the viscosity, processability, and thermal conductivity are shown in Table 3.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 2

배합 온도 조건을 20 ℃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우레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점도, 공정성, 및 열전도도에 관한 측정 결과는 표 3과 같다.A urethane composit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except that the mixing temperature conditions were changed to 20 ° C. The measurement results regarding the viscosity, processability, and thermal conductivity are shown in Table 3.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3 3

주제부 제조시의 배합 온도를 20 ℃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우레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점도, 공정성, 및 열전도도에 관한 측정 결과는 표 2와 같다.The urethane composition was manufactured like Example 1 except having changed the compounding temperature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a main part to 20 degreeC. The measurement results regarding the viscosity, processability, and thermal conductivity are shown in Table 2.

[표 1]TABLE 1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표 2]TABLE 2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표 3]TABLE 3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10: 모듈 케이스
10a: 하부판
10b: 측벽
10c: 상부판
20: 배터리 셀
50a: 주입홀
50b: 관찰홀
10: module case
10a: bottom plate
10b: sidewall
10c: top plate
20: battery cell
50a: injection hole
50b: observation hall

Claims (18)

폴리올 수지, 첨가제, 및 촉매를 포함하고, 상온 및 전단속도 2.5/s 지점에서 측정된 점도가 100,000 내지 400,000cP를 만족하는 주제부;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부를 포함하는 이액형 우레탄계 접착 조성물이고,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첨가제는 하기 수학식 1을 각각 만족하는 접착 조성물:
[수학식 1]
δ (배합에너지) = (용매의 혼합 에너지) - (용질의 자가 혼합 에너지) < 0
상기 수학식 1에서 에너지의 단위는 Kcal/mol이고, 용매는 폴리올 수지이고, 용질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첨가제이고, 용매의 혼합에너지와 용질의 자가 혼합 에너지는 - 40 내지 120 ℃ 범위 내 어느 특정 온도에서 계산된 값이다.
A main part comprising a polyol resin, an additive, and a catalyst, and having a viscosity measured at a point of normal temperature and shear rate of 2.5 / s satisfying 100,000 to 400,000 cP; And
It is a two-component urethane typ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the hardening | curing agent part containing a polyisocyanate compound,
The polyisocyanate compound and the additives each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1:
[Equation 1]
δ (mixed energy) = (mixed energy of solvent)-(self-mixed energy of solute) <0
In Equation 1, the unit of energy is Kcal / mol, the solvent is a polyol resin, the solute is a polyisocyanate compound or an additive, and the mixed energy of the solvent and the self-mixing energy of the solute are any specific temperature within a range of -40 to 120 ° C. Calculated fro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이액형 우레탄계 접착 조성물.
[수학식 2]
δ (배합에너지) = (용매의 혼합 에너지) - (용질의 자가 혼합 에너지) < 2.5
상기 수학식 2에서 에너지의 단위는 Kcal/mol이고, 용매는 폴리올 수지이고, 용질은 촉매이다.
The two-component urethane-based adhesive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the catalyst satisfies Equation 2.
[Equation 2]
δ (mixed energy) = (mixed energy of solvent)-(self-mixed energy of solute) <2.5
In Equation 2, the unit of energy is Kcal / mol, the solvent is a polyol resin, and the solute is a catalyst.
제2항에 있어서, 폴리올 수지, 첨가제 및 촉매를 포함하도록 제조된 주제부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부와 혼합함으로써 형성되는 이액형 우레탄계 접착 조성물.The two-component urethane-based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2, which is formed by mixing a main portion prepared to include a polyol resin, an additive, and a catalyst with a curing agent portion containing a polyisocyanate compoun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부는 폴리올 수지를 촉매 및 첨가제와 순차로 배합하여 제조되는 이액형 우레탄계 접착 조성물.The two-component urethane-based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main part is prepared by sequentially mixing a polyol resin with a catalyst and an additi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수지는 에스테르계 폴리올이고, 비결정성 폴리올이거나 그 용융점(Tm)이 15℃ 미만인 폴리올인 접착 조성물.Th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ol resin is an ester polyol and is an amorphous polyol or a polyol having a melting point (Tm) of less than 15 ° 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계 폴리올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이액형 우레탄계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7

[화학식 2]
Figure pat00008

화학식 1 및 2에서 X는 카복실산 유래 단위이며, Y는 폴리올 유래 단위이고, n은 2 내지 10 의 범위 내의 수이며, m은 1 내지 10의 범위 내의 수이다.
The two-component urethane-based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the ester polyol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or 2:
[Formula 1]
Figure pat00007

[Formula 2]
Figure pat00008

In formulas (1) and (2), X is a carboxylic acid derived unit, Y is a polyol derived unit, n is a number in the range of 2 to 10, and m is a number in the range of 1 to 10.
제6항에 있어서, 카르복실산 유래 단위 X는, 프탈산 단위, 이소프탈산 단위, 테레프탈산 단위, 트리멜리트산 단위,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단위, 헥사히드로프탈산 단위, 테트라클로로프탈산 단위, 옥살산 단위, 아디프산 단위, 아젤라산 단위, 세박산 단위, 숙신산 단위, 말산 단위, 글라타르산 단위, 말론산 단위, 피멜산 단위, 수베르산 단위, 2, 2-디메틸숙신산 단위, 3,3-디메틸글루타르산 단위, 2,2-디메틸글루타르산 단위, 말레산 단위, 푸마루산 단위, 이타콘산 단위 및 지방산 단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위인 이액형 우레탄계 조성물.The carboxylic acid-derived unit X is a phthalic acid unit, isophthalic acid unit, terephthalic acid unit, trimellitic acid unit, tetrahydrophthalic acid unit, hexahydrophthalic acid unit, tetrachlorophthalic acid unit, oxalic acid unit, adipic acid Unit, azelaic acid unit, sebacic acid unit, succinic acid unit, malic acid unit, glataric acid unit, malonic acid unit, pimelic acid unit, suberic acid unit, 2, 2-dimethylsuccinic acid unit, 3,3-dimethylglutaric acid A two-component urethane-based composition which is at least one uni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units, 2,2-dimethylglutaric acid units, maleic acid units, fumaric acid units, itaconic acid units, and fatty acid unit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유래 단위 Y는, 에틸렌글리콜 단위, 프로필렌글리콜 단위, 1,2-부틸렌글리콜 단위, 2,3-부틸렌글리콜 단위, 1,3-프로판디올 단위, 1,3-부탄디올 단위, 1,4-부탄디올 단위, 1,6-헥산디올 단위, 네오펜틸글리콜 단위, 1,2-에틸헥실디올 단위, 1,5-펜탄디올 단위, 1,9-노난디올 단위, 1,10-데칸디올 단위, 1,3-시클로헥산디메탄올 단위,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단위, 글리세린 단위 및 트리메틸롤프로판 단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단위인 이액형 우레탄계 조성물.The polyol-derived unit Y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olyol-derived unit Y is an ethylene glycol unit, a propylene glycol unit, a 1,2-butylene glycol unit, a 2,3-butylene glycol unit, a 1,3-propanediol unit, 1,3 -Butanediol unit, 1,4-butanediol unit, 1,6-hexanediol unit, neopentylglycol unit, 1,2-ethylhexyldiol unit, 1,5-pentanediol unit, 1,9-nonanediol unit, 1 Two-part form which is one or two or more uni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10-decanediol units, 1,3-cyclohexanedimethanol units, 1,4-cyclohexanedimethanol units, glycerin units and trimethylolpropane units Urethane-based com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비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인 이액형 우레탄계 조성물.The two-component urethan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isocyanate compound is a non-aromatic polyisocyanate compoun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디이미드 변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 변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인 이액형 우레탄계 조성물.The two-component urethan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polyisocyanate compound is an alicyclic polyisocyanate compound, a carbodiimide modified polyisocyanate compound of an alicyclic polyisocyanate, or an isocyanurate modified polyisocyanate compound of an alicyclic polyisocyan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열전도성 필러 또는 절연성 필러이고, 상기 필러는 퓸드 실리카, 클레이, 탄산 칼슘, 알루미나, AlN(aluminum nitride), BN(boron nitride), 질화 규소(silicon nitride), SiC, BeO 및 탄소 필러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이액형 우레탄계 조성물.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dditive is a thermally conductive filler or an insulating filler, and the filler is fumed silica, clay, calcium carbonate, alumina, aluminum nitride (AlN), boron nitride, silicon nitride, and SiC. At least one two-component urethane-based composi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eO and carbon fill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계 폴리올 수지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의 함량을 합한 100 중량부 대비 50 내지 2,000 중량부의 필러를 포함하는 이액형 우레탄계 조성물.12. The two-component urethane-based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1, comprising 50 to 2,000 parts by weight of a fill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um of the ester-based polyol resin and the polyisocyanate resin. 제11항에 있어서, 요변성 부여제, 표면 처리제, 커플링제, 희석제, 분산제 및 난연제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이액형 우레탄계 조성물.The two-component urethan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ixotropic agents, surface treatment agents, coupling agents, diluents, dispersants, and flame retardan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철계 촉매 또는 주석계 촉매인 이액형 우레탄계 조성물.The two-component urethane-based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catalyst is an iron catalyst or a tin catalyst.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첨가제, 및 촉매 각각의 폴리올 수지에 대한 배합에너지를 계산하고, 계산된 배합에너지가 높은 성분을 폴리올 수지와 먼저 배합하면서 수행되는 이액형 우레탄계 접착 조성물의 제조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 two-component urethane-based adhesive composition, which is performed by calculating a compounding energy for a polyol resin of each of a polyisocyanate compound, an additive, and a catalyst, and first blending a component having a high calculated compounding energy with a polyol resin. 제15항에 있어서, 폴리올 수지, 첨가제 및 촉매를 포함하도록 제조된 주제부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부와 혼합함으로써 형성되는 이액형 우레탄계 접착 조성물의 제조방법이고,
하기 수학식 1을 각각 만족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첨가제를 폴리올 수지와 30℃ 이상의 온도에서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액형 우레탄계 접착 조성물의 제조방법:
[수학식 1]
δ (배합에너지) = (용매의 혼합 에너지) - (용질의 자가 혼합 에너지) < 0
상기 수학식 1에서 에너지의 단위는 Kcal/mol이고, 용매는 폴리올 수지이고, 용질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 또는 첨가제이고, 용매의 혼합에너지와 용질의 자가 혼합 에너지는 - 40 내지 120 ℃ 범위 내 어느 특정 온도에서 계산된 값이다.
The method for producing a two-component urethane-based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5, which is formed by mixing a main part prepared to include a polyol resin, an additive, and a catalyst with a curing agent part containing a polyisocyanate compound,
Method for producing a two-component urethane-based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tep of blending a polyisocyanate compound or additive each satisfying the following formula 1 with a polyol resin at a temperature of 30 ℃ or more:
[Equation 1]
δ (mixed energy) = (mixed energy of solvent)-(self-mixed energy of solute) <0
In Equation 1, the unit of energy is Kcal / mol, the solvent is a polyol resin, the solute is a polyisocyanate mixture or additive, and the mixed energy of the solvent and the self mixing energy of the solute are any specific temperature in the range of -40 to 120 ° C. Calculated from
제16항에 있어서, 하기 수학식 2를 만족하는 상기 촉매를 폴리올 수지와 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액형 우레탄계 접착 조성물의 제조방법:
[수학식 2]
δ (배합에너지) = (용매의 혼합 에너지) - (용질의 자가 혼합 에너지) < 2.5
상기 수학식 2에서 에너지의 단위는 Kcal/mol이고, 용매는 폴리올 수지이고, 용질은 촉매이다.
The method of claim 16, further comprising combining the catalyst satisfying Equation 2 with a polyol resin:
[Equation 2]
δ (mixed energy) = (mixed energy of solvent)-(self-mixed energy of solute) <2.5
In Equation 2, the unit of energy is Kcal / mol, the solvent is a polyol resin, and the solute is a catalyst.
제15항에 있어서, 폴리올 수지와 촉매를 먼저 배합하고, 첨가제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순차로 추가 배합하는 이액형 우레탄계 접착 조성물의 제조방법.
The method for producing a two-component urethane-based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polyol resin and the catalyst are first blended, and the additive and the polyisocyanate compound are sequentially further blended.
KR1020180076219A 2018-07-02 2018-07-02 A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22489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219A KR102248921B1 (en) 2018-07-02 2018-07-02 A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219A KR102248921B1 (en) 2018-07-02 2018-07-02 A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442A true KR20200003442A (en) 2020-01-10
KR102248921B1 KR102248921B1 (en) 2021-05-06

Family

ID=69158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219A KR102248921B1 (en) 2018-07-02 2018-07-02 A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92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280A (en) * 2021-09-28 2023-04-04 이기영 Manufacturing method of heat-dissipating resin composite for secondary battery and c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089A (en) * 2001-12-05 2003-06-12 김경원 Adhesive composition based on polyes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089A (en) * 2001-12-05 2003-06-12 김경원 Adhesive composition based on polyes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280A (en) * 2021-09-28 2023-04-04 이기영 Manufacturing method of heat-dissipating resin composite for secondary battery and c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921B1 (en)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495B1 (en) Resin composition
KR102162494B1 (en) Resin composition
KR102267538B1 (en) Resin composition
KR102519128B1 (en) Curable Composition
KR102248922B1 (en) Resin Composition
KR102513841B1 (en) Resin Composition
KR102146541B1 (en) Resin Composition
KR20200118919A (en) Curable Resin Composition
KR102248921B1 (en) A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200012437A (en) Resin Composition
JP6999219B2 (en) Resin composition and battery module containing it
KR102162496B1 (en) Resin composition
JP2022544819A (en) resin composition
KR20210071563A (en) Two-Component Resin Composition
KR102268268B1 (en) Resin composition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102535889B1 (en) cureable composition
KR102378970B1 (en) Curable Composition
KR102458928B1 (en) Injection Device of Two-component Resin Composition
KR20210030236A (en) Curable Composition
KR20200050709A (en) Resin Composition
KR20210026417A (en) Method for evaluating flowability of resin composition i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