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3440A - 분전반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검정보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분전반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검정보 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3440A KR20200003440A KR1020180076215A KR20180076215A KR20200003440A KR 20200003440 A KR20200003440 A KR 20200003440A KR 1020180076215 A KR1020180076215 A KR 1020180076215A KR 20180076215 A KR20180076215 A KR 20180076215A KR 20200003440 A KR20200003440 A KR 202000034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unit
- distribution panel
- worker
- voi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092 self-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02 propa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0 visu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관제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태깅(Tagging) 방식으로 작업자 단말에 저장된 고유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태깅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분전반의 도어를 잠그거나,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부; 상기 분전반에 실장된 배전설비의 사양을 안내하는 제1 음성정보 및 점검방법을 안내하는 제2 음성정보를 포함한 음성정보가 저장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및 상기 통신부, 태깅부, 잠금부 및 음성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작업자 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자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분전반의 작동상태에 따른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중앙관제서버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분전반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검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전반의 개방 이전에 분전반 관리 인원에게 정보출력부로부터 제공된 질의정보에 대해 조작부의 조작을 통한 자가진단을 수행함으로써, 안전 장구류 착용의 중요성을 재차 확인시켜 안전사고 발생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줌으로써, 분전반 관리 인원의 작업 간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관리 인원의 자가진단을 통해 판단된 관리 인원의 관리 작업 숙련정도에 따라, 관리 작업의 전반에 대한 안내 또는 간소화된 안내를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미숙련 관리 인원에게는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숙련 인원에게는 불필요한 정보제공을 최소화함으로써 작업 집중력 향상을 도울 수 있으며, 작업 인원이 휴대하는 휴대전화 등의 작업자 단말별 전화번호의 정보가 저장되어, 태깅부를 통해 획득한 작업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통해 작업자를 개별적으로 식별하고, 식별된 작업자에 한한 분전반 개폐를 수행함에 따라 분전반의 개폐에 따른 보안을 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깅 동작을 통한 개폐이력을 생성 유지할 수 있어, 복수의 분전반에 대한 중앙관제서버의 일대다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전반의 개방 이전에 분전반 관리 인원에게 정보출력부로부터 제공된 질의정보에 대해 조작부의 조작을 통한 자가진단을 수행함으로써, 안전 장구류 착용의 중요성을 재차 확인시켜 안전사고 발생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줌으로써, 분전반 관리 인원의 작업 간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관리 인원의 자가진단을 통해 판단된 관리 인원의 관리 작업 숙련정도에 따라, 관리 작업의 전반에 대한 안내 또는 간소화된 안내를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미숙련 관리 인원에게는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숙련 인원에게는 불필요한 정보제공을 최소화함으로써 작업 집중력 향상을 도울 수 있으며, 작업 인원이 휴대하는 휴대전화 등의 작업자 단말별 전화번호의 정보가 저장되어, 태깅부를 통해 획득한 작업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통해 작업자를 개별적으로 식별하고, 식별된 작업자에 한한 분전반 개폐를 수행함에 따라 분전반의 개폐에 따른 보안을 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깅 동작을 통한 개폐이력을 생성 유지할 수 있어, 복수의 분전반에 대한 중앙관제서버의 일대다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전반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검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전반은 외부에서 유입된 전기를 각 회로의 용량에 따라 복수개로 나누어 전류 제한치를 주어 최종 전기 제품에 나눠주는 역할을 한다.
분전반은 전류 이상을 감지하여, 전류 이상으로 인해 최종 전기 제품의 고장 및 선로의 발열에 의한 화재 발생 등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전기가 유입되는 지점과 각 최종 전기 제품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지점에 각각의 차단기가 배치되고, 부스바(Bus bar), 케이블 등의 연결 구조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전기가 분기된 배전설비 및 배전설비가 실장되는 하우징을 통칭한다.
이러한 분전반은, 관리 인원이 차단기의 동작 이상여부 및 연결 구조의 수축, 팽창, 진동 등에 의한 풀림 등을 주기적으로 점검해야, 분전반의 이상발생에 의한 인명, 금전적 피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분전반은 설치목적에 따라 사양 및 분전반 내부의 연결 구조 및 차단기 배치 등이 상이하고, 점검 방식의 복잡도 또한 높아질 수 있어, 작업 숙련도가 낮은 인원의 경우, 해당 분전반에 대한 지식 없이는 점검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 수 밖에 없어, 전력 차단 시간의 증가에 따라 전력 사용처의 금전적 손실 및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분전반의 사양 및 점검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분전반 전면에 디스플레이를 추가하여 관리 인원의 점검 이전에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은 분전반의 개방하여 내부의 차단기 및 연결 구조를 점검하여야 하는 관리 인원에 있어서, 점검 중에 분전반의 도어 외측에 디스플레이 되는 내용을 수시로 확인해야하기 때문에, 작업 숙련 인원이 점검 이전에 간단한 사양을 숙지하는 데에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미숙련 관리 인원이 점검 중에 해당 내용을 수시로 확인하기에는 불편할 뿐만 아니라, 미숙련 관리 인원의 디스플레이 된 내용 확인 과정에서 불필요한 움직임을 발생시켜 설비가 훼손될 수도 있으며, 자칫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미숙련 관리 인원에 비해 점검에 능숙한 숙련 관리 인원의 경우, 필요 이상으로 정보를 제공할 경우, 제공된 정보에 의해 점검 작업의 집중도를 떨어뜨릴 수 있어, 관리 인원의 숙련 정도를 확인하여 필요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편, 관리 인원이 분전반의 점검 도중에 잠시 자리를 비우거나, 점검 이후에 실수로 분전반의 도어를 닫지 않을 경우, 분전반에 인접한 비 관리 인원이 분전반에 접근하여 분전반에 접촉한다거나 이물질이 분전반에 유입되어 배전설비의 작동이상을 유발시킬 수 있으나, 종래기술에서는 만에 하나 발생할 수 있는 이러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분전반의 개방에 의한 비 관리 인원의 안전사고 발생 및 배전설비의 작동이상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복수의 분전반 관리 시에, 각각의 분전반 개폐에 따른 보안유지 및 개폐이력 관리가 어려움에 따라 분전반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중앙관제서버를 통한 일대다 관리가 어려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전반의 점검에 요구되는 정보를 점검 작업의 효율성 저하 없이 제공하되, 분전반 관리 인원의 점검 숙련 정도에 따라 필요한 정보만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분전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전반의 잠금 해제되거나 개방된 채로 방치되어 발생되는 안전사고 및 배전설비의 훼손을 최소화하는 분전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전반의 점검 이전에 관리 인원에게 점검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관리 인원의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하는 분전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전반의 개폐이력 관리가 용이한 분전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 안전장치는, 상기 중앙관제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태깅(Tagging) 방식으로 작업자 단말에 저장된 고유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태깅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분전반의 도어를 잠그거나,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부; 상기 분전반에 실장된 배전설비의 사양을 안내하는 제1 음성정보 및 점검방법을 안내하는 제2 음성정보를 포함한 음성정보가 저장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및 상기 통신부, 태깅부, 잠금부 및 음성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작업자 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자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분전반의 작동상태에 따른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중앙관제서버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저장된 작업자정보 중, 상기 태깅부를 통해 획득한 고유 식별정보와 대응되는 작업자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잠금부를 제어하여 상기 분전반의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 이후에, 추출된 작업자정보에 따라 상기 음성출력부를 제어하여 제1 음성정보 또는 제1 및 제2 음성정보 모두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작업자정보는 상기 작업자 단말 고유의 식별정보 및 해당 작업 인원의 상기 분전반의 점검 작업숙련정도에 대해 적어도 둘 이상의 단계로 분류된 기준정보가 매칭된 형태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자 단말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정보단말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태깅부가 상기 작업자 단말로부터 획득하는 고유 식별정보는, 상기 작업자 단말의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 이동통신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깅부로부터 획득한 고유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작업자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작업자정보의 기준정보의 단계에 따라 상기 음성출력부에 저장된 제1 음성정보 또는 제1 및 제2 음성정보 모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부를 통한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 이후에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개폐감지부를 통한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 한하여, 상기 잠금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분전반의 외측방향으로 점멸광을 출력시키는 점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감지부를 통한 도어의 개방 감지 이후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개폐감지부로부터 상기 도어의 폐쇄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점멸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상태를 알리는 점멸광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 안전장치를 이용한 점검정보 제공방법은, 분전반의 도어에 배치된 태깅부가 작업자 단말의 태깅동작을 통해 상기 작업자 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단계; 작업자 정보가 저장된 제어부가 상기 정보획득단계에서 획득한 상기 작업자 단말의 고유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작업자 정보의 저장여부를 확인하는 정보확인단계; 상기 제어부가 정보확인단계에서 확인된 상기 작업자 단말의 고유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작업자 정보의 저장여부에 따라 잠금부를 제어하여 상기 분전반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해제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잠금부의 잠금 해제 이후에 점검 작업숙련정도에 따른 단계별 음성정보가 저장된 음성출력부로부터 상기 정보확인단계에서 확인된 작업자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정보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정보확인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작업자 단말 고유의 식별정보 및 해당 작업 인원의 상기 분전반의 점검 작업숙련정도에 대해 적어도 둘 이상의 단계로 분류된 기준정보가 매칭된 형태로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작업자 정보 중, 상기 태깅부로부터 획득한 상기 작업자 단말의 고유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작업자 정보의 저장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정보출력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정보획득단계에서 획득한 상기 작업자 단말 고유의 식별정보를 통해 상기 정보확인단계에서 확인한 해당 고유 식별정보와 대응되는 작업자 정보 내의 기준정보를 통해, 상기 분전반에 실장된 배전설비의 사양을 안내하는 제1 음성정보, 점검방법을 안내하는 제2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음성정보 중, 제1 음성정보 또는 제1 및 제2 음성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안전장치는, 분전반의 개방 이전에 분전반 관리 인원에게 자가진단부로부터 제공된 질의정보에 대해 조작을 통한 자가진단을 수행함으로써, 안전 장구류 착용의 중요성을 재차 확인시켜 안전사고 발생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줌으로써, 분전반 관리 및 점검을 수행하는 작업 인원의 작업 간 부주의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안전장치는, 관리 인원의 관리 점검 숙련정도에 따라, 관리 작업의 전반에 대한 안내 또는 간소화된 안내를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미숙련 관리 인원에게는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숙련 인원에게는 불필요한 정보제공을 최소화함으로써 작업 집중력 향상을 돕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안전장치는, 작업 인원이 휴대하는 휴대전화 등의 작업자 단말별 전화번호의 정보가 저장되어, 태깅부를 통해 획득한 작업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통해 작업자를 개별적으로 식별하고, 식별된 작업자에 한한 분전반 개폐를 수행함에 따라 분전반의 개폐에 따른 보안을 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깅 동작을 통한 개폐이력을 생성 유지할 수 있어, 복수의 분전반에 대한 중앙관제서버의 일대다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안전장치는, 잠금부를 통한 도어의 잠금 해제 이후에 개폐감지부 및 감지부를 통해 소정의 시간동안 작업이 수행되지 않거나 작업 인원의 부재가 확인되면 도어를 잠금상태로 전환하며,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소정의 시간동안 방치된 경우에는 주위 인원에게 시각적, 청각적으로 접근을 경고 또는 도어의 폐쇄를 요청함으로써, 작업 인원의 부주의에 의해 제 3자가 분전반을 임의로 개방하여 발생할 수 있는 배전설비의 이상발생 및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안전장치를 이용한 점검정보 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안전장치를 이용한 점검정보 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
<분전반 안전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안전장치(100)는 분전반(P)에 결합되는 모듈형태로 마련되어, 분전반(P) 내부의 작동상태를 중앙관제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통신부(110), 태깅부(120), 잠금부(130), 음성출력부(140), 개폐감지부(150), 점멸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안전장치(100)의 각 구성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안전장치(100)는 분전반(P)의 내부에 실장 가능한 단일의 모듈 또는 유닛의 형태로 마련되며, 여기서 분전반(P)의 내부에 실장 가능하다 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분전반(P)의 내부에 위치함은 물론이거니와, 일부는 분전반(P)의 외측에 결합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통신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에 연결되어 중앙관제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태깅부(120) 작업자 단말(300)과의 태깅(Tagging) 동작에 의해 작업자 단말(300)에 저장된 고유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 단말(300)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정보단말,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PDA 등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태깅 동작이라 함은,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led Communication) Bluetooth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방식으로 행해지는 데이터 통신을 의미한다.
여기서, 태깅부(120)가 작업자 단말(300)로부터 획득하는 고유 식별정보는, 작업자 단말(300)의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 이동통신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작업 인원과 실질적인 매칭이 가능한 이동통신 전화번호가 고유 식별정보로 이용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잠금부(130)는 후술될 제어부(170)의 제어를 통해 분전반(P)의 도어(D)를 잠그거나, 도어(D)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잠금부(130)는 후술될 제어부(170)로부터 도어(D)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위한 제어신호의 수신시에만 도어(D)를 잠그거나, 도어(D)의 잠금을 해제하는 디지털 도어락 등과 같은 전자식 시건장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음성출력부(140)는 분전반(P)에 실장된 배전설비(B)의 사양을 안내하는 제1 음성정보 및 점검방법을 안내하는 제2 음성정보를 포함한 음성정보가 저장되며, 후술될 제어부(170)의 제어 따라 음성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출력부(140)는 분전반(P) 내부에 위치되어 분전반(P)에 실장된 배전설비(B)의 사양을 안내하되, 본 실시예에서의 배전설비(B)는, 분전반(P)의 내측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전기가 유입되는 메인차단기, 메인차단기에 연결되어 메인차단기를 경유하여 공급된 전기를 각 회로 용량에 따란 분기시키는 부스바(Bus bar), 케이블 등의 연결구조 및 연결구조에 연결되어 연결구조로부터 분기된 전기를 최종 전력 소요지에 전달하는 서브차단기를 포함하되 분전반(P)의 하우징을 제외한 배전설비를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음성출력부(140)은 분전반(P)의 내측에 배치되는 스피커 형태로 마련되며, 도어(D)의 개방 시에 후술될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음성출력부(140)의 내부에 저장된 음성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출력부(140)는 도어(D)의 내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어(D)가 개방되었을 때, 도어(D)에 의해 분전반(P)의 점검을 수행하는 작업 인원에게 주변 소음이 전달되는 것이 억제되어 좀 더 명료한 음성정보의 전달이 가능해진다.
개폐감지부(150)는 분전반(P) 도어(D)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될 제어부(170)는 잠금부(130)를 통한 도어(D)의 잠금 해제 이후에 소정의 시간동안 개폐감지부(150)를 통한 도어(D)의 개방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잠금부(130)를 제어하여 도어(D)의 잠금을 수행하여, 관리 작업이 수행되고 있지 않은 분전반(P) 도어(D)의 임의 개방을 방지함으로써, 도어(D)가 개방된 채로 방치된 분전반(P)의 훼손 및 고장을 방지하고, 안전 장구류의 착용 없이 접근한 인원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개폐감지부(150)는 접촉식, 거리측정식, 초음파식 등의 방식으로, 분전반(P)의 도어(D)의 개방, 폐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개방 또는 폐쇄 상태에 따른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후술될 제어부(170)에 제공할 수 있다.
점멸부(160)는 분전반(P)의 외측방향으로 점멸광을 출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개폐감지부(150)를 통한 도어(D)의 개방 감지 이후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개폐감지부(150)로부터 도어(D)의 폐쇄가 감지되지 않고, 후술될 감지부(190)를 통해서도 분전반(P)에 소정의 거리내로 인접한 인원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점멸부(160)를 제어하여 도어(D)의 개방상태를 알리는 점멸광을 출력시킴으로써, 주변 인원과 작업인원 모두에게 도어(D)의 개방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경고함과 동시에 도어(D)의 폐쇄를 권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음성출력부(140)에는 분전반(P)으로의 접근을 경고하는 경고멘트가 추가적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부(170)는 점멸부(160)를 통한 점멸광 출력과 동시에 음성출력부(140)를 제어하여 저장된 경고멘트를 출력시켜, 인접한 인원에게 안전사고 발생 가능 상황을 전파하여 경각심을 일깨울 수 있게 된다.
제어부(170)는 통신부(110), 태깅부(120), 잠금부(130), 음성출력부(140), 개폐감지부(150) 및 점멸부(160)를 제어하고, 작업자 단말(300)의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자정보가 저장되며, 분전반(P)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모니터링 결과를 통신부(110)를 통해 중앙관제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센서부분(172), 제어부분(174) 및 저장부분(176)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분(172)은 분전반(P)에 실장된 배전설비(B)의 작동상태를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분(174)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센서부분(172)을 통해 측정된 배전설비(B)의 작동상태, 분전반(P) 내부의 환경상태, 위협요소 등을 포함하는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110)를 통해 중앙관제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분(174)은 센서부분(172)으로부터 확인된 배전설비(B)의 작동상태 및 통신부(110), 태깅부(120), 잠금부(130)와 후술될 자가진단부(180) 및 감지부(190)로부터 확인된 분전반(P)의 전반에 걸친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중앙관제서버(200)에 제공하며, 통신부(110), 태깅부(120), 잠금부(130), 음성출력부(140), 개폐감지부(150), 점멸부(160), 자가진단부(180) 및 감지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분(176)은 작업자 단말(300) 고유의 식별정보 및 해당 작업 인원의 분전반(P) 점검 작업숙련정도에 대해 적어도 둘 이상의 단계로 분류된 기준정보가 매칭된 형태의 작업자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저장부분(176)에 저장되는 기준정보는 작업 인원의 분전반(P)의 점검 작업숙련정도에 따라 숙련/미숙련 등으로 나누어 저장되는 정보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분(174)은 저장부분(176)에 저장된 작업자정보 중 태깅부(120)로부터 획득한 작업자 단말(300)의 고유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작업자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작업자정보의 기준정보가 숙련일 경우, 분전반에 실장된 배전설비의 사양을 안내하는 제1 음성정보만을 출력하고, 해당 작업자정보의 기준정보가 미숙련인 경우, 분전반에 실장된 배전설비의 사양을 안내하는 제1 음성정보와 점검방법을 안내하는 제2 음성정보를 순차적으로 출력시키되, 제2 음성정보의 경우, 개폐감지부(150)를 통한 도어의 개방 이후에 접근 인원의 관리가 완료될 때 까지, 즉, 개폐감지부(150)를 통한 분전반(P)의 폐쇄가 감지될 때까지, 반복하여 출력함으로써, 미숙련 작업 인원은 해당 내용을 청취하면서 원활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숙련 작업 인원에게는 불필요한 정보의 제공을 최소화하여, 분전반(P) 관리 작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안전장치(100)는 분전반(P)의 작업 인원의 안전 장구류 착용 여부를 확인하는 자가진단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정보출력부분(182) 및 조작부분(18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보출력부분(182)은 안전 장구류 착용 여부에 대한 복수의 질의항목이 저장되어, 해당 질의항목을 시각화 정보형태로 출력시킬 수 있으며, LCD 디스플레이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조작부분(184)은 분전반(P)의 도어(D) 외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버튼으로 마련되며 정보출력부분(182)으로부터 출력된 질의항목에 따른 질의결과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조작부분(184)을 이루는 복수의 버튼은 질의항목에 대한 응답 선택지의 수와 같거나 그보다 많은 버튼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질의정보의 모든 항목이 예(Yes) 또는 아니오(No)로 응답 가능할 경우, 각각 예/아니오에 해당하는 두 개의 버튼과 필요에 따라 기능이 부가된 추가적인 버튼이 포함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분(174)은 태깅부(120)를 통한 작업자 단말(300)의 고유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저장부분(176)에 저장된 작업자 정보 중, 태깅부(120)로부터 획득한 고유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작업자정보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이후에, 정보출력부분(182)을 통해 작업 인원이 작업 이전에 안전 장구류를 착용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복수의 질의항목을 정보출력부분(182)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분(174)은 작업 인원이 해당 질의 항목을 확인하고, 조작부분(184)을 통해 질의응답을 입력하게 되면, 질의응답을 통해 작업 인원의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판단하고, 안전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한하여, 잠금부(13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어부분(174)은 정보출력부분(182)에 저장된 복수의 질의항목 각각에 소정의 점수를 부여하여, 조작부분(184)을 통해 입력된 질의응답에 대한 점수가 기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통해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작업 인원이 조작부분(184)을 통해 입력한 질의응답에 대한 점수가 기준치에 못 미칠 경우, 제어부분(174)은 잠금부(130)의 잠금을 해제하지 않은 채, 안전 장구류 착용 및 안전사고 발생 가능 내용을 정보출력부분(182)에 추가적으로 출력시켜 접근 인원의 안전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줄 수 있다.
한편, 조작부분(184)은 물리적인 가압에 의해 눌리면서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압력식 스위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스위치의 가압면에 인체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감지하는 정전식 스위치 및 그에 대응하는 회로 또는 상호 이격된 두 개의 전극에 전도성 물체가 접촉하여 통전되는 것을 감지하는 통전식 스위치 및 그에 대응되는 회로가 결합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조작부분(184)의 전도 감지는 분전반(P)의 관리에 있어서 필연적으로 착용해야하는 절연장갑의 착용여부를 우선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만약, 관리인원이 조작부분(184)를 조작하여 질의정보에 대한 응답을 입력하기 위해 버튼을 가압할 때, 인체에서 발생되는 정전기가 감지되면 질의정보의 출력 이전에 절연장갑의 착용을 우선적으로 권고하는 알림메시지 등을 출력시키면서, 이후의 질의정보를 출력시키지 않게되어 분전반(P) 관리 인원의 우선적 절연장갑 착용을 실현시킴으로써 절연장갑 미착용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안전장치(100)는 분전반(P)의 외측에 배치되어 분전반(P)으로 접근하는 인원을 감지하는 감지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부(190)는 초음파(Ultra sonic)의 송수신이 가능한 초음파센서로 마련되며, 기 설정된 영역으로 초음파를 송출하고 사물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파를 통해 접근하는 인원과 해당 인원과의 거리 등을 측정할 수 있어, 인원이 분전반(P)에 접근하는 것과 인접위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190)는 분전반(P)의 위치를 스쳐지나가는 인원과 분전반(P)의 조작, 관리를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 인원의 구분 뿐만 아니라, 분전반(P)의 점검 작업 중의 작업 인원의 이탈 등을 확인할 수도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분(174)은 태깅부(120)를 통한 고유 식별정보 획득, 잠금부(130)를 통한 도어(D)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 개폐감지부(150)를 통한 도어(D)의 개폐여부, 자가진단부(170)를 통한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 판단 결과, 감지부(180)를 통한 분전반(P) 접근 인원의 감지 시에, 해당 내용을 통신부(110)를 통해 중앙관제서버(200)에 제공하여, 중앙관제서버(200)에서도 분전반(P)의 작업 인원의 분전반(P) 도어(D)의 개폐내역을 통한 작업 내역을 확인 및 유지가 가능하고, 작업 인원의 및 접근인원에 대한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 판단을 통한 빠른 조치가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분전반 안전장치를 이용한 점검정보 제공방법>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안전장치를 이용한 점검정보 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분전반 안전장치(100)를 이용한 점검정보 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며, 앞서 분전반 안전장치(100)의 구성설명에서 상술한 내용은 생략하여 분전반 안전장치(100)를 이용한 점검정보 제공방법의 기술적 특징 부분만을 추가적으로 기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분전반 안전장치(100)를 이용한 점검정보 제공방법은, 정보획득단계(S100), 정보확인단계(S200), 잠금해제단계(S300) 및 정보출력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획득단계(S100)는 분전반(P)의 도어(D0에 배치된 태깅부(120)가 작업자 단말(300)의 태깅동작을 통해 작업자 단말(300)의 고유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이다.
정보확인단계(S200)는 작업자 정보가 저장된 제어부(170)가 정보획득단계(S100)에서 획득한 작업자 단말(300)의 고유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작업자 정보의 저장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제어부(170)의 제어부분(174)은 작업자 단말(300) 고유의 식별정보 및 해당 작업 인원의 분전반(P) 점검 작업숙련정도에 대해 적어도 둘 이상의 단계로 분류된(예를 들어, 숙련/미숙련 등과 같이) 기준정보가 매칭된 형태로 제어부(170)의 저장부분(176)에 저장된 작업자 정보 중, 태깅부(120)로부터 획득한 작업자 단말(300)의 고유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작업자 정보의 저장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제어부분(174)이 저장부분(176)에 저장된 작업자 정보 중, 태깅부(120)로부터 획득한 작업자 단말(300) 고유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작업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한 경우, 제어부분(174)은 비 권한자에 의한 도어(D) 개방 시도를 알리기 위한 알림메시지를 생성하여, 통신부(110)를 통해 중앙관제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태깅부(120)를 통해 비 권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자 단말(300)을 통해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의 태깅 동작이 반복 수행될 경우, 제어부분(174)은 음성출력부(140) 및 점멸부(160)를 통해 비 권한자에 의한 도어(D) 개방 시도를 주변에 전달하기 위해 점멸등과 경고음을 출력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분(174)은 음성출력부(140) 및 점멸부(160)를 통해 점멸등 및 경고음을 출력하되, 감지부(190)를 통해 접근 인원이 분전반(P)으로부터 감지되지 않거나 소정의 거리 이상으로 멀어진 것이 감지된 경우에 한하여 점멸등 및 경고음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정보확인단계(S200)에서 제어부분(174)은 저장부분(176)에 저장된 작업자정보 중, 태깅부(120)를 통해 획득한 고유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작업자정보가 저장된 것이 확인된 경우에 한하여, 자가진단부(180)를 제어하여 작업 인원의 안전 장구류 착용여부에 따른 자가진단을 요청하게 된다.
잠금해제단계(S300)는 제어부(170)가 정보확인단계(S200)에서 확인된 작업자 단말(300)의 고유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작업자 정보의 저장여부에 따라 잠금부(130)를 제어하여 분전반(P) 도어(D)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제어부분(174)은 정보확인단계(S200)에서 작업 인원으로부터 자가진단부(180)의 조작부분(184)을 통해 입력된 안전 장구류 착용여부에 따른 질의결과 값의 합산 점수가 기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에 한하여 잠금부(130)를 제어하여 분전반(P) 도어(D)의 잠금을 해제하여, 분전반(P) 점검 작업 인원의 작업 중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작부분(184)이 인체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감지하는 회로가 추가되어 구성될 경우, 작업 인원의 최소한의 안전사고 발생 방지를 위해, 제어부분(174)은 작업 인원의 조작부분(184)의 조작 시에 인체에 해당하는 정전기가 감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인체에 해당하는 정전기 감지 시에는 잠금부(130)의 잠금을 해제하지 않고, 해당 인원에게 절연장갑을 포함한 안전 장구류의 착용을 권고하는 알림메시지를 정보출력부분(182)에 추가적으로 출력시킬 수도 있다.
정보출력단계(S400)는 제어부(170)가 잠금부(130)의 잠금 해제 이후에 점검 작업숙련정도에 따른 단계별 음성정보가 저장된 음성출력부(140)로부터 정보확인단계(S200)에서 확인된 작업자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정보를 추출하여 음성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정보출력단계(S400)는 제어부분(174)이 정보획득단계(S100)에서 획득한 작업자 단말(300) 고유의 식별정보를 통해, 정보확인단계(S200)에서 확인한 해당 고유 식별정보와 대응되는 작업자 정보 내의 기준정보가 ‘숙련’일 경우, 분전반(P)에 실장된 배전설비(B)의 사양을 안내하는 제1 음성정보 만을 음성출력부(140)를 통해 출력시키며, 정보확인단계(S200)에서 확인한 해당 고유 식별정보와 대응되는 작업자 정보 내의 기준정보가 ‘미숙련’일 경우에는, 음성출력부(140)를 통해 제1 음성정보를 출력한 이후에 점검방법을 안내하는 제2 음성정보를 출력시키되, 개폐감지부(150)를 통해 분전반(P)의 도어(D)가 폐쇄된 것이 확인되기 이전까지 제2 음성정보를 반복하여 출력시키는 단계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안전장치는, 분전반의 개방 이전에 분전반 관리 인원에게 자가진단부로부터 제공된 질의정보에 대해 조작을 통한 자가진단을 수행함으로써, 안전 장구류 착용의 중요성을 재차 확인시켜 안전사고 발생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줌으로써, 분전반 관리 및 점검을 수행하는 작업 인원의 작업 간 부주의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안전장치는, 관리 인원의 관리 점검 숙련정도에 따라, 관리 작업의 전반에 대한 안내 또는 간소화된 안내를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미숙련 관리 인원에게는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숙련 인원에게는 불필요한 정보제공을 최소화함으로써 작업 집중력 향상을 돕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안전장치는, 작업 인원이 휴대하는 휴대전화 등의 작업자 단말별 전화번호의 정보가 저장되어, 태깅부를 통해 획득한 작업자 단말의 전화번호를 통해 작업자를 개별적으로 식별하고, 식별된 작업자에 한한 분전반 개폐를 수행함에 따라 분전반의 개폐에 따른 보안을 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깅 동작을 통한 개폐이력을 생성 유지할 수 있어, 복수의 분전반에 대한 중앙관제서버의 일대다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안전장치는, 잠금부를 통한 도어의 잠금 해제 이후에 개폐감지부 및 감지부를 통해 소정의 시간동안 작업이 수행되지 않거나 작업 인원의 부재가 확인되면 도어를 잠금상태로 전환하며,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소정의 시간동안 방치된 경우에는 주위 인원에게 시각적, 청각적으로 접근을 경고 또는 도어의 폐쇄를 요청함으로써, 작업 인원의 부주의에 의해 제 3자가 분전반을 임의로 개방하여 발생할 수 있는 배전설비의 이상발생 및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분전반 안전장치
110 : 통신부
120 : 태깅부
130 : 잠금부
140 : 음성출력부
150 : 개폐감지부
160 : 점멸부
170 : 제어부
172 : 센서부분
174 : 제어부분
176 : 저장부분
180 : 자가진단부
182 : 정보출력부분
184 : 조작부분
190 : 감지부
200 : 중앙관제서버
300 : 작업자 단말
B : 배전설비
D : 도어
P : 분전반
110 : 통신부
120 : 태깅부
130 : 잠금부
140 : 음성출력부
150 : 개폐감지부
160 : 점멸부
170 : 제어부
172 : 센서부분
174 : 제어부분
176 : 저장부분
180 : 자가진단부
182 : 정보출력부분
184 : 조작부분
190 : 감지부
200 : 중앙관제서버
300 : 작업자 단말
B : 배전설비
D : 도어
P : 분전반
Claims (10)
- 중앙관제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태깅(Tagging) 방식으로 작업자 단말에 저장된 고유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태깅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분전반의 도어를 잠그거나,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부;
상기 분전반에 실장된 배전설비의 사양을 안내하는 제1 음성정보 및 점검방법을 안내하는 제2 음성정보를 포함한 음성정보가 저장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 및
상기 통신부, 태깅부, 잠금부 및 음성출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작업자 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자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분전반의 작동상태에 따른 상태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중앙관제서버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저장된 작업자정보 중, 상기 태깅부를 통해 획득한 고유 식별정보와 대응되는 작업자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잠금부를 제어하여 상기 분전반의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 이후에, 추출된 작업자정보에 따라 상기 음성출력부를 제어하여 제1 음성정보 또는 제1 및 제2 음성정보 모두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안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작업자정보는 상기 작업자 단말 고유의 식별정보 및 해당 작업 인원의 상기 분전반 점검 작업숙련정도에 대해 적어도 둘 이상의 단계로 분류된 기준정보가 매칭된 형태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안전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단말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하는 정보단말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안전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태깅부가 상기 작업자 단말로부터 획득하는 고유 식별정보는, 상기 작업자 단말의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 이동통신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안전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깅부로부터 획득한 고유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작업자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작업자정보의 기준정보의 단계에 따라 상기 음성출력부에 저장된 제1 음성정보 또는 제1 및 제2 음성정보 모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안전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부를 통한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 이후에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개폐감지부를 통한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 한하여, 상기 잠금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안전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의 외측방향으로 점멸광을 출력시키는 점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감지부를 통한 도어의 개방 감지 이후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개폐감지부로부터 상기 도어의 폐쇄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점멸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상태를 알리는 점멸광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안전장치.
- 분전반의 도어에 배치된 태깅부가 작업자 단말의 태깅동작을 통해 상기 작업자 단말의 고유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정보획득단계;
작업자 정보가 저장된 제어부가 상기 정보획득단계에서 획득한 상기 작업자 단말의 고유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작업자 정보의 저장여부를 확인하는 정보확인단계;
상기 제어부가 정보확인단계에서 확인된 상기 작업자 단말의 고유 식별정보와 매칭되는 작업자 정보의 저장여부에 따라 잠금부를 제어하여 상기 분전반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해제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잠금부의 잠금 해제 이후에 점검 작업숙련정도에 따른 단계별 음성정보가 저장된 음성출력부로부터 상기 정보확인단계에서 확인된 작업자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정보출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안전장치를 이용한 점검정보 제공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확인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작업자 단말 고유의 식별정보 및 해당 작업 인원의 상기 분전반 점검 작업숙련정도에 대해 적어도 둘 이상의 단계로 분류된 기준정보가 매칭된 형태로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작업자 정보 중, 상기 태깅부로부터 획득한 상기 작업자 단말의 고유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작업자 정보의 저장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안전장치를 이용한 점검정보 제공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출력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정보획득단계에서 획득한 상기 작업자 단말 고유의 식별정보를 통해 상기 정보확인단계에서 확인한 해당 고유 식별정보와 대응되는 작업자 정보 내의 기준정보를 통해, 상기 분전반에 실장된 배전설비의 사양을 안내하는 제1 음성정보, 점검방법을 안내하는 제2 음성정보를 포함하는 음성정보 중, 제1 음성정보 또는 제1 및 제2 음성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음성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 안전장치를 이용한 점검정보 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6215A KR20200003440A (ko) | 2018-07-02 | 2018-07-02 | 분전반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검정보 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6215A KR20200003440A (ko) | 2018-07-02 | 2018-07-02 | 분전반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검정보 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3440A true KR20200003440A (ko) | 2020-01-10 |
Family
ID=69158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6215A KR20200003440A (ko) | 2018-07-02 | 2018-07-02 | 분전반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검정보 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03440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42325A (ko) * | 2020-05-18 | 2021-11-25 | 한국전력공사 | 계량기 봉인 장치, 이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
KR102339960B1 (ko) * | 2021-04-21 | 2021-12-16 | 한국중부발전(주) | 전력기기 가상화를 통한 음성안내 안전장치 및 관리시스템 |
KR102492233B1 (ko) * | 2022-05-20 | 2023-01-26 | 권도근 | 플랜트 및 산업용 컨베이어 벨트 설비에 대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모니터링시스템 |
KR102495288B1 (ko) * | 2022-07-27 | 2023-02-06 | 주식회사 엔시드 | 지능형 비상 소화 장치 |
KR102679826B1 (ko) | 2023-11-27 | 2024-07-01 | (주)피에이엔지니어링 | 판넬 단위 별 도어 개폐 제어가 가능한 전기 판넬 통합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2018
- 2018-07-02 KR KR1020180076215A patent/KR20200003440A/ko unknow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42325A (ko) * | 2020-05-18 | 2021-11-25 | 한국전력공사 | 계량기 봉인 장치, 이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
KR102339960B1 (ko) * | 2021-04-21 | 2021-12-16 | 한국중부발전(주) | 전력기기 가상화를 통한 음성안내 안전장치 및 관리시스템 |
KR102492233B1 (ko) * | 2022-05-20 | 2023-01-26 | 권도근 | 플랜트 및 산업용 컨베이어 벨트 설비에 대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모니터링시스템 |
KR102495288B1 (ko) * | 2022-07-27 | 2023-02-06 | 주식회사 엔시드 | 지능형 비상 소화 장치 |
KR102679826B1 (ko) | 2023-11-27 | 2024-07-01 | (주)피에이엔지니어링 | 판넬 단위 별 도어 개폐 제어가 가능한 전기 판넬 통합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00003440A (ko) | 분전반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검정보 제공방법 | |
US8638218B2 (en) | Wireless takeover of an alarm system | |
CN107885170B (zh) | 安全生产管控装置、系统及安全生产管控的方法 | |
KR102671596B1 (ko) | 전압 부재 테스터와 전압 부재를 테스트하는 시스템 | |
KR101910480B1 (ko) | IoT 전용망 기반 밀폐공간 모니터링 시스템 | |
CN108501980A (zh) | 轨道电路设备的监测方法及终端设备 | |
CN107728514A (zh) | 一种智能楼宇安防监控系统 | |
CN108038808A (zh) | 一种监控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 |
KR20190108960A (ko) | 산업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 |
KR101811393B1 (ko) | 자동 화재 탐지 설비의 원격 제어 시스템 | |
CN203444595U (zh) | 一种重力检测防盗系统 | |
CN116993151A (zh) | 一种基于物联网的高炉出铁区域人员风险管控系统 | |
EP3125209A1 (en) | Logging into a system with a bluetooth device | |
KR101597218B1 (ko) | 아이디 정보와 환자 정보를 이용한 수용자 호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
EP3970095A1 (en) |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course of work | |
KR20070088242A (ko) | 설비의 상태 및 이벤트의 실시간 원격 감시 방법 및 시스템 | |
JP6144897B2 (ja) |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機検出プログラム | |
JP2005208885A (ja) | 警報設備 | |
KR20200003439A (ko) | 분전반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검정보 제공방법 | |
ITUB20155911A1 (it) | Impianto di sicurezza ed allarme | |
CN110310444A (zh) | 本地访问指示系统 | |
JP5800758B2 (ja) | プラント設備監視装置 | |
JP6574694B2 (ja) | 警備装置および警備業務支援システム | |
KR101703497B1 (ko) | 출입관리시스템 | |
CN111223271A (zh) | 电力系统防触电保护装置和方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