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3345A - 유동바를 이용한 방석형 환자 욕창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유동바를 이용한 방석형 환자 욕창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3345A
KR20200003345A KR1020180076190A KR20180076190A KR20200003345A KR 20200003345 A KR20200003345 A KR 20200003345A KR 1020180076190 A KR1020180076190 A KR 1020180076190A KR 20180076190 A KR20180076190 A KR 20180076190A KR 20200003345 A KR20200003345 A KR 20200003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output
dust
concave lens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륜하
Original Assignee
김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륜하 filed Critical 김륜하
Priority to KR1020180076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3345A/ko
Publication of KR20200003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3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2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for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Nurs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바를 이용한 방석형 환자 욕창 방지장치에 있어서, 특히 프레임위에 환자가 앉을 수 있는 다수개의 회전봉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봉을 유동하는 유동바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유동바를 움직여서 회전봉이 이동됨으로서 환자의 피부 접촉면을 쉽게 바꾸어주어 환자의 욕창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바를 이용한 방석형 환자 욕창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자형 홈을 형성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감싸 보호하는 커버와; 상기 프레임의 유자형 홈에 삽입하되 양 측면에 기어를 형성한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기어를 연결하는 체인과; 상기 회전봉의 기어 중심축에 연결되어 회전봉을 유동시키는 유동바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며;
본 발명은 방석형태의 프레임을 구비하고, 원기둥 형상의 회전봉을 구비하여 다수개를 의자 형태의 프레임상에 설치하되 자체 회전이 가능토록 설계하고, 상기 봉의 끝단을 체인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유동바를 체결하여 회전봉을 움직여서 쉽게 회전봉과 환자 피부의 접촉면을 바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동바를 이용한 방석형 환자 욕창 방지장치{a device for prevention bedsore}
본 발명은 유동바를 이용한 방석형 환자 욕창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레임위에 환자가 앉을 수 있는 다수개의 회전봉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봉을 유동하는 유동바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유동바를 움직여서 회전봉이 이동됨으로서 환자의 피부 접촉면을 쉽게 바꾸어주어 환자의 욕창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바를 이용한 방석형 환자 욕창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침대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간의 편안한 잠자리를 마련해주는 도구로 장소에 불문하고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신체가 부자연스럽거나 신체를 움직이지 못하는 환자들에게 있어 침대는 여러면에 있어서 더욱 많은 편리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비록 인간생활에 편안한 휴식과 잠자리를 제공하는 침대의 경우에도 사용상 계속해서 침대에 누워있게 되면 침대와 접촉하고 있는 신체부분이 체중에 의해 압박되어 혈액순환에 지장을 받게된다.
통상의 건강한 사람들의 경우는 수면이나 휴식을 취하는 시간외는 별도로 침대에 누워있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지장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신체가 부자연스러워 많은 시간 침대를 이용하는 신체부자유자나, 건강이 좋지않아 병원 등 기타 시설에 장기간 침대에 누워 있어야 하는 이용자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체중에 의해 압박되는 신체부위에서 혈관이나 피부에서 혈액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해 욕창이 발생되기 쉽다.
욕창이 발생되면 피부조직에 심각한 영향과 합병증 등을 유발해서 환자의 경우 더욱 고통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거동이 불편하거나 어려운 환자 또는 신체부자유자들의 경우 욕창을 방지하기 위해 수시로 신체의 자세를 바꾸어줌으로써 체중에 의해 압박되어 혈액순환에 지장을 받은 부위를 변화시켜 주어야 하는 수고로움이 뒤따랐다.
이와같이, 장기간 침대에 누워 있어야 하는 신체거동불편자나 환자들에게 발생되는 욕창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 다수의 고안과 고안이 안출된 바 있다.
특히, 국내공개특허번호 제2001-36483호에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침대」와 일본 특개평7-8523호에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의 욕창 방지는 물론 혈액순환을 도모하기 위한 고안이 개시된 바 있다.
상술한 국내공개특허 제2002-36383호에 기재된 침대는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보가 구비되고, 이 보들은 그 저면에 구비된 승강수단 및 연결기구에 의해 모터의 동력으로 승강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다수개의 보중 일부분은 상승하고 일부분은 하강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신체와 접촉하는 침대의 접촉부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며, 이들 보들은 하나 걸러 상승운동 또는 하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두개의 모터를 이용해서 각 보들의 상승 또는 하강동작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침대의 경우 침대에 구비된 다수개의 보들은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승강구조와 여기에 소요되는 다수의 부품조합으로 인해 보의 승강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었으며, 특히 각 보의 승강동작시 일부 보들이 상승되고 이와 동시에 일부 보들은 하강되는 구조여서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가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가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에게 부담감을 주고 환자가 편안한 휴식을 취하는데 방해받을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일본 공개특허의 경우 박스형의 승강이동체가 구비되고, 이 승강이동체의 내부에 캠을 설치하고, 승강이동체의 하단에는 칸막이판에 의해 각각 분할된 내부공간에 스프링이 구비되도록 하여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캠축에 구비된 편심캠에 의해 다수개의 승강이동체가 승강동작되도록 구성되었으나, 이 또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승강이동체가 동시에 승강동작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침대에 누워있는 환자가 침대 상판의 승강동작을 충분히 감지할수 있는 것이어서 환자의 부담감을 가중시키고 침대가 아래로 내려앉거나 붕뜨는 느낌을 받을 수 있어 편안한 휴식에 지장을 받을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이러한 장치들은 모두 복잡하고 고가의 비용이 발생하여 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들이 쉽게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방석형태의 프레임을 구비하고, 원기둥 형상의 회전봉을 구비하여 다수개를 의자 형태의 프레임상에 설치하되 자체 회전이 가능토록 설계하고, 상기 봉의 끝단을 체인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유동바를 체결하여 회전봉을 움직여서 쉽게 회전봉과 환자 피부의 접촉면을 바꿀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유자형 홈을 형성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을 감싸 보호하는 커버(100)와; 상기 프레임의 유자형 홈에 삽입하되 양 측면에 기어를 형성한 회전봉(20)과, 상기 회전봉의 기어를 연결하는 체인(30)과, 상기 회전봉의 기어 중심축에 연결되어 회전봉을 유동시키는 유동바(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회전봉에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50)를 더 설치하고, 상기 압력센서의 측정결과에 따라 일정시간동안 환자의 자세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판단하기 위한 제어부(60)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의 판단결과 일정이상 환자가 자세를 바꾸지 않으면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고, 기준이상이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먼지 측정부(1000)와; 상기 먼지 측정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 측정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출력부(2000)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다수개의 오목렌즈가 탑재되어 적외선의 출력을 제한시키는 오목렌즈군과; 상기 오목렌즈군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출력시키는 적외선 송신소자와; 상기 오목렌즈군의 일측에 설치되어 오목렌즈군을 유동시켜 적외선 출력이 조절되도록하되 온도의 변화량에 따라서 주변 온도가 높으면 오목렌즈군을 좌측으로 유동시켜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함으로서 적외선 출력이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주변 온도가 낮으면 오목렌즈군을 우측으로 유동시켜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함으로서 적외선 출력이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형상기억 스프링과;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의 우측 끝단에 위치하여 형상기억 스프링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과 고정부를 수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열을 통해 형상기억 스프링을 강제로 팽창시켜 오목렌즈군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높아지도록 유도하는 발열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의 타측에 설치되어 냉각열을 전달하여 형상기억 스프링을 강제로 수축시켜 오목렌즈군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와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낮아지도록 유도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발생수단과 열전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가 많을 경우 열발생수단을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높이도록 제어하고, 먼지가 적을 경우 열전소자를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낮추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석형태의 프레임을 구비하고, 원기둥 형상의 회전봉을 구비하여 다수개를 의자 형태의 프레임상에 설치하되 자체 회전이 가능토록 설계하고, 상기 봉의 끝단을 체인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유동바를 체결하여 회전봉을 움직여서 쉽게 회전봉과 환자 피부의 접촉면을 바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1b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수단 및 경보신호 출력부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을 이용하여 먼지를 측정하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형상기억 스프링을 갖는 먼지측정수단 제 1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발열수단과 열전소자 및 형상기억 스프링을 갖는 제 2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오목렌즈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a은 본 발명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1b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먼지측정수단 및 경보신호 출력부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을 이용하여 먼지를 측정하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형상기억 스프링을 갖는 먼지측정수단 제 1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발열수단과 열전소자 및 형상기억 스프링을 갖는 제 2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오목렌즈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크게 유자형 홈을 형성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을 감싸 보호하는 커버(100)와; 상기 프레임의 유자형 홈에 삽입하되 양 측면에 기어를 형성한 회전봉(20)과, 상기 회전봉의 기어를 연결하는 체인(30)과, 상기 회전봉의 기어 중심축에 연결되어 회전봉을 유동시키는 유동바(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즉, 본 발명은 프레임(10)과, 커버(100)와, 회전봉(20)과, 체인(30)과, 유동바(40)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10)은 1개조로 구비하여 양 측면에 각각 배치시키고, 상기 회전봉(20)을 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봉(20)의 끝단에는 기어(21)를 형성시키고, 상기 기어(21)는 체인(30)에 의해서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회전봉(20)이 모두 동시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회전봉(20)은 환자와 접촉되는 수단이므로 일정한 쿠션감을 갖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동바(40)에 의해서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회전봉(20)이 거치되는 프레임(10)의 유자형 홈에는 베어링 등을 더 삽입설치하여 회전봉이 보다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회전봉(20)에 환자가 누운 상태에서 유동바(40)를 움직이게 되면 회전봉(20)이 구르면서 환자가 쉽게 이동되어 피부 접촉면을 바꿀 수 있게 된다.
즉, 회전봉(20)의 일단면에 환자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유동바(40)를 움직여서 회전봉이 구르게 되면 환자가 살짝 이동하여 피부 접촉면이 바뀌게 되며 이에 따라 보다 쉽게 피부 접촉면이 바뀜으로서 욕창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피부 접촉면을 보다 쉽게 바꿀 수 있어서 환자가 보호자에 의존하지 않고도 자기 스스로 욕창 방지를 실시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환자가 유동바를 조절하기 힘들때에도 보호자가 유동바를 살짝만 움직여주면 피부 접촉면이 바뀌기 때문에 환자의 욕창 관리를 보다 쉽게 행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가 일정시간 자세를 바꾸지 않으면 피부 접촉을 바꾸도록 유도할 수 있는바, 이를 위해 회전봉(20)에 압력센서(40)를 설치하고, 상기 압력센서(50)의 측정결과 일정시간동안 자세를 바꾸지 않은 상태이면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환자의 자세를 바꾸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압력센서(50)의 결과값을 제어부(60)에서 입력받아 일정시간동안 압력값이 변화하지 않으면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환자 또는 보호자가 환자의 자세를 바꿀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프레임 주변에 먼지 측정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먼지 측정수단을 통해 먼지를 파악하고, 기준 이상의 먼지가 검출되면 통신신호 자동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병실의 환기를 유도한다.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1000)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먼지 측정 제어부(C)로부터 적외선 송신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적외선 송신량을 결정하여 변화된 적외선 송신량을 출력한다.
즉, 적외선 수신수단(B)의 결과값을 먼지 측정 제어부(C)에 전송하면,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데이터를 근거로 먼지 발생량을 예측하고, 먼지 발생량에 따라서 적외선 송신수단(A)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적외선 송신량을 조절하여 출력토록 유도하는 것이다.
즉, 먼지 측정 제어부에서 적외선 수신수단에서 출력되는 광량 데이터를 읽고, 이를 근거로 적외선 발광수단의 광량을 자동 제어하여 감도조절이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먼지로 인한 오염 상황에서도 먼지 검출을 최적의 감도상태로 유지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말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수신 광량이 미약하면 오염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보다 정밀한 먼지 측정을 위해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높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적외선 수신수단(C)의 수신 광량이 너무 세면 오염이 없는 상태이나 정밀한 측정이 어려워지므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낮추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즉, 적외선 송신 광량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적외선 수신수단을 통해 측정되는 적외선량이 정확해져서 먼지 발생량을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먼지 측정 제어부에 의해서 측정되는 먼지량 데이터는 신뢰도가 높은 먼지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오목렌즈가 탑재되어 적외선의 출력을 제한시키는 오목렌즈군(1)과;
상기 오목렌즈군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출력시키는 적외선 송신소자(2)와;
상기 오목렌즈군의 일측에 설치되어 오목렌즈군을 유동시켜 적외선 출력이 조절되도록하되 온도의 변화량에 따라서 주변 온도가 높으면 오목렌즈군을 좌측으로 유동시켜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함으로서 적외선 출력이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주변 온도가 낮으면 오목렌즈군을 우측으로 유동시켜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함으로서 적외선 출력이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형상기억 스프링(3)과;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의 우측 끝단에 위치하여 형상기억 스프링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고정부(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과 고정부를 수납하는 하우징(5)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열을 통해 형상기억 스프링을 강제로 팽창시켜 오목렌즈군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높아지도록 유도하는 발열수단(6)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3)의 타측에 설치되어 냉각열을 전달하여 형상기억 스프링(3)을 강제로 수축시켜 오목렌즈군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와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낮아지도록 유도하는 열전소자(7)와;
상기 발열수단과 열전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가 많을 경우 발열수단을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높이도록 제어하고, 먼지가 적을 경우 열전소자를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낮추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8)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가 위치하는 하우징의 테두리에는 다수개의 홀(5a, 5b 5c)을 형성하고, 상기 홀에는 고정부(4)의 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자석(9)을 삽입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즉, 고정부(4)는 금속으로 구성하며, 자석(9)을 홀에 삽입하여 고정부를 임시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기온이 낮은 지역은 자석을 중앙홀(5b) 또는 왼쪽홀(5a)에 위치시켜 세팅하고, 기온이 높은 지역은 자석(9)을 중앙홀(5b) 또는 오른쪽(5c)에 위치시켜 세팅한다.
그러면 최초 송신소자(2) 위치가 오목렌즈군(1)의 중앙에 위치되고, 이후 온도변화에 따라서 적절히 팽창과 수축을 하여 먼지의 농도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송신소자(2)의 출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구성하였는바, 형상기억 스프링(3)이 기본 온도로 세팅되어 있으며, 이후 온도가 올라가면 형상기억 스프링이 늘어나면서 송신소자의 광을 줄여서 출력시키고, 온도가 내려가면 형상기억 스프링(3)이 줄어들면서 송신소자(2)의 광을 낮추어서 출력시킨다.
즉, 먼지는 기체속에 분포되기 때문에 온도가 올라가면 움직임이 활발해져서 송신소자(2)의 출력을 낮추었을때 보다 더 정밀한 먼지 농도를 채크할 수 있으며, 온도가 낮아지면 움직임이 둔해지기 때문에 송신소자(2)의 출력을 높였을때 보다 더 정밀한 먼지 농도를 체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온도변화를 반영하여 오목렌즈군(1)을 유동시켜 먼지 농도를 보다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제로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기본적으로 오목렌즈군(1)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는 제 3 오목렌즈(1c)를 통해 송신소자의 빛이 출력된다.
그리고, 주변 온도가 올라가면 형상기억 스프링이 팽창되면서 제 3 오목렌즈(1c)의 오른쪽에 위치하며 동시에 함몰각도가 제 3 오목렌즈(1c)보다 낮은 제 2 오목렌즈(1b)가 송신소자의 위치에 오게 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 출력을 낮추어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주변 온도가 내려가면 형상기억 스프링(3)이 수축되면서 제 3 오목렌즈(1c)의 왼쪽에 위치하며 동시에 함몰각도가 제 3 오목렌즈(1c)보다 높은 제 4 오목렌즈(1d)가 송신소자(2)의 위치에 오게 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 출력을 높여서 출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주변 온도에 반응하여 형상기억 스프링(3)이 자동으로 팽창과 수축을 함으로서 먼지의 움직임에 따른 광량 변화를 촉진하여 보다 더 정밀한 먼지 농도를 파악할 수 있고, 보다 더 정확한 경보출력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먼지 농도에 따라 송신 제어부(8)가 강제로 오목렌즈군(1)을 움직여서 가장 정확한 먼지 농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바, 온도 변화가 없더라도 먼지의 농도에 따라 송신소자의 광량을 조절하여 정확한 먼지의 농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은 적외선 송신수단의 광량 변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가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송신 제어부(8)에서 이를 인지하여 발열수단(6) 및 열전소자(7)를 구동하여 가장 적절한 적외선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먼저, 기본적으로 오목렌즈군(1)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는 제 3 오목렌즈(1c)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토록하며,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송신제어부(8)가 발열수단(6)을 가동시켜 열을 발생시켜 형상기억 스프링이 팽창되도록하고 이에 따라 송신소자(2)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오목렌즈군(1)이 이동하되 제 3 오목렌즈(1c)의 오른쪽에 설치되는 제 2 오목렌즈(1b)가 송신소자(2) 위치로 움직이면서 송신소자의 출력광이 제 2 오목렌즈를 통해 출력된다.
그리고,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송신제어부(8)가 발열수단(6)을 가동시켜 열을 더 많이 발생시켜 형상기억 스프링(3)이 더 많이 팽창되도록하고 이에 따라 오목렌즈군(1)이 이동하되 제 1 오목렌즈(1a)가 송신소자(2)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가열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이 제 1 오목렌즈(1a)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적외선 광을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송신제어부(8)가 열전소자(7)를 구동하여 냉각열을 발생시켜 형상기억 스프링(3)이 수축되도록하고 이에 따라 오목렌즈군(1)이 이동하되 제 3 오목렌즈(1c)의 왼쪽이 설치되는 제 4 오목렌즈(1d)가 송신소자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이 제 4 오목렌즈(1d)를 통해 출력된다.
그리고,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송신제어부(8)가 열전소자(7)를 구동하여 냉각열을 더 많이 발생시켜 형상기억 스프링(3)이 더 많이 수축되도록하고 이에 따라 오목렌즈군(1)이 이동하되 제 5 오목렌즈(1e)가 송신소자(2) 위치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이 제 5 오목렌즈(1e)를 통해 광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오목렌즈군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제 3 오목렌즈(1c)는 기본적으로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2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2 오목렌즈(1b)는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1c)의 오른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1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1 오목렌즈(1a)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1b)의 오른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4 오목렌즈(1d)는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1c)의 왼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3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5 오목렌즈(5e)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1d)의 왼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45도로 형성시킨다.
10: 프레임
20: 회전봉
30: 체인
40: 유동바
50: 압력센서
60: 제어부
100: 커버

Claims (4)

  1. 유자형 홈을 형성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을 감싸 보호하는 커버(100)와;
    상기 프레임의 유자형 홈에 삽입하되 양 측면에 기어를 형성한 회전봉(20)과,
    상기 회전봉의 기어를 연결하는 체인(30)과,
    상기 회전봉의 기어 중심축에 연결되어 회전봉을 유동시키는 유동바(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바를 이용한 방석형 환자 욕창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에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50)를 더 설치하고,
    상기 압력센서의 측정결과에 따라 일정시간동안 환자의 자세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판단하기 위한 제어부(60)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의 판단결과 일정이상 환자가 자세를 바꾸지 않으면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바를 이용한 방석형 환자 욕창 방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고, 기준이상이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먼지 측정부(1000)와;
    상기 먼지 측정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 측정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출력부(2000)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다수개의 오목렌즈가 탑재되어 적외선의 출력을 제한시키는 오목렌즈군과;
    상기 오목렌즈군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출력시키는 적외선 송신소자와;
    상기 오목렌즈군의 일측에 설치되어 오목렌즈군을 유동시켜 적외선 출력이 조절되도록하되 온도의 변화량에 따라서 주변 온도가 높으면 오목렌즈군을 좌측으로 유동시켜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함으로서 적외선 출력이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주변 온도가 낮으면 오목렌즈군을 우측으로 유동시켜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함으로서 적외선 출력이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형상기억 스프링과;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의 우측 끝단에 위치하여 형상기억 스프링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바를 이용한 방석형 환자 욕창 방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과 고정부를 수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열을 통해 형상기억 스프링을 강제로 팽창시켜 오목렌즈군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높아지도록 유도하는 발열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의 타측에 설치되어 냉각열을 전달하여 형상기억 스프링을 강제로 수축시켜 오목렌즈군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와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낮아지도록 유도하는 열전소자와;
    상기 열발생수단과 열전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가 많을 경우 열발생수단을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높이도록 제어하고, 먼지가 적을 경우 열전소자를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낮추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바를 이용한 방석형 환자 욕창 방지장치.
KR1020180076190A 2018-07-01 2018-07-01 유동바를 이용한 방석형 환자 욕창 방지장치 KR202000033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190A KR20200003345A (ko) 2018-07-01 2018-07-01 유동바를 이용한 방석형 환자 욕창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190A KR20200003345A (ko) 2018-07-01 2018-07-01 유동바를 이용한 방석형 환자 욕창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345A true KR20200003345A (ko) 2020-01-09

Family

ID=69154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190A KR20200003345A (ko) 2018-07-01 2018-07-01 유동바를 이용한 방석형 환자 욕창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33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172B1 (ko) * 2020-07-02 2020-09-07 (주)에스앤에스연구소 3d 입체 직물 소재를 활용한 비공기패드형 욕창예방방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172B1 (ko) * 2020-07-02 2020-09-07 (주)에스앤에스연구소 3d 입체 직물 소재를 활용한 비공기패드형 욕창예방방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33194B2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with remote communications
JP6182153B2 (ja) ヒトの睡眠を改善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5417115B2 (ja) 体温調節システム
JP2013119038A (ja) 患者反応に基づいた、患者保持装置の動作の最適化
KR20200003345A (ko) 유동바를 이용한 방석형 환자 욕창 방지장치
KR101729988B1 (ko) 수면관리베개를 이용한 응급상황 감지시스템
JP2017536164A (ja) 被験者に光線療法を提供するためのマットレス
JP2022539236A (ja) 介護者支援システム
JP2019535468A (ja) 病院用ベッド
JP2004049388A (ja) 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床ずれ防止システム
CN108209298A (zh) 床垫装置
KR20180107466A (ko) 수면용 캡슐
KR20200003343A (ko) 유동바를 이용한 의자형 환자 욕창 방지장치
KR20200003341A (ko) 유동바를 이용한 침대형 환자 욕창 방지장치
KR20200003344A (ko) 전동수단에 의해서 유동되는 회전봉을 이용한 의자형 환자 욕창 방지장치
KR20200003342A (ko) 전동수단에 의해서 유동되는 회전봉을 이용한 침대형 환자 욕창 방지장치
US20240115443A1 (en) Techniques For Managing Patient Therapy Protocols
KR102546735B1 (ko) 욕창 방지 시스템
DK1482891T3 (en) Inflatable support
JP2022515297A (ja) コンパニオンアニマル用診断装置
KR20210131273A (ko) 자외선 살균 모듈을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60054654A (ko) 수면자세 검출 시스템
KR20220011382A (ko) 자동 자세 전환 기구
KR20020094881A (ko) 척추관리기를 겸한 수면용 매트
KR200247369Y1 (ko) 척추관리기를 겸한 수면용 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