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3115A -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 컴퓨터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 컴퓨터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3115A
KR20200003115A KR1020197035404A KR20197035404A KR20200003115A KR 20200003115 A KR20200003115 A KR 20200003115A KR 1020197035404 A KR1020197035404 A KR 1020197035404A KR 20197035404 A KR20197035404 A KR 20197035404A KR 20200003115 A KR20200003115 A KR 20200003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ntization parameter
initial
current
coding uni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1570B1 (ko
Inventor
순안 마오
하이수 한
신웨이 가오
천천 구
졘 허
? 허
징창 천
Original Assignee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03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4Coding unit complexity, e.g. amount of activity or edge presence esti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4Measured or subjectively estimated visual quality after decoding, e.g. measurement of 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 H04N19/19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being iterative or recursive
    • H04N19/19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being iterative or recursive involving only two p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 H04N19/19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be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omputation of encoding parameters, e.g. by averaging previously computed encod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transcoding, i.e. partial or full decoding of a coded input stream followed by re-encoding of the decoded outpu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초기 압축 비디오를 인코딩할 때 초기 인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초기 인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인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현재 인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인코딩될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현재 인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인코딩될 양자화 파라미터와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를 결정하고, 그 차이에 따라 현재 인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인코딩될 양자화 파라미터를 증가시켜 타깃 인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타깃 인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인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 컴퓨터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본 출원은 2017년 10월 10일 중국 특허청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 장치, 컴퓨터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인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17109370116을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이며, 상기 문헌의 내용은 그 전체로서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컴퓨터 처리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 컴퓨터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트랜스코딩이란 압축 비디오 비트 스트림을 다른 비디오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상이한 네트워크 대역폭, 상이한 단말 처리 능력 및 상이한 사용자 요건(requirement)에 적응하는 것을 말한다. 트랜스코딩의 본질은 먼저 디코딩을 수행한 다음 코딩을 수행하는 프로세스이다. 따라서, 트랜스코딩 전후의 비트 스트림은 상이한 비디오 코딩 표준을 준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는 압축 비디오를 서버에 업로드하고 서버는 수신된 비디오를 트랜스코딩한다. 종래의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은 높은 대역폭 비용을 초래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 컴퓨터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은,
컴퓨터 디바이스가, 초기 압축 비디오(initial compressed video)를 생성하기 위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상기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estimated coding quantization parameter)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를 결정하고, 상기 차이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증가시켜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을 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컴퓨터 디바이스는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초기 압축 비디오를 생성하기 위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상기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를 결정하고, 상기 차이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증가시켜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을 코딩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비 휘발성 저장 매체가 제공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초기 압축 비디오를 생성하기 위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상기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를 결정하고, 상기 차이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증가시켜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을 코딩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 예들의 세부 사항들은 다음의 첨부 도면들 및 설명들에서 제공된다. 본 개시의 다른 특징, 목적 및 이점은 명세서, 첨부 도면 및 청구 범위에서 명백해진다.
본 개시의 실시 예 또는 기존 기술에서의 기술적 솔루션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 예 또는 기존 기술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 도면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명백하게, 이하의 설명에서 첨부 도면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를 보여줄 뿐이며, 당업자는 여전히 창조적 노력 없이 이러한 첨부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의 애플리케이션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 대응하는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비디오 프레임들을 분류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디오 트랜스코딩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딩 유닛을 코딩하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디오 트랜스코딩 장치의 구조적 블록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정 모듈의 구조적 블록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디오 트랜스코딩 장치의 구조적 블록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디오 트랜스코딩 장치의 구조적 블록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디바이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 목적, 기술적 솔루션 및 이점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솔루션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실시 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솔루션을 제한하는 대신에, 본 개시의 기술적 솔루션을 설명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의 애플리케이션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은 비디오 트랜스코딩 시스템에 적용된다.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은 비디오 트랜스코딩 시스템의 서버에 적용될 수 있거나 비디오 트랜스코딩 시스템의 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비디오 트랜스코딩 시스템은 제1 단말(110), 서버(120) 및 제2 단말(130)를 포함한다. 제1 단말(110) 및 서버(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서버(120) 및 제2 단말(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제1 단말(110) 및 제2 단말(130)는 구체적으로 데스크 탑 단말 또는 이동 단말(mobile terminal)일 수 있다. 이동 단말은 구체적으로 이동 전화(mobile phone),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서버(120)는 독립적인 서버 또는 다수의 서버로 형성된 서버 클러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단말은 먼저 원본 비디오(original video)를 압축하여 초기 압축 비디오(initial compressed video)를 획득한 다음, 초기 압축 비디오를 서버(120)에 업로드한다. 초기 압축 비디오를 수신한 후, 서버(120)는 초기 압축 비디오를 생성하기 위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reference)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estimated coding quantization parameter)를 결정하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와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를 결정하고, 그 차이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증가시켜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을 코딩한다. 마지막으로, 트랜스코딩에 의해 획득된 타깃 압축 비디오는 제2 단말(130)로 송신될(send)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은 단말(110 또는 130)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단말(110 또는 130)은 초기 압축 비디오를 생성하기 위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와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를 결정하며, 그 차이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증가시켜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을 코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서,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이 제공된다.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은 서버 또는 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이 실시 예는 상기 방법이 도 1의 서버(120)에 적용되는 예를 사용하여 설명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S202) 내지 단계(S210)를 포함한다.
단계(S202)에서, 초기 압축 비디오를 생성하기 위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가 획득된다.
일 실시 예에서, 양자화 파라미터(quantization parameter, QP)는 양자화 단계 크기(quantization step size)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파라미터이며 이미지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작은 양자화 파라미터가 양호한 이미지 품질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H.264 비디오 코딩 표준에서, 양자화 파라미터 QP는 0 내지 51 범위의 양자화 단계(quantization step, Qstep)의 시퀀스 번호이다. 양자화 파라미터 QP가 가장 작은 값 0일 때, 이는 양자화가 가장 우수함(finest)을 지시한다. 반대로, 양자화 파라미터 QP가 가장 큰 값 51일 때, 이는 양자화가 가장 조악함(coarsest)을 지시한다. 양자화 파라미터는 압축률(compression rate)과 양의 상관 관계에 있다. 구체적으로, 작은 양자화 파라미터는 작은 압축률을 나타내고, 큰 양자화 파라미터는 큰 압축률을 나타낸다. 여기서 압축률은 압축 전의 크기 대 압축 후의 크기의 비이다.
비디오는 비디오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고, 각각의 비디오 프레임은 코딩 유닛을 포함하고, 각각의 코딩 유닛은 양자화 파라미터에 대응한다. 코딩에서, 각각의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양자화 파라미터가 계산될 필요가 있으며, 코딩 유닛은 대응하는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코딩된다. 현재 비디오 트랜스코딩과 관련하여, 트랜스코딩 이전의 비디오는 초기 압축 비디오로 지칭된다. 초기 코딩 유닛은 초기 압축 비디오에 포함된 코딩 유닛이고,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는 초기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양자화 파라미터이다.
코딩 유닛은 비디오 프레임을 형성하는 유닛이다. 코딩 유닛은 비디오 프레임의 코딩 블록일 수 있거나 비디오 프레임의 코딩 슬라이스일 수도 있다. 코딩 슬라이스는 다수의 코딩 블록을 포함한다. 코딩 슬라이스에서의 코딩 블록은 동일한 양자화 파라미터에 대응하기 때문에, 각각의 코딩 슬라이스는 하나의 코딩 유닛으로 간주될 수도 있고 하나의 양자화 파라미터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초기 압축 비디오가 획득되고 초기 압축 비디오가 디코딩되어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initial decoded frame)이 획득된다.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은 초기 압축 비디오를 디코딩하는 것에 의해 획득된 디코딩된 비디오 프레임이다. 각각의 초기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가 획득된다.
단계(S204)에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가 결정된다.
현재 비디오 프레임은 현재 코딩될 비디오 프레임이고, 현재 코딩 유닛은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의 코딩 유닛이다.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는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와 비교하기 위해 사용되는 참조 값이다. 구체적으로, 비디오 트랜스코딩의 본질은 먼저 디코딩을 수행한 다음 다시 코딩을 수행하는 프로세스이다. 초기 압축 비디오를 트랜스코딩하기 위해서, 초기 압축 비디오가 먼저 디코딩되어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여야 하며,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은 코딩될 현재 비디오 프레임으로서 사용되어 레코딩될 수 있다.
현재 비디오 프레임의 현재 코딩 유닛이 획득되고,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가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계산된다.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는 다수의 방법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현재 코딩 유닛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코딩 유닛이 먼저 획득된다. 디코딩에 의해 획득된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은 레코딩을 위한 현재 코딩될 비디오 프레임으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 및 현재 코딩될 비디오 프레임은 일대일 대응 관계를 갖는다.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의 초기 코딩 유닛의 사양은 현재 코딩될 비디오 프레임에서의 현재 코딩 유닛의 사양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코딩 유닛은 코딩 블록이고, 현재 코딩 유닛은 코딩 블록일 수 있거나 코딩 슬라이스일 수 있다. 현재 코딩 유닛과 초기 코딩 유닛의 사양이 동일한 지 여부에 관계없이, 현재 코딩 유닛과 초기 코딩 유닛 사이에는 매칭 관계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현재 코딩 유닛이 코딩 슬라이스이지만 초기 코딩 유닛이 코딩 블록이면, 현재 코딩 유닛은 다수의 대응하는 초기 코딩 유닛과 매칭된다. 일 실시 예에서, 현재 코딩 유닛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코딩 유닛이 먼저 획득되고, 이어서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가 타깃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계산된다. 구체적으로, 타깃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기 위한 값에 의해 감산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 대응하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이 획득되고,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초기 코딩 유닛들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들이 획득되며, 초기 코딩 유닛들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들이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되어(sort) 정렬 결과를 획득하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가 정렬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
단계(S206)에서,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가 결정된다.
일 실시 예에서, 코딩될 현재 코딩 유닛이 획득되고,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가 계산된다. 코딩은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양자화 파라미터에 의존하기 때문에, 코딩 전에,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가 먼저 계산될 필요가 있다.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의 계산은 이미지 복잡성 및 타깃 비트레이트(bit rate)과 같은 팩터(factor)와 관련된다.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는 비트레이트 제어 알고리즘, 적응적 양자화 파라미터 계산 방법, 또는 다른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의 계산은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S208)에서,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가 결정되고, 그 차이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가 증가되어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차이는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 값이다. 계산된 차이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가 증가되어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는 코딩에 최종적으로 사용되는 양자화 파라미터이다.
일 실시 예에서, 현재의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는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양자화 파라미터를 반영하고, 양자화 파라미터가 이미지 정밀도(fineness)을 반영한다. 초기 압축 비디오를 디코딩하여 획득된 데이터는 원본 비디오 대신 압축 비디오이다. 압축 비디오가 바람직하지 않은 품질을 가지면, 재 압축을 위한 작은 양자화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것이 재압축된 라디오(radio)의 품질을 향상시키지만, 비트레이트를 낭비한다. 따라서,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를 계산하기 위한 참조 값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차이가 클 때, 이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가 작고, 따라서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가 압축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차이에 따라 증가되는 것을 지시한다. 일 실시 예에서, 양자화 파라미터의 증가 조절 정도(increase adjustment degree)가 상기 차이와 양의 상관 관계에 있으며, 즉, 큰 차이가 양자화 파라미터의 증가 조정 정도를 크게 한다.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는 차이에 따라 적절히 증가된다. 따라서, 이 방법은 비트레이트의 낭비를 피하기 위해 코딩 압축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주관적인 품질(subjective quality)을 보장하면서 대응하는 대역폭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단계(S210)에서, 현재 코딩 유닛은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코딩된다.
일 실시 예에서,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는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최종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이다. 구체적으로, 현재 코딩 유닛은 조정에 의해 획득된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코딩되어 대응하는 압축 비디오를 획득한다. 계산된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가 증가되기 때문에, 비디오 압축률이 증가하여, 주관적인 품질을 보장하면서 대응하는 비트레이트를 감소시켜서, 대응하는 대역폭 비용을 감소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비디오 압축률이 개선되는 동안 비디오에서 중요한 콘텐츠(이하 "타깃 콘텐츠"로 지칭됨)에 대응하는 이미지 품질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현재 코딩될 비디오 프레임이 분석된다. 현재 비디오 프레임이 타깃 컨텐츠(예를 들어, 사람 얼굴)를 포함하면, 현재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는 증가되지 않는다.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에서, 초기 압축 비디오를 생성하기 위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가 획득되고,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가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와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에 따라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가 증가되어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최종적으로 현재 코딩 유닛이 타깃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코딩된다. 따라서, 주관적인 품질을 보장하면서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압축 효율이 향상되고 따라서 대역폭 비용이 감소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서,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코딩 유닛을 획득하고,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S204)는 단계(S204A) 내지 단계(S204C)를 포함한다.
단계(S204A)에서, 현재 비디오 프레임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이 획득된다.
일 실시 예에서,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은 초기 압축 비디오를 디코딩하는 것에 의해 획득된 비디오 프레임이다.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은 현재 비디오 프레임과 매칭하는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이다. 현재 비디오 프레임은 현재 코딩될 비디오 프레임이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초기 압축 비디오를 수신하고 초기 압축 비디오를 디코딩하여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며,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코딩될 비디오 프레임으로서 사용하여 비디오를 다시 코딩한다. 따라서, 코딩될 비디오 프레임과 초기 디코딩 프레임은 일대일 대응 관계를 갖는다. 코딩될 비디오 프레임과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 사이의 매칭 관계가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 대응하는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은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으로서 바로(directly)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현재 비디오 프레임은 다수의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과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비디오 프레임은 대응하는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 및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의 인접 디코딩된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과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압축 비디오가 디코딩되어, 각각 1, 2, 3, 4, 5 및 6 인 6개의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이 획득되며, 현재 코딩될 비디오 프레임은 3인 것으로 가정한다. 현재 비디오 프레임 3과 매칭되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은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응하는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 3은 매칭된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으로서 바로 사용되거나, 또는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 2, 3 및 4는 모두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들로서 사용된다.
단계(S204B)에서, 현재 코딩 유닛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코딩 유닛이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으로부터 획득된다.
일 실시 예에서, 현재 코딩 유닛은 현재 코딩될 코딩 유닛을 지칭하고, 현재 코딩 유닛은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 포함된다. 현재 코딩 유닛과 매칭되는 타깃 초기 코딩 유닛은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으로부터 획득된다. 코딩될 코딩 유닛과 초기 코딩 유닛 사이의 매칭 관계는 유사하게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서,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의 초기 코딩 유닛은 현재 코딩 유닛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코딩 유닛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다수의 초기 디코딩 유닛이 모두 현재 코딩 유닛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코딩 유닛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의 현재 코딩 유닛의 위치에 대응하는 초기 코딩 유닛이 현재 코딩 유닛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코딩 유닛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단계(S204C)에서, 타깃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가 결정된다.
일 실시 예에서,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는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와 비교하기 위해 사용되는 참조이며, 이어서,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조정된다. 구체적으로, 타깃 초기 코딩 유닛을 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가 획득되고,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가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계산된다. 일 실시 예에서,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 대응하는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의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가 획득될 수 없다고 가정하면, 인접하는(neighboring) 프레임들의 양자화 파라미터들이 서로 근접(close)하기 때문에 인접 프레임에 대응하는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가 대응하는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로서 획득될 수 있다. 이어서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가 결정된다. 일 실시 예에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는 미리 설정된 값만큼 감산되어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서,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코딩 유닛을 획득하고,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S204)는 단계(S204a) 내지 단계(S204c)를 포함한다.
단계(S204a)에서, 현재 비디오 프레임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이 획득된다.
일 실시 예에서,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은 초기 압축 비디오를 디코딩하는 것에 의해 획득된 비디오 프레임이다.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은 현재 비디오 프레임과 매칭하는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이다. 현재 비디오 프레임은 현재 코딩될 비디오 프레임이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초기 압축 비디오를 수신하고 초기 압축 비디오를 디코딩하여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고,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코딩될 비디오 프레임으로서 사용하여 비디오를 다시 코딩한다. 따라서, 코딩될 비디오 프레임과 초기 디코딩 프레임은 일대일 대응 관계를 갖는다. 코딩될 비디오 프레임과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 사이의 매칭 관계가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 대응하는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이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으로서 바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현재 비디오 프레임이다수의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과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비디오 프레임은 대응하는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 및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의 인접 디코딩된 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과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압축 비디오는 각각 1, 2, 3, 4, 5 및 6 인 6개의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기 위해 디코딩되고, 현재 코딩될 비디오 프레임은 3인 것으로 가정한다. 현재 비디오 프레임 3과 매칭되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은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응하는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 3이 매칭된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으로서 바로 사용되거나, 또는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 2, 3 및 4가 모두 매칭된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으로서 사용된다.
단계(S204b)에서,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가 획득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각각의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은 다수의 초기 코딩 유닛을 포함하고, 매칭된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이 획득된 후,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의 각각의 초기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가 획득된다.
단계(S204c)에서,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에 따라, 초기 코딩 유닛들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들이 정렬되어 정렬 결과를 획득하며, 정렬 결과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가 결정된다.
일 실시 예에서, 초기 코딩 유닛들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들이 획득된 후,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들은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들의 값에 따라 정렬되어 대응하는 정렬 결과를 획득한다.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이어서,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가 정렬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정렬에 의해 획득된 가장 작은(penultimate smallest)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가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먼저 10 % 작은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first 10% small initial quantization parameter)들이 획득될 수 있고, 10 %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들의 평균이 계산되며, 계산된 평균이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로서 사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정렬 결과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정렬 결과에서 가장 작은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정렬 결과가 획득된 후, 정렬 결과에서 가장 작은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가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로서 사용된다. 양자화 파라미터가 작을수록 더 좋은 정밀도를 지시하기 때문에, 정렬 결과에서 가장 작은 값이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로 사용되며, 이에 따라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에 대한 증가된 조정을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수행하는 것을 도와서, 대응하는 압축율을 향상시키고 대역폭 비용을 감소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코딩 유닛을 획득하고,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초기 압축 비디오에 대응하는 초기 비디오 코딩 표준을 획득하고,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 대응하는 현재 비디오 코딩 표준을 획득하는 단계; 초기 비디오 코딩 표준과 현재 비디오 코딩 표준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들 사이의 매핑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와 매핑 관계에 따라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트랜스코딩 전후에 상이한 비디오 압축 표준이 사용되면, 양자화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압축 품질이 서로 유사하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원래의 양자화 파라미터가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 대응하는 현재 비디오 코딩 표준에서의 양자화 파라미터에 매핑되어야 한다. 매핑 관계가 초기 비디오 코딩 표준 및 현재 비디오 코딩 표준에 따라 결정된다. 초기 비디오 코딩 표준과 현재 비디오 코딩 표준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매핑 전후의 양자화 파라미터의 값은 동일하며, 대응하는 수식은 f(qp) = qp 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초기 비디오 코딩 표준과 현재 비디오 코딩 표준이 상이하면, 대응하는 수식은
Figure pct00001
와 같이 표현될 수 있으며,
Figure pct00002
은 매핑 함수 F에서의 선형 이산 매핑 함수이다.
Figure pct00003
의 선택 규칙이
Figure pct00004
와 같이 표현되며,
Figure pct00005
은 초기 압축 비디오의 코딩 표준이고,
Figure pct00006
는 현재 비디오 코딩 표준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서,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를 결정하고, 그 차이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증가시켜서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S208)는 단계(S208A) 내지 단계(S208D)를 포함한다.
단계(S208A)에서, 상기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큰지가 판정되고, 만약 그렇다면, 단계(S208B)가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208D)가 수행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차이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 값이다.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큰지가 판정된다.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크면, 이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가 증가되어야 함을 지시한다. 이어서, 조정 계수가 획득되고, 조정 계수 및 차이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quantization parameter increment)이 계산된다.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크지 않으면,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는 조정될 필요가 없으며,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가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로서 바로 사용된다.
단계(S208B)에서, 조정 계수가 획득되고, 조정 계수 및 차이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이 계산된다.
일 실시 예에서, 조정 계수는 조정 정도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계수이며,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차이가 계산된 후, 대응하는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은 조정 계수 및 차이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정 계수와 차이의 곱(product)은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으로서 바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조정 계수와 차이 + 상수의 곱이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단계(S208C)에서,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가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 및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계산된다.
일 실시 예에서,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은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가 증가되는 조정량(adjustment amount)이고,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 및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에 대해 가산 연산(adding operation)이 수행되어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단계(S208D)에서,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가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로서 결정된다.
일 실시 예에서,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는 조정을 요구하지 않고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로서 바로 사용된다.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가 초기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므로,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는 초기 코딩 유닛이 코딩될 때 사용된 양자화 파라미터를 반영하고, 양자화 파라미터는 이미지 정밀도를 반영한다. 원본 비디오 대신에 압축 비디오가 초기 압축 비디오를 디코딩하는 것에 의해 획득되기 때문에, 압축 비디오가 바람직하지 않은 품질을 가지면, 작은 양자화 파라미터가 트랜스코딩에 사용되어도 비디오 품질은 더 향상될 수 없으며, 대신에 비트레이트가 낭비된다. 따라서,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크면, 이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가 지나치게 작다는 것을 지시한다. 이 경우, 비디오 품질이 더 개선될 수 없으며, 비트레이트가 낭비된다. 따라서,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는 코딩 압축률을 개선하고 비트레이트의 낭비를 피하기 위해 적절히 증가될 수 있어서, 주관적 품질을 보장하면서 대응하는 대역폭 비용을 감소시킨다.
특정 실시 예에서,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는 단면 함수(sectional function)를 사용하여 계산된다. 계산된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에 의해 감산된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보다 큰 경우,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는 조정될 필요가 없으며, 즉, 계산된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가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로서 바로 사용된다. 계산된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에 의해 감산된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대응하는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이 조정 계수 그리고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의 차이에 따라 계산된다. 그 다음에,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및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의 합과 동일하다. 구체적인 공식은 다음:
Figure pct00007
과 같다.
Figure pct00008
는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Figure pct00009
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나타내며,
Figure pct00010
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α는 조정 계수를 나타내며, β는 미리 설정된 임계 값을 나타낸다.
일 실시 예에서,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은 현재 비디오 프레임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는 단계; 및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현재 비디오 프레임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이 획득된 후,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가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계산된다. 일 실시 예에서, 초기 코딩 유닛들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들이 평균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를 계산하기 위해 직접 평균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들은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에 따라 정렬될 수 있고, 중간 위치에서의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값이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로서 사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코딩 전후에 사용된 비디오 코딩 표준이 상이하면, 계산된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는 최종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계산하도록 매핑된다.
조정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는,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타깃 차이(target difference)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타깃 차이에 따라 상기 조정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 - 조정 계수와 타깃 차이는 음의 상관 관계에 있음 - 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조정 계수가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에 따라 계산하는 것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계산된 차이는 "타깃 차이" 로 지칭된다. 과도한 조정을 피하기 위해 조정 계수와 타깃 차이가 음의 상관으로 설정된다. 즉, 타깃 차이가 큰 경우 계산된 조정 계수가 작고, 타깃 차이가 작은 경우 계산된 조정 계수가 크다. 일 실시 예에서, 조정 계수를 계산하기 위해 수식:
Figure pct00011
이 사용될 수 있으며, α는 조정 계수를 나타내고, k는 상수를 나타내며,
Figure pct00012
는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나타내고,
Figure pct00013
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조정 계수와 타깃 차이의 곱은 이미지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과도한 조정을 피하기 위해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으로 사용된다.
일 실시 예에서,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초기 코딩 유닛들을 인코딩하는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들의 평균 값을 계산하여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를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현재 비디오 프레임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이 획득된 후,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타깃 초기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가 획득되고, 초기 유닛들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들에 대해 평균 연산이 수행되어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며,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가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로서 바로 사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서,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은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 대응하는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비디오 프레임들을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단계는 다음 단계(S212A) 내지 단계(S212D)를 포함한다.
단계(S212A)에서, 초기 압축 비디오를 디코딩하는 것에 의해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이 획득되고,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 대응하는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가 계산되며,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초기 압축 비디오에 대응하는 비디오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가 획득된다.
일 실시 예에서,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은 초기 압축 비디오를 디코딩하는 것에 의해 획득된 비디오 프레임이다.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는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 대응하는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이다.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초기 코딩 유닛들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들을 획득하고, 초기 코딩 유닛들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들에 대한 평균 연산을 수행하여 평균을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로서 획득하는 것에 의해,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가 획득될 수 있다. 유사하게,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 대응하는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가 계산된 후, 초기 압축 비디오에 대응하는 비디오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는 초기 압축 비디오에서의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들에 대응하는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들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단계(S212B)에서,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의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와 비디오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보다 큰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그렇다면, 단계(S212C)가 수행되고, 또는 그렇지 않으면 단계(S212D)가 수행된다.
일 실시 예에서,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와 비디오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가 결정된다. 상기 차이가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예를 들어, 5)보다 큰 경우, 비디오 프레임은 제1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으로 결정되고; 그렇지 않으면, 비디오 프레임은 제2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으로 결정된다.
단계(S212C)에서,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과 매칭하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이 제1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으로서 결정된다.
단계(S212D)에서,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과 매칭하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이 제2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으로서 결정된다.
일 실시 예에서,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들은 비디오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와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의 차이에 따라 2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디코딩에 의해 획득된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이 코딩될 현재 비디오 프레임으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 및 현재 비디오 프레임은 일대일 대응 관계에 있다.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와 비디오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보다 큰 경우,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 대응하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이 제1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으로 결정되고; 그렇지 않으면,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 대응하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이 제2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으로서 결정된다. 코딩될 비디오 프레임을 2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에 의해, 상이한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에 대응하는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가 상이한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와 비디오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가 크면, 이는 비디오 프레임에서 초기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양자화 파라미터가 크고 대응하는 이미지 품질이 나쁘다는 것을 지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미지 품질이 바람직하다.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코딩될 비디오 프레임을 2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에 의해, 조정 계수는 상이한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조정 계수를 획득하고 조정 계수 및 차이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을 계산하는 단계(S208B)는, 현재 코딩 유닛을 포함하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이 제1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인 경우, 제1 조정 계수를 획득하고, 제1 조정 계수 및 차이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을 계산하는 단계; 및 현재 코딩 유닛을 포함하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이 제2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인 경우, 제2 조정 계수를 획득하고, 제2 조정 계수 및 차이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주관적인 품질을 보장하면서 압축 효율을 추가로 개선시키기 위해, 상이한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에 대해 상이한 조정 계수가 설정되고,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가 큰 비디오 프레임에 대해, 조정 계수가 대응하여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 대응하는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가 크므로, 이는 원본 프레임 이미지 품질이 이미 매우 나쁘다는 것을 지시한다. 따라서, 지금 작은 양자화 파라미터를 사용하더라도 코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없으므로, 압축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조정 계수가 증가된다. 반대로,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가 작은 비디오 프레임의 경우, 조정 계수가 대응하여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 솔루션의 내용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이 솔루션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서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디오 트랜스코딩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에 의해 압축되지 않은 비디오는 "원본 비디오(original video)"로 지칭되고, 단말에 의해 압축된 비트 스트림은 "첫번째로 압축된 비트 스트림(bitstream compressed for the first time)" 즉, 트랜스코딩될 비트스트림으로 지칭되며, 단말의 압축 프로세스는 "첫번째 압축(compression for the first time)"으로 지칭된다. 단말은 첫번째로 압축된 비트스트림을 서버로 업로드한다. 서버의 트랜스코딩 프로세스는 "첫번째로 압축된 비트 스트림의 디코딩(decoding of the bitstream compressed for the first time)"과 "두번째 압축(compression for the second time)"으로 나누어진다. 트랜스코딩 후 서버에 의해 획득된 비트 스트림은 "두번째로 압축된 비트스트림(bitstream compressed for the second time)"으로 지칭되며,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압축은 "두번째 압축"으로 지칭된다. 이 설명은 주로 서버의 트랜스코딩에 중점을 둔다. 구체적으로, 첫번째로 압축된 비트 스트림을 수신한 후, 서버는 먼저 첫번째로 압축된 비트 스트림을 디코딩하고, 첫번째로 압축된 비디오 프레임에서 각각의 코딩 유닛의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며,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각각의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두번째 압축 양자화 파라미터의 참조 값을 계산하고, 각각의 코딩 유닛의 두번째 압축 양자화 파라미터를 계산하며, 두번째 압축 양자화 파라미터의 참조 값에 따라, 계산된 두번째 압축 양자화 파라미터에 대해 증가 조정을 수행하여 두번째 압축 타깃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며, 두번째 압축 타깃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코딩 유닛을 코딩하여 두번째로 압축된 비트 스트림을 획득한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각각의 코딩 유닛에 대한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코딩 유닛을 코딩하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먼저, 인트라 예측 및 인터 예측에 의해 비디오 이미지의 공간적 중복성(spatial redundancy) 및 시간적 중복성(temporal redundancy)을 감소시키기 위해 예측이 수행된다. 다음으로, 변환(conversion)이 수행되고, 시간 도메인에서 주파수 도메인으로의 변환은 인접 데이터 간의 상관 관계를 제거하고, 즉 공간 중복성을 제거한다. 이어서, 양자화가 수행되고, 계산된 양자화 파라미터를 직접 사용하는 종래의 관행과는 달리, 계산된 양자화 파라미터는 압축 효율을 개선하고 비트 스트림 낭비를 피하기 위해 조정된다. 마지막으로, 코딩 유닛은 엔트로피 코딩(entropy coding)을 사용하여 코딩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서,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 단계(S901) 내지 단계(S909)를 포함한다.
단계(S901)에서, 초기 압축 비디오를 생성하기 위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가 획득된다.
단계(S902)에서, 현재 비디오 프레임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이 획득되고,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가 획득된다.
단계(S903)에서,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에 따라, 초기 코딩 유닛들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들이 정렬되어 정렬 결과를 획득하고, 정렬 결과에서 가장 작은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가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로서 결정된다.
단계(S904)에서,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가 계산된다.
단계(S905)에서,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가 계산된다.
단계(S906)에서,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큰지 여부가 판정되고, 만약 그렇다면, 단계(S907)가 수행되고, 또는 그렇지 않으면, 단계(S908)가 수행된다.
단계(S907)에서, 조정 계수가 획득되고, 조정 계수 및 차이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이 계산되고,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 및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가 계산된다.
단계(S908)에서,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가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로서 결정된다.
단계(S909)에서, 현재 코딩 유닛이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코딩된다.
흐름도의 단계들이 화살표 표시와 함께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단계들은 화살표로 표시된 순서에 따라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명확하게 기술되지 않는 한, 단계들을 수행하는 순서는 엄격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단계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일부 단계는 다수의 하위 단계(sub-step) 또는 다수의 스테이지(stage)를 포함할 수 있고, 하위 단계 또는 스테이지는 반드시 동일한 순간에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상이한 순간에 수행될 수 있으며, 하위 단계 또는 스테이지는 반드시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은 아니며, 하위 단계 또는 스테이지 그리고 다른 단계의 적어도 일부 또는 다른 단계의 하위 단계 또는 스테이지가 차례로 또는 교대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트랜스코딩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는, 초기 압축 비디오를 생성하기 위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 획득 모듈(1002);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코딩 유닛을 획득하고,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1004);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결정 모듈(1006);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를 결정하고, 그 차이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증가시켜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결정 모듈(1008); 및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을 코딩하도록 구성된 코딩 모듈(1010)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결정 모듈(1004)은 추가로, 현재 비디오 프레임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고;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으로부터 현재 코딩 유닛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코딩 유닛을 획득하며; 타깃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서, 결정 모듈(1004)은, 현재 비디오 프레임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고,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초기 코딩 유닛들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들을 획득하며; 그리고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에 따라, 초기 코딩 유닛들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들을 정렬하여 정렬 결과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하도록 구성된 정렬 모듈(1004A); 및 정렬 결과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 결정 모듈(1004B)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 결정 모듈은 추가로, 정렬 결과에서 가장 작은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결정 모듈(1004)은 추가로, 초기 압축 비디오에 대응하는 초기 비디오 코딩 표준을 획득하고,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 대응하는 현재 비디오 코딩 표준을 획득하며; 초기 비디오 코딩 표준과 현재 비디오 코딩 표준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들 사이의 매핑 관계를 결정하고; 그리고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와 매핑 관계에 따라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결정 모듈(1008)은 추가로,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클 때 조정 계수를 획득하고, 조정 계수 및 차이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을 계산하며; 그리고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 및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서, 비디오 트랜스코딩 장치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고,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 결정 모듈(1012)을 더 포함한다.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결정 모듈(1008)은 추가로,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타깃 차이를 계산하고; 타깃 차이에 따라 조정 계수를 계산하도록 - 조정 계수는 타깃 차이와 양의 상관 관계에 있음 -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 결정 모듈(1012)은 추가로,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며; 그리고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를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서, 비디오 트랜스코딩 장치는, 초기 압축 비디오를 디코딩하는 것에 의해 획득된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들을 획득하고,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들에 대응하는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들을 계산하며,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들에 따라 초기 압축 비디오에 대응하는 비디오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를 계산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 계산 모듈(1014); 비디오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와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의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보다 큰 경우,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과 매칭하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제1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으로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 유형 비디오 프레임 결정 모듈(1016); 및 비디오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와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과 매칭하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제2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 유형 비디오 프레임 결정 모듈(1018)을 포함하고,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결정 모듈(1008)은 추가로, 현재 코딩 유닛을 포함하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이 제1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인 경우, 제1 조정 계수를 획득하고, 제1 조정 계수와 차이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을 계산하며; 그리고 현재 코딩 유닛을 포함하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이 제2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인 경우, 제2 조정 계수를 획득하고, 제2 조정 계수 및 차이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을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터 디바이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컴퓨터 디바이스는 구체적으로도 도 1의 서버(120)일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시스템 버스를 사용하여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비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내부 메모리를 포함한다. 컴퓨터 디바이스의 비 휘발성 저장 매체는 운영 체제를 저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는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을 수행하게 된다. 내부 메모리는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을 저장할 수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는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을 수행하게 된다.
당업자는 도 14에 도시된 구조가 본 개시의 솔루션과 관련된 부분 구조의 블록도일뿐이며, 본 개시의 솔루션이 적용되는 컴퓨터 디바이스를 제한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컴퓨터 디바이스는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거나, 일부 구성 요소가 결합되거나, 상이한 구성 요소 배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 개시에서 제공되는 비디오 트랜스코딩 장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은 도 14에 도시된 컴퓨터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디바이스의 메모리는 비디오 트랜스코딩 장치를 형성하는 프로그램 모듈,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 획득 모듈(1002), 결정 모듈(1004),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계산 모듈(1006),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결정 모듈(1008), 및 코딩 모듈(101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에 의해 형성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의 단계를 수행하게 한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컴퓨터 디바이스에서, 도 10에 도시된 비디오 트랜스코딩 장치의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 획득 모듈(1002)은 초기 압축 비디오를 생성하기 위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결정 모듈(1004)은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코딩 유닛을 획득하고,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계산 모듈(1006)은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결정 모듈(1008)은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를 계산하고, 차이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증가시켜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데 사용된다. 코딩 모듈(1010)은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을 코딩하는 데 사용된다.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 디바이스이며, 메모리가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을 저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초기 압축 비디오를 생성하기 위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와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를 결정하고, 그 차이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증가시켜서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을 코딩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코딩 유닛을 획득하고,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는 단계;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으로부터 현재 코딩 유닛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코딩 유닛을 획득하는 단계; 및 타깃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코딩 유닛을 획득하고,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고;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에 따라 정렬하여 정렬 결과를 획득하고, 정렬 결과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정렬 결과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정렬 결과에서 가장 작은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코딩 유닛을 획득하고,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초기 압축 비디오에 대응하는 초기 비디오 코딩 표준을 획득하고,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 대응하는 현재 비디오 코딩 표준을 획득하는 단계; 초기 비디오 코딩 표준과 현재 비디오 코딩 표준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들 사이의 매핑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와 및 매핑 관계에 따라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를 결정하고, 그 차이에 따라, 그에 따라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증가시켜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클 때, 조정 계수를 획득하고, 조정 계수 및 차이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 및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는 추가로, 현재 비디오 프레임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는 단계; 및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되며, 그리고 상기 조정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는,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타깃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및 타깃 차이에 따라 조정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 - 조정 계수는 타깃 차이와 양의 상관 관계에 있음 -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초기 코딩 유닛들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들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들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를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는 추가로, 초기 압축 비디오를 디코딩하는 것에 의해 획득된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고,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 대응하는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를 계산하고,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초기 압축 비디오에 대응하는 비디오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단계; 비디오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와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의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보다 큰 경우,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과 매칭하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제1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으로 결정하는 단계; 비디오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와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과 매칭하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제2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조정 계수를 획득하고, 조정 계수 및 차이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을 계산하는 단계는, 현재 코딩 유닛을 포함하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이 제1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인 경우, 제1 조정 계수를 획득하고, 제1 조정 계수 및 차이에 따른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을 계산하는 단계; 및 현재 코딩 유닛을 포함하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이 제2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인 경우, 제2 조정 계수를 획득하고 제2 조정 계수 및 차이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비 휘발성 저장 매체가 제공되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초기 압축 비디오를 생성하기 위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와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를 결정하고, 그 차이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증가시켜서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을 코딩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코딩 유닛을 획득하고,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는 단계;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으로부터 현재 코딩 유닛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코딩 유닛을 획득하는 단계; 및 타깃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코딩 유닛을 획득하고,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는 단계;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에 따라 정렬하여 정렬 결과를 획득하고, 정렬 결과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정렬 결과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정렬 결과에서 가장 작은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코딩 유닛을 획득하고,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초기 압축 비디오에 대응하는 초기 비디오 코딩 표준을 획득하고,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 대응하는 현재 비디오 코딩 표준을 획득하는 단계; 초기 비디오 코딩 표준과 현재 비디오 코딩 표준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들 사이의 매핑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와 매핑 관계에 따라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를 결정하고, 그 차이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증가시켜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큰 경우, 조정 계수를 획득하고, 조정 계수 및 차이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 및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는 추가로, 현재 비디오 프레임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는 단계;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되고, 상기 조정 계수를 획득하는 단계는,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타깃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및 타깃 차이에 따라 조정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 - 조정 계수는 타깃 차이와 양의 상관 관계에 있음 - 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들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를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로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는 추가로, 초기 압축 비디오를 디코딩하는 것에 의해 획득된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고,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 대응하는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를 계산하며,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초기 압축 비디오에 대응하는 비디오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단계; 비디오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와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의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보다 큰 경우,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과 매칭하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제1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비디오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와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과 매칭하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제2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조정 계수를 획득하고, 조정 계수 및 차이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을 계산하는 단계는, 현재 코딩 유닛을 포함하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이 제1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인 경우, 제1 조정 계수를 획득하고, 제1 조정 계수 및 차이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을 계산하는 단계; 및 현재 코딩 유닛을 포함하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이 제2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인 경우, 제2 조정 계수를 획득하고, 제2 조정 계수 및 차이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당업자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의 방법의 일부 또는 모든 절차가 관련 하드웨어를 지시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프로그램은 비 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전술한 방법 실시 예에서의 절차가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공되는 실시 예들에서 언급된 임의의 메모리,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매체는 비 휘발성 및/또는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비 휘발성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lectrical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외부 캐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니라 설명을 위해, RAM은 SRAM(static RAM), DRAM(dynamic RAM), SDRAM(synchronous DRAM), DDRSDRAM(double data rate SDRAM), ESDRAM(enhanced SDRAM), SLDRAM(synchronous link(Synchlink) DRAM), 램버스(Rambus) 다이렉트 RAM(RDRAM), DRDRAM(direct Rambus dynamic RAM) 및 RDRAM(Rambus dynamic RAM) 과 같은 다수의 형태로 이용가능하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술적 특징들은 무작위로 조합될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해, 실시 예의 기술적 특징의 모든 가능한 조합이 설명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기술적 특징의 조합이 서로 충돌하지 않는 한, 기술적 특징의 조합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전술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몇몇 구현 예들만을 도시하고, 그 설명은 상세하지만, 본 개시의 특허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몇 가지 변형 및 개선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으며, 변형 및 개선은 모두 본 개시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특허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종속된다.

Claims (27)

  1.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으로서,
    컴퓨터 디바이스가, 초기 압축 비디오(initial compressed video)를 생성하기 위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상기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estimated coding quantization parameter)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를 결정하고, 상기 차이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증가시켜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을 코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상기 현재 코딩 유닛을 획득하고,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상기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현재 코딩 유닛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코딩 유닛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타깃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상기 현재 코딩 유닛을 획득하고,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상기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에 따라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정렬하여 정렬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정렬 결과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결과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정렬 결과에서 가장 작은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로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상기 현재 코딩 유닛을 획득하고,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상기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초기 압축 비디오에 대응하는 초기 비디오 코딩 표준을 획득하고,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 대응하는 현재 비디오 코딩 표준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초기 비디오 코딩 표준과 상기 현재 비디오 코딩 표준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들 사이의 매핑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상기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와 상기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를 결정하고, 상기 차이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증가시켜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큰 경우 조정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조정 계수 및 상기 차이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quantization parameter increment)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 및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상기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 계수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상기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타깃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타깃 차이에 따라 상기 조정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 - 상기 조정 계수는 상기 타깃 차이와 양의 상관 관계에 있음 -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상기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를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의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로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초기 압축 비디오를 디코딩하는 것에 의해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고, 상기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 대응하는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를 계산하며, 상기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초기 압축 비디오에 대응하는 비디오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비디오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와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의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보다 큰 경우, 상기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과 매칭하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제1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으로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비디오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와 상기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가 상기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과 매칭하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제2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으로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조정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조정 계수 및 상기 차이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코딩 유닛을 포함하는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이 상기 제1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인 경우,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제1 조정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조정 계수 및 상기 차이에 따라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코딩 유닛을 포함하는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이 상기 제2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인 경우,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제2 조정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조정 계수 및 상기 차이에 따라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0. 컴퓨터 디바이스로서,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을 저장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이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초기 압축 비디오를 생성하기 위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상기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를 결정하고, 상기 차이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증가시켜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을 코딩하는 단계
    를 수행하게 되는, 컴퓨터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상기 현재 코딩 유닛을 획득하고,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상기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현재 코딩 유닛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코딩 유닛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타깃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디바이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상기 현재 코딩 유닛을 획득하고,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상기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에 따라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정렬하여 정렬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정렬 결과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결과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정렬 결과에서 가장 작은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로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디바이스.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상기 현재 코딩 유닛을 획득하고,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상기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초기 압축 비디오에 대응하는 초기 비디오 코딩 표준을 획득하고,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 대응하는 현재 비디오 코딩 표준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초기 비디오 코딩 표준과 상기 현재 비디오 코딩 표준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들 사이의 매핑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상기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와 상기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디바이스.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를 결정하고, 상기 차이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증가시켜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큰 경우 조정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조정 계수 및 상기 차이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 및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은 추가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상기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를 수행하게 하고,
    상기 조정 계수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상기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타깃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타깃 차이에 따라 상기 조정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 - 상기 조정 계수는 상기 타깃 차이와 양의 상관 관계에 있음 -
    를 포함하는, 컴퓨터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상기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를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의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로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디바이스.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은 추가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초기 압축 비디오를 디코딩하는 것에 의해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고, 상기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 대응하는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를 계산하며, 상기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초기 압축 비디오에 대응하는 비디오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와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의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보다 큰 경우, 상기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과 매칭하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제1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으로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오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와 상기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가 상기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과 매칭하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제2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으로서 결정하는 단계
    를 수행하게 하고,
    상기 조정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조정 계수 및 상기 차이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코딩 유닛을 포함하는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이 상기 제1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인 경우, 제1 조정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조정 계수 및 상기 차이에 따라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코딩 유닛을 포함하는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이 상기 제2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인 경우, 제2 조정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조정 계수 및 상기 차이에 따라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디바이스.
  19.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비 휘발성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초기 압축 비디오를 생성하기 위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상기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를 결정하고, 상기 차이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증가시켜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을 코딩하는 단계
    를 수행하게 되는, 저장 매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상기 현재 코딩 유닛을 획득하고,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상기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현재 코딩 유닛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코딩 유닛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타깃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저장 매체.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상기 현재 코딩 유닛을 획득하고,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상기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에 따라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정렬하여 정렬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정렬 결과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저장 매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결과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정렬 결과에서 가장 작은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로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저장 매체.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 상기 현재 코딩 유닛을 획득하고,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상기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초기 압축 비디오에 대응하는 초기 비디오 코딩 표준을 획득하고,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 대응하는 현재 비디오 코딩 표준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초기 비디오 코딩 표준과 상기 현재 비디오 코딩 표준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들 사이의 매핑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상기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와 상기 매핑 관계에 따라 상기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저장 매체.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를 결정하고, 상기 차이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증가시켜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차이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보다 큰 경우 조정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조정 계수 및 상기 차이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 및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추정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타깃 코딩 양자화 파라미터를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저장 매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은 추가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과 매칭하는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상기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를 수행하게 하고,
    상기 조정 계수를 획득하는 것은,
    상기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와 상기 현재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타깃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타깃 차이에 따라 상기 조정 계수를 계산하는 단계 - 상기 조정 계수는 상기 타깃 차이와 양의 상관 관계에 있음 -
    를 포함하는, 저장 매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디바이스가, 상기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상기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타깃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서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고, 상기 초기 코딩 유닛을 인코딩하는 데 사용된 초기 양자화 파라미터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를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에서의 현재 코딩 유닛에 대응하는 상기 평균 참조 양자화 파라미터로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저장 매체.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은 추가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초기 압축 비디오를 디코딩하는 것에 의해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을 획득하고, 상기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에 대응하는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를 계산하며, 상기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초기 압축 비디오에 대응하는 비디오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와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의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보다 큰 경우, 상기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과 매칭하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제1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으로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비디오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와 상기 프레임 평균 양자화 파라미터 사이의 차이가 상기 미리 설정된 파라미터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초기 디코딩된 프레임과 매칭하는 현재 비디오 프레임을 제2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으로서 결정하는 단계
    를 수행하게 하고,
    상기 조정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조정 계수 및 상기 차이에 따라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코딩 유닛을 포함하는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이 상기 제1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인 경우, 제1 조정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조정 계수 및 상기 차이에 따라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코딩 유닛을 포함하는 상기 현재 비디오 프레임이 상기 제2 유형의 비디오 프레임인 경우, 제2 조정 계수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조정 계수 및 상기 차이에 따라 상기 양자화 파라미터 증분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저장 매체.
KR1020197035404A 2017-10-10 2018-06-28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 컴퓨터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KR102291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937011.6A CN109660825B (zh) 2017-10-10 2017-10-10 视频转码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201710937011.6 2017-10-10
PCT/CN2018/093318 WO2019071984A1 (zh) 2017-10-10 2018-06-28 视频转码方法、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115A true KR20200003115A (ko) 2020-01-08
KR102291570B1 KR102291570B1 (ko) 2021-08-19

Family

ID=66101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404A KR102291570B1 (ko) 2017-10-10 2018-06-28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 컴퓨터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51905B2 (ko)
EP (1) EP3697095A4 (ko)
JP (1) JP6881819B2 (ko)
KR (1) KR102291570B1 (ko)
CN (1) CN109660825B (ko)
MA (1) MA50765A (ko)
WO (1) WO20190719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84021B2 (en) 2019-03-15 2021-1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ing predicates in conditional transcoder for column store
CN110944200B (zh) * 2019-12-10 2022-03-15 南京大学 一种评估沉浸式视频转码方案的方法
CN111193924B (zh) * 2019-12-26 2022-01-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码率的确定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1107395B (zh) * 2019-12-31 2021-08-03 广州市百果园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转码的方法、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CN112203094B (zh) * 2020-11-16 2024-05-14 北京世纪好未来教育科技有限公司 编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333862B (zh) * 2021-11-10 2024-05-0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音频编码方法、解码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产品
CN116756589B (zh) * 2023-08-16 2023-11-17 北京壁仞科技开发有限公司 匹配算子的方法、计算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2756A (ja) * 1994-03-25 1995-11-28 Sanyo Electric Co Ltd 圧縮動画像符号信号の情報量変換回路、装置、及び方法
JP2005252609A (ja) * 2004-03-03 2005-09-15 Sony Corp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と符号化装置
JP2015186120A (ja) * 2014-03-25 2015-10-2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符号化方式変換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7969A (en) * 1995-02-23 1997-10-14 Motorola, Inc. Method, rate controller, and system for preventing overflow and underflow of a decoder buffer in a video compression system
US6441754B1 (en) * 1999-08-17 2002-08-27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transcoder-based adaptive quantization
JP3561485B2 (ja) * 2000-08-18 2004-09-02 株式会社メディアグルー 符号化信号分離・合成装置、差分符号化信号生成装置、符号化信号分離・合成方法、差分符号化信号生成方法、符号化信号分離・合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および差分符号化信号生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US20030215011A1 (en) * 2002-05-17 2003-11-20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oding compressed video bitstreams
KR100540655B1 (ko) * 2003-01-23 2006-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코딩시의 비트율 제어 방법 및 장치
JP4063204B2 (ja) * 2003-11-20 2008-03-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データ圧縮装置及びエンコーダ
US8295343B2 (en) * 2005-11-18 2012-10-23 Apple Inc. Video bit rate control method
CN101009829A (zh) * 2006-01-25 2007-08-0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可以及累积误差的比特元率转换编码方法,转换编码器,及集成电路
US8320450B2 (en) * 2006-03-29 2012-11-27 Vidyo,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coding between scalable and non-scalable video codecs
US20070274396A1 (en) * 2006-05-26 2007-11-29 Ximin Zhang Complexity adaptive skip mode estimation for video encoding
JP4624321B2 (ja) * 2006-08-04 2011-02-02 株式会社メガチップス トランスコーダおよび符号化画像変換方法
US8982947B2 (en) * 2007-07-20 2015-03-17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Rate control and video denoising for noisy video data
JP5427785B2 (ja) * 2007-09-28 2014-02-26 ドルビー ラボラトリーズ ライセンシ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ビデオ圧縮技法及びビデオ伝達技法
KR101599561B1 (ko) * 2007-10-05 2016-03-03 톰슨 라이센싱 비디오 인코딩 및 디코딩에서 레이트 제어 정밀도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1594525B (zh) * 2008-05-31 2011-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量化参数的获取方法、装置及转码器
JPWO2009157580A1 (ja) * 2008-06-27 2011-12-1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CN101888542B (zh) * 2010-06-11 2013-01-09 北京数码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视频转码的帧级码率控制方法及转码器
CN101924943B (zh) * 2010-08-27 2011-11-16 郭敏 一种实时的基于h.264的低比特率视频转码方法
JP6056122B2 (ja) * 2011-01-24 2017-01-1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と画像復号装置およびその方法とプログラム
BR122020013607B1 (pt) * 2011-03-11 2023-10-24 Sony Corporation Aparelho e método de processamento de imagem
CN102685478B (zh) * 2011-03-11 2015-04-29 华为技术有限公司 编码方法以及装置、解码方法以及装置
CN102685485B (zh) * 2011-03-11 2014-11-05 华为技术有限公司 编码方法以及装置、解码方法以及装置
US8804820B2 (en) * 2011-04-21 2014-08-12 Dialogic Corporation Rate control with look-ahead for video transcoding
JP5900163B2 (ja) * 2012-05-30 2016-04-0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763559B (zh) * 2014-01-09 2017-12-29 能力天空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视频文件转码方法
CN104202660A (zh) * 2014-09-15 2014-12-10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分片转码方法及装置
US10097828B2 (en) * 2014-12-11 2018-10-09 Intel Corporation Rate control for parallel video encoding
CN105992004B (zh) * 2015-02-13 2019-03-22 北京博雅华录视听技术研究院有限公司 基于视频编码标准的图像编码码率控制方法
CN104717507A (zh) * 2015-03-31 2015-06-17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转码方法及装置
CN106488227B (zh) * 2016-10-12 2019-03-15 广东中星电子有限公司 一种视频参考帧管理方法和系统
US10506196B2 (en) * 2017-04-01 2019-12-10 Intel Corporation 360 neighbor-based quality selector, range adjuster, viewport manager, and motion estimator for graphic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2756A (ja) * 1994-03-25 1995-11-28 Sanyo Electric Co Ltd 圧縮動画像符号信号の情報量変換回路、装置、及び方法
JP2005252609A (ja) * 2004-03-03 2005-09-15 Sony Corp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と符号化装置
JP2015186120A (ja) * 2014-03-25 2015-10-2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符号化方式変換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60825A (zh) 2019-04-19
EP3697095A4 (en) 2021-07-07
US10951905B2 (en) 2021-03-16
JP6881819B2 (ja) 2021-06-02
WO2019071984A1 (zh) 2019-04-18
MA50765A (fr) 2020-08-19
US20190320193A1 (en) 2019-10-17
CN109660825B (zh) 2021-02-09
KR102291570B1 (ko) 2021-08-19
JP2020519207A (ja) 2020-06-25
EP3697095A1 (en) 202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1570B1 (ko) 비디오 트랜스코딩 방법, 컴퓨터 디바이스 및 저장 매체
CN108848376B (zh) 视频编码、解码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JP6714695B2 (ja) 動的な解像度切換えを用いたリアルタイムビデオエンコーダレート制御
US114122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ncoding and decoding
CN108833918B (zh) 视频编码方法、解码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1213704B1 (ko) 가변 컬러 포맷 기반 동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그복호화 방법 및 장치
CN108924553B (zh) 视频编码、解码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2202867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encoding/decoding
US10931945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prediction information for encoding or decoding an image
US20120195369A1 (en) Adaptive bit rate control based on scenes
US11064211B2 (en) Advanced video coding method, system,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TW201640892A (zh) 樣本可調適之偏移控制
Schroeder et al. Efficient multi-rate video encoding for HEVC-based adaptive HTTP streaming
US20150172680A1 (en) Producing an Output Need Parameter for an Encoder
US9872032B2 (en) Autogressive pixel prediction in the neighborhood of image borders
CN101523915B (zh) 使用min-max方法的用于视频编码的两遍速率控制技术
US20160353107A1 (en) Adaptive quantization parameter modulation for eye sensitive areas
WO2013001013A1 (en) Method for decoding a scalable video bit-stream, and corresponding decoding device
Schroeder et al. Block structure reuse for multi-rate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US89380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ding using combinations
WO2023135518A1 (en) High-level syntax of predictive residual encoding in neural network compression
Sanz-Rodriguez et al. RBF-based QP estimation model for VBR control in H. 264/SVC
Jenab et al. Content-adaptive resolution control to improve video coding efficiency
KR102020953B1 (ko) 카메라 영상의 복호화 정보 기반 영상 재 부호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재부호화 시스템
WO202305059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video compre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