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3057A - 중공기관에 접속하고 그리고 시각화 하기 위한 기구(instrument for accessing and visualizing hollow organs) - Google Patents

중공기관에 접속하고 그리고 시각화 하기 위한 기구(instrument for accessing and visualizing hollow orga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3057A
KR20200003057A KR1020197035083A KR20197035083A KR20200003057A KR 20200003057 A KR20200003057 A KR 20200003057A KR 1020197035083 A KR1020197035083 A KR 1020197035083A KR 20197035083 A KR20197035083 A KR 20197035083A KR 20200003057 A KR20200003057 A KR 20200003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tubular
tubular element
sleeve
instrument
mouth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7534B1 (ko
Inventor
프란치스코 안토니오마리아 가르바냐띠
Original Assignee
폰다지오네 페르 라 쿠라 미니-인바시바 투모리 온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폰다지오네 페르 라 쿠라 미니-인바시바 투모리 온루스 filed Critical 폰다지오네 페르 라 쿠라 미니-인바시바 투모리 온루스
Publication of KR20200003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Mouthpieces
    • A61M16/0495Mouthpieces with tongue depres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54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guiding arrangements for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1Guiding arrangements theref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6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spiratory tract, e.g. laryngoscopes, bronchoscopes
    • A61B1/2676Bronc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3Tracheal tubes combined with suction tubes, catheters or the like; Outside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5Tracheostomy tubes; Devices for performing a tracheostomy; Accessories therefor, e.g. masks,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75Tracheal tubes having openings in the tube
    • A61M16/0477Tracheal tubes having openings in the tube with incorporated means for delivering or removing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6Multi-lumen trache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Mouthpieces
    • A61M16/0493Mouthpiece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tube from damage caused by the patient's teeth, e.g. bite bl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05Means for improving the adaptation of the mask to the patient
    • A61M16/0627Means for improving the adaptation of the mask to the patient with sealing means on a part of the body other than the face, e.g. helmets, hoods or d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5Control of fluid supply or evac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7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upper alimentary canal, e.g. oesophagoscopes, gast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1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for stereotaxic surgery, e.g. frame-based stereotaxis
    • A61B90/14Fixators for body parts, e.g. skull clamps; Constructional details of fixators, e.g. pins
    • A61B90/16Bite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66Saliv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3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visual feed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ndoscop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중공기관에 접속하고 그리고 시각화하기 위한을 위한 기구(100)로서, 상기 기구(100)는 환자의 입에 피팅되도록 구성된 마우스피스(110)를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피스(110)는 천공 마스크(111) 및 일반적으로 상기 천공 마스크(111)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하도록 연장하고 채널을 정의하는 원통형 또는 난형(ovoid)을 갖는 슬리브(112)를 포함하고, 상기 기구(100)는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타액 및 다른 유체를 흡입하는데 적절한 흡입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 수단은 상기 슬리브(112)가 형성된 측면 상에서 마스크(111)에 제한되는 흡입 챔버(120) 또는 폐쇄 체적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 챔버(120)는 주변 환경과의 유체 연통을 허용하도록 적응된 복수의 관통 개구들(116)를 포함하고, 마스크(111) 상에 형성된 흡입 개구(120)와 연통하는 흡기구(117)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 개구들(116)은 흡입 챔버(120)를 한정하는 돔 형상 부재(115)의 스커트 상에 형성되는, 기구(100).

Description

중공기관에 접속하고 그리고 시각화 하기 위한 기구(INSTRUMENT FOR ACCESSING AND VISUALIZING HOLLOW ORGAN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중공기관(中空器管)에 접속하고 그리고 시각화 하기 위한, 그리고 특히 위 내시경(esophagus-gastro-duodenoscopy) 및 후두 기관지 내시경(laryngo-bronchoscopy) 절차에 있어서 내시경을 가이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구는 일반적으로 선택(election) 및 응급 레짐(regime) 모두에서 수행되는 전신마취 절차에서 환자의 삽관 및 환기에 사용될 수 있다.
위 내시경은 상부 위장관(gasto-enteric tube)의 질환을 진단하고, 그리고 선택된 경우에는 치료하기 위해 전문적인 의사들에 의해 수행되는 기구적 검사이다. 검사는 내시경을 환자의 구강으로 주입하고 그리고 그것의 팁을 위, 십이지장구(duodenal bulb), 그리고 십이지장 내림부분(descending duodenum)에 닿도록 인두와 식도 사이로 전진시키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후두 기관지 내시경은 인두, 기도 및 엽기관지(lobar bronchi)의 질병을 진단하고, 그리고 선택된 경우들에 있어서는 치료하기 위해서, 그리고 폐의 조직의 염증을 일으키는 또는 종양적 질병의 배양적(cultural), 의료적 및/또는 조직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전문가에 의해 수행되는 기구적 검사이다. 또, 이 경우에 검사는 환자의 입이나 코를 통해서 기관지계로 내시경을 주입함에 의해 수행된다. 내시경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싸개에 의해 코팅된 플렉서블 튜브형 바디(flexible tubular body)를 포함한다. 내시경들은 4 내지 10mm 범위 사이의 직경을 가지고 적절히 구부러질 수 잇는 반강성 팁을 가진다. 비전 시스템들(예를 들면, 광학 섬유들) 및 시술 기구들(예를 들면, 조직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기구들)의 주입을 허용하는 여러 채널들은 축 방향에서의 플렉서블 튜브형 바디 내에서 얻어진다. 내시경의 튜브형 바디는 또 그것의 팁의 굴곡, 연장 및 구부러짐을 허용하는 적절한 타이 로드(tie rod)들을 수용한다. 더 구체적으로, 외부 핸드피스들에 의한 타이 로드들에서의 작용에 의하여, 의료 전문가는 내시경의 팁을 곡선이 되도록(curving) 그리고/또는 연장하도록 그리고/또는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이것이 관통하는 다양한 공동들로 내시경을 가이드할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환자의 구강으로의 내시경의 주입은 내시경 그 자체를 물리는 피해의 위험에 노출시킨다. 실제로, 내시경 검사 동안의 환자는 의도적이지 않게 이빨을 조여서 기구의 피복에 피해를 입힐 수 있다. 피복의 상처는 그 내부에 포함된 구조물들에 회복할 수 없는 피해를 주는, 액체들의 내시경의 튜브형 바디 내로의 진입을 결정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환자의 입으로 삽입되는 마우스피스가 사용된다. 이 마우스피스는 그의 머리 주변을 둘러싸는 고무 밴드에 의해 환자의 입에 고정되도록 설계된 마스크를 포함한다. 마스크는 그곳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짧은 거리를 수직하여 연장하는 원통형 또는 난형(ovoidal) 형상의 슬리브가 제공되며, 그럼으로써 환자가 비자발적으로 그것을 깨무는 것을 방지하면서 내시경의 가이드 채널로 그리고 보호 요소로 활동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위 내시경 또는 후두 기관지 내시경의 수행은 내시경의 피복과의 접촉에 덜 민감한 혀와 목구멍을 만들기 위하여 구강의 전신마취를 포함하는 환자의 적절한 준비를 요구한다. 내시경의 주입 동안에 그리고 내시경 검사의 전체 기간 동안에, 환자는 침대에 누워 있고 일반적으로 흡수성 천이나 흡입 튜브로 수동으로 빨아들여지는, 식도로부터 공동으로 배출된 타액과 다른 액체들을 그의 입으로부터 흡인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왼쪽으로 누워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에도 불구하고, 위 내시경 및 후두 기관지 내시경은 구강으로 내시경을 주입할 때, 검사될 중공기관으로 기구를 전진시킬 때 그리고 조직 샘플들을 샘플링 할 때 환자에게 상당히 짜증스러운 침습적인 검사이다.
이러한 짜증은 본질적으로 두 요소에 의해 유도된다. 제 1 면에서, 경구개의 하부 벽, 연구개의 전면 벽 및 인두의 후면 벽에서의 내시경의 전진과 후퇴의 반복적인 움직임 동안의 내시경 피복의 문지름이 있다. 반면, 다만 내시경의 존재에 의해 방해되고 불가능하게 되는, 환자에 있어서 비자발적인 삼키는 반사 작용을 유발하는 다량의 타액이 존재한다. 이는 메스꺼움과 구역질의 느낌 및 지속적인 기침과 질식의 감각을 유발하는 원하지 않는 흡입을 야기한다.
일반적인 전신마취를 수행하기 위한 기도 삽관은, 반듯이 눕고 강제로 경추가 과신장된 환자에 있어서 강성 블레이드 후두경으로(가능하다면 결합된 시각적 시스템들을 구비한) 혀를 낮추는 것과 혀를 움직이는 것에 의하여 획득되는 인두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시각화 동안에 앵커 벌룬(anchor balloon)을 구비한 전용 튜브의 위치 결정에 의해 수행된다. 어려운 삽관(예를 들면, 고도 비만에서 또는 해부학적인 기형이 있는 환자 등)의 경우에서, 전신마취 전용튜브는 가이드 맨드릴(mandrel)로서 일반적인 플렉서블 후두경을 사용하여 삽입될 수 있다. 강성 후두경의 사용과 관련된 일반적인 문제들은 보상 청구의 민형사상 사건을 야기하는 영구적인 손상으로 이어지는, 입술, 혀, 이, 잇몸 및 성대의 트라우마와 손상을 결정하는, 전신 마취의 주입 단계에서의 투여된 약물에 의해 유발되는 무호흡으로 인한 급격한 구강으로의 강성 후두경의 주입으로 인한 트라우마와 연관된다. 전신마취의 유발 단계에서의 비삽관의 위험은 신경의 가능한, 심지어 심각한 손상과 함께 심각한 그리고 지속적인 저산소증을 발생시킬 수 있다. 어려운 삽관의 경우에, 플렉서블 후두경은 내시경 컬럼(column) 시술실로의 비싸고, 상시적으로 가능하지는 않은 프로그램된 변위를 요구하고, 살균을 요구하는 비전용 광학 시스템의 사용을 요구한다.
WO2014/121199 A1 및 US 4848331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기구를 설명한다. 이 기구들은 마스크의 반대 사이드에 배열된 관통 개구를 구비한 흡입 챔버(즉, 환자의 인두를 마주보는)가 제공되어, 흡입 챔버가 상대적으로 감소된 양의 타액을 흡입할 수 있지만 그 대신 피막(velum)을 흡인하는 위험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포착되고 해결되는 기술적 문제점은 따라서, 선행기술을 참조하여 위에 언급된 단점들을 극복하도록 하는 중공기관에 대한 비전에 접속하기 위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들은 종속항들의 대상이다.
중공기관에 접속하고 시각화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구는 환자의 입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구강에 존재하는 타액과 다른 유체의 흡인을 위한 수단을 구비한 마우스피스를 포함한다. 그러한 흡입 수단은 환자의 입을 향해 향하도록 의도된 마스크의 측면에 배열된 챔버, 또는 폐쇄 체적으로 만들어진다. 흡입 챔버는 그 후 환자의 구강으로 사용되도록 주입된다.
흡입 챔버는 바람직하게는 마우스피스 슬리브와 동축으로 만들어지고 환자의 구강과 연통하기 위한 복수의 구멍들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구멍들은 시술자를 마주보는 면 상에 있는 마스크에서 획득되고 흡입 챔버를 흡입 튜브와의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 외부와 연통하도록 한다.
중공 바디에 접속하고 시각화하기 위한 기구는 마우스피스 슬리브에 삽입될 수 있는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는 일반적인 전신마취의 유도 단계에서, 슬리브를 넘어(기구의 시술 구성에서) 그것의 원위 단부가 환자의 위 내시경의 경우에 환자의 윤상연골반두의 링을 넘어 위치하도록 또는 기도에서 기관지경 검사 또는 기도 접속의 경우에 성대를 넘어 위치하도록 하는 길이로 연장한다.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는, 모든 경우에 그것의 원위 단부가 위치된 부재 내에서의 내시경, 흡입 시스템 또는 다른 시술 기구들의 주입을 허용하도록 곡선 채널을 형성한다.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는 그것의 원위 단부가 식도 또는 기도에 정확히 위치되었을 때 마우스피스에 부착되도록 하는 근위 단부에서의 잠금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는 제거 가능하도록 마우스피스의 슬리브에 삽입되며, 따라서 환자의 나이, 성별, 구강의 크기 및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상이한 길이를 갖는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의 교환가능한 사용 및 개별 컴포넌트의 구조를 단순화를 허용한다.
바람직하게,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는 기도에 앵커링되어, 환자의 삽관을 위한 기구의 직접적 사용을 허용하는, 방사 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원위 부분(예를 들면, 벌룬)이 제공될 수 있다. 튜브형 부재의 원위 단부에서의 벌룬 확장가능 부분은 튜브형 요소 그 자체의 벽에 포함된 외부와의 연통 채널을 통해 팽창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에 앵커링된 튜브형 요소의 근위부에 인공호흡기를 연결함에 의하여 환자를 환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 특징은 위 내시경 및 후두 기관지 내시경과 같은 내시경의 검사뿐만 아니라 현재 사용되는 강성 기구가 사용되는 일반적인 전신마취 절차에서의 환자의 삽관에 있어서 중공기관에 대한 접속 및 시각화를 위한 기구의 사용을 허용한다.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는 (예를 들어, 광학 섬유들과 같은) 그것의 벽 내에, 소화 시스템의 상부 관의 내시경술의 실행 동안에 기도(일반적인 전신마취 하에서 수행되는 외과적 시술의 기간 동안에)와 근위 식도의 계속적인 비전을 허용하는 비전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는 그 벽에 전체 전신마취 절차 동안에 기관지 분비물의 흡입을 허용하는 시술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중공기관에 접속하고 그리고 시각화하기 위한 기구는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 내로 제거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성된 튜브형 주입 맨드릴을 포함할 수 있다. 주입 맨드릴은 외부 핸드피스에 의해 조작가능한, 시술자가 튜브형 요소를 식도, 기도 또는 위로 가이드하는 팁을 풀고 연장할 수 있는 적절한 타이 로드들을 포함한다. 이는 기구의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의 위치 결정 동안에, 환자의 관심 있는 공동 또는 구강의 시각화를 허용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주입 맨드릴은 상처를 남기지 않는 부드러운 소재로 만들어진, 무디고 둥근 팁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기관에 접속하고 시각화하기 위한 기구의 마우스피스는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슬리브와 제 1 및 제 2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들 중 하나는 그 환자의 기도 내에서 그것의 잠김을 허용하도록 적응된 방사 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부분(예를 들면, 벌룬 형상의)을 포함한다.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이 구성은, 환자가 기도 내에 삽입될 수 있고 막힐 수 있는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를 통하여 환기될 수 있고 동시에 내시경들과 외과적 기구들이 다른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를 통해 소화관으로 주입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전신마취 하에서 진정한 외과적 시술의 수행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기관에 접속하고 그리고 시각화하기 위한 기구는 바람직하게는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환자의 위 또는 기관지에 닿기에 적절한 길이를 가지는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진 플렉서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가이드는 환자가 견디는 불편함과 고통을 최소화하면서 조직검사와 폴립(polyp)들, 종양들 등의 제거를 위한 실질적인 조정을 위한 내시경들과 외과적 기구들의 주입을 허용하는, 축 방향으로 획득되는 복수의 내강을 포함한다. 플렉서블 가이드는 실제로, 내시경들과 외과적 기구들을 그것을 통해 가이드하고 이동시킬 수 있는 고정된 채널을 형성한다. 이러한 특징들의 조합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중공기관에 접속하고 그리고 시각화하기 위한 기구는 위 내시경 또는 기관지경을 수행하는 동안 환자가 견디는 불편함, 고통, 메스꺼움 및 토하는 느낌을 극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실제로, 흡입 챔버의 존재로 인해, 타액과 다른 유체들은 검사 기간 전체 동안에 흡인하고, 그에 의해 환자가 경험하는 기침의 시작과 숨막히는 느낌을 피하고, 식도 내의 내시경의 존재에 의해 불가능해진 삼킴 반사로 인한 메스꺼움과 토하는 것의 느낌을 최소화한다.
환자의 구강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된 위치에서의 식도 또는 기도의 초기 관에서의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의 위치는 절차 동안에 반복되는 전진 및 후퇴의 움직임으로 인한 인두 점막에서의 내시경의 문지름을 제거하고, 그에 의해 인두에서 기구에 의해 야기되는 문지름으로부터의 미세외상으로 인한 찌름(thrust)과 고통의 느낌 및 메스꺼움 및 토하는 것의 느낌을 더 감소시킨다. 또, 시각 시스템이 제공되는 맨드릴 팁의 비스듬한 형상은 식도의 천공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을 허용하고 식도 게실(diverticula)로의 진입을 피하도록한다.
중공기관에 접속하고 그리고 시각화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구가 일반적인 전신마취 절차를 위해 사용될 때, 이점은 상당히 명백하다. 시각 시스템이 구비된 맨드릴을 삽입하는 것에 의한 마우스피스 슬리브를 통한 기도의 선택적인 삽관은 입 및 구강(입술, 혀, 잇몸, 이 및 구개)의 구조 및 인두(피막)에서의 구조 및 후두(성대)의 구조에서 강성 후두경에 의해 야기되는 외상을 방지한다. 직접적인 비전으로 주입하는 것은, 기도에 정확히 접속하는 것을 정확히 수행하고 확실히 결정하도록 하고, 그에 의해, 기본적인, 전통적인 타입의 강성 후두경의 삽관의 어려움과 관련된 연장된 저산소증의 가능성을 피하고 기도 접속을 확실하고 명확한 방식으로 위치시킨 후 큐라레 등에 의해 호흡 마비를 유도한다. 정확한 위치의 확실성은 시각적이고 직접적이어서, 비만 환자들에서의 문제, 마취사의 청각적 문제들 등과 같은 그 사용과 관련된 알려진 문제를 가진 청진기가 필요하지 않다.
전술한 이점들에 더하여, 플렉서블 후두경을 전신마취 튜브를 가이드하기 위한 맨드릴로서 사용하는 것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기구는 수술실에서 내시경 컬럼의 사용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 내시경은 살균되어 공급되므로 내시경을 살균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나아가, 마우스피스에 묶인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는 시술 동안 기도와 엽기관지의 지속적인 비전 및 가능한 목표화된 기관지 분비물의 흡인을 허용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되는 추가적인 이점은 중공기관에 접속하고 그리고 시각화하기 위한 기구가 현재 이용가능한 내시경술 기구들에 비해 대체적으로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덜 비싸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용의 다른 이점들, 특징들 및 방법들은 이하 몇몇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고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에 대해 참조가 이루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중공기관에 접속하고 그리고 시각화하기 위한 기구의 상부 평면도, 측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선 IV - IV를 통과하는 평면에서의 중공기관에 접속하고 그리고 시각화하기 위한 기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맨드릴을 주입함 없이 본 발명에 따른 중공기관에 접속하고 그리고 시각화하기 위한 기구의 종단면 사시 분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변형에 따른 중공기관에 접속하고 그리고 시각화하기 위한 기구의 상부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에 따른 중공기관에 접속하고 그리고 시각화하기 위한 기구의 상부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변형에 따른 중공기관에 접속하고 그리고 시각화하기 위한 기구의 종단면에서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공기관에 접속하고 그리고 시각화하기 위한 기구는 일반적으로 참조번호 100에 의해 표시된다.
기구(100)는 환자의 입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마우스피스(110)를 포함한다. 알려진 방식으로, 마우스피스(110)는, 천공(예를 들면, 중앙에)된 마스크(111),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마스크(111)에 형성된 구멍에서 실질적으로 그로부터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을 가지는 슬리브(112)를 포함하고, 그에 의해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의 주입을 허용하는데 적합한 채널을 정의한다. 알려진 방식으로, 마스크(111)는 예를 들면 원형의, 슬리브(112)의 축(A)에 대해 그 반대 단부에서 획득되고 그리고 일단 마우스피스(110)가 환자의 입으로 삽입되면 영구적으로 그 위치에 마스크(111)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 또는 다른 적절한 소재인 밴드 어셈블리(미도시)를 허용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관통 개구(113, 114)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우스피스(110)는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타액 및 다른 유체들을 흡인되게 하기 위한 수단들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흡입 수단들은 환자의 입을 마주하도록 의도된 마스크(111)의 측면(즉, 슬리브(112)가 그 위에 형성되는 측면)에 배열된 흡입 챔버(120), 또는 폐쇄 체적으로 구현된다. 공간 상의 이유로 흡입 챔버(120)는 바람직하게는 마우스피스(110)와 동축으로(coaxially) 이루어지고 그리고 마스크(111)와 연결된 바닥 및 슬리브(112) 그 자체의 자유 단부에 연결된, 입이 그 뒤에 있는 상부를 가지는 돔 형상 부재(115)에 의해 한정된다.
하나 이상의 관통 개구들(116)은 챔버(120)가 주변 환경과 유체 연통하도록 위치시키기 위해 돔 형상 부재(115)의 스커트에서 제공된다. 기구(100)의 시술 상태에서, 주변 환경은 특히 환자의 구강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개의 관통 개구들(116), 특히 세 쌍의 관통 개구들(116) 은 슬리브(112)에 대하여 반대 위치에 배열된다.
돔 형상 부재(115)는 특히 마스크(111)를 향해 커지는 실질적으로 타원형의 단면을 가진다. 관통 개구들(116)은 바람직하게는 돔 형상 부재(115)의 실질적으로 타원형인 단면들의 주축을 따라 배열된다.
관통 개구(117)는 흡인기(미도시)와 마우스피스(110)의 챔버(120)에 연결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마스크(111) 상에 제공된다. 따라서 기구(100)의 시술 상태에서 흡입 챔버(120)의 전술한 구성은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유체의 수집 및 제거를 허용한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관통 개구(117)는 외부를 마주하도록 의도된 마스크(111)의 표면(즉, 챔버(120)가 위치한 곳의 반대편의 표면) 상에 형성된 컬럼(118)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 구성은 흡인기의 장착(mounting)을 돕는다.
중공부재에 접속하고 시각화하기 위한 기구(100)는 슬리브(112)에 삽입되는 또는 삽입가능한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130)를 더 포함한다.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130)는 플렉서블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지고 그것의 외부 벽은 바람직하게는 나선식 스프링과 같은 메탈 소재로 강화될 수 있다.
플렉서블 튜브형 부재(130)의 원위 단부는 슬리브(112)의 원위 단부(즉, 마스크(111)에 결합된 단부에 반대편인 자유 단부)를 넘는 거리로 돌출하고, 사용시에 환자의 구강에서(예를 들면, 위 내시경의 경우에 인두와 식도 사이, 또는 후두 기관지 내시경의 경우에 인두와 후두 사이) 살짝 곡선인 구성에 따라 배열된 고정 가이드의 기능을 갖는다.
중공기관에 접속하고 그리고 시각화하기 위한 기구(100)의 시술 구성에서,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130)는 그 원위 단부가 위내시경의 경우 환자의 윤상연골인두의 링을 넘어 또는 후두 기관지 내시경의 경우에 성대를 넘어서 위치되도록 하는 길이를 갖는다.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130)는 구강과 인두의 벽에 접촉하는, 후자 없이도 전통적인 내시경의 전진 및 후퇴의 조작 및 통로를 허용하고, 그에 의해 2차 외상성 상해를 줄이고 따라서 마우스피스(110)와 관련된 흡입 챔버(120)와의 시너지로 환자가 견디는 불편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130)는 마우스피스(110)의 슬리브(112)에 제거 가능한 방식으로 삽입된다. 이 목적을 위해,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130) 및 마스크(111)는 보완적 형상의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예를 들어, 튜브형 요소(130)의 외부 벽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방사형 프로젝션(131) 및 슬리브의 인렛(inlet)에서 마스크(111)에 형성된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시트).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직경에 대해서 반대편인 프로젝션들(131)이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130)과 마스크(111) 사이의 연결 수단은 스냅 락(snap lock)을 정의하고, 따라서 연결을 안정화하고 두 부분 사이에 발생하는 어셈블리를 확인하기 위한 촉각적이고 청각적인 피드백을 제시한다. 연결 수단은 자석의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기관에 접속하고 그리고 시각화하기 위한 기구(100)는 환자의 구강에서 기구(100) 그 자체의 위치 결정 및 주입 동안에 튜브형 요소(130)에 제거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그에 이어서 튜브형 요소(130)를 통한 접속을 허용하도록 후퇴되는 주입 맨드릴(140)을 더 포함한다. 도 1, 도 2 및 도 4에서 주입 맨드릴(140)은 부분적으로 단면으로 도시되고 튜브형 요소(130)의 대략 중간까지 삽입된다. 기구(100)의 시술적 구성에서, 주입 맨드릴(1400)의 원위 단부는 튜브형 요소(130)의 원위 단부를 넘는 거리로 돌출하고, 따라서 환자의 구강, 식도 또는 기도에서 가이드 및 위치 결정을 허용한다.
주입 맨드릴(140)은 점진적으로 크로스된(progressively crossed) 공동들의 곡선에 적응하기 위한 굴곡 및 연장을 허용하는 개별적 핸드피스들(둘 모두 미도시)과 연관된 타이로드들을 포함한다. 주입 맨드릴(140)은 중공기관에 접속하고 그리고 시각화하기 하기 위해서 그 구강 내에서의 움직임을 돕고 따라서 기구(100)의 위치 결정을 뒷받침하는, 그 원위 단부와 연관된 비전 시스템을(예를 들면, 광학 섬유 시스템과 같은)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튜브형 요소(130)는 그 자체로 주입 맨드릴로서 행동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 이것은 기도 내강에 접속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적응된 제거 가능한 코어 및 점진적으로 크로스된 공동들의 곡선에 적응시키기 위해 굴곡 및 연장을 허용하는 각각의 핸드피스들과 연관된 타이로드들이 제공될 수 있다.
기구(100)의 위치 결정 동안에, 마스크(111)는 환자의 입술에 대해 접해서 정지 요소로 행동하고 그리고 관통 개구들(113, 114)에 마운트 된, 이 목적을 위해 적절한 탄성 밴드 또는 다른 소재들에 의해 이 위치에 잠겨있다. 흡입 챔버(120)는 따라서 위 내시경 또는 후두 기관지 내시경의 수행 동안에 타액 및 다른 유체들의 흡인을 허용하기 위해 구강에서 위치되고, 그리고 슬리브와 시너지를 내면서 동시에 환자가 내시경의 피복을 클램핑(clamping)하는 것을 막는 보호 요소의 기능을 수행한다.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130)의 원위 단부는 대신, 수행되어야만 하는 검사에 따라 환자의 식도 또는 기도에 삽입된다. 흡입 챔버(120) 및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130)의 초기 부분은 또 환자의 혀를 자연스럽고 그리고 고정된 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허용한다.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130)는 바람직하게는 원위부로 귀결되는, 그것의 벽에서 획득되는 관통 개구에 삽입되거나 삽입될 수 있는 비전 시스템(예를 들면, 광학 섬유)이 제공될 수 있다. 비전 시스템의 제공은 그것이, 일단 주입 맨드릴(140)이 제거되더라도 환자의 공동에 대한 비전을 허용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기관에 접속하고 그리고 시각화하기 위한 기구는 일단 주입 맨드릴(140)이 제거되면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130)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플렉서블 가이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가이드(150)의 길이는 플렉서블 튜브형 부재(130)의 길이보다 길고 예를 들면 환자의 위와 그의 기관지계에 닿는 것을 허용하는데 적절할 수 있다.
플렉서블 가이드(150)는 내시경들, 흡입 튜브들, 액체 또는 조직 검사, 폴립들이나 종양들을 제거하기 위한 외과적 조정들 및 다른 수술적 절차들을 수행하기 위한 외과적 기구들의 인젝션 튜브들(injection tubes)의 주입을 허용하는 축 방향에서 획득되는 다양한 길이들의 복수의 내강들(151)을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에서 이러한 내강들은 도식적으로 파선으로 지시된다. 플렉서블 가이드(150)가 내시경의 가이드와 보호 및 결과적인 환자의 불편과 고통의 감소의 관점에서 동일한 이점을 제공하면서,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130)의 연장을 구성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130)는 방사 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원위 부분(예를 들면, 그것의 외부 벽에 형성된 적절한 채널을 통한 기체들 또는 액체들의 흡입에 의하여 벌룬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원위 확장 가능 부분(132)은 환자의 기도에 밀봉하여 잠기도록 구성되고, 그에 의해 마우스피스(110)에 고정된 튜브형 요소(130)의 근위 단부에 호흡 장치의 연결 시에 그의 환기를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구(100)는 따라서 도 6 및 도 7에서 예시된 것과 같이, 바람직하게는 내시경 절차를 위해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선택적이거나 긴급한 절차에서 수행되는 일반적인 전신마취 절차에서의 삽관 및 환기를 위해 사용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들에 따르면 중공기관에 접속하고 그리고 시각화하기 위한 기구(100)의 마우스피스(110)는 한 쌍의 슬리브들(112, 112')(예를 들면, 대응하는 튜브형 플렉서블 요소들(130, 130')을 구비한 흡입 챔버(120)를 통해 평행하게 배열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는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130, 130')의 기구(100)를 통한 주입을 환자의 소화관 및 호흡관 둘 모두에서 허용하고 따라서 예를 들어, 동일한 기구(100)가 두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들(130) 중 하나를 사용하는 내시경의 주입 및 가이드 및 방사 방향으로 확장하는 원위 단부(132)를 구비한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130)를 사용하는 환자 환기를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전신마취 하에서의 위내시경의 수행을 허용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여기에 설명되었다. 아래에 제시되는 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동일한 발명의 핵심에 속한 다른 실시예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중공 기관들에 접속하고 그리고 시각화하기 위한 기구(100)에 있어서, 상기 기구(100)는 환자의 입에 피팅되도록 구성되는 마우스피스(110)를 포함하고, 상기 마우스피스(110)는 천공 마스크(111) 및 상기 천공 마스크(111)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또는 난형(ovoid) 형상을 가지고 그리고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130)의 주입을 허용하는데 적합한 채널을 정의하는 슬리브(112)를 포함하고, 상기 기구(100)는 상기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타액 및 다른 유체들을 흡입하기에 적합한 흡입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 수단은 상기 슬리브(112)가 형성되는 측면 상에서 상기 천공 마스크(111)에 제한되는(restrained) 폐쇄 체적(closed volume) 또는 흡입 챔버(120)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챔버(120)는 주변 환경과 유체 연통을 허용하도록 적응되는 복수의 관통 개구들(116), 상기 천공 마스크(111) 상에 형성되는 상기 흡입 챔버(120)와 연통하는 흡기구(117)를 포함하고, 상기 기구(100)는 상기 흡입 챔버(120)를 한정하는 돔형 부재(115)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관통 개구들(116)은 상기 돔형 부재(115)의 스커트(skirt) 상에 형성되는,
    기구(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12) 내에 동축으로 피팅되거나 또는 그 안에 피팅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잠금 시스템에 의해 상기 마우스피스(110)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플랙서블 튜브형 요소(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랙서블 튜브형 요소(130)는 상기 슬리브(112)의 원위 단부를 넘어 돌출하는 부분을 가지는,
    기구(10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130) 내로 동축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주입 맨드릴(1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입 맨드릴(140)은 이의 굴곡 또는확장 중 적어도 하나를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각각의 핸드피스들과 관련되는 타이 로드(tie rod)들을 포함하는,
    기구(10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챔버(120)는 상기 마우스피스(110)의 상기 슬리브(112)에 동축으로 형성되는,
    기구(10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돔형 부재(115)는 상단부에서 종단하는, 상기 슬리브(112)의 자유단에 연결되는 상기 상단부 및 상기 천공 마스크(111)에 연결되는 기저부를 가지는,
    기구(100).
  6.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관통 개구들(116)이 상기 슬리브(112)에 대하여 반대 위치들에서 상기 돔형 부재(115) 상에 배치되는,
    기구(100).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돔형 부재(115)는 상기 천공 마스크(111)를 향해 점점 커지는 타원형인 단면적들을 가지는,
    기구(100).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개구들(116)은 상기 돔형 부재(115)의 타원형인 단면들의 주축들을 따라 배치되는,
    기구(100).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130)는 상기 마우스피스(110)의 상기 슬리브(112)에 제거 가능하게 피팅되는,
    기구(100).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맨드릴(140) 또는 상기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130) 중 적어도 하나는 내시경 비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구(100).
  11.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튜브형 엘리먼트(130)는 방사 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원위 부분(132)을 포함하는,
    기구(100).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맨드릴(140)을 제거한 이후에 상기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130) 내로 피팅되도록 구성되는 플렉서블 가이드(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가이드(150)는 상기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130) 보다 더 길며 그리고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내강들을 포함하여 수술 기구들 및 내시경들의 통과를 허용하는,
    기구(100).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110)는 한 쌍의 슬리브들(112, 112') 및 상기 슬리브들(112, 112')에 피팅되거나 또는 피팅될 수 있는 대응하는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들(130, 130')을 포함하는,
    기구(100).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들(112, 112')은 상기 흡입 챔버(120)를 통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기구(100).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튜브형 요소들(130, 130') 중 하나는 방사 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원위 부분(132)을 포함하는,
    기구(100).
KR1020197035083A 2017-04-28 2018-04-20 중공기관에 접속하고 그리고 시각화 하기 위한 기구(instrument for accessing and visualizing hollow organs) KR1025475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7000046337A IT201700046337A1 (it) 2017-04-28 2017-04-28 Strumento per accesso in visione ad organi cavi
IT102017000046337 2017-04-28
PCT/IB2018/052775 WO2018198005A1 (en) 2017-04-28 2018-04-20 Instrument for accessing and visualizing hollow orga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057A true KR20200003057A (ko) 2020-01-08
KR102547534B1 KR102547534B1 (ko) 2023-06-23

Family

ID=59859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083A KR102547534B1 (ko) 2017-04-28 2018-04-20 중공기관에 접속하고 그리고 시각화 하기 위한 기구(instrument for accessing and visualizing hollow organs)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224708B2 (ko)
EP (1) EP3614898B1 (ko)
JP (1) JP7178117B2 (ko)
KR (1) KR102547534B1 (ko)
CN (1) CN110650668B (ko)
ES (1) ES2863463T3 (ko)
IT (1) IT201700046337A1 (ko)
WO (1) WO20181980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76389A (zh) * 2021-09-10 2021-11-02 李晓芬 一种消化内科用消化道壁检查仪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8331A (en) * 1986-11-14 1989-07-18 Northway Meyer Robert Apparatus and method for pulmonary ventilation of a patient concurrent with fiberoptic respiratory tract examination and tracheal intubation
US20140144432A1 (en) * 2010-10-14 2014-05-29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Oral suction device with ventilation capability
CN104955381A (zh) * 2012-11-14 2015-09-30 巴萨瓦拉·古达·布哈拉玛拉·古达尓 在内窥镜检查手术中的通风牙垫
KR20170034671A (ko) * 2015-09-21 2017-03-29 양인철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1543A (en) * 1961-05-15 1963-08-27 Herbert A Baughan Dental saliva ejectors
US3768477A (en) * 1972-06-05 1973-10-30 R Anders Tongue depressing aspirating tip
US3928916A (en) * 1972-11-21 1975-12-30 Tomas Wilhelm Hansson Combination implement for dental use
JPS5753521Y2 (ko) * 1978-09-14 1982-11-19
JPS6270501U (ko) * 1985-10-24 1987-05-06
US4802851A (en) * 1988-02-03 1989-02-07 Rhoades Clark J Dental appliance
US6460540B1 (en) * 1999-04-05 2002-10-08 Mark S. Klepper Endotracheal tube sump
US7160270B2 (en) * 2001-03-26 2007-01-09 Curon 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a bite block insert for positioning and stabilizing external instruments deployed within the body
US7462175B2 (en) * 2004-04-21 2008-12-09 Acclarent,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disorders of the ear, nose and throat
WO2007130579A2 (en) * 2006-05-04 2007-11-15 Stewart Fermin V G Endotracheal tube with suction attachment
FR2903607A1 (fr) * 2006-07-12 2008-01-18 Christophe Bastid Dispositif medical intra-buccal
JP5290529B2 (ja) 2007-03-15 2013-09-18 株式会社トップ 内視鏡用オーバーチューブ
WO2014121199A1 (en) * 2013-02-01 2014-08-07 Precision Ventures, Llc Surgical airway device and method of use
EP3096824A1 (en) * 2014-01-24 2016-11-30 Cole Research&Design, Inc. Oral su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8331A (en) * 1986-11-14 1989-07-18 Northway Meyer Robert Apparatus and method for pulmonary ventilation of a patient concurrent with fiberoptic respiratory tract examination and tracheal intubation
US20140144432A1 (en) * 2010-10-14 2014-05-29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Oral suction device with ventilation capability
CN104955381A (zh) * 2012-11-14 2015-09-30 巴萨瓦拉·古达·布哈拉玛拉·古达尓 在内窥镜检查手术中的通风牙垫
KR20170034671A (ko) * 2015-09-21 2017-03-29 양인철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50668A (zh) 2020-01-03
JP7178117B2 (ja) 2022-11-25
US11224708B2 (en) 2022-01-18
JP2020521602A (ja) 2020-07-27
KR102547534B1 (ko) 2023-06-23
EP3614898B1 (en) 2021-02-17
WO2018198005A1 (en) 2018-11-01
IT201700046337A1 (it) 2018-10-28
CN110650668B (zh) 2022-03-25
ES2863463T3 (es) 2021-10-11
US20200384228A1 (en) 2020-12-10
EP3614898A1 (en)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2561B2 (en) Medical devices and methods of placement
US20210307598A1 (en) Medical devices with camera and methods of placement
US10722110B2 (en) Medical devices and methods of placement
US11147442B2 (en) Medical devices and methods of placement
JP6525481B2 (ja) 医療機器、及び当該医療機器の使用方法
US9918618B2 (en) Medical devices and methods of placement
JP7133110B2 (ja) 気管内チューブ挿入装置
US20110004065A2 (en) Intubation tube
KR102547534B1 (ko) 중공기관에 접속하고 그리고 시각화 하기 위한 기구(instrument for accessing and visualizing hollow organs)
US20190099572A1 (en) Airway Device for Placement in Upper Respiratory Tract
US20230088652A1 (en) Stylet and bougie device
RU125472U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спользуемое для бронхоскопии
JP2021528217A (ja) 気管内チューブを導入するデバイス及び方法
Airways ANESTHESIA FACE MASK
Hill Per-oral Endoscopy and Laryngeal Surgery. By Chevalier Jackson. MD, Prof. of Laryngology, University of Pittsburg, etc. With 6 coloured plates and 490 other illustrations. The Laryngoscope Co., St. Louis, USA, 1915.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