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949A - 열전달 판 및 복수의 이러한 열전달 판을 포함하는 열 교환기 - Google Patents

열전달 판 및 복수의 이러한 열전달 판을 포함하는 열 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949A
KR20200002949A KR1020197034336A KR20197034336A KR20200002949A KR 20200002949 A KR20200002949 A KR 20200002949A KR 1020197034336 A KR1020197034336 A KR 1020197034336A KR 20197034336 A KR20197034336 A KR 20197034336A KR 20200002949 A KR20200002949 A KR 20200002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transfer plate
virtual straight
straight lin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2846B1 (ko
Inventor
마티아스 노렌
Original Assignee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filed Critical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200002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25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4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9/00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at least on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openings therein for both heat-exchange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3/04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 F28F3/046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the deformations being linear, e.g.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8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 F28F3/083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3/04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 F28F3/04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the deformations being pontual, e.g. dimp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열전달 판(8) 및 복수의 이러한 열전달 판을 포함하는 열 교환기(2)가 제공된다. 열전달 판은 열전달 판의 중앙 연장 평면(C)과 관련하여 교대로 배열된 융기부(36) 및 골부(38)를 포함하는 주름 패턴이 제공된 열전달 영역(22)을 포함한다. 융기부는 제1 화살표(58)를 포함하는 화살표를 형성하고, 제1 화살표 각각은 열전달 판의 길이방향 중심축(l)에 평행한, 전체 열전달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제1 수의 가상 직선(60) 중 각각의 가상 직선 상에 배열된 머리부(59)와 그 양 측부에 배열된 2개의 다리부를 포함한다. 가상 직선(60) 각각은 적어도 3개의 제1 화살표 머리부(59)가 균일하게 이격되어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 부분(66)을 포함한다. 열전달 판(8)은 가상 직선(60)의 적어도 대부분이 적어도 하나의 보조 부분(68)을 포함하고, 보조 부분 각각을 따라서 가상 직선(60)의 일 측부 상의 융기부(36) 및 골부(38)의 연장이 가상 직선의 다른 대향 측부 상의 융기부 및 골부의 연장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전달 판 및 복수의 이러한 열전달 판을 포함하는 열 교환기
본 발명은 열전달 판 및 열전달 판의 설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이러한 열전달 판을 포함하는 판형 열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판형 열 교환기(plate heat exchanger), PHE는, 통상적으로 다수의 열전달 판이 정렬된 방식으로, 즉, 스택 또는 팩으로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2개의 단부판으로 구성된다. 평행 유동 채널이 열전달 판 사이에 형성되고, 각 쌍의 인접한 열전달 판 사이에 하나의 채널이 형성된다. 초기에 상이한 온도의 2개의 유체가 하나의 유체에서 다른 유체로 열을 전달하기 위해 모든 두번째 채널을 통해 교대로 유동할 수 있으며, 이 유체는 열전달 판의 입구 및 출구 포트홀을 통해 채널에 출입한다.
통상적으로, 열전달 판은 2개의 단부 영역 및 중간 열전달 영역을 포함한다. 단부 영역은 입구 및 출구 포트홀 및 열전달 판의 중앙 연장 평면과 관련하여 융기부 및 골부와 같은 돌출부 및 오목부의 분배 패턴으로 가압된 분배 영역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열전달 영역은 상기 중앙 연장 평면에 대하여 융기부 및 골부와 같은 돌출부 및 오목부의 열전달 패턴으로 가압된다. 판형 열 교환기에서, 하나의 열전달 판의 분배 및 열전달 패턴의 융기부 및 골부는 인접한 열전달 판의 분배 및 열전달 패턴의 융기부 및 골부와 접촉 영역에서 접촉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열전달 판의 분배 영역의 주요 임무는 유체가 열전달 영역에 도달하기 전에 열전달 판의 폭을 가로질러 채널로 유입되는 유체를 확산시키고, 열전달 영역을 통과한 후, 유체를 수집하여 채널 밖으로 안내하는 것이다. 반대로, 열전달 영역의 주요 임무는 열전달이다. 분배 영역과 열전달 영역은 다른 주요 임무를 갖기 때문에 분배 패턴은 일반적으로 열전달 패턴과 다르다. 분배 패턴은 비교적 약한 유동 저항 및 낮은 압력 강하를 제공하고, 이는 일반적으로 인접한 열전달 판 사이에 비교적 소수이지만 큰 접촉 영역을 제공하는 소위 초콜릿 패턴과 같은 보다 "개방된" 패턴 설계와 관련된다. 열전달 패턴은 비교적 강한 유동 저항 및 높은 압력 강하를 제공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인접한 열전달 판 사이에 더 많은 수의, 그러나, 더 작은 접촉 영역을 제공하는 보다 "조밀한" 패턴 설계와 관련이 있다.
한 가지 잘 알려진 열전달 패턴은 소위 헤링본 또는 셰브론 패턴으로, 이는 열전달 판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평행하게 열전달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줄(row)로 머리부가 배열된 화살표를 형성하는 융기부 및 골부를 포함하며, 그 길이방향 중심축이 열전달 판의 양쪽 단부 영역을 통해 연장된다. GB 1468514에서 유래된 도 1a는 이러한 헤링본 유형 열전달 패턴을 도시한다. 이 패턴은 열전달 판에 우수한 열전달 용량을 제공할 수 있지만, 특히 열전달 판이 큰 경우, 이는 또한 열전달 판이 치수적으로 불안정하고 다루기가 어려워지게 할 수 있다. US 6702005는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도 1b는 US 6702005에서 유래하고 열전달 판의 길이방향 중심축(l)에 평행하게 열전달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점선으로 도시된, 머리부가 줄지어 배열된 화살표를 포함하는 열전달 패턴을 구비하는 열전달 판을 도시한다. 하나의 동일한 줄에 머리부가 배열된 화살표는 줄의 다른 부분에서 상반된 방향들을 지향하고, 즉, 열전달 패턴은 열전달 판의 길이방향 중심축(l)을 따라 변화된다. 이에 의해, 열전달 판의 치수가 보다 안정되거나 강성화되어 취급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열전달 패턴이 변하고 화살표가 서로를 향하는 위치에서, 즉, 열전달 영역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a) 내에서 응력 집중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열전달 판에 균열 형성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도 1b에 따른 열전달 판과 똑같이 도 1a에 따른 열전달 판과 관련하여, 화살표 머리부의 줄은 PHE의 채널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밀폐를 야기할 수 있고 열전달 영역에 걸친 유체의 분배를 방해할 수 있으며, 이는 PHE의 열전달 용량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적어도 크게 감소시키는 열전달 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열전달 영역을 가로지르는 불연속적인 열의 화살표 머리부의 불연속적 줄을 형성하는 주름 패턴, 즉, 보다 개방된 주름 패턴을 갖는 열전달 영역을 갖는 열전달 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이러한 열전달 판을 포함하는 열 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열전달 판 및 열 교환기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되고 아래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전달 판은 열전달 영역을 포함한다. 열전달 영역에는 열전달 판의 중앙 연장 평면에 대해 교대로 배열된 융기부 및 골부를 포함하는 주름 패턴이 제공된다. 융기부는 제1 화살표를 포함하는 화살표를 형성한다. 제1 화살표는 열전달 판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평행한, 전체 열전달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제1 수의 가상 직선 중 각각의 하나의 가상 직선 상에 배열된 머리부와 그 양 측부에 배열된 2개의 다리부를 각각 포함하는 화살표이다. 가상 직선 각각은 적어도 3개의 제1 화살표 머리부가 균일하게 이격되어 그를 따라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 부분을 포함한다. 열전달 판은 가상 직선의 적어도 대부분이 적어도 하나의 보조 부분을 포함하고, 보조 부분 각각을 따라서, 가상 직선의 일 측부 상의 융기부 및 골부의 연장이 가상 직선의 다른 대향 측부 상의 융기부 및 골부의 연장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열전달 영역은 열전달 판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그리고 열전달 영역의 제1 긴 측부로부터 대향하는 제2 긴 측부로 연장되는 제2 수의 횡방향 밴드로 분할된다. 최외측 횡방향 밴드 내에서 주름 패턴은 유사하다.
따라서, 열전달 영역 내의 주름 패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헤링본 또는 쉐브론 유형으로 이루어진다. 융기부 및 골부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데, 이로 인해 융기부뿐만 아니라 골부도 화살표를 형성한다. 화살표는 앞서 정의된 제1 화살표를 포함한다. 화살표는 또한 제2 화살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각각은 열전달 판의 횡방향 중심축에 평행한, 전체 열전달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제3 수의 가상 직선 중 각각의 하나 상에 배열된 머리부와 그 양 측부에 배열된 2개의 다리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가상 직선의 각각의 주 부분의 각각의 종점은 제1 화살표 중 하나의 머리부에 의해 정의되고, 즉, 그와 일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제1 화살표 머리부는 각각의 주 부분의 종점 사이에 배열된다. 또한, 제1 화살표 머리부 중 2개의 인접한 것 사이의 거리는 각각의 주 부분을 따라 균일하지만 주 부분마다 변할 수 있다.
가상 직선의 전체 보조 부분을 따라, 가상 직선의 양 측부에서 그리고 가상 직선에 바로 인접한 융기부 및 골부의 연장은 평행하다. 각각의 보조 부분을 따라, 적어도 3개의 균일하게 이격된 융기부가 대응하는 가상 직선의 각 측부에 배열될 수 있다. 가상 직선의 일 측부 상의 인접한 융기부 사이의 거리는 가상 직선의 다른 측부 상의 인접한 융기부 사이의 거리와 같거나 같지 않을 수 있다.
각 가상 직선의 주 및 보조 부분은 겹치지 않는다. 또한, 가상 직선의 2개의 주 부분은 절대 연속적으로 배열되지 않으며, 이는 가상 직선의 2개의 보조 부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1 화살표는 경사진 또는 굴곡된 융기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굴곡부는 제1 화살표의 머리부를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제1 화살표는 종점간에, 서로에 대해 경사진 2개의 융기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종점은 제1 화살표의 머리부를 형성한다. 종점은 서로 접촉하거나 횡방향 중심축을 따라 서로 약간 분리될 수 있고/있거나 길이방향 중심축을 따라 서로에 대해 약간 변위될 수 있다.
가상 직선의 보조 부분을 따라, 가상 직선의 일 측부 상의 융기부 및 골부는 가상 직선의 대향 측부 상의 융기부 및 골부와 일체이거나 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당연히 중앙 연장 평면은 가상의 것이다.
융기부는 열전달 판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관하여 열전달 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를 비스듬히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는 직선 또는 곡선의 세장형의 연속적인 상승부를 의미한다. 유사하게, 골부는 열전달 판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하여 열전달 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를 비스듬히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는 직선 또는 곡선의 세장형의 연속적인 트렌치를 의미한다.
당연히, 가상 직선의 제1 수는 "적어도 대부분"이 얼마나 많은지를 결정한다. 가상 직선의 제1 수는 3개 이상일 수 있다. 3개의 가상 직선의 경우, "적어도 대부분"은 2개 또는 3개이다. 5개의 가상 직선의 경우, "적어도 대부분"은 3개, 4개 또는 5개이다.
횡방향 밴드의 제2 수는 ≥ 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 3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전달 영역의 최외측 횡방향 밴드 중 하나 내의 주름 패턴은 최외측 횡방향 밴드 중 다른 하나 내의 주름 패턴과 유사하다. "유사한"은 반드시 전체적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적어도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유사한"은 최외측 횡방향 밴드에서 주름 패턴이 동일 배향을 갖는 것, 즉, 최외측 횡방향 밴드 중 하나 내의 주름 패턴이 열전달 판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따라 변위될 수 있다면 최외측 횡방향 밴드 중 다른 하나 내의 주름 패턴과 일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름 패턴이 최외측 횡방향 밴드 내에서 유사하더라도, 최외측 횡방향 밴드 중 하나 내의 주름 패턴이 최외측 횡방향 밴드 중 다른 하나 내의 주름 패턴과 관련하여 변위될 수 있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최외측 횡방향 밴드 중 하나의 경계와 관련한 최외측 횡방향 밴드 중 상기 하나 내의 주름 패턴의 위치는 최외측 횡방향 밴드 중 다른 하나의 경계와 관련한 최외측 횡방향 밴드 중 상기 다른 하나 내의 주름 패턴의 위치와 상이할 수 있다. 최외측 횡방향 밴드 사이의 패턴 유사성은 판형 열 교환기에서의 복수의 열전달 판의 적층에 관하여 유익하다. 이는 종종 기준 판 배향과 관련하여 열전달 판의 법선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열전달 판 중 모든 두 번째 열 교환 판이 180도 회전되는 것을 수반한다. 패턴 유사성은 이때 패턴 교차를 가능하게 하여 인접한 2개의 열전달 판 사이의 접촉점의 충분한 밀도 및 적절한 분배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화살표 머리부는 열전달 판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평행한 열전달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줄로 배열된다. 이 줄은 가상 직선과 일치한다. 가상 직선의 적어도 대부분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보조 부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제1 화살표 머리부의 줄의 적어도 대부분은 불연속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열전달 판의 치수가 안정적이고 취급이 용이해지도록 열전달 판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따라 열전달 영역 내에서 주름 패턴을 변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주름 패턴은 열전달 패턴이 변하고 제1 화살표가 서로를 향해 지향하는 영역을 생성하지 않거나 또는 (US 6702005와 비교하여) 단지 소수만 생성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상 직선을 따라 열전달 판 내의 응력 집중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균열 형성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또한, 제1 화살표 머리부의 불연속적인 줄들은 열전달 판에 걸친 보다 균일한 유동 분배를 위해, 열전달 영역을 가로질러 유동하는 유체가 가상 직선을 더 쉽게 가로지를 수 있도록 주름 패턴이 더 많이 개방되게 한다.
열전달 판은 열전달 영역이 사이에 배열되는 2개의 단부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단부 영역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는 2개의 포트홀 영역, 즉, 포트홀 및 열전달 영역과 포트홀 영역 사이에 배열되고 열전달 영역의 주름 패턴과 다른 주름 패턴이 제공되는 분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열전달 판의 길이방향 중심축은 단부 영역 및 열전달 영역을 통해 연장된다.
열전달 판은, 가상 직선의 상기 적어도 대부분의 상기 보조 부분을 따라, 가상 직선의 상기 일 측부 상의 융기부 및 골부의 연장이 가상 직선의 상기 대향 측부 상의 융기부 및 골부의 연장과 정렬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가상 직선을 변경되지 않은 방향으로 교차하는 융기부 및 골부 및/또는 그의 양쪽 측부 상에 동일한 주름 패턴을 갖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취급하기 쉬운, 더 강성적인 열전달 판을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열전달 판은 가상 직선 중 제1 가상 직선을 제외하고 가상 직선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보조 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하나를 제외한 제1 화살표 머리부의 모든 줄이 불연속적임을 의미하며, 이는 특히 안정적이고 취급이 쉬우면서 열전달 판을 가로지른 훨씬 더 균일한 유동 분배를 위해 훨씬 더 개방된 주름 패턴을 갖는 열전달 판을 가능하게 한다.
제1 가상 직선은 열전달 판의 길이방향 중심축과 일치할 수 있다. 이는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해 대칭인 주름 패턴을 갖는 열전달 영역을 가능하게 한다.
열전달 판은 제1 가상 직선의 각 측부 상의 가상 직선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2개의 주 부분을 포함하고, 제1 가상 직선의 각 측부 상의 가상 직선 중 적어도 다른 하나가 적어도 2개의 보조 부분을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는 취급이 용이한, 치수가 보다 안정적인 열전달 판을 생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전달 영역은 제2 수의 횡방향 밴드로 분할된다. 횡방향 밴드 각각 내의 주름 패턴은 횡방향 밴드 중 인접한 밴드 내의 주름 패턴으로부터 변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다른 횡방향 밴드 사이에 배열된 횡방향 밴드 내의 주름 패턴은 2개의 다른 횡방향 밴드 각각 내의 주름 패턴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횡방향 밴드 내의 주름 패턴이 다른 지의 여부에 관계 없이, 가상 직선의 주 및 보조 부분은 횡방향 밴드 중 각각의 하나를 가로질러 완전히 연장될 수 있다.
횡방향 밴드의 각각의 2개의 인접한 밴드는 열전달 영역의 제1 긴 측부로부터 제2 긴 측부까지 열전달 판의 중앙 연장 평면에서 연장되는 각각의 홈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열전달에 걸친 주름 패턴의 변화가 용이해질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변형은 열전달 판의 치수를 보다 안정화하거나 더 강성적이고 취급이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열전달 영역의 2개의 대향하는 제1 짧은 측부 및 제2 짧은 측부를 형성하는 최외측 횡방향 밴드는 유사한 테두리 또는 윤곽 또는 경계를 가질 수 있다. "유사한"은 반드시 전체적인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적어도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이는 판형 열 교환기 내에서의 복수의 열전달 판의 적층에 관하여 유익하며, 이는 종종 기준 판 배향과 관련하여 열전달 판의 법선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열전달 판 중 모든 두 번째 열 교환 판이 180도 회전되는 것을 수반한다. 이어서, 테두리 유사성은 2개의 인접한 열전달 판 사이의 접촉점의 충분한 밀도 및 적절한 분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횡방향 밴드 각각은 제1 및 제2 경계선에 의해 경계가 정해질 수 있으며,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곡선이다. 이는 2개의 인접한 횡방향 밴드, 또는 외부 횡방향 밴드 중 하나와 단부 영역 중 하나 사이의 경계가 곡선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경계가 그 대신 직선일 때와 비교하여 경계에서 열전달 판의 굴곡 강도가 증가될 수 있고, 이 경우에 경계는 열전달 판의 굴곡선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최외측 횡방향 밴드 각각은 열전달 판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평행하게 측정될 때 변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폭은 열전달 영역의 제1 긴 측부로부터 열전달 판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향한 방향으로 그리고 열전달 영역의 제2 긴 측부로부터 열전달 판의 길이방향 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열전달 판의 단부 영역이 열전달 판의 중심을 향해 외향 융기되는 열전달 영역을 향하는 경계선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아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단부 영역은 증가된 분배 효율을 수반할 수 있다.
최외측 횡방향 밴드 사이에 배열된 횡방향 밴드 중 하나는 열전달 판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평행하게 측정될 때 변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폭은 열전달 영역의 제1 긴 측부로부터 열전달 판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향한 방향으로 그리고 열전달 영역의 제2 긴 측부로부터 열전달 판의 길이방향 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 중간 횡방향 밴드는 최외측 횡방향 밴드와 함께 맞춰질 수 있으며, 이는 횡방향 밴드가 전체 열전달 영역을 점유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열전달 판의 열전달 용량과 관련하여 유익하다.
열전달 영역의 주름 패턴은 열전달 판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해 대칭일 수 있다. 이는 판형 열 교환기 내에서의 복수의 열전달 판의 적층에 관하여 유익하며, 이는 종종 기준 판 배향과 관련하여 열전달 판의 법선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열전달 판 중 모든 두 번째 열 교환 판이 180도 회전되는 것을 수반한다. 이어서, 이러한 대칭성은 2개의 인접한 열전달 판 사이의 접촉점의 충분한 밀도 및 적절한 분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가상 직선 중 동일한 가상 직선을 따라 배열된 제1 화살표는 동일한 방향을 지향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열전달 패턴이 변하고 제1 화살표가 서로를 향해 지향되는 영역이 완전히 결여된 주름 패턴을 포함하는 열전달 영역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결국, 이는 특히 내균열성 열전달 판을 가능하게 한다.
융기부 및 골부 모두는 가상 직선 중 최외측 가상 직선의 외부에서, 제1 방향으로 상기 최외측 가상 직선으로부터 측정될 때, 상기 최외측 가상 직선과 관련하여 0-90도의 가장 작은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이 제1 방향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이다. 이에 의해, 열전달 판의 가압으로 인한 비교적 균일한 에지 변위, 및 따라서 비교적 균일한 열전달 판 에지가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열전달 판의 강도와 관련하여 유익하다. 당연히, 상기 특징은 최외측 가상 직선 모두의 외부 상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 교환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복수의 열전달 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양태 및 이점은 도면뿐만 아니라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나타날 것이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된 개략도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의 열전달 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판형 열 교환기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4 가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전달 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선 A-A를 따라 취한, 도 3의 열전달 판의 단면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개스킷 판형 열 교환기(2)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단부판(4), 제2 단부판(6) 및 제1 및 제2 단부판(각각 4, 6) 사이의 판 팩(10)에 배열된 다수의 열전달 판(8)을 포함한다. 열전달 판은 모두 도 3에 도시된 유형이다.
열전달 판(8)은 개스킷(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열전달 판은 개스킷과 함께 하나의 유체에서 다른 유체로 열을 전달하기 위해 2개의 유체를 교대로 수용하도록 배열된 평행 채널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제1 유체는 모든 두번째 채널에서 유동하도록 배열되고, 제2 유체는 나머지 채널에서 유동하도록 배열된다. 제1 유체는 각각 입구(12) 및 출구(14)를 통해 판형 열 교환기(2)에 출입한다. 유사하게, 제2 유체는 입구 및 출구(도면에는 보이지 않음) 각각을 통해 판형 열 교환기(2)에 출입한다. 채널이 누설 방지되도록, 열전달 판은 서로에 대해 가압되어야 하고, 이에 의해 개스킷이 열전달 판(8) 사이를 밀봉한다. 이를 위해, 판형 열 교환기(2)는 제1 및 제2 단부판(각각 4, 6)을 서로를 향해 각각 가압하도록 배열된 다수의 조임 수단(16)을 포함한다.
개스킷 판형 열 교환기의 설계 및 기능은 잘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열전달 판(8) 중 하나가 이제 도 3 및 도 7을 참조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며, 이들 도면은 각각 열전달 판 및 열전달 판의 단면을 도시한다. 열전달 판(8)은, 기존의 방식으로 가압 도구에서, 원하는 구조가 부여되도록 가압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스테인리스 강 시트이다. 이는 서로 평행하고 도 3의 도면 평면에 평행한 상단 평면(T), 하단 평면(B) 및 중앙 연장 평면(C)(또한, 도 2 참조)을 형성한다. 중앙 연장 평면(C)은 상단 평면과 하단 평면(각각 T, B) 사이의 중간에서 연장된다. 열전달 판은 길이방향 중심축(l) 및 횡방향 중심축(t)을 추가로 갖는다.
열전달 판(8)은 제1 단부 영역(18), 제2 단부 영역(20) 및 그 사이에 배열된 열전달 영역(22)을 포함한다. 차례로, 제1 단부 영역(18)은, 판형 열 교환기(2)의 제1 유체를 위한 입구(12) 및 제2 유체를 위한 출구와 각각 연통하도록 배열된, 제1 유체를 위한 개방 입구 포트홀 영역, 즉, 입구 포트홀(24) 및 제2 유체를 위한 개방 출구 포트홀 영역, 즉, 출구 포트홀(26)을 포함한다. 또한, 제1 단부 영역(18)은 소위 초콜릿 패턴(도 3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6에 도시됨) 형태의 분배 패턴이 제공된 제1 분배 영역(28)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차례로, 제2 단부 영역(20)은, 판형 열 교환기(2)의 제1 유체의 출구(14) 및 제2 유체의 입구와 각각 연통하도록 배열된, 제1 유체를 위한 개방 출구 포트홀 영역, 즉, 출구 포트홀(30) 및 제2 유체를 위한 개방 입구 포트홀 영역, 즉, 입구 포트홀(32)을 포함한다. 또한, 제2 단부 영역(20)은 소위 초콜릿 패턴(도 3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6에 도시됨) 형태의 분배 패턴이 제공된 제2 분배 영역(34)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단부 영역의 구조는 동일하지만 횡방향 중심축(t)에 대하여 반전된다.
열전달 영역(22)에는 열전달 판의 길이방향 중심축(l)에 대하여 대칭인 헤링본 유형의 주름 패턴이 제공된다. 이는 융기부 및 골부 사이의 경계를 한정하는 중앙 연장 평면(C)과 관련하여 교대로 배열된 융기부(36) 및 골부(38)를 포함한다. 이는 도 7로부터 명백하지만, 도 7은 단지 하나의 완전한 융기부와 2개의 골부를 도시한다. 도 3에서, 지그재그 선은 융기부를 나타내고, 지그재그 선 사이의 공간은 골부를 나타낸다. 당연히, 열전달 판의 일 측부에서 보여지는 융기부 및 골부는 각각 열전달 판의 다른 측부에서 볼 때 각각 골부 및 융기부이다.
열전달 영역(22)은 3개의 횡방향 밴드, 즉, 2개의 최외측 횡방향 밴드(40, 42) 및 최외측 횡방향 밴드 사이에 배열된 1개의 중간 횡방향 밴드(44)로 분할된다. 각각의 횡방향 밴드는 열전달 판(8)의 길이방향 중심축(l)에 대해 횡방향으로 그리고 열전달 영역(22)의 제1 긴 측부(46)로부터 제2 긴 측부(48)로 연장된다. 최외측 횡방향 밴드(40, 42)는 본질적으로 유사하며, 따라서, 그 내부의 주름 패턴은 유사하다. 그러나, 최외측 횡방향 밴드(40) 내의 주름 패턴은 최외측 횡방향 밴드(42) 내의 주름 패턴과 관련하여 변위되어 최외측 밴드(40)의 골부의 위치는 최외측 밴드(42)의 융기부의 위치에 대응한다. 중간 횡방향 밴드(44) 내의 주름 패턴은 최외측 밴드(40, 42) 내의 주름 패턴과 상이하다. 주름 패턴의 융기부 및 골부의 일부만이 도 3(및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음이 강조되어야 한다. 실제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 패턴은 전체 열전달 영역(22)을 덮는다. 이에 의해, 융기부 및 골부의 일부는 지그재그 형상이 되고, 일부는 V 형이 되고, 일부는 직선이 된다.
각각의 횡방향 밴드는 최외측 횡방향 밴드(40)에 대해 각각 50 및 52로 표시되는 제1 및 제2 경계선에 의해 제한된다. 중간 횡방향 밴드(44)의 제1 및 제2 경계선은 최외측 횡방향 밴드(40)의 제2 경계선(52) 및 최외측 횡방향 밴드(42)의 제1 경계선과 각각 일치한다. 횡방향 밴드의 일치하는 경계선은 열전달 영역(22)의 제1 긴 측부(46)로부터 제2 긴 측부(48)로 열전달 판의 중앙 연장 평면(C)에서 연장되는 홈(54, 56)과 일치한다.
도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최외측 횡방향 밴드(40), 그리고, 따라서, 또한, 최외측 횡방향 밴드(42)의 제1 및 제2 경계선(50, 52)은 각각의 최외측 횡방향 밴드 내에서 볼 때 곡선이고 내향 융기되거나 오목하다. 이는 최외측 횡방향 밴드(40, 42)에 변하는 폭을 제공하며, 이 폭은 길이방향 중심축(l)에 평행하게 측정되고, 더욱 특히 열전달 영역(22)의 제1 및 제2 긴 측부(46, 48)로부터 열전달 판(8)의 길이방향 중심축(l)을 향해 감소하는 폭을 제공한다. 또한, 중간 횡방향 밴드(44)의 제1 및 제2 경계선은 중간 횡방향 밴드 내에서 보았을 때 곡선이고, 외향 융기되거나 볼록하다. 이는 중간 횡방향 밴드(44)에 변하는 폭, 특히, 제1 및 제2 긴 측부(46, 48)으로부터 길이방향 중심축(l)을 향해 증가하는 폭을 제공한다.
횡방향 밴드 내의 지그재그 및 V 형상 융기부는 각각의 머리부(59)를 갖는 제1 화살표(58)를 형성한다. 골부는 융기부 사이에서 연장되며 융기부와 평행하기 때문에, 이들은 또한 각각의 머리부를 갖는 화살표를 형성한다. 각각의 횡방향 밴드 내의 제1 화살표 머리부는 횡방향 밴드의 제1 경계선으로부터 제2 경계선까지 연장되는 순서로 배열되며, 제1 화살표 머리부(59)는 인접한 제1 화살표 머리부 사이에서 균일한 거리로 전체 순서열을 따라 배열된다. 이 순서열은 연속 또는 불연속 줄을 형성하며, 이는 제1 짧은 측부(62)로부터 제2 짧은 측부(64)까지 전체 열전달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된, 여기서는 5개의, 가상 직선(60)과 일치한다. 가상 직선(60)은 서로 거리를 두고 열전달 판(8)의 길이방향 중심축(l)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가상 직선 중 동일한 가상 직선을 따른 제1 화살표(58)는 모두 동일한 방향을 지향한다. 또한, 도 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모든 제1 화살표는 동일한 각도(γ)를 갖는다. 따라서, 모든 융기부(36)와 골부(38)는 최외측 가상 직선(60a, 60b)의 외부에서 평행하게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최외측 가상 직선(60a)의 외부에서, 융기부(36)와 골부(38)는 모두, 시계 방향으로 최외측 가상 직선(60a)으로부터 측정된, 최외측 가상 직선(60a)에 대한 동일한 최소 각도(α = γ/2 = 60도)로 연장된다. 유사하게, 최외측 가상 직선(60b)의 외부에서, 융기부(36)와 골부(38)는 모두, 반시계 방향으로 최외측 가상 직선(60b)으로부터 측정된, 최외측 가상 직선(60b)에 대한 동일한 최소 각도(β = γ/2 = 60도)로 연장된다.
제1 화살표 머리부(59)의 순서열에 의해 점유되는 가상 직선(60)의 부분, 즉, 복수의 제1 화살표가 그를 따라 균일하게 이격되어 배열되는 부분은 본원에서 주 부분(66)으로 지칭된다. 도 3으로부터 명백하게, 열전달 영역(22)의 횡방향 밴드(40, 42 및 44) 각각 내에 3개의 주 부분(66)이 존재한다. 또한, 가상 직선(60) 각각은 1개, 2개 또는 3개의 주 부분(66)을 포함한다. 주 부분 외부의 가상 직선(60)의 부분은 본원에서 보조 부분(68)으로 지칭된다. 보조 부분(68)을 따라, 융기부(36) 및 골부(38)는 굴곡되지 않은, 즉, 변경되지 않은 방향으로 가상 직선(60)을 가로질러, 가상 직선의 바로 일 측부 상의 융기부 및 골부의 연장이 가상 직선의 바로 대향 측부 상의 융기부 및 골부의 연장과 정렬된다. 도 3에서 명백하게, 열전달 영역(22)의 횡방향 밴드(40, 42 및 44) 각각 내에 2개의 보조 부분(68)이 존재한다. 또한, 길이방향 중심축(l)과 일치하는 제1 중심 가상 직선(60')을 제외한 모든 가상 직선(60)은 하나 또는 2개의 보조 부분(68)을 포함한다. 제1 가상 직선(60')에는 보조 부분이 없다.
따라서, 도 3으로부터 명백하게, 최외측 가상 직선(60a, 60b)은 각각 하나의 주 부분 및 2개의 보조 부분을 포함하는 반면, 각각 제1 중심 가상 직선과 각각의 최외측 가상 직선 사이에 배치된 중간 가상 직선은 각각 하나의 보조 부분과 2개의 주 부분을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전달 영역(22)의 횡방향 밴드(40, 42 및 44)의 경계선은 곡선이다. 또한, 도 3으로부터 명백하게, 단부 영역(18, 20)의 각각의 제1 경계선(70, 72)은 또한 각각의 단부 영역 내에서 볼 때 곡선이고 외향 융기되거나 볼록하다. 단부 영역(18, 20)의 제1 경계선(70, 72)은 각각 최외측 횡방향 밴드(40)의 제1 경계선(50) 및 최외측 횡방향 밴드(42)의 제2 경계선과 각각 일치하고, 홈(74, 76)과 각각 일치한다. 홈은 열전달 판(8)의 중앙 연장 평면(C)에서 그리고 열전달 영역(22)의 제1 긴 측부(46)로부터 제2 긴 측부(48)로 연장된다.
횡방향 밴드와 단부 영역의 경계선은 모두 균일하다. 이에 의해, 단부 영역에 인접한 횡방향 밴드의 추가/제거에 의해 상이한 수의 횡방향 밴드를 포함하는 상이한 크기의 열전달 판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모듈식 도구로 열전달 판을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경계선(70, 72)은 외향 융기되므로, 대응하는 직선형 제1 경계선보다 길다. 이는 열전달 영역의 폭에 걸친 유체 분배와 관련하여 유익한 단부 영역의 더 큰 "출구"를 생성한다.
판형 열 교환기(2)의 열전달 판(8)은 제1 및 제2 단부판(4, 6) 사이에서 하나의 열전달 판의 전면측(도 3에서 볼 수 있음)과 이면측이 인접한 열전달 판의 이면측 및 전면측 각각을 향하도록 적층된다. 또한, 모든 두번째 열전달 판은, 열전달 판의 중앙 연장 평면(C)에 대해 수직으로, 중심을 통해 연장되는 열전달 판의 중심축(X)을 중심으로 기준 배향에 대하여 180도 회전된다. 이에 의해, 상기 하나의 열전달 판의 융기부 및 골부는 상기 인접한 열전달 판의 골부와 융기부 각각과 교차하여 점 접촉할 것이다. 열전달 판은 열전달 판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평행한 전체 열전달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동일 간격의 제1 화살표의 연속적인 줄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므로, 열전달 판 중 인접한 2개의 판 사이에 형성된 채널은 비교적 개방되어 열전달 판의 열전달 영역에 걸친 효과적인 유체 확산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1 화살표가 서로를 향해 지향하는 패턴 변화부를 포함하는 영역이 없기 때문에, 열전달 판은 균열 형성에 저항성이 있을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달 판의 다른 가능한 설계의 예를 도시한다. 명백히, 이전 설명의 대부분은 도 4 및 도 5의 열전달 판에도 유효하다. 그러나, 도 4 및 도 5에 따른 열전달 판에는 5개 대신 3개의 가상 직선이 존재한다. 도 4에 따른 열전달 판에 대한 3개의 가상 직선 중 2개는 각각 2개의 보조 부분을 포함하고, 도 5에 따른 열전달 판에 대한 3개의 가상 직선 중 2개는 각각 하나의 보조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열전달 판 둘 모두에 대한 제1 중심 가상 직선을 따라, 중간 횡방향 밴드 내의 제1 화살표 및 최외측 횡방향 밴드 내의 제1 화살표는 상반된 방향들을 지향한다. 따라서, 열전달 판 둘 모두는 상부(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최외측과 중간 횡방향 밴드 사이의 경계에 중심 설정된 하나의 영역을 각각 포함하며, 그 내부에서 주름 패턴이 변하고 제1 화살표는 서로를 향해 지향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달 판의 다른 가능한 설계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의 열전달 판은 전이 영역(78)이 열전달 영역(22)과 각각의 분배 영역(28, 34) 사이에 배열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3의 열 교환기 판과 본질적으로 유사하다. 이러한 전이 영역의 설계, 기능 및 목적은 국제 공개 공보 2014/067757에 기재되어 있다.
당연히, 많은 다른 열전달 판 설계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예로서 보아야 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설명된 실시예가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되고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분배 영역 내의 주름 패턴은 초콜릿 패턴일 필요는 없으며, 다른 유형일 수도 있다.
또한, 열전달 판은 3개의 횡방향 밴드 및 5개 또는 3개의 가상 직선을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다른 수의 횡방향 밴드 및 가상 직선을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주 및 보조 부분의 다른 수 및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열전달 판은 5개의 횡방향 밴드를 포함하고, 그 최외측 밴드와 중심 밴드는 오목하고, 중심 밴드와 각각의 최외측 밴드 사이의 밴드는 볼록할 수 있다.
횡방향 밴드의 경계선 중 하나 또는 모두와 단부 영역의 제1 경계선은 곡선 대신 직선일 수 있다. 따라서, 횡방향 밴드는 균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열전달 영역 내의 제1 화살표는 모두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제1 화살표 각도를 가질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첨예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α 및 β는 동일하거나 60도와 같을 필요는 없다. 또한, 가상 직선은 열전달 영역에 걸쳐 균등하게 분배될 수 있다.
판형 열 교환기에서, 열전달 판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층될 필요는 없으며, 대신에 하나의 열전달 판의 전면측 및 이면측이 인접한 열전달 판의 전면측 및 이면측 각각을 향하도록, 그리고, 모든 두 번째 열전달 판이 180도 회전하도록 적층될 수 있다.
융기부 및 골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융기부 및 골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견부 또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단면과 같은 임의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판형 열 교환기는 평행 역류 유형으로 이루어지며, 즉, 각 유체에 대한 입구와 출구가 판형 열 교환기의 동일한 절반에 배열되고 유체는 열전달 판 사이의 채널을 통해 상반된 방향들로 유동한다. 당연히, 판형 열 교환기는 그 대신 대각 유동 유형 및/또는 동시 유동 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판형 열 교환기는 하나의 판 유형만을 포함한다. 당연히, 판형 열 교환기는 그 대신에 2개 이상의 상이한 유형의 교대로 배열된 열전달 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전달 판은 스테인리스 강 이외의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스킷형의 것 이외의 다른 유형의 판형 열 교환기, 예를 들어 전체-용접, 반-용접 및 브레이징된 판형 열 교환기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이 없는 세부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었고 도면은 단지 개략적이고 규모에 따라 도시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 중 일부는 다른 것보다 더 단순화되어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일부 구성요소는 한 도면에 나와 있지만 다른 도면에는 생략되어 있을 수 있다.

Claims (15)

  1. 열전달 판의 중앙 연장 평면(C)에 대하여 교대로 배열된 융기부(36)와 골부(38)를 포함하는 주름 패턴이 제공된 열전달 영역(22)을 포함하는 열전달 판(8)으로서, 융기부는 제1 화살표(58)를 포함하는 화살표를 포함하고, 제1 화살표는 각각, 열전달 판의 길이방향 중심축(l)에 평행한 전체 열전달 영역 영역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제1 수의 가상 직선(60) 중 각각의 하나 상에 배열된 머리부(59) 및 그 양 측부에 배열된 2개의 다리부를 포함하고, 가상 직선(60) 각각은 제1 화살표 머리부(59) 중 적어도 3개가 그를 따라 균일하게 이격되어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 부분(66)을 포함하는, 열전달 판에 있어서,
    가상 직선(60)의 적어도 대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보조 부분(68)을 포함하고, 보조 부분 각각을 따라 가상 직선(60)의 일 측부 상의 융기부(36) 및 골부(38)의 연장이 가상 직선의 다른 대향 측부 상의 있는 융기부 및 골부의 연장과 평행하고, 열전달 영역(22)은 열전달 영역(22)의 제1 긴 측부(46)로부터 대향하는 제2 긴 측부(48)까지, 열전달 판(8)의 길이방향 중심축(l)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의 횡방향 밴드(40, 42, 44)로 분할되고, 최외측 횡방향 밴드(40, 42) 내에서, 주름 패턴은 유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달 판(8).
  2. 제1항에 있어서, 가상 직선(60)의 상기 적어도 대부분의 상기 보조 부분(68)을 따라, 가상 직선의 상기 일 측부 상의 융기부(36) 및 골부(38)의 연장이 가상 직선의 상기 대향 측부 상의 융기부 및 골부의 연장과 정렬되는, 열전달 판(8).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상 직선 중 제1 가상 직선(60')을 제외한 가상 직선(6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보조 부분(68)을 포함하는, 열전달 판(8).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상 직선(60')은 열전달 판의 길이방향 중심축(l)과 일치하는, 열전달 판(8)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제1 가상 직선(60')의 각 측부 상의 가상 직선(60)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2개의 주 부분(66)을 포함하고, 제1 가상 직선(60')의 각 측부 상의 가상 직선(60) 중 적어도 다른 하나가 적어도 2개의 보조 부분(68)을 포함하는, 열전달 판(8).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횡방향 밴드(40, 42, 44) 각각 내의 주름 패턴은 횡방향 밴드 중 인접한 하나 내의 주름 패턴으로부터 변하고, 가상 직선(60)의 주 및 보조 부분(66, 68) 각각은 횡방향 밴드(40, 42, 44) 중 각각의 하나를 완전히 가로질러 연장되는, 열전달 판(8).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횡방향 밴드의 각각의 2개의 인접한 밴드는 열전달 영역(22)의 제1 긴 측부(46)로부터 제2 긴 측부(48)까지 열전달 판(8)의 중앙 연장 평면(C)에서 연장되는 각각의 홈(54, 56)에 의해 분리되는, 열전달 판(8).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외측 횡방향 밴드(40, 42)의 테두리는 유사한, 열전달 판(8).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횡방향 밴드(40, 42, 44) 각각은 제1 및 제2 경계선(50, 52)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고, 제1 및 제2 경계선 중 적어도 하나는 곡선인, 열전달 판(8).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외측 횡방향 밴드(40, 42) 각각은 열전달 판의 길이방향 중심축(l)에 평행하게 측정될 때 변하는 폭을 가지며, 폭은 열전달 영역(22)의 제1 긴 측부(46)로부터 열전달 판(8)의 길이방향 중심축(l)을 향한 방향으로, 그리고, 열전달 영역(22)의 제2 긴 측부(48)로부터 열전달 판(8)의 길이방향 축(l)을 향한 방향으로 감소하는, 열전달 판(8).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외측 횡방향 밴드(40, 42) 사이에 배열된 횡방향 밴드(44) 중 하나는 열전달 판(8)의 길이방향 중심축(l)에 평행하게 측정될 때 변하는 폭을 가지며, 폭은 열전달 영역(22)의 제1 긴 측부(46)로부터 열전달 판의 길이방향 중심축(l)을 향한 방향으로, 그리고, 열전달 영역(22)의 제2 긴 측부(48)로부터 열전달 판(8)의 길이방향 축(l)을 향한 방향으로 증가하는, 열전달 판(8).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전달 영역(22)의 주름 패턴은 열전달 판(8)의 길이방향 중심축(l)에 대해 대칭인, 열전달 판(8).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상 직선(60) 중 동일한 가상 직선을 따라 배열된 제1 화살표(58)는 동일한 방향을 지향하는, 열전달 판(8).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융기부(36)와 골부(38) 모두는 가상 직선(60) 중 최외측 가상 직선(60a, 60b)의 외부 상에서, 제1 방향으로 상기 최외측 가상 직선으로부터 측정될 때, 상기 최외측 가상 직선(60a, 60b)과 관련하여 0-90도의 가장 작은 각도(α, β)로 연장되는, 열전달 판(8).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열전달 판(8)을 포함하는 열 교환기(2).
KR1020197034336A 2017-04-26 2017-12-14 열전달 판 및 복수의 이러한 열전달 판을 포함하는 열 교환기 KR102292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68160.4 2017-04-26
EP17168160.4A EP3396293A1 (en) 2017-04-26 2017-04-26 Heat transfer plate and heat exchang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uch heat transfer plates
PCT/EP2017/082766 WO2018197031A1 (en) 2017-04-26 2017-12-14 Heat transfer plate and heat exchang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uch heat transfer pla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949A true KR20200002949A (ko) 2020-01-08
KR102292846B1 KR102292846B1 (ko) 2021-08-25

Family

ID=58632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336A KR102292846B1 (ko) 2017-04-26 2017-12-14 열전달 판 및 복수의 이러한 열전달 판을 포함하는 열 교환기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11226163B2 (ko)
EP (2) EP3396293A1 (ko)
JP (1) JP6823200B2 (ko)
KR (1) KR102292846B1 (ko)
CN (1) CN110537069B (ko)
AU (1) AU2017411398B2 (ko)
BR (1) BR112019020564B1 (ko)
CA (1) CA3061540C (ko)
DK (1) DK3615878T3 (ko)
ES (1) ES2864498T3 (ko)
MX (1) MX2019012558A (ko)
MY (1) MY196326A (ko)
PL (1) PL3615878T3 (ko)
PT (1) PT3615878T (ko)
RU (1) RU2722078C1 (ko)
SA (1) SA519410397B1 (ko)
TW (1) TWI665424B (ko)
WO (1) WO20181970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47429B1 (en) * 2017-08-22 2023-06-07 InnoHeat Sweden AB Heat exchanger plate and heat exchanger
ES2787017T3 (es) * 2017-08-22 2020-10-14 Innoheat Sweden Ab Intercambiador de calor
CN111928705B (zh) * 2019-05-13 2022-03-25 亚浩电子五金塑胶(惠州)有限公司 具有重力型回路热管的散热装置
EP3828489A1 (en) * 2019-11-26 2021-06-02 Alfa Laval Corporate AB Heat transfer plate
CN110749215A (zh) * 2019-12-06 2020-02-04 江苏唯益换热器有限公司 一种多级分流的钎焊换热器板片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4643A (en) * 1978-11-08 1984-03-06 Reheat Ab Method and a device for embossing heat exchanger plates
US20150276319A1 (en) * 2012-10-30 2015-10-01 Alfa Laval Corporate Ab Heat transfer plate and plate heat exchanger comprising such a heat transfer plat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68514A (en) 1974-06-07 1977-03-30 Apv Co Ltd Plate heat exchangers
SE411952B (sv) * 1978-07-10 1980-02-11 Alfa Laval Ab Vermevexlare innefattande ett flertal i ett stativ inspenda vermevexlingsplattor
SE466171B (sv) * 1990-05-08 1992-01-07 Alfa Laval Thermal Ab Plattfoeraangare daer aatminstone den ena plattan i en foeraangningspassage aer uppdelad i faelt anordnade bredvid varandra mellan plattans laangsidor, vilka faelt uppvisar sinsemellan olika korrugeringsmoenster saa att stroemningsmotstaandet successivt minskar fraan ena sidan till den andra
DE4020735A1 (de) 1990-06-29 1992-01-02 Schmidt Bretten W Gmbh Plattenwaermeaustauscher
SE505225C2 (sv) * 1993-02-19 1997-07-21 Alfa Laval Thermal Ab Plattvärmeväxlare och platta härför
CN2809567Y (zh) 2005-06-20 2006-08-23 张延丰 软硬波纹板片结构
SE531472C2 (sv) 2005-12-22 2009-04-14 Alfa Laval Corp Ab Värmeväxlare med värmeöverföringsplatta med jämn lastfördelning på kontaktpunkter vid portområden
SE532524C2 (sv) * 2008-06-13 2010-02-16 Alfa Laval Corp Ab Värmeväxlarplatta samt värmeväxlarmontage innefattandes fyra plattor
SE534306C2 (sv) * 2008-06-17 2011-07-05 Alfa Laval Corp Ab Värmeväxlarplatta och plattvärmeväxlare
SE534765C2 (sv) * 2010-04-21 2011-12-13 Alfa Laval Corp Ab Plattvärmeväxlareplatta och plattvärmeväxlare
JP5710232B2 (ja) 2010-12-09 2015-04-30 株式会社日阪製作所 プレート式熱交換器
CN202793111U (zh) 2012-09-17 2013-03-13 江苏宝得换热设备有限公司 一种热交换器
EP2728293B1 (en) 2012-10-30 2016-11-23 Alfa Laval Corporate AB Heat exchanger plate and plate heat exchanger comprising such a heat exchanger plate
PL2886997T3 (pl) * 2013-12-18 2018-08-31 Alfa Laval Corporate Ab Płyta wymiennika ciepła i płytowy wymiennik ciepła
CN204188044U (zh) * 2014-05-09 2015-03-04 株洲鸿新实业有限公司 一种全包不锈钢型板式热交换器
ES2632609T3 (es) * 2014-06-18 2017-09-14 Alfa Laval Corporate Ab Placa de transferencia de calor e intercambiador de calor de placas que comprende una placa de transferencia de calor de este tipo
CN106197094B (zh) * 2015-05-08 2019-07-16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换热器
CN205279836U (zh) * 2015-11-27 2016-06-01 Omexell(济南)传热技术有限公司 一种多鲱鱼骨式高湍流换热区换热板片
CN206001956U (zh) * 2016-08-10 2017-03-08 曾鸿武 一种新型板式换热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4643A (en) * 1978-11-08 1984-03-06 Reheat Ab Method and a device for embossing heat exchanger plates
US20150276319A1 (en) * 2012-10-30 2015-10-01 Alfa Laval Corporate Ab Heat transfer plate and plate heat exchanger comprising such a heat transfer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17903A (ja) 2020-06-18
CA3061540A1 (en) 2018-11-01
SA519410397B1 (ar) 2022-06-05
EP3396293A1 (en) 2018-10-31
AU2017411398A1 (en) 2019-10-17
ES2864498T3 (es) 2021-10-13
EP3615878B1 (en) 2021-03-03
BR112019020564A2 (pt) 2020-04-28
JP6823200B2 (ja) 2021-01-27
DK3615878T3 (da) 2021-06-07
EP3615878A1 (en) 2020-03-04
AU2017411398B2 (en) 2020-12-17
TW201839344A (zh) 2018-11-01
RU2722078C1 (ru) 2020-05-26
US11226163B2 (en) 2022-01-18
PL3615878T3 (pl) 2021-06-14
TWI665424B (zh) 2019-07-11
CN110537069A (zh) 2019-12-03
PT3615878T (pt) 2021-04-13
WO2018197031A1 (en) 2018-11-01
MY196326A (en) 2023-03-24
MX2019012558A (es) 2020-01-30
US20200386493A1 (en) 2020-12-10
CN110537069B (zh) 2021-03-30
CA3061540C (en) 2022-05-31
BR112019020564B1 (pt) 2022-08-02
KR102292846B1 (ko)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6163B2 (en) Heat transfer plate and heat exchang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uch heat transfer plates
JP6987074B2 (ja) 伝熱プレートおよび複数のかかる伝熱プレートを備えるプレート熱交換器
US9739542B2 (en) Heat transfer plate and plate heat exchanger comprising such a heat transfer plate
US20170131041A1 (en) Heat transfer plate and plate heat exchanger comprising such a heat transfer plate
US11359867B2 (en) Heat transfer plate
CA3120901C (en) Heat transfer plate
KR20180115755A (ko) 판 열교환기를 위한 열교환기 판, 및 판 열교환기
KR102514787B1 (ko) 열 전달 플레이트
US11946707B2 (en) Heat transfer plate with upper distribution ridges having corners of different curvature radius
EP4015961B1 (en) Heat transfer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