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742A -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reless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reless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742A
KR20200002742A KR1020190172871A KR20190172871A KR20200002742A KR 20200002742 A KR20200002742 A KR 20200002742A KR 1020190172871 A KR1020190172871 A KR 1020190172871A KR 20190172871 A KR20190172871 A KR 20190172871A KR 20200002742 A KR20200002742 A KR 20200002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onnection
information
wireless device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8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14940B1 (en
Inventor
김대동
김희동
박윤호
송관우
엄충용
이동익
천재익
황동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2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940B1/en
Publication of KR20200002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742A/en
Priority to KR1020210016077A priority patent/KR10239088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9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G06K9/1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H04W12/0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first electronic device can execute a method for enabling connection to a second electronic device. The method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of: obtaining a quick response (QR) code provided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hrough a camera of the first electronic device; identifying conne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obtained QR code; conducting a connection operation to set connection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identified connec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access information of an access point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set connection; and registering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based at least on the connection of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o the access point. The connection information can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d for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o identify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for a connection operation.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 can be used for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o access the access point.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 등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RELESS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Method and device for registering a wireless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RELESS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 등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a wireless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최근 무선 통신의 사용 빈도가 높아지는 만큼 새로운 무선 통신 기기를 통신망에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무선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무선 기기들 간 일시적인 접속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 경우 상기 무선 기기들 간에는 페어링(pairing)이 수행되어야 한다. Recently, as the frequency of use of wireless communication increases, it is necessary to connect a new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a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here is a case where a temporary connec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is required based on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is case, pairing should be performed between the wireless devices.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어링은 어플리케이션 설치 과정과 기기 등록/인증 과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설치 과정은 사용자가 사업자에 의해 배포된 페어링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여 다운로드 받거나 별도의 공급자로부터 제공받아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다.In a conven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iring may be performed by an application installation process and a device registration / authentication process. The application installation process represents a process in which a user searches for and downloads an application for pairing distributed by an operator and downloads it or is provided from a separate provider.

그리고 상기 기기 등록/인증 과정은 전력을 최소화하여 페어링을 위한 무선 기기를 인지하고, 개인 식별 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코드를 입력받아 무선 기기를 등록하고, 페어링 중에 다른 무선 기기의 등록을 차단하며, 인증키 교환을 통해 암호화된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 등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기기 등록/인증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device registration / authentication process minimizes power to recognize a wireless device for pairing, registers a wireless device by receiving a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code, and blocks registration of another wireless device during pairing. And the process of performing encrypted communication through authentication key exchange. Referring to the device registration / authenticat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먼저, 기기를 등록할 무선 기기(이하'기기 등록 무선 기기'라 칭함)는 송신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인접한 거리에 있는 무선 기기에 대해서만 등록을 진행한다. 따라서 상기 기기 등록 무선 기기는 등록할 무선 기기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하거나, 등록 절차를 수행할 무선 기기가 상기 기기 등록 무선 기기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해야 한다. 이처럼, 두 개의 무선 기기 간 페어링을 위해서는 사용자에 의해 두 개의 무선 기기가 인접해야만 한다. 따라서 기존의 기기 등록 방법은 사용자의 적극적인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사용자에 의한 방법으로 한정될 수 있다. First, a wireless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evice registration wireless device') to register a device proceeds with registration only for wireless devices in close proximity to minimize transmission power. Accordingly, the device registration wireless device should move to a location adjacent to the wireless device to be registered, or the wireless device to perform a registration procedure should move to a location adjacent to the device registration wireless device. As such, two wireless devices must be adjacent to each other by a user for pairing between two wireless devices. Therefore, the existing device registration method may be limited to the method by the user because the active intervention of the user is absolutely necessary.

한편, 상기 두 개의 무선 기기가 인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무선 기기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 환경이 생성되며 암호화된 통신을 위해 PIN 코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기 등록 무선 기기는 랜덤으로 생성되거나 연계된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된 PIN 코드를 해당 무선 기기로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PIN 코드에 대응되는 PIN 코드를 입력한 무선 기기를 등록할 무선 기기로 판단함으로써 등록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wo wireless devices are in an adjacent location, a communication environment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wireless devices is created and a PIN code may be used for encrypted communication. The device registration wireless device provides a PIN code provided from a randomly generated or associated system to the wireless device, and determines a wireless device to register a wireless device that has input a PIN code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PIN code as a wireless device to register. You can proceed.

그리고 상기 기기 등록 무선 기기는 상기 등록 절차가 진행될 때,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접근되는 다른 기기들을 모두 무시함으로써 상기 등록 절차가 진행되는 동안 임의의 기기들이 개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The device registration wireless device prevents any devices from intervening during the registration procedure by ignoring all other devices accessed for a preset time when the registration procedure is in progress.

또한 보안을 위해 페어링 전 오픈(open)되지 않는 두 개의 무선 기기는 별도의 유선 통신(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통신 등) 및 폐쇄된 무선 통신(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등)을 사용하여 인증에 필요한 상호 키(key) 교환을 수행한 후 인증 과정을 통한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무선 기기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의 피어-투-피어(peer to peer: P2P) 통신 등을 사용하여 암호화된 보안 통신을 통한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Also, for security purposes, two wireless devices that are not open before pairing use separate wired communications (such as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and closed wireless communications (such as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After performing the mutual key exchange necessary for authentication, the registration process through the authentic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The two wireless devices may perform a registration procedure through encrypted secure communication using peer-to-peer (P2P) communication of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한편, 상기와 같은 페어링 방식은 정상적으로 페어링 처리가 되더라도 사용자가 등록하고자 하는 무선 기기 대신 상기 기기 등록 무선 기기에 인접한 또 다른 무선 기기가 등록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페어링 방식은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와 기기 등록이 하나의 프로세스로 처리되지 않고 구분되어 처리되어야 하며, 여러 항목의 식별자(identifier: ID) 및 패스워드(password) 등이 요구되므로 페어링을 위한 설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Meanwhile, in the above pairing scheme, even if the pairing process is normally performed, another wireless device adjacent to the device registration wireless device may be registered instead of the wireless device to be registered by the user. In addition, the pairing method has to be handled separately from the installation of the application and the device registration without being processed as a single process, and the setting for pairing is complicated because multiple items of an identifier (ID) and a password are required. There is.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 등록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poses a wireless device registr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그리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무선 기기에 대한 등록 시간을 단축시키고 등록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무선 기기 등록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poses a wireless device registration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shortening a registration time for a wireless device and simplifying a registration procedure.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다른 무선 기기의 개입없이 원하는 무선 기기가 안전하게 등록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pos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a desired wireless device to be securely registered without the intervention of other wireless devices.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제2 전자 장치에 대한 접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1 전자 장치에 의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이용해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QR(quick response) 코드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획득된 QR 코드에 기반하여 접속 정보를 식별하는 과정 ―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접속 동작을 위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식별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식별된 접속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와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접속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설정된 접속을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정보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됨 ―,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는 것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of a first electronic device for enabling a connection to a second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in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using a camera of the first electronic device. Obtaining a QR (quick response) code, identifying access information based on the obtained QR code, wherein the access information is used by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o identify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for a connection oper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performing the connection operation to establish a connection with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identified connection information; access of an access point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established connection; Transmitting information, wherein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 is used by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o access the access point; and Group may be a seco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registering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based at least being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 매체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non-transient)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제1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이용해 제2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QR(quick response)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QR 코드에 기반하여 접속 정보를 식별하고 ―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접속 동작을 위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식별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식별된 접속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와의 접속을 설정하는 상기 접속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설정된 접속을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정보를 전송하고 ―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정보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됨 ―,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는 것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A storage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computer-readable non-transient storage medium storing instructions, wherein the instructions are stored in at least one processor of the first electronic device. When executed by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he first electronic device acquires a QR (quick response) code provided from a second electronic device using a camera of the first electronic device, and identifies conne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obtained QR code. The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used by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o identify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for a connection operation, and establishes a connection with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identified connection information. Perform the access operation of the setting, and transmit access information of an access point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established connection; Scan information,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s used to connect to the access point may be registered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at least being based on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제1 전자 장치 및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이용해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QR(quick response)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QR 코드에 기반하여 접속 정보를 확인하고 ―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접속 동작을 위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식별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식별된 접속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와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접속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설정된 접속을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정보를 전송하고 ―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정보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됨 ― ,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는 것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등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first electronic device and a second electronic device. The first electronic device obtains a QR (quick response) code provided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by using the camera of the first electronic device, confirms the conne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obtained QR code-the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the first electronic device will use to identify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for a connection operation—the connection to establish a connection with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identified connection information. Perform an operation, and transmit access information of an access point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established connection, wherein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 is used for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o access the access point; And register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based at least on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being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에 대한 접속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이용해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QR(quick response) 코드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상기 획득된 QR 코드에 기반하여 접속 정보를 식별하는 과정 ―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접속 동작을 위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식별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상기 식별된 접속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와의 접속을 설정하는 상기 접속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상기 설정된 접속을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정보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됨 ― , 및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는 것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 method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to a second electronic device by a first electronic device, the camera of the first electronic device may be operated by using an application executed in the first electronic device. Acquiring a QR (quick response) code provided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by using; and identifying, by the executed application, conne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cquired QR code, wherein the connection information is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he device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used to identify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for a connection operation, wherein the application establishes a connection with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identified connection information using the executed application. Performing an access operation; using the executed application, an access point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established connection Transmitting access information, wherein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 is used for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o access the access point, and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using the executed application. Registering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based at least on the device.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무선 기기에 탑재된 QR(quick response) 코드에 등록 절차에 필요한 정보(와이 파이(Wi-Fi)일 경우 "Wi-Fi MAC 주소, 테더링 접속을 위한 서비스 셋 식별자(service set identifier: SSID) 및 패스워드", 지그비(zigbee)일 경우 "지그비 MAC 주소, 설치 키(install key), Z-wave의 경우 "보안 원격 패스워드(secure remote password: SRP) 보안 키" 및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유니폼 자원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를 저장함으로써 기존에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던 입력 절차를 생략하여 보다 빠르고 손쉬운 기기 등록 절차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formation required for a registration procedure in a QR (quick response) code installed in a wireless device ("Wi-Fi MAC address in the case of Wi-Fi", a service set identifier for tethering connection) service set identifier (SSID) and password "," zigbee MAC address, install key for zigbee, "secure remote password (SRP) security key" for Z-wave and application download By storing a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 an input procedure previously performed by a user may be omitted so that a faster and easier device registration procedure may be performed.

그리고 지그비 무선 기기의 경우 ECC(elliptic curve cryptography) 방식 등의 보안 방식이 사용될 경우, 설치 키 등의 보안 키 입력 절차가 필요하지만,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QR 코드에 포함된 보안 키가 상기 지그비 무선 기기와 연결된 지그비 브리지에 전달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절차는 생략될 수 있다.In the case of a Zigbee wireless device, when a security method such as an elliptic curve cryptography (ECC) method is used, a security key input procedure such as an installation key is required,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security key included in the QR code The procedure as described above may be omitted by passing the ZigBee bridge to the ZigBee bridge connected to the ZigBee wireless device.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등록할 무선 기기의 QR 코드를 스캔하면 기기 등록 절차가 자동으로 완료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해당 기기들을 페어링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의를 갖는다. 게다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무선 기기 별로 개별적인 SSID가 사용되어 단말과 직접 연결되므로 해당 무선 기기를 제외한 다른 무선 기기들이 등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user scans a QR code of a wireless device to be registered, the device registration procedure is automatically completed, so that the user may conveniently pair and use the corresponding devices. 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ince a separate SSID is used for each wireless device and directly connected to the terminal, other wireless devices except for the corresponding wireless device may be prevented from being registered.

그리고 사용자는 Wi-Fi, 지그비 및 Z-wave 등의 무선 통신이 사용될 경우 모두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를 통해 무선 기기들의 페어링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기존에는 무선 기기 등록시 일시적으로 스테이션(station) 모드에서 AP 모드로 전환할 경우 등록 절차 중에 대기 시간이 길어지며 고정된 SSID의 사용으로 인해 다른 사용자에게 해당 SSID가 노출될 우려가 있으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노출을 막아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등록 시간을 단축함과 아울러 등록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a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Fi, Zigbee, and Z-wave is used, the user may enable pairing of wireless devices through an intuitive user experience (UX). Furthermore, in the past, when the wireless device is temporarily registered from the station mode to the AP mode, the waiting time is long during the registration process, and the use of the fixed SSID may expose the SSID to other users. In one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exposure can be prevented to improve security as well as the registration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registration procedure can be simplified.

도 1은 본 개시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의 등록 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3은 본 개시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개시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개시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의 등록 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7은 본 개시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개시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개시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개시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의 등록 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11은 본 개시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12는 본 개시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지그비 IP 브리지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13은 본 개시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14는 본 개시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개시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의 등록 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16은 본 개시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17은 본 개시의 제4실시 예에 따른 Z-wave IP 브리지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18은 본 개시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의 블록 구성도,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도.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registration process of a wireless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signal flowchart illustrating a registration process of a wireless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0 is a signal flowchart illustrating a registration process of a wireless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Zigbee IP bridg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5 is a signal flowchart illustrating a registration process of a wireless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Z-wave IP bridg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1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disclosure, and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custom.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기 등록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개시에서는 무선 기기와 단말이 사용하는 무선 통신 타입에 따라 다음과 같은 4가지 실시 예를 제안한다. 본 개시의 제1실시 예에서는 와이 파이(Wi-Fi)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이 테더링(tethering) 모드를 기반으로 Wi-Fi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기기를 등록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본 개시의 제2실시 예에서는 Wi-Fi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이 Wi-Fi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기기와 피어-투-피어(peer to peer: P2P)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무선 기기를 등록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본 개시의 제3실시 예에서는 Wi-Fi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이 지그비(zigbee)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기기를 등록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본 개시의 제4실시 예에서는 Wi-Fi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이 Z-Wave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기기를 등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poses a device registr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present disclosure proposes the following four embodiments accord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ype used by a wireless device and a terminal. In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for registering a wireless device performing Wi-Fi communication based on a tethering mode by a terminal performing Wi-Fi communication is proposed. In the second embodiment, a method for registering a wireless device by performing a peer-to-peer (P2P) communication with a wireless device performing Wi-Fi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a terminal performing Wi-Fi communication.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for registering a wireless device performing zigbee communication by a terminal performing Wi-Fi communication is proposed, and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Fi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e terminal proposes a method of registering a wireless device for performing Z-Wave communication.

본 개시의 제1 내지 제4실시 예에서 제안하는 무선 기기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세탁기, 냉장고 및 텔레비전 등의 가전 기기가 될 수 있으며, 단말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 태블릿 PC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무선 기기 및 단말은 상기와 같은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wireless device proposed in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 home appliance such as a washing machine, a refrigerator, and a television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terminal may be a mobile phone, a tablet PC, or the lik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However, the wireless device and the terminal can be variously changed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above devices.

이하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4가지 실시 예를 각각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our embodiments propo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개시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기기(100), 단말(110),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120) 및 홈 서버(130)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wireless device 100, a terminal 110, an access point (AP) 120, and a home server 130.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ome network.

상기 무선 기기(100)는 Wi-Fi 통신을 수행하며, 기기 정보 등이 포함된 2차원의 인식 코드(1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 코드(105)는 일 예로 QR(quick response) 코드 등이 될 수 있는데,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상기 인식 코드(105)를 QR 코드라 칭하기로 한다. The wireless device 100 performs Wi-Fi communication and may include a two-dimensional recognition code 105 including device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recognition code 105 may be, for example, a QR (quick response) code or the lik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recognition code 105 will be referred to as a QR code.

본 개시의 제1실시 예에서 상기 QR 코드(105)는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타입을 나타내는 연결 타입(connectivity type) 정보, 등록 과정에서 상기 단말(110)이 진입해야 할 운영 모드 정보, Wi-Fi MAC 주소(address), 테더링 연결을 위해 사용될 서비스 셋 식별자(service set identifier: SSID) 및 패스워드(password),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다운로드를 위한 유니폼 자원 식별자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정보들은 상기 QR 코드(105)에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URI 정보는 QR 표준에 따라 기록될 수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QR code 105 may include connection type information indic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ype such as Wi-Fi, operation mode information that the terminal 110 should enter in the registration process, and Wi. -Fi MAC address, service set identifier (SSID) and password to be used for tethering connection,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 information for downloading of application, etc. It may include. The above information may be stored encrypted in the QR code 105, the URI information may be recorded according to the QR standard.

상기 단말(110)은 Wi-Fi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QR 코드(105)를 스캔하여 상기 QR 코드(105)에 포함된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110)은 상기 QR 코드(105)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테더링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무선 기기(100)에 대한 등록 절차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The terminal 110 is a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Wi-Fi communication and acquires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R code 105 by scanning the QR code 105. The terminal 110 enters a tethering mode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QR code 105 so that the registration procedure for the wireless device 100 can proceed.

상기 AP(120)는 상기 홈 서버(130)와 연결되어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AP(120)는 상기 단말(110)이 URI 정보를 송신하면, 상기 URI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단말(11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AP 120 is connected to the home server 130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network.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110 transmits URI information, the AP 120 may transmit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URI to the terminal 110.

그리고 상기 홈 서버(130)는 상기 외부 네트워크 및 상기 AP(120)에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The home server 13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network and the AP 120 to manage information on various devices on the home network.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의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registration process of a wireless devic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s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개시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의 등록 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2 is a signal flowchart illustrating a registration process of a wireless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110)은 200 단계에서 상기 무선 기기(100)에 포함된 QR 코드를 스캔하여 연결 타입, 운영 모드, Wi-Fi MAC 주소, SSID 및 패스워드, 어플리케이션 URI 정보 등을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110)은 202 단계에서 상기 URI 정보를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무선 기기(100)의 서치 및 등록을 위해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단말(110)은 상기 AP(120)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다.Referring to FIG. 2, the terminal 110 scans a QR code included in the wireless device 100 in step 200 to determine a connection type, an operation mode, a Wi-Fi MAC address, an SSID and a password, and application URI information. Acquire. The terminal 110 downloads and installs an application using the URI information in step 202. The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used for searching and registering the wireless device 100, and the terminal 110 downloads the application through the AP 120.

상기 단말(11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QR 코드(105)에 포함된 연결 타입 및 운영 모드를 판단한다. 이어 상기 단말(110)은 204 단계에서 상기 연결 타입이 Wi-Fi이고, 상기 운영 모드가 STA/AP 모드(해당 단말이 AP로 동작하고 무선 기기가 상기 AP에 대한 단말로서 동작함으로써 등록 절차를 진행하는 모드)로 판단된 경우, 상기 SSID 및 패스워드를 기반으로 테더링 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110)은 AP로서의 동작을 시작한다.The terminal 110 executes the application and determines the connection type and operation mode included in the QR code 105. Subsequently, in step 204, the terminal 110 is Wi-Fi, and the operation mode is STA / AP mode (the terminal operates as an AP and the wireless device operates as a terminal for the AP. Mode), enter the tethering mode based on the SSID and password. The terminal 110 starts to operate as an AP.

상기 무선 기기(100)는 206 단계에서 상기 AP로 동작하는 단말(110)을 인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기기(100)는 주기적인 AP 스캔 과정을 통해 상기 QR 코드에 포함된 SSID 및 패스워드와 동일한 SSID 및 패스워드를 갖는 AP로서 상기 단말(110)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기기(100)는 상기 단말(110)이 상기 무선 기기(100)에 인접해 있음을 접근 센서 등을 통해 감지하여 상기 단말(110)을 인지할 수 있다. In step 206, the wireless device 100 recognizes the terminal 110 that operates as the AP. For example, the wireless device 100 may recognize the terminal 110 as an AP having the same SSID and password as the SSID and password included in the QR code through a periodic AP scan process. In addition, the wireless device 100 may recognize the terminal 110 by detecting that the terminal 110 is adjacent to the wireless device 100 through an access sensor.

상기 무선 기기(100)는 상기 단말(110)이 인지되면, 208 단계에서 상기 단말(110)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기기(100)는 상기 단말(110)을 인지한 후 바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지만, 상기 단말(110)이 인지되었음을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 신호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린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별도의 입력을 받아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When the terminal 110 is recognized, the wireless device 100 transmits a connection request message to the terminal 110 in step 208. Here, the wireless device 100 may transmit a connection request message immediately after recognizing the terminal 110, but notifies the user by using a display or a voice signal that the terminal 110 has been recognized, and then, from the user.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may be transmitted by receiving a separate input.

*상기 단말(110)은 상기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210 단계에서 상기 무선 기기(100)와 Wi-Fi를 통한 연결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단말(110)은 AP로서 동작하므로 상기 무선 기기(100)뿐만 아니라 다수의 무선 기기와도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110)은 자신과 연결된 다수의 무선 기기 중 상기 단말(110)이 등록하고자 하는 상기 무선 기기(100)를 검출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단말(110)은 212 단계에서 상기 Wi-Fi MAC 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110)에 연결된 다수의 무선 기기 중 상기 무선 기기(100)를 검출한다. When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is received, the terminal 110 performs a connection operation with the wireless device 100 through Wi-Fi in step 210. In this case, since the terminal 110 operates as an AP, the terminal 110 may be connected to not only the wireless device 100 but also a plurality of wireless devices. Therefore, the terminal 110 should detect the wireless device 100 that the terminal 110 intends to register among a plurality of wireless devices connected to the terminal 110. To this end, the terminal 110 detects the wireless device 100 among a plurality of wireless devices connected to the terminal 110 based on the Wi-Fi MAC address in step 212.

예를 들어, 상기 단말(110)은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mDNS(multicast domain name system) 혹은 또 다른 발견(discovery)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기기 발견을 위한 요청 신호를 상기 다수의 무선 기기로 브로드캐스팅한 후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110)은 자신이 알고 있는 Wi-Fi MAC 주소와 동일한 Wi-Fi MAC 주소가 포함된 응답 신호를 송신한 무선 기기를 상기 무선 기기(100)로서 검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erminal 110 uses a 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 (SSDP) / multicast domain name system (mDNS) or another discovery protocol to transmit a request signal for wireless device discovery to the plurality of wireless devices. And then broadcast a response to it. In this case, the terminal 110 may detect, as the wireless device 100, a wireless device that has transmitted a response signal including the same Wi-Fi MAC address as the Wi-Fi MAC address known to the terminal 110.

상기 단말(110)은 상기 무선 기기(100)가 검출되면 214 단계에서 상기 AP(120)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포함된 AP 접속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무선 기기(100)로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110)은 216 단계에서 상기 테더링 모드를 종료한다. 상기 단말(110)은 상기 AP 접속 정보를 송신한 직후 상기 테더링 모드를 종료할 수 있지만, 상기 무선 기기(100)로부터 상기 AP(120)의 접속 정보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테더링 모드를 종료할 수도 있다.When the wireless device 100 is detected, the terminal 110 encrypts AP access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accessing the AP 120 and transmits the encrypted access information to the wireless device 100 in step 214. In step 216, the terminal 110 ends the tethering mode. The terminal 110 may end the tethering mode immediately after transmitting the AP access information, but after receiving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AP 120 has been received from the wireless device 100, You can also exit the tethering mode.

상기 단말(110)은 상기 테더링 모드를 종료한 후 218 단계에서 상기 AP(120)에 다시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기기(100)는 220 단계에서 상기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AP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AP(120)에 접속한다. 이때 상기 무선 기기(100)는 자신의 정보를 상기 AP(120)에 송신한다. 그러면 상기 AP(120)는 홈 네트워크에 상기 무선 기기(100)의 정보가 등록되도록 상기 홈 서버(130)로 상기 무선 기기(100)의 정보를 송신한다. The terminal 110 accesses the AP 120 again in step 218 after the tethering mode ends. In operation 220, the wireless device 100 accesses the AP 120 based on the AP acces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110. In this case, the wireless device 100 transmits its information to the AP 120. Then, the AP 120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device 100 to the home server 130 so that th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device 100 is registered in the home network.

상기 단말(110)은 SSDP/mDNS 혹은 또 다른 발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무선 기기들을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110)은 상기 검출된 무선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검출된 무선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무선 기기(100)를 선택한 경우 상기 단말(110)은 상기 무선 기기(100)에 페어링 요청을 송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110)은 상기 무선 기기(100)에 대한 연결이 확인되면 상기 무선 기기(100)에 대한 등록을 수행한다. The terminal 110 detects wireless devices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using SSDP / mDNS or another discovery protocol. In addition, the terminal 110 displays information on the detected wireless devices on a screen so that a user can select at least one of the detected wireless devices. If the user selects the wireless device 100, the terminal 110 may transmit a pairing request to the wireless device 100 and receive a response signal thereto. When the connection to the wireless device 100 is confirmed, the terminal 110 registers the wireless device 100.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단말(110)과 무선 기기(100)의 동작을 각각 설명하기로 한다. Next, operations of the terminal 110 and the wireless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respectively.

도 3은 본 개시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110)은 300 단계에서 상기 무선 기기(100)의 QR 코드(105)를 스캔하여 기기 정보(연결 타입, 운영 모드, Wi-Fi MAC 주소, SSID 및 패스워드, 어플리케이션 URI)를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110)은 302 단계에서 상기 URI를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terminal 110 scans the QR code 105 of the wireless device 100 in step 300 to determine device information (connection type, operation mode, Wi-Fi MAC address, SSID and password, application). URI). The terminal 110 downloads and installs an application using the URI in step 302.

상기 단말(110)은 304 단계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연결 타입이 Wi-Fi이고 상기 운영 모드가 STA/AP 모드인 경우, SSID 및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테더링 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110)은 상기 테더링 모드에서 AP로서 동작하는 중에 306 단계에서 상기 무선 기기(100)로부터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무선 기기(100)와의 연결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단말(110)은 상기 무선 기기(100)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 기기와 연결될 수도 있으므로, 308 단계에서 상기 Wi-Fi MAC 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가 해당 무선 기기 즉, 상기 무선 기기(100)가 맞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The terminal 110 executes the application in step 304 and when the connection type is Wi-Fi and the operation mode is STA / AP mode, enters a tethering mode using an SSID and a password. When the terminal 110 receives a connection request from the wireless device 100 in step 306 while operating as an AP in the tethering mode, the terminal 110 performs a connection operation with the wireless device 100. In this case, the terminal 110 may be connected to another wireless device as well as the wireless device 100. In step 308, the connected wireless device is a corresponding wireless device, that is, the wireless device 100 based on the Wi-Fi MAC address. ) Is determined to be correct.

상기 단말(110)은 310 단계에서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100)가 해당 무선 기기로 판단된 경우 312 단계에서 AP 접속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무선 기기(100)로 송신한다. 이어 상기 단말(110)은 314 단계에서 상기 테더링 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AP(120)에 접속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310 that the connected wireless device 100 is the corresponding wireless device, the terminal 110 encrypts AP access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AP access information to the wireless device 100 in step 312. In step 314, the terminal 110 terminates the tethering mode and accesses the AP 120.

그리고 상기 단말(110)은 SSDP/mDNS 혹은 또 다른 발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무선 기기들을 검출한다. 이어 상기 단말(110)은 상기 검출된 무선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검출된 무선 기기들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The terminal 110 detects wireless devices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using SSDP / mDNS or another discovery protocol. Subsequently, the terminal 110 displays information on the detected wireless devices on a screen so that a user can select one of the detected wireless devices.

만약 사용자가 상기 무선 기기(100)를 선택한 경우 상기 단말(110)은 상기 무선 기기(100)에 페어링 요청을 송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110)은 316 단계에서 상기 무선 기기(100)에 대한 연결을 확인하고 등록을 수행한다. If the user selects the wireless device 100, the terminal 110 may transmit a pairing request to the wireless device 100 and receive a response signal thereto. In step 316, the terminal 110 confirms the connection to the wireless device 100 and performs registration.

도 4는 본 개시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기기(100)는 400 단계에서 QR 코드(105)에 포함된 SSID 및 패스워드를 기반으로 AP로 동작하는 단말(110)을 검출한다. 상기 무선 기기(100)는 주기적인 AP 스캔 과정을 통해 상기 QR 코드(105)에 포함된 SSID 및 패스워드와 동일한 SSID 및 패스워드를 갖는 AP로서 상기 단말(110)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기기(100)는 특정 단말이 상기 무선 기기(100)에 인접해 있음을 접근 센서 등을 통해 감지한 후, 상기 QR 코드(105)에 포함된 SSID 및 패스워드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단말이 상기 단말(110)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단말(110)을 검출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wireless device 100 detects the terminal 110 operating as an AP based on the SSID and the password included in the QR code 105 in step 400. The wireless device 100 may detect the terminal 110 as an AP having the same SSID and password as the SSID and password included in the QR code 105 through a periodic AP scan process. In addition, the wireless device 100 detects that a specific terminal is adjacent to the wireless device 100 through an access sensor or the like, and then, based on the SSID and password included in the QR code 105, the specific terminal is detected. The terminal 110 may be detect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110 is the terminal 110.

이어 상기 무선 기기(100)는 402 단계에서 상기 검출된 단말(110)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연결 동작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기기(100)는 상기 단말(110)로부터 발견을 위한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QR 코드(105)에 포함된 Wi-Fi MAC 주소를 응답 신호에 포함시켜 송신함으로써 상기 단말(110)이 상기 무선 기기(100)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In step 402, the wireless device 100 transmits a connection request message to the detected terminal 110 and performs a connection operation. When the request signal for discovery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110, the wireless device 100 includes the Wi-Fi MAC address included in the QR code 105 in a response signal and transmits the response. The wireless device 100 can be detected.

상기 무선 기기(100)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단말(110)로부터 AP 접속 정보가 수신되면, 406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AP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AP(120)에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기기(100)는 자신의 정보를 상기 AP(120)로 송신함으로써 홈 네트워크에 등록될 수 있도록 한다. 이어 상기 무선 기기(100)는 상기 단말(110)에 의한 페어링 요청이 수신되면 408 단계에서 상기 단말(110)과 페어링한다. After performing the above process, when the AP access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110, the wireless device 100 accesses the AP 120 based on the received AP access information in step 406. The wireless device 100 transmits its information to the AP 120 so that the wireless device 100 can be registered in the home network. Subsequently, when a pairing request by the terminal 110 is received, the wireless device 100 pairs with the terminal 110 in step 408.

다음으로 Wi-Fi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이 Wi-Fi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기기와 P2P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무선 기기를 등록하는 본 개시의 제2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which a terminal performing Wi-Fi communication registers the wireless device by performing P2P communication with a wireless device performing Wi-Fi communica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개시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기기(500), 단말(510), AP(520) 및 홈 서버(530)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ome network including a wireless device 500, a terminal 510, an AP 520, and a home server 530. have.

상기 무선 기기(500)는 Wi-Fi 통신을 수행하며, 기기 정보 등이 포함된 2차원 형태의 인식 코드(5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 코드(505)는 일 예로 QR 코드 등이 될 수 있는데,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상기 인식 코드(505)를 QR 코드라 칭하기로 한다. The wireless device 500 performs Wi-Fi communication and may include a two-dimensional recognition code 505 including device information. The recognition code 505 may be, for example, a QR cod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recognition code 505 will be referred to as a QR code.

본 개시의 제2실시 예에서 상기 QR 코드(505)는 Wi-Fi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타입을 나타내는 연결 타입 정보, 등록 과정에서 상기 단말(510)이 진입해야 할 운영 모드 정보, Wi-Fi MAC 주소, P2P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P2P 개인 식별 번호(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코드 및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위한 URI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정보들은 상기 QR 코드(505)에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URI 정보는 QR 표준에 따라 기록될 수 있다.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QR code 505 may include connection type information indic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ype such as Wi-Fi, operation mode information that the terminal 510 should enter in the registration process, and a Wi-Fi MAC address. It may include a P2P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code used to perform P2P communication, URI information for downloading the application, and the like. Such information may be stored encrypted in the QR code 505, the URI information may be recorded according to the QR standard.

상기 단말(510)은 Wi-Fi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QR 코드(505)를 스캔하여 상기 QR 코드(505)에 포함된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510)은 상기 QR 코드(505)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 기기(500)와 P2P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무선 기기(500)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 한다. The terminal 510 is a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Wi-Fi communication and acquire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R code 505 by scanning the QR code 505. The terminal 510 performs P2P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device 500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QR code 505 to perform a registration procedure for the wireless device 500.

상기 AP(520)는 상기 홈 서버(530)와 연결되어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AP(520)는 상기 단말(510)이 URI 정보를 송신하면, 상기 URI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단말(51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AP 520 is connected to the home server 530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network.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510 transmits URI information, the AP 520 may deliver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URI to the terminal 510.

그리고 상기 홈 서버(530)는 상기 외부 네트워크 및 상기 AP(520)에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The home server 53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network and the AP 520 and manages information on various devices on the home network.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의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registration process of a wireless devic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s shown in FIG. 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본 개시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의 등록 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6 is a signal flowchart illustrating a registration process of a wireless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510)은 600 단계에서 상기 무선 기기(500)에 포함된 QR 코드(605)를 스캔하여 연결 타입, 운영 모드, Wi-Fi MAC 주소, P2P PIN 코드 및 어플리케이션 URI 정보 등을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510)은 602 단계에서 상기 URI 정보를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무선 기기(500)의 서치 및 등록을 위해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단말(510)은 상기 AP(520)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다.Referring to FIG. 6, the terminal 510 scans the QR code 605 included in the wireless device 500 in step 600 to connect a connection type, an operation mode, a Wi-Fi MAC address, a P2P PIN code, and an application URI. Obtain information and more. In step 602, the terminal 510 downloads and installs an application using the URI information. The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used for searching and registering the wireless device 500, and the terminal 510 downloads the application through the AP 520.

상기 단말(51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QR 코드(505)에 포함된 연결 타입 및 운영 모드를 판단한다. 이어 상기 단말(510)은 604 단계에서 상기 연결 타입이 Wi-Fi이고, 운영 모드가 P2P 모드(해당 단말이 무선 기기와 P2P 통신을 수행하여 등록 절차를 진행하는 모드)로 판단된 경우, Wi-Fi 인터페이스를 온(On) 시켜 Wi-Fi P2P 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510)은 P2P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무선 기기를 검출하여, 606 단계에서 상기 P2P PIN 코드를 기반으로 P2P 연결 동작을 수행한다. The terminal 510 executes the application and determines a connection type and an operation mode included in the QR code 505. Subsequently, in step 604, the terminal 510 determines that the connection type is Wi-Fi and the operation mode is a P2P mode (a mode in which the terminal performs P2P communication with a wireless device to perform a registration procedure). Turn on the Fi interface to enter Wi-Fi P2P mode. The terminal 510 detects at least one wireless device for P2P communication, and performs a P2P connection operation based on the P2P PIN code in step 606.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단말(510)은 무선 기기 발견을 위한 요청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한 후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510)은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 무선 기기를 상기 P2P 통신을 위한 무선 기기로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510)은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 무선 기기 중 상기 P2P PIN 코드와 동일한 P2P PIN 코드를 송신한 무선 기기를 P2P 통신을 수행할 무선 기기로 검출하여 연결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P2P PIN 코드는 상기 응답 신호와 함께 송신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기기로부터 별도의 신호에 포함되어 송신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terminal 510 may broadcast a request signal for wireless device discovery and receive a response signal thereto. The terminal 510 detects the wireless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response signal as a wireless device for the P2P communication. The terminal 510 detects a wireless device that transmits the same P2P PIN code as the P2P PIN code among the wireless devices that transmit the response signal as a wireless device to perform P2P communication and performs a connection operation. The P2P PIN code may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response signal or included in a separate signal from the at least one wireless device.

상기 단말(510)은 608 단계에서 상기 Wi-Fi MAC 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가 상기 무선 기기(500)인지를 판단한다. 즉, 상기 단말(510)은 자신이 알고 있는 Wi-Fi MAC 주소와 동일한 Wi-Fi MAC 주소를 갖는 무선 기기를 상기 무선 기기(500)로서 판단한다. In step 608, the terminal 510 determines whether the connected wireless device is the wireless device 500 based on the Wi-Fi MAC address. That is, the terminal 510 determines, as the wireless device 500, a wireless device having the same Wi-Fi MAC address as the known Wi-Fi MAC address.

상기 단말(510)은 상기와 같이 상기 연결된 무선 기기가 상기 무선 기기(500)로 판단되면, 610 단계에서 상기 AP(520)에 대한 AP 접속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무선 기기(500)로 송신한다. 이어 상기 단말(510)은 612 단계에서 상기 Wi-Fi P2P 모드를 종료하고 Wi-Fi 인터페이스를 오프(Off)시킨다. 도 6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단말(510)은 상기 무선 기기(500)로부터 상기 AP 접속 정보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P2P 모드를 종료할 수도 있다.When the connected wireless device is determined as the wireless device 500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510 encrypts the AP access information for the AP 520 to the wireless device 500 in step 610. In step 612, the terminal 510 ends the Wi-Fi P2P mode and turns off the Wi-Fi interface. Although not shown in FIG. 6, the terminal 510 may end the P2P mode after receiving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AP access information has been received from the wireless device 500.

상기 단말(510)은 상기 P2P 모드 종료 후 614 단계에서 상기 AP(520)에 다시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기기(500)는 616 단계에서 상기 단말(510)로부터 수신한 AP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AP(520)에 접속한다. 이때 상기 무선 기기(500)는 자신의 정보를 상기 AP(520)에 송신한다. 그러면 상기 AP(520)는 홈 네트워크에 상기 무선 기기(500)의 정보가 등록되도록 상기 홈 서버(530)로 상기 무선 기기(500)의 정보를 송신한다. The terminal 510 accesses the AP 520 again in step 614 after the P2P mode ends. In operation 616, the wireless device 500 accesses the AP 520 based on the AP acces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510. At this time, the wireless device 500 transmits its information to the AP 520. Then, the AP 520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device 500 to the home server 530 so that th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device 500 is registered in the home network.

상기 단말(510)은 SSDP/mDNS 혹은 또 다른 발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무선 기기들을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510)은 상기 검출된 무선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검출된 무선 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무선 기기(500)를 선택한 경우 상기 단말(510)은 상기 무선 기기(500)에 페어링 요청을 송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510)은 상기 무선 기기(100)에 대한 연결이 확인되면 상기 무선 기기(500)에 대한 등록을 수행한다. The terminal 510 detects wireless devices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using SSDP / mDNS or another discovery protocol. In addition, the terminal 510 displays information on the detected wireless devices on a screen so that a user can select at least one of the detected wireless devices. If the user selects the wireless device 500, the terminal 510 may transmit a pairing request to the wireless device 500 and receive a response signal thereto. The terminal 510 registers the wireless device 500 when the connection to the wireless device 100 is confirmed.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단말(510)과 무선 기기(500)의 동작을 각각 설명하기로 한다. Next, operations of the terminal 510 and the wireless device 5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respectively.

도 7은 본 개시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500)은 700 단계에서 상기 무선 기기(500)의 QR 코드(505)를 스캔하여 기기 정보(연결 타입, 운영 모드, Wi-Fi MAC 주소, P2P PIN 코드 및 어플리케이션 URI)를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510)은 702 단계에서 상기 URI를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terminal 500 scans the QR code 505 of the wireless device 500 in step 700 to determine device information (connection type, operation mode, Wi-Fi MAC address, P2P PIN code and application). URI). In step 702, the terminal 510 downloads and installs an application using the URI.

상기 단말(510)은 704 단계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상기 연결 타입이 Wi-Fi이고 상기 운영 모드가 P2P 모드인 경우, Wi-Fi P2P 모드로 진입하여 P2P 통신을 위한 무선 기기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510)은 706 단계에서 P2P PIN 코드를 기반으로 상기 검출된 무선 기기와 P2P 연결 동작을 수행한다. In step 704, when the connection type is Wi-Fi and the operation mode is P2P mode, the terminal 510 enters the Wi-Fi P2P mode and detects a wireless device for P2P communication. In step 706, the terminal 510 performs a P2P connection operation with the detected wireless device based on the P2P PIN code.

이어 상기 단말(510)은 708 단계에서 상기 Wi-Fi MAC 주소를 기반으로 검출된 무선 기기가 해당 무선 기기(500)가 맞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말(510)은 710 단계에서 상기 검출된 무선 기기가 해당 무선 기기(500)로 판단된 경우, 712 단계에서 AP 접속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무선 기기(500)로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510)은 714 단계에서 상기 Wi-Fi P2P 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AP(520)에 접속한다. In step 708, the terminal 510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ed wireless device is the corresponding wireless device 500 based on the Wi-Fi MAC address. In step 710, if the detected wireless device is determined to be the corresponding wireless device 500, the terminal 510 encrypts AP access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AP access information to the wireless device 500. In step 714, the terminal 510 ends the Wi-Fi P2P mode and accesses the AP 520.

그리고 상기 단말(510)은 SSDP/mDNS 혹은 또 다른 발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무선 기기들을 검출한다. 이어 상기 단말(510)은 상기 검출된 무선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검출된 무선 기기들 중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The terminal 510 detects wireless devices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using SSDP / mDNS or another discovery protocol. Subsequently, the terminal 510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detected wireless devices on a screen so that a user can select one of the detected wireless devices.

만약 사용자가 상기 무선 기기(500)를 선택한 경우 상기 단말(510)은 상기 무선 기기(500)에 페어링 요청을 송신하고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510)은 716 단계에서 상기 무선 기기(500)에 대한 연결이 확인되면 상기 무선 기기(500)에 대한 등록을 수행한다.If the user selects the wireless device 500, the terminal 510 may transmit a pairing request to the wireless device 500 and receive a response signal thereto. In step 716, if the connection to the wireless device 500 is confirmed, the terminal 510 registers the wireless device 500.

도 8은 본 개시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기기(500)는 800 단계에서 QR 코드(505)에 포함된 QR 코드에 포함된 P2P PIN 코드 및 Wi-Fi MAC 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510)과 P2P 연결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기기(500)는 802 단계에서 상기 단말(510)로부터 AP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804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AP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AP(520)에 접속한다. 이어 상기 무선 기기(500)는 상기 단말(510)에 의한 페어링 요청이 수신되면 408 단계에서 상기 단말(510)과 페어링한다.Referring to FIG. 8, the wireless device 500 connects the P2P to the terminal 510 based on the P2P PIN code and the Wi-Fi MAC address included in the QR code included in the QR code 505 in step 800. Do this. In operation 802, the wireless device 500 receives AP access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510 and accesses the AP 520 based on the received AP access information in step 804. Subsequently, when the pairing request by the terminal 510 is received, the wireless device 500 pairs with the terminal 510 in step 408.

다음으로 Wi-Fi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이 지그비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기기를 등록하는 본 개시의 제3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which a terminal performing Wi-Fi communication registers a wireless device performing Zigbee communication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개시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기기(900), 지그비 IP 브리지(bridge)(910), 단말(920), AP(930) 및 홈 서버(940)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9,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wireless device 900, a Zigbee IP bridge 910, a terminal 920, an AP 930, and a home server 940.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ome network including a.

상기 무선 기기(900)는 지그비 통신을 수행하며, 기기 정보 등이 포함된 2차원 형태의 인식 코드(9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 코드(905)는 일 예로 QR 코드 등이 될 수 있는데,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상기 인식 코드(905)를 QR 코드라 칭하기로 한다. The wireless device 900 performs Zigbee communication, and may include a two-dimensional recognition code 905 including device information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recognition code 905 may be a QR cod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recognition code 905 will be referred to as a QR code.

본 개시의 제3실시 예에서 상기 QR 코드(905)는 지그비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타입을 나타내는 연결 타입 정보, 지그비 MAC 주소, 보안키(일 예로, 설치키(install key) 등이 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치키'라 칭하기로 한다) 및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위한 URI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정보들은 상기 QR 코드(905)에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URI 정보는 QR 표준에 따라 기록될 수 있다.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QR code 905 may be connection type information indic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ype such as Zigbee, Zigbee MAC address, security key (for example, an installation key), and the like. It may be referred to as an "install key" and URI information for downloading the application. The above information may be stored encrypted in the QR code 905, the URI information may be recorded according to the QR standard.

상기 단말(920)은 Wi-Fi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QR 코드(905)를 스캔하여 상기 QR 코드(905)에 포함된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920)은 상기 QR 코드(905)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지그비 IP 브리지(910)를 통해 상기 무선 기기(900)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The terminal 920 is a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Wi-Fi communication and acquire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R code 905 by scanning the QR code 905. The terminal 920 performs a registration procedure for the wireless device 900 through the Zigbee IP bridge 910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QR code 905.

상기 지그비 IP 브리지(910)는 Wi-Fi 통신망과 지그비 통신망을 연결해주는 장치이며, 상기 AP(930)는 상기 홈 서버(940)에 연결되어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홈 서버(940)는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The Zigbee IP Bridge 910 is a device that connects a Wi-Fi communication network and a Zigbe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AP 930 is connected to the home server 940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network. The home server 94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network and manages information on various devices on the home network.

도 10은 본 개시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의 등록 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10 is a signal flowchart illustrating a registration process of a wireless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920)은 1000 단계에서 상기 무선 기기(900)에 포함된 QR 코드(905)를 스캔하여 연결 타입, 지그비 MAC 주소, 설치키 및 어플리케이션 URI 정보 등을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920)은 1002 단계에서 상기 URI 정보를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무선 기기(900)의 서치 및 등록을 위해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단말(910)은 상기 AP(930)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다.Referring to FIG. 10, the terminal 920 scans the QR code 905 included in the wireless device 900 to obtain a connection type, a Zigbee MAC address, an installation key, and application URI information in step 1000. The terminal 920 downloads and installs an application using the URI information in step 1002. The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used for searching and registering the wireless device 900, and the terminal 910 downloads the application through the AP 930.

상기 단말(92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QR 코드(905)에 포함된 연결 타입을 판단한다. 상기 단말(920)은 1004 단계에서 상기 연결 타입이 지그비로 판단된 경우 상기 지그비 IP 브리지(910)를 탐색한다. 상기 지그비 IP 브리지(910)를 탐색하는 동작은 SSDP 혹은 또 다른 발견 프로토콜을 사용한 서비스 발견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The terminal 920 executes the application and determines the connection type included in the QR code 905. The terminal 920 searches for the Zigbee IP bridge 910 when the connection type is determined to be Zigbee in step 1004. The discovery of the Zigbee IP bridge 910 may be performed through a service discovery method using SSDP or another discovery protocol.

상기 단말(920)은 상기 지그비 IP 브리지(910)가 탐색되면, 1006 단계에서 상기 지그비 MAC 주소 및 설치 키를 상기 지그비 IP 브리지(910)로 송신한다. 그러면 상기 지그비 IP 브리지(910)는 1008 단계에서 상기 지그비 MAC 주소에 대응하는 무선 기기 및 상기 설치키의 해쉬(hash) 정보를 저장한다(일 예로, 상기 지그비 IP 브리지(910)의 지그비 통신 모뎀에 등록함). When the ZigBee IP Bridge 910 is discovered, the terminal 920 transmits the ZigBee MAC address and the installation key to the ZigBee IP Bridge 910 in step 1006. Then, the Zigbee IP bridge 910 stores hash information of the wireless device and the installation key corresponding to the Zigbee MAC address in step 1008 (for example, in a Zigbee communication modem of the Zigbee IP bridge 910). Registered).

한편, 상기 무선 기기(900)는 1010 단계에서 상기 단말(920)이 인지되면, 1012 단계에서 상기 지그비 IP 브리지(910)로 상기 무선 기기(900)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러면 상기 지그비 IP 브리지(910)는 1014 단계에서 상기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920)에 대한 등록을 허용하고 등록 허용 메시지를 상기 무선 기기(900)로 송신한다. 한편, 상기 무선 기기(900)는 접근 센서 혹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을 사용하여 상기 단말(920)을 인지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terminal 920 is recognized in step 1010, the wireless device 900 transmits a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wireless device 900 to the Zigbee IP bridge 910 in step 1012. . In operation 1014, the Zigbee IP bridge 910 permits the registration of the terminal 920 based on the stored information and transmits a registration permission message to the wireless device 900. Meanwhile, the wireless device 900 may recognize the terminal 920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such as an access sensor or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상기 지그비 IP 브리지(910)는 1016 단계에서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920)로 상기 무선 기기(900)와 연결되었음을 나타내는 페어링 완료 결과를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지그비 IP 브리지(910)는 1018 단계에서 상기 무선 기기(900)를 홈 네트워크에 등록시키기 위하여 상기 무선 기기(900)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등록 완료 결과를 상기 홈 서버(940)로 송신한다. The Zigbee IP bridge 910 transmits a pairing completion result indicating that the ZigBee IP bridge 91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device 900 through the Wi-Fi interface in step 1016. In operation 1018, the Zigbee IP bridge 910 transmits a registration completion result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wireless device 900 to the home server 940 in order to register the wireless device 900 in the home network. do.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단말(920), 지그비 IP 브리지(910) 및 무선 기기(900)의 동작을 각각 설명하기로 한다. Next, operations of the terminal 920, the Zigbee IP bridge 910, and the wireless device 9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4, respectively.

도 11은 본 개시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920)은 1100 단계에서 상기 QR 코드(905)를 스캔하여 기기 정보(연결 타입, 지그비 MAC 주소, 설치키, 어플리케이션 URI)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920)은 1102 단계에서 상기 URI를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한다. Referring to FIG. 11, the terminal 920 scans the QR code 905 to obtain device information (connection type, Zigbee MAC address, installation key, application URI) in step 1100. The terminal 920 downloads and installs an application using the URI in step 1102.

상기 단말(920)은 1104 단계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연결 타입이 지그비인 경우 지그비 IP 브리지(910)를 탐색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920)은 상기 지그비 IP 브리지(910)가 탐색되면, 1106 단계에서 상기 탐색된 지그비 IP 브리지(910)로 상기 지그비 MAC 주소 및 설치키를 송신한다.The terminal 920 executes the application in step 1104 and searches for a Zigbee IP bridge 910 when the connection type is Zigbee. When the Zigbee IP bridge 910 is discovered, the terminal 920 transmits the Zigbee MAC address and the installation key to the discovered Zigbee IP bridge 910 in step 1106.

그리고 상기 단말(920)은 1108 단계에서 상기 지그비 IP 브리지(910)로부터 페어링 완료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 기기(900)를 등록하고 등록 절차를 종료한다.When the pairing comple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Zigbee IP Bridge 910 in step 1108, the terminal 920 registers the wireless device 900 and ends the registration procedure.

도 12는 본 개시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지그비 IP 브리지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Zigbee IP bridg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지그비 IP 브리지(910)는 1200 단계에서 상기 단말(920)로부터 지그비 MAC 주소 및 설치 키를 수신한다. 이어 상기 지그비 IP 브리지(910)는 1202 단계에서 상기 지그비 MAC 주소에 대응하는 무선 기기 정보와 함께 상기 설치 키의 해쉬 정보를 저장한다. Referring to FIG. 12, the Zigbee IP bridge 910 receives a Zigbee MAC address and an installation key from the terminal 920 in step 1200. In operation 1202, the Zigbee IP bridge 910 stores hash information of the installation key together with wireless de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Zigbee MAC address.

상기 지그비 IP 브리지(910)는 1204 단계에서 상기 무선 기기(900)로부터 등록 요청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지그비 IP 브리지(910)는 1206 단계에서 상기 등록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1208 단계에서 상기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 기기(900)의 등록을 허용할지 여부를 판단한다.The Zigbee IP bridge 910 determines whether a registr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device 900 in step 1204. When the registration request is received in step 1206, the Zigbee IP bridge 910 determines whether to permit registration of the wireless device 900 based on the stored information in step 1208.

이어 상기 지그비 IP 브리지(910)는 1210 단계에서 상기 무선 기기(900)의 등록을 허용할 경우, 1212 단계에서 상기 무선 기기(900)로 등록 허용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지그비 IP 브리지(910)는 1214 단계에서 상기 단말(920)로 페어링 완료 결과를 송신하거나 상기 홈 서버(940)로 등록 완료 결과를 송신한다. Subsequently, when the Zigbee IP bridge 910 permits registration of the wireless device 900 in step 1210, the Zigbee IP bridge 910 transmits a registration permission message to the wireless device 900 in step 1212. The Zigbee IP bridge 910 transmits a pairing completion result to the terminal 920 or a registration completion result to the home server 940 in step 1214.

도 13은 본 개시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기기(900)는 1300 단계에서 페어링을 위한 단말(920)이 인지되면, 1302 단계에서 QR 코드(905)에 포함된 지그비 MAC 주소 및 설치키를 사용하여 지그비 IP 브리지(910)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기기(900)는 1304 단계에서 상기 지그비 IP 브리지(910)로부터 등록 허용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무선 기기(900)는 1306 단계에서 상기 등록 허용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1308 단계에서 상기 단말(920)과 페어링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13, when the terminal 920 for pairing is recognized in operation 1300, the wireless device 900 uses a Zigbee MAC address and an installation key included in the QR code 905 in operation 1302. The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is sent to 910. In operation 1304, the wireless device 900 determines whether a registration permiss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Zigbee IP bridge 910. When the registration permission message is received in step 1306, the wireless device 900 performs pairing with the terminal 920.

다음으로 Wi-Fi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이 Z-Wave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기기를 등록하는 본 개시의 제4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which a terminal performing Wi-Fi communication registers a wireless device performing Z-Wave communication will be described.

도 14는 본 개시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기기(1400), Z-wave IP 브리지(1410), 단말(920), AP(1430) 및 홈 서버(1440)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wireless device 1400, a Z-wave IP bridge 1410, a terminal 920, an AP 1430, and a home server 1440.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ome network to include.

상기 무선 기기(1400)는 Z-wave 통신을 수행하며, 기기 정보 등이 포함된 2차원 형태의 인식 코드(14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 코드(1405)는 일 예로 QR 코드 등이 될 수 있는데,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상기 인식 코드(1405)를 QR 코드라 칭하기로 한다. The wireless device 1400 performs Z-wave communication, and may include a two-dimensional recognition code 1405 including device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recognition code 1405 may be, for example, a QR cod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recognition code 1405 will be referred to as a QR code.

본 개시의 제4실시 예에서 상기 QR 코드(1405)는 Z-wav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타입을 나타내는 연결 타입 정보, Z-wave 보안 원격 패스워드(secure remote password: SRP) 및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위한 URI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정보들은 상기 QR 코드(1405)에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URI 정보는 QR 표준에 따라 기록될 수 있다.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QR code 1405 includes connection type information indica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ype such as Z-wave, Z-wave secure remote password (SRP), and URI information for downloading an application. And the like. Such information may be encrypted and stored in the QR code 1405, and the URI information may be recorded according to a QR standard.

상기 단말(1420)은 Wi-Fi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상기 QR 코드(1405)를 스캔하여 상기 QR 코드(1405)에 포함된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1420)은 상기 QR 코드(1405)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Z-wave IP 브리지(1410)를 통해 상기 무선 기기(1400)에 대한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The terminal 1420 is a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Wi-Fi communication and acquire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R code 1405 by scanning the QR code 1405. The terminal 1420 performs a registration procedure for the wireless device 1400 through the Z-wave IP bridge 1410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QR code 1405.

상기 Z-wave IP 브리지(1410)는 Wi-Fi 통신망과 Z-wave 통신망을 연결해주는 장치이며, 상기 AP(1430)는 상기 홈 서버(1440)에 연결되어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홈 서버(1440)는 상기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The Z-wave IP bridge 1410 is a device that connects a Wi-Fi communication network and a Z-wav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AP 1430 is connected to the home server 1440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network. The home server 144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network and manages information on various devices on the home network.

도 15는 본 개시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기기의 등록 과정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15 is a signal flowchart illustrating a registration process of a wireless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920)은 1500 단계에서 상기 무선 기기(1400)에 포함된 QR 코드(1405)를 스캔하여 연결 타입, Z-wave SRP 및 어플리케이션 URI 정보 등을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1420)은 1502 단계에서 상기 URI 정보를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무선 기기(1400)의 서치 및 등록을 위해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단말(1410)은 상기 AP(1430)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다.Referring to FIG. 15, the terminal 920 scans a QR code 1405 included in the wireless device 1400 in operation 1500 to obtain a connection type, Z-wave SRP, application URI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terminal 1420 downloads and installs an application using the URI information in step 1502. The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used for searching and registering the wireless device 1400, and the terminal 1410 downloads the application through the AP 1430.

상기 단말(1420)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1504 단계에서 상기 QR 코드(1405)에 포함된 연결 타입이 Z-wave인 경우 상기 Z-wave IP 브리지(1410)를 탐색한다. 상기 Z-wave IP 브리지(1410)를 탐색하는 동작은 SSDP 혹은 또 다른 발견 프로토콜을 사용한 서비스 발견 방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The terminal 1420 executes the application and searches for the Z-wave IP bridge 1410 when the connection type included in the QR code 1405 is Z-wave in step 1504. The discovery of the Z-wave IP bridge 1410 may be performed through a service discovery method using SSDP or another discovery protocol.

상기 단말(1420)은 상기 Z-wave IP 브리지(1410)가 탐색되면, 1506 단계에서 상기 Z-wave SRP를 상기 Z-wave IP 브리지(1410)로 송신한다. 그러면 상기 지그비 IP 브리지(910)는 1508 단계에서 상기 Z-wave SRP를 저장한다. When the Z-wave IP bridge 1410 is discovered, the terminal 1420 transmits the Z-wave SRP to the Z-wave IP bridge 1410 in step 1506. The Zigbee IP bridge 910 then stores the Z-wave SRP in step 1508.

한편, 상기 무선 기기(1400)는 1510 단계에서 상기 단말(1420)이 인지되면, 1512 단계에서 상기 Z-wave IP 브리지(1410)로 등록 요청을 송신한다. 그러면 상기 Z-wave IP 브리지(1410)는 1514 단계에서 상기 저장된 Z-wave SRP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1420)에 대한 등록을 허용한다. 한편, 상기 무선 기기(1400)는 접근 센서 혹은 NFC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을 사용하여 상기 단말(1420)을 인지할 수 있다.Meanwhile, if the terminal 1420 is recognized in step 1510, the wireless device 1400 transmits a registration request to the Z-wave IP bridge 1410 in step 1512. Then, the Z-wave IP bridge 1410 allows registration with the terminal 1420 based on the stored Z-wave SRP information in step 1514. Meanwhile, the wireless device 1400 may recognize the terminal 1420 by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such as an access sensor or NFC.

이어 상기 Z-wave IP 브리지(1410)는 1516 단계에서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단말(1420)로 상기 무선 기기(1400)와 연결되었음을 나타내는 페어링 완료 결과를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Z-wave IP 브리지(1410)는 1518 단계에서 상기 무선 기기(1400)를 홈 네트워크에 등록시키기 위하여 상기 무선 기기(1400)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등록 완료 결과를 상기 홈 서버(1440)로 송신한다.In operation 1516, the Z-wave IP bridge 1410 transmits a pairing completion result indicating that the Z-wave IP bridge 141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device 1400 through the Wi-Fi interface. In operation 1518, the Z-wave IP bridge 1410 registers a registration completion result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wireless device 1400 in order to register the wireless device 1400 with a home network. To send.

다음으로,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단말(1420), Z-wave IP 브리지(1410) 및 무선 기기(1400)의 동작을 각각 설명하기로 한다. Next, operations of the terminal 1420, the Z-wave IP bridge 1410, and the wireless device 1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to 18, respectively.

도 16은 본 개시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1420)은 1600 단계에서 상기 QR 코드(1405)를 스캔하여 기기 정보(연결 타입, Z-wave SRP 및 어플리케이션 URI)를 획득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1420)은 1602 단계에서 상기 URI를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한다. Referring to FIG. 16, the terminal 1420 scans the QR code 1405 to obtain device information (connection type, Z-wave SRP, and application URI) in step 1600. The terminal 1420 downloads and installs an application using the URI in step 1602.

상기 단말(920)은 1604 단계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연결 타입이 Z-wave 인 경우 Z-wave IP 브리지(1410)를 탐색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1420)은 상기 Z-wave IP 브리지(1410)가 탐색되면, 1606 단계에서 상기 탐색된 Z-wave IP 브리지(1410)로 상기 Z-wave SRP를 송신한다.The terminal 920 executes the application in step 1604 and searches for the Z-wave IP bridge 1410 when the connection type is Z-wave. When the Z-wave IP bridge 1410 is discovered, the terminal 1420 transmits the Z-wave SRP to the discovered Z-wave IP bridge 1410 in step 1606.

그리고 상기 단말(1420)은 1608 단계에서 상기 Z-wave IP 브리지(1410)로부터 페어링 완료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 기기(1400)를 등록하고 등록 절차를 종료한다.When the terminal 1420 receives pairing completion information from the Z-wave IP bridge 1410 in step 1608, the terminal 1420 registers the wireless device 1400 and terminates the registration procedure.

도 17은 본 개시의 제4실시 예에 따른 Z-wave IP 브리지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Z-wave IP bridg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Z-wave IP 브리지(1410)는 1700 단계에서 상기 단말(1420)로부터 Z-wave SRP를 수신한다. 이어 상기 Z-wave IP 브리지(1410)는 1702 단계에서 상기 Z-wave SRP를 저장한다. Referring to FIG. 17, the Z-wave IP bridge 1410 receives a Z-wave SRP from the terminal 1420 in step 1700. In step 1702, the Z-wave IP bridge 1410 stores the Z-wave SRP.

상기 Z-wave IP 브리지(1410)는 1704 단계에서 상기 무선 기기(1400)로부터 등록 요청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Z-wave IP 브리지(1410)는 1706 단계에서 상기 등록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1708 단계에서 상기 저장된 Z-wave SRP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 기기(1400)의 등록을 허용할지 여부를 판단한다.The Z-wave IP bridge 1410 determines whether a registr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device 1400 in step 1704. When the registration request is received in step 1706, the Z-wave IP bridge 1410 determines whether to permit registration of the wireless device 1400 based on the stored Z-wave SRP information in step 1708. .

이어 상기 Z-wave IP 브리지(1410)는 1710 단계에서 상기 무선 기기(1400)의 등록을 허용할 경우, 1712 단계에서 상기 무선 기기(400)로 등록 허용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Z-wave IP 브리지(1410)는 1714 단계에서 상기 단말(1420)로 페어링 완료 결과를 송신하거나 상기 홈 서버(1440)로 등록 완료 결과를 송신한다. Subsequently, when the Z-wave IP bridge 1410 allows registration of the wireless device 1400 in step 1710, the Z-wave IP bridge 1410 transmits a registration permission message to the wireless device 400 in step 1712. In operation 1714, the Z-wave IP bridge 1410 transmits a pairing completion result to the terminal 1420 or a registration completion result to the home server 1440.

도 18은 본 개시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기기(1400)는 1800 단계에서 페어링을 위한 단말(1420)이 인지되면, 1802 단계에서 QR 코드(1405)에 포함된 Z-wave SRP를 사용하여 Z-wave IP 브리지(1410)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 기기(1400)는 1804 단계에서 상기 지그비 IP 브리지(910)로부터 등록 허용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무선 기기(1400)는 1806 단계에서 상기 등록 허용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1808 단계에서 상기 단말(1420)과 페어링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18, if the wireless device 1400 recognizes the terminal 1420 for pairing in step 1800, the wireless device 1400 uses a Z-wave SRP using the Z-wave SRP included in the QR code 1405 in step 1802. The registration request message is sent to 1410. In operation 1804, the wireless device 1400 determines whether a registration permiss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Zigbee IP bridge 910. When the registration permission message is received in step 1806, the wireless device 1400 performs pairing with the terminal 1420.

도 1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의 블록 구성도이다.1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기기는 무선부(1900), 메모리(1902), 센서부(1904) 및 제어부(190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9, the wireless device includes a wireless unit 1900, a memory 1902, a sensor unit 1904, and a control unit 1906.

상기 무선부(1900)는 상기 무선 기기의 무선 통신을 위한 구성부이다. 상기 무선부(1900)는 Wi-Fi 통신을 위한 Wi-Fi 인터페이스, 지그비 통신을 위한 지그비 인터페이스 및 Z-Wave 통신을 위한 Z-wave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unit 1900 is a compon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wireless device. The wireless unit 19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Fi interface for Wi-Fi communication, a Zigbee interface for Zigbee communication, and a Z-wave interface for Z-Wave communication.

상기 메모리(1902)는 상기 무선 기기의 동작 과정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정보 및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The memory 1902 stores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device.

상기 센서부(1904)는 상기 무선 기기에 단말 등과 같은 특정 기기가 인접해 있는지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를 출력한다. 일 예로, 상기 센서부(1904)는 적외선 센서 및 동작 감지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1904 detects whether a specific device such as a terminal is adjacent to the wireless device, and outputs the detection result. For example, the sensor unit 1904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an infrared sensor and a motion detection sensor.

상기 제어부(1906)는 상기 무선부(1900), 메모리(1902), 센서부(1904)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무선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결정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906)는 앞서 설명한 본 개시의 제1 내지 제4실시 예에 따른 무선 기기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906 determine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wireless device by controlling the wireless unit 1900, the memory 1902, and the sensor unit 1904.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906 controls the components such that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도 2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2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0을 참조하면, 무선부(2000), 메모리(2002), QR 코드 스캔부(2004) 및 제어부(200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0, the wireless unit 2000 includes a wireless unit 2000, a memory 2002, a QR code scan unit 2004, and a control unit 2006.

상기 무선부(1900)는 상기 단말의 무선 통신을 위한 구성부이다. 상기 무선부(1900)는 Wi-Fi 통신을 위한 Wi-Fi 인터페이스 및 LTE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unit 1900 is a compon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terminal. The wireless unit 1900 may include a Wi-Fi interface for Wi-Fi communication and an interface for LTE communication.

상기 메모리(2002)는 상기 단말의 동작 과정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정보 및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특히, 상기 메모리(2002)는 상기 무선 기기로부터 스캔된 QR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저장한다.The memory 2002 stores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n particular, the memory 2002 store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R code scanned from the wireless device.

상기 QR 코드 스캔부(2004)는 상기 무선 기기에 포함된 QR 코드를 스캔하기 위한 구성부로서, 일 예로 카메라 등이 될 수 있다. The QR code scan unit 2004 is a component for scanning a QR code included in the wireless device, and may be, for example, a camera.

상기 제어부(2006)는 상기 무선부(2000), 메모리(2002), QR 코드 스캔부(2004)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결정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2006)는 앞서 설명한 본 개시의 제1 내지 제4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2006 determine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by controlling the radio unit 2000, the memory 2002, and the QR code scan unit 2004.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2006 controls the components such that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Claims (20)

제2 전자 장치에 대한 접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1 전자 장치에 의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이용해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QR(quick response) 코드를 획득하는 과정 - 상기 QR 코드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와의 접속을 설정하기 전에 획득됨 -;
상기 획득된 QR 코드에 기반하여 접속 정보를 식별하는 과정 ―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접속 동작을 위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식별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식별된 접속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와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접속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 및
상기 설정된 접속을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정보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됨 ―
을 포함하는 방법.
A method by a first electronic device for enabling connection to a second electronic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Obtaining a QR (quick response) code provided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camera of the first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QR code is obtained before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dentifying access information based on the obtained QR code, wherein the access information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used by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o identify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for a connection operation;
Performing the connection operation to establish a connection with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identified connec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access information of an access point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established connection, wherein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 is used for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o access the access point;
How to inclu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는 것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등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등록하는 과정은,
등록될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further includes registering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based at least on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being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Registering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Receiving a user input indicating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o be register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대응하는 홈 서버에 등록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s registered with a home serv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access poi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는 것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을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access point to identify that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접속 동작을 위해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used by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o identify the first electronic device for the connection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서비스 셋 식별자(service set identifier: SS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 service set identifier (SSID) and a passwo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전자 장치 간 접속 타입에 관한 정보,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MAC(medium access control) 주소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접속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access information relates to information about a connection type between the first electronic device and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about a medium access control (MAC) address of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or an application to be used to establish the connection. And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a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장치의 MAC 주소에 관한 정보는 복수의 전자 장치들이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접속된 경우,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중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formation about the MAC address of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s used to identify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when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r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동작은 테더링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와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상기 테더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operation includes a tethering oper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used by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the tethering operation to establish a connection with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가전 기기이고,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s a home appliance, and the first electronic device is a smartphone.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non-transient)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제1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이용해 제2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QR(quick response) 코드를 획득하고 - 상기 QR 코드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와의 접속을 설정하기 전에 획득됨 -;
상기 획득된 QR 코드에 기반하여 접속 정보를 식별하고 ―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접속 동작을 위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식별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식별된 접속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와의 접속을 설정하는 상기 접속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설정된 접속을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정보를 전송하도록 ―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정보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됨 ― 하는, 저장 매체.
A computer-readable non-transient storage medium storing instructions, wherein the instructions, when execu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of the first electronic device, cause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o:
Acquire a QR (quick response) code provided by a second electronic device using a camera of the first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QR code is obtained before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dentify conne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obtained QR code, wherein the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used by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o identify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for a connection operation;
Perform the connection operation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identified connection information;
To transmit access information of an access point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established connection, wherein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 is used for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o access the access poin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는 것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대응하는 홈 서버에 등록되는, 저장 매체.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s registered with the home server corresponding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access point, based at least on the connection of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o the access poin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제1 전자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제1 전자 장치로 하여금,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되는 것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접속을 설정하도록 하는, 저장 매체.
The method of claim 12,
The instructions, when execu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of the first electronic device, cause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o:
And establish a connection with the access point to identify that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access poin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상기 접속 동작을 위해 상기 제1 전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는 저장 매체.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nection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used by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o identify the first electronic device for the connection opera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서비스 셋 식별자(service set identifier: SSID) 및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저장 매체.
The method of claim 11,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 service set identifier (SSID) and a passwor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동작은 테더링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와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상기 테더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저장 매체.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nection operation includes a tethering oper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used by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the tethering operation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가전 기기이고,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인 저장 매체.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is a home appliance, and the first electronic device is a smartphone.
제1 전자 장치; 및
제2 전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이용해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QR(quick response) 코드를 획득하고 - 상기 QR 코드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와의 접속을 설정하기 전에 획득됨 -,
상기 획득된 QR 코드에 기반하여 접속 정보를 확인하고 ―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접속 동작을 위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식별 정보를 포함함 ―,
상기 식별된 접속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와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접속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설정된 접속을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정보를 전송하도록 ―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정보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됨 ― 구성된 시스템.
A first electronic device; And
A second electronic device,
The first electronic device,
Acquire a QR (quick response) code provided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camera of the first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QR code is obtained before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Confirm access information based on the obtained QR code, wherein the access information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used by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o identify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for an access operation;
Perform the connection operation to establish a connection with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identified connection information;
Send access information of an access point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via the established connection, wherein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 is used for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o access the access point.
제1 전자 장치가 제2 전자 장치에 대한 접속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 장치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카메라를 이용해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QR(quick response) 코드를 획득하는 과정 - 상기 QR 코드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와의 접속을 설정하기 전에 획득됨 -;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상기 획득된 QR 코드에 기반하여 접속 정보를 식별하는 과정 ―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접속 동작을 위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식별 정보를 포함함 ― ;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상기 식별된 접속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와의 접속을 설정하는 상기 접속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 및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상기 설정된 접속을 통해 상기 제2 전자 장치로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정보는 상기 제 2 전자 장치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됨 ― 을 포함하는 방법.
1. A method in which a first electronic device establishes a connection to a second electronic device.
Acquiring a QR (quick response) code provided from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using a camera of the first electronic device using an application executed on the first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QR co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Obtained before establishing a connection of-;
Identifying access information based on the obtained QR code using the executed application, wherein the connection information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be used by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o identify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for a connection operation; ―;
Performing the connection operation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identified connec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executed application; And transmitting access information of an access point to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established connection using the executed application, wherein the access information of the access point is used for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to access the access point. -Including.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동작은 테더링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제2 전자 장치와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상기 테더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 전자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The connection operation includes a tethering opera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used by the first electronic device to perform the tethering operation to establish a connection with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KR1020190172871A 2019-12-23 2019-12-23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reless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2149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871A KR102214940B1 (en) 2019-12-23 2019-12-23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reless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0210016077A KR102390887B1 (en) 2019-12-23 2021-02-04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reless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871A KR102214940B1 (en) 2019-12-23 2019-12-23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reless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7003A Division KR102060547B1 (en) 2013-06-12 2013-06-12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reless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077A Division KR102390887B1 (en) 2019-12-23 2021-02-04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reless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742A true KR20200002742A (en) 2020-01-08
KR102214940B1 KR102214940B1 (en) 2021-02-10

Family

ID=69154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871A KR102214940B1 (en) 2019-12-23 2019-12-23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reless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94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0885A1 (en) * 2021-12-20 2023-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apparatus authentication through infrared ray transmiss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9106A (en) * 2021-04-07 2022-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to register external device using device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KR102549381B1 (en) * 2021-07-16 2023-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product registration method of mobile termin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41857A1 (en) * 2007-11-16 2010-09-23 Okude Kazuhiro Authentication method, authentication system, in-vehicle device, and authentication apparatus
US20120311165A1 (en) * 2011-06-01 2012-12-06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ve admission into a network sharing session
US20130081113A1 (en) * 2011-09-27 2013-03-28 George Cherian Methods of and systems for remotely configuring a wireless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41857A1 (en) * 2007-11-16 2010-09-23 Okude Kazuhiro Authentication method, authentication system, in-vehicle device, and authentication apparatus
US20120311165A1 (en) * 2011-06-01 2012-12-06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ve admission into a network sharing session
US20130081113A1 (en) * 2011-09-27 2013-03-28 George Cherian Methods of and systems for remotely configuring a wireless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0885A1 (en) * 2021-12-20 2023-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apparatus authentication through infrared ray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940B1 (en)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5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reless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986642B2 (en) Wireless network system, and wireless device included in the system
US10154526B2 (en) Network setup for limited user interface devices
KR201500972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2149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reless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263962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CN108292199B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2188488A (en) Network distribu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JP5743673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6366113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JP2019506020A (en)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WO2020006665A1 (en) Method for connecting an electronic device to a target wireless access point
KR1023908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wireless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20057866A (en) Application program,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device
JP7196248B2 (en)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4113582A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76432B1 (en) Discovery and Access System of Internet of Things board and Application Server under wireless WiFi Environment and method at the same
KR1020459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fi connecting using wi-fi protected setup in a portable terminal
JP6407394B2 (en) Wireless connection system
JP5883185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KR201901297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fi connecting using wi-fi protected setup in a portable terminal
JP2017183941A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2655229A (en) Automatic networking system for medical equipment and automatic WLAN connecting method thereof
CN106899921A (en) Method, equipment and system that controlling network is connec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