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441U - 크레인용 후크 - Google Patents

크레인용 후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441U
KR20200002441U KR2020190001754U KR20190001754U KR20200002441U KR 20200002441 U KR20200002441 U KR 20200002441U KR 2020190001754 U KR2020190001754 U KR 2020190001754U KR 20190001754 U KR20190001754 U KR 20190001754U KR 20200002441 U KR20200002441 U KR 202000024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guide rail
groove
cran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7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383Y1 (ko
Inventor
허남식
Original Assignee
(주)포스코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스코엠텍 filed Critical (주)포스코엠텍
Priority to KR20201900017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383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4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4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3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3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66C1/36Crane hooks with means, e.g. spring-biased detents, for preventing inadvertent disengagement of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bstract

크레인을 이용한 이송작업시 이송대상물을 안전하게 이송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한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후크바디, 상기 후크바디의 상방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되어 상기 안착홈을 개폐하는 후크커버 및 상기 후크커버에 지지되어 상기 후크커버와 함께 승강되며 상기 후크커버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속되는 위치고정핀을 포함하므로, 크레인을 이용한 이송 작업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되고 손가락이 후크에 끼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크레인용 후크{HOOK FOR CRAN}
본 고안은 크레인용 후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인에 의해 이송하는 이송대상물의 지지축을 지지하는 데 사용하는 크레인용 후크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은 중량물을 상하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크레인의 말단부에는 이송하고자 하는 이송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한 후크가 설치된다.
일반적인 후크는 일부가 개방된 갈고리 모양으로 마련된다. 이때, 후크에 지지된 이송대상물이 후크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크의 개방 부위에 락킹 장치를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락킹 장치는 이송대상물을 후크에 지지할 때에는 이송대상물이 락킹 장치를 가압하면서 후크에 지지된 후, 탄성력에 의해 후크를 폐쇄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이송대상물이 목적지에 도달하면 작업자가 락킹장치를 다시 해제하는 작업이 동반되어야 하는데, 락킹장치를 해제하는 과정에서 락킹장치의 탄성력에 의해 작업자의 손가락이 끼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9-0000589 (2019. 03. 08. 공개)
본 고안의 목적은 크레인을 이용한 이송작업시 이송대상물을 안전하게 이송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한 크레인용 후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후크바디, 상기 후크바디의 상방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되어 상기 안착홈을 개폐하는 후크커버 및 상기 후크커버에 지지되어 상기 후크커버와 함께 승강되며 상기 후크커버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속되는 위치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커버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안착홈의 상측을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상기 가이드레일이 삽입되는 레일홈 및 상기 레일홈의 후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레일홈부가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크레인용 후크는 상기 가이드홈을 관통하도록 상기 레일홈부에 체결되어 상기 후크커버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직선 구동되도록 하는 가이드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이 이송하고자 하는 이송대상물의 지지축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후, 상기 안착홈 내에서의 상기 이송대상물의 지지축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개폐부의 하부면에 그립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레인용 후크는 상기 후크바디의 전단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착홈에 지지된 이송대상물의 지지축이 상기 후크바디의 전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안착홈의 폐쇄시 상기 낙하방지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레인용 후크는 상기 후크커버에 지지되고 상기 위치고정핀이 관통되는 핀 지지대 및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핀 지지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고정핀을 상기 가이드레일을 향해 가압하도록 상기 위치고정핀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레인용 후크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속되고 상기 탄성체에 탄성지지되는 상기 위치고정핀을 사용자가 잡아 당길 수 있도록 상기 위치고정핀으로부터 돌출되는 핀헤드 및 상기 사용자가 나머지 한손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안전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레인용 후크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크레인에 연결되는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는 이송대상물의 지지축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한 상태를 유지하여 이송대상물을 이송할 수 있으므로, 크레인을 이용한 이송 작업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는 안착홈의 개폐 동작이 후크의 후방에서 이루어지므로 작업자의 손가락이 후크에 끼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가 크레인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의 안착홈 개방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의 안착홈 폐쇄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가 크레인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100)는 크레인(미도시)에 연결되어, 크레인(미도시)이 이송하고자 하는 대상물(예를 들어, 두루마리의 형태로 감긴 포장지)의 양측으로 돌출된 중심축과 같은 이송대상물의 지지축(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데 사용한다. 이러한 크레인용 후크(100)는 후크바디(200), 가이드레일(300), 후크커버(400) 및 위치고정핀(500)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바디(200)는 내측에 이송대상물의 지지축(20)이 수용되는 것으로, 이송대상물의 지지축(20)이 그 내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210)이 형성된다. 안착홈(210)을 기준으로 후크바디(200)의 전단부에는 낙하방지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낙하방지돌기()는 안착홈(210)에 수용된 이송대상물의 지지축(20)이 수용된 후, 이송대상물의 지지축(20)이 안착홈(210)의 전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가이드레일(300)은 후크바디(200)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300)의 상단부에는 링크공(310)이 형성될 수 있다. 링크공(310)은 링크핀(311)을 이용하여 크레인(미도시)에 후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후크커버(400)는 가이드레일(300)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가이드레일(30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후크커버(400)는 가이드레일(30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개폐부(410)와, 개폐부(41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가이드레일(300)이 삽입되는 레일홈(4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레일(300)이 레일홈(420)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크커버(400)가 가이드레일(3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레일홈(420)의 후단부에는 이탈방지핀(430)이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크커버(400)는 형성된 레일홈(420)에 가이드레일(300)이 삽입되어 승강 구동됨에 따라 안착홈(210)을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일홈(420)에 가이드레일(300)이 삽입되고 이탈방지핀(430)이 체결되는 구조만으로도 후크커버(400)의 승강 구동이 가능하다. 하지만 가이드레일(300)과 후크커버(400)와의 더욱 더 긴밀한 결속력을 확보하고, 후크커버(400)의 좀 더 정밀한 직선 승강 구동을 위하여, 가이드레일(300)의 내측에는 가이드레일(3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320)이 형성되며, 후크커버(400)에는 가이드홈(320)을 관통하는 가이드핀(440)이 체결될 수 있다.
후크커버(400)의 하부면에는 안착홈(210)에 대응하는 그립홈(4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송대상물의 지지축(20)은 안착홈(210)에 안착되는 것만으로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지만, 그립홈(450)은 크레인(미도시)에 의한 이송대상물의 지지축(20)의 이송 작업시 이송대상물의 지지축(20)이 안착홈(210)의 내부에서의 유동을 방지하고 안착홈(210)의 내부에서 이송대상물의 지지축(20)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후크커버(400)의 전단부 하부면에는 삽입홈(450)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210)의 폐쇄시, 후크커버(400)는 후크바디(200)를 향해 하강하는데, 삽입홈(450)에 낙하방지돌기()가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위치고정핀(500)은 후크커버(400)가 안착홈(210)을 폐쇄하거나, 후크커버(400)가 안착홈(210)을 개방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300)에 결속되어 후크커버(400)의 위치를 유지시킨다.
즉, 가이드레일(300)의 후면에는 복수의 위치고정공(330)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위치고정공(330)은 가이드레일(30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후크커버(400)의 후단부 상부면에는 핀 지지대(510)가 설치될 수 있다. 핀 지지대(510)에는 위치고정핀(500)이 관통되는 관통홀(511)이 형성된다. 가이드레일(300)과 핀 지지대(510)의 사이에는 탄성체(520)가 설치된다. 탄성체(520)로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탄성체(520)는 가이드레일(300)을 향해 탄성력을 발휘하여 위치고정핀(500)이 가이드레일(30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위치고정핀(500)의 후단부에는 핀헤드(530)가 돌출될 수 있다. 핀헤드(530)는 탄성체(520)에 탄성 지지되고 가이드레일(300)에 결속된 위치고정핀(500)을 사용자가 간편하게 잡아당길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후크커버(400)의 후단부에는 안전손잡이(540)가 설치될 수 있다. 안전손잡이(540)는 핀 지지대(510)의 둘레를 감싸는 링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안전손잡이(540)는 핀헤드(530)를 파지한 사용자가 나머지 한손을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의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의 안착홈 개방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용 후크의 안착홈 폐쇄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링크공(310)에 링크핀(311)을 삽입하여 크레인(미도시)에 후크(100)를 연결한다. 작업자는 한손으로 안전손잡이(540)를 잡고 나머지 한손으로 핀헤드(530)를 잡는다. 물론 작업자에 따라 한손으로 안전손잡이(540)와 핀헤드(530)를 함께 잡는 것도 가능하다. 작업자는 위치고정핀(500)을 후진시킨 후, 후크커버(400)를 상승시킨다. 후크커버(400)가 상승됨에 따라 안착홈(210)이 개방된다.
이와 같이 안착홈(210)이 개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크레인(미도시)을 조작하여 이송대상물의 지지축(20)을 향해 후크(100)를 이송한다. 이송대상물의 지지축(20)의 주변에 후크(100)가 개략적인 위치에 도달하면, 작업자는 수동으로 안착홈(210)의 내측에 이송대상물의 지지축(20)이 위치하도록 이송대상물의 지지축(20)에 대한 후크(100)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물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안착홈(210)의 내측에 이송대상물의 지지축(20)이 위치하도록 크레인(미도시)을 정밀 조작할 수 있다.
계속해서, 안착홈(210)의 내측에 이송대상물의 지지축(20)이 정렬되면, 작업자는 핀헤드(530)를 잡고 위치고정핀(500)을 후진시킨다. 위치고정핀(500)이 후진되면, 후크커버(400)는 자중에 의해 하강한다.
이때, 탄성체(530)는 가이드레일(300)을 향해 위치고정핀(500)을 탄성 지지하기 때문에, 위치고정핀(500)은 후크커버(400)에 의해 안착홈(210)이 완전 폐쇄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고정홈(330)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체(520)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레일(300)에 결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된 설명에서는, 작업자가 위치고정핀(500)을 후진시킨 뒤, 후크커버(400)의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안착홈(210)을 완전 폐쇄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홈(210)을 완전 폐쇄가 불필요한 경우를 대비하여, 위치고정홈(330)은 안착홈(210)이 완전 폐쇄되는 위치보다 상측에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고정홈(330)이 후크커버(400)에 의해 안착홈(210)이 완전 폐쇄되는 위치보다 상측에 형성된 경우, 작업자는 위치고정핀(500)을 한번 더 후진 시킴으로써, 안착홈(210)을 완전 폐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크커버(400)에 의해 안착홈(210)이 폐쇄되면, 그립홈(450)은 안착홈(210)에 안착된 이송대상물의 지지축(20)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안착홈(210)의 내측에 안착된 이송대상물의 지지축(20)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한다. 또한, 낙하방지돌기()는 삽입홈(450)에 삽입되어, 후크(100)가 전방으로 기울어진다 하더라도 후크본제()와 후크커버(400)의 결속력을 향상시켜 이송대상물의 지지축(20)이 전방으로 낙하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이송대상물 20 : 이송대상물의 지지축
100 : 크레인용 후크 200 : 후크바디
300 : 후크커버 400 : 가이드레일
500 : 위치고정핀

Claims (8)

  1. 상방으로 개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후크바디;
    상기 후크바디의 상방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되어 상기 안착홈을 개폐하는 후크커버;및
    상기 후크커버에 지지되어 상기 후크커버와 함께 승강되며, 상기 후크커버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속되는 위치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후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커버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안착홈의 상측을 개폐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내측에 상기 가이드레일이 삽입되는 레일홈;및
    상기 레일홈의 후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레일홈부가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후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을 관통하도록 상기 레일홈부에 체결되어 상기 후크커버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직선 구동되도록 하는 가이드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후크.
  4. 제2항에 있어서,
    크레인이 이송대상물의 지지축이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후, 상기 안착홈 내에서의 상기 이송대상물의 지지축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개폐부의 하부면에 그립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후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바디의 전단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착홈에 지지된 이송대상물의 지지축이 상기 후크바디의 전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방지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안착홈의 폐쇄시 상기 낙하방지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후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커버에 지지되고 상기 위치고정핀이 관통되는 핀 지지대;및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핀 지지대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고정핀을 상기 가이드레일을 향해 가압하도록 상기 위치고정핀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후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속되고 상기 탄성체에 탄성지지되는 상기 위치고정핀을 사용자가 잡아 당길 수 있도록 상기 위치고정핀으로부터 돌출되는 핀헤드;및
    상기 사용자가 나머지 한손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안전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후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크레인에 연결되는 링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후크.
KR2020190001754U 2019-04-29 2019-04-29 크레인용 후크 KR2004933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754U KR200493383Y1 (ko) 2019-04-29 2019-04-29 크레인용 후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754U KR200493383Y1 (ko) 2019-04-29 2019-04-29 크레인용 후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41U true KR20200002441U (ko) 2020-11-06
KR200493383Y1 KR200493383Y1 (ko) 2021-03-19

Family

ID=73197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754U KR200493383Y1 (ko) 2019-04-29 2019-04-29 크레인용 후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38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1979U (ko) * 1976-10-27 1978-05-25
JP2000247570A (ja) * 1999-03-01 2000-09-12 Hiroshi Nemoto フック
WO2007071896A1 (en) * 2005-12-22 2007-06-28 John Toon Hook
KR20190000589U (ko) 2017-08-28 2019-03-0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발전 설비의 코일 조립체 턴오버용 크레인 후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1979U (ko) * 1976-10-27 1978-05-25
JP2000247570A (ja) * 1999-03-01 2000-09-12 Hiroshi Nemoto フック
WO2007071896A1 (en) * 2005-12-22 2007-06-28 John Toon Hook
KR20190000589U (ko) 2017-08-28 2019-03-0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발전 설비의 코일 조립체 턴오버용 크레인 후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383Y1 (ko) 202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1540B1 (en) Slide device with locking function
CN106163618A (zh) 绳索抓具
US7077466B2 (en) Lifejacket pouch
KR101793201B1 (ko) 집라인용 런처
JP6227919B2 (ja) フック外れ止め装置
PH12014000082A1 (en) Hatch cover apparatus for vessel
KR200493383Y1 (ko) 크레인용 후크
US6415881B1 (en) Retaining device of scooter battery set
US7269937B2 (en) Chain shortening device
KR102232686B1 (ko) 잠금 메커니즘
CN113003402A (zh) 一种管材吊具及其组合结构
US8025269B1 (en) Chamber lid lifting apparatus
KR101643594B1 (ko) 구급차용 들것 가이드 장치
KR20200003142A (ko) 짐 보유 지지용의 핸드부 및 어시스트 기구
KR200495986Y1 (ko) 산업용 안전후크
CN104401868B (zh) 一种可快速调节状态和自动闭锁的导弹吊具
KR100994015B1 (ko) 트럭 적재함의 캐치 구조
JP4129973B2 (ja) 雪吊り駒と該駒用押上げ竿
KR102417620B1 (ko) 가방용 버클
KR102121739B1 (ko) 벨트 장착형 수공구 거치대
JP3852912B2 (ja) バッテリ式フォークリフト
KR20200081941A (ko) 개폐가 용이한 선박용 환기장치
KR101359406B1 (ko) 열관류 시편 카트리지 이송장치
JP5294281B2 (ja) バッテリストッパーおよびそれを備えたバッテリ式フォークリフト
KR200184903Y1 (ko) 지게차의 연료탱크 크레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