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417A - Selection method of additive to reduce ash sticking occurred when using solid fuel - Google Patents

Selection method of additive to reduce ash sticking occurred when using solid fu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417A
KR20200002417A KR1020180075879A KR20180075879A KR20200002417A KR 20200002417 A KR20200002417 A KR 20200002417A KR 1020180075879 A KR1020180075879 A KR 1020180075879A KR 20180075879 A KR20180075879 A KR 20180075879A KR 20200002417 A KR20200002417 A KR 20200002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ve
ash
unit
additive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8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67484B1 (en
Inventor
임호
양원
이용운
채태영
이재욱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75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484B1/en
Publication of KR20200002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4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4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9/00Treating solid fuels to improve their combustion
    • C10L9/10Treating solid fuels to improve their combustion by us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0Use of additives to fuels or fires for particular purposes
    • C10L10/06Use of additives to fuels or fires for particular purposes for facilitating soot remov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30/00Function and purpose of a components of a fuel or the composition as a whole
    • C10L2230/22Function and purpose of a components of a fuel or the composition as a whole for improving fuel economy or fuel efficienc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60Measuring or analysing fractions, components or impurities or process conditions during preparation or upgrading of a fu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An additive providing method is disclos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ditive selection method which reduces ash sticking inside a combustor and can improve economic efficiency of operation of the combustor at the same time by using an additive that can increases ash melting temperature to reduce ash sticking occurred inside a combustion boiler and evaluating economic efficiency according to injection of an expensive additive at the same time. Specifically, the additive selection method comprises: a step (a) of allowing a fuel analysis module (100) to receive inputted physical information of a solid fuel; a step (b) of allowing an ash melting proportion value calculating module (200) to calculate ash melting proportion values according to combustion temperatures by using the inputted physical information of the solid fuel and additionally inputted oxidizer information; a step (c) of allowing an ash melting proportion reduction rate value calculating module (300) to calculate ash melting proportion reduction rate values according to whether the additives are applied or not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preset additives by using the calculated ash melting proportion values; and a step (d) of allowing an additive selection module (400) to select an additive from the plurality of additives according to the calculated ash melting proportion reduction rate values.

Description

고체 연료 사용시 발생하는 회 점착을 저감하기 위한 첨가제 선정 방법{Selection method of additive to reduce ash sticking occurred when using solid fuel}Selection method of additive to reduce ash sticking occurred when using solid fuel}

본 발명은 고체 연료 연소 보일러 내에 발생하는 회 점착 저감을 위한 첨가제 선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되는 고체 연료의 회 용융 온도를 파악하여, 고체 연료 사용시 연소기의 운전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회가 용융될 수 있도록 회 용융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연소기 내에 발생하는 회의 점착을 저감하기 위한 첨가제를 선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electing an additive for reducing ash generated in a solid fuel combustion boil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selecting an ash melting temperature of a solid fuel used, and to recover the ash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combustor when using solid fue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electing an additive for reducing ash adhesion occurring in a combustor by raising the ash melting temperature so that the melt can be melted.

연소를 위한 연료로서 석탄 등의 고체 연료를 사용할 경우, 그 성분으로 인해 연소기 내에 회가 용융되어 내벽 및 열교환 배관 등에 점착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When a solid fuel such as coal is used as the fuel for combustion, a phenomenon may occur in which ash is melted in the combustor and adheres to inner walls and heat exchange pipes.

구체적으로, 고체 연료는 기본적으로 수분, 유기물로 구성된 휘발분, 고정탄소와 회분(또는 무기물)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체 연료를 연소기에 투입시 휘발분과 고정탄소는 산소와의 반응을 통해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고온의 스팀 또는 전기 생산에 활용하게 된다. Specifically, the solid fuel is basically composed of water, volatile matter composed of organic matter, fixed carbon and ash (or inorganic matter). When a solid fuel is introduced into a combustor, volatiles and fixed carbon generate thermal energy through reaction with oxygen, and are used for high temperature steam or electricity production.

그러나 반응 과정에 참여하지 않는 회분이 고온에 노출될 경우 고체에서 액체(또는 포함되어 있는 성분에 따라 기체)로 상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액체가 된 회분이 가스 흐름을 따라 이동하는 중 온도 구배가 있는 연소기 벽면 또는 열교환기에 부딪히게 되면 점착되면서 응고된다.However, when ash, which does not participate in the reaction, is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a phase change occurs from a solid to a liquid (or a gas depending on the components involved). When the ashed liquid is hit along the gas stream and hits the combustor wall or heat exchanger with a temperature gradient, it sticks and solidifies.

이 때, 고온의 복사부에서는 슬래깅(slagging)이, 대류영역에서는 파울링(foulding)이 발생하게 되어, 가스 흐름과 열교환기의 열전달을 방해함으로써 열효율이 저하된다.At this time, slagging occurs in the high-temperature radiator, and fouling occurs in the convective region, which hinders the gas flow and heat transfer of the heat exchanger, thereby degrading thermal efficiency.

뿐만 아니라, 액체화된 회의 점착은 보일러 벽면 또는 열교환기 표면의 부식을 일으키며, 경우에 따라 점착된 회가 거대화되어 점착면으로부터 탈락되어 연소기가 파손될 우려도 있어, 불가피하게 연소기의 운전 정지라는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liquefied ash adhesion may cause corrosion of the boiler wall or the heat exchanger surface, and in some cases, the adhered ash may become large and may fall off from the adhesion surface, resulting in damage to the combustor. Can be.

따라서, 이러한 회 점착을 감소시키거나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시된 바 있다.Accordingly,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disclosed to reduce or prevent such ash adhesion in advance.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793972호는 2종 이상의 탄을 연료로 하는 보일러 장치에 있어서, 탄별 비선형적 용융점을 파악함으로써 2종 이상의 탄의 혼소 시 비선형적 용융점을 예측하는 방법을 개시한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1793972 discloses a method for predicting a nonlinear melting point when mixing two or more coals by grasping nonlinear melting points for each coal in a boiler apparatus using two or more coals as fuel.

그런데, 이러한 유형의 예측 방법은 첨가제를 이용하여 회의 용융점을 직접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고찰은 없다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is type of prediction method has a limitation in that there is no consideration of a method of directly controlling the melting point of the ash by using an additive.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447032호는 연소실에 투입되는 석탄 또는 첨가제를 혼합 전후에 형광 X선 분석장치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조성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가스화기의 최소 운전온도 및 최대 운전온도를 예측하여 이에 따라 석탄 또는 첨가제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석탄 및 첨가제 공급 장치 및 공급 방법을 개시한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447032 measures the composition in real time using a fluorescent X-ray analyzer before and after mixing coal or additives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and using the measurement results the minimum operating temperature and maximum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gasifier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oal and additive supplying device and a supply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coal or additive accordingly.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공급 장치 및 방법은 가스화기의 운전온도에 의존하여 석탄 또는 첨가제의 양을 조절하므로, 첨가제를 이용하여 회의 용융점을 직접 제어하는 방법 및 고가의 첨가제를 어떤 식으로 선정하여 경제성을 평가할지에 관한 고찰이 없다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is type of feeding device and method adjusts the amount of coal or additives depending on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gasifier, so that the method of directly controlling the melting point of the meeting using additives and the method of selecting expensive additives in some way,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re is no consideration about whether to evaluate.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793972호 (2017.11.06.)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93972 (2017.11.06.)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447032호 (2014.09.26.)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447032 (2014.09.26.)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소 보일러 내에 발생하는 회 점착 저감을 위해 회 용융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첨가제를 이용하되 고가의 첨가제 투입에 따른 경제성 평가를 병행하여, 연소기 내의 회 점착을 저감함과 동시에 연소기 운용의 경제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첨가제 선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n additive capable of raising the ash melting temperature in order to reduce the ash adhesion occurring in the combustion boiler, while simultaneously evaluating the economics of the expensive additives, thereby reducing the ash adhesion in the combustor and at the same time. It is to provide an additive selection method that can improve the economics of opera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연료 분석 모듈(100)이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회 용융 비율값 연산 모듈(200)이 입력된 상기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 및 추가 입력된 산화제 정보를 이용하여 연소 온도에 따른 회 용융 비율값을 연산하는 단계; (c)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 연산 모듈(300)이 연산된 상기 회 용융 비율값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다수의 첨가제에 대하여 첨가제 적용 여부에 따른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을 연산하는 단계; 및 (d) 첨가제 선정 모듈(400)이 연산된 상기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에 따라 상기 다수의 첨가제 중 어느 하나의 첨가제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첨가제 선정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 the fuel analysis module 100 receives the property information of the solid fuel; (b) a step of calculating the ash melting rate value according to the combustion temperature by using the ash melting rate value calculating module 200 using the inputted physical property information of the solid fuel and the additionally inputted oxidant information; (c) calculating the melt rate reduction rate according to whether additives are applied to a plurality of preset additives using the ash rate ratio calculated by the ash melt rate reduction value calculating module 300; And (d) selecting the additive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additives according to the additive melt reduction ratio calculated by the additive selecting module 400.

또한, 상기 (a) 단계는, (a1) 공업 분석부(110)가 상기 연료 내의 수분, 휘발분, 고정 탄소 및 회분의 질량 비율값을 입력받는 단계; (a2) 원소 분석부(120)가 상기 연료 내의 탄소, 수소, 산소, 질소, 황 및 염소의 질량 비율값을 입력받는 단계; 및 (a3) 회 성분 분석부(130)가 상기 연료 내의 이산화규소(SiO2), 산화 알루미늄(Al2O3), 산화나트륨(Na2O), 산화철(III)(Fe2O3), 산화칼륨(K2O), 산화칼슘(CaO), 산화마그네슘(MgO), 이산화타이타늄(TiO2) 및 삼산화황(SO3)의 질량 비율값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에는, 상기 공업 분석부(110), 상기 원소 분석부(120) 및 상기 회 성분 분석부(130)가 각각 입력 받은 상기 질량 비율값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a), (a1) the industrial analysis unit 110, the step of receiving the mass ratio value of water, volatile matter, fixed carbon and ash in the fuel; (a2) receiving, by the elemental analyzer 120, a mass ratio value of carbon, hydrogen, oxygen, nitrogen, sulfur, and chlorine in the fuel; And (a3) ash component analysis unit 130 includes silicon dioxide (SiO 2), aluminum oxide (Al 2 O 3), sodium oxide (Na 2 O), iron oxide (III) (Fe 2 O 3), potassium oxide (K 2 O), calcium oxide ( And receiving mass ratio values of CaO), magnesium oxide (MgO), titanium dioxide (TiO 2), and sulfur trioxide (SO 3), and the physical property information of the solid fuel includes the industrial analysis unit 110 and the elemental analysis. The unit 120 and the ash component analyzer 130 may include the mass ratio values respectively input.

또한, 상기 (b) 단계는, (b1) 연료 정보 입력부(210)가 상기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b2) 산화제 정보 입력부(220)가 상기 산화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산화제 정보에는, 산화제가 포함하는 산소 및 질소 비율값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b), (b1) the fuel information input unit 210 receives the property information of the solid fuel; And (b2) receiving the oxidant information by the oxidant information input unit 220, and the oxidant information may include oxygen and nitrogen ratio values included in the oxidant.

또한, 상기 (b2) 단계 이후에, (b3) 회 용융 비율값 연산부(230)가 상기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 및 상기 산화제 정보를 이용하여 연소 온도에 따른 회 용융 비율값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step (b2), the (b3) ash melting rate calculator 230 may include calculating the ash melting rate value according to the combustion temperature using the properties of the solid fuel and the oxidant information. Can be.

또한, 상기 (c) 단계는, (c1) 첨가제 정보 입력부(310)가 상기 다수의 첨가제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c2) 첨가제 투입 결과 연산부(320)가 입력된 상기 다수의 첨가제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첨가제마다 첨가제 투입 결과를 연산하는 단계; 및 (c3) 첨가제 순위 부여부(330)가 연산된 상기 첨가제 투입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각 첨가제에 순위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 투입 결과에는, 상기 첨가제 투입에 따른 상기 회 용융 비율값의 변화량이 상기 첨가제가 투입되는 온도 조건에 따라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c), (c1) the additive information input unit 31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additives; (c2) calculating the additive input result for each additive by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additives inputted by the additive input calculating unit 320; And (c3) assigning a ranking to each of the additives by using the additive input result calculated by the additive ranking unit 330, wherein the additive melting result includes the ash melting ratio value according to the additive input. The amount of change may be mapp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dition in which the additive is added.

또한, 상기 (c3) 단계에서, 상기 순위는 기 설정된 방법으로 연산된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이 높은 순서로 부여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c3), the rank may be given in the order of increasing the melting rate reduction rate value calculated by the predetermined method.

또한, 상기 (d) 단계는, (d1) 연소 온도 비교부(410)가 실제 연소 온도와 상기 순위가 부여된 첨가제가 투입되는 온도 조건을 비교하는 단계; (d2) 첨가제 필터링부(420)가 상기 연소 온도 비교부(410)가 비교한 상기 순위가 부여된 첨가제 중 상기 첨가제가 투입되는 온도 조건이 상기 실제 연소 온도와 동일한 첨가제를 필터링하는 단계; 및 (d3) 비용 순위 부여부(430)가 상기 첨가제 필터링부(420)가 필터링한 상기 첨가제의 투입에 따른 비용을 연산하여 상기 필터링한 첨가제에 순위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순위는, 상기 필터링한 첨가제의 사용에 따른 비용이 낮을수록 높은 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d), (d1) the combustion temperature comparing unit 410 compares the actual combustion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conditions under which the added additive is added; (d2) filtering, by the additive filtering unit 420, of the ranked additives compared by the combustion temperature comparing unit 410, the temperature condition at which the additive is input is equal to the actual combustion temperature; And (d3) the cost ranking unit 430 calculating a cost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additive filtered by the additive filtering unit 420 and assigning a rank to the filtered additive, wherein the ranking is: The lower the cost of using the filtered additive, the higher the ranking can be given.

또한, 상기 (d3) 단계 이후에, (d4) 경제성 판단부(440)가 상기 순서가 부여된 상기 필터링한 첨가제 투입에 따른 상기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과 소정의 기준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d5) 첨가제 선택부(450)가 상기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이 상기 소정의 기준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순서가 부여된 상기 필터링한 첨가제 중 가장 순위가 높은 첨가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step (d3), (d4) the economic determination unit 440 compares the ash melt rate reduction rate value according to the filtered additive input given the order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melt rate reduction rate value. step; And (d5) when the additive melting rate reduction rate exceeds the predetermined reference ash rate reduction rate, the additive selecting unit 450 selects an additive having the highest rank among the filtered additives to which the order is given. It may include a step.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소기 내의 회 용융 온도를 연산하기 위해 연료의 물성 정보뿐만 아니라 산화제에 대한 정보까지 이용하므로, 연산된 회 용융 온도 및 적합한 첨가제의 선정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formation on the oxidant as well as the physical property information of the fuel is used to calculate the ash melting temperature in the combustor, the calculated ash melting temperature and the accuracy of selecting a suitable additive can be improved.

또한, 선정된 첨가제를 연소기 내의 실제 연소 온도 및 경제성을 기준으로 첨가제를 필터링하고 첨가제 투입 여부를 결정하므로, 고가의 첨가제를 효율적 그리고 경제적으로 활용하여 회 점착을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elected additive is filtered based on the actual combustion temperature and economic efficiency of the combustor, and the additive is determined whether to add the additiv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and economically utilize the expensive additive to reduce the adhes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첨가제 선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연료 분석 모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회 용융 비율값 연산 모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온도 변화에 따른 용융 비율의 변화를 투입된 연료를 기준으로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1의 구성 중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 연산 모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의 구성 중 첨가제 선정 모듈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1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첨가제 선정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연료 분석 모듈이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를 입력받는 세부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7의 회 용융 비율값 연산 모듈이 연산된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 및 추가 입력된 산화제 정보를 연산하여 연소 온도에 따른 회 용융 비율값을 연산하는 세부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 연산 모듈이 연산된 회 용융 비율값을 이용하여 첨가제 적용 여부에 따른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을 연산하는 세부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7의 첨가제 선정 모듈이 연산된 저감율값에 따라 첨가제를 선정하는 세부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an additive sel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uel analysis module among the components of FIG. 1.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sh melting ratio value calculating module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4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of the melting ratio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based on the injected fuel.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sh melting rate reduction rate calculating module among the components of FIG. 1.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additive selection module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lecting an addit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configuration of FIG. 1.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tailed process in which the fuel analysis module of FIG. 7 receives property information of a solid fuel.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tailed process of calculating the ash melting rate value according to the combustion temperature by calculating the melt fuel property information and the additional input oxidant information of the calculated solid fuel.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tailed process of calculating a melt rate reduction rate value according to whether additives are applied using the melt rate value calculation module calculated in FIG. 7.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etailed process of selecting an additive based on the reduction rate value calculated by the additive selecting module of FIG. 7.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첨가제 선정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additive sele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고체 연료"라는 용어는 석탄 등 화석 연료뿐만 아니라 바이오매스(biomass) 등 고체 상태의 모든 연료를 총칭한다.The term "solid fuel" a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refers to all fuels in solid state such as biomass as well as fossil fuels such as coal.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첨가제"라는 용어는 연소시 투입되는 연료 및 산화제를 제외한 모든 물질을 총칭한다.The term "additive" as used in the description below refers to all materials except fuel and oxidants added during combustion.

1. 첨가제 투입부(10)의 설명1. Description of the additive inlet 10

본 발명은 연소기(1) 내의 회의 점착을 방지하기 위해 회가 고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연소 온도에 비해 회 용융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투입하는 첨가제를 선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selecting an additive to be added to raise the ash melting temperature relative to the combustion temperature so that ash can remain solid in order to prevent ash sticking in the combustor 1.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첨가제 투입부(1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ditive inlet (10).

첨가제 투입부(10)는 후술될 과정을 거쳐, 연소기(1) 내로 투입될 첨가제를 선정하고, 연소 온도 및 경제성 평가 결과에 따라 선정된 첨가제의 투입 여부를 결정한다.The additive input unit 10 selects an additive to be introduced into the combustor 1 through a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elected additive is added according to the combustion temperature and the economic evaluation result.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첨가제 투입부(10)는 연료 분석 모듈(100), 회 용융 비율값 연산 모듈(200),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 연산 모듈(300) 및 첨가제 선정 모듈(400)을 포함한다.1, the additive input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uel analysis module 100, ash melting rate value calculation module 200, ash melting rate reduction rate calculation module 300 and additive selection Module 400.

(1) 연료 분석 모듈(100)의 설명(1) Description of Fuel Analysis Module 100

연료 분석 모듈(100)은 고체 연료 분석 방법에 기초하여 공업 분석, 원소 분석 및 회 성분 분석 과정을 통해,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를 입력 받는다. The fuel analysis module 100 receives physical property information of a solid fuel through industrial analysis, elemental analysis, and ash component analysis based on a solid fuel analysis method.

이 때, 연료 분석 모듈(100)에서 분석되는 고체 연료는 연소기(1)에 투입될 연료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연료 분석 모듈(100)은 연소기(1)에 투입될 수 있는 모든 고체 연료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각 고체 연료의 물성을 파악한다.At this time, the solid fuel analyzed in the fuel analysis module 100 is not limited to the fuel to be injected into the combustor 1. That is, the fuel analysis module 100 analyzes all the solid fuels that may be injected into the combustor 1 to grasp the physical properties of each solid fuel.

도 2를 참조하면, 연료 분석 모듈(100)은 공업 분석부(110), 원소 분석부(120) 및 회 성분 분석부(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fuel analysis module 100 includes an industrial analysis unit 110, an elemental analysis unit 120, and an ash component analysis unit 130.

공업 분석부(110)는 연료 내에 포함된 수분(moisture), 휘발분(volatile matter), 고정탄소(fixed carbon), 회분(ash)의 질량 비율값을 입력 받는다. 공업 분석부(110)의 분석 결과는 회분의 비율 도출을 위한 배경 데이터로서 활용된다.The industrial analysis unit 110 receives a mass ratio value of moisture, volatile matter, fixed carbon, and ash contained in the fuel. The analysis result of the industrial analysis unit 110 is used as background data for deriving the ratio of ash.

원소 분석부(120)는 탄소(carbon), 수소(hydrogen), 산소(oxygen), 질소(nitrogen), 황(sulfur) 및 염소(chlorine)의 질량 비율값을 입력 받는다. The element analyzer 120 receives mass ratio values of carbon, hydrogen, oxygen, nitrogen, sulfur, and chlorine.

회 성분 분석부(130)는 발생이 예상되는 회의 주요 성분인 이산화규소(SiO2), 산화 알루미늄(Al2O3), 산화나트륨(Na2O), 산화철(III)(Fe2O3), 산화칼륨(K2O), 산화칼슘(CaO), 산화마그네슘(MgO), 이산화타이타늄(TiO2) 및 삼산화황(SO3)의 질량 비율값을 입력 받는다.Ash component analysis unit 130, the main components are expected to generate silicon dioxide (SiO2), aluminum oxide (Al2O3), sodium oxide (Na2O), iron oxide (III) (Fe2O3), potassium oxide (K2O), calcium oxide The mass ratio values of (CaO), magnesium oxide (MgO), titanium dioxide (TiO 2) and sulfur trioxide (SO 3) are input.

즉, 연료 분석 모듈(100)이 입력 받는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에는 공업 분석부(110), 원소 분석부(120) 및 회 성분 분석부(130)에 입력된 각 질량 비율값이 포함된다.That is, the physical property information of the solid fuel input by the fuel analysis module 100 includes each mass ratio value input to the industrial analysis unit 110, the elemental analysis unit 120, and the ash component analysis unit 130.

일 실시 예에서, 각 분석부(110, 120, 130)에서 분석된 질량 비율값은 백분율(%)로서 표시되며, 입력된 질량 비율값,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는 회 용융 비율값 연산 모듈(200)로 전달된다.In one embodiment, the mass ratio value analyzed by each analysis unit 110, 120, 130 is displayed as a percentage (%), the input mass ratio value, the properties of the solid fuel information is the melting ratio calculation module 200 Is delivered.

(2) 회 용융 비율값 연산 모듈(200)의 설명(2) Description of ash melt rate value calculation module 200

회 용융 비율값 연산 모듈(200)은 연료 분석 모듈(100)에 입력된 각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 및 후술될 추가 입력된 산화제 정보를 연산하여 연소 온도에 따른 회 용융 비율값을 연산한다. The ash melting rate calculation module 200 calculates the ash melting rate value according to the combustion temperature by calculating the property information of each solid fuel input to the fuel analysis module 100 and additional input oxidant information to be described later.

구체적으로, 회 용융 비율값 연산 모듈(200)은 연소 온도에 따른 다양한 고체 연료의 용융 특성(용융 비율)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회 용융 비율값을 연산한다.Specifically, the ash melt rate calculation module 200 determines the melting characteristics (melt rate) of various solid fuels according to the combustion temperature, and calculates the ash melt rate value accordingly.

도 3을 참조하면, 회 용융 비율값 연산 모듈(200)은 연료 정보 입력부(210), 산화제 정보 입력부(220) 및 회 용융 비율값 연산부(2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ash melting rate calculating module 200 includes a fuel information input unit 210, an oxidant information input unit 220, and a ash melting rate value calculating unit 230.

연료 정보 입력부(210)는 연료 분석 모듈(100)에서 연산된 각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 즉 질량 비율값을 입력받는다.The fuel information input unit 210 receives physical property information, that is, a mass ratio value, of each solid fuel calculated by the fuel analysis module 100.

산화제 정보 입력부(220)는 연소기(1)에 투입될 수 있는 산화제 정보를 추가로 입력받고, 그 성분을 분석한다. 산화제 정보는 산화제 내의 산소 및 질소의 질량 비율값을 포함한다. 즉, 산화제 정보 입력부(220)는 산화제 중 산소의 질량 비율값 또는 질소의 질량 비율값에 따라 산화 조건 또는 환원 조건을 연산한다.The oxidant information input unit 220 additionally receives oxidant information that can be injected into the combustor 1 and analyzes its components. The oxidant information includes mass ratio values of oxygen and nitrogen in the oxidant. That is, the oxidant information input unit 220 calculates the oxidation condition or the reduction condition according to the mass ratio value of oxygen or the mass ratio value of nitrogen in the oxidant.

회 용융 비율값 연산부(230)는 연료 정보 입력부(210)에 입력된 각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 및 산화제 정보 입력부(220)에 입력된 산화제 정보를 이용하여 연소 온도에 따른 회 용융 비율값을 연산한다.The ash melting rate calculating unit 230 calculates the ash melting rate value according to the combustion temperature by using the physical property information of each solid fuel input to the fuel information input unit 210 and the oxidant information input to the oxidant information input unit 220. .

회 용융 비율값은 열역학적 해석 방법(깁스 자유에너지 기반)을 이용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예를 들어, FactSage 프로그램 등)에 의해 연산될 수 있다.Ash melt ratio values can be calculated by a computer program (eg, FactSage program, etc.) using a thermodynamic analysis method (based on Gibbs free energy).

대안적으로, 별도의 프로그래밍 작업을 통해 회 용융 비율값을 연산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melt rate value may be calculated via a separate programming task.

이 때, 회 용융 비율값을 연산하기 위한 인자로서 각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뿐만 아니라, 산화제 정보 또한 이용하여 산화제 중 산소의 비율에 따라 산화 조건 또는 환원 조건을 형성함으로써, 연소 조건에 따른 회 용융 비율의 예측의 정확도 향상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ash melting rate according to the combustion conditions is formed by forming the oxidizing condition or the reducing condition according to the ratio of oxygen in the oxidant using not only the physical property information of each solid fuel but also the oxidant information as a factor for calculating the ash melting rate valu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일 실시 예에서, 각 연소 온도에 따른 회 용융 비율은 다음 식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sh melting ratio for each combustion temperature may be deriv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이 때,

Figure pat00002
는 회의 질량 중 용융된 회의 질량이며,
Figure pat00003
는 회의 질량 중 고체 상태의 회의 질량이다.At this time,
Figure pat00002
Is the mass of molten ash of the mass
Figure pat00003
Is the mass of the solid in the mass of the mass.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식에 의해 연산된 상이한 특정 고체 연료, 즉 석탄 및 바이오매스의 온도에 따른 용융 비율이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회 용융 비율은 어느 정도 선형적으로 변화하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비선형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melting ratios with temperature of different specific solid fuels, namely coal and biomass, calculated by the above equations are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ash melt ratio varies somewhat linearly, but in other embodiments it may vary nonlinearly.

또한, 회 용융 온도는 회의 성분 중 고체 상태의 회가 용융되어 액체 상태로 상전이하는 온도로서, 연소기(1) 내의 연소 온도가 용융 온도에 도달하였다 하더라도 곧바로 점착이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sh melting temperature is a temperature at which solid ash in the ash component melts and is phase-transformed into a liquid state. Even if the combustion temperature in the combustor 1 reaches the melting temperature, adhesion may not occur immediately.

이를 참조하면, 동일한 물성 정보를 갖는 연료 및 동일한 산화제 정보를 갖는 산화제가 연소되는 경우에도, 연소 온도에 따라 회 용융 비율값이 상이하게 변경된다.Referring to this, even when a fuel having the same physical property information and an oxidant having the same oxidant information are burned, the ash melting ratio value is chang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mbustion temperature.

이러한 연소 온도에 따른 회 용융 비율값의 차이는 후술될 첨가제 선정 모듈(400)에서의 필터링 과정을 거쳐 반영된다.The difference in ash melting rate value according to the combustion temperature is reflected through the filtering process in the additive selection module 400 to be described later.

(3)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 연산 모듈(300)의 설명(3) Description of ash melt rate reduction rate calculation module 300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 연산 모듈(300)은 연산된 회 용융 비율값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다수의 첨가제에 대하여 첨가제 적용 여부에 따른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을 연산한다. The ash melt rate reduction rate calculation module 300 calculates the ash melt rate reduction rate according to whether additives are applied to a plurality of preset additives using the calculated ash melt rate value.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 연산 모듈(300)은 각 첨가제의 정보를 입력받고, 각 첨가제를 각 연소 온도에서 투입하였을 때의 결과를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으로 연산하여 순위를 부여한다.The ash melting rate reduction rate calculation module 30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each additive, calculates the result of the addition of each additive at each combustion temperature, and assigns the ranking to the ash melting rate reduction rate.

도 5를 참조하면,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 연산 모듈(300)은 첨가제 정보 입력부(310), 첨가제 투입 결과 연산부(320) 및 첨가제 순위 부여부(3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ash melting rate reduction rate calculating module 300 includes an additive information input unit 310, an additive input result calculating unit 320, and an additive ranking unit 330.

첨가제 정보 입력부(310)는 기 설정된 다수의 첨가제, 즉 사용 가능한 첨가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 때, 첨가제 정보 입력부(310)에 입력되는 첨가제의 정보는 연소기(1)에 투입될 첨가제뿐만 아니라, 통상의 연소 과정에서 회 용융 온도를 저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첨가제의 정보를 포함한다.The additive information input unit 310 receives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preset additives, that is, available additives.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of the additive input to the additive information input unit 310 includes not only the additive to be input to the combustor 1 but also information of all additives that can be used to reduce the ash melting temperature in a normal combustion process.

이를 위해, 사용 가능한 각 첨가제에 관한 화학식 정보, 투입시 회 용융 온도 저감 효과에 관한 정보, 단가에 관한 정보 등이 저장된 첨가제 데이터베이스(미도시)가 구비되어, 첨가제 정보 입력부(310)에 필요한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To this end, an additive database (not shown) storing chemical formula information on each of the available additives, information on the effect of reducing the melting temperature at the time of inputting, and information on the unit cost is provided, so that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additive information input unit 310 is provided. Can be delivered.

첨가제 투입 결과 연산부(320)는 첨가제 정보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된 각 첨가제의 정보에 따라 각 연소 온도에 따른 첨가제 투입 결과를 연산한다. The additive input result calculating unit 320 calculates the additive input result according to each combustion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each additive input through the additive information input unit 310.

이를 위해, 첨가제 투입 결과 연산부(320)는 첨가제의 종류 및 첨가제가 투입되는 온도 조건에 따라 첨가제 투입시 회 용융 온도의 변화값이 매핑되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미도시)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To this end, the additive input result calculation unit 320 may be provided with data from a database (not shown) stored by mapping the change value of the melting temperature when the additive is add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additive and the temperature condition in which the additive is added.

또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는 각 첨가제의 화학 조성을 나타내는 화학식 및 구입 금액 또한 매핑되어 저장된다.In addition, in the database (not shown), the chemical formula and purchase amount represent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ach additive are also mapped and stored.

이 때, 첨가제의 투입량은 연료의 질량에 대한 비율로서 표시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put amount of the additive may be expressed as a ratio with respect to the mass of the fuel.

첨가제 순위 부여부(330)는 첨가제 투입 결과 연산부(320)에서 연산된 첨가제 투입 결과를 기 설정된 방법으로 정렬하고, 순위를 부여한다.The additive ranking unit 330 arranges the additive input result calculated by the additive input result calculating unit 320 in a predetermined manner and gives the ranking.

이 때, 기 설정된 방법은 첨가제 투입 결과를 이용하여 첨가제를 정렬하고, 순위를 부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일 실시 예에서 첨가제의 정렬 기준은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method is a method for aligning and ranking the additives using the additive input result, and in one embodiment, the alignment criteria of the additives may be a melting rate reduction rate value.

구체적으로, 첨가제 순위 부여부(330)는 각 상황에서의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을 연산하는데, 일 예로서 다음의 식이 사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dditive ranking unit 330 calculates the ash melting ratio reduction rate value in each situation. As an example, the following equation may be used.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각 상황에서의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이 연산되면, 첨가제 순위 부여부(330)는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이 높은 순서대로 각 첨가제에 순위를 부여한다.When the ash melt rate reduction rate value in each situation is calculated, the additive ranking part 330 ranks each additive in the order of high ash melt rate reduction rate values.

첨가제 순위 부여부(330)가 순위를 부여한 각 첨가제에 관한 정보는 후술될 첨가제 선정 모듈(400)로 전달된다.Information about each additive assigned by the additive ranking unit 330 is transferred to the additive selection module 400 to be described later.

(4) 첨가제 선정 모듈(400)의 설명(4) Description of Additive Selection Module 400

첨가제 선정 모듈(400)은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 연산 모듈(300)에서 연산된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 및 각 첨가제의 순위에 따라 기 설정된 다수의 첨가제 중 투입할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선정한다.The additive selecting module 400 selects one or more additives to be added from among a plurality of preset additives according to the ash melting ratio reduction rate value calculated by the ash melting ratio reduction rate calculating module 300 and the rank of each additive.

기 설정된 다수의 첨가제, 즉 사용 가능한 첨가제에는 연소기(1)에 투입될 첨가제뿐만 아니라, 통상의 연소 과정에서 회 용융 온도를 저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첨가제가 포함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t plurality of additives, that is, the usable additives, includes not only additives to be input to the combustor 1, but also all additives which can be used to reduce ash melting temperature in a normal combustion process.

또한, 첨가제 선정 모듈(400)은 투입되기에 적합한 첨가제를 선정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실제 연소가 일어나는 연소기(1) 내부의 연소 온도 및 경제성 평가 결과를 이용한다.In addition, the additive selection module 400 uses the combustion temperature and economic evaluation results of the inside of the combustor 1 in which actual combustion takes place as a condition for selecting an additive suitable to be injected.

이를 위해, 첨가제 선정 모듈(400)은 연소 온도 비교부(410), 첨가제 필터링부(420), 비용 순위 부여부(430), 경제성 판단부(440) 및 첨가제 선택부(45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additive selection module 400 includes a combustion temperature comparison unit 410, an additive filtering unit 420, a cost ranking unit 430, an economic determination unit 440, and an additive selection unit 450.

연소 온도 비교부(410)는 실제 연소가 일어나는 연소기(1) 내부의 연소 온도와 첨가제 순위 부여부(330)에서 순위가 부여된 첨가제가 투입되는 온도 조건을 비교한다. The combustion temperature comparison unit 410 compares the combustion temperature inside the combustor 1 in which actual combustion takes place and the temperature conditions under which the additives ranked in the additive ranking unit 330 are injected.

구체적으로, 실제 연소 온도가 각 첨가제에 의한 회 용융 온도의 감소가 최대가 되는 온도 조건에 부합할 때, 첨가제 투입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으며, 이는, 동일한 첨가제를 투입하는 경우에도 연소 온도에 따라 효과, 본 발명에서는 회 용융 온도 증가의 폭이 상이하기 때문이다.Specifically, when the actual combustion temperature meets the temperature condition that the reduction of the ash melting temperature by each additive is the maximum, the effect of the additive addition can be maximized, which depends on the combustion temperature even when the same additive is added. This is becau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ash melting temperature increase is different.

이 때, 비교의 기준이 되는 실제 연소 온도는 실제 연소기(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결정될 수 있고, 임의의 연소 온도가 사용자 등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actual combustion temperature which is the basis of the comparison can b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actual combustor 1, and any combustion temperature may be input by the user or the like.

첨가제 필터링부(420)는 연소 온도 비교부(410)에서의 실제 연소 온도와 첨가제가 투입되는 온도 조건의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첨가제 투입의 효과가 최대화되는 온도 조건이 실제 연소 온도에 해당하는 첨가제를 필터링한다.The additive filtering unit 420 uses the comparison result between the actual combustion temperature in the combustion temperature comparison unit 410 and the temperature condition in which the additive is injected, so that the temperature condition at which the effect of the additive is maximized corresponds to the actual combustion temperature. To filter.

또한, 첨가제 투입의 효과가 최대화되는 온도 조건이 실제 연소 온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나, 일 실시 예에서, 완전히 동일한 경우가 아니라 일부 차이가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필터링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condition at which the effect of the additive addition is maximized is the same as the actual combustion temperature. However, in some embodiments, even if there are some differences but not exactly the same, it may be included in the filtering target.

이 때 필터링 대상을 설정하기 위한 온도 조건은 연소 상황에 따라 상이하게 정해질 수 있으며, 일 실시 예에서 오차 범위가

Figure pat00005
인 온도 범위가 온도 조건에 만족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emperature conditions for setting the filtering target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mbustion situation, in one embodiment the error range is
Figure pat00005
The phosphorus temperature range can be set to satisfy the temperature conditions.

비용 순위 부여부(430)는 첨가제 필터링부(420)에서 필터링된 첨가제의 투입에 따른 비용을 연산하여 필터링된 첨가제에 각각 순위를 부여한다. The cost ranking unit 430 calculates a cost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additive filtered by the additive filtering unit 420 and assigns the ranking to the filtered additive.

이 때, 필터링된 첨가제는 이미 연소기(1) 내부의 연소 온도 또는 입력된 온도 조건에 적합한 첨가제들이므로, 비용 순위 부여부(430)는 첨가제 사용에 따른 소모 비용을 주안점으로 하여 순위를 부여한다.At this time, since the filtered additives are already suitable for the combustion temperature or the input temperature condition inside the combustor 1, the cost ranking unit 430 assigns the ranking by focusing on the consumption cost of using the additives.

일 실시 예에서, 첨가제 투입에 따라 소모되는 비용이 낮을수록 높은 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wer the cost consumed by the additive input can be given a higher rank.

경제성 판단부(440)는 비용 순위 부여부(430)에서 순위가 부여된, 필터링된 첨가제 투입에 따른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과 소정의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을 비교한다.The economic determination unit 440 compares the ash melt rate reduction rate value according to the filtered additive input with a predetermined ash melt rate reduction rate value, which is ranked in the cost ranking unit 430.

이는, 연소시 투입되는 첨가제가 일반적으로 고가이기 때문에, 회 용융 온도를 상승시켜 연소기(1) 내의 회 점착을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하더라도, 회 점착 방지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에 비해 첨가제 투입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더 큰 경우 첨가제를 투입하지 않는 것이 더 이득이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additives injected during combustion are generally expensive, so even though the effect of raising the ash melting temperature to prevent ash adhesion in the combustor 1 is excellent, the additive is compared with the economical effect that can be obtained by the prevention of ash adhesion. If the economic losses from the input are greater, it is better to avoid the addition of additives.

따라서, 첨가제 투입에 따른 비용 및 첨가제 투입에 따라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의 상승에 따른 경제적인 이익을 비교하여, 첨가제 투입에 따라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의 상승에 따른 경제적인 이익이 더 높은 경우에만 첨가제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cost of additives and the economic benefits of increasing the melt rate reduction rate according to the additives are compared. It is preferable to add.

일 실시 예에서, 이러한 첨가제 투입에 따른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의 상승에 따른 경제적인 이익이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으로서 환산되어 기준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conomic benefits of the increase in the ash melting rate reduction rate resulting from the addition of such additives may be used as a reference value in terms of the ash melting rate reduction rate.

첨가제 선택부(450)는 경제성 판단부(440)에서 비교된 결과를 이용하여, 연소기(1)에 투입될 첨가제를 선정한다.The additive selecting unit 450 selects an additive to be injected into the combustor 1 by using the result compared by the economic determination unit 440.

구체적으로, 첨가제 선택부(450)는 경제성 판단부(440)의 비교 결과에 따라 첨가제 투입에 따른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이 소정의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 즉 기준치를 초과하는 첨가제 중에서 연소기(1)에 투입될 첨가제를 선택한다.In detail, the additive selecting unit 450 includes the combustor 1 among the additives in which the ash melting rate reduction rate according to the additive input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ash melting rate reduction rate, that is, the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economic determination unit 440. Select the additive to be added to.

이 때, 첨가제 선택부(450)는 첨가제 투입에 따른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이 소정의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을 초과하는 첨가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비용 순위 부여부(430)에서 부여된 순위가 가장 높은 첨가제, 즉 첨가제 투입에 따른 비용이 가장 낮은 첨가제를 선택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dditive selection unit 450 is a rank given by the cost ranking unit 430 in order to select any one of the additives whose ash melt rate reduction rate due to the additive input exceeds a predetermined ash melt rate reduction rate value.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additive with the highest additive, that is, the additive with the lowest cost due to the additive input.

2. 첨가제 선정 방법의 설명2. Description of additive selection method

이하, 도 7 내지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첨가제 투입부(10)를 이용한 첨가제 선정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additive selection method using the additive input unit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1.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첨가제 선정 방법은 연료 분석 모듈(100)이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00), 회 용융 비율값 연산 모듈(200)이 입력된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 및 추가 입력된 산화제 정보를 이용하여 연소 온도에 따른 회 용융 비율값을 연산하는 단계(S200),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 연산 모듈(300)이 연산된 회 용융 비율값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다수의 첨가제에 대하여 첨가제 적용 여부에 따른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을 연산하는 단계(S300) 및 첨가제 선정 모듈(400)이 연산된 저감값에 따라 다수의 첨가제 중 어느 하나의 첨가제를 선정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in the method of selecting an additiv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el analysis module 100 receives the information on the properties of the solid fuel (S100), and the ash melting rate calculation module 200 is input to the solid. Computing the ash melting ratio value according to the combustion temperature by using the properties of the fuel and the information of the additional oxidant (S200), the ash melting rate reduction rate calculation module 300 is based on the calculated Calculating a melt rate reduction rate value according to whether additives are applied to a plurality of set additives (S300) and selecting the additive of any one of a plurality of additives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duction value by the additive selection module 400 ( S400).

(1) 연료 분석 모듈(100)이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00)의 설명(1) Description of the step (S100) in which the fuel analysis module 100 receives the property information of the solid fuel

본 단계는 첨가제 선정을 위한 연소 환경 중 고체 연료의 특성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단계이다.This step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lid fuel in the combustion environment for the additive selection.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단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is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

먼저, 공업 분석부(110)가 연료 내의 수분, 휘발분, 고정 탄소 및 회분의 질량 비율값을 입력 받는다(S110). 연산된 질량 비율값은 회분의 비율 도출을 위한 배경 데이터로서 활용된다.First, the industrial analysis unit 110 receives the mass ratio values of water, volatile matter, fixed carbon, and ash in the fuel (S110). The calculated mass ratio value is utilized as background data for derivation of the ratio of ash.

다음, 원소 분석부(120)가 연료 내의 탄소, 수소, 산소, 질소, 황 및 염소의 질량 비율값을 입력 받는다(S120). Next, the elemental analyzer 120 receives mass ratio values of carbon, hydrogen, oxygen, nitrogen, sulfur, and chlorine in the fuel (S120).

또한, 회 성분 분석부(130)가 연료 내의 이산화규소, 산화 알루미늄, 산화나트륨, 산화철(III), 산화칼륨,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이산화타이타늄 및 삼산화황의 질량 비율값을 입력 받는다(S130).In addition, the ash component analyzer 130 receives mass ratio values of silicon dioxide, aluminum oxide, sodium oxide, iron oxide (III), potassium oxide, calcium oxide, magnesium oxide, titanium dioxide, and sulfur trioxide in the fuel (S130).

즉, 본 단계에서 입력되는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에는 공업 분석부(110), 원소 분석부(120) 및 회 성분 분석부(130)에 입력된 각 질량 비율값이 포함된다.That is, the physical property information of the solid fuel input in this step includes each mass ratio value input to the industrial analysis unit 110, the elemental analysis unit 120, and the ash component analysis unit 130.

각 분석부(110, 120, 130)에 입력된 질량 비율값은 백분율(%)로서 표기되며, 분석된 질량 비율값,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는 회 용융 비율값 연산 모듈(200)로 전달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The mass ratio values input to the analyzers 110, 120, and 130 are expressed as percentages, and the analyzed mass ratio values and the properties of the solid fuel are transmitted to the ash melting rate calculation module 200. Same as one.

(2) 회 용융 비율값 연산 모듈(200)이 입력된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 및 추가 입력된 산화제 정보를 이용하여 연소 온도에 따른 회 용융 비율값을 연산하는 단계(S200)의 설명(2) Description of the step (S200) of the ash melting rate value calculating module 200 calculating the ash melting rate value according to the combustion temperature by using the input properties of the solid fuel and the oxidant information.

본 단계는 전 단계(S100)에서 입력된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 및 연소기(1)에 투입되는 추가 입력된 산화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연소 온도에 따른 회 용융 비율값을 연산함으로써, 상이한 연소 환경마다의 회 용융 비율값을 도출하기 위한 단계이다.This step calculates the ash melting rate value according to each combustion temperature by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properties of the solid fuel input in the previous step (S100) and the additional input oxidant information input to the combustor (1), so that It is a step for deriving the ash melt ratio value.

본 단계에서, 연소 온도에 따른 회 용융 비율값을 연산하기 위한 또다른 인자로서 산화제 정보가 추가적으로 입력된다.In this step, oxidant information is additionally input as another factor for calculating the ash melting ratio value according to the combustion temperature.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단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is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먼저, 연료 정보 입력부(210)가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를 입력받는다(S210). 구체적으로, 연료 정보 입력부(210)에 입력되는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는 전 단계(S100)에서 공업 분석부(110), 원소 분석부(120) 및 회 성분 분석부(130)에 입력된 각 질량 비율값을 포함한다.First, the fuel information input unit 210 receives physical property information of the solid fuel (S210). Specifically, the physical property information of the solid fuel input to the fuel information input unit 210 is the mass input to the industrial analysis unit 110, elemental analysis unit 120 and ash component analysis unit 130 in the previous step (S100). Contains the ratio value.

다음, 산화제 정보 입력부(220)가 산화제 정보를 추가로 입력받는다(S220). 구체적으로, 산화제 정보 입력부(220)에 입력되는 산화제 정보는 연소기(1)에 산화제로서 투입될 수 있는 기체에 관한 정보로서, 산화제 내에 포함된 산소 및 질소 비율값을 포함한다.Next, the oxidant information input unit 220 receives additional oxidant information (S220). Specifically, the oxidant information input to the oxidant information input unit 220 is information about a gas that can be added as an oxidant to the combustor 1 and includes oxygen and nitrogen ratio values contained in the oxidant.

또한, 회 용융 비율 연산부(230)가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 및 산화제 정보를 이용하여 연소 온도에 따른 회 용융 비율값을 연산한다(S230). 회 용융 비율값은 상용화된 프로그램 등에 의해 연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sh melting rate calculating unit 230 calculates the ash melting rate value according to the combustion temperature using the properties of the solid fuel and the oxidant information (S230). Ash melt ratio values can be calculated by commercialized programs and the like.

다른 실시 예에서, 회 용융 비율 연산부(230)가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 및 산화제 정보를 이용하여 연소 온도에 따른 회 용융 비율값을 연산하기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을 프로그래밍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 separate program may be further programmed by the ash melting rate calculator 230 to calculate the ash melt rate value according to the combustion temperature by using the properties of the solid fuel and the oxidant information.

(3)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 연산 모듈(300)이 연산된 회 용융 비율값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다수의 첨가제에 대하여 첨가제 적용 여부에 따른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을 연산하는 단계(S300)의 설명(3) Description of the step (S300) of the ash melting rate reduction rate calculating module 300 calculating the ash melting rate reduction rate according to whether additives are applied to a plurality of preset additives using the calculated ash melting rate value.

본 단계는 전 단계(S200)에서 연산된 회 용융 비율값을 이용하여 특정한 온도에서의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을 연산하여, 연소 조건에 맞는 첨가제를 선정하기 위한 배경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이다.This step is to generate the background data for selecting the additive suitable for the combustion conditions by calculating the ash melting ratio reduction rate value at a specific temperature using the ash melting ratio value calculated in the previous step (S200).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단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is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먼저, 첨가제 정보 입력부(310)가 다수의 첨가제의 정보를 입력받는다(S310). 이 때, 첨가제 정보 입력부(310)에 입력되는 다수의 첨가제 정보에는 특정 첨가제가 아닌, 회 용융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첨가제 정보를 포함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First, the additive information input unit 310 receives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additives (S310).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additive information input to the additive information input unit 310 includes all additive information that may be used to increase the melting temperature, rather than a specific additive.

다음, 첨가제 투입 결과 연산부(320)가 입력된 다수의 첨가제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첨가제마다 첨가제 투입 결과를 연산한다(S320). 이를 위해, 첨가제의 종류 및 첨가제가 투입되는 온도 조건에 따라 첨가제 투입시 회 용융 온도의 변화량이 매핑되어 저장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Next, the additive input result calculating unit 320 calculates the additive input result for each additive by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additives input (S320). To this end,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database (not shown)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amount of change in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additive is mapp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additive and the temperature condition in which the additive is added.

또한, 첨가제 순위 부여부(330)가 연산된 첨가제 투입 결과를 이용하여 각 첨가제에 순위를 부여한다(S330). 첨가제 순위 부여부(330)는 각 상황에서의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을 앞서 예시된 식에 의해 연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dditive ranking unit 330 ranks each additive by using the calculated additive input result (S330). The additive ranking unit 330 may calculate the ash melting ratio reduction rate value in each situation by the equation illustrated above.

각 상황에서의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이 연산되면, 첨가제 순위 부여부(330)는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이 높은 순서대로 각 첨가제에 순위를 부여한다.When the ash melt rate reduction rate value in each situation is calculated, the additive ranking part 330 ranks each additive in the order of high ash melt rate reduction rate values.

(4) 첨가제 선정 모듈(400)이 연산된 저감값에 따라 다수의 첨가제 중 어느 하나의 첨가제를 선정하는 단계(S400)의 설명(4) Description of the step (S400) of selec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additives according to the additive selection module 400 calculated reduction value

본 단계는 전 단계(S300)에서 연산된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에 따라 부여된 순위, 실제 연소가 일어나는 연소 온도 및 경제성을 기준으로 첨가제 투입 여부 및 다수의 첨가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투입될 첨가제를 선정하는 단계이다.This step is to select an additive to be added to any one or more of the additives and a plurality of additives based on the ranking given according to the ash melting ratio reduction rate value calculated in the previous step (S300), the actual combustion temperature and economical efficiency occurs. Step.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단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is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1.

먼저, 연소 온도 비교부(410)가 실제 연소 온도와 순위가 부여된 첨가제가 투입되는 온도 조건을 비교한다(S410). 즉, 전 단계(S300)에서 각 첨가제에 부여된 순위는 특정 온도 조건에 따른 순위이므로, 이를 실제 연소 온도와 비교하는 것이다.First, the combustion temperature comparison unit 410 compares the actual combustion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conditions to which the additive given the ranking (S410). That is, since the rank given to each additive in the previous step (S300) is a rank according to a specific temperature condition, it is compared with the actual combustion temperature.

다음으로, 첨가제 필터링부(420)가 연소 온도 비교부(410)에서 수행된 비교 결과 실제 연소 온도와 첨가제가 투입되는 온도 조건이 동일한 첨가제들을 필터링한다(S420). 즉, 여기서 필터링된 첨가제들은 실제 연소 온도 조건을 만족하는 첨가제들이다.Next, the additive filtering unit 420 filters the additives having the same temperature condition under which the actual combustion temperature and the additive are adde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performed by the combustion temperature comparing unit 410 (S420). In other words, the additives filtered out here are those which meet the actual combustion temperature conditions.

또한, 비용 순위 부여부(430)가 첨가제 필터링부(420)가 필터링한 첨가제의 투입에 따른 비용을 연산하여 필터링한 첨가제에 순위를 부여한다(S430). 즉, 실제 연소 온도 조건을 만족하는 각 첨가제들의 상이한 비용을 반영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st ranking unit 430 calculates the cost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additive filtered by the additive filtering unit 420 and assigns a rank to the filtered additive (S430). That is, it reflects the different costs of each additive that meets the actual combustion temperature conditions.

이 때, 첨가제의 가격이 낮을수록, 즉 첨가제 사용에 따른 비용이 낮을수록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하므로, 높은 순위가 부여된다.At this time, the lower the price of the additive, that is, the lower the cost of using the additive is advantageous in terms of economics, it is given a high rank.

다음, 경제성 판단부(440)가 순서가 부여된 필터링한 첨가제 투입에 따른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과 소정의 기준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을 비교한다(S430). Next, the economics determination unit 440 compares the ash melt rate reduction rate value according to the filtered additive addition ordered with the predetermined reference ash melt rate reduction rate (S430).

이는, 연소시 투입되는 첨가제가 일반적으로 고가이기 때문에, 회 용융 온도를 상승시켜 연소기(1) 내의 회 점착을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하더라도, 회 점착 방지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에 비해 첨가제 투입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더 큰 경우 첨가제를 투입하지 않는 것이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additives added during combustion are generally expensive, so even though the effect of raising the ash melting temperature to prevent ash adhesion in the combustor 1 is excellent, the additives are compared with the economic effects obtained by the ash adhesion prevention. It is more advantageous to avoid the addition of additives if the economic losses from the input are greater.

따라서, 첨가제 투입에 따른 비용 및 첨가제 투입에 따라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의 상승에 따른 경제적인 이익을 비교하여, 첨가제 투입에 따라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의 상승에 따른 경제적인 이익이 더 높은 경우에만 첨가제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cost of additives and the economic benefits of increasing the melt rate reduction rate according to the additives are compared. It is preferable to add.

일 실시 예에서, 경제성의 척도로서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이 환산되어 활용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In an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ash melting ratio reduction rate value may be converted and used as a measure of economic efficiency.

마지막으로, 첨가제 선택부(450)는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이 소정의 기준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을 초과할 경우, 순서가 부여된 필터링한 첨가제 중 가장 순위가 높은 첨가제를 선택한다(S450).Finally, when the ash melting rate reduction rate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ash melting rate reduction rate value, the additive selecting unit 450 selects the additive having the highest rank among the filtered additives to which the order is given (S450).

즉, 첨가제 선택부(450)는 첨가제 투입에 따른 경제성이 기준 경제성보다 높은 경우에만 첨가제를 투입하는 것으로 연산하고, 첨가제 투입에 따른 경제성이 기준 경제성과 동일할 경우 별도로 첨가제를 투입하지 않는 것으로 연산한다.That is, the additive selecting unit 450 calculates that the additive is added only when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additiv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economical value, and calculates that the additive is not added separately when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additive is equal to the standard economical efficiency. .

또한, 첨가제 투입에 따른 경제성이 기준 경제성보다 높은 첨가제가 다수 존재할 경우, 첨가제 선택부(450)는 그 중에서 비용 순위 부여부(430)에서 부여된 순위가 가장 높은 첨가제를 선택함으로써, 경제성을 제고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additives having higher economics than the reference economics due to the additive input, the additive selecting unit 450 may improve the economics by selecting an additive having the highest rank given by the cost ranking unit 430 among them. Can be.

본 발명에 따르면, 회 용융 온도를 높여서 회 점착에 의한 연소기(1)의 손상 및 연소 효율 등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한 첨가제를 선정함에 있어,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 및 산화제 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적합한 첨가제를 선정하므로, 목적에 맞는 적합한 첨가제의 선정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selecting an additive for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combustor 1 and the reduction of the combustion efficiency due to the ash adhesion by increasing the ash melting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use a suitable additive using both the physical properties information and the oxidant information of the solid fuel. Since it is selected, it is possible to select a suitable additive for the purpose.

또한, 선정된 첨가제를 실제 연소 온도에 따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첨가제에 대한 경제성 평가를 수행하여 평가를 만족하는 첨가제만을 선택하여 투입하므로, 연소 상황에 맞는 첨가제의 선정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elected additives are filtered according to the actual combustion temperature, and economical evaluation of the filtered additives is performed to select and add only additives that satisfy the evaluation, so that additives suitable for combustion may be selected.

더 나아가, 연소 조건에 맞는 순위 및 경제성 평가를 통한 순위가 부여되고, 이를 통해 최선순위의 첨가제를 선정할 수 있으므로, 고가의 첨가제 사용에 따른 효과의 극대화 및 경제성의 극대화가 가능하다.Furthermore, the ranking is given through the ranking according to the combustion conditions and the economic evaluation,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best additive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ect and the economics of the use of expensive additives.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1 : 연소기
10 : 첨가제 투입부
100 : 연료 분석 모듈
110 : 공업 분석부
120 : 원소 분석부
130 : 회 성분 분석부
200 : 회 용융 비율값 연산 모듈
210 : 연료 정보 입력부
220 : 산화제 정보 입력부
230 : 회 용융 비율값 연산부
300 :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 연산 모듈
310 : 첨가제 정보 입력부
320 : 첨가제 투입 결과 연산부
330 : 첨가제 순위 부여부
400 : 첨가제 선정 모듈
410 : 연소 온도 비교부
420 : 첨가제 필터링부
430 : 비용 순위 부여부
440 : 경제성 판단부
450 : 첨가제 선택부
1: combustor
10: additive input unit
100: fuel analysis module
110: industrial analysis unit
120: elemental analysis unit
130: ash component analysis unit
200: ash melt ratio calculation module
210: fuel information input unit
220: oxidant information input unit
230: ash melt ratio calculation unit
300: melt rate reduction rate calculation module
310: additive information input unit
320: additive injection result calculation unit
330: additive ranking part
400: Additive Selection Module
410: combustion temperature comparison unit
420: additive filtering unit
430: cost ranking
440: Economic Determination Unit
450: additive selection unit

Claims (8)

(a) 연료 분석 모듈(100)이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b) 회 용융 비율값 연산 모듈(200)이 입력된 상기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 및 추가 입력된 산화제 정보를 이용하여 연소 온도에 따른 회 용융 비율값을 연산하는 단계;
(c)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 연산 모듈(300)이 연산된 상기 회 용융 비율값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다수의 첨가제에 대하여 첨가제 적용 여부에 따른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을 연산하는 단계; 및
(d) 첨가제 선정 모듈(400)이 연산된 상기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에 따라 상기 다수의 첨가제 중 어느 하나의 첨가제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첨가제 선정 방법.
(a) receiving, by the fuel analysis module 100, property information of the solid fuel;
(b) calculating, by the ash melting rate calculating module 200, the ash melting rate value according to the combustion temperature by using the input properties of the solid fuel and the additionally inputted oxidant information;
(c) calculating the melt rate reduction rate according to whether additives are applied to a plurality of preset additives using the ash rate ratio calculated by the ash melt rate reduction value calculating module 300; And
(d) selecting the additive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additives according to the additive melting rate reduction rate value calculated by the additive selecting module 400,
How to choose an additi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공업 분석부(110)가 상기 연료 내의 수분, 휘발분, 고정 탄소 및 회분의 질량 비율값을 입력받는 단계;
(a2) 원소 분석부(120)가 상기 연료 내의 탄소, 수소, 산소, 질소, 황 및 염소의 질량 비율값을 입력받는 단계; 및
(a3) 회 성분 분석부(130)가 상기 연료 내의 이산화규소(SiO2), 산화 알루미늄(Al2O3), 산화나트륨(Na2O), 산화철(III)(Fe2O3), 산화칼륨(K2O), 산화칼슘(CaO), 산화마그네슘(MgO), 이산화타이타늄(TiO2) 및 삼산화황(SO3)의 질량 비율값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에는,
상기 공업 분석부(110), 상기 원소 분석부(120) 및 상기 회 성분 분석부(130)가 각각 입력받은 상기 질량 비율값이 포함되는,
첨가제 선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step (a),
(a1) receiving, by the industrial analyzer 110, a mass ratio value of water, volatile matter, fixed carbon, and ash in the fuel;
(a2) receiving, by the elemental analyzer 120, a mass ratio value of carbon, hydrogen, oxygen, nitrogen, sulfur, and chlorine in the fuel; And
(a3) The ash component analyzing unit 130 includes silicon dioxide (SiO 2), aluminum oxide (Al 2 O 3), sodium oxide (Na 2 O), iron oxide (III) (Fe 2 O 3), potassium oxide (K 2 O), and calcium oxide (CaO) in the fuel. ), And receiving a mass ratio value of magnesium oxide (MgO), titanium dioxide (TiO 2) and sulfur trioxide (SO 3),
Physical property information of the solid fuel,
The industrial analysis unit 110, the elemental analysis unit 120 and the ash component analysis unit 130 includes the mass ratio value received, respectively,
How to choose an additi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연료 정보 입력부(210)가 상기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b2) 산화제 정보 입력부(220)가 상기 산화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산화제 정보에는,
산화제가 포함하는 산소 및 질소 비율값이 포함되는,
첨가제 선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2,
In step (b),
(b1) receiving, by the fuel information input unit 210, property information of the solid fuel; And
(b2) including receiving, by the oxidant information input unit 220, the oxidant information;
In the oxidant information,
Oxygen and nitrogen ratio value that the oxidant contains,
How to choose an additi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 이후에,
(b3) 회 용융 비율값 연산부(230)가 상기 고체 연료의 물성 정보 및 상기 산화제 정보를 이용하여 연소 온도에 따른 회 용융 비율값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첨가제 선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fter the step (b2),
(b3) including a step of calculating a melt rate value according to a combustion temperature by using the ash melt rate calculator 230 using physical property information and the oxidant information of the solid fuel;
How to choose an additiv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첨가제 정보 입력부(310)가 상기 다수의 첨가제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c2) 첨가제 투입 결과 연산부(320)가 입력된 상기 다수의 첨가제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첨가제마다 첨가제 투입 결과를 연산하는 단계; 및
(c3) 첨가제 순위 부여부(330)가 연산된 상기 첨가제 투입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각 첨가제에 순위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첨가제 투입 결과에는,
상기 첨가제 투입에 따른 상기 회 용융 비율값의 변화량이 상기 첨가제가 투입되는 온도 조건에 따라 매핑되어 저장되는,
첨가제 선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In step (c),
(c1) a step in which an additive information input unit 310 receives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additives;
(c2) calculating the additive input result for each additive by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additives inputted by the additive input calculating unit 320; And
(c3) adding a ranking to each of the additives by using the additive ranking result of the additive ranking unit 330 calculated;
In the additive addition resul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sh melting ratio value according to the additive addition is mapp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dition in which the additive is added,
How to choose an additiv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3) 단계에서,
상기 순위는 기 설정된 방법으로 연산된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이 높은 순서로 부여되는,
첨가제 선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step (c3),
The ranking is given in the order of increasing the melting rate reduction rate value calculated by the preset method,
How to choose an additiv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연소 온도 비교부(410)가 실제 연소 온도와 상기 순위가 부여된 첨가제가 투입되는 온도 조건을 비교하는 단계;
(d2) 첨가제 필터링부(420)가 상기 연소 온도 비교부(410)가 비교한 상기 순위가 부여된 첨가제 중 상기 첨가제가 투입되는 온도 조건이 상기 실제 연소 온도와 동일한 첨가제를 필터링하는 단계; 및
(d3) 비용 순위 부여부(430)가 상기 첨가제 필터링부(420)가 필터링한 상기 첨가제의 투입에 따른 비용을 연산하여 상기 필터링한 첨가제에 순위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순위는,
상기 필터링한 첨가제의 사용에 따른 비용이 낮을수록 높은 순위가 부여되는,
첨가제 선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In step (d),
(d1) the combustion temperature comparing unit 410 comparing the actual combustion temperature with a temperature condition in which the ranked additive is added;
(d2) an additive filtering unit 420 filtering an additive having a temperature condition at which the additive is added among the ranked additives compared by the combustion temperature comparing unit 410 equal to the actual combustion temperature; And
(d3) a cost ranking unit 430 calculating a cost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additive filtered by the additive filtering unit 420 and assigning a rank to the filtered additive,
The ranking is,
The lower the cost according to the use of the filtered additive is given a higher rank,
How to choose an additiv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d3) 단계 이후에,
(d4) 경제성 판단부(440)가 상기 순서가 부여된 상기 필터링한 첨가제 투입에 따른 상기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과 소정의 기준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d5) 첨가제 선택부(450)가 상기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이 상기 소정의 기준 회 용융 비율 저감율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순서가 부여된 상기 필터링한 첨가제 중 가장 순위가 높은 첨가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첨가제 선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fter the step (d3),
(d4) comparing, by the economic determination unit 440, the ash melting rate reduction rate value according to the filtered additive addition with the order, and a predetermined reference ash melting rate reduction rate value; And
(d5) when the additive melting rate reduction value exceeds the predetermined reference ash rate reduction rate, the additive selecting unit 450 selects the additive having the highest rank among the filtered additives to which the order is given; Including,
How to choose an additive.
KR1020180075879A 2018-06-29 2018-06-29 Selection method of additive to reduce ash sticking occurred when using solid fuel KR1020674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879A KR102067484B1 (en) 2018-06-29 2018-06-29 Selection method of additive to reduce ash sticking occurred when using solid fu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879A KR102067484B1 (en) 2018-06-29 2018-06-29 Selection method of additive to reduce ash sticking occurred when using solid fu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417A true KR20200002417A (en) 2020-01-08
KR102067484B1 KR102067484B1 (en) 2020-01-17

Family

ID=69154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879A KR102067484B1 (en) 2018-06-29 2018-06-29 Selection method of additive to reduce ash sticking occurred when using solid fu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48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032B1 (en) 2011-12-30 2014-10-0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Coal and Flux Supply Apparatus of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power plant, and Supply Method thereof
KR101512250B1 (en) * 2010-07-14 2015-04-14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deposition of ash in heating furnace
KR101684348B1 (en) * 2015-06-25 2016-12-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Operation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of thermal power generation system
KR101793972B1 (en) 2015-12-22 2017-11-0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Melting point nonlinear prediction method whem dual fu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250B1 (en) * 2010-07-14 2015-04-14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deposition of ash in heating furnace
KR101447032B1 (en) 2011-12-30 2014-10-0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Coal and Flux Supply Apparatus of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power plant, and Supply Method thereof
KR101684348B1 (en) * 2015-06-25 2016-12-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Operation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of thermal power generation system
KR101793972B1 (en) 2015-12-22 2017-11-0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Melting point nonlinear prediction method whem dual fu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484B1 (en) 202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uo et al. Review of flue gas acid dew-point and related low temperature corrosion
Wieland et al. Evaluation, comparison and validation of deposition criteria for numerical simulation of slagging
CN1312296C (en) Optimizing control method for hybrid type blast furnace hot blast stove
US202001841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deformation temperature of coal using predictive model
CN108388759B (en) Horseshoe flame glass kiln energy consumption modeling and local energy consumption benchmarking method
Billen et al. Predicting melt formation and agglomeration in fluidized bed combustors by equilibrium calculations
Modlinski et al. Development of high-temperature corrosion risk monitoring system in pulverized coal boilers based on reducing conditions identification and CFD simulations
KR102067484B1 (en) Selection method of additive to reduce ash sticking occurred when using solid fuel
Norizam et al. An improved index to predict the slagging propensity of woody biomass on high-temperature regions in utility boilers
JP2014228258A (en) Boiler furnace wall tube sulfide corrosion prediction method
US10185792B2 (en) Method for predicting slagging production position and slagging production possibility in furnace
CN107884430A (en) A kind of method of the carbonaceous material ash melting temperature such as forecasting coal
KR101793977B1 (en) Prediction methods of inside the furnace slagging generating position and created possibility
JP5011040B2 (en) Reactor apparatus and gas temperature estimation method in reactor
JP2014219113A (en) System for measuring internal temperature of combustion furna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combustion in combustion furnace
Kongkiatpaiboon Improving Offshore Condensate Production Optimization Processes with Prediction of Reid Vapor Pressure Using Machine Learning
JP7250205B1 (en) Learning model generation method, learning model generation device, combustion prediction method, combustion prediction device, and program
KR20200023905A (en) Method for predicting injection effect of furnace pulverized coal
Verheijen et al. Improving energy efficiency of Glass Furnaces
Alekhnovich Analysis of Cyclic Load Capability of Boilers According to Conditions of Slag-Tap Removal
KR102475453B1 (en) Coal property prediction apparatu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thereof
CN115125037B (en) Method for online adjustment of operation parameters of gasification furnace
KR20220098548A (en) Initial deformation temperature prediction apparatus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ology and method thereof
Nimbalkar et al. Process Heating Assessments Using DOE’s Manufacturing Energy Assessment Software for Utility Reduction (MEASUR) Tool Suite
KR20240035123A (en) Combustion Operation Apparatus of Hot Blast Stove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