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321U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321U
KR20200002321U KR2020190002420U KR20190002420U KR20200002321U KR 20200002321 U KR20200002321 U KR 20200002321U KR 2020190002420 U KR2020190002420 U KR 2020190002420U KR 20190002420 U KR20190002420 U KR 20190002420U KR 20200002321 U KR20200002321 U KR 202000023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ing
connector
terminals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42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2776Y1 (en
Inventor
시엔 창 린
Original Assignee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023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32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7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776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인보드와 도터보드를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를 공개한다. 커넥터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는 복수 개의 단자와 래칭 암을 포함한다. 래칭 암은 연결단을 형성한다. 제2 연결부는 복수 개의 단자 홈과 래칭 홈을 포함한다. 래칭 홈은 연결단에 커플링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는 제1 각도로 제2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단자들이 상기 단자홈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결단이 래칭 암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단자들과 상기 단자홈들의 전기적 연결 유지 상태에서, 외력을 가하여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사이의 제1 각도를 제2 각도로 변화시킴으로써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인접되게 또는 동일한 평면에 설치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onnector that can connect a motherboard and a daughter board. The connector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 latching arm. The latching arm forms the connecting e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 grooves and latching grooves. The latching groove can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end. Here, the first connection part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at a first angle so that the termina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grooves, and the connection end is fixed to the latching arm, and the terminals and the terminal grooves In the state of maintain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change the first angle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to a second angle so that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or on the same plane.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Connector {CONNECTOR}

본 고안은 커넥터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드 대 보드로 연결 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technical field of a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that can be connected from a board to a board.

기존의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은 그 사이에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커넥터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Two existing printed circuit boards can be connected via connectors to transfer signals between them.

커넥터는 두 개의 인쇄 회로 기판을 연결하기에 편리하지만, 조립 과정에서 외력의 충격에 의해 분리될 수 밖에 없으며, 또는 조립 과정에서 커넥터의 단자를 정렬하기 쉽지 않아 단자를 손상시키므로 커넥터의 전기적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The connector is convenient to connect two printed circuit boards, but it has no choice but to be separated by the impact of an external force during the assembly process, or it is difficult to align the terminals of the connector during the assembly process, which damages the terminals, which affects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nector. Crazy.

이를 감안하여, 본 고안은 기존의 커넥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제공한다.In view of th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or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existing connector.

본 고안의 제1 목적은 제1 연결부의 수 단자(또는 암 단자) 형태를 통해 제2 연결부의 암 단자(또는 수 단자) 형태와 연결되어 복수 개의 인쇄 회로 기판을 연결시키는 목적을 달성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that achieves the purpose of connecting a plurality of printed circuit boards by being connected to the female terminal (or male terminal) shap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hrough the male terminal (or female terminal) shap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o provide.

본 고안의 제2 목적은 상술한 커넥터에 따라,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래칭 암을 통해 래칭 홈에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결합 및 조립되도록 하는 래칭 암과 래칭 홈을 제공하는 것이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tching arm and a latching groove through which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re coupled to the latching groove through a latching arm, so that they are stably engaged and assembl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nector.

본 고안의 제3 목적은 상술한 커넥터에 따라, 단자와 래칭 암이 경사진 제1 각도로 삽입 및 인출되어, 용이하게 조립 또는 탁찰 가능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래칭 홈에 출입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trance to the latching groove so that the terminal and the latching arm are inserted and extracted at an inclined first angl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nector, so that the purpose of being easily assembled or tackled can be achieved.

본 고안의 제4 목적은 상술한 커넥터에 따라, 래칭 암과 래칭 홈 수단에 의한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연결 과정 중 평편하지 않은 삽입 현상을 해소하는 것이다.A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liminate an uneven insertion phenomenon during the connection process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by the latching arm and the latching groove mean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nector.

본 고안의 제5 목적은 상술한 커넥터에 따라, 단자 홈의 탄성 메커니즘에 의해,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변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립 과정에서 과도하게 큰 힘이 인가되더라도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전기적 특성이 파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fif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to be variably connected by the elastic mechanism of the terminal groov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nector, so that even if an excessively large force is applied during the assembly process,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This is to prevent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from being destroyed.

본 고안의 제6 목적은 상술한 커넥터에 따라, 제2 연결부에 일측, 양측 또는 다측의 단자와 래칭 암을 연결하기 위한 일측, 양측 또는 다측의 단자 홈과 래칭 홈을 제공하는 것이다.A six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groove and a latching groove on one side, both sides, or multiple sides for connecting one, both or multiple terminals and a latching arm to a second connection por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nector.

상술한 목적과 다른 목적에 달성하고자, 본 고안은 메인보드와 도터보드를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커넥터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는 복수 개의 단자와 래칭 암을 포함한다. 제1 연결부는 상기 단자들과 래칭 암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단자들의 일단은 상기 도터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래칭 암은 제1 수용 공간 내부로부터 제1 수용 공간 외부까지 연장되고, 제1 수용 공간 외부의 래칭 암은 연결단을 형성한다. 제2 연결부는 복수 개의 단자 홈과 래칭 홈을 포함한다. 제2 연결부는 상기 단자홈들과 래칭 홈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단자홈들의 일단은 메인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단자홈들의 타단은 상기 단자들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래칭 홈은 연결단에 커플링된다. 여기서, 제1 연결부는 제1 각도로 상기 제2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단자들이 상기 단자홈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단자들과 상기 단자홈들의 전기적 연결 유지 상태에서, 외력을 가하여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사이의 제1 각도를 제2 각도로 변화시킴으로써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인접되게 또는 동일한 평면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other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main board and the daughter board. The connector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 latching arm. The first connection part forms a first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terminals and the latching arm. One end of the terminal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aughter board. The latching arm extends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the latching arm outside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forms a connection e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 grooves and latching grooves. The second connection part forms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for receiving the terminal grooves and the latching grooves. One end of the terminal groove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the other end of the terminal groove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erminals, and the latching groove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end. Her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t a first angle so that the termina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grooves, and in a state of maintaining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s and the terminal groove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By changing the first angle between the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to a second angle,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or on the same plane.

종래 기술에 비해,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되는 커넥터는 수 단자부와 암 단자부의 조립 과정에서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고, 수 단자부와 암 단자부 사이가 외력에 의해 연결 상태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수 단자부(또는 암 단자부)는 하나의 각도로부터 암 단자부(또는 수 단자부)에 삽입되어 예를 들어 협소한 조립 공간에 장착될 수 있으며, 삽입이 완료된 후, 외력에 의해 수 단자부(또는 암 단자부)의 각도를 변화시켜 수 단자부와 암 단자부가 동일한 평면에 스냅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삽입 동작의 반대 동작은 수 단자부와 암 단자부의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도 있다.Compared to the prior art, the connector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unted dur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male terminal portion and the female terminal portion, and may prevent separation between the male terminal portion and the female terminal portion in a connected state by an external for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le terminal portion (or female terminal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female terminal portion (or male terminal portion) from one angle and mounted, for example, in a narrow assembly space, and after the insertion is completed, the male terminal portion by external force Change the angle of the (or female terminal) so that the male and female terminals can snap to the same plane. An operation opposite to the above-described insertion operation may release the combined state of the male terminal portion and the female terminal portion.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래칭 암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 모식도이다.
도 3(b)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래칭 홈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 모식도이다.
도 3(c)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래칭 홈과 연결단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단자 홈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단자 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connector according to FIG.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latching arm according to Fig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latching groove according to FIG. 1 of the present invention.
3(c)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upling of the latching groove and the connection end according to FIG. 1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FIG.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terminal groove according to Fig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b)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terminal groove according to Fig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고자,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urpose,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에 있어서, “일” 또는 “하나”의 사용은 본문에 기술된 유닛, 소자 및 부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편의를 위해 설명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범주에 대해 일반적인 의미를 제공한다. 따라서 특별히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이러한 설명은 하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또한 단수는 동시에 복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of “one” or “one” is intended to describe the units, elements and parts described in the text. This has been described for convenience and provides a general meaning f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description includes one, at least one, and that the singular includes the plural at the same time.

본 고안에 있어서, 용어 "포함하다", "포괄하다", "구비하다", "함유하다" 또는 다른 임의의 유사한 용어는 비배타적인 포함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요소를 포함하는 소자, 구조, 제품 또는 장치는 본문에 열거된 해당 요소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하게 열거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소자, 구조, 제품 또는 장치가 일반적으로 고유한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반대되는 명확한 설명이 없는 한 용어 "또는"은 포함적인 "또는"을 의미하며, 배타적인 "또는"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comprise", "comprise", "include", "include" or any other similar term includes non-exclusive inclusions. For example, an element, structure, product, or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elements is not limited to those elements listed in the text, and other elements that are not explicitly listed but are generally unique to the element, structure, product or device. It may include. In addition, unless clearly stated to the contrary, the term "or" means an inclusive "or" and does not mean an exclusive "or".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 모식이다. 도 1에서, 커넥터(10)는 도터보드(2)와 메인보드(4)를 연결시키며, 도터보드(2)와 메인보드(4)는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주의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10)는 두 개의 도터보드(2)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되었으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10)는 하나의 도터보드(2)만 연결하는 것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1, FIG. 1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the connector 10 connects the daughter board 2 and the main board 4, and the daughter board 2 and the main board 4 may be printed circuit board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or 10 has been described for example as connecting two daughter boards 2, but in other embodiments, the connector 10 is one daughter board 2 Can be designed as connecting only.

커넥터(10)는 제1 연결부(12)와 제2 연결부(1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연결부(12)는 수 단자 형태로, 제2 연결부(14)는 암 단자 형태로 예를 들어 설명되며, 제1 연결부(12)와 제2 연결부(14)만 연결이 가능하다.The connector 10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ortion 12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14.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part 12 is described in the form of a male terminal,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4 is described in the form of a female terminal, and only the first connection part 12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4 are connected. This is possible.

동시에 도 2를 참조할 수 있으며, 도 2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제1 연결부(12)는 4개의 단자(122)와 2개의 래칭 암(124)을 포함한다. 제1 연결부(12)의 내부에 상기 단자(122)들과 래칭 암(124)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도터보드(2)에서의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상기 단자(122)들의 일단은 도터보드(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예를 들어 상기 단자(122)들의 일단은 용접 등 방식을 통해 도터보드(2)에 고정될 수 있다. 래칭 암(124)의 일단은 제1 수용 공간 내에 고정되고, 타단 측은 제1 수용 공간 내부로부터 제1 수용 공간 외부까지 연장된다. 여기서, 제1 수용 공간 외부의 래칭 암(124)에 연결단(1242)(동시에 도 3(a)를 참조할 수 있음)이 형성되고, 연결단(1242)은 단자(122)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연결단(1242)을 구비하는 래칭 암(124)은 L형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래칭 암(124)은 4개 단자(122)의 측에 설치되고, 연결단(1242)의 형상은 원기둥일 수 있다. 주의해야 할 것은, 연결단(1242)은 삽입 경사면(1244)과 인출 경사면(1246)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삽입 경사면(1244)은 연결단(1242)의 전연에 형성되고, 인출 경사면(1246)은 연결단(1242)의 후연에 형성된다. 삽입 경사면(1244)의 면적은 인출 경사면(1246)의 면적보다 크기에 래칭 홈(144)에 원활하게 미끌어져 들어가거나 래칭 홈(144)으로부터 원활하게 인출되며, 이밖에 삽입 경사면(1244)과 인출 경사면(1246)의 경사진 방향에 따라, 래칭 홈(144)의 출입구(1442)를 배합하여 연결단(1242)이 어느 각도에서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At the same time, reference may be made to FIG. 2, and 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connector according to FIG.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2, the first connection part 12 includes four terminals 122 and two latching arms 124. A first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terminals 122 and the latching arm 124 is formed inside the first connection part 12. In addition, one end of the terminals 12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aughter board 2 in order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daughter board 2, for example, one end of the terminals 122 is through welding or the like. It can be fixed to the daughter board (2). One end of the latching arm 124 is fix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the other end extends from the insid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Here, a connection end 1242 (which may refer to FIG. 3(a) at the same time) is formed on the latching arm 124 outside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nd the connection end 1242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122 The latching arm 124 having the connecting end 1242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L-shaped. In this embodiment, the latching arms 124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our terminals 122, and the shape of the connection end 1242 may be a cylind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necting end 1242 further includes an insertion inclined surface 1244 and a lead-out inclined surface 1246. In this embodiment, the insertion inclined surface 1244 is formed on the leading edge of the connecting end 1242, and the lead inclined surface 1246 is formed in the trailing edge of the connecting end 1242. The area of the insertion inclined surface 1244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withdrawal inclined surface 1246 and smoothly slides into the latching groove 144 or is smoothly withdrawn from the latching groove 144, and in addition to the insertion inclined surface 1244 According to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inclined surface 1246, the entrance 1442 of the latching groove 144 may be combined to determine from which angle the connection end 1242 can be inserted or withdrawn.

제2 연결부(14)는 4개의 단자 홈(142)과 래칭 홈(144)을 포함한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14 includes four terminal grooves 142 and a latching groove 144.

제2 연결부(14)는 4개의 단자 홈(142)과 래칭 홈(144)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동시에 도 5(a)를 참조하면, 도 5(a)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단자 홈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a)에서, 4개의 단자 홈(142)의 일단(1426)(고정부로 칭함)은 메인보드(4)의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각각 메인보드(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4개의 단자 홈(142)의 타단(1424)(접촉부로 칭함)은 단자(122)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단자 홈(142)은 고정부(1426)와 접촉부(1424)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1422)를 더 가지며, 탄성부(1422)의 형상은 다곡면의 절곡 형상으로 단자(122)와 단자 홈(142)이 접촉할 시 고정부(1426)의 단일 단의 연결을 통해 변동 가능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탄성력을 제공하여 연결이 용이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동시에 도 5(b)를 참조할 수 있으며, 도 5(b)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단자 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b)에서 접촉부(1424)는 클립온 타입 구조(예를 들어 Y자형)이며, 클립온 타입 구조는 Z축 방향에서의 연결 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기에 결합 시 상술한 삽입 각도 또는 분리 각도의 영향을 받지 않고, 다시 말해서 각도를 변화시키는 과정에서, 전기적 연결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14 forms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our terminal grooves 142 and the latching grooves 144. At the same time, referring to FIG. 5(a), FIG. 5(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terminal groove according to FIG.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a), one end 1426 (referred to as a fixing part) of the four terminal grooves 14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4, respectively, to transmit electrical signals of the main board 4, The other ends 1424 (referred to as contact portions) of the four terminal grooves 14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s of the terminals 122. In addition, the terminal groove 142 further has an elastic portion 1422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portion 1426 and the contact portion 1424, and the shape of the elastic portion 1422 is a multi-curved curved shape with the terminal 122 and When the terminal groove 142 contacts, a flexible structure is formed through the connection of a single end of the fixing part 1426, thereby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facilitate connection. In this embodiment, reference may be made to FIG. 5(b) at the same time, and FIG. 5(b)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terminal groove according to FIG.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b), the contact part 1424 is a clip-on type structure (for example, a Y-shape), and in the clip-on type structure, the insertion angle or separation angle described above when the connection area in the Z-axis direction is relatively sized.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angle, in other words, without the influence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maintained.

래칭 홈(144)은 연결단(1242)과 커플링될 수 있다. 동시에 도 3(b)를 참조할 수 있으며, 도 3(b)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래칭 홈을 설명하기 위한 구조 모식도이다. 도 3(b)에서, 래칭 홈(144)의 형상은 원기둥의 연결단(1242)에 적합하기 위한 원기둥 오목홈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래칭 홈(144)의 외연의 거리가 2개 연결단(1242)의 상부 사이의 거리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연결단(1242)은 래칭 홈(144)에 한정된다. 래칭 홈(144)은 출입구(1442)와 회전 개구(1444)를 형성한다. 출입구(1442)는 회전 개구(1444)와 연통된다. 출입구(1442)의 개구에 의해 래칭 암(124)은 제1 각도(θ1)로 삽입 및 인출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래칭 암(124)은 경사지게 삽입될 수 있다. 회전 개구(1444)가 하나의 회전 공간을 제공하므로, 수용 연결단(1242) 이외에 원기둥의 연결단(1242)이 회전 개구(1444) 내에서 자유적으로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동시에 도 3(c)를 참조하면, 도 3(c)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래칭 홈과 연결단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c)에서 래칭 홈(144)은 연결단(1242)이 회전 개구(1444)에 미끄러져 들어가거나 회전 개구(1444)로부터 미끄러져 나오도록 결합면(1446)을 더 형성한다.The latching groove 144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end 1242. At the same time, reference may be made to FIG. 3(b), and FIG. 3(b)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latching groove according to FIG.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3(b), the shape of the latching groove 144 is described by taking a cylindrical concave groove suitable for the connection end 1242 of the cylind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edges of the latching groove 144 is two connection ends (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124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onnecting end 1242 is limited to the latching groove 144. The latching groove 144 forms an entrance 1442 and a rotation opening 1444. The entrance 1442 communicates with the rotation opening 1444. The latching arm 124 may be inserted and extracted at a first angle θ1 by the opening of the entrance 1442, in other words, the latching arm 124 may be inserted obliquely. Since the rotation opening 1444 provides one rotation space, the cylindrical connection end 1242 may freely rotate within the rotation opening 1444 in addition to the receiving connection end 1242. At the same time, referring to Figure 3 (c), Figure 3 (c)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upling of the latching groove and the connection end according to Fig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3(c), the latching groove 144 further forms an engaging surface 1446 such that the connecting end 1242 slides into the rotation opening 1444 or slides out from the rotation opening 1444.

동시에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여기서, 도 4(a)에서, 제1 연결부(12)는 제1 각도(θ1)로 출입구(1442)에 삽입되고 나아가 회전 개구(1444)에 삽입된 이후, 제1 연결부(12)는 4개의 단자(122)가 4개의 단자 홈(1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결단(1242)이 래칭 암(124)에 고정되도록 래칭 암(124)과 래칭 홈(144)을 통해 제2 연결부(14)와 결합되며, 이밖에, 4개의 단자(122)와 4개의 단자 홈(142)의 전기적 연결 유지 상태에서, 외력을 가하여 제1 연결부(12)와 제2 연결부(14) 사이의 제1 각도(θ1)를 제2 각도(θ2)로 변화시킴으로써 제1 연결부(12)와 제2 연결부(14)가 인접되게 또는 동일한 평면에 설치되도록 한다.At the same time, referring to FIGS. 4(a) and 4(b), it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ccording to FIG. 1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in Fig. 4(a), the first connection part 12 is inserted into the entrance 1442 at a first angle θ1 and further inserted into the rotation opening 1444, the first connection part 12 has four The second connection part 14 through the latching arm 124 and the latching groove 144 so that the terminal 12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our terminal grooves 142 and the connection end 1242 is fixed to the latching arm 124 And, in addition, in the state of maintaining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our terminals 122 and the four terminal grooves 142,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angl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12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4 ( By changing θ1 to the second angle θ2,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2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14 ar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or on the same plane.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6에서 커넥터(10')는 제1 연결부(12')와 제2 연결부(14')를 포함하며, 제1 실시예와의 상이한 점은 래칭 암(124')과 래칭 홈(144')의 설치 위치가 상이한데 있다.6, FIG. 6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6, the connector 10' includes a first connector 12' and a second connector 14', and the difference from the first embodiment is the latching arm 124' and the latching groove 144'. There is a different installation loca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래칭 암(124')은 중간의 2개 단자(122)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단(1242)은 단자(122)를 향한다. 래칭 홈(144')의 두 내연 사이의 거리가 두 연결단(1242)의 상부 사이의 거리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래칭 암(124')을 래칭 홈(144')에 한정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atching arm 124' is installed between the two intermediate terminals 122, and the connection end 1242 faces the terminal 122.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inner edges of the latching groove 144 ′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two connection ends 1242, the latching arm 124 ′ may be limited to the latching groove 144 ′.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에서, 커넥터(10")도 제2 실시예에서 언급된 제1 연결부(12')와 제2 연결부(14')를 구비하며, 제2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단자(122)의 개수가 제2 실시예의 짝수(4개)로부터 홀수(5개)로 조정된 데 있으며, 구별이 용이하도록, 제2 실시예 중 짝수의 단자(122)의 유형을 대칭 단자로 칭하고, 제3 실시예 중 홀수의 단자(122)의 유형을 비대칭 단자로 칭한다. 그러나 대칭 단자의 실시형태든지 비대칭 단자의 실시형태든지 래칭 홈(144')은 제2 연결단(14)의 양측(이는 제1 실시형태에 속함)에 모두 독립적으로 나타나지 않으며, 임의의 2개 단자(122) 사이에 나타난다. 다시 말해서, 래칭 홈(144')이 제2 연결단(14) 중앙 위치 또는 양측과 중앙 사이의 위치에 나타나는 경우 모두 본 고안이 주장하고자 하는 범주에 속한다. 주의해야 할 것은, 래칭 암(124')의 위치는 래칭 홈(144')에 대응되어 설치된 것이다. Referring to FIG. 7, FIG. 7 is a structural schematic diagram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7, the connector 10" also has the first connection part 12'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4' mentioned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difference from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number of terminals 122 Is adjusted from an even number (4) to an odd number (5)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in order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the type of the even number of terminals 122 in the second embodiment is referred to as a symmetric terminal, and the third embodiment The type of the odd number of terminals 122 is referred to as an asymmetric terminal.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symmetric terminal or the embodiment of the asymmetric terminal, the latching groove 144'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onnection end 14 (this is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words, the latching groove 144' appears at the center posi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end 14 or between both sides and the center, and appears between any two terminals 122. All cases belong to the category to be claimed by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osition of the latching arm 124' is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latching groove 144'.

본 고안은 이상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개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실시예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주의해야 할 것은, 모든 실시예와 균등한 변화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기준으로 정해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isclosed by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should understand that the embodiments are only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 It should be noted that all examples and equivalent changes and substitutions should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claims.

2: 도터보드 4: 메인보드 10, 10', 10": 커넥터
12, 12': 제1 연결부 122: 단자 124, 124': 래칭 암
1242: 연결단 1244: 삽입 경사면 1246: 인출 경사면
14, 14': 제2 연결부 142: 단자 홈 1422: 탄성부
1424: 접촉부 1426: 고정부 144, 144': 래칭 홈
1442: 출입구 1444: 회전 개구 1446: 결합면
θ1: 제1 각도 θ2: 제2 각도
2: daughter board 4: motherboard 10, 10', 10": connector
12, 12': first connection 122: terminal 124, 124': latching arm
1242: connection end 1244: insertion slope 1246: withdrawal slope
14, 14': second connection portion 142: terminal groove 1422: elastic portion
1424: contact portion 1426: fixing portion 144, 144': latching groove
1442: entrance 1444: rotation opening 1446: mating surface
θ1: first angle θ2: second angle

Claims (13)

메인보드와 도터보드를 연결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 개의 단자와 래칭 암을 가지며, 상기 단자들과 상기 래칭 암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단자들의 일단은 상기 도터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래칭 암은 상기 제1 수용 공간 내부로부터 상기 제1 수용 공간 외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1 수용 공간 외부의 상기 래칭 암은 연결단을 형성하는 제1 연결부; 및
복수 개의 단자 홈과 래칭 홈을 가지며, 상기 단자홈들과 상기 래칭 홈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단자홈들의 일단은 상기 메인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단자홈들의 타단은 상기 단자들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래칭 홈은 상기 연결단에 커플링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는 제1 각도로 상기 제2 연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단자들이 상기 단자홈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단자들과 상기 단자홈들의 전기적 연결 유지 상태에서, 외력을 가하여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의 상기 제1 각도를 제2 각도로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가 인접되게 또는 동일한 평면에 설치되도록 하는 커넥터.
In the connector connecting the motherboard and the daughter board,
It h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latching arms, and forms a first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terminals and the latching arm, one end of the terminal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aughter board, and the latching arm is the first accommodation A first connection part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spac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the latching arm outside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forming a connection end; And
It has a plurality of terminal grooves and latching grooves, forming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terminal grooves and the latching grooves, one end of the terminal groove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and the other end of the terminal groove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erminals, and the latching groove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part coupled to the connection end,
The first connection part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at a first angle so that the termina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grooves, and in a state of maintaining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s and the terminal groove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A connector configured to be installed adjacent to or on the same plane by changing the first angl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to a second ang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은 상기 연결단의 전연(Leading edge)에 형성된 삽입 경사면과 상기 연결단의 후연(trailing edge)에 형성된 인출 경사면을 더 형성하며, 상기 삽입 경사면이 상기 래칭 홈에 미끄러져 들어갈 경우, 상기 래칭 암은 상기 연결단에 커플링되고, 상기 래칭 암은 상기 인출 경사면을 통해 상기 연결단과의 커플링이 해제되는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end further forms an insertion inclined surface formed at a leading edge of the connecting end and a drawing inclined surface formed at a trailing edge of the connecting end, and the insertion inclined surface is in the latching groove. When sliding in, the latching arm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end, and the latching arm is released from the coupling with the connecting end through the withdrawal inclined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경사면의 면적은 상기 인출 경사면의 면적보다 작지 않은 커넥터.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n area of the insertion inclined surface is not smaller than an area of the lead inclined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암은 상기 단자들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연결단은 상기 단자들을 향하며, 상기 래칭 홈은 상기 래칭 암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연결부의 양측에 설치되는 커넥터.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latching arm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terminals, the connection ends face the terminals, and the latching groove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latching arm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의 개수는 2개이며, 상기 래칭 홈의 외연의 거리는 상기 2개 연결단의 상부 사이의 거리보다 작지 않은 커넥터.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number of the connecting ends is two,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edges of the latching groove is not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two connecting end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암은 임의의 2개 상기 단자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단은 상기 단자들을 향하며, 상기 래칭 홈은 상기 래칭 암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연결부의 임의의 2개 상기 단자홈들 사이에 설치되는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atching arm is installed between any two of the terminals, the connection end faces the terminals, and the latching groove corresponds to the latching arm. Connector installed between terminal groov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의 개수는 2개이며, 상기 래칭 홈의 내연의 거리는 상기 2개 연결단의 상부 사이의 거리보다 작지 않은 커넥터.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number of the connecting ends is two,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edges of the latching groove is not less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portions of the two connecting end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홈은 출입구와 회전 개구를 더 형성하며, 상기 출입구는 상기 회전 개구와 연통되고, 상기 출입구의 개구를 통해 상기 단자들과 상기 래칭 암은 상기 제1 각도로 삽입 및 인출되며, 상기 회전 개구는 상기 연결단을 수용하기 위한 것인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atching groove further forms an entrance and a rotation opening, the entrance communicates with the rotation opening, and the terminals and the latching arm are inserted at the first angle through the opening of the entrance and The connector is withdrawn and the rotation opening is for receiving the connection en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는 상기 연결단이 상기 회전 개구로 미끄러져 들어가거나 상기 회전 개구로부터 미끄러져 나오도록 하는 결합면을 형성하는 커넥터.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entrance forms a mating surface through which the connecting end slides into the rotation opening or slides out from the rotation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홈은 탄성부, 접촉부 및 고정부를 더 형성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서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탄성부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단자를 피드백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단자 홈을 상기 메인보드에 고정시키는 커넥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groove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part, a contact part, and a fixing part, the elastic part is formed between the contact part and the fixing part, the contact part is for connecting the terminal, and the elastic part A connector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feed back the terminal, and the fixing part fixes the terminal groove to the main boar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단자를 클램핑하여 상기 단자와 상기 접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클립온 타입 구조인 커넥터.The connector of claim 10, wherein the contact portion has a clip-on type structure that clamps the terminal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erminal and the contac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은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상기 래칭 홈은 원기둥 오목홈 형상을 가지는 커넥터.The connector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end has a cylindrical shape, and the latching groove has a cylindrical concave groove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다른 제1 연결부를 연결하기 위한 다른 복수 개의 단자 홈과 다른 래칭 홈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The connector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nnection part further comprises a latching groove different from a plurality of other terminal grooves for connecting another first connection part.
KR2020190002420U 2019-04-10 2019-06-14 Connector KR200492776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8204504U TWM588894U (en) 2019-04-10 2019-04-10 Connector
TW108204504 2019-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321U true KR20200002321U (en) 2020-10-21
KR200492776Y1 KR200492776Y1 (en) 2020-12-09

Family

ID=69431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420U KR200492776Y1 (en) 2019-04-10 2019-06-14 Connect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26007U (en)
KR (1) KR200492776Y1 (en)
CN (1) CN210074210U (en)
TW (1) TWM588894U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024Y1 (en) * 2003-01-20 2003-04-08 피-투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 Flexible board connector
JP3099102U (en) * 2003-03-14 2004-03-25 禾昌興業股▲ふん▼有限公司 connector
JP2007080641A (en) * 2005-09-13 2007-03-29 Sensata Technologies Japan Ltd Connector for base board to base board
JP2010033953A (en) * 2008-07-30 2010-02-12 Hirose Electric Co Ltd Coupling electric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is connector and substrate electric connector
JP2013131422A (en) * 2011-12-22 2013-07-0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Connection compon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9102B2 (en) 1993-05-18 2000-10-16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Heat treatment equipm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024Y1 (en) * 2003-01-20 2003-04-08 피-투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 Flexible board connector
JP3099102U (en) * 2003-03-14 2004-03-25 禾昌興業股▲ふん▼有限公司 connector
JP2007080641A (en) * 2005-09-13 2007-03-29 Sensata Technologies Japan Ltd Connector for base board to base board
JP2010033953A (en) * 2008-07-30 2010-02-12 Hirose Electric Co Ltd Coupling electric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is connector and substrate electric connector
JP2013131422A (en) * 2011-12-22 2013-07-0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Connection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776Y1 (en) 2020-12-09
JP3226007U (en) 2020-04-23
TWM588894U (en) 2020-01-01
CN210074210U (en) 2020-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6171A (en) Polarizing system for a blind mating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8449338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01361235B (en)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US8092262B1 (en) Eye-of-the needle pin of an electrical contact
EP3467950B1 (en) Connector
US7367812B2 (en) Circuit board and electrical assembly using the same
EP3499652B1 (en) Connector assembly
EP3213375B1 (en) Hermaphroditic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US10714859B2 (en) Receptacle electrical connector
US20210151917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CN102044775A (en) Connector
KR200492776Y1 (en) Connector
US10950957B2 (en) Male plug, female socket and connector
US11973284B2 (en) Connector
KR101786594B1 (en) Connector
US8277265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mating in two directions
US20160006152A1 (en) Card edge connector and card edge connector assembly
US8721189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assembly
CN111834770B (en) Connector for connecting with a plurality of wires
US8506329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connector alignment insert
US20050085132A1 (en) Connector pin
JP3226008U (en) Buckle connector
US20110244736A1 (en) Female electrical contact pin
US8668508B2 (en) Connector
KR200469373Y1 (e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