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231A -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231A
KR20200002231A KR1020180075512A KR20180075512A KR20200002231A KR 20200002231 A KR20200002231 A KR 20200002231A KR 1020180075512 A KR1020180075512 A KR 1020180075512A KR 20180075512 A KR20180075512 A KR 20180075512A KR 20200002231 A KR20200002231 A KR 20200002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guideline
information
blind spot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5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46669B1 (en
Inventor
전정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5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669B1/en
Publication of KR20200002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2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6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with light guides for distributing the light between several lighting or signa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06Side-view mirrors, e.g. V-shaped mirrors located at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vehicle
    • B60R1/007Side-view mirrors, e.g. V-shaped mirrors located at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vehicle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the lateral blind spot not covered by the usual rear-view mirr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1Linear movements of the vehicle
    • B60Q2300/112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2Steering parameters
    • B60Q2300/122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5Special conditions, e.g. pedestrians, road signs or potential d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8Semi-trailers, articulat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sensing unit acquiring vehicle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 light output unit including at least one light source; and a control unit which determines the predicted trajectory and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vehicl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ensing unit, and controls the light output unit to irradiate a guideline indicating the determined predicted trajectory and traveling direction.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Vehicle and its control method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차량 주위에 차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vehicle around the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차량용 영상 장치는 차량 주행 중에 운전자에게 주행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영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장치이다. In general, a vehicle imaging apparatus is a device for more effectively transferring various images including driving information to a driver while driving a vehicle.

종래 차량용 영상장치는 차량 주행 중에 운행 정보 등을 포함하는 영상이 자동차의 윈드 쉴드에 나타나도록 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이는 운전자에게 주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에 국한되었다.The conventional vehicle imaging apparatus mainly uses a method of displaying an image including driving information on a windshield of a vehicle while driving a vehicle, and is limited to the purpose of providing driving information to a driver.

일 측면은 차량 주위에 차량에 대한 정보를 조사(照射)함으로써 운전자 뿐만 아니라 외부의 보행자 등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to a pedestrian or the like as well as a driver by irradiating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around the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차량과 관련된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감지부;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출력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획득된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예상 궤적 및 진행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예상 궤적 및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vehicle according to one aspect, the sensing unit for obtaining vehicl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vehicle; An optical output unit including at least one light sourc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n expected trajectory and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vehicl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sensing unit, and to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to examine a guide line indicating the determined estimated trajectory and the traveling direction. do.

또한, 상기 감지부는, 조향 각도, 조향 방향, 차속 및 기어 위치 상태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ctor may obtain vehicle information including a steering angle, a steering direction, a vehicle speed, and a gear position stat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속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to irradiate the guideline when the vehicle speed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향 각도에 기초하여 조사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조사 영역에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irradiation area based on the steering angle, and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to irradiate the guideline to the determined irradiation area.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획득된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가 시각 정보를 획득하기 어려울 것으로 추정되는 사각 지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사각 지대의 노면에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determine a blind spot that is difficult for a driver to obtain visual information based on the vehicl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detector, and to investigate the guideline on the determined blind spot. The light output unit can be controll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어 위치 상태가 D(주행)이고 상기 조향 방향이 시계방향인 경우 또는 상기 기어 위치 상태가 R(후진)이고 상기 조향 방향이 시계방향인 경우, 상기 사각 지대를 상기 차량의 좌측 후방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move the blind spot to the vehicle when the gear position is D (run) and the steering direction is clockwise or when the gear position is R (reverse) and the steering direction is clockwise. It can be judged as the left rear of th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어 위치 상태가 D(주행)이고 상기 조향 방향이 반시계방향인 경우 또는 상기 기어 위치 상태가 R(후진)이고 상기 조향 방향이 반시계방향인 경우, 상기 사각 지대를 상기 차량의 우측 후방으로 판단할 수 있다.Further,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set the blind spot when the gear position is D (run) and the steering direction is counterclockwise or when the gear position is R (reverse) and the steering direction is counterclockwise. It may be determined as the right rear side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감지부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후방에 대한 물체 정보를 획득하는 후방 초음파 센서 및 상기 차량의 후방에 대한 시각 정보를 획득하는 후방 카메라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방 초음파 센서 및 상기 후방 카메라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may include a rear ultrasonic sensor for acquiring object information on the rear of the vehicle using ultrasonic waves and a rear camera sensor for acquiring visual information on the rear of the vehicle, and the controller may include the rear ultrasonic waves. The optical output unit may be controlled to determine whether an obstacle exists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a sensor and the rear camera sensor, and to irradiate the guidelin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bstacle exist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획득된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야간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야간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whether it is night based on the vehicl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detector, and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to irradiate the guideline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igh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후방 코너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후방 코너의 위치에 상기 가이드라인이 조사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a position of a rear corner of the vehicle based on the vehicle information, and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to irradiate the guideline to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rear corner.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차량과 관련된 차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예상 궤적 및 진행 방향을 판단하고; 및 상기 판단된 예상 궤적 및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것;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includes: obtaining vehicl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vehicle; Determine an expected trajectory and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obtained vehicle information; And examining a guideline indicating the estimated trajectory and the direction of the determination.

또한, 차량과 관련된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조향 각도, 조향 방향, 차속 및 기어 위치 상태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quiring vehicle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may include acquiring vehicle information including a steering angle, a steering direction, a vehicle speed, and a gear position state.

또한,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것은, 상기 차속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examining the guidelines may include examining the guidelines when the vehicle speed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또한,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것은, 상기 조향 각도에 기초하여 조사 영역을 결정하고; 및 상기 결정된 조사 영역에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rradiating the guide line may include: determining an irradiation area based on the steering angle; And irradiating the guideline to the determined irradiation area.

또한,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것은,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가 시각 정보를 획득하기 어려울 것으로 추정되는 사각 지대를 판단하고; 및 상기 판단된 사각 지대의 노면에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examining the guidelines may include determining a blind spot that is estimated to be difficult for a driver to obtain visual information based on the obtained vehicle information; And irradiating the guidelines on the determined road surface of the blind spot.

또한, 상기 사각 지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기어 위치 상태가 D(주행)이고 상기 조향 방향이 시계방향인 경우 또는 상기 기어 위치 상태가 R(후진)이고 상기 조향 방향이 시계방향인 경우, 상기 사각 지대를 상기 차량의 좌측 후방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ind spot is determined when the gear position is D (run) and the steering direction is clockwise or when the gear position is R (reverse) and the steering direction is clockwise. It may include determining the zone to the left rear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사각 지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기어 위치 상태가 D(주행)이고 상기 조향 방향이 반시계방향인 경우 또는 상기 기어 위치 상태가 R(후진)이고 상기 조향 방향이 반시계방향인 경우, 상기 사각 지대를 상기 차량의 우측 후방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blind spot is determined when the gear position is D (run) and the steering direction is counterclockwise or when the gear position is R (reverse) and the steering direction is counterclockwise, And determining the blind spot as the right rear side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차량과 관련된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후방에 대한 물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의 후방에 대한 시각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것은, 상기 물체 정보 및 상기 차량의 후방에 대한 시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quiring vehicle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may include acquiring object information on the rear of the vehicle by using ultrasonic waves and acquiring visual information on the rear of the vehicle. Investigating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n obstacle exist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object information and visual information on the rear of the vehicle, and examining the guidelin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bstacle exists. .

또한,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것은,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야간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야간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examining the guidelines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it is night based on the obtained vehicle information, and examining the guidelines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ight.

또한,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것은, 상기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후방 코너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후방 코너의 위치에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rradiating the guideline may include determining a position of a rear corner of the vehicle based on the vehicle information, and irradiating the guideline to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rear corner.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운전자 뿐만 아니라 외부의 보행자에게도 차량과 관련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충돌 사고의 예방 및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다.According to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aspect, since the vehicle-related information may be intuitively provided not only to the driver but also to external pedestrians, the prevention of a collision accident and the safety of the driver or pedestrian may be secured.

도 1a, 도 1 b 및 도 1c는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a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노면에 조사한 가이드라인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출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노면에 조사한 가이드라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1A, 1B, and 1C are views illustrating an exterior of a vehic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A.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guidelines that a vehicle irradiates on a road surf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cal output uni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uideline irradiated on a road surface by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8 and 9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does not describe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and overlaps between general contents or embodiment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term 'part, module, member, block' used in the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or hardware, and a plurality of 'part, module, member, block' may be embodied as one component, It is also possible that one 'part, module, member, block' includes a plurality of component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and indirect connection includes connecting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which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s described abov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an exception.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hav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orking principle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도 1b 및 도 1c는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1A, 1B, and 1C are views illustrating an exterior of a vehicl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1a과 같이, 차량의 일 실시예는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21, 22), 차량(1)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4), 차량(1)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17),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8, 19),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된 그릴(23) 및 와이퍼(15)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A, an embodiment of a vehicle includes a main body 10 forming an exterior of a vehicle 1, wheels 21 and 22 for moving the vehicle 1, and a door for shielding the inside of the vehicle 1 from the outside. 14, the windshield 17 which gives the driver inside the vehicle 1 a view in front of the vehicle 1, the side mirrors 18 and 19 which give the driver a view in the rear of the vehicle 1, and the air It includes a grill 23 and a wiper 15 provided to be introduced.

차륜(21, 22)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21),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22)을 포함하며, 전륜(21) 또는 후륜(22)은 후술할 구동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본체(1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wheels 21 and 22 include a front wheel 21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a rear wheel 22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and the front wheel 21 or the rear wheel 22 provides a rotational force from a driving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The main body 10 can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도어(14)는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The door 14 is pivotal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10 to allow the driver to ride inside the vehicle 1 at the time of opening and to shield the inside of the vehicle 1 from the outside at the time of closing. .

전면 유리(17)는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 The windshield 17 is provid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to allow a driver in the vehicle 1 to obtain visual information in front of the vehicle 1,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windshield glass.

또한, 사이드 미러(18, 19)는 본체(1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18)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19)를 포함하며,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ide mirrors 18 and 19 include a left side mirror 18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a right side mirror 19 provided on the right side. 1) It is possible to acquire the visual information of the side and rear.

그릴(23)은 차량(1)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주행 중 그릴(23)의 구멍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냉각수와 엔진의 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그릴(23)은 외부의 이물질이 라디에이터와 충돌하여 파손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The grille 23 may be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1 to reduce heat of the coolant and the engine by using air introduced into the holes of the grille 23 while driving. In addition, the grill 23 can protect against the danger that foreign matters may collide with the radiator and be broken.

와이퍼(15)는 전면 유리(17)에 흘러내리는 빗방울이나 눈을 닦아낼 수 있으며, 차량(1)의 주행 중 전방 시야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와이퍼(15)는 와이퍼암과 와이퍼블레이드로 이루어지는데, 와이퍼암 끝에 달린 와이퍼블레이드가 좌우로 움직이며 블레이드날에 의해 전면 유리(17)가 닦일 수 있다. 와이퍼(15)는 전면 유리(17) 뿐만 아니라 후면 유리 및 헤드램프에도 장착될 수 있다.The wiper 15 may wipe off raindrops or snow falling on the windshield 17, and may maintain the front view while driving the vehicle 1. Wiper 15 is composed of a wiper arm and a wiper blade, the wiper blade at the end of the wiper arm moves from side to side and the front glass 17 can be wiped by the blade blade. The wiper 15 may be mounted on the rear glass and the headlamp as well as the windshield 17.

도 1a의 차량과는 달리,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물건이나 승객을 운송하는데 사용되는 상용차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용차는 물건의 수송에 사용되는 트럭, 덤프트럭, 밴, 지게차 등과 사람의 수송에 사용되는 버스, 택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Unlike the vehicle of FIG. 1A,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as a commercial vehicle used to transport goods or passengers. Commercial vehicles may include trucks, dump trucks, vans, forklifts, and the like used for the transport of goods, buses, taxis, and the like used for the transport of people.

도 1b에서는 차량(1)이 트레일러(Trailer; 50)와 결합되는 본체인 트랙터(Tractor; 10)를 포함하는 상용차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b의 차량(1)은 무동력의 트레일러(50)와 자체 동력원을 구비한 트랙터(10)가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a의 차량과 유사하므로, 동일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FIG. 1B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vehicle 1 is implemented as a commercial vehicle including a tractor 10 which is a main body coupled to a trailer 50. Since the vehicle 1 of FIG. 1B is similar to the vehicle of FIG. 1A except that the non-powered trailer 50 and the tractor 10 having its own power source are coupled and moved together,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is omitted. .

이 외에도, 차량(1)은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정보들을 획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ehicle 1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capable of acquiring various information for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차량(1)은 운전자가 차량(1) 주위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차량용 카메라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카메라 센서는 차량(1)의 본체(10) 전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차량(1)의 본체(10) 후면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차량(1)이 상용차로 구현되는 경우 등 후방 시야 확보가 어려운 경우,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차량(1)은 후방 카메라 센서(215)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vehicle 1 may include a vehicle camera sensor that allows a driver to obtain visual information around the vehicle 1. The vehicle camera sensor may be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body 10 of the vehicle 1, may be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body 10 of the vehicle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particular, when the rear view is difficult to secure, such as when the vehicle 1 is implemented as a commercial vehicle, the vehicle 1 may include a rear camera sensor 215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driver.

또한, 차량(1)은 차량(1) 주위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차량(1)의 본체(10) 전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차량(1)의 도어(14)에 설치될 수도 있고, 본체(10) 후면에 설치될 수도 있는 등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차량(1)이 상용차로 구현되는 경우 등 후방 시야 확보가 어려운 경우, 운전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차량(1)은 후방 초음파 센서(21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때, 후방 초음파 센서(214)는 차량(1)의 후방 끝단에 위치하여 주변 사물 및 보행자 등을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1 may include an ultrasonic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n obstacle around the vehicle 1. The ultrasonic sensor may be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body 10 of the vehicle 1, may be installed in the door 14 of the vehicle 1, may be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body 10, and the like. In particular, when securing the rear view is difficult, such as when the vehicle 1 is implemented as a commercial vehicle, the vehicle 1 may include a rear ultrasonic sensor 214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driver. In this case, the rear ultrasonic sensor 214 may be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vehicle 1 to detect surrounding objects and pedestrians.

도 1c에서는 차량(1)이 버스로 구현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c의 차량(1)은 도 1a의 차량과 유사하며, 도 1b와 유사하게 후방 초음파 센서(214) 및 후방 카메라 센서(215)를 포함하므로, 동일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1C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vehicle 1 is implemented as a bus. Since the vehicle 1 of FIG. 1C is similar to the vehicle of FIG. 1A and includes a rear ultrasonic sensor 214 and a rear camera sensor 215 similarly to FIG. 1B,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is omitted.

도 2는 도 1a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A.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운전자 등이 탑승하는 시트(110)와, 기어 박스(120), 센터페시아(130) 및 스티어링 휠(140)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150)(Dashboard) 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vehicle 1 includes a seat 110 on which a driver, etc., and a dashboard 150 provided with a gear box 120, a center fascia 130, a steering wheel 140, and the like ( Dashboard).

기어 박스(120)에는 차량(1) 변속을 위한 변속 레버(121)와, 차량(1)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다이얼 조작부(123)가 설치될 수 있다.The gear box 120 may include a shift lever 121 for shifting the vehicle 1 and a dial operation unit 123 for controlling the performance of the vehicle 1.

대시보드(150)에 마련된 스티어링 휠(140)은 차량(1)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141) 및 차량(1)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14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스포크(142)에는 차량(1)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142a, 142b)가 형성될 수 있다. The steering wheel 140 provided on the dashboard 150 is a device for adjusti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The steering wheel 140 is connected to the rim 141 gripped by the driver and the steering device of the vehicle 1 and is connected to the rim 141. And a spoke 142 connecting the hub of the rotating shaft for stee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pokes 142 may be provided with operation devices 142a and 142b for controlling various devices in the vehicle 1, for example, an audio device.

대시보드(150)에 마련된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131), 시계(132), 오디오 장치(133) 및 디스플레이(134) 등이 설치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ing device 131, the clock 132, the audio device 133, the display 134, and the like may be installed in the center fascia 130 provided on the dashboard 150.

공조 장치(131)는 차량(1)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1)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 장치(131)는 센터페시아(130)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31a)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131)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탑승자는 센터페시아(130)에 배치된 버튼을 이용하여 공조 장치(131)를 제어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131 maintains the interior of the vehicle 1 comfortably by adjusting the temperature, humidity, cleanliness of the air, and air flow in the vehicle 1.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131 may include at least one discharge port 131a installed in the center fascia 130 to discharge air. The center fascia 130 may be provided with a button or a dial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131. A passenger such as a driver may control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131 by using a button disposed in the center fascia 130.

시계(132)는 공조 장치(131)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주위에 마련될 수 있다.The watch 132 may be provided around a button or dial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131.

오디오 장치(133)는 오디오 장치(133)의 기능 수행을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마련된 조작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33)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파일이 담긴 다양한 저장매체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33)를 통해 생성되는 소리는 차량(1) 내부에 마련되는 스피커(16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The audio device 133 may include an operation panel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the audio device 133. The audio device 133 may provide a radio mode for providing a radio function and a media mode for playing audio files of various storage media containing audio files. Sound generated through the audio device 133 may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160 provided in the vehicle 1.

디스플레이(134)는 운전자에게 차량(1)과 관련된 정보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의 형태로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134)는 센터페시아(130)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의 설치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134)는 차량(1)의 센터페시아(130)와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The display 134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UI) that provides the driver with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1 in the form of an image or text. To this end, the display 134 may be embedded in the center fascia 130. However, the installation example of the display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splay 134 may be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the center fascia 130 of the vehicle 1.

이 때, 디스플레이(13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this case, the display 134 may be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 cathode ray tube (CRT), or the like. It is not limited to this.

또한, 대시보드(150)는 차량(1)의 주행 속도, 엔진 회전 수 또는 연료 잔량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각종 계기판 및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글로브 박스(Glove box)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ashboard 150 may further include various instrument panels capable of displaying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1, the engine speed or the remaining fuel amount, and a glove box capable of storing various objects. have.

또한, 차량(1)은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의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룸미러(170)를 포함할 수 있다. 룸미러(170)는 차량(1)의 후방의 시각 정보뿐만 아니라 차량(1) 내부의 시각 정보, 즉 운전석 및 조수석의 후방에 대한 차량(1) 내부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1 may include a room mirror 170 that allows the driver inside the vehicle to obtain visual information of the rear of the vehicle 1. The room mirror 170 may acquire not only visual information of the rear of the vehicle 1 but also visual information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1, that is, visual information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1 with respect to the rear of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

한편, 차량(1) 내부는 앞서 언급한 구성 이외에도 다양한 부품 및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ior of the vehicle 1 may include various components and devices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configuration, there is no limitation.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3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는 감지부(210), 차량(1) 내 다양한 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어부(220) 및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출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sensor 210 that acquires various information, a controller 220 that controls various devices in the vehicle 1, and an optical output unit 230 including at least one light source. It may include.

감지부(210)는 차량(1)의 조향 각도, 조향 방향 등을 포함하는 조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조향 센서(211), 차속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차속 센서(212), 차량(1)의 기어 위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기어 센서(213), 차량(1) 주변의 물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후방 초음파 센서(214) 및 차량(1)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후방 카메라 센서(21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210 may include a steering sensor 211 capable of acquiring steering information including a steering angle and a steer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a vehicle speed sensor 212 capable of acquiring vehicle speed information, and a vehicle 1. Gear sensor 213 capable of acquiring information on a gear position state of the vehicle, rear ultrasonic sensor 214 capable of acquiring information about an object around the vehicle 1, and visual information of the rear of the vehicle 1 And may include a rear camera sensor 215.

조향 센서(211)는 스티어링 휠(140)의 회전 각도, 회전 방향 및 토크값 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차량(1)의 조향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향 센서(211)는 스티어링 휠(140) 부근에 설치될 수 있다. The steering sensor 211 may measure a rotation angle, a rotation direction, a torque value, and the like of the steering wheel 140, and may detect the steering angle of the vehicle 1 therefrom. For this purpose, the steering sensor 211 may be installed near the steering wheel 140.

차속 센서(212)는 차량(1)의 주행 속도 및 주행 속도의 변화량 등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에 미리 정해진 일정값 이상의 감속이 이루어지는 경우, 차속 센서(212)는 차량(1)의 감속을 감지할 수 있다.The vehicle speed sensor 212 may measure a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1, a change amount of the traveling speed, and the like. In detail, when the vehicle 1 is decelerated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e vehicle speed sensor 212 may detect the deceleration of the vehicle 1.

기어 센서(213)는 차량(1)의 기어 위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기어 센서(213)는 주행(D), 후진(R), 중립(N), 주차(P) 등의 기어 위치 상태를 감지하여 기어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gear sensor 213 may acquire information on a gear position state of the vehicle 1, and specifically, the gear sensor 213 may be traveling (D), reversing (R), neutral (N), or parking (P).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gear position information by detecting the gear position state of the back.

후방 초음파 센서(214)는 차량(1) 후방에 존재하는 물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차량(1) 후방에 존재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후방 초음파 센서(214)는 차량(1) 주변으로 초음파 송신 신호를 송출하고, 이에 대한 반사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에 따라 차량(1) 후방에 존재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The rear ultrasonic sensor 214 may acquire information about an object present in the rear of the vehicle 1, and specifically detect an object present in the rear of the vehicle 1. The rear ultrasonic sensor 214 may transmit an ultrasonic transmission signal around the vehicle 1, and may detect an object present in the rear of the vehicle 1 according to whether a reflection signal thereof is detected.

후방 카메라 센서(215)는 차량(1) 후방에 대한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차량(1) 후방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후방 카메라 센서(215)에 의해 획득된 차량(1) 후방에 대한 영상은 후술할 제어부(220)에 의해 차량(1) 후방에 존재하는 장애물의 유무를 판단하는데 제어 기초로 활용될 수 있다.The rear camera sensor 215 may acquire visual information about the rear of the vehicle 1, and specifically, may acquire an image of the rear of the vehicle 1. The image of the rear of the vehicle 1 obtained by the rear camera sensor 215 may be used as a control basis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stacle existing behind the vehicle 1 by the controller 220 to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1)의 환경 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부(210)는 차량(1) 외부 및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In order to detect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vehicle 1 including such various information, the sensing unit 210 may be installed at appropriate locations outside and inside the vehicle 1.

광출력부(230)는 노면에 차량(1)에 대한 정보를 조사할 수 있다. 이 때, 노면에 조사되는 차량(1)에 대한 정보는 차량(1)의 궤적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차량(1)의 궤적에 대한 정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light output unit 230 may irradiate information on the vehicle 1 on the road surface.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1 irradiated on the road surface may be information about the trajectory of the vehicle 1.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formation on the trajectory of the vehicle 1 will be described later.

이를 위해, 광출력부(230)는 다양한 파장의 전자기파를 방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출력부(230)는 레이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light output unit 230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source for emitting electromagnetic waves of various wavelengths. For example, the light output unit 230 may include a laser module.

또한, 광 출력부(230)는 노면을 향해 조사하기 위해 차량(1)의 하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차량(1) 후방의 리어 범퍼 하단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광 출력부(230)는 후륜(22) 근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리어 범퍼의 양측 코너 하단에 설치될 수도 있는 등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량(1)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복수 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light output unit 230 may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vehicle 1 to irradiate toward the road surface, or may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rear bumper behind the vehicle 1. In addition, the light output unit 230 may be installed near the rear wheel 22 and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corners of both sides of the rear bumper. It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제어부(220)는 감지부(210)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과 관련된 다양한 상황들을 판단할 수 있고, 이러한 판단 결과에 따라 차량(1)의 다양한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various situations related to driving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detector 210, and control various devices of the vehicle 1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제어부(220)는 후방 초음파 센서(214) 및 후방 카메라 센서(215)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과 주변에 장애물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obstacle around the vehicle 1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the rear ultrasound sensor 214 and the rear camera sensor 215.

이 외에도, 제어부(220)는 차량(1)의 주행 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상황들을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various situations related to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1.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카메라 센서, 점등 센서, 시계(132) 등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야간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기어 센서(213)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의 전진 여부, 후진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조향 센서(211)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의 우회전 여부, 좌회전 여부 등을 판단할 수도 있다. In detail,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whether it is at night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camera sensor, a light sensor, a watch 132,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1 moves forward or backward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gear sensor 213, and the vehicle 1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teering sensor 211. )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right turn, left turn, etc.

이처럼 제어부(220)는 안전한 주행 환경 제공을 위하여 차량(1)의 주행과 관련된 정보들을 수집할 수 있고, 이로부터 주행과 관련된 다양한 상황들과 관련된 정보들을 생성하고, 이러한 정보들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s such, the controller 220 may collect information related to driving of the vehicle 1 to provide a safe driving environment, generate information related to various situations related to driving, and provide such information to the driver. have.

제어부(220)는 차량(1)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차량(1) 내부에 있는 운전자뿐만 아니라 보행자 등의 차량(1) 외부의 사람에게도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20 may provid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1 not only to the driver inside the vehicle 1 but also to a person outside the vehicle 1 such as a pedestrian.

이를 위해, 제어부(220)는 감지부(210)에 의해 획득된 다양한 차량(1)의 정보에 기초하여 광출력부(230)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ler 220 may control various devices including the light output unit 230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various vehicles 1 obtained by the detector 210.

제어부(220)는 감지부(210)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의 가이드라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러한 가이드라인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라인이 노면에 조사되도록 광출력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20 may generate guideline information of the vehicle 1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sensing unit 210, and the light output unit may be applied to the road surface based on the guideline information. 230 can be controlled.

이 때, 가이드라인 정보는 차량(1)의 예상 궤적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라인 정보는 차량(1)의 후방 끝단 양측 코너에서의 예상 궤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guideline information means information on the predicted trajectory of the vehicle 1. In detail, the guideline information may include predicted locus information at both rear corners of the rear end of the vehicle 1.

이를 위해, 제어부(220)는 감지부(210)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의 예상 궤적을 산출할 수 있고, 예상 궤적에 기초하여 가이드라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이러한 가이드라인 정보를 광출력부(230)에 전달할 수 있고, 광출력부(230)는 전달받은 가이드라인 정보에 따라 노면에 차량(1)의 예상 궤적을 나타내는 가이드라인을 조사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ler 220 may calculate the predicted trajectory of the vehicle 1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sensing unit 210, and generate the guideline information based on the predicted trajectory. The control unit 220 may transmit such guideline information to the light output unit 230, and the light output unit 230 examines a guideline indicating an expected trajectory of the vehicle 1 on the road surface according to the received guideline information. can do.

이러한 광출력부(230)의 조사 동작에 의해, 제어부(220)는 차량(1) 내부의 운전자 및 차량(1) 외부의 보행자 모두에게 차량(1)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By the irradiation operation of the light output unit 230, the controller 220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of the vehicle 1 to both the driver inside the vehicle 1 and the pedestrian outside the vehicle 1.

이를 위해, 제어부는 차량(1)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control unit performs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using a memory (not shown) that stores data for an algorithm or a program that reproduces the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in the vehicle 1, and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It may be implemented by a processor (not shown). In this case,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chips. Alternatively,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in a single chip.

이하, 차량(1) 내부의 운전자 및 차량(1) 외부의 보행자 모두에게 차량(1)과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광출력부(230)의 조사 동작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220)의 동작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irradiation operation of the light output unit 230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1 to both the driver inside the vehicle 1 and the pedestrian outside the vehicle 1 and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220 controlling the same.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차량(1) 주행 시, 운전자가 사이드 미러(18, 19) 등으로 시각 정보를 획득하기 어려운 사각 지대가 존재할 수 있다. 특히, 차량(1)이 상용차 등의 대형 차량으로 구현되는 경우, 긴 전장으로 인하여 시야 확보가 어려운 사각 지대가 존재할 수 있다. 이 때, 차량(1)이 코너링 또는 후진 주차 등으로 급격한 선회를 하는 경우, 순간적으로 후륜(22)은 전륜(21)보다 더 큰 선회 궤적을 가지므로, 시야 확보가 어려운 사각 지대에서의 주변 차량, 건물, 구조물 및 사람 등과의 충돌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When driving the vehicle 1, there may be blind spots in which it is difficult for a driver to obtain visual information using the side mirrors 18 and 19. In particular, when the vehicle 1 is implemented as a large vehicle such as a commercial vehicle, a blind spot may be difficult to secure a view due to a long battlefield. At this time, when the vehicle 1 makes a sharp turn, such as cornering or reverse parking, the rear wheel 22 momentarily has a larger turning trajectory than the front wheel 21, so that surrounding vehicles in a blind spot where visibility is difficult to secure. , Collisions with buildings, structures, and people can occur frequently.

이러한 사각 지대에서의 충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220)는 운전자뿐만 아니라 보행자에게도 차량(1)의 선회 궤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광출력부(230)가 사각 지대에서 노면에 선회 궤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such a collision accident in the blind spot, the controller 220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turning trajectory of the vehicle 1 to the pedestrian as well as the driver. The controller 22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230 to irradiate a guide line including information about a turning trajectory on the road surface in a blind spot.

제어부(220)는 감지부(210)의 기어 센서(213)로부터 획득된 기어 위치 상태 정보로부터 차량(1)이 전진 또는 후진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조향 센서(211)로부터 획득된 조향각 정보로부터 스티어링 휠(14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인지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1 moves forward or backward from the gear position stat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gear sensor 213 of the sensing unit 210, and the steering angl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teering sensor 211. The steering wheel 140 may determine whether the steering wheel 140 is rotat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기어 센서(213)로부터 획득된 기어 위치 상태가 D(주행)인 경우 차량(1)이 전진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R(후진)인 경우 차량(1)이 후진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that the vehicle 1 is moving forward when the gear position state obtained from the gear sensor 213 is D (driving), and when the R (reverse) is the vehicle 1 It can be judged that this reverses.

또한, 제어부(220)는 조향 센서(211)로부터 획득된 조향각이 양의 값을 갖는 경우 스티어링 휠(14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조향각이 음의 값을 갖는 경우 스티어링 휠(14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that the steering wheel 140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when the steering angle obtained from the steering sensor 211 has a positive value, and when the steering angle has a negative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teering wheel 140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제어부(220)는 이러한 차량(1)의 상황에 기초하여 사각 지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사각 지대는 운전자가 사이드 미러(18, 19)에 의하여 시각 정보를 획득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the blind spot based on the situation of the vehicle 1. In this case, the blind spot means an area where it is determined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driver to acquire visual information by the side mirrors 18 and 19.

제어부(220)는 스티어링 휠(140)의 회전 방향 및 차량(1)의 진행 방향에 기초하여 사각 지대를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the blind spot based 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teering wheel 140 and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스티어링 휠(14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차량(1)이 전진하는 경우 사각 지대를 차량(1) 후방의 좌측 코너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고, 스티어링 휠(14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전진하는 경우, 사각 지대를 차량(1) 후방의 우측 코너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detail, when the vehicle 1 moves forward while the steering wheel 14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the blind spot as the left corner area behind the vehicle 1, and the steering wheel ( When the vehicle 140 moves forwar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blind spot may be determined as a right corner region behind the vehicle 1.

또한, 제어부(220)는 스티어링 휠(14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차량(1)이 후진하는 경우 사각 지대를 차량(1) 후방의 좌측 코너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고, 스티어링 휠(14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후진하는 경우, 사각 지대를 차량(1) 후방의 우측 코너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the blind spot as the left corner area behind the vehicle 1 when the vehicle 1 moves backward while the steering wheel 14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steering wheel 140 In the case of reversing in a state that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blind spot may be determined as the right corner area behind the vehicle 1.

이처럼, 제어부(220)는 감지부(210)에 의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의 사각 지대를 판단할 수 있고, 사각 지대의 노면에 가이드라인이 조사되도록 광출력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사각 지대의 노면에 조사되는 가이드라인은 차량(1)의 예상 선회 궤적, 즉 차량(1)의 진행 방향 및 진행 궤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As such, the control unit 220 may determine the blind spot of the vehicle 1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sensing unit 210, and the light output unit 230 may be applied so that a guideline is irradiated on the road surface of the blind spot. Can be controlled. At this time, the guideline irradiated on the road surface of the blind spot includes information about an expected turning trajectory of the vehicle 1, that is, a traveling direction and a traveling trajectory of the vehicle 1.

제어부(220)는 감지부(210)로부터 획득된 차속 정보, 조향각 정보 및 기어 위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각 지대로 판단된 영역에 대한 차량(1)의 예상 선회 궤적을 산출할 수 있고, 이러한 예상 선회 궤적을 포함하는 가이드라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광출력부(220)는 제어부(230)에 의해 생성된 가이드라인 정보에 따라 노면에 차량(1)의 가이드라인을 조사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20 may calculate the predicted turning trajectory of the vehicle 1 for the area determined as the blind spot based on at least one of vehicle speed information, steering angle information, and gear position stat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detector 210. In addition, the guideline information including the expected turning trajectory may be generated. The light output unit 220 may irradiate the guideline of the vehicle 1 on the road surface according to the guidelin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ler 230.

또한, 제어부(220)는 차속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만 가이드라인이 노면에 조사되도록 광출력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22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220 such that the guide line is irradiated on the road surface only when the vehicle speed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차속이 15kph 이하인 경우에만 가이드라인 정보를 광출력부(220)에 전달하여 저속 상황에서만 가이드라인이 노면에 조사되도록 광출력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220 may transmit the guideline information to the light output unit 220 only when the vehicle speed is 15 kph or less, and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220 so that the guide line is irradiated on the road surface only in a low speed situation.

중속 또는 고속 주행의 상황에서는 주변에 사물 특히 보행자가 있는 상황이 드물고 차량(1)이 급격한 선회를 하는 빈도가 낮다는 점을 고려하여, 제어부(220)는 보행자와의 충돌가능성이 큰 저속 상황에서만 가이드라인이 노면에 조사되도록 함으로서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re are few objects, especially pedestrians, in the middle of high speed or high speed driving, and the frequency of rapid turning of the vehicle 1 is low, the controller 220 may be used only in a low speed situation in which collision with pedestrians is likely. Th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allowing the guidelines to be investigated on the road surface.

또한, 제어부(220)는 조향각 정보에 기초하여 가이드라인이 노면에 조사될 영역을 달리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20)는 차량(1) 후방 좌측 코너 영역으로부터 가이드라인까지의 거리를 달리함으로써 가이드라인이 노면에 조사될 영역을 달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220 may change a region where the guideline is to be irradiated on the road surface based on the steering angle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20 may change the area where the guideline is to be irradiated on the road surface by changing the distance from the rear left corner area of the vehicle 1 to the guideline.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조향각 정보에 기초하여 조향각이 미리 정해진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된 영역에 가이드라인이 조사되도록 광출력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In detail,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whether the steering angle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ased on the steering angle information, and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230 to irradiate the guideline to the determined area based on the determination result. Can be.

광출력부(220)는 화살표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마커를 이용하여 차량(1)의 진행 방향 및 진행 궤적을 나타내는 가이드라인을 조사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마커는 3D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주간 및 야간의 시인성 및 경고성을 고려하여 색상은 적색을 가질 수 있으며, 설계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색상을 가질 수 있는 등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light output unit 220 may irradiate a guideline indicating a traveling direction and a traveling trajectory of the vehicle 1 using at least one marker having an arrow shape.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marker may have a 3D shape, the color may have a red color in consideration of visibility and warning of day and night, and may have various shapes and colors according to the design purpose. It is not limited to.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노면에 조사한 가이드라인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4A and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guidelines that a vehicle irradiates on a road surf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14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차량(1)이 전진하는 경우, 사각 지대는 차량(1) 후방의 좌측 코너 영역이 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A, when the vehicle 1 moves forward while the steering wheel 14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blind spot may be a left corner region behind the vehicle 1.

제어부(220)는 차량(1) 후방의 좌측 코너 영역에 대한 차량(1)의 예상 선회 궤적을 산출할 수 있고, 차량(1) 후방의 좌측 코너 영역의 노면에 예상 선회 궤적을 나타내는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도록 광출력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20 may calculate an anticipated turning trajectory of the vehicle 1 with respect to the left corner region behind the vehicle 1, and provides a guideline indicating the anticipated turning trajectory on the road surface of the left corner region behind the vehicle 1. The light output unit 230 may be controlled to emit light.

또한, 제어부(220)는 조향각이 미리 정해진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후방 좌측 코너 영역으로부터 가이드라인까지의 거리를 달리하여 가이드라인이 조사되는 영역을 달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220 may change a region where the guideline is irradiated by changing a distance from the rear left corner area to the guideline according to whether the steering angle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예를 들어, 조향 센서(211)로부터 획득된 조향각 θ가 0<θ≤15°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 후방 좌측 코너 영역으로부터 가이드라인까지의 거리가 D1이 되는 영역 L1에 대하여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도록 광출력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조향각 θ가 15<θ≤30°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 후방 좌측 코너 영역으로부터 가이드라인까지의 거리가 D2이 되는 영역 L2에 대하여 가이드라인을 조사하고, 조향각 θ가 30°≤θ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 후방 좌측 코너 영역으로부터 가이드라인까지의 거리가 D3이 되는 영역 L3에 대하여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도록 광출력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teering angle θ obtained from the steering sensor 211 falls within the range of 0 <θ≤15 °, the guideline is irradiated to the area L1 where the distance from the rear left corner area to the guideline becomes D1. The light output unit 230 may be controlled. In addition, when the steering angle θ falls within a range of 15 <θ≤30 °, the controller 220 examines the guideline in the area L2 where the distance from the rear left corner area to the guideline becomes D2, and the steering angle θ is 30 When it is in the range of? ≤θ, the light output unit 230 may be controlled to irradiate the guideline with respect to the region L3 where the distance from the rear left corner region to the guideline becomes D3.

이 경우, 조향각에 대한 미리 정해진 범위 및 가이드라인까지의 거리(D1, D2, D3)는 구체적인 주행 상황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range of the steering angle and the distances D1, D2, and D3 to the guidelin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a specific driving situation.

다른 예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14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차량(1)이 후진하는 경우, 사각 지대는 차량(1) 후방의 좌측 코너 영역이 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4B, when the vehicle 1 moves backward while the steering wheel 14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blind spot may be a left corner area behind the vehicle 1.

제어부(220)는 차량(1) 후방 좌측 코너 영역에 대한 차량(1)의 예상 선회 궤적을 산출할 수 있고, 차량(1) 후방의 좌측 코너 영역의 노면에 예상 선회 궤적을 나타내는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도록 광출력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20 may calculate the predicted turning trajectory of the vehicle 1 with respect to the left corner region behind the vehicle 1, and examine a guideline indicating the predicted turning trajectory on the road surface of the left corner region behind the vehicle 1. The light output unit 230 may be controlled to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230.

또한, 제어부(220)는 도 4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조향 센서(211)로부터 획득된 조향각 θ가 0<θ≤15°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 후방 좌측 코너 영역으로부터 가이드라인까지의 거리가 D1'이 되는 영역 L1'에 대하여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도록 광출력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조향각 θ가 15<θ≤30°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 후방 좌측 코너 영역으로부터 가이드라인까지의 거리가 D2'이 되는 영역 L2'에 대하여 가이드라인을 조사하고, 조향각 θ가 30°≤θ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 후방 좌측 코너 영역으로부터 가이드라인까지의 거리가 D3'이 되는 영역 L3'에 대하여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도록 광출력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in the case of FIG. 4A, when the steering angle θ obtained from the steering sensor 211 falls within a range of 0 <θ ≦ 15 °, the controller 220 may have a distance D1 'from the rear left corner area. The light output unit 230 may be controlled to irradiate the guide line with respect to the region L1 ′. In addition, when the steering angle θ falls within a range of 15 <θ≤30 °, the controller 220 examines the guideline in the area L2 'where the distance from the rear left corner area to the guideline becomes D2', and the steering angle θ Is in the range of 30 ° ≤θ, the light output unit 230 may be controlled to irradiate the guideline with respect to the area L3 'where the distance from the rear left corner area to the guideline is D3'.

이 외에도 제어부(220)는 스티어링 휠(14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차량(1)이 전진하는 경우 또는 스티어링 휠(14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차량(1)이 후진하는 경우, 사각 지대로 판단된 차량(1) 후방의 우측 코너 영역에 대한 차량(1)의 예상 선회 궤적을 산출할 수 있고, 차량(1) 후방의 우측 코너 영역의 노면에 예상 선회 궤적을 나타내는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도록 광출력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20 may move backward when the vehicle 1 moves forward while the steering wheel 140 rotates counterclockwise or when the steering wheel 140 rotates counterclockwise. In this case, the predicted turning trajectory of the vehicle 1 with respect to the right corner region behind the vehicle 1 determined as the blind spot may be calculated, and the expected turning trajectory may be represented on the road surface of the right corner region behind the vehicle 1. The light output unit 230 may be controlled to radiate the guideline.

광출력부(230)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리어 범퍼의 좌측 코너 하부 및 우측 코너 하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The light output unit 230 may be a plurality, for example,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left corner and lower right corner of the rear bumper, respectively.

광출력부(230)가 복수 개로 설치되는 경우, 제어부(220)는 복수 개의 광출력부(230) 중 감지부(210)에 의해 획득된 차량(1)의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된 사각 지대와 인접한 광출력부(230)가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light output units 230 are installed, the controller 220 may include a blind spot determined based 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1 obtained by the sensing unit 210 among the plurality of light output units 230. The adjacent light output unit 230 may be controlled to irradiate the guideline.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광출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cal output uni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광출력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231)을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광원(231)을 보호하는 보호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부(232)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231) 각각으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통과시키는 홈(232a, 232b, 232c)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홈의 개수는 광원(231)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light output unit 230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source 231 and may include a protection unit 232 protecting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231. have. The protection unit 232 may include grooves 232a, 232b, and 232c through which light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 231 passes. In this case, the number of grooves may be equal to the number of light sources 231.

적어도 하나의 광원(231a, 231b, 231c) 각각은 이에 대응하는 보호부(232)의 홈(232a, 232b, 232c)을 통과하여 서로 다른 영역의 가이드 라인(L1, L2, L3)을 조사할 수 있다. Each of the at least one light sources 231a, 231b, and 231c may pass through the grooves 232a, 232b, and 232c of the protection unit 232 corresponding thereto to irradiate the guide lines L1, L2, and L3 of different regions. have.

전술한 도 4a의 예에서, 제어부(220)는 조향 센서(211)로부터 획득된 조향각 θ가 0<θ≤15°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 영역 L1의 가이드 라인을 조사하는 광원(231a)으로부터 빛이 방사되도록 광출력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조향각 θ가 15<θ≤30°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 영역 L2의 가이드 라인을 조사하는 광원(231b)으로부터 빛이 방사되도록 광출력부(230)를 제어할 수 있고, 조향각 θ가 30°≤θ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 영역 L3의 가이드 라인을 조사하는 광원(231c)으로부터 빛이 방사되도록 광출력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In the example of FIG. 4A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220 emits light from the light source 231a that irradiates the guideline of the region L1 when the steering angle θ obtained from the steering sensor 211 falls within a range of 0 <θ ≦ 15 °. The light output unit 230 may be controlled to emit light. In addition, when the steering angle θ is in the range of 15 <θ≤30 °, the controller 22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230 to emit light from the light source 231b irradiating the guide line of the region L2. When the steering angle θ is in the range of 30 ° ≦ θ, the light output unit 230 may be controlled to emit light from the light source 231c irradiating the guide line of the region L3.

또한, 제어부(220)는 하나의 광원이 복수개의 영역의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도록 광출력부(23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광출력부(230)는 광원(231)이 다양한 각도에서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도록 회전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2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230 so that one light source irradiates a guideline of a plurality of regions, and in this case, the light output unit 230 may guide the light source 231 at various angles. It may further include a rotating portion (not shown) to irradiate the line.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이 노면에 조사한 가이드라인을 나타낸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uideline irradiated on a road surface by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20)는 카메라 센서, 점등 센서, 시계(132) 등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야간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controller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determine whether it is night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camera sensor, a lighting sensor, a clock 132, and the like.

제어부(220)는 야간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광출력부(230)가 노면에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광출력부(230)는 차량(1) 후방의 리어 범퍼 하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리어 범퍼 좌측 코너 하면 및 우측 코너 하면 각각에 마련될 수도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ight, the controller 220 may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230 to irradiate a guideline on the road surface. In this case, the light output unit 23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bumper behind the vehicle 1, and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left corner and the lower right corner of the rear bumper, respectively.

제어부(220)는 야간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1)의 후방 끝단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이러한 후방 끝단의 위치를 포함하는 가이드라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ight,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rear end of the vehicle 1 and generate guideline information including the position of the rear end.

광출력부(230)는 제어부(220)에 의해 생성된 가이드라인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 후방의 끝단 위치를 나타내는 가이드라인을 조사할 수 있다.The light output unit 230 may irradiate a guide line indicating an end position of the rear of the vehicle 1 based on the guidelin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ler 220.

예를 들어, 광출력부(230)는 후방의 끝단 위치를 3D 화살표 형태의 마커(M)를 이용하여 노면에 조사할 수 있다. 이 때, 마커(M)의 형상, 모양, 색상, 위치 및 크기 등은 제어부(220)가 생성한 가이드라인 정보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For example, the light output unit 230 may irradiate the road surface to the rear end position using the marker M in the form of a 3D arrow. In this case, the shape, shape, color, position, and size of the marker M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guidelin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ler 220, and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이를 통해, 운전자는 야간 주행시 차량(1)의 후방 끝단의 정확한 위치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다른 물체와 차량(1)과의 충돌 사고가 예방될 수 있어 운전자 또는 보행자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driver can more easily determine the exact position of the rear end of the vehicle 1 during the night driving, and can prevent the collision between the other object and the vehicle 1 to ensure the safety of the driver or pedestrian. .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차속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X1)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710).Referring to FIG. 7, the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speed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X1 (710).

차속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X1) 이하인 경우(710의 예), 제어부(220)는 차량(1)이 전진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711).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기어 위치 상태가 D(주행)인 경우, 차량(1)이 전진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vehicle speed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X1 (YES in 710),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1 moves forward (711). Specifically, when the gear position state is D (driving),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that the vehicle 1 moves forward.

차량(1)이 전진하는 것으로 판단되면(711의 예), 제어부(220)는 장애물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712).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후방 초음파 센서(214) 및 후방 카메라 센서(215)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1 moves forward (YES in 711),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whether an obstacle is detected (712). In detail,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whether an obstacle exists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the rear ultrasound sensor 214 and the rear camera sensor 215.

이후, 장애물이 감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712의 예), 제어부(220)는 회전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713).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조향 센서(211)로부터 획득된 조향 각도 및 조향 방향을 포함하는 조향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1)이 회전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reaft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bstacle is detected (YES in 712),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whether rotation is detected (713). In detail,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1 rotates based on steer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steering angle and the steering direction obtained from the steering sensor 211.

회전이 감지되면(713의 예), 제어부(220)는 스티어링 휠(14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714), 스티어링 휠(14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차량(1)의 좌측 후방(RL) 코너 하단을 사각 지대로 판단할 수 있다. 사각 지대가 좌측 후방(RL) 코너 하단으로 판단되면, 차량(1)은 좌측 후방(RL) 코너 하단의 노면에 가이드라인을 조사할 수 있다(715).When the rotation is detected (Yes of 713),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whether the steering wheel 140 rotates clockwise (714), and when the steering wheel 140 rotates clockwise, the vehicle The bottom of the left rear RL corner of (1) can be determined as a blind spot. If the blind spot is determined to be a lower end of the left rear RL corner, the vehicle 1 may examine the guideline on the road surface below the left rear RL corner 715.

스티어링 휠(14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 경우,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어부(220)는 차량(1)의 우측 후방(RR) 코너 하단을 사각 지대로 판단할 수 있다. 사각 지대가 우측 후방(RR) 코너 하단으로 판단되면, 차량(1)은 우측 후방(RR) 코너 하단의 노면에 가이드라인을 조사할 수 있다(716).When the steering wheel 140 does not rotate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at is, when the steering wheel 140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a lower right corner of the right rear RR corner of the vehicle 1 as a blind spot. When the blind spot is determined to be a lower end of the right rear RR corner, the vehicle 1 may examine the guideline on the road surface of the lower right rear RR corner 716.

다른 예로, 차량(1)이 전진하지 않는 경우(711의 아니오), 제어부(220)는 차량(1)이 후진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717). 구체적으로, 제어부(220)는 기어 위치 상태가 R(후진)인 경우, 차량(1)이 후진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when the vehicle 1 does not move forward (No in 711),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1 moves backward (717). In detail, when the gear position state is R (reverse),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that the vehicle 1 moves backward.

차량(1)이 후진하는 것으로 판단되면(717의 예), 제어부(220)는 장애물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718). 장애물이 감지되면(718의 예), 제어부(220)는 회전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719). 회전이 감지되는 경우(719의 예), 제어부(220)는 스티어링 휠(140)이 시계 방향을 회전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72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1 moves backward (Yes of 717),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whether an obstacle is detected (718). If an obstacle is detected (YES of 718),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whether rotation is detected (719). When the rotation is detected (YES in 719),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whether the steering wheel 140 rotates clockwise (720).

스티어링 휠(14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어부(220)는 차량(1)의 좌측 후방(RL) 코너 하단을 사각 지대로 판단할 수 있다. 사각 지대가 좌측 후방(RL) 코너 하단으로 판단되면, 차량(1)은 좌측 후방(RL) 코너 하단의 노면에 가이드라인을 조사할 수 있다(721).When the steering wheel 140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a lower left corner of the left rear RL of the vehicle 1 as a blind spot. If the blind spot is determined to be a lower end of the left rear RL corner, the vehicle 1 may examine the guideline on the road surface below the left rear corner RL.

스티어링 휠(14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 경우,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어부(220)는 차량(1)의 우측 후방(RR) 코너 하단을 사각 지대로 판단할 수 있다. 사각 지대가 우측 후방(RR) 코너 하단으로 판단되면, 차량(1)은 우측 후방(RR) 코너 하단의 노면에 가이드라인을 조사할 수 있다(722).When the steering wheel 140 does not rotate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at is, when the steering wheel 140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controller 220 may determine a lower right corner of the right rear RR corner of the vehicle 1 as a blind spot. When the blind spot is determined to be a lower end of the right rear RR corner, the vehicle 1 may examine the guideline on the road surface below the right rear corner RR.

이를 통해, 사각 지대에서 차량(1)과 보행자 또는 주변 물체와의 충돌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라인이 노면에 조사되므로 운전자는 이러한 가이드라인에 의해 사각 지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가능하고, 보행자는 급선회하는 차량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안전 확보가 가능하다.Through this, the possibility of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pedestrian or the surrounding object in the blind spot may be lowered. In addition, since the guideline is irradiated on the road surface, the driver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blind spots according to the guideline, and the pedestrian can avoid the vehicle turning sharp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cure driving safety.

도 8 및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8 and 9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이 전진하는 경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이 후진하는 경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examining a guideline when the vehicle 1 moves forward, and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guideline when the vehicle 1 moves backw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기어 위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D단 기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810). Referring to FIG. 8, the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determine whether the gear D is input based on the gear position state information (810).

D단 기어가 입력되는 경우(810의 예), 차량(1)은 후방 초음파 센서(214)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811). When the gear D is input (Yes of 810), the vehicle 1 may determine whether an obstacle is detected by the rear ultrasonic sensor 214 (811).

후방 초음파 센서(214)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차량(1)은 후방 카메라 센서(215)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812), 후방 카메라 센서(215)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812의 예), 조향 센서(211)로부터 획득된 SAS값(Steering Angle Sensor 값), 즉 조향각이 양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813). 이 때, SAS값은 양수 또는 음수의 값을 가질 수 있다.When the obstacle is not detected by the rear ultrasonic sensor 214, the vehicle 1 may determine whether the obstacle is detected by the rear camera sensor 215 (812), and by the rear camera sensor 215. If an obstacle is detected (Yes of 812),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steering angle sensor value (SAS) obtained from the steering sensor 211, that is, the steering angle is positive (813). At this time, the SAS value may have a positive or negative value.

SAS값이 양수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813의 예), 차량(1)은 차속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X1)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814), 차속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X1) 이하인 경우, 좌측 후방(RL) 코너 하단 노면에 가이드라인을 조사할 수 있다(815). When the SAS value is confirmed to be positive (Yes of 813), the vehicle 1 can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speed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X1 (814), and when the vehicle speed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X1, The guide line may be irradia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eft rear RL corner (815).

SAS값이 음수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813의 아니오), 차량(1)은 차속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X1)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816), 차속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X1) 이하인 경우, 우측 후방(RR) 코너 하단 노면에 가이드라인을 조사할 수 있다(817). When the SAS value is found to be negative (NO in 813), the vehicle 1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speed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X1 (816), and when the vehicle speed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X1. In operation 817, the guide line may be irradiated on the lower road surface of the right rear corner (RR).

이 때, 조사되는 가이드라인은 차량(1)의 예상 진행 방향 및 진행 궤적을 나타낼 수 있으며, 전술한 가이드라인의 조사 단계는 차량(1)이 감지부(210)에 의해 획득된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예상 진행 방향 및 진행 궤적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guideline to be irradiated may indicate an expected progress direction and progress trajectory of the vehicle 1, and the irradiation step of the above-described guideline is based on the vehicl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vehicle 1 by the sensing unit 210. And calculating an expected progress direction and a progress trajectory.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기어 위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R단 기어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910).Referring to FIG. 9, the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determine whether an R gear is input based on gear position state information (910).

R단 기어가 입력되는 경우(910의 예), 차량(1)은 후방 초음파 센서(214)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911). When the R gear is input (Yes of 910), the vehicle 1 may determine whether an obstacle is detected by the rear ultrasonic sensor 214 (911).

후방 초음파 센서(214)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차량(1)은 후방 카메라 센서(215)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912), 후방 카메라 센서(215)에 의해 장애물이 감지되는 경우(912의 예), 조향 센서(211)로부터 획득된 SAS값(Steering Angle Sensor 값), 즉 조향각이 양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913). 이 때, SAS값은 양수 또는 음수의 값을 가질 수 있다.When the obstacle is not detected by the rear ultrasonic sensor 214, the vehicle 1 may determine whether the obstacle is detected by the rear camera sensor 215 (912), and by the rear camera sensor 215.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YES in 912),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steering angle sensor value (SAS) obtained from the steering sensor 211, that is, the steering angle is positive (913). At this time, the SAS value may have a positive or negative value.

SAS값이 양수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913의 예), 차량(1)은 차속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X1)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914), 차속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X1) 이하인 경우, 좌측 후방(RL) 코너 하단 노면에 가이드라인을 조사할 수 있다(915). When the SAS value is confirmed to be positive (YES in 913), the vehicle 1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speed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X1 (914), and when the vehicle speed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X1, The guide line may be irradia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eft rear RL corner (915).

SAS값이 음수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913의 아니오), 차량(1)은 차속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X1)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916), 차속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X1) 이하인 경우, 우측 후방(RR) 코너 하단 노면에 가이드라인을 조사할 수 있다(917). When the SAS value is found to be negative (NO in 913), the vehicle 1 may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speed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X1 (916), and the vehicle speed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X1. In operation 917, the guide line may be irradiated on the lower road surface of the right rear corner (RR).

이를 통해, 차량(1)은 기어 위치 상태 및 스티어링 휠이 회전하는 방향에 기초하여 운전자가 시각 정보를 획득하기 힘든 것으로 추정되는 사각 지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각 지대의 노면에 차량의 예상 진행 방향 및 진행 궤적을 나타내는 가이드라인을 조사함으로써 차량(1)과 주변 장애물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가이드라인은 운전자도 쉽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는 사각 지대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주행 안전이 증대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vehicle 1 may determine a blind spot where it is estimated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driver to acquire visual information based on the gear position state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eering wheel rotates, and the estimated progress of the vehicle on the road surface of the blind spot is estimated. By examining the guidelines indicating the direction and travel trajectory, collision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surrounding obstacles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se guidelines can be easily recognized by the driver,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obtain information on the blind spot. Therefore, running safety can be increased.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SAS값이 제 1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001). 이 때, 제 1 범위는 미리 정해진 기준 범위로 설계 목적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determine whether a SAS value belongs to a first range (1001). In this case, the first range may be differently set according to a design purpose as a predetermined reference range.

SAS값이 제 1 범위에 속하는 경우(1001의 예), 차량(1)은 제 1 영역에 가이드라인을 조사할 수 있다(1002). 이 때, 제 1 영역은 제 1 범위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차량(1)과 가이드라인까지의 미리 정해진 제 1 수평 거리(D1)를 갖는 영역을 의미하고, 제 1 수평 거리(D1)는 제 1 범위의 SAS값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If the SAS value is in the first range (YES in 1001), the vehicle 1 may examine the guidelines in the first area (1002). In this case, the first region i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range, and means a region having a predetermined first horizontal distance D1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guideline, and the first horizontal distance D1 is defined as a first area. It can be set corresponding to the SAS value of one range.

또한, 제 1 영역에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단계는 제 1 영역에 대응하는 제 1 광원이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rradiating the guideline to the first area may further include controlling the first light sour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to irradiate the guideline.

SAS값이 제 1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1001의 아니오), 차량(1)은 SAS값이 제 2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003).If the SAS value does not belong to the first range (NO of 1001), the vehicle 1 may determine whether the SAS value belongs to the second range (1003).

SAS값이 제 2 범위에 속하는 경우(1003의 예), 차량(1)은 제 2 영역에 가이드라인을 조사할 수 있다(1004). 이 때, 제 2 영역은 제 2 범위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차량(1)과 가이드라인까지의 미리 정해진 제 2 수평 거리(D2)를 갖는 영역을 의미하고, 제 1 수평 거리(D2)는 제 2 범위의 SAS값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If the SAS value is in the second range (YES in 1003), the vehicle 1 may examine the guidelines in the second area (1004). In this case, the second area i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ange and means an area having a second predetermined horizontal distance D2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guideline, and the first horizontal distance D2 is defined as the first area. It can be set corresponding to a SAS value of two ranges.

또한, 제 2 영역에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단계는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광원이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rradiating the guideline to the second area may further include controlling the second light sour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to irradiate the guideline.

SAS값이 제 2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1003의 아니오), 차량(1)은 SAS값이 제 3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005).If the SAS value does not belong to the second range (NO of 1003), the vehicle 1 may determine whether the SAS value belongs to the third range (1005).

SAS값이 제 3 범위에 속하는 경우(1005의 예), 차량(1)은 제 3 영역에 가이드라인을 조사할 수 있다(1006). 이 때, 제 3 영역은 제 3범위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차량(1)과 가이드라인까지의 미리 정해진 제 3 수평 거리(D3)를 갖는 영역을 의미하고, 제 3 수평 거리(D3)는 제 3 범위의 SAS값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If the SAS value is in the third range (YES in 1005), the vehicle 1 may examine the guidelines in the third region (1006). In this case, the third region corresponds to a third range, and means a region having a predetermined third horizontal distance D3 between the vehicle 1 and the guideline, and the third horizontal distance D3 is defined as a third region. It can be set corresponding to a SAS value of three ranges.

또한, 제 3 영역에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단계는 제 3 영역에 대응하는 제 3 광원이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rradiating the guideline to the third region may further include controlling the third light source corresponding to the third region to irradiate the guideline.

이를 통해, SAS값에 따라 가이드라인이 조사하는 영역이 달라지므로, 급선회하는 차량(1)에 대하여는 보다 넓은 가이드라인의 표시가 가능하여 보다 넓은 안전거리 확보가 가능하다. 따라서, 차량(1)의 급선회라는 구체적인 상황에 적합한 주행 안전 및 보행자의 안전 확보가 가능하다. As a result, since the area irradiated by the guideline varies according to the SAS value, a wider guideline can be displayed on the vehicle 1 that is rapidly turning, thereby securing a wider safety distan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cure driving safety and pedestrian safety suitable for the specific situation of rapid turning of the vehicle 1.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시동이 ON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101). Referring to FIG. 11, the vehicl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determine whether starting is in an ON state (1101).

시동이 ON 상태인 경우(1101의 예), 차량(1)은 야간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102). 구체적으로, 차량(1)은 카메라 센서, 점등 센서, 시계(132) 등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야간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f the start-up is in the ON state (YES of 1101), the vehicle 1 may determine whether it is night (1102). In detail, the vehicle 1 may determine whether it is at night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 camera sensor, a lighting sensor, a watch 132, and the like.

차량(1)은 야간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1102의 예), 노면에 가이드라인을 조사할 수 있다(1103). 이 경우, 차량(1)은 차량(1) 후방 끝단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이러한 후방 끝단의 위치를 나타내는 가이드라인을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노면의 위치에 조사할 수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1 is at night (YES in 1102), the vehicle 1 may examine the guidelines on the road surface (1103). In this case, the vehicle 1 may grasp the position of the rear end of the vehicle 1 and irradiate the position of the roa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ith a guideline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rear end.

또한, 차량(1)은 차량(1)의 후방 좌측 끝단의 위치 및 후방 우측 끝단의 위치 각각에 가이드라인을 조사할 수 있으며, 조사되는 가이드라인의 위치 및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vehicle 1 may irradiate the guideline to each of the position of the rear left end and the position of the rear right end of the vehicle 1, and the position and the number of the irradiated guideline are not limited thereto.

이를 통해, 야간 주행시 시야 확보가 어려운 차량(1) 후방 끝단에 대한 위치 인식이 가능하므로, 차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주행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주변 차량과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rear end of the vehicle (1) difficult to secure visibility during night driving, it is possible to secure driving safety, such as to prevent lane depar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with the surrounding vehicles.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isclos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isclosed embodiment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감지부: 210
조향 센서: 211
차속 센서: 212
기어 센서: 213
후방 초음파 센서: 214
후방 카메라 센서: 215
제어부: 220
광 출력부: 230
Detector: 210
Steering Sensor: 211
Vehicle speed sensor: 212
Gear sensor: 213
Rear ultrasonic sensor: 214
Rear camera sensor: 215
Control Unit: 220
Light output: 230

Claims (20)

차량과 관련된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감지부;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출력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획득된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예상 궤적 및 진행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예상 궤적 및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A sensing unit obtaining vehicle information related to a vehicle;
An optical output unit including at least one light source; And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an expected trajectory and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vehicl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sensing unit, and to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to examine a guide line indicating the determined estimated trajectory and the traveling direction.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조향 각도, 조향 방향, 차속 및 기어 위치 상태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1,
The detection unit,
A vehicle for acquiring vehicle information including steering angle, steering direction, vehicle speed, and gear position statu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속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하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the light output unit to irradiate the guideline when the vehicle speed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향 각도에 기초하여 조사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조사 영역에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하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And determine the irradiation area based on the steering angle, and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to irradiate the guideline to the determined irradiation are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획득된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가 시각 정보를 획득하기 어려울 것으로 추정되는 사각 지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사각 지대의 노면에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하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A vehicle which determines a blind spot that is difficult for a driver to obtain visual information based on the vehicl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sensing unit, and controls the light output unit to irradiate the guideline to the determined road surface of the blind spot;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어 위치 상태가 D(주행)이고 상기 조향 방향이 시계방향인 경우 또는 상기 기어 위치 상태가 R(후진)이고 상기 조향 방향이 시계방향인 경우, 상기 사각 지대를 상기 차량의 좌측 후방으로 판단하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When the gear position state is D (run) and the steering direction is clockwise or the gear position state is R (reverse) and the steering direction is clockwise, judging the blind spot to the left rear of the vehicle vehic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어 위치 상태가 D(주행)이고 상기 조향 방향이 반시계방향인 경우 또는 상기 기어 위치 상태가 R(후진)이고 상기 조향 방향이 반시계방향인 경우, 상기 사각 지대를 상기 차량의 우측 후방으로 판단하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When the gear position is D (run) and the steering direction is counterclockwise or when the gear position is R (reverse) and the steering direction is counterclockwise, the blind spot is to the right rear of the vehicle. Vehicle to jud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후방에 대한 물체 정보를 획득하는 후방 초음파 센서 및 상기 차량의 후방에 대한 시각 정보를 획득하는 후방 카메라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방 초음파 센서 및 상기 후방 카메라 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하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2,
The detection unit,
A rear ultrasonic sensor for acquiring object information on the rear of the vehicle using ultrasonic waves, and a rear camera sensor for acquiring visual information about the rear of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an obstacle exists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the rear ultrasonic sensor and the rear camera sensor, and if the obstacle exists, controlling the light output unit to irradiate the guide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획득된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야간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야간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하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it is night based on the vehicl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sensing unit, and if it is determined to be night, controlling the light output unit to irradiate the guidelin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후방 코너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후방 코너의 위치에 상기 가이드라인이 조사되도록 상기 광출력부를 제어하는 차량.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And determine a position of a rear corner of the vehicle based on the vehicle information, and control the light output unit to irradiate the guideline to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rear corner.
차량과 관련된 차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예상 궤적 및 진행 방향을 판단하고; 및
상기 판단된 예상 궤적 및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Obtain vehicl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vehicle;
Determine an expected trajectory and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ased on the obtained vehicle information; And
And examining a guideline indicating the estimated trajectory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etermined vehicle.
제11항에 있어서,
차량과 관련된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조향 각도, 조향 방향, 차속 및 기어 위치 상태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Acquiring vehicle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A vehicle control method comprising obtaining vehicle information including a steering angle, a steering direction, a vehicle speed, and a gear position sta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것은,
상기 차속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Investigating the guidelines,
And examining the guideline when the vehicle speed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것은,
상기 조향 각도에 기초하여 조사 영역을 결정하고; 및
상기 결정된 조사 영역에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Investigating the guidelines,
Determine an irradiation area based on the steering angle; And
And irradiating the guideline to the determined irradiation are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것은,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가 시각 정보를 획득하기 어려울 것으로 추정되는 사각 지대를 판단하고; 및
상기 판단된 사각 지대의 노면에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Investigating the guidelines,
Determine a blind spot estimated that it is difficult for a driver to obtain visual information based on the obtained vehicle information; And
And controlling the guideline to the determined blind spot road surfac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지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기어 위치 상태가 D(주행)이고 상기 조향 방향이 시계방향인 경우 또는 상기 기어 위치 상태가 R(후진)이고 상기 조향 방향이 시계방향인 경우, 상기 사각 지대를 상기 차량의 좌측 후방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Determining the blind spot,
When the gear position state is D (run) and the steering direction is clockwise or the gear position state is R (reverse) and the steering direction is clockwise, judging the blind spot to the left rear of the vehicle Control method of a vehicle comprising a.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지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기어 위치 상태가 D(주행)이고 상기 조향 방향이 반시계방향인 경우 또는 상기 기어 위치 상태가 R(후진)이고 상기 조향 방향이 반시계방향인 경우, 상기 사각 지대를 상기 차량의 우측 후방으로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Determining the blind spot,
When the gear position is D (run) and the steering direction is counterclockwise or when the gear position is R (reverse) and the steering direction is counterclockwise, the blind spot is to the right rear of the vehicle. Control method of a vehicle comprising the determina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과 관련된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후방에 대한 물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차량의 후방에 대한 시각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것은,
상기 물체 정보 및 상기 차량의 후방에 대한 시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Acquiring vehicle information related to the vehicle,
Acquiring object information on the rear of the vehicle by using ultrasonic waves, and obtaining visual information on the rear of the vehicle;
Investigating the guidelines,
And determining whether an obstacle exist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object information and visual information on the rear of the vehicle, and if the obstacle is present, examining the guidelin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것은,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야간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야간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Investigating the guidelines,
And determining whether it is night based on the obtained vehicle information, and examining the guidelines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ight.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것은,
상기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후방 코너의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후방 코너의 위치에 상기 가이드라인을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9,
Investigating the guidelines,
And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rear corner of the vehicle based on the vehicle information, and irradiating the guideline to the determined position of the rear corner.
KR1020180075512A 2018-06-29 2018-06-29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6466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512A KR102646669B1 (en) 2018-06-29 2018-06-29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512A KR102646669B1 (en) 2018-06-29 2018-06-29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231A true KR20200002231A (en) 2020-01-08
KR102646669B1 KR102646669B1 (en) 2024-03-13

Family

ID=69153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512A KR102646669B1 (en) 2018-06-29 2018-06-29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66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549A (en) * 2002-02-07 2003-08-14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Vehicle operation supporting device and vehicle operation supporting system
KR20180041103A (en) * 2017-08-16 2018-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KR20180051805A (en) * 2016-11-09 2018-05-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Blind spot detecting modu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549A (en) * 2002-02-07 2003-08-14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Vehicle operation supporting device and vehicle operation supporting system
KR20180051805A (en) * 2016-11-09 2018-05-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Blind spot detecting module
KR20180041103A (en) * 2017-08-16 2018-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669B1 (en) 202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1225B1 (en) Method for an automotive hazardous detection and information system
US10818183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0086832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626567B1 (en)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for vehicle
US10369992B2 (en) Vehicle and vehicle control method
US11554667B2 (en) Display device provided in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device
US20110010041A1 (en) Software for an automotive hazardous detection and information system
US20060250224A1 (en) Means of transport with a three-dimensional distance camera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thereof
CN108099903B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334565B2 (en) Automotive system and method
WO2017068701A1 (en) Parking space detection method and device
US10308245B2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90063667A (en) Autonomous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80010487A (en) Automatic Driving control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86179B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10532738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80236939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a Forward Vehicular Vision System
US20200020235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Forward Vehicular Vision
KR101768115B1 (en) Control pad,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3227175U (en) Vehicle display device
TWM566160U (en) Blind spot detection system
KR20200002231A (en)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70070566A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65043A (en) Driving system for vehicle
KR20180047656A (en) Blind spot warning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