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139A - 3d프린터를 활용한 환자 ?춤형 의료기구 장치 - Google Patents

3d프린터를 활용한 환자 ?춤형 의료기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139A
KR20200002139A KR1020180075319A KR20180075319A KR20200002139A KR 20200002139 A KR20200002139 A KR 20200002139A KR 1020180075319 A KR1020180075319 A KR 1020180075319A KR 20180075319 A KR20180075319 A KR 20180075319A KR 20200002139 A KR20200002139 A KR 20200002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data
printer
present
measure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철
Original Assignee
정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형철 filed Critical 정형철
Priority to KR1020180075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2139A/ko
Publication of KR20200002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1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Gait analy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환부측정센서 및 3D스캐너/3D프린터를 활용한 한의원/및 한방용 환자 ?춤형 부황기구를 포함하는 의료기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환자 신체의 체온, 맥박등 기초 데이터를 손과 허리에 부착하는 손부위측정치와, 허리측정장치를 통해 환자의 보행 습관 및 신체 균형 및 허리둘레등 비만도 데이터를 취득하고,
다수의 압력세서를 가진 하중측정장치를 가진 족부측정장치를 통해 발바닥의 부위별 가중되는 힘의 크기를 측정하여 데이터 값을 측정하여, 년령별/성별/환부위치별 환자데이타 서버를 통해 기존 환자와 비교를 통해 건강상태를 측정하여 환자 ?춤형 부황기구를 포함하는 의료기구 장치이다.

Description

3D프린터를 활용한 환자 ?춤형 의료기구 장치{Patient specific Medical Apparatus using 3D printer}
본 발명은 환부측정센서 및 3D스캐너/3D프린터를 활용한 한의원/및 한방용 환자 ?춤형 부황기구를 포함하는 의료기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한의원 내원 환자의 개별 특성에 맞게 손과 발의 진맥을 통해 진단하고, 환자의 상태를 한의사가 질문 및 진찰을 통해 환자의 환부 상태를 살피거나 기구나 보조 진단장치를 통해 환자의 상태에 맞는 처지를 하였다.
종래 한의원 저주파 치료기나 한방용 부항/첨착패드 치료기구는 여러 사람이 반복 재사용됨으로써 위생상 반복 세척등이 필요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이고 공통적인 형태의 부황기구 또는 점착패드의 의료기구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환자의 상태에 상관없이 정형적인 부황기구 또는 점착패드이기에 각 환자에게 최적의 치료를 할 수 없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환부측정센서 및 3D스캐너/3D프린터를 활용한 한의원/및 한방용 환자 ?춤형 부황기구를 포함하는 의료기구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환자 신체의 체온, 맥박등 기초 데이터를 손과 허리에 부착하는 손부위측정치와, 허리측정장치를 통해 환자의 보행 습관 및 신체 균형 및 허리둘레등 비만도 데이터를 취득하고,
다수의 압력세서를 가진 하중측정장치를 가진 족부측정장치를 통해 발바닥의 부위별 가중되는 힘의 크기를 측정하여 데이터 값을 측정하여, 년령별/성별/환부위치별 환자데이타 서버를 통해 기존 환자와 비교를 통해 건강상태를 측정하여 환자 ?춤형 부황기구를 포함하는 의료기구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환자 방문시 환자 신체의 체온, 맥박등 기초 데이터를 손과 허리에 부착하는 손부위측정치; 허리측정장치를 통해 환자의 보행 습관 및 신체 균형 및 허리둘레등 비만도 데이터를 취득하고,
년령별/성별/환부위치별 환자데이타 서버를 통해 기존 환자와 비교를 통해 건강상태를 측정하고,
다수의 압력세서를 가진 하중측정장치를 가진 족부측정장치를 통해 발바닥의 부위별 가중되는 힘의 크기를 측정하여 데이터 값을 측정하여 환자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보내며, 상기 정보들을 이용하여 3D프린터에 의거 제작하는 환자 ?춤형 의료기구 장치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환부측정센서 및 3D스캐너/3D프린터를 활용한 한의원/및 한방용 환자 ?춤형 부황기구 또는 점착패드에 의거 환부를 적절하게 치료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이고 공통적인 형태의 부황기구 또는 점착패드의 의료기구 장치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3D프린터를 활용한 환자 ?춤형 의료기구 제작을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3D프린터를 활용한 환자 ?춤형 의료기구 제작을 위한 장치의 블럭도면
도 4는 환자 ?춤형 의료기구 제작을 위한 측정부를 보여주는 블럭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3D프린터를 활용한 부황기구 또는 점착패드의 의료기구 장치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3D프린터를 활용한 환자 ?춤형 의료기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3D프린터를 활용한 환자 ?춤형 의료기구 제작을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3D프린터를 활용한 환자 ?춤형 의료기구 제작을 위한 장치의 블럭도면이고,
도 4는 환자 ?춤형 의료기구 제작을 위한 측정부를 보여주는 블럭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3D프린터를 활용한 부황기구 또는 점착패드의 의료기구 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을 각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환부의 위치 및 사이즈에 맞게 제작하여 넓은 환부 위치나 기존 부항/점착 패드를 부착하기 어려운 위치에도 환자 특성에 맞게 제작 사용할 수 있다.
종래 한의원 저주파 치료기나 한방용 부항/첨착패드 치료기구는 여러 사람이 반복 재사용됨으로써 위생상 반복 세척등이 필요하나, 본 3D프린터를 활용한 개인 환부별 ?춤형 기구를 사용할 경우 개인별 보관하여 반복 사용하거나 개인별로 사용후 폐기처분할 수 있는 1회용 처치기구로 사용될수 있다.
부항기/ 점착패드등은 종래에 일반적인 동일 형태와 사이즈로 여러 개를 넓은 환부 위치에 부착할 경우 다수의 기구를 필요로 하는 반면 본 발명제품은 환부의 위치 및 사이즈에 맞게 제작하여 넓은 환부 위치나 기존 부항/점착 패드를 부착하기 어려운 위치에도 환자 특성에 맞게 제작 사용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한의원 내원 환자의 개별 특성에 맞게 손과 발의 진맥을 통해 진단하고, 환자의 상태를 한의사가 질문 및 진찰을 통해 환자의 환부 상태를 살피거나 기구나 보조 진단장치를 통해 환자의 상태에 맞는 처지를 하는 절차에 부가하여 본 발명품은 환자 방문시 환자 신체의 체온, 맥박등 기초 데이터를 손과 허리에 부착하는 손부위측정치와 허리측정장치를 통해 환자의 보행 습관 및 신체 균형 및 허리둘레등 비만도 데이터를 취득하여 마지막으로 년령별/성별/환부위치별 환자데이타 서버를 통해 기존 환자와 비교를 통해 건강상태를 측정한다.
마지막으로 다수의 압력세서를 가진 하중측정장치를 가진 족부측정장치를 통해 발바닥의 부위별 가중되는 힘의 크기를 측정하여 데이터 값을 측정하여 환자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보낸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환자 맞춤형 의료기구 제작을 위한 기본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손부 측정장치 : 손가락 각각 마디에 온도 측정센서를 통한 체온 측정 및 손목 맥박 측정
- 족부 측정장치 : 족부의 발바닥에 하중 압력 센서를 부착하여 각 부위별 압력 하중 측정
- 하리부위 측정장치 : 허리에 자이로스코프균형 센서를 통해 허리(척추)의 기울 어짐 측정 및 비만도 측정
- 환자DB 센서부 : 기존 환자의 평균 비만도/허리기울기/족부 하중값/신체 데이터를 새로운 환자의 측정 데이터 값과 비교하여 환자의 현재 신체상의 문제점과 향후 예측도를 분석 값을 비교하여 치료시와 치료방치시 예측값을 제시한다.
- 스캐너부 : 사용자의 발이나 손의 환부를 3D스캐너부의 거치대 올려놓고 3D스캐너를 이용하여 환자 3D데이터를 획득한다.
- 3D 계측부 : 계측된 3D 데이터를 3D프린터가 이해할 수 있는 파일형태로 변환한다.
- 3D 데이터 저장/전송부
3D 데이터를 SD card나 wifi로 3D 프린터로 전송한다.
- 3D 데이터 입력부 : 전송된 환자의 환부 3D 데이터 계측값이 입력되면 기존에 저장된 부항/패드의 원형 이미지 데이터 값과 결합하기 위해 데이터 처리부로 전송한다.
- 3D 모형 출력부 : STL 파일로 최종 처리된 3D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환부 사이즈에 맞는 부항기 및 실리콘 점착 패드를 출력한다.
3D 프린터는 손이나 발의 부항기 및 실리콘 패드의 형태를 만들기 위한 적층재료를 분사하는 노즐과 재료를 적층하여 쌓아올리는 거치대와 이 제품 거치대를 X축, Y축, Z축으로 이송하여 이송부를 포함하고 잇다.
* 본 발명의 활용방안
종래 환자의 신체 및 환부 위치별(손/발/허리)의 데이터값을 활용하여 현재 새로운 환자의 신체 측정 데이터 값을 비교하여 향후 치료를 놓치면 진행될 데이터 값을 예측하여 치료의 적정시기 및 치료부위를 진단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측정된 신체 환부별 데이터값을 환자DB서버에서 가져온 데이터와 현재 환자의 환부 부위를 스캔한 환부의 크기를 합성하여 적정한 환부의 위치와 크기를 제안하여 3D 프린터부로 보내 환부에 맞는 부황컵과 저주파치료기용 패드를 환자의 형상에 실물 크기에 맞게 출력한다.
스캔된 환자의 환부의 데이터와 치료 방법/범위/시기/횟수등을 환자서버에 저장하여 적정한 시기 환자 재방문 진찰시 활용한다.
1) 한의원/한방병원용 저주파 치료기용
종래 한의원 및 한방용 저주파 치료기의 환부 접촉 부위는 실리콘 재질의 부항컵이나 점착 패드형태의 전극을 연결하는 노즐로 연결하여, 1H~1,100Hz의 저주파/중주파수의 전류를 이용하여 환자의 환부에 물리 전기적 자극을 통해 치료하고 있다.
그러나 환자의 특성에 따라 손과 발을 집중적으로 치료하기에는 손과 발의 환부의 크기가 작거나 크면 부항기나 패드의 점착면이 접촉하지 못한 면적이 생겨 치료에 어려움이 생길수 있다.
따라서 동 발명품의 기계로 제작된 ?춤형 부항컵과 실리콘 점착패드는 환자의 환부에 따라 ?춤형으로 제작 치료가 가능하다.
2)한의원/한방병원 부항치료 기구 대체
한의원이나 한방병원의 부항기구는 다수의 환자가 사용하거나 공유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마무리 세척하고 소독한다 하더라도 기구를 공유하는 이상 전염이나 질병 전파의 매개가 될수 있다.
따라서 본 3D스캐너 일체형 프린터를 제작된 부항기구를 사용한다면 1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환자별로 개별처치 보관할 수 있는 개인용으로 지급될 수 있다.
3)개인용 저주파 치료기구 활용
가정용이나 개인용의 저주파 치료기가 시중에 판매 되고 있으나 개인의 환부 특성에 막게 ?춤형 치료에 맞는 저주파 치료기를 시중에서 개인이 구매 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한의원 및 물리치료병원에서 한의사 및 의사의 처방 및 진료에 맞는 저주파 물리치료기를 추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환부측정센서 및 3D스캐너/3D프린터를 활용한 한의원/및 한방용 환자 ?춤형 부황기구를 포함하는 의료기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

  1. 환자 방문시 환자 신체의 체온, 맥박등 기초 데이터를 손과 허리에 부착하는 손부위측정치;
    허리측정장치를 통해 환자의 보행 습관 및 신체 균형 및 허리둘레등 비만도 데이터를 취득하고,
    년령별/성별/환부위치별 환자데이타 서버를 통해 기존 환자와 비교를 통해 건강상태를 측정하고,
    다수의 압력세서를 가진 하중측정장치를 가진 족부측정장치를 통해 발바닥의 부위별 가중되는 힘의 크기를 측정하여 데이터 값을 측정하여 환자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보내며, 상기 정보들을 이용하여 3D프린터에 의거 제작하는 환자 ?춤형 의료기구 장치.
KR1020180075319A 2018-06-29 2018-06-29 3d프린터를 활용한 환자 ?춤형 의료기구 장치 KR202000021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319A KR20200002139A (ko) 2018-06-29 2018-06-29 3d프린터를 활용한 환자 ?춤형 의료기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319A KR20200002139A (ko) 2018-06-29 2018-06-29 3d프린터를 활용한 환자 ?춤형 의료기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139A true KR20200002139A (ko) 2020-01-08

Family

ID=6915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319A KR20200002139A (ko) 2018-06-29 2018-06-29 3d프린터를 활용한 환자 ?춤형 의료기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21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50348B2 (en) Modular physiologic monitoring systems, kits, and methods
US1182616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vaginal therapeutic device fitting
US9967040B2 (en) Patch system for in-situ therapeutic treatment
US11259743B2 (en) Method for identifying human joint characteristics
US20180020982A1 (en) Wellness monitoring using a patch system
CN107106088A (zh) 在定制三维矫正器中集成传感器和效应器的方法
JP7187466B2 (ja) 理学療法及びリハビリテーションをモニタするため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イスを備えたシステム及び方法
JP7059206B2 (ja) 向き変更プロトコルを管理するシステム
CA3003155A1 (en) Sensitivity metering system for use in patient diagnosis
JP2021520916A (ja) 関節分析プローブ
JP7066729B2 (ja) ウェアラブル装置を使用して整形外科インプラント及びリハビリテーションをモニタ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00002139A (ko) 3d프린터를 활용한 환자 ?춤형 의료기구 장치
Madavi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arable device for neuropathic diabetic foot patients
Jayashree et al. A Review on mobile based intelligent systems for homecare monitoring of diabetic mellitus foot ulcer
US2022038715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vaginal therapeutic device fitting
US20230354952A1 (en) Insole and systems including same
Nivethitha et al. A Novel Wearable Device to Indicate Sciatic Nerve Pressure
Sankaran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 Pressure Mapping Analysis and Evaluation Measurement Module for Pes Planus Individuals
Bjelland et al.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Vibrotactile Assisted Monitoring and Correction System for Partial Weight-Bearing in Lower Extremities
WO2022190088A1 (en) A wearable electromyogram for monitoring body movement patterns
TWI546763B (zh) 一種偵測醫療數據之裝置、系統及其運作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