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2106U - 실리콘 작업용 헤라 - Google Patents

실리콘 작업용 헤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2106U
KR20200002106U KR2020200003258U KR20200003258U KR20200002106U KR 20200002106 U KR20200002106 U KR 20200002106U KR 2020200003258 U KR2020200003258 U KR 2020200003258U KR 20200003258 U KR20200003258 U KR 20200003258U KR 20200002106 U KR20200002106 U KR 202000021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crew shaft
hole
spatula
trim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2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424Y1 (ko
Inventor
허점수
Original Assignee
허점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점수 filed Critical 허점수
Priority to KR20202000032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424Y1/ko
Publication of KR202000021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1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4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4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165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finishing joints, e.g. implements for raking or filling joints, join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리콘 작업용 헤라에 관한 것으로서, 손잡이와, 연질의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되어 손잡이의 일측에 180도 방향전환 가능하게 구비되며, 양측에 상호 크기가 다른 호형의 경사진 주걱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실리콘의 도포면을 다듬기 위한 다듬부재로 이루어진 실리콘 작업용 헤라에 있어서, 상기 다듬부재의 상부에는 상부 중앙에 나사축이 마련되고, 나사축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위치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고정부재가 부착되며,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는 나사축이 관통되는 관통공 및 관통공의 상부에 스프링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그 저면에 상기 위치고정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안착홈에는 손잡이로부터 다듬부재에 탄성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이 관통공을 통과하는 나사축에 구비되고, 나사축에는 압축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양방향 주걱이 형성된 다듬부재의 180도 위치고정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조립되기 때문에 조립생산에 따른 부품제작에 따른 부품절감효과와 더불어 제품의 제작생산성을 높임과 동시에 실리콘 마감처리 사용시에는 주걱부분의 좌우 뒤틀림없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실리콘 작업용 헤라{Hera for silicon work}
본 고안은 실리콘 작업용 헤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두가지 사이즈가 하나로 된 헤라부분을 손잡이로부터 방향전환하여 작업조건에 맞게 사용하도록 된 실리콘 작업용 헤라를 개선하여 헤라와 손잡이와의 조립에 따른 부품절감 및 조립 생산성을 높이고, 헤라부분의 방향전환을 비교적 간단하게 구조로 전환시키되, 전환된 위치에서 보다 안정적인 고정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실리콘 작업용 헤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 자재(예를 들면, 대리석이나 유리, 샤시 등등)간의 마무리 접합을 위한 수단으로서 실리콘을 이용한 접착 작업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실리콘(일명 '실란트' 라고도 함) 작업은 건축 자재인 대리석 표면으로 마스킹테이프(종이테이프)를 부착하고, 대리석과 대리석 사이로 실리콘을 주입하여 채우게 된다. 이때, 실리콘 주입은 실리콘이 충진된 튜브를 실리콘 건에 장치한 다음 손잡이를 당겨 튜브 내에 충진된 실리콘이 배출구를 통하여 압출되어 대리석 사이로 실리콘이 채워지면서 접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 다음 1회용 비닐장갑을 끼고 손가락으로 주입된 실리콘 면을 다듬어 주고, 실리콘이 경화되면 잘 드는 면도날 및 칼등으로 마스킹테이프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업되는 실리콘 마감처리작업은 실리콘을 주입한 후에는 별도의 도구 없이 작업자가 손수 손으로 실리콘을 다듬기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다듬은 면이 미관상 좋지 못한 단점이 있기 때문에 현재에는 실리콘 마감처리를 위한 생고무 또는 우레탄, 연질의 합성수지소재로 제작된 헤라(Hera)를 이용하여 마무리 작업을 실시하여 미관상 깔끔한 실리콘 작업을 마감하도록 하고 있다.
실리콘 작업을 위한 헤라 관련 선원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1007호(명칭: 실리콘 작업용 헤라, 공고일자: 2011년 06 16일, 이하 '선원고안'이라 칭함)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원고안은,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110)와, 손잡이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며, 양측에 상호 크기가 다른 호형의 경사진 주걱부(121)(1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실리콘의 도포면을 다듬기 위한 다듬부재(120)와, 상기 손잡이를 통한 다듬부재를 탈착가능하게 체결 고정하는 체결부재(130)로 구성된 실리콘 작업용 헤라(100)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0)의 일단에 회전식 연결구(140)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식 연결구(140)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상기 다듬부재(120)의 탈부착과 함께 방향을 전환시키는 회전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이다.
또한, 상기 회전식 연결구(140)는 이탈방지용 스냅링(R)이 장착되기 위해 요홈부(141a)를 갖는 연결축부(141)와, 상기 연결축부(141)의 외측둘레에 결합턱(142a)이 연장 형성된 결합축부(142)와, 상기 결합축부(142)가 돌출되는 형태로 수용하여 결합하는 하우징(14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대(150)는 저면이 개방된 직사각형체로 중앙에 제1관통공(151a)이 형성되고, 제1관통공 양측으로 제1결합공(151b)이 구비되며, 개방된 저면 내측에 관통공(151a)을 기준으로 양측에 지지턱(151c)이 상호 대응되게 구비된 몸체(151)와, 상기 제1관통공(151a), 제1결합공(151b)과 일치되는 제2관통공(152a), 제2결합공(152b)이 구비된 덮개(152)와, 상기 몸체(151)의 지지턱(151c)에 평행하게 안내 설치되어 회전식 연결구(140)를 축으로 몸체(151)의 회전각도를 90도 각도로 탄력 지지하는 한 쌍의 판스프링(153)으로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선원고안은 두가지 타입의 크기 별로 사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간편하게 전환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실리콘 작업용 헤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헤라를 구성함에 있어, 방향전환에 따른 회전대(150)는 별도로 판스프링(153)을 적용하기 위한 몸체(151), 덮개(152), 덮개를 고정할 수 있는 체결부재(130)의 부품 및 조립이 별도로 필요하고, 더불어 회전식 연결구(140)에 적용되기 위해 요홈부(141a)를 갖는 연결축부(141), 결합턱(142a)을 갖는 결합축부(142)을 별도 가공하여야 하며, 상기 회전대의 조립시 반드시 회전대를 관통하고 있는 연결축부(141)의 요홈부(141a)에 이탈방지용 스냅링(R)을 체결한 다음 다듬부재(120)에 형성된 체결홈에 상기 체결부재를 결합하는 조립으로 완성되기 때문에 조립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호 맞대응되는 상기 판스프링 사이에서의 회전식 연결구의 결합턱과 결합축부를 지지는 좌우 대응되는 판스프링은 다듬부재의 사용시 판스프링의 특성상 헤라작업시 좌우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실리콘 작업이 매끄럽게 나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판스프링은 다듬부재와의 접촉시 판스프링이 잡아주는 면적이 크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주걱의 방향이 결정된 위치라 하더라도 헤라사용시 좌우로 쉽게 흔들리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걱울 양방향 방향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헤라는 방향전환 후 좌우 뒤틀림 없이 고정만이 실리콘작업시 매우 안정적인 마감처리를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두가지 사이즈가 하나로 된 헤라부분을 손잡이로부터 방향전환하여 작업조건에 맞게 사용하도록 된 실리콘 작업용 헤라를 개선하여 헤라와 손잡이와의 조립에 따른 부품절감 및 조립 생산성을 높이고, 헤라부분의 방향전환을 비교적 간단하게 구조로 전환시키되, 전환된 위치에서 보다 안정적인 고정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실리콘 작업용 헤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손잡이와, 연질의 합성수지소재로 제작되어 손잡이의 일측에 180도 방향전환 가능하게 구비되며, 양측에 상호 크기가 다른 호형의 경사진 주걱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실리콘의 도포면을 다듬기 위한 다듬부재로 이루어진 통상의 실리콘 작업용 헤라에 있어서,
상기 다듬부재의 상부에는 상부 중앙에 나사축이 마련되고, 나사축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위치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고정부재가 부착되며,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는 나사축이 관통되는 관통공 및 관통공의 상부에 스프링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그 저면에 상기 위치고정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안착홈에는 손잡이로부터 다듬부재에 탄성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이 관통공을 통과하는 나사축에 구비되고, 나사축에는 압축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위치고정돌기 및 위치고정돌기를 수용하는 지지홈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위치고정돌기는 환봉형으로 끝단이 구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나사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편차를 두고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은 손잡이의 측면으로 상기 위치고정돌기를 각각 안내하여 지지하는 호형의 제1안내홈과 제2안내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안내홈 및제2안내홈의 끝단에는 위치고정돌기의 완전한 삽입이 이루어지는 요홈이 형성되어 압축스프링의 탄성부여로 다듬부재의 주걱부가 180도로 방향전환되게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리콘 작업용 헤라는, 양방향 주걱이 형성된 다듬부재의 180도 위치고정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조립되기 때문에 조립생산에 따른 부품제작에 따른 부품절감효과와 더불어 제품의 제작생산성을 높임과 동시에 실리콘 마감처리 사용시에는 주걱부분의 좌우 뒤틀림없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시켜 사용할 수 있는 융용한 고안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실리콘 작업용 헤라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의 (a)(b)(c)는 종래기술 헤라의 방향전환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실리콘 작업용 헤라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헤라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다듬부재를 방향전환시키기 위한 전단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의 (a)(b)는 도 4에서 다듬부재의 방향전환상태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헤라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헤라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의 (a)(b)는 도 7에서 다듬부재의 방향전환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위치고정돌기가 지지홈의 제1안내홈, 제2안내홈측 요홈에 안내되어 삽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작업용 헤라는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손잡이(10)와, 연질의 합성수지소재로 제작되어 손잡이의 일측에 180도 방향전환 가능하게 구비되며, 양측에 상호 크기가 다른 호형의 경사진 주걱부(21)(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실리콘의 도포면을 다듬기 위한 다듬부재(20)로 이루어진 통상의 실리콘 작업용 헤라(100)에 있어서,
상기 다듬부재(20)의 상부에는 중앙에 나사축(31)이 마련되고, 나사축(31)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위치고정돌기(32)가 돌출 형성된 고정부재(30)가 부착된다.
상기 손잡이(10)의 일측에는 나사축(31)이 관통되는 관통공(11) 및 관통공(11)의 상부에 스프링안착홈(11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을 중심으로 그 저면에 상기 위치고정돌기(32)가 삽입되기 위한 지지홈(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안착홈(11a)에는 손잡이(10)로부터 다듬부재에 탄성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40)이 관통공(11)을 통과하는 나사축(31)에 구비되고, 나사축(31)에는 압축스프링(40)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50)가 체결되는 구조이다.
상기 위치고정돌기(32) 및 위치고정돌기(32)를 수용하는 지지홈(12)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이는 180도 위치전환된 다듬부재(20)를 포함하는 고정부재(30)의 나사축(31)을 기준으로 손잡이(10)의 지지홈(12)으로부터 좌우 유동을 없애기 위함이다.
한편 첨부된 도 7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헤라를 도시한 것으로, 손잡이(10)의 관통공(11) 및 스프링안착홈(11a), 다듬부재(20), 압축스프링(40), 너트(50)의 구성요소의 결합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고정부재(30)의 위치고정돌기(32)는 환봉형으로 끝단이 구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나사축(31)을 중심으로 양측에 편차를 두고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12)은 손잡이(10)의 측면으로 상기 위치고정돌기(32)를 각각 안내하여 지지하는 호형의 제1안내홈(12a)과 제2안내홈(12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안내홈(12a) 및제2안내홈(12b)의 끝단에는 위치고정돌기(32)의 완전한 삽입이 이루어지는 요홈(12a', 12b')이 형성되어 압축스프링(40)의 탄성 부여로 다듬부재(20)의 주걱부(21)(22)가 180도로 방향전환 되게 조립 설치된다.
즉, 상기 지지홈(12)은 손잡이(10)의 측면으로 상기 위치고정돌기(32)를 각각 안내하여 지지하는 호형의 제1안내홈(12a)과 제2안내홈(12b)이 각각 간격을 두고 엇갈리게 형성된다.
상기 제1안내홈(12a)과 제2안내홈(12b)은 손잡이(10)의 측면에서 시작하여 저면 중심선상에서 끝나는 위치까지 형성되어 각각의 위치고정돌기(32)에 대한 180도 및 역방향 180도로 위치시켜 방향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입의 헤라(100) 역시 너트(50)부분을 눌러 고정부재(30)의 위치고정돌기(32)가 제1안내홈(12a), 제2안내홈(12b)으로부터 이격되게 한 상태에서 어느 방향으로든 나사축(31)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시켜 놓는 위치에서도 위치고정돌기(31)를 삽입하는 구조로도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한 구조이다.
상기 나사축(31)에 대한 너트(50)의 체결은 압축스프링(40)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대적으로 다듬부재(20)가 손잡이(10)의 저면에 밀착되거나 손잡이의 저면에 최대한 근접되어 고정부재(30)의 위치고정돌기(32)가 지지홈(12)으로 조립되어 있는 정도에서 체결이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압축스프링(40)은 고정부재(30)의 상면이 손잡이(10)의 저면에 밀착된 정도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나사축(31)으로부터 너트(50)의 체결이 이루어지고, 너트(50)가 체결되는 나사축(31)의 끝단에는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접착제 또는 나사축 끝단에 변형을 가함으로서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실리콘 작업용 헤라의 사용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헤라(100)의 사용은 다듬부재(20)의 주걱부(21,22)중 크기를 선택하여 전방으로 주걱부(21,22)의 위치를 변경하며, 이때는 한손으로 손잡이(10)를 잡은 상태에서 나사축에 체결된 너트(50)부분을 첨부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눌러주면, 다듬부재(20)가 부착된 고정부재는 손잡이의 저면에서 이격된다.
상기 고정부재(30)의 이격에 따라 지지홈(12)으로부터 위치고정돌기(32)가 이격되고, 압축스프링(40)은 압축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다듬부재(20)를 180도 회전시키면서 누르고 있던 너트부재에서 손을 떼게되면, 상기 위치고정돌기(32)는 손잡이(10)의 저면에 형성된 지지홈(12)에 삽입되어 방향전환하여 해당하는 사이즈의 주걱부(21,22)를 해당위치로 전환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도 6참조).
즉, 본 고안에 따른 헤라(100)는 손잡이(10)로부터 다듬부재(20) 및 고정부재(30)를 180도 전환하여 용도에 맞게 사용할 수 있으며, 직사각형으로 돌출된 위치고정돌기(40)는 압축스프링(40)의 복귀동작에 따라 지지홈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기존과 같은 판스프링에 비해 좌우 뒤틀림없이 주걱부를 안정되게 해당 위치로 견고하게 세팅할 수 있어 실리콘마감작업시 안정된 사용이 가능하다.
첨부된 도 7 내지 도 10에서 도시된 일 실시예의 헤라(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듬부재(20)를 180도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바, 이는 나사축(31)을 기준으로 고정부재(30)를 회전시키면 손잡이(10)의 측면으로부터 형성된 호형의 지지홈(12)에 위치고정돌기(32)를 안내시키면서 180도 전환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는 상기 위치고정돌기(32)는 첨부된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홈을 구성하는 제1안내홈(12a), 제2안내홈(12b)에 안내시키고, 제1안내홈 및 제2안내홈이 끝나는 지점에 더 깊게 형성된 요홈(12a',12b')에 위치고정돌기(32)의 끝단이 안내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다듬부재(20)는 180도 전환된 위치에서 좌우 뒤틀어짐 없이 해당 주걱부의 방향을 결정된다.
상기 위치고정돌기(32)가 제1안내홈(12a) 및 제2안내홈(12b)에 안내되는 상태에서는 손잡이(10)의 저면과 고정부재(30)의 상단이 이격된 상태로 안내되다가 상기 요홈(12a',12b')에 삽입되어 고정되면, 상기 손잡이(10)의 저면과 고정부재(30)의 상단은 밀착되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과정은 상기 나사축(31)에 구비된 압축스프링(40)에 의해 탄성이 부여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타입은 그대로 나사축(31)을 기준으로 손잡이(10)에 대해 고정부재(30)를 회전시켜 상기와 같이 다듬부재(20)의 위치를 180도 전환시킬 수도 있지만, 너트(50)부분을 눌러 고정부재(30)를 손잡이(10)의 저면에서 이격시킨 상태에서 180도 회전시켜 바로 위치고정돌기(32)를 제1안내홈(12a) 및 제2안내홈(12b)의 요홈(12a',12b')에 삽입는 형태로 세팅하여 실리콘 마감작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손잡이 11: 관통공
11a: 스프링안착홈 12: 지지홈
12a: 제1안내홈 12a'12b': 요홈
12b: 제2안내홈 20: 다듬부재
21,22: 주걱부 30: 고정부재
31: 나사축 32: 위치고정돌기
40: 압축스프링 50: 너트
100: 헤라

Claims (3)

  1. 손잡이(10)와, 연질의 합성수지소재로 제작되어 손잡이의 일측에 180도 방향전환 가능하게 구비되며, 양측에 상호 크기가 다른 호형의 경사진 주걱부(21)(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실리콘의 도포면을 다듬기 위한 다듬부재(20)로 이루어진 통상의 실리콘 작업용 헤라(100)에 있어서,
    상기 다듬부재(20)의 상부에는 상부 중앙에 나사축(31)이 마련되고, 나사축(31)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위치고정돌기(32)가 돌출 형성된 고정부재(30)가 부착되며, 상기 손잡이(10)의 일측에는 나사축(31)이 관통되는 관통공(11) 및 관통공(11)의 상부에 스프링안착홈(11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을 중심으로 그 저면에 상기 위치고정돌기(32)가 삽입되기 위한 지지홈(12)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안착홈(11a)에는 손잡이(10)로부터 다듬부재(20)에 탄성을 부여하는 압축스프링(40)이 관통공(11)을 통과하는 나사축(31)에 구비되고, 나사축(31)에는 압축스프링(40)의 이탈을 방지하는 너트(50)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작업용 헤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돌기(32) 및 위치고정돌기(32)를 수용하는 지지홈(12)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작업용 헤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돌기(32)는 환봉형으로 끝단이 구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나사축(31)을 중심으로 양측에 편차를 두고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12)은 손잡이(10)의 측면으로 상기 위치고정돌기(32)를 각각 안내하여 지지하는 호형의 제1안내홈(12a)과 제2안내홈(12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안내홈(12a) 및제2안내홈(12b)의 끝단에는 위치고정돌기(32)의 완전한 삽입이 이루어지는 요홈(12a', 12b')이 형성되어 압축스프링의 탄성부여로 다듬부재(20)의 주걱부(21)(22)가 180도로 방향전환되게 조립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작업용 헤라.
KR2020200003258U 2020-09-07 2020-09-07 실리콘 작업용 헤라 KR2004954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258U KR200495424Y1 (ko) 2020-09-07 2020-09-07 실리콘 작업용 헤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258U KR200495424Y1 (ko) 2020-09-07 2020-09-07 실리콘 작업용 헤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106U true KR20200002106U (ko) 2020-09-28
KR200495424Y1 KR200495424Y1 (ko) 2022-05-18

Family

ID=72661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258U KR200495424Y1 (ko) 2020-09-07 2020-09-07 실리콘 작업용 헤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4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618U (ko) * 2022-01-27 2023-08-03 김재철 실리콘 작업용 헤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007B1 (ko) * 2010-03-04 2011-06-16 구원회 실리콘 작업용 헤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007B1 (ko) * 2010-03-04 2011-06-16 구원회 실리콘 작업용 헤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618U (ko) * 2022-01-27 2023-08-03 김재철 실리콘 작업용 헤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424Y1 (ko)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7873B2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接続構造
US8042199B2 (en) Swimming goggles
US8230528B2 (en) Swimming goggles
KR20200002106U (ko) 실리콘 작업용 헤라
KR101041007B1 (ko) 실리콘 작업용 헤라
CN212943680U (zh) 一种连接结构及相应的花洒装置
KR102218747B1 (ko) 릴 시트 및 낚싯대
US11126009B2 (en) Flexible bridge assembly for eyewear and method of assembling flexible eyewear
CN101351301B (zh) 带可旋转手柄的砂磨工具
CN111495653A (zh) 一种连接结构及相应的花洒装置
KR100693703B1 (ko) 금형 연마기용 연마석 고정구
KR101699243B1 (ko) 아이라이너
US6363595B1 (en) Cue tip installation apparatus
KR200484646Y1 (ko) 흡착 결합부가 구비된 화장용 브러쉬
KR200497235Y1 (ko) 실리콘 작업용 헤라
US7998378B2 (en) Method of making composite support structure for use in sanding and sanders formed therefrom
JPH0716138A (ja) 額縁フレーム片の連結装置
KR101636614B1 (ko) 라운드형 마운트를 가진 크리센트 설치용 지그
CN113124043B (zh) 磁吸式铰接机构及智能眼镜
KR200375912Y1 (ko) 래핑작업용 치구 연결구조
KR19990046673A (ko) 액세서리의장식구부착방법및그장치와그제품
KR19990046668A (ko) 액세서리의장식구부착방법및그장치와그제품
KR101611060B1 (ko) 원터치 슬라이드 조립형 와이퍼장치의 어셈블리
KR200395370Y1 (ko) 콘택트렌즈 제조용 몰드
KR101629559B1 (ko) 다관절 곡률 지지형 스포일러를 포함하는 와이퍼 장치의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