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917U - 반응형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반응형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917U
KR20200001917U KR2020190000734U KR20190000734U KR20200001917U KR 20200001917 U KR20200001917 U KR 20200001917U KR 2020190000734 U KR2020190000734 U KR 2020190000734U KR 20190000734 U KR20190000734 U KR 20190000734U KR 20200001917 U KR20200001917 U KR 202000019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y
wearer
responsive
voice
control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7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하늘
Original Assignee
송하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하늘 filed Critical 송하늘
Priority to KR20201900007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917U/ko
Publication of KR202000019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91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36Hair straps; Hai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0/00Wristbands or headbands, e.g. for absorbing swea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02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04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16B2/24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 F16B2/241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of sheet metal
    • F16B2/245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of sheet metal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246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of sheet metal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the clip being released by tilting the clip or a part thereof to a position in which the axis of the openings surrounding the gripped elements is parallel to, or coincides with, the axis of the gripp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H05B47/12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by detecting audible sound
    • A45D2008/00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F21Y2113/13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comprising an assembly of 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20Electroluminescent [EL]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머리나 몸에 착용되어 패션 아이템으로 사용되는 장식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액세서리의 바디에 고정 설치된 전자발광(EL:Electro Luminescent)소자가 음성 혹은 음향에 반응하여 반짝거리면서 사람들의 관심을 이끌어내는 반응형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응형 액세서리{reactive accessory}
본 고안은 사용자의 머리나 몸에 착용되어 패션 아이템으로 사용되는 장식용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액세서리의 바디에 고정 설치되는 EL(Electro Luminescent)소자가 음성 혹은 음향에 반응하여 반짝거리면서 사람들의 관심을 이끌어내는 반응형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머리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머리띠나 손목에 장착되는 팔찌 등과 같은액세서리는 만들어진 상태 그대로의 형상을 계속해서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 사회는 다양한 정보 교류 및 대중화로 패션 주기가 짧아지게 되면서 착용자가 쉽게 싫증을 느껴버려 액세서리를 오래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는 종래의 액세서리가 정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급변하는 사회분위기에 발 맞춰서 액세서리의 바디에 LED 발광소자나와이어(Wire) 혹은 스트립(Strip) 형태의 EL소자를 설치하여, 전시효과 혹은 후광효과에 의해 착용자를 돋보이게 하면서 타인의 관심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동적인 액세서리가 등장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동적인 액세서리는 바디에 설치된 LED 발광소자나 EL소자가 설정된 상태 그대로 반복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잠깐 동안만 주변 사람들의 관심을 끌 뿐이다.
즉, 일정시간이 지나 동일하게 반복 동작하는 LED 발광소자나 EL소자의 발광이 익숙해지면, 사람들은 쉽게 흥미를 잃어 버리게 되면서 무관심해 지게 되는 것이다.
KR 20-0329049 Y1 KR 20-0210243 Y1
이에 본 고안에서는 액세서리의 바디에 설치된 EL소자가 면발광할 때, 상기 EL소자가 착용자 혹은 주변 사람의 동작(예, 음성)에 반응하면서 사람들의 관심을 계속해서 이끌어 낼 수 있는 반응형 액세서리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사람의 머리나 몸을 감싸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는 바다의 외측에 장착면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면에는 면발광하는 EL소자를 설치하되,
상기 EL소자와 연결된 컨트롤러는 동작버튼 동작시 착용자 혹은 주변사람의 음성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마이크와 함께,
상기 마이크와 연결되어 기준치 이상의 세기로 음성입력을 받았을 때 인버터를 통해 EL소자로 인가되는 출력을 컨트롤하여 착용자 혹은 주변 사람의 음성에 반응하여 EL소자가 발광되어지도록 하는 제어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1일 미디어 혹은 UCC시대에 발맞춰 착용자가 방송할 때 착용한 액세서리의 EL 소자가 착용자의 음성에 반응하여 반짝거리면서, 보다 더 높은 시청자의 관심을 이끌어 낼 수 있게 되면서 새로운 방송/패션 아이템으로 자리잡을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반응형 액세서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컨트롤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EL소자의 분해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응형 액세서리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반응형 액세서리의 사용상태도.
먼저, 본 고안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상에 기재된 실시 예에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에 의해 실시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반응형 액세서리의 전체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도 1의 컨트롤러와 EL소자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더불어 도 4와 도 5는 복수의 EL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반응형 액세서리와 컨트롤러가 바디에 일체로 조립되어지는 반응형 액세서리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착용자의 음성에 따라 반응하는 반응형 액세서리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반응형 액세서리(1)는, 사람의 머리나 몸에 착용되어지게 수용부(11)를 구비하고 있는 바다(10)의 외측에 장착면(12)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면(12)에 면발광하는 EL소자(20)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EL소자(20)와 연결되어 착용자의 음성에 따라 EL소자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자는 것이다.
이때 컨트롤러(30)는 내공간(31a)과 배터리수용부(31b)를 구비하고 있는 후방케이스(31)에 돌출홀(32a)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케이스(32)와 전방케이스(33)가 각각 조립되어지고, 상기 전방케이스(33) 안쪽의 배터리수용부(31b)에는 직류전원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35)가 장착되며, 상부 케이스(32) 안쪽의 내공간(31a)에는 EL소자(20)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한 제어보드(36)가 내장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어보드(36)는 돌출홀(32a)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동작버튼(36c)이 눌려졌을 때 착용자 혹은 주변사람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36d)와 함께, 직류전원을 교류전으로 변환하기 위한 인버터(36a)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보드(36)에 설치된 마이크(36d)와 인버터(36a)를 중심으로 주변에는 직류전원을 인버터(36a)에 인가하는 한편 상기 인버터가 변환한 교류전원을 EL소자(20)로 인가하기 위한 전원관리회로와, 상기 동작버튼(36b)의 구동여부에 따라 혹은 마이크(36d)의 음성입력에 따라 EL소자(20)로 출력되는 전원을 컨트롤하기 위한 점멸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참고로 상기 제어보드(36)는 기준치 이상의 세기로 착용자의 음성입력이 이루어졌을 때에만 액세서리 바디(10)에 설치된 EL소자(20)의 불이 점멸되게 구성하고,
특히 상기 제어보드(36)의 일측에는 마이크(36d)를 통해 착용자 혹은 주변사람의 음성을 입력받았 때에 그 크기(볼륨값)를 조정할 수 있는 볼륨스위치(36c)를 설치하여 음성 입력시 EL 소자(20)가 동작하는 기준치를 재설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제어보드(36)는 동작버튼(36b)이 한번 눌려졌을 경우 EL소자(20)가 계속해서 면발광하는 발광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동작버튼(36b)이 한번 더 눌려져 두번째가 되었을 때에는 EL소자(20)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점멸하는 점멸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동작버튼(36b)이 한번 더 눌려져 세번째가 되었을 때에는 EL소자(20)가 음성입력에 반응하여 점멸하는 반응형 모드로 동작하게 구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컨트롤러(30)는 EL소자(20)가 설치되어 있는 액세서리의 바디(10)에 일체로 조립되어지게 구성할 수도 있지만, 클립(34)에 의해 착용자의 옷깃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후방케이스(31)의 후단에 걸림되어지게 형성된 장착홈(31c) 안쪽으로 나사가 조립되어지는 제1조립홀(31d)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클립(34)의 돌출된 부위에 걸림턱(34c)을 구비하고 있는 조림기둥(34a)에 결합시 상기 제1조립홀(31d)과 연통되어지는 제2조립홀(34b)을 형성하여, 상기 클립(34)의 조립기둥(34a)이 장착홈(31c)에 걸림되게 끼움되어졌을 때 연통되어지는 제1조립홀(31c)과 제2조립홀 (34b)안쪽으로 나사를 조립하여, 착용자의 옷에 끼임되어지면서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액세서리의 바디(10)에 설치되어 있는 EL소자(20)는 와이어Wire) 혹은 스트립(Strip)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EL소자(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위치한 코어(20a)를 중심으로 외측에는 특정 색상의 형광체(20b)가 둘러 싸여져 있고, 상기 형광체 외측에는 전선(20c)이 권취되어 있으며, 상기 전선 외측에는 투명 슬리브(20d)와 반 투명 슬리브(20e)가 감싸여진 상태로 접착고정한다.
또한 액세서리의 바디(10)는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패션 아이템이자 방송 아이템으로서, 대표적으로 머리에 장착되는 머리띠나 손목에 장착되는 팔찌가 바람직하지만, 실시 예에 따라 넥타이에 장착되는 넥타이핀이나, 목걸이 브러지 등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액세서리의 바디(10)는 사람의 머리나 몸에 착용되어지게 수용부(11)를 구비하고 있고, 외측에는 장착면(12)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장착면(12)에는 면발광하는 EL소자(20)를 설치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바디(10)에는 실시 예에 따라 돌기나 클립 등과 같은 걸림수단(14)과, 고양이의 귀나 토끼의 귀와 같은 장식부(13)를 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액세서리의 바디(10)에 설치되어 있는 EL소자(20)는 복수로 구성하되, 각각의 EL소자(20,21)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게 구성하고, 특히 상기 컨트롤러(40)는 장식부(13) 형태로 바디(1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40)가 캡(모자) 형상으로 바디(10) 상단에 조립되어지는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의 컨트롤러(40)는 나사산이 형성된 내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상부 케이스(41)가 바디 일측에 돌출테가 형성된 하부케이스(42)에 나사방식으로 회전 결합되는 방식으로 조립되어 지고,
특히 상기 내공간에는 코인 배터리(42)가 장착되는 브라켓(44) 위로 인버터와 마이크와 버튼이 설치되는 제어보드(43)가 장착되어지게 구성됨으로써, 상부 케이스(41)의 돌출홀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버튼이 눌려졌을 때 혹은 마이크를 통해 음성입력이 이루어졌을 때 주변의 장착면(12)에 설치된 EL소자(20) 점멸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1일 미디어 혹은 UCC시대에 발맞춰 착용자가 방송할 때 EL 소자가 착용자의 음성에 반응하여 반짝거리면서, 보다 더 높은 시청자의 관심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새로운 방송 아이템으로 자리잡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 및 균등이론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액세서리 10:바디
11:수용부 12:장착면
13:장식부 14:걸림수단
20:EL소자
21:또 다른 EL소자 30,40:컨트롤러
31:후방케이스 32:상부케이스
32a:돌출홀 33:전방케이스
34:클립
35:배터리 36:제어보드
41:상부케이스 42:하부케이스
43:제어보드 44:배터리
45:브라켓

Claims (6)

  1. 사람의 머리나 몸을 감싸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는 바다의 외측에 장착면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면에는 면발광하는 EL소자를 설치하되,
    상기 EL소자와 연결된 컨트롤러는 동작버튼 동작시 착용자 혹은 주변사람의 음성입력을 받아들이는 마이크와 함께,
    상기 마이크와 연결되어 기준치 이상의 세기로 음성입력을 받았을 때 인버터를 통해 EL소자로 인가되는 출력을 컨트롤하여 착용자 혹은 주변 사람의 음성에 반응하여 EL소자가 발광되어지도록 하는 제어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액세서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보드는 마이크를 통해 착용자 혹은 주변사람의 음성을 입력받을 때 볼륨값을 변화시켜 기준치를 조절하는 볼륨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액세서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보드는 동작버튼이 한번 눌려졌을 경우 EL소자가 계속해서 면발광하는 발광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동작버튼이 두번 눌려졌을 경우 EL소자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점멸하는 점멸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동작버튼이 세번 눌려졌을 경우 EL소자가 음성입력에 반응하여 점멸하는 반응형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액세서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클립이 형성되어 착용자의 옷깃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액세서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캡 형상으로 이루어져 바디 상단에 조립되어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액세서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L소자는 복수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EL 소자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액세서리.
KR2020190000734U 2019-02-21 2019-02-21 반응형 액세서리 KR2020000191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734U KR20200001917U (ko) 2019-02-21 2019-02-21 반응형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734U KR20200001917U (ko) 2019-02-21 2019-02-21 반응형 액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917U true KR20200001917U (ko) 2020-09-01

Family

ID=72451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734U KR20200001917U (ko) 2019-02-21 2019-02-21 반응형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917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243Y1 (ko) 2000-07-14 2001-01-15 이경욱 전자발광 요소를 포함하는 악세서리
KR200329049Y1 (ko) 2003-07-14 2003-10-04 주식회사 비에스텍 El wire를 구비한 밴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243Y1 (ko) 2000-07-14 2001-01-15 이경욱 전자발광 요소를 포함하는 악세서리
KR200329049Y1 (ko) 2003-07-14 2003-10-04 주식회사 비에스텍 El wire를 구비한 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9145B2 (en) Purselight with EL and LED light sources
US7731378B2 (en) Lighted hair accessory
KR102512860B1 (ko) 응원봉 및 이를 포함하는 응원 연출 시스템
CN202554918U (zh) 人形玩具
WO2016106804A1 (zh) 一种模拟烛光的智能音乐发光装置
US11029016B2 (en) Lighted display system with interchangeable cover element for a hat
JP5324681B1 (ja) 棒状ライト
CN201601722U (zh) 带led灯阵的手机
US11149932B1 (en) Device with lighting, loc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KR20200001917U (ko) 반응형 액세서리
JP2015204298A (ja) 応援道具
US9295308B2 (en) Animated display badge
CN210076873U (zh) 智能化妆镜
US20230039570A1 (en) Microphone
US20220049842A1 (en) Device with lighting, loc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CN210329629U (zh) 一种智能发光镂空饰品
CN205179306U (zh) 一种具有装饰功能的头戴式耳机
CN208144534U (zh) 一种装扮装置
JP4260577B2 (ja) 電飾装置
CN219181653U (zh) 一种耳饰耳机
JP3145518U (ja) 帽子
CN205864698U (zh) 小夜灯蓝牙音箱
US11168868B2 (en) Decoration
JP3220117U (ja) 音楽機能付き発光画枠
CN217063958U (zh) 咪杆及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