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895U - 콘센트용 접지단자 - Google Patents

콘센트용 접지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895U
KR20200001895U KR2020190000693U KR20190000693U KR20200001895U KR 20200001895 U KR20200001895 U KR 20200001895U KR 2020190000693 U KR2020190000693 U KR 2020190000693U KR 20190000693 U KR20190000693 U KR 20190000693U KR 20200001895 U KR20200001895 U KR 202000018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ground
outlet
sides
reinforc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6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명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명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명아이티
Priority to KR20201900006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895U/ko
Publication of KR202000018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89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센트용 접지단자의 양측 접지부가 플러그의 양측 접지부와의 반복된 접속에 의한 비틀림이나 찌그러짐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접지단자와 플러그의 접속불량을 예방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콘센트용 접지단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콘센트(300)의 플러그홈(310) 저부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접지선과 접속되는 베이스(410), 상기 베이스(410)의 양단에서 상부로 절곡되어 플러그(500)의 양측 접지부(510)와 각각 접속되도록 플러그홈(310)의 내부 양측으로 돌출되는 접지부(420)로 구성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콘센트용 접지단자(400)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420)의 단부에는 둥글게 말리면서 호형으로 벤딩되어 강한 탄성과 강도 및 복원력을 유지하는 변형방지용 보강링(42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링(421)은 플러그홈(310)의 내부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플러그(500)의 양측 접지부(510)와 탄력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센트용 접지단자{A ground terminal for consent}
본 고안은 콘센트용 접지단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콘센트용 접지단자의 양측 접지부가 플러그의 양측 접지부와의 반복된 접속에 의한 비틀림이나 찌그러짐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접지단자와 플러그의 접속불량을 예방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양측 단자의 상단부를 9자형으로 절곡하여 접속 지지력을 향상시킨 콘센트용 접지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전원을 필요로하는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기전자기기에 부착된 플러그를 꽂음에 따라 전원을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공급하게 되며, 그 설치 형태에 따라 노출형 콘센트나 매입형 콘센트 또는 다수의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멀티형 콘센트로 대별된다.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전기전자기기의 플러그(4)를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콘센트(1)는 플러그홈(2)이 구비된 케이스(3) 및 이 케이스(3)의 내부에 장착되며 전원선과 연결되고 2개가 1조로 된 플러그(4)의 접속핀(4b)이 꽂히는 접속핀단자(미도시)로 구성되며, 멀티형 콘센트의 경우에는 각 접속핀단자를 개별 또는 한 번에 온/오프 제어할 수 있는 개별 스위치/메인 스위치가 더 구비되기도 하며, 또한 이러한 콘센트(1)에는 플러그(4)가 접속되는 전기자재로서 전기적 안전성을 고려하여 접지선(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지단자(1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콘센트(1)의 접지단자(10)는 플러그(4)가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4)의 양측 접지부(4a)와 접속되어 누설전류를 방전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접지단자(10)는 누설전류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접지단자(10)의 변형으로 인하여 콘센트(1)의 접지단자(10)와 플러그(4)의 접지부(4a)가 접속되지 않으면, 즉 접지단자(10)와 플러그(4)의 접속불량이 발생하면 누설전류가 발생하였을 경우 방전이 되지 않으므로 인체 접촉시 감전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접지단자(10)는 전체적으로 판상구조이면서 도전재를 재질로 하고, 콘센트(1)의 접지선(미도시)과 접속되는 수평의 베이스(11), 이 베이스(11)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대략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며 플러그(4)의 접지부(4a)와 접속되는 접지부(1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의 일반적인 접지단자(10)는 베이스(11)가 콘센트(1)의 플러그홈(2) 저부에 배치되면서 양측의 접지부(12)가 플러그홈(2)의 내부로 돌출되고, 연결부재를 통해 접지선과 연결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일반적인 콘센트용 접지단자(10)는 플러그(4)를 콘세트(1)에 꽂거나 콘센트(1)에서 뺄 때 간섭되어 접지부(12)가 변형되면, 접지단자(10)의 접지부(12)가 얇은 판재이기 때문에 자체 탄성력이 미약하여 원상태로 복원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접지단자(10)의 양측 접지부(12)가 플러그(4)의 양측 접지부(4a)와의 반복된 접속에 의한 비틀림이나 찌그러짐 등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접지단자(10)와 플러그(4)의 접속불량이 발생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선행기술의 일 예로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351818호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접지선과 접속되는 판상의 베이스(110) 및 상기 베이스(110)에 절곡 형성되며 플러그의 접지부와 접속되는 한 쌍의 접지부(120)를 구비하여 멀티탭의 플러그 삽입부에 장착되는 멀티탭용 접지단자(100)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120)는, 폐단면 또는 일측이 개구된 단면으로 형성되어 강성이 보강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용 접지단자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접지단자(100)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강성 및 자체 탄성력이 보강되어 플러그의 접지부와 정상적으로 접속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이 또한 구조적으로 접지단자(100)의 접지부(120)를 폐단면 또는 일측이 개구된 단면으로 형성한 것만으로는 강성이 미흡하기 때문에, 접지단자(100)의 양측 접지부(120)가 플러그의 양측 접지부와의 반복된 접속에 의한 비틀림이나 찌그러짐 등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의 다른 예로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19-0000065호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접지형 콘센트에 있어서,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플러그의 접지전극에 접촉되는 접지단자를 포함하는 본체부; 양단이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 형태로 절곡되고, 중앙부는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조립핀이 삽입되도록 삽입홀(220)이 형성된 접지단자(210)로 구성되며, 상기 접지단자(210)의 양단은 본체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선단부가 "∩"형상을 가지는 고리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접지형 콘센트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접지단자(210)는 선단부가 "∩"형상을 가지는 고리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접지단자(210)의 양단 선단부가 휘어짐, 꺾임과 같은 변형 또는 부러짐에 의하여 접지 선로가 단절되는 것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이 또한 구조적으로 접지단자(210)의 선단부를 "∩"형상을 가지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한 것만으로는 강성이 미흡하기 때문에, 접지단자(110)의 양측 선단부가 플러그의 양측 접지부와의 반복된 접속에 의한 비틀림이나 찌그러짐 등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등록실용신안 제20-0351818호(등록일자 : 2004.05.19) 특허문헌 2 : 공개실용신안 제20-2019-0000065호(공개일자 : 2019.01.07)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접지단자의 양측 접지부에 둥글게 말리면서 호형으로 벤딩되어 강한 탄성과 강도 및 복원력을 유지하는 변형방지용 보강링을 일체로 형성하여, 특히 콘센트용 접지단자의 양측 보강링이 플러그의 양측 접지부와의 반복된 접속에 의한 비틀림이나 찌그러짐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접지단자와 플러그의 접속불량을 미연에 예방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콘센트용 접지단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콘센트의 플러그홈 저부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접지선과 접속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서 상부로 절곡되어 플러그의 양측 접지부와 각각 접속되도록 플러그홈의 내부 양측으로 돌출되는 접지부로 구성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콘센트용 접지단자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의 단부에는 둥글게 말리면서 호형으로 벤딩되어 강한 탄성과 강도 및 복원력을 유지하는 변형방지용 보강링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보강링은 플러그홈의 내부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플러그의 양측 접지부와 탄력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보강링은 접지부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둥글게 말리면서 호형으로 벤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보강링의 단부는 접지부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접지부의 보강링은 "p"자 또는 "q"자 형으로 단부가 형성되어 텐션을 갖도록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접지부는 양측 외면에 보강돌기를 형성하여 플러그 접지시 지지력을 갖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콘센트용 접지단자에 따르면, 접지단자의 양측 접지부에 둥글게 말리면서 호형으로 벤딩되어 강한 탄성과 강도 및 복원력을 유지하는 변형방지용 보강링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콘센트용 접지단자의 양측 보강링이 플러그의 양측 접지부와의 반복된 접속에 의한 비틀림이나 찌그러짐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강링에 의해 비틀림이나 찌그러짐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접지단자와 플러그의 접속불량을 미연에 예방하여 콘센트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콘센트와 플러그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콘센트용 접지단자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접지단자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또 다른 접지단자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용 접지단자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콘센트용 접지단자를 발췌한 주요 구성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상기 도6에 있어서 콘센트용 접지단자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접지부 상단부의 보강링이 "q"자형 또는 "p"자형으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접지단자의 양측 접지부 외면에 반구형 돌기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일부 발췌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콘센트용 접지단자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콘센트(300)의 플러그홈(310) 저부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접지선과 접속되는 베이스(410), 상기 베이스(410)의 양단에서 상부로 절곡되어 플러그(500)의 양측 접지부(510)와 각각 접속되도록 플러그홈(310)의 내부 양측으로 돌출되는 접지부(420)로 구성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콘센트용 접지단자(400)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420)의 단부에는 둥글게 말리면서 호형으로 벤딩되어 강한 탄성과 강도 및 복원력을 유지하는 변형방지용 보강링(42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링(421)은 플러그홈(310)의 내부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플러그(500)의 양측 접지부(510)와 탄력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접지단자(400)는 콘센트(300)에 설치되어 플러그홈(310)에 플러그(500)가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500)의 양측 접지부(510)와 접속되어 누설전류를 방전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접지단자(400)는 누설전류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접지단자(400)의 변형으로 인하여 콘센트(300)의 접지단자(400)와 플러그(500)의 접지부(510)가 접속되지 않으면, 즉 접지단자(400)와 플러그(500)의 접속불량이 발생하면 누설전류가 발생하였을 경우 방전이 되지 않으므로 인체 접촉시 감전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접지단자(400)는 누설전류로부터 인체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의 접지단자(400)는 베이스(410), 접지부(420) 및 보강링(421)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접지단자(400)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410)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베이스(410)는 콘센트(300)의 플러그홈(310) 저부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연결부재를 통해 접지선과 접속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410)에는 베이스(410)를 콘센트(300)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공(411)이 형성된다.
상기 접지부(420)는 베이스(410)의 양단에서 상부로 각각 절곡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접지부(420)의 단부에는 보강링(421)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링(421)은 양측 접지부(420)의 단부에서 둥글게 말리면서 호형으로 각각 벤딩되어 강한 탄성과 강도 및 복원력을 유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보강링(421)은 플러그홈(310)의 내부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플러그(500)의 양측 접지부(510)와 탄력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보강링(421)은 플러그(500)의 양측 접지부(510)와의 반복된 접속에 의한 비틀림이나 찌그러짐 등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대략 "P"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의 "P"형 보강링(421)은 도 3에 도시된 종래 접지단자(100)의 접지부(120)를 폐단면 또는 일측이 개구된 단면으로 형성한 "C"형보다 강한 탄성과 강도 및 복원력을 갖고, 또한 본 고안의 "P"형 보강링(421)은 도 4에 도시된 종래 접지단자(210)의 "∩"형보다 강한 탄성과 강도 및 복원력을 갖는다. 즉, 본 고안의 보강링(421)은 둥글게 호형으로 말린 "P"형으로 형성되므로 외력이 가해질 때 자체적으로 변형되지 않으려는 강한 탄성과 강도 및 복원력을 견고하게 유지하는 반면에, 종래의 "C"형과 "∩"형은 외력이 가해질 때 강한 탄성과 강도 및 복원력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없어 쉽게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호형으로 벤딩된 보강링(421)은 강한 탄성과 강도 및 복원력을 유지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플러그(500)의 접지부(510)와의 반복된 접속에 의한 비틀림이나 찌그러짐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접지단자(400)와 플러그(500)의 접속불량을 예방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보강링(421)은 접지부(420)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둥글게 말리면서 호형으로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강링(421)은 접지부(420)의 내측으로 벤딩되어 접지부(420)의 내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플러그(500)의 접지부(510)와 탄력적으로 접촉되고, 또한 플러그(500)를 콘센트(300)에 삽입할 때 플러그(500)의 접지부(510)가 보강링(421)의 내면을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므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보강링(421)의 단부는 접지부(420)의 내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강링(421)의 단부는 접지부(420)의 내면에 접촉되므로 강한 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접지부 상단부의 보강링이 "q"자형 또는 "p"자형으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서 접지단자의 양측 접지부 외면에 반구형 돌기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일부 발췌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접지부(420)의 보강링(421)은 "p"자 또는 "q"자 형으로 단부가 형성되어 텐션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플러그(500)가 콘센트(300)에 접속시 양측 접지부(420)의 상단에 형성된 보강링(421)의 둥근면과 접속됨으로 접지부(420)의 마찰면이 작아 변형되거나 구부러지는 형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도 8의 접지부(420) 상단에 형성되는 "p"자 또는 "q"자 형의 보강링(421)은 원형으로 절곡되는 끝단부가 접지부(420)에 접촉되지 않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켜 플러그(500)가 콘센트(300)에 접속시 텐션을 갖도록 한 것이다. 상기 소정으로 이격되는 간격은 1㎜∼5㎜의 간격이 적합하다.
도 9는 상기 접지부(420)의 양측 외면에 반구형 보강돌기(422)가 형성되어 플러그(500) 접지시 지지력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보다더 강한 지지력을 갖도록 함으로 접지역할을 하면서 접지단자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기전자제품을 사용하기 위하여 플러그(500)를 콘센트(300)의 플러그홈(310)에 꽂으면, 플러그(500)의 2개가 1조로 된 접속핀과 콘센트(300)의 전원선과 연결된 전원단자가 접속되고, 이와 동시에 플러그(500)의 양측 접지부(510)와 접지단자(400)의 양측 보강링(421)이 접속된다.
접지단자(400)의 양측 보강링(421)은 호형으로 벤딩되어 강한 탄성과 강도 및 복원력을 유지하므로 플러그(500)의 삽입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용이하게 삽입되고, 플러그(500)의 삽입에 따라 접지단자(400)의 양측 보강링(421)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플러그(500)의 접지부(510)에 접속되며, 양측 보강링(421)은 자체 탄성이 강하여 원상태로 복원하려는 강한 복원력을 유지하므로 플러그(500)의 접지부(510)와 탄력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플러그(500)를 콘센트(300)에 꽂은 상태에서 전기전자제품을 사용하게 되면 전기전자제품이 접지단자(400)를 통해 외부 접지선과 접속되어 감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플러그를 콘세트에 꽂거나 또는 뽑는 반복적인 과정 중 접속단자에는 반복된 접속에 의해 반복된 외력이 가해지고,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C"형과 "∩"형의 접지단자는 반복된 외력이 가해질 때 강한 탄성과 강도 및 복원력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없어 비틀림이나 찌그러짐 등의 변형이 쉽게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변형에 의해 접지단자와 플러그의 접속불량이 발생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호형으로 벤딩된 "P"형의 보강링(421)은 강한 탄성과 강도 및 복원력을 유지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플러그(500)의 접지부(510)와의 반복된 접속에 의한 비틀림이나 찌그러짐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접지단자(400)와 플러그(500)의 접속불량을 예방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접지단자(400)의 양측 접지부(420)에 둥글게 말리면서 호형으로 벤딩되어 강한 탄성과 강도 및 복원력을 유지하는 변형방지용 보강링(421)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콘센트용 접지단자(400)의 양측 보강링(421)이 플러그(500)의 양측 접지부(510)와의 반복된 접속에 의한 비틀림이나 찌그러짐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은 보강링(421)에 의해 비틀림이나 찌그러짐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접지단자(400)와 플러그(500)의 접속불량을 미연에 예방하여 콘센트(300)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00 : 콘센트 310 : 플러그홈
400 : 접지단자 410 : 베이스
420 : 접지부 421 : 보강링
422 : 보강돌기 500 : 플러그
510 : 접지부

Claims (5)

  1. 콘센트(300)의 플러그홈(310) 저부에 수평으로 고정되어 접지선과 접속되는 베이스(410), 상기 베이스(410)의 양단에서 상부로 절곡되어 플러그(500)의 양측 접지부(510)와 각각 접속되도록 플러그홈(310)의 내부 양측으로 돌출되는 접지부(420)로 구성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콘센트용 접지단자(400)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420)의 단부에는 둥글게 말리면서 호형으로 벤딩되어 강한 탄성과 강도 및 복원력을 유지하는 변형방지용 보강링(42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링(421)은 플러그홈(310)의 내부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플러그(500)의 양측 접지부(510)와 탄력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용 접속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링(421)은 접지부(420)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둥글게 말리면서 호형으로 벤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용 접속단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링(421)의 단부는 접지부(420)의 내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용 접속단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420)의 보강링(421)은 "p"자 또는 "q"자 형으로 단부가 형성되어 텐션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용 접속단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420)는 양측 외면에 보강돌기(422)가 형성되어 코드 접지시 지지력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용 접속단자.
KR2020190000693U 2019-02-19 2019-02-19 콘센트용 접지단자 KR202000018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693U KR20200001895U (ko) 2019-02-19 2019-02-19 콘센트용 접지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693U KR20200001895U (ko) 2019-02-19 2019-02-19 콘센트용 접지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95U true KR20200001895U (ko) 2020-08-27

Family

ID=72233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693U KR20200001895U (ko) 2019-02-19 2019-02-19 콘센트용 접지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895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818Y1 (ko) 2004-03-18 2004-05-28 강상원 멀티탭용 접지단자
KR20190000065U (ko) 2017-06-28 2019-01-07 정성효 접지형 콘센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818Y1 (ko) 2004-03-18 2004-05-28 강상원 멀티탭용 접지단자
KR20190000065U (ko) 2017-06-28 2019-01-07 정성효 접지형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05861B1 (en) Printed circuit board jack
JP5974087B2 (ja) 端子およびそれを伴う電気コネクタ
US10014614B2 (en) Terminals for electrical connectors
US6790101B1 (en) Female terminal with sacrificial arc discharge contacts
US5135417A (en) Dual usage electrical/electronic pin terminal system
JP4663636B2 (ja) 可撓側壁と平坦な傾斜接点を備えた雌型端子
JP6580677B2 (ja) 電気コネクタ用端子
US6095861A (en) Multi-receptacle electrical connector
US8491332B1 (en) Slim C5/C6 coupler
US4480891A (en) Electrical plug and socket having replaceable overcurrent-protection device with safety latch means
KR20200001895U (ko) 콘센트용 접지단자
JP2821335B2 (ja) 電気端子
CA2266476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variable plug retention mechanism
KR101961600B1 (ko) 콘센트용 접속단자 및 그 제조방법
CN214068948U (zh) 一种超薄自短路连接器和对应连接器组件
KR200489625Y1 (ko) 접지형 콘센트
KR200488749Y1 (ko) 접지극 접속강화 및 손상방지용 전기플러그
US2814788A (en) Wiping spring blades for fluorescent lampholders
US2104786A (en) Electrical connecter
CN213460169U (zh) 耐插拔的插座
CN212566199U (zh) 空调显示器组件和空调器
KR20120002276U (ko) 가압구가 구비된 콘센트
CN213278475U (zh) 扁插端子及电连接器
US1085960A (en) Electric connector.
CN210224481U (zh) 一种防开路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