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848U -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848U
KR20200001848U KR2020190000605U KR20190000605U KR20200001848U KR 20200001848 U KR20200001848 U KR 20200001848U KR 2020190000605 U KR2020190000605 U KR 2020190000605U KR 20190000605 U KR20190000605 U KR 20190000605U KR 20200001848 U KR20200001848 U KR 202000018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box
protrusion
easy
extension
en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6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064Y1 (ko
Inventor
이성구
Original Assignee
(주) 신원인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원인팩 filed Critical (주) 신원인팩
Priority to KR20201900006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064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8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8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0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0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1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U-shape to form the base of the container and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the remaining sides being formed primarily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of these opposite sides, e.g. flaps hing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5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characterised by integral closure-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0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one or more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tubular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magnet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제1측면, 제2측면, 제3측면, 제4측면으로 연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 상기 제2측면, 상기 제3측면, 상기 제4측면의 각각 일단면에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 접힘이 가능한 연장면이 연장 형성되는 측면; 및 사각형 형상으로 대칭되게 절개되어 형성되되, 접철선이 각각 형성되는 바닥면;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화장품, 장갑, 가방 등으로 이루어진 제품을 담을 수 있는 포장용 상자가 접힘과 펼침이 용이하여 출고 및 유통 등 부피를 최소화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그에 따른 제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현장에서 조립이 신속하면서 용이하여 작업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PACKING BOX WITH EASY FOLDING AND UNFOLDING}
본 고안은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 장갑, 가방 등으로 이루어진 제품을 담을 수 있는 포장용 상자가 접힘과 펼침이 용이하여 출고 및 유통 등 부피를 최소화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그에 따른 제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현장에서 조립이 신속하면서 용이하여 작업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자(Box)의 종류는 그 모양과 재질 등에 따라 A·B·C·D형 및 마닐라·골판지 상자 등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
특히 B형 상자의 한 형태인 이른바 싸바리 상자(Wrapping paper box, Rigid paper box, Set-up box)는 기능성이 뛰어난 고품질의 합지형 상자로서 하드보드와 같은 단단한 속지의 외면에 장식적인 디자인의 겉지를 접합하여 외관 및 이미지가 고급스러우며 완성된 형태로 출고되기 때문에 물품 포장과정에서 별도의 조립작업이 필요없고 물품의 형태보전에 좋아 고급 선물상자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싸바리 상자의 일반적인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대상물인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 상부가 개구된 본체(1)와, 이 본체(1)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3)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싸바리 상자는 단단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특성상 제조공장 등에서 전체적으로 부피가 큰 육면체형 등의 완성품 상태로 출고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운반 및 보관 등 유통과정에서 불필요하게 사용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결과적으로 공간효율성을 극히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1507호(발명의 명칭: 싸바리 상자, 공개일자: 2011년 11월 07일) 및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9951호(발명의 명칭: 횡하중이 보강된 포장용 종이상자의 속지 구조, 공개일자: 2008년 11월 14일)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화장품, 장갑, 가방 등으로 이루어진 제품을 담을 수 있는 포장용 상자가 접힘과 펼침이 용이하여 출고 및 유통 등 부피를 최소화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그에 따른 제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현장에서 조립이 신속하면서 용이하여 작업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를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본 고안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실용신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는, 제1측면, 제2측면, 제3측면, 제4측면으로 연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 상기 제2측면, 상기 제3측면, 상기 제4측면의 각각 일단면에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 접힘이 가능한 연장면이 연장 형성되는 측면; 및 사각형 형상으로 대칭되게 절개되어 형성되되, 접철선이 각각 형성되는 바닥면;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 상기 제2측면, 상기 제3측면, 상기 제4측면과 상기 제1측면, 상기 제2측면, 상기 제3측면, 상기 제4측면 각각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면의 사이에 구비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단단하거나 두꺼운 소재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이나 상기 제4측면에 상기 연장면이 연장 형성되는 일단면에 직교되는 일단면에 연계면이 형성되고, 상기 연계면은 상기 연계면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1측면이나 상기 제4측면에 연계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이나 상기 제4측면에 연장 형성되는 상기 연계면은 상기 연계면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1측면이나 상기 제4측면과 상기 제1측면이나 상기 제4측면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면의 사이에 삽입되어 연계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절개되어 형성되는 일단면에 이웃하는 타단면에 연계면이 형성되고, 상기 연계면은 상기 바닥면과 연계되는 측면에 이웃하는 다른 측면에 연계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는 상기 연계면은 상기 연계면이 형성되는 측면의 이웃하는 다른 측면과 상기 측면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면의 사이에 삽입되어 연계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3측면의 내부에 자석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2측면과 상기 제4측면의 내부에 자성체가 각각 구비되어 접을 경우 상기 제1측면의 자석은 상기 제4측면의 자성체에 부착되고, 상기 제3측면의 자석은 상기 제2측면의 자성체에 부착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절개되어 형성되는 일단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형성되는 일단면에 대응되는 타단면에 상기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돌기홈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절개되어 형성되는 일단면에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바닥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면을 지지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화장품, 장갑, 가방 등으로 이루어진 제품을 담을 수 있는 포장용 상자가 접힘과 펼침이 용이하여 출고 및 유통 등 부피를 최소화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그에 따른 제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현장에서 조립이 신속하면서 용이하여 작업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본 고안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싸바리 상자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의 일 실시예의 전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포장용 상자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따른 측면에 지지판이 구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제1측면과 제4측면의 연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제1바닥면이 제1측면의 상단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따른 자석과 자성체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2에 따른 바닥면에 형성되는 돌기와 돌기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2에 따른 바닥면의 다른 일 실실예로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2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접히는 과정을 나태는 도면.
후술하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서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의 일 실시예의 전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포장용 상자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따른 측면에 지지판이 구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제1측면과 제4측면의 연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제1바닥면이 제1측면의 상단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에 따른 자석과 자성체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2에 따른 바닥면에 형성되는 돌기와 돌기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2에 따른 바닥면의 다른 일 실실예로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2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접히는 과정을 나태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100)는,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110), 바닥면(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측면(110)은 제1측면(111), 제2측면(112), 제3측면(113), 제4측면(114)으로 연계되도록 형성되고, 제1측면(111), 제2측면(112), 제3측면(113), 제4측면(114)의 각각 일단면에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 접힘이 가능한 연장면 즉, 제1연장면(111a), 제2연장면(112a), 제3연장면(113a), 제4연장면(114a)이 연장 형성된다.
도면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제1측면(111), 제2측면(112), 제3측면(113), 제4측면(114)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측면(111)과 제3측면(113)은 동일한 크기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2측면(112)과 제4측면(114)도 동일한 크기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본 고안은 제1측면(111)과 제3측면(113)이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제2측면(112)과 제4측면(114)이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되, 제1측면(111)과 제3측면(113)이 제2측면(112)과 제4측면(114)과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4개의 측면이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측면(111), 제2측면(112), 제3측면(113), 제4측면(114)에 각각 접힘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연장면 즉, 제1연장면(111a), 제2연장면(112a), 제3연장면(113a), 제4연장면(114a)은 복수개의 측면(110)과 같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복수개의 연장면(111a, 112a, 113a, 114a)은 도면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측면(111, 112, 113, 114)의 하단면에 연장 형성되는데, 각각의 측면(111, 112, 113, 114)만 연결된다.
연장면(111a, 112a, 113a, 114a)은 해당 측면(111, 112, 113, 114)에 접힘으로 해당 측면(111, 112, 113, 114)과 함께 이중으로 형성되어 조립이 완성된 포장용 상자()의 내부에 담겨지는 화장품, 장갑, 가방 등의 제품이 금이가거나 깨지거나 또는 구겨지는 등의 파손을 예방한다.
연장면(111a, 112a, 113a, 114a)은 해당 측면(111, 112, 113, 114)에 접힘으로 해당 측면(111, 112, 113, 114)과 함께 삽입공간(S)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삽입면(115)이 삽입공간(S)에 삽입되어 측면(110)간의 연계상태를 향상시킨다.
제1측면(111)이나 제4측면(114)에 연장면(111a, 114a)이 연장 형성되는 일단면에 직교되는 일단면에 삽입면(115)이 형성되고, 삽입면(115)은 삽입면(115)이 형성되지 않은 제1측면(111)이나 제4측면(114)에 연계된다.
도면을 기준으로, 삽입면(115)은 제4측면(114)에 형성되어 제1측면(111)에 연계되는 것으로, 제1측면(111)에 제1연장면(111a)과 함께 형성된 삽입공간(S)에 삽입된다.
제1측면(111)이나 제4측면(114)에 연장 형성되는 삽입면(115)은 삽입면(115)이 형성되지 않은 제1측면(111)이나 제4측면(114)과 제1측면(111)이나 제4측면(114)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면(111a, 114a)의 사이에 삽입되어 연계된다.
제1측면(111)과 제3측면(113)의 내부에 자석(M)이 각각 구비되고, 제2측면(112)과 제4측면(114)의 내부에 자성체(MS)가 각각 구비되어 접을 경우 제1측면(111)의 자석(M)은 제4측면(114)의 자성체(MS)에 부착되고, 제3측면(113)의 자석(M)은 제2측면(112)의 자성체(MS)에 부착된다.
포장용 상자(100)는 제1측면(111)과 제3측면(113)에 구비된 자석(M)과 제2측면(112)과 제4측면(114)에 구비된 자성체(MS)로 인해 일정한 거리에 도달하면 자력으로 인해 자동으로 접힌다.
자석(M)과 자성체(MS)로 인해 포장용 상자(100)는 접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접힘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바닥면(120)은 사각형 형상으로 대칭되게 절개하여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접철선(121c)이 각각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바닥면(120)은 제1바닥면(121)과 제2바닥면(122)으로 형성되되, 각각 삼각형 형상으로 접힘이 가능하도록 접철선(121c, 122c)이 형성되고, 제1바닥면(121)과 제2바닥면(122)은 조립시 각각 절개면(121d, 122d)이 서로 닿으면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바닥면(121)은 제2측면(112)의 상단면에 접힘 가능하게 형성되고, 제2바닥면(122)은 제4측면(114)의 상단면에 접힘 가능하게 형성된다.
바닥면(120)은 절개되어 형성되는 일단면 즉, 절개면(121d, 122d)에 이웃하는 타단면에 삽입면(123)이 형성되고, 삽입면(123)은 바닥면과 연결되는 측면에 이웃하는 다른 측면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도면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바닥면(120) 중 제1바닥면(121)의 삽입면(123)은 제1바닥면(121)과 연결되는 제2측면(112)에 이웃하는 제1측면(111)에 삽입되어 연결되되, 제1측면(111)과 제1연장면(111a)으로 인해 형성된 삽입공간(S)에 삽입된다.
제1바닥면(121)의 삽입면(123)과 같이 바닥면(120) 중 제2바닥면(122)의 삽입면(123)은 제2바닥면(122)과 연결되는 제4측면(114)에 이웃하는 제3측면(113)에 삽입되어 연결되되, 제3측면(113)과 제3연장면(113a)으로 인해 형성된 삽입공간에 삽입된다.
제1바닥면(121)과 제2바닥면(122)에 각각 형성된 삽입면(123)은 양끝단면이 중심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각각의 삽입공간(S)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바닥면(120)은 절개되어 형성되는 일단면에 돌기(121e)가 형성되고, 돌기(121e)가 형성되는 일단면에 대응되는 타단면에 돌기(121e)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돌기홈(122e)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바닥면(120) 중 제1바닥면(121)은 절개되어 형성되는 일단면 즉, 절개면(121d)에 복수개의 돌기(121e)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돌기(121e)가 형성되는 일단면에 대응되는 타단면 즉, 제2바닥면(122)의 절개면(122d)에 복수개의 돌기(121e)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돌기홈(122e)이 형성된다.
제1바닥면(121)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121e)와 제2바닥면(122)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홈(122e)은 제1바닥면(121)과 제2바닥면(122)을 조립시 서로 뒤틀리지 않도록 하여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도 조립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가 가능하다.
바닥면(120)은 절개되어 형성되는 일단면에 지지돌기(121f)가 형성되어 지지돌기(121f)가 형성되지 않은 바닥면(120)의 하부에 배치되어 바닥면(120)을 지지한다.
즉, 바닥면(120) 중 제1바닥면(121)은 절개되어 형성되는 일단면 즉, 절개면(121d)에 복수개의 지지돌기(121f)가 형성되어 지지돌기(121f)가 형성되지 않은 바닥면(120) 즉, 제2바닥면(122)의 하부에 배치되되, 얹어지도록 배치되어 제2바닥면(122)을 지지한다.
지지판(130)은 단단하거나 두꺼운 소재로 이루어져 제1측면(111), 제2측면(112), 제3측면(113), 제4측면(114)과 제1측면(111), 제2측면(112), 제3측면(113), 제4측면(114) 각각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면(111a, 112a, 113a, 114a)의 사이에 각각 구비된다.
지지판(130)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포장용 상자(100)의 내부에 담겨지는 화장품, 장갑, 가방 등 제품의 파손을 예방하기 위해 각각의 측면(111, 112, 113, 114)과 각각의 연장면(111a, 112a, 113a, 114a)이 이중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여기에 지지판(130)의 더해지면 제품의 파손을 더욱더 예방한다.
기존에는 포장용 상자에 담겨지는 화장품, 장갑, 가방 등 제품의 파손을 예방하기 위해 즉, 보호하기 위해 에어캡(뽁뽁이)이나 스폰지 심지어 신문과 같은 종이를 넣었다.
본 고안은 단단하거나 두꺼운 소재로 이루어진 지지판(130)으로 인해 위와 같은 문제를 예방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
110 : 측면
111 : 제1측면
111a : 제1연장면
112 : 제2측면
112a : 제2연장면
113 : 제3측면
113a : 제3연장면
114 : 제4측면
114a : 제4연장면
115 : 삽입면
120 : 바닥면
121 : 제1바닥면
121a : 부착면
121b : 고정면
121c : 접철선
121d : 절개면
121e : 돌기
121f : 지지돌기
122 : 제2바닥면
122a : 부착면
122b : 고정면
122c : 접철선
122d : 절개면
122e : 돌기홈
123 : 삽입면
130 : 지지판
M : 자석
MS : 자성체
S : 삽입공간

Claims (9)

  1. 제1측면, 제2측면, 제3측면, 제4측면으로 연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 상기 제2측면, 상기 제3측면, 상기 제4측면의 각각 일단면에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 접힘이 가능한 연장면이 연장 형성되는 측면; 및
    사각형 형상을 대칭되게 절개하여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접철선이 각각 형성되는 바닥면;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 상기 제2측면, 상기 제3측면, 상기 제4측면과 상기 제1측면, 상기 제2측면, 상기 제3측면, 상기 제4측면 각각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면의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단단하거나 두꺼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이나 상기 제4측면에 상기 연장면이 연장 형성되는 일단면에 직교되는 일단면에 연계면이 형성되고, 상기 연계면은 상기 연계면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1측면이나 상기 제4측면에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이나 상기 제4측면에 연장 형성되는 상기 연계면은 상기 연계면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제1측면이나 상기 제4측면과 상기 제1측면이나 상기 제4측면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면의 사이에 삽입되어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절개되어 형성되는 일단면에 이웃하는 타단면에 연계면이 형성되고, 상기 연계면은 상기 바닥면과 연계되는 측면에 이웃하는 다른 측면에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는 상기 연계면은 상기 연계면이 형성되는 측면의 이웃하는 다른 측면과 상기 측면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면의 사이에 삽입되어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과 상기 제3측면의 내부에 자석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2측면과 상기 제4측면의 내부에 자성체가 각각 구비되어 접을 경우 상기 제1측면의 자석은 상기 제4측면의 자성체에 부착되고, 상기 제3측면의 자석은 상기 제2측면의 자성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절개되어 형성되는 일단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가 형성되는 일단면에 대응되는 타단면에 상기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돌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절개되어 형성되는 일단면에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바닥면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
KR2020190000605U 2019-02-12 2019-02-12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 KR2004930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605U KR200493064Y1 (ko) 2019-02-12 2019-02-12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605U KR200493064Y1 (ko) 2019-02-12 2019-02-12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48U true KR20200001848U (ko) 2020-08-20
KR200493064Y1 KR200493064Y1 (ko) 2021-01-26

Family

ID=72233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605U KR200493064Y1 (ko) 2019-02-12 2019-02-12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064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538U (ja) * 1992-09-07 1994-04-12 陽夫 岡本 紙製組立箱
JPH11157529A (ja) * 1997-11-25 1999-06-15 Yoshikazu Taniguchi 中箱及びこれを使用した紙製保冷箱
KR200426318Y1 (ko) * 2006-06-27 2006-09-13 윤수근 조립식 포장 상자
KR20130100644A (ko) * 2012-03-02 2013-09-11 두선산업 주식회사 자동화 공정이 가능한 포장 상자
JP3194169U (ja) * 2014-08-29 2014-11-06 株式会社 きものブレイン 着物保管用収納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50543B (it) * 1991-12-17 1995-04-08 Fiat Auto Spa Sistema di attacco di un serbatoio alla scocca di un veicolo, in particolare di un autoveicolo.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538U (ja) * 1992-09-07 1994-04-12 陽夫 岡本 紙製組立箱
JPH11157529A (ja) * 1997-11-25 1999-06-15 Yoshikazu Taniguchi 中箱及びこれを使用した紙製保冷箱
KR200426318Y1 (ko) * 2006-06-27 2006-09-13 윤수근 조립식 포장 상자
KR20130100644A (ko) * 2012-03-02 2013-09-11 두선산업 주식회사 자동화 공정이 가능한 포장 상자
JP3194169U (ja) * 2014-08-29 2014-11-06 株式会社 きものブレイン 着物保管用収納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064Y1 (ko) 202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1005172A (es) Refuerzo de esquina.
US7942310B2 (en) Container
KR100835836B1 (ko) 적층이 용이한 선물용 포장상자
KR200493064Y1 (ko)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포장용 상자
RU2665905C2 (ru) Пачка для кур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в частности сигарет
KR200382008Y1 (ko) 접이식 휴대용 포장상자
JP5824975B2 (ja) 簡易仕切付き紙箱
KR102121282B1 (ko)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포장용 상자
KR102035460B1 (ko) 포장용 종이 박스
KR20190002315U (ko) 상품포장용 상자
US7896793B2 (en) Folded box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8875984B2 (en) Knock-down packaging apparatus
AU2017441095B2 (en) Dual end-cap bundle of stacked consumer products
KR100971310B1 (ko) 포장상자
KR20130006300U (ko) 포장용 박스
KR200440979Y1 (ko) 포장용 상자
AU2007202712A1 (en) Multi-component package
JP6773405B2 (ja) 包装箱
KR20210019262A (ko) 절첩형 종이 포장상자
CN208842786U (zh) 一种可以压平运输的礼盒
JP3222242U (ja) 寸法可変トレイ
CN208775207U (zh) 折叠式纸箱
CN107600617B (zh) 盒盖、礼盒及盒盖的生产方法
JP3115027U (ja) 包装用仕切を備えた包装用箱
US20060219761A1 (en) Folding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