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826A -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의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의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826A
KR20200001826A KR1020180074833A KR20180074833A KR20200001826A KR 20200001826 A KR20200001826 A KR 20200001826A KR 1020180074833 A KR1020180074833 A KR 1020180074833A KR 20180074833 A KR20180074833 A KR 20180074833A KR 20200001826 A KR20200001826 A KR 20200001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input
candidate
user terminal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5264B1 (ko
Inventor
한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윤디자인그룹
한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윤디자인그룹, 한도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윤디자인그룹
Priority to KR1020180074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26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1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기가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의 제공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a) IME(Input Method Editor)의 설정 중 문자 후보 보기(candidate view) 항목이 온 상태로 설정되는 단계; (b) 텍스트 입력 필드에 소정의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를 제공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문자가 선택되면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상기 특정 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의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프로그램{METHOD, USER TERMINAL AND PROGRAM FOR PROVIDING CHARACTER CANDIDATE CORRESPONDING TO INPUT CHARACTER}
본 발명은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의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소정의 문자가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특수문자 입력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PC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 숫자, 영자, 한글 이외의 기호를 의미하는 특수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텍스트 입력 필드에 소정의 자음 문자를 입력한 후, 키보드의 한자키를 입력하여 상기 입력된 자음 문자에 대응되는 특수문자 그룹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호출하게 되며, 호출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특수문자를 입력하게 된다.
하지만, 자음키 및 한자키 조합을 통해 호출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에는 여러 종류의 자모에 대응하는 특수문자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목적하는 특수문자를 찾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호출하거나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의 호출 이후에도 스크롤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겪고 있다.
예를 들어, ‘ㄱ’에 대응하는 ㈀, ㉠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ㅅ’ 및 한자키의 조합을 통해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호출한 후 스크롤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특수문자를 찾아야만 한다. ‘ㅅ’ 및 한자키의 조합에 의해 제공되는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에는 ㄱ 내지 ㅎ 뿐만 아니라 가 내지 하에 대응하는 특수문자가 모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키보드는 특수 문자 입력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다수의 특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고안되고 있으나 각 문자 별로 대응하는 문자 후보를 제공하는 특수문자 입력기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입력된 문자에 대응하는 특수문자 후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특수문자를 편리하게 입력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특수문자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문자 후보 제공 기능을 선택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가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의 제공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a) IME(Input Method Editor)의 설정 중 문자 후보 보기(candidate view) 항목이 온 상태로 설정되는 단계; (b) 텍스트 입력 필드에 소정의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를 제공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문자가 선택되면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상기 특정 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복수개의 문자가 연속으로 입력되는 경우, 해당 복수개의 문자로 이루어지는 합성어에 대한 문자 후보 리스트가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문자 후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가 서버에 의해 업데이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문자 후보 보기 항목이 온 상태로 설정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입력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문자 후보가 소정의 개수 이상인 경우, 더 보기 탭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IME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문자 후보 보기 항목을 포함하는 입력기 설정부; 문자 후보 보기 항목이 온 상태로 설정된 이후, 텍스트 입력 필드에 소정의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를 제공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문자 후보 제공부; 및 상기 문자 후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가 서버에 의해 업데이트 되는 문자 후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제공된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 결합되어, (a) IME의 설정 중 문자 후보 보기 항목이 온 상태로 설정되는 단계; (b) 텍스트 입력 필드에 소정의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를 제공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문자가 선택되면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상기 특정 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특수문자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문자 후보 제공 기능을 선택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문자 후보가 제공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문자 후보가 소정의 개수 이상인 경우에 문자 후보가 제공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합성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가 제공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100) 및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은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서버 및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서버 및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통신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다수의 문자 입력 방식을 지원하는 가상키보드를 제공하는 입력기 프로그램이 미리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기(100)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동작하는 컴퓨터 등의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입력기 설정부(110), 문자 후보 제공부(120), 문자 후보 DB(130), 통신부(140) 및 제어부(15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기 설정부(11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IME(IME: Input Method Editor) 환경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IME 입력 기능은 입력 장치(예를 들어, 기계식 키보드 또는 가상키보드)와 연동되어 있어, 사용자 단말기(100) 내에서 입력 처리 기능을 지원하며, 사용자 단말기(100) 내 설치된 일 이상의 프로그램들과 호환성을 갖는 기능일 수 있다.
입력기 설정부(110)는 IME의 환경 설정에서, 문자 후보 보기(candidate view) 설정 항목을 제공한다. 문자 후보는 입력된 문자에 대응되는 후보를 의미하며 특수문자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ㄱ'의 문자 후보에는 ㈀, ㉠이 포함될 수 있으며, 입력된 문자에 따라 문자 후보는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문자 후보를 제공받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문자 후보 보기 항목이 온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는, IME의 환경 설정에서 문자 후보 보기 항목을 변경하는 방법을 예시하였으나,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기설정된 지정키의 입력을 통해 문자 후보 보기 항목의 설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입력기 설정부(110)는 사용자 단말기(100) 내 설치된 모든 프로그램에서 문자 후보 보기가 자동으로 적용된 입력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문자 후보 제공부(120)는 상기 입력기 설정부(110)에서 문자 후보 보기 항목이 온 상태로 설정되면,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입력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문자 후보 제공부(120)는 텍스트 입력 필드에 사용자 단말기(100)의 입력장치를 통해 소정의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를 제공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문자 후보 제공부(120)는 텍스트 입력 필드에 소정의 문자 입력과 함께 소정의 지정키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문자 후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입력장치는 사용자 단말기(100) 내부에 구비되어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형태이거나, 별도의 장치(키보드, 마우스 등)로 사용자 단말기(100)와 외부적으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방식의 기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문자나 특정 위치에 터치 입력 수단(예를 들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이 닿으면, 그 터치의 위치를 파악하여 소정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기 설정부(110)에서 문자 후보 보기 항목이 온 상태로 설정되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텍스트 입력 필드에 ‘ㄱ’의 입력만으로 ㈀ 또는 ㉠ 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00)의 입력 장치 또는 터치 입력 수단에 따라 ㈀ 또는 ㉠이 선택되면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선택된 문자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목적하는 문자를 찾기 위해 여러 종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실행하지 않아도 되고, 문자 후보 제공 기능을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문자 후보 DB(13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문자 후보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로부터 문자 후보의 추가, 변경, 삭제와 같은 편집이 수행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제공되는 문자 후보 DB(130)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신망을 통해 문자 후보 제공 기능에 대한 프로그램이 업로드 되어 있는 서버(200) 또는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서버(200) 또는 웹 페이지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프로그램을 통해 문자 후보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입력기가 실행됨에 따라 자동으로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문자 후보 DB(130)에 대한 업데이트가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추후에 문자 후보가 추가되거나 변경되는 경우에도, 문자 후보 DB(130)가 서버(200)에 의해 자동으로 업데이트됨에 따라, 문자 후보 보기 설정 및 소정의 문자 입력만으로 대응하는 문자 후보를 선택하여 목적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외부 서버 및 외부 장치 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40)는 사용자 단말(100)이 서버(200)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서버(2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 내 문자 후보 DB(130)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입력기 설정부(110), 문자 후보 제공부(120), 문자 후보 DB(130), 통신부(14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50)는 입력기 설정부(110), 문자 후보 제공부(120), 문자 후보 DB(130), 통신부(140)에서 각각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a,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문자 후보 입력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문자 후보를 제공하는 입력기 프로그램이 사전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IME의 환경 설정 항목 중, 문자 후보 보기 항목이 온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입력기 프로그램이 실행됨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의 IME(Input Method Editor)가 문자 후보 입력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텍스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텍스트 입력 필드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사용자로부터 문자 ‘ㄱ’ 또는 ‘가’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3a을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ㄱ’이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상기 ‘ㄱ’에 대응되는 ㈀, ㉠을 포함하는 문자 후보 리스트를 표시하는 입력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가’가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상기 ‘가’에 대응되는 (가) 내지 伽를 포함하는 문자 후보 리스트를 표시하는 입력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즉, IME의 문자 후보 보기 항목이 온 상태로 설정된 이후,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한글 자모, 한글, 숫자 등과 같은 소정의 문자가 입력되기만 하면 입력된 소정의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 리스트가 포함된 입력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목적하는 문자가 선택되면, 텍스트 입력 필드에 선택된 문자의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문자 후보가 소정의 개수 이상인 경우에 문자 후보가 제공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IME의 문자 후보 보기가 설정됨에 따라, 입력기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영문 ‘A’가 입력되는 경우, ‘A’에 대응되는 문자 후보가 첫 번째 특수문자 리스트에 포함된 5개의 문자뿐만 아니라, A, Α 등과 같이 소정의 개수 이상이 되므로, 다수개의 레이어로 문자 후보 리스트가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때, 더 보기 탭(▶ 모양의 탭)의 선택에 따라 다음 레이어의 문자 후보 리스트를 표시하고 여기에 포함된 문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숫자 ‘7’이 입력되는 경우, ‘7’에 대응되는 문자 후보가 소정의 개수 이상이므로 더 보기 탭이 제공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와 같이 더 보기 탭만 제공되고 다수개의 레이어로 문자 후보 리스트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a,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합성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가 제공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가다'를 입력할 경우, '가', '다' 각각에 대한 문자 후보가 아닌, 합성자 '가다' 전체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 리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의 입력 이후 제공되는 '가'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 리스트에서 특정 문자가 선택되지 않고 연속하여 '다' 가 입력되는 경우, '가다'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가다'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 리스트에서도 특정 문자가 선택되지 않는다면, 이후에 입력되는 문자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합성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가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환언하면, 2개 이상의 문자가 연속으로 입력되는 경우, 연속으로 입력된 문자에 대한 문자 후보 리스트가 존재한다면, 해당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문자가 입력된 후 제공되는 문자 후보 리스트에서 특정 문자가 선택되더라도, 제2 문자가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경우, 제1 문자 및 제2 문자가 이루는 합성자에 대한 문자 후보 리스트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kcal'를 입력하는 경우, 'kcal' 전체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 리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각 알파벳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뿐만 아니라, 'kcal'와 같이 전체가 하나의 단어를 이루는 경우, 단어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가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문자 입력 이후에 특정키의 입력을 통해 문자 후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의 입력 이후 특정키가 입력되면 '가'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가 제공되며, '가다'가 입력된 이후에 특정키가 입력되면 '가다'에 대응하는 문자후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즉, 목적하는 문자가 완전히 입력된 이후에 지정키를 입력하여 목적하는 문자 전체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가 제공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목적하는 문자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문자 후보 제공 기능을 선택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단말기
200: 서버
110: 입력기 설정부
120: 문자 후보 제공부
130: 문자 후보 DB
140: 통신부
150: 제어부

Claims (7)

  1. 사용자 단말기가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의 제공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a) IME(Input Method Editor)의 설정 중 문자 후보 보기(candidate view) 항목이 온 상태로 설정되는 단계;
    (b) 텍스트 입력 필드에 소정의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를 제공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문자가 선택되면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상기 특정 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복수개의 문자가 연속으로 입력되는 경우, 해당 복수개의 문자로 이루어지는 합성어에 대한 문자 후보 리스트가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후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가 서버에 의해 업데이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문자 후보 보기 항목이 온 상태로 설정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입력기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문자 후보가 소정의 개수 이상인 경우, 더 보기 탭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IME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문자 후보 보기 항목을 포함하는 입력기 설정부;
    문자 후보 보기 항목이 온 상태로 설정된 이후, 텍스트 입력 필드에 소정의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를 제공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문자 후보 제공부; 및
    상기 문자 후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가 서버에 의해 업데이트 되는 문자 후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7. 사용자 단말기에 결합되어,
    (a) IME의 설정 중 문자 후보 보기 항목이 온 상태로 설정되는 단계;
    (b) 텍스트 입력 필드에 소정의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를 제공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단계; 및
    (c)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문자가 선택되면 상기 텍스트 입력 필드에 상기 특정 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KR1020180074833A 2018-06-28 2018-06-28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의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프로그램 KR102145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833A KR102145264B1 (ko) 2018-06-28 2018-06-28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의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833A KR102145264B1 (ko) 2018-06-28 2018-06-28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의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26A true KR20200001826A (ko) 2020-01-07
KR102145264B1 KR102145264B1 (ko) 2020-08-18

Family

ID=6915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833A KR102145264B1 (ko) 2018-06-28 2018-06-28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의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2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9687A (ja) * 2006-11-17 2008-06-05 Nec Saitama Ltd 特殊文字入力支援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電子機器
JP2011154495A (ja) * 2010-01-27 2011-08-11 Nec System Technologies Ltd 文字コード変換装置、文字コード変換方法、および文字コード変換プログラム
KR20140028972A (ko) * 2012-08-31 201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입력 문자를 이용한 지능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9687A (ja) * 2006-11-17 2008-06-05 Nec Saitama Ltd 特殊文字入力支援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電子機器
JP2011154495A (ja) * 2010-01-27 2011-08-11 Nec System Technologies Ltd 文字コード変換装置、文字コード変換方法、および文字コード変換プログラム
KR20140028972A (ko) * 2012-08-31 201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입력 문자를 이용한 지능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264B1 (ko) 202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0739B2 (en) Chinese character entry via a Pinyin input method
US8825474B1 (en) Text suggestion output using past interaction data
US8782550B1 (en) Character string replacement
EP3005066B1 (en) Multiple graphical keyboards for continuous gesture input
US9665246B2 (en) Consistent text suggestion output
KR102249054B1 (ko) 온스크린 키보드에 대한 빠른 작업
US20120047454A1 (en) Dynamic Soft Input
US20160132119A1 (en) Multidirectional button, key, and keyboard
US2009013291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 visual user interface
US20220236967A1 (en) Virtual keyboard for writing programming codes in electronic device
US201402233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floating keys in a portable device
KR20140121806A (ko) 소프트웨어 한글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EP3472728A1 (en) Deconstructing and rendering of web page into native application experience
KR102165008B1 (ko) 상시 표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프로그램
KR102145264B1 (ko)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후보의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프로그램
KR102158544B1 (ko) 모바일 기기의 입력 인터페이스 내에서 맞춤법 검사를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09812A (ko) 모바일 기기의 입력 인터페이스 내에서 맞춤법 검사를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130045B1 (ko) 상시 표시 특수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프로그램
CN112334870A (zh) 用于配置触摸屏键盘的方法和电子设备
KR102250609B1 (ko) 한자 목록 우선순위 설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1653102B1 (ko) 단순화된 쿼티 소프트웨어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영어/숫자/기호 문자 입력 방법
KR102431329B1 (ko) 한글자판 선택 가능한 통합 가상키보드 제공 방법
KR102190956B1 (ko) 한자 연속 변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컴퓨터프로그램
KR102042140B1 (ko) 편리한 특수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특수 문자 입력 방법,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사용자 단말기
KR20170112838A (ko) 한글 복모음이 완성형으로 배정된 키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