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809A - Equipment and method for supply fuel of bunkering ship - Google Patents

Equipment and method for supply fuel of bunkering sh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809A
KR20200001809A KR1020180074802A KR20180074802A KR20200001809A KR 20200001809 A KR20200001809 A KR 20200001809A KR 1020180074802 A KR1020180074802 A KR 1020180074802A KR 20180074802 A KR20180074802 A KR 20180074802A KR 20200001809 A KR20200001809 A KR 20200001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ssel
flexible hose
gangway
bunkering
she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8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08315B1 (en
Inventor
최정인
김정
박태윤
신상명
전상배
전준환
정성훈
천진솔
최봉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4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315B1/en
Publication of KR20200001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8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3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21/006Suction cups, or the like, e.g. for mooring, or for towing or pushing

Abstract

A fuel supplying apparatus for a bunkering ship includes a flexible hose, a lifting and lowering device, a gangway device and a curvature maintaining unit. The flexible hose is connected to a fuel tank through a first manifold to transfer fuel. The lifting and lowering device includes: a first supporter installed on a deck; and a second supporter which is positioned on an upper side of the first supporter and in which a height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er is adjusted. The gangway device includes: a multi-layered gangway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second supporter and capable of length extension and length contrac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toward a ship to be supplied; and a fastening part provided on the back end of the gangway and fixing the flexible hose in a separable manner. The curvature maintaining unit includes: a first sheave spaced apart from the deck to be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er; and a second sheave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er and bents the flexible hose twice times.

Description

벙커링 선박의 연료 공급장치 및 연료 공급방법 {EQUIPMENT AND METHOD FOR SUPPLY FUEL OF BUNKERING SHIP}Fuel supply device and fuel supply method of bunkering ship {EQUIPMENT AND METHOD FOR SUPPLY FUEL OF BUNKERING SHIP}

본 발명은 벙커링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가 부족한 선박에 접근하여 연료를 공급하는 벙커링 선박의 연료 공급장치 및 연료 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nkering vess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el supply device and a fuel supply method of a bunkering vessel for supplying fuel by approaching a vessel lacking fuel.

최근 들어 액화가스, 예를 들어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이 증가하면서 해상에서 선박 대 선박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벙커링 선박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벙커링 선박은 연료 공급을 위한 가요성(flexible) 호스와, 가요성 호스와 연료 탱크를 연결하는 매니폴드(manifold) 등의 연료 공급장치를 포함한다.Recently, as the number of vessels using liquefied gas, for example, liquefied natural gas (Liquefied Natural Gas, LNG), increases, the demand for bunkering vessels that supply fuel from ship to ship is increasing. The bunkering vessel includes a flexible hose for fuel supply and a fuel supply device such as a manifold connecting the flexible hose and the fuel tank.

벙커링 선박은 일반적으로 중소형급으로 제작되는데, 연료를 공급받는 선박이 컨테이너선과 같이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한다.Bunkered ships are generally manufactured in small and medium-sized classes, and various problems arise when a vessel supplied with fuel is relatively large in size, such as a container ship.

예를 들어, 두 선박의 높이 차이가 수 미터에 이르기 때문에 주로 크레인을 이용하여 각종 장비들을 해상에서 선박 간 이동시켜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작업은 환경적인 제약 요인이 매우 크다. 또한, 연료를 공급받는 선박의 종류에 따라 연료 공급을 위한 설비에 많은 차이가 존재한다.For example, because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hips is several meters, the equipment must be moved from ship to ship, mainly by crane. However, this work is very environmentally constrained. In addition,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facilities for supplying fuel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vessel receiving fuel.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료를 공급받는 선박의 크기와 종류에 관계없이 연료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벙커링 선박의 연료 공급장치 및 연료 공급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o provide a fuel supply device and a fuel supply method of a bunkering ship that can smoothly supply the fuel irrespective of the size and type of the vessel receiving the fu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선박의 연료 공급장치는 가요성 호스, 승하강 장치, 갱웨이 장치, 및 곡률 유지부를 포함한다. 가요성 호스는 제1 매니폴드를 통해 연료 탱크에 연결되어 연료를 이송한다. 승하강 장치는 데크에 설치된 제1 지지대와, 제1 지지대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1 지지대에 대한 높이가 조절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한다. 갱웨이 장치는 제2 지지대의 상측에 설치되며 피공급 선박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길이 확장과 길이 축소가 가능한 다단의 갱웨이와, 최후단 갱웨이에 제공되며 가요성 호스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곡률 유지부는 데크에서 제1 지지대에 이격 배치된 제1 시브와, 제2 지지대의 측면에 설치된 제2 시브를 포함하며, 가요성 호스를 두 번 구부린다.A fuel supply device for a bunkering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hose, a lifting device, a gangway device, and a curvature retainer. The flexible hose is connected to the fuel tank via the first manifold to transport the fuel. The elevating device includes a first support installed on the deck, and a second support positioned above the first support and having a height adjusted relative to the first support. The gangway device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and is provided with a multi-stage gangway that can be extended and shorte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vessel to be supplied, and a fastening provided for the last gangway to detachably fix the flexible hose. Contains wealth. The curvature retainer includes a first sheave spaced from the deck to the first support and a second sheav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econd support and bends the flexible hose twice.

가요성 호스는 제1 매니폴드와 제1 시브 사이의 제1 수평부와, 제1 시브와 제2 시브 사이의 수직부와, 제2 시브와 체결부 사이의 제2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에스(S)자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flexible hose may include a first horizontal portion between the first manifold and the first sheave, a vertical portion between the first sheave and the second sheave, and a second horizontal portion between the second sheave and the fastening portion, It can maintain the S-shape.

제2 지지대는 제1 구동부에 의해 피공급 선박의 데크와 같은 높이로 상승할 수 있다. 갱웨이 장치는 제2 지지대에 고정된 제1 갱웨이와, 축소 모드에서 제1 갱웨이의 내부에 위치하고 확장 모드에서 피공급 선박을 향해 제1 갱웨이와 나란하게 펼쳐지는 제2 갱웨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갱웨이 중 확장 모드에서 제1 갱웨이와 가장 멀리 떨어진 단부에 체결부가 위치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may be raised to the same height as the deck of the vessel to be supplied by the first drive unit. The gangway device includes a first gangway fixed to a second support and a second gangway located inside the first gangway in the collapsed mode and extending side by side with the first gangway toward the fed vessel in the expanded mode. can do. The fastening portion may be located at an end of the second gangway farthest from the first gangway in the expansion mode.

제2 갱웨이는 확장 모드에서 피공급 선박의 데크 위에 놓일 수 있고, 가요성 호스는 체결부로부터 분리된 후 피공급 선박에 구비된 제2 매니폴드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gangway may be placed on the deck of the fed vessel in expansion mode, and the flexible hose may be coupled to a second manifold provided in the fed vessel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벙커링 선박의 연료 공급장치는 길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길이 조절부는 제1 매니폴드와 제1 시브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벙커링 선박과 피공급 선박의 거리 변화에 따라 가요성 호스의 풀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fuel supply device of the bunkering vessel may further include a length adjusting unit. The length adjusting part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manifold and the first sheave, and adjust the loosening length of the flexible hos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bunkering vessel and the supplied vessel.

벙커링 선박의 연료 공급장치는 벙커링 선박과 피공급 선박 사이의 거리를 계측하는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길이 조절부는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받은 두 선박 사이의 거리가 커질 때 가요성 호스를 풀어낼 수 있다.The fuel supply apparatus of the bunkering vessel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system for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bunkering vessel and the fed vessel. The length adjuster can release the flexible hos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vessels received from the control system increases.

길이 조절부는 가요성 호스의 일부를 위로 들어 올리는 작동기와, 작동기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며 가요성 호스를 위에서 아래로 가압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기는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받은 두 선박 사이의 거리가 커질 때 수축 작동할 수 있다.The length adjusting part may include an actuator for lifting a part of the flexible hose upward, and a pair of elastic members disposed respectively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actuator and for urging the flexible hose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actuator can be retracte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vessels received from the control system increases.

다른 한편으로, 길이 조절부는 가요성 호스의 일부를 위로 들어 올리는 제1 작동기 및 제2 작동기와, 제1 작동기와 제2 작동기 사이에 위치하며 가요성 호스를 위에서 아래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작동기와 제2 작동기는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받은 두 선박 사이의 거리가 커질 때 수축 작동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ength adjustment part may include a first actuator and a second actuator for lifting a portion of the flexible hose up, and an elastic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and for urging the flexible hose from top to bottom. Can be. The first actuator and the second actuator can be retracte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vessels received from the control system increas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선박의 연료 공급방법은, 계류 장치를 이용하여 벙커링 선박을 피공급 선박에 계류시키는 단계와, 최후단 갱웨이의 체결부에 가요성 호스의 단부를 결합시키고, 피공급 선박의 데크와 같은 높이로 승하강 장치의 제2 지지대를 상승시키는 단계와, 갱웨이 장치를 수평 방향으로 길이 확장시켜 최후단 갱웨이가 피공급 선박의 데크 위에 놓이도록 하고, 가요성 호스의 단부를 피공급 선박에 구비된 제2 매니폴드에 결합하는 단계와, 갱웨이 장치의 길이를 축소시키고, 벙커링 선박의 연료를 피공급 선박으로 하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the fuel supply method of the bunker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mooring the bunkering vessel to the supply vessel using a mooring device, and coupled the end of the flexible hose to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last gangway, Elevating the second support of the elevating device to the same height as the deck of the vessel to be fed, and extending the gangway apparatu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last gangway is placed on the deck of the vessel to be fed, the flexible hose Coupling an end of the manifold to the second manifold provided in the vessel to be fed, and reducing the length of the gangway device and unloading the fuel of the bunkering vessel into the vessel to be fed.

가요성 호스는 길이 조절부와 승하강 장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시브와, 제2 지지대의 측면에 설치된 제2 시브에 의해 두 번 구부러지며 에스(S)자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flexible hose may be bent twice by a first sheave positioned between the length adjuster and the elevating device and a second sheav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cond support and may maintain an S shape.

벙커링 선박의 연료 공급방법은, 피공급 선박과 벙커링 선박 사이의 거리를 계측하고, 계측된 거리 변화에 따라 길이 조절부에서 가요성 호스의 풀림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uel supply method of the bunkering vessel may further include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supplied vessel and the bunkering vessel, and adjusting the loosening length of the flexible hose in the length adjusting unit according to the measured distance change.

계류 장치는, 힌지에 의해 결합된 제1 아암과 제2 아암을 포함하는 무어링 아암과, 제2 아암에 결합되며 진공 압에 의해 피공급 선박의 선체에 흡착되는 진공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이 제1 아암과 제2 아암의 각도를 측정하여 두 선박 사이의 거리를 계측하고, 계측 결과를 길이 조절부로 출력할 수 있다.The mooring device may comprise a mooring arm comprising a first arm and a second arm joined by a hinge, and a vacuum pad coupled to the second arm and adsorbed to the hull of the fed vessel by vacuum pressure. The control system may measure the angle between the first arm and the second arm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vessels and output the measurement result to the length adjuster.

본 발명에 따르면, 크레인 없이 해상에서 벙커링 선박의 가요성 호스를 피공급 선박으로 이동시켜 연료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환경 하중에 의해 두 선박 사이의 거리가 변할 때에도 길이 조절부가 가요성 호스의 풀림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연료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supply fuel by moving the flexible hose of the bunkering ship at sea without a crane, and smoothly supplying fuel eve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hips is changed by environmental load. By adjusting the length, fuel supply can be smoothed.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선박의 연료 공급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연료의 하역 과정에서 벙커링 선박과 피공급 선박의 거리가 늘어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도 5에 도시한 길이 조절부의 예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선박의 연료 공급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to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uel supply apparatus of a bunker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bunkering vessel and the supplied vessel is increased in the process of unloading the fuel illustrated in FIG. 4.
6A and 6B are configuration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illustrated in FIG. 5.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uel supply method of a bunkering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선박의 연료 공급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1 to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uel supply apparatus of a bunker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벙커링 선박(100)은 액화가스, 예를 들어 액화천연가스(LNG)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10)와, 연료 탱크(10)의 연료를 해상에서 다른 선박으로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장치(120)를 포함한다. 이하, 편의상 연료를 공급받는 선박을 '피공급 선박'이라 한다.1 to 4, the bunkering vessel 100 includes a fuel tank 10 storing liquefied gas, for example, liquefied natural gas (LNG), and a fuel of the fuel tank 10 from another sea to another vessel. And a fuel supply device 120 for supplying. Hereinafter, a vessel supplied with fuel for convenience is referred to as a 'shipped vessel'.

벙커링 선박(100)은 해상에서 피공급 선박(200)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하여, 진공 패드(131)와 무어링 아암(mooring arm)(132)으로 구성된 계류 장치(130)에 의해 피공급 선박(200)에 계류될 수 있다.The bunkering vessel 100 is supplied by a mooring device 130 composed of a vacuum pad 131 and a mooring arm 132 to supply fuel to the fed vessel 200 at sea. 200).

무어링 아암(132)은 힌지(133)에 의해 결합된 제1 아암(134)과 제2 아암(135)의 2절 링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아암(134)의 하측 단부는 벙커링 선박(100)의 데크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아암(135)의 상측 단부는 힌지(133)에 의해 제1 아암(134)의 상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진공 패드(131)는 제2 아암(135)의 하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mooring arm 132 may be configured as a two-section link structure of the first arm 134 and the second arm 135 coupled by the hinge 133,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arm 134 may be secured to the deck of the bunkering vessel 100,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arm 135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arm 134 by a hinge 133. Can be. The vacuum pad 131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arm 135.

무어링 아암(132)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 장치에 의해 피공급 선박(200)을 향해 제1 아암(134)과 제2 아암(135)을 뻗어 진공 패드(131)가 피공급 선박(200)의 선체에 닿게 할 수 있다. 진공 패드(131)는 도시하지 않은 진공 장치와 연결되며, 진공 장치에서 발생한 진공 압에 의해 피공급 선박(200)의 선체에 흡착된다.The mooring arm 132 extends the first arm 134 and the second arm 135 by the driving device, not shown, so that the vacuum pad 131 of the supplied vessel 200 It can reach the hull. The vacuum pad 131 is connected to a vacuum device (not shown), and is adsorbed to the hull of the vessel 200 to be supplied by the vacuum pressure generated in the vacuum device.

진공 패드(131)는 진공 압에 의해 벙커링 선박(100)을 피공급 선박(200)에 계류시키며, 무어링 아암(132)은 벙커링 선박(100)과 피공급 선박(200)의 상대 운동을 제어한다. 벙커링 선박(100)에는 제1 아암(134)과 제2 아암(135)의 각도를 측정하여 벙커링 선박(100)과 피공급 선박(200) 사이의 거리를 계측하는 제어 시스템(140)이 구비될 수 있다.The vacuum pad 131 mooring the bunkering vessel 100 to the fed vessel 200 by the vacuum pressure, and the mooring arm 132 controls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bunkering vessel 100 and the fed vessel 200. do. The bunkering vessel 100 is provided with a control system 140 for measuring the angle between the first arm 134 and the second arm 135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bunkering vessel 100 and the fed vessel 200. Can be.

벙커링 선박(100)과 피공급 선박(200)의 계류 장치(130)는 전술한 예시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부호 136은 벙커링 선박(100)의 선체에 설치된 방현재(fender)를 나타낸다. 방현재(136)는 갑작스런 환경 하중에 의해 두 선박(100, 200) 사이의 거리가 급격히 작아질 때 충격을 흡수하여 두 선박(100, 200)의 파손을 방지한다.The mooring device 130 of the bunkering vessel 100 and the vessel to be supplied 20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In FIG. 1 to FIG. 3, reference numeral 136 denotes a fender installed in the hull of the bunkering vessel 100. The fender 136 absorbs shock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vessels 100 and 200 decreases abruptly due to a sudden environmental load, thereby preventing breakage of the two vessels 100 and 200.

본 실시예의 연료 공급장치(120)는, 벙커링 선박(100)과 피공급 선박(200)의 데크 높이 차이가 수 미터 이상이고 갑작스런 환경 하중에 의해 두 선박(100, 200) 사이의 거리가 급격히 커지는 경우에도 연료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In the fuel supply apparatus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ck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bunkering vessel 100 and the vessel to be supplied 200 is several meters or mor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vessels 100 and 200 is rapidly increased due to a sudden environmental load. Even if it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smoothly supply fuel.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연료 공급장치(120)는 매니폴드(manifold)(20)를 통해 연료 탱크(10)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이송하는 가요성(flexible) 호스(30)와, 데크에 설치된 승하강 장치(40)와, 승하강 장치(40)에 설치된 갱웨이 장치(50)와, 데크와 승하강 장치(40)에 설치된 곡률 유지부(60)와, 데크에 설치된 길이 조절부(7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fuel supply device 12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flexible hose 30 for receiving and transporting fuel from the fuel tank 10 through a manifold 20 and a winch installed on the deck. The lowering device 40, the gangway device 50 provided in the elevating device 40, the curvature holding unit 60 provided in the deck and the elevating device 40, and the length adjuster 70 provided in the deck It includes.

매니폴드(20)는 연료 분배를 위한 다기관으로서, 연료 공급관을 통해 연료 탱크(10)와 연결된다. 편의상 벙커링 선박(100)에 설치된 매니폴드(20)를 '제1 매니폴드'라 한다. 가요성 호스(30)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가요성 호스(30)의 일측 단부가 제1 매니폴드(20)에 접속되어 연료 탱크(10)의 연료를 공급받는다.The manifold 20 is a manifold for fuel distribution and is connected to the fuel tank 10 through a fuel supply pipe. For convenience, the manifold 20 installed in the bunkering vessel 100 is referred to as a 'first manifold'. The flexible hose 30 is provided in plural and one end of the flexible hose 30 is connected to the first manifold 20 to receive fuel from the fuel tank 10.

가요성 호스(30)의 반대측 단부는 연료 공급을 위해 피공급 선박(200)의 데크에 설치된 매니폴드(201)(편의상 '제2 매니폴드'라 한다)에 접속되어야 한다. 피공급 선박(200)이 컨테이너선과 같은 대형 선박인 경우, 두 선박(100, 200)의 데크는 수 미터 이상 높이 차이가 발생한다.The opposite end of the flexible hose 30 should be connected to a manifold 201 (referred to as 'second manifold' for convenience) installed on the deck of the vessel 200 to be fed. When the vessel 200 to be supplied is a large vessel such as a container ship, the decks of the two vessels 100 and 200 have a height difference of several meters or more.

승하강 장치(40)는 데크에 고정된 제1 지지대(41)와, 제1 지지대(41)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1 구동부(43)에 의해 제1 지지대(41)에 대한 높이가 조절되는 제2 지지대(42)를 포함한다. 제1 구동부(43)는 유압 실린더와 같은 통상의 동력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지지대(42)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The elevating device 40 is positioned above the first support 41 and the first support 41 fixed to the deck, and the height of the first support 41 is adjusted by the first driver 43. And a second support 42. The first drive unit 43 may be formed of a conventional power unit such as a hydraulic cylinder, and raise or lower the second support 42.

제2 지지대(42)는 벙커링 선박(100)이 피공급 선박(200)에 계류된 후 제1 구동부(43)에 의해 상승하여 피공급 선박(200)의 데크와 같은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도 2 참조). 갱웨이 장치(50)는 제2 지지대(42)의 상측에 설치되어 제2 지지대(42)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한다. The second support 42 may be lifted by the first driving unit 43 after the bunkering vessel 100 is moored by the vessel 200 to maintain the same height as the deck of the vessel 200 to be fed (FIG. 2). The gangway device 5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42 to rise or descend with the second support 42.

갱웨이 장치(50)는 피공급 선박(200)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길이 확장이 가능하고, 초기 형태로 축소가 가능한 다단의 갱웨이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제1 갱웨이(51)와 제2 갱웨이(52)로 구성된 2단 구조의 갱웨이 장치를 도시하였으나, 갱웨이 장치(50)는 도시한 예시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gangway device 50 is capable of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vessel 200 to be supplied, and is composed of a multi-stage gangway that can be reduced to an initial shape. 1 to 4 illustrate a gangway device having a two-stage structure including a first gangway 51 and a second gangway 52, but the gangway device 50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

제1 갱웨이(51)는 제2 지지대(42)의 상측에 고정된다. 제2 갱웨이(52)는 축소 모드에서 제1 갱웨이(51)의 내부에 위치하며(도 1 및 도 2 참조), 확장 모드에서 피공급 선박(200)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갱웨이(51)와 나란하게 펼쳐진다(도 3 참조). 제2 갱웨이(52)는 도시하지 않은 제2 구동부에 의해 피공급 선박(200)을 향해 전진하거나 피공급 선박(20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후진한다.The first gangway 51 is fixed above the second support 42. The second gangway 52 is located inside the first gangway 51 in the collapsed mode (see FIGS. 1 and 2), and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fed vessel 200 in the expanded mode so that the first It extends alongside the gangway 51 (see FIG. 3). The second gangway 52 advances toward the fed vessel 200 or moves away from the fed vessel 200 by a second driving unit (not shown).

다단의 갱웨이 중 최후단 갱웨이에는 가요성 호스(30)의 반대측 단부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53)가 제공된다. 이때 최후단 갱웨이는 확장 모드에서 제2 지지대(42)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갱웨이로서, 도 1 내지 도 4의 경우 제2 갱웨이(52)를 나타낸다. 가요성 호스(30)의 반대측 단부는 제2 갱웨이(52)의 체결부(5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last gangway of the multi-stage gangway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portion 53 for detachably engaging the opposite end of the flexible hose 30. In this case, the last gangway is a gangway located farthest from the second support 42 in the expansion mode, and represents the second gangway 52 in FIGS. 1 to 4. The opposite end of the flexible hose 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astening portion 53 of the second gangway 52.

곡률 유지부(60)는 데크에서 제1 지지대(41)에 이격 배치된 제1 시브(sheave)(61)와, 제2 지지대(42)의 측면에 설치된 제2 시브(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시브(61)와 제2 시브(62)는 가요성 호스(30)와 접촉하여 가요성 호스(30)를 구부리며, 가요성 호스(30)의 곡률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The curvature retainer 60 may include a first sheave 61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41 on the deck and a second sheave 62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econd support 42. have. The first sheave 61 and the second sheave 62 are in contact with the flexible hose 30 to bend the flexible hose 30 and keep the curvature of the flexible hose 30 constant.

제1 시브(61)는 가요성 호스(30) 중 제1 매니폴드(20)와 승하강 장치(40) 사이 부분을 대략 90°로 구부리고, 제2 시브(62)는 가요성 호스(30) 중 제1 시브(61)와 갱웨이 장치(50) 사이 부분을 대략 90°로 구부린다. 가요성 호스(30)는 제1 매니폴드(20)와 제1 시브(61) 사이의 제1 수평부(31)와, 제1 시브(61)와 제2 시브(62) 사이의 수직부(32)와, 제2 시브(62)와 체결부(53) 사이의 제2 수평부(33)로 이루어진다.The first sheave 61 bends a portion of the flexible hose 30 between the first manifold 20 and the elevating device 40 at approximately 90 °, and the second sheave 62 is the flexible hose 30. The portion between the first sheave 61 and the gangway device 50 is bent at approximately 90 degrees. The flexible hose 30 includes a first horizontal portion 31 between the first manifold 20 and the first sheave 61, and a vertical portion between the first sheave 61 and the second sheave 62. 32 and a second horizontal portion 33 between the second sheave 62 and the fastening portion 53.

본 실시예에서 가요성 호스(30)는 유(U)자형 대신 대략적인 에스(S)자 형태를 유지한다. 유(U)자형 구조에서는 가요성 호스의 두께에 따른 반경 한계(radius limit)가 존재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연료 공급장치를 구성해야 하지만, 에스(S)자 구조에서는 가요성 호스(30)의 반경 한계에 대한 문제가 사라지므로 연료 공급장치(120) 구성에 제약이 없다.In this embodiment, the flexible hose 30 maintains an approximate S shape instead of a U shape. In the U-shaped structure, the radius limit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lexible hose exists, so the fuel supply device must be configured in consideration of this, but in the S-shaped structure, the radius limit of the flexible hose 30 is required.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configuration of the fuel supply device 120 because the problem is eliminated.

제2 갱웨이(52)가 피공급 선박(200)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때 체결부(53)에 고정된 가요성 호스(30) 또한 피공급 선박(200)을 향해 이동한다(도 3 참조). 제2 갱웨이(52)의 확장이 완료되면 가요성 호스(30)의 반대측 단부는 제2 매니폴드(201)에 접속되고, 제2 갱웨이(52)는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도 4 참조).When the second gangway 52 moves horizontally toward the fed vessel 200, the flexible hose 30 fixed to the fastening portion 53 also moves toward the fed vessel 200 (see FIG. 3). ). When the expansion of the second gangway 52 is completed, the opposite end of the flexible hose 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nifold 201, and the second gangway 52 returns to an initial state (see FIG. 4). ).

도 1 내지 도 4의 과정을 거쳐 연료 공급 준비가 완료되며, 벙커링 선박(100)에서 피공급 선박(200)으로 연료가 공급된다. 연료의 하역 과정에서 벙커링 선박(100)과 피공급 선박(200)은 지속적인 환경 하중을 받으며, 예상치 못하게 두 선박(100, 200) 사이의 거리가 크게 벌어질 수 있다.Fuel supply preparation is completed through the process of FIGS. 1 to 4, and the fuel is supplied from the bunkering vessel 100 to the vessel to be supplied 200. In the process of unloading the fuel, the bunkering vessel 100 and the vessel 200 to be supplied are subjected to continuous environmental loa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vessels 100 and 200 may be unexpectedly widened.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연료의 하역 과정에서 벙커링 선박과 피공급 선박의 거리가 늘어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에서 벙커링 선박(100)과 피공급 선박(200) 사이의 거리는 D1이고, 도 5에서 벙커링 선박(100)과 피공급 선박(200) 사이의 거리는 D1보다 큰 D2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bunkering vessel and the supplied vessel is increased in the process of unloading the fuel illustrated in FIG. 4. In FIG. 4, the distance between the bunkering vessel 100 and the supplied vessel 200 is D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bunkering vessel 100 and the supplied vessel 200 is D2 greater than D1 in FIG. 5.

길이 조절부(70)는 벙커링 선박(100)과 피공급 선박(200) 사이의 거리를 계측하는 제어 시스템(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 시스템(140)으로부터 입력받은 두 선박(100, 20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요성 호스(30)를 풀거나 회수하여 가요성 호스(30)의 풀림 길이를 조절한다. 즉 도 5와 같이, 벙커링 선박(100)과 피공급 선박(200) 사이의 거리가 커질 때, 길이 조절부(70)는 가요성 호스(30)를 풀어서 연료 공급을 원활하게 한다.The length adjusting unit 7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system 140 that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bunkering vessel 100 and the vessel to be supplied 200, and the two vessels 100 and 200 received from the control system 140. The loosening length of the flexible hose 30 is adjusted by releasing or recovering the flexible hose 30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hat is, as shown in FIG. 5,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bunkering vessel 100 and the vessel to be fed 200 increases, the length adjusting unit 70 loosens the flexible hose 30 to smoothly supply fuel.

도 6a와 도 6b는 도 5에 도시한 길이 조절부의 예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6A and 6B are configuration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illustrated in FIG. 5.

도 6a를 참고하면, 길이 조절부(70a)는 가요성 호스(30)의 일부를 위로 들어 올리는 작동기(71)와, 작동기(71)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며 가요성 호스(30)를 위에서 아래로 가압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72)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기(71)는 벙커링 선박(100)의 데크에 설치될 수 있고, 한 쌍의 탄성부재(72)는 하우징(73)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the length adjusting part 70a may be provided with an actuator 71 for lifting a part of the flexible hose 30 upward, and disposed at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actuator 71, respectively, and the flexible hose 30 may be moved. It may include a pair of elastic members 72 for press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actuator 71 may be installed on the deck of the bunkering vessel 100, and the pair of elastic members 72 may be fixed to the housing 73.

작동기(71)는 통상의 유압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로 한정되지 않는다. 가요성 호스(30)와 접촉하는 작동기(71)의 단부 및 한 쌍의 탄성부재(72)의 단부에는 가요성 호스(30)의 급격한 꺾임과 이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볼 부재(74)가 배치될 수 있다.The actuator 71 may be configured as a conventional hydraulic device, but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t the end of the actuator 71 in contact with the flexible hose 30 and at the end of the pair of elastic members 72, the ball member 74 can be prevented from sudden bending of the flexible hose 30 and the resulting damage. Can be arranged.

작동기(71)의 확장 작동으로 작동기(71)의 볼 부재(74)가 최대 높이일 때, 길이 조절부(70a)는 가요성 호스(30)를 최대 길이로 가두어 가요성 호스(30)의 풀림 길이를 최소화한다. 반대로 작동기(71)의 수축 작동으로 작동기(71)의 볼 부재(74)가 최소 높이일 때, 길이 조절부(70a)는 가요성 호스(30)를 최소 길이로 가두어 가요성 호스(30)의 풀림 길이를 최대화한다.When the ball member 74 of the actuator 71 is at the maximum height by the extended operation of the actuator 71, the length adjusting part 70a locks the flexible hose 30 to the maximum length to loosen the flexible hose 30. Minimize the length On the contrary, when the ball member 74 of the actuator 71 is at the minimum height by the contracting operation of the actuator 71, the length adjusting part 70a locks the flexible hose 30 to the minimum length so that the flexible hose 30 Maximize the unwinding length.

작동기(71)는 제어 시스템(140)으로부터 입력받은 두 선박(100, 200) 사이의 거리가 커질 때 수축 작동하여 가요성 호스(30)의 풀림 길이를 늘림으로써 연료의 공급을 원활하게 한다.The actuator 71 is contracte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vessels 100 and 200 received from the control system 140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release length of the flexible hose 30 to smoothly supply fuel.

도 6b를 참고하면, 길이 조절부(70b)는 가요성 호스(30)의 일부를 위로 들어 올리는 제1 및 제2 작동기(75, 76)와, 제1 및 제2 작동기(75, 76) 사이에 배치되며 가요성 호스(30)를 위에서 아래로 가압하는 탄성부재(7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작동기(75, 76)는 벙커링 선박(100)의 데크에 설치될 수 있고, 탄성부재(77)는 하우징(73)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B, the length adjuster 70b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75 and 76, which lift up a portion of the flexible hose 30, and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75 and 76. It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77 which is disposed in and presses the flexible hose 30 from top to bottom.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75 and 76 may be installed on the deck of the bunkering vessel 100, and the elastic member 77 may be fixed to the housing 73.

제1 및 제2 작동기(75, 76)는 통상의 유압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로 한정되지 않는다. 가요성 호스(30)와 접촉하는 제1 및 제2 작동기(75, 76)의 단부 및 탄성부재(77)의 단부에는 볼 부재(74)가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75, 76 may be configured as conventional hydraulic devices, but are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A ball member 74 may be disposed at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75 and 76 and the ends of the elastic member 77 in contact with the flexible hose 30.

제1 및 제2 작동기(75, 76)의 확장 작동으로 제1 및 제2 작동기(75, 76)의 볼 부재(74)가 최대 높이일 때, 길이 조절부(70b)는 가요성 호스(30)를 최대 길이로 가두어 가요성 호스(30)의 풀림 길이를 최소화한다. 반대로 제1 및 제2 작동기(75, 76)의 수축 작동으로 제1 및 제2 작동기(75, 76)의 볼 부재(74)가 최소 높이일 때, 길이 조절부(70b)는 가요성 호스(30)를 최소 길이로 가두어 가요성 호스(30)의 풀림 길이를 최대화한다.When the ball members 74 of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75 and 76 are at the maximum height due to the extended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75 and 76, the length adjusting part 70b is the flexible hose 30. ) To the maximum length to minimize the loosening length of the flexible hose 30. On the contrary, when the ball members 74 of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75 and 76 are at a minimum height due to the contracting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75 and 76, the length adjusting part 70b is a flexible hose ( Tighten 30) to a minimum length to maximize the unwinding length of the flexible hose 30.

제1 및 제2 작동기(75, 76)는 제어 시스템(140)으로부터 입력받은 두 선박(100, 200) 사이의 거리가 커질 때 수축 작동하여 가요성 호스(30)의 풀림 길이를 늘림으로써 연료의 공급을 원활하게 한다.The first and second actuators 75 and 76 are contracte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vessels 100 and 200 received from the control system 140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loosening length of the flexible hose 30, thereby reducing the Smooth supply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링 선박의 연료 공급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uel supply method of a bunkering s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고하면, 벙커링 선박의 연료 공급방법은 벙커링 선박을 피공급 선박에 계류하는 제1 단계(S10)와, 피공급 선박의 데크와 같은 높이로 승하강 장치의 제2 지지대를 상승시키는 제2 단계(S20)와, 갱웨이 장치를 수평 방향으로 확장시키고, 가요성 호스의 단부를 피공급 선박의 매니폴드(제2 매니폴드)에 결합시키는 제3 단계(S30)와, 갱웨이 장치를 축소시키고, 연료를 하역하는 제4 단계(S40)와, 두 선박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 가요성 호스의 풀림 길이를 조절하는 제5 단계(S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fuel supplying method of the bunkering vessel includes a first step S10 of mooring the bunkering vessel to the vessel to be supplied, and an elevating second support of the elevating apparatus at the same height as the deck of the vessel to be fed. A second step (S20), a third step (S30) of expanding the gangway devi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coupling the end of the flexible hose to the manifold (second manifold) of the vessel to be fed; A fourth step (S40) of reducing and unloading the fuel, and a fifth step (S50) of adjusting the loosening length of the flexible hos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vessels.

도 1을 참고하면, 제1 단계(S10)에서 벙커링 선박(100)은 계류 장치(130)를 이용하여 피공급 선박(200)에 계류된다. 계류 장치(130)는 진공 패드(131)와 무어링 아암(132)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로 한정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1, in the first step S10, the bunkering vessel 100 is moored to the vessel 200 to be supplied using the mooring apparatus 130. The mooring device 130 may be composed of a vacuum pad 131 and a mooring arm 132, but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도 2를 참고하면, 제2 단계(S20)에서 가요성 호스(30)는 제1 시브(61)와 제2 시브(62)에 의해 대략적인 에스(S)자 형태를 유지하며, 최후단 갱웨이(제2 갱웨이(52))에 마련된 체결부(53)에 가요성 호스(30)의 단부가 결합된다. 그리고 승하강 장치(40)의 제2 지지대(42)가 제1 구동부(43)에 의해 상승하여 피공급 선박(200)의 데크와 평행하게 위치한다.Referring to FIG. 2, in the second step S20, the flexible hose 30 maintains an approximate S shape by the first sheave 61 and the second sheave 62. An end portion of the flexible hose 30 is coupled to the fastening portion 53 provided on the way (second gangway 52). And the second support 42 of the elevating device 40 is lifted by the first drive unit 43 is positioned in parallel with the deck of the vessel 200 to be supplied.

도 3을 참고하면, 제3 단계(S30)에서 갱웨이 장치(50)는 수평 방향으로 확장되어 제2 갱웨이(52)가 피공급 선박(200)의 데크 위에 놓이며, 가요성 호스(30)의 단부는 체결부(53)로부터 분리된 후 피공급 선박(200)의 제2 매니폴드(201)에 결합된다. 이로써 제1 매니폴드(20)와 제2 매니폴드(201)는 가요성 호스(30)를 통해 연결되어 연료의 하역 준비가 완료된다.Referring to FIG. 3, in the third step S30, the gangway device 50 is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gangway 52 is placed on the deck of the supplied vessel 200, and the flexible hose 30 The end of) is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portion 53 and then coupled to the second manifold 201 of the vessel 200 to be supplied. As a result, the first manifold 20 and the second manifold 201 are connected through the flexible hose 30 to complete preparation for unloading fuel.

도 4를 참고하면, 제4 단계(S40)에서 제2 갱웨이(52)가 피공급 선박(200)으로부터 후진하여 초기 상태로 복귀하고, 벙커링 선박(100)의 연료가 피공급 선박(200)으로 공급된다. 연료의 하역 과정에서 벙커링 선박(100)과 피공급 선박(200)은 지속적인 환경 하중을 받으며, 예상치 못하게 두 선박(100, 200) 사이의 거리가 크게 벌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n the fourth step S40, the second gangway 52 retreats from the fed vessel 200 and returns to an initial state, and the fuel of the bunkering vessel 100 is fed into the fed vessel 200. Is supplied. In the process of unloading the fuel, the bunkering vessel 100 and the vessel 200 to be supplied are subjected to continuous environmental loa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vessels 100 and 200 may be unexpectedly widened.

도 5를 참고하면, 제5 단계(S50)에서 제어 시스템(140)은 두 선박(100, 200) 사이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계측하고, 길이 조절부(70)는 제어 시스템(140)으로부터 입력받은 두 선박(100, 200)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요성 호스(30)를 풀거나 회수하여 가요성 호스(30)의 풀림 길이를 조절한다.Referring to FIG. 5, in a fifth step S50, the control system 140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wo vessels 100 and 200 in real time, and the length adjusting unit 70 receives an input from the control system 140.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vessels (100, 200) to loosen or retrieve the flexible hose 30 to adjust the loosening length of the flexible hose (30).

예를 들어, 급작스런 환경 변화에 의해 두 선박(100, 200) 사이의 거리가 커질 때, 길이 조절부(70)는 가요성 호스(30)를 풀어서 연료 공급을 원활하게 한다. 그리고 이후 두 선박(100, 200) 사이의 거리가 작아질 때, 길이 조절부(70)는 가요성 호스(30)를 회수하여 적정 길이를 유지하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vessels 100 and 200 increases due to a sudden environmental change, the length adjuster 70 loosens the flexible hose 30 to smoothly supply fuel. The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vessels 100 and 200 becomes smaller, the length adjusting unit 70 recovers the flexible hose 30 to maintain the proper length.

본 실시예에 따르면, 크레인 없이 해상에서 벙커링 선박(100)의 가요성 호스(30)를 피공급 선박(200)으로 이동시켜 연료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환경 하중에 의해 두 선박(100, 200) 사이의 거리가 변할 때에도 길이 조절부(70)가 가요성 호스(30)의 풀림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연료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moothly supply fuel by moving the flexible hose 30 of the bunkering vessel 100 to the vessel to be supplied 200 at sea without a crane, and the two vessels 100 and 200 by the environmental load. The length adjusting part 70 can smoothly supply fuel by adjusting the release length of the flexible hose 30, even when the distance between ()) change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Naturally, it belongs to the range of.

100: 벙커링 선박 200: 피공급 선박
10: 연료 탱크 20: 제1 매니폴드
30: 가요성 호스 40: 승하강 장치
50: 갱웨이 장치 53: 체결부
61: 제1 시브 62: 제2 시브
70: 길이 조절부 130: 계류 장치
131: 진공 패드 132: 무어링 아암
100: bunkering vessel 200: supplied vessel
10: fuel tank 20: first manifold
30: flexible hose 40: lifting device
50: gangway device 53: fastening portion
61: first sheave 62: second sheave
70: length adjusting section 130: mooring device
131: vacuum pad 132: mooring arm

Claims (13)

제1 매니폴드를 통해 연료 탱크에 연결되어 연료를 이송하는 가요성 호스;
데크에 설치된 제1 지지대와, 상기 제1 지지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지지대에 대한 높이가 조절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승하강 장치;
상기 제2 지지대의 상측에 설치되며 피공급 선박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길이 확장과 길이 축소가 가능한 다단의 갱웨이와, 최후단 갱웨이에 제공되며 상기 가요성 호스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갱웨이 장치; 및
상기 데크에서 상기 제1 지지대에 이격 배치된 제1 시브와, 상기 제2 지지대의 측면에 설치된 제2 시브를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호스를 두 번 구부리는 곡률 유지부를 포함하는 벙커링 선박의 연료 공급장치.
A flexible hose connected to the fuel tank via a first manifold to transfer fuel;
A lifting device including a first support installed on the deck, and a second support positioned above the first support and having a height adjusted to the first support;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and includes a multi-stage gangway that can be extended in length and shorte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vessel to be supplied, and a fastening portion provided to the last gangway to detachably fix the flexible hose Gangway device; And
A fuel supply for a bunkering vessel including a first sheave spaced apart from the deck on the first support and a second sheav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cond support, the curvature holding portion bending the flexible hose twic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호스는 상기 제1 매니폴드와 상기 제1 시브 사이의 제1 수평부와, 상기 제1 시브와 상기 제2 시브 사이의 수직부와, 상기 제2 시브와 상기 체결부 사이의 제2 수평부를 포함하며, 에스(S)자 형태를 유지하는 벙커링 선박의 연료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lexible hose includes a first horizontal portion between the first manifold and the first sheave, a vertical portion between the first sheave and the second sheave, and a second portion between the second sheave and the fastening portion. A fuel supply apparatus for a bunkering vessel including a horizontal portion and maintaining an S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는 제1 구동부에 의해 상기 피공급 선박의 데크와 같은 높이로 상승하는 벙커링 선박의 연료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support is a fuel supply device for a bunkering vessel is raised by the first drive to the same height as the deck of the vessel to be f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갱웨이 장치는 상기 제2 지지대에 고정된 제1 갱웨이와, 축소 모드에서 상기 제1 갱웨이의 내부에 위치하고 확장 모드에서 상기 피공급 선박을 향해 상기 제1 갱웨이와 나란하게 펼쳐지는 제2 갱웨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갱웨이 중 확장 모드에서 상기 제1 갱웨이와 가장 멀리 떨어진 단부에 상기 체결부가 위치하는 벙커링 선박의 연료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gangway device may include a first gangway fixed to the second support and a first gangway positioned inside the first gangway in a collapsed mode and deployed side by side with the first gangway toward the supplied vessel in an expanded mode. Includes 2 gangways,
The fuel supply apparatus of the bunkering ship in which the fastening portion is located at the end farthest from the first gangway in the expansion mode of the second gangw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갱웨이는 확장 모드에서 상기 피공급 선박의 데크 위에 놓이고,
상기 가요성 호스는 상기 체결부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피공급 선박에 구비된 제2 매니폴드에 결합되는 벙커링 선박의 연료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gangway is placed on the deck of the fed vessel in expansion mode,
The flexible hose is a fuel supply device of a bunkering vessel is coupled to the second manifold provided in the vessel to be supplied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portion.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니폴드와 상기 제1 시브 사이에 설치되며, 벙커링 선박과 상기 피공급 선박의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가요성 호스의 풀림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벙커링 선박의 연료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fuel supply apparatus of the bunkering vessel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manifold and the first sheave, and further comprising a length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loosening length of the flexible hos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bunkering vessel and the supplied vesse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벙커링 선박과 상기 피공급 선박 사이의 거리를 계측하는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길이 조절부는 상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받은 두 선박 사이의 거리가 커질 때 상기 가요성 호스를 풀어내는 벙커링 선박의 연료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nd a control system for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bunkering vessel and the fed vessel,
The length adjusting unit is a fuel supply device of a bunkering ship to release the flexible hos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vessels received from the control system increas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부는 상기 가요성 호스의 일부를 위로 들어 올리는 작동기와, 상기 작동기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가요성 호스를 위에서 아래로 가압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기는 상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받은 두 선박 사이의 거리가 커질 때 수축 작동하는 벙커링 선박의 연료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ength adjusting part includes an actuator for lifting a part of the flexible hose upward, and a pair of elastic members disposed at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actuator and pressing the flexible hose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actuator is a fuel supply device for a bunkering vessel is contracte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vessels received from the control system increas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절부는 상기 가요성 호스의 일부를 위로 들어 올리는 제1 작동기 및 제2 작동기와, 상기 제1 작동기와 상기 제2 작동기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가요성 호스를 위에서 아래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작동기와 상기 제2 작동기는 상기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받은 두 선박 사이의 거리가 커질 때 수축 작동하는 벙커링 선박의 연료 공급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length adjusting part includes a first actuator and a second actuator for lifting a portion of the flexible hose upward, and an elastic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ctuator and the second actuator and pressing the flexible hose downward from the top. and,
The first actuator and the second actuator is a fuel supply device of the bunkering vessel is contracte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vessels received from the control system increases.
계류 장치를 이용하여 벙커링 선박을 피공급 선박에 계류시키는 단계;
최후단 갱웨이의 체결부에 가요성 호스의 단부를 결합시키고, 상기 피공급 선박의 데크와 같은 높이로 승하강 장치의 제2 지지대를 상승시키는 단계;
갱웨이 장치를 수평 방향으로 길이 확장시켜 상기 최후단 갱웨이가 상기 피공급 선박의 데크 위에 놓이도록 하고, 상기 가요성 호스의 단부를 상기 피공급 선박에 구비된 제2 매니폴드에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갱웨이 장치의 길이를 축소시키고, 상기 벙커링 선박의 연료를 상기 피공급 선박으로 하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벙커링 선박의 연료 공급방법.
Mooring the bunkering vessel to the vessel to be supplied using the mooring apparatus;
Coupling the end of the flexible hose to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last gangway and raising the second support of the elevating device to the same height as the deck of the fed vessel;
Extending a gangway device in a horizontal direction such that the last gangway lies on the deck of the fed vessel, and coupling an end of the flexible hose to a second manifold provided in the fed vessel; And
Reducing the length of the gangway device, and unloading the fuel of the bunkering vessel to the fed vesse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호스는 상기 길이 조절부와 상기 승하강 장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시브와, 상기 제2 지지대의 측면에 설치된 제2 시브에 의해 두 번 구부러지며 에스(S)자 형태를 유지하는 벙커링 선박의 연료 공급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flexible hose is bent twice by a first sheave positioned between the length adjusting part and the elevating device, and a second sheav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econd support, and a bunkering to maintain an S shape. How to supply fuel to the ship.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공급 선박과 상기 벙커링 선박 사이의 거리를 계측하고, 계측된 거리 변화에 따라 길이 조절부에서 상기 가요성 호스의 풀림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벙커링 선박의 연료 공급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Measuring a distance between the vessel to be fed and the bunkering vessel, and adjusting a loosening length of the flexible hose by a length adjusting unit according to the measured distance chang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 장치는, 힌지에 의해 결합된 제1 아암과 제2 아암을 포함하는 무어링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에 결합되며 진공 압에 의해 상기 피공급 선박의 선체에 흡착되는 진공 패드를 포함하고,
제어 시스템이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의 각도를 측정하여 두 선박 사이의 거리를 계측하고, 계측 결과를 상기 길이 조절부로 출력하는 벙커링 선박의 연료 공급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The mooring device comprises a mooring arm comprising a first arm and a second arm coupled by a hinge, and a vacuum pad coupled to the second arm and adsorbed to the hull of the fed vessel by vacuum pressure; ,
And a control system measures an angle between the first arm and the second arm to measure a distance between the two vessels, and outputs the measurement result to the length adjusting unit.
KR1020180074802A 2018-06-28 2018-06-28 Equipment and method for supply fuel of bunkering ship KR1021083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802A KR102108315B1 (en) 2018-06-28 2018-06-28 Equipment and method for supply fuel of bunkering sh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802A KR102108315B1 (en) 2018-06-28 2018-06-28 Equipment and method for supply fuel of bunkering shi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09A true KR20200001809A (en) 2020-01-07
KR102108315B1 KR102108315B1 (en) 2020-05-07

Family

ID=69153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802A KR102108315B1 (en) 2018-06-28 2018-06-28 Equipment and method for supply fuel of bunkering shi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31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043B1 (en) * 2020-03-11 2020-10-15 윤강희 Refueling device for ship
KR20220114824A (en) 2021-02-09 2022-08-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ower supplying system for bunkering of liquefied natural gas bunkering vesse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2875A (en) * 2011-11-03 2014-07-24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Fluid transfer hose manipulator and method of transferring a fluid
KR20140144827A (en) * 2013-06-12 2014-1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anifold device
KR20170054135A (en) * 2015-11-09 2017-05-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Lng transfer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2875A (en) * 2011-11-03 2014-07-24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Fluid transfer hose manipulator and method of transferring a fluid
KR20140144827A (en) * 2013-06-12 2014-1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Manifold device
KR20170054135A (en) * 2015-11-09 2017-05-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Lng transfer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043B1 (en) * 2020-03-11 2020-10-15 윤강희 Refueling device for ship
KR20220114824A (en) 2021-02-09 2022-08-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ower supplying system for bunkering of liquefied natural gas bunkering vess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315B1 (en)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0271B1 (en) Mooring system for a vessel
AU2005237929B2 (en) Side-by-side hydrocarbon transfer system
US5339760A (en) Apparatus for securing a vessel to a submersible mooring buoy
DK2389311T3 (en) Pre-load to reduce stresses and to save steel on the sides and the support gratings of the catamaran-plant
US4655641A (en) Apparatus for aligning a platform deck and jacket
KR20200001809A (en) Equipment and method for supply fuel of bunkering ship
GB2399329A (en) Mooring apparatus incorporating a semi-submersible floating dock
EP2499040B1 (en) A method of installing a buoy and apparatus for tensioning a buoy to an anchoring location
AU2008333240B2 (en) Hydrocarbon transfer system with a pivotal boom
US3499629A (en) Constant tension chain jack assembly
KR102095252B1 (en) Mooring apparatus
US10994812B2 (en) Device for coupling two boats
KR101301999B1 (en) Floating Body
US20130279982A1 (en) Watercraft Lift System
WO2003057556A1 (en) Multifunctional catamaran shape vessel
KR102530788B1 (en) Loading Arm System for Bunkering Liquefied Natural Gas
US346192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ffshore transfer of fluid
NL2031853B1 (en) Mooring device and mooring system
AU2012203233B2 (en) A method of installing a buoy and apparatus for tensioning a buoy to an anchoring location
JP2903733B2 (en) Oil loading and unloading tanker rescue ship
KR101301998B1 (en) Device for decreasing relative motion and Floating body thereof
US20100186650A1 (en) Preloading to reduce loads and save steel on topsides and grillage of catamaran systems
WO2001054968A1 (en) Floating lifting device
US20190144080A1 (en) Method for raising or lowering an object by davit apparatus with height adjustment feature
KR20110053741A (en) Anti-motion found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