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760U - Fire blanket - Google Patents

Fire blan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760U
KR20200001760U KR2020190000440U KR20190000440U KR20200001760U KR 20200001760 U KR20200001760 U KR 20200001760U KR 2020190000440 U KR2020190000440 U KR 2020190000440U KR 20190000440 U KR20190000440 U KR 20190000440U KR 20200001760 U KR20200001760 U KR 202000017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flame retardant
fire
fitting portion
pers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44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명화
Original Assignee
정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화 filed Critical 정명화
Priority to KR20201900004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760U/en
Publication of KR202000017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760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8/00Hand tool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fire-fighting, e.g. tool boxes
    • A62C8/06Fire-blank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현장에서 사용되는 개인용 방염포로서 방염소재로 이루어진 다각형 형태의 본체(11)와 본체(11)의 어느 한 면에 서로 마주보고 형성된 손끼움부(12)와 두개의 손끼움부(12)의 사이에 형성된 두개의 손끼움부(12)를 이은 선에 수직한 가상의 선상에 위치한 머리끼움부(13) 를 포함하여 화재시에 손끼움부(12)에 양손을 끼우고 머리끼움부(13)에 쓰고 몸을 덮음으로써 화재시에 불꽃과 열기를 피해 안전한 장소로 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onal flame retardant cloth used in a fire scene, and is formed by facing each other on either side of the main body 11 and the main body 11 made of a flame-retardant material, and the two hand fitting portions ( 12) In the event of a fire, place both hands on the hand fitting portion 12, including the head fitting portion 13 located on an imaginary line perpendicular to the line connecting the two hand fitting portions 12 formed between the two. By writing on the part 13 and covering the body, it is possible to move to a safe place avoiding flames and heat in case of fire.

Description

화재현장에서 사용되는 개인용 방염포{FIRE BLANKET}Personal fire retardant cloth used in the fire field{FIRE BLANKET}

본 고안은 화재 등에 사용되는 방염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me retardant cloth used in a fire or the like.

본 고안은 화재 등에 사용되는 방염포에 관한 것이다. 방염포는 불이 옮겨 붙기 어렵도록 제작된 천으로서 용접시 불꽃을 받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거나(welding blanket) 열보호, 절연보호 등의 목적으로 산업현장에서 사용하거나 소방관의 옷이나 캠핑에서 불울 피울 때 화재방지목적으로 사용하거나 일반 가정에서 화재 대피용으로 사용하는 천을 일컫는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me retardant cloth used in a fire or the like. Flame-retardant fabrics are fabrics that are designed to prevent fire from spreading, and are used to receive sparks when welding (welding blanket), used in industrial sites for the purpose of heat protection, insulation protection, etc. It refers to a fabric that is used for fire prevention purposes or used for evacuation of fire in ordinary homes.

이러한 방염포는 비스코스 레이온같은 아크릴 섬유를 소성탄화 시키거나 유리섬유, 카본섬유와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며 사용처에 따라 다양한 소재와 두께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섬유는 재질에 따라서 달라지지만 섭씨 400도내지 1200도 정도까지의 온도를 견딜 수 있도록 제작이 되며 용도에 따라 최대 허용온도나 순간 허용온도에 차이가 생기게 된다. These flame retardant fabrics are made by plasticizing an acrylic fiber such as viscose rayon or using a material such as glass fiber or carbon fiber, and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materials and thicknesse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In addition, these fibers vary depending on the material, but are manufactured to withstand a temperature of about 400 to 1200 degrees Celsius, and the maximum allowable temperature or instantaneous allowable temperature varie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최근에는 캠핑인구가 늘면서 캠프파이어나 바베큐를 위하여 숯이나 나무를 태웠을 때 일어날 수도 있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서 평평한 형태의 천모양의 방염포가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염포는 캠핑 때 뿐 아니라 집안에서 화재가 발생할 때를 대비하여 가정에서도 한 두개씩을 비치하고 있는 경우가 종종있다. In recent years, as the camping population has increased, flat cloth-like flame retardants have been distributed to extinguish fires that may occur when burning charcoal or wood for campfires or barbecues. It is often the case that you have one or two in your home in case the event occurs.

그런데 방염포는 화재 발생시에 초기 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화재가 발생한 영역을 방염포로 덮어서 공기를 차단하여 화재가 번지기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초기진압이 가능한 상태를 넘어서 건물 내에서 이미 화재가 번져서 대피가 필요한 경우에는 그다지 쓸모가 없게 된다. By the way, the flame retardant fabric is manufactured to extinguish the initial fire in the event of a fire, and covers the area where the fire has occurred with a flame retardant fabric to block the air and prevent the fire from spreading. If is necessary, it becomes useless.

대신에 방염포를 뒤집어 쓴 상태로 사용을 할 수도 있는데 일반 천보다는 방염에 효과적이기는 하지만 방염포를 뒤집어 쓴 상태에서는 양손으로 방염포를 잡아야 하기 때문에 손을 사용하기가 어려우며 문이나 창문을 열거나 탈출에 필요한 물건을 잡거나 하는 동작을 할 때 문의 손잡이가 굉장히 뜨거울 수 있어 방염포를 덮고 그 위로 문 손잡이를 잡거나 하여야 하는데 방염포가 손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문의 손잡이를 잡거나 하면 급박한 상황에서 방염포가 흘러내리거나 당황하여 방염포 없이 잡거나 하여 화상을 입을 수도 있다. Instead, you can use it with the flame-retardant upside down, but it is more effective than flame-retardant cloth, but it is difficult to use your hand because it requires you to hold the flame-retardant cloth with both hands. The handle of the door may be very hot when you are holding the necessary objects for the operation, so you need to cover the flame retardant cloth and hold the door handle on top of it. If you hold the handle of the door while the flame retardant is not fixed to your hand, the flame retardant flows in an emergency. You may get burned by falling or panicking and catching it without a flame retardant.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초기화재에는 화재 진압용으로 사용하며 화재가 번져 가고 있어 대피가 필요한 상태에서는 대피할 때 화재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염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s used for fire suppression in the initial material, and fire is spreading. In case of evacuation, fire protection is used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body from fire when evacuating. It aims at providing a canno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화재현장에서 사용되는 개인용 방염포를 제공하는데 방염소재로 이루어진 다각형 형태의 본체(11)와 본체(11)의 어느 한 면에 서로 마주보고 형성된 손끼움부(12)와 두개의 손끼움부(12)의 사이에 형성된 두개의 손끼움부(12)를 이은 선에 수직한 가상의 선상에 위치한 머리끼움부(13) 를 포함하여 화재시에 손끼움부(12)에 양손을 끼우고 머리끼움부(13)에 쓰고 몸을 덮음으로써 화재시에 불꽃과 열기를 피해 안전한 장소로 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To provide a personal flame retardant cloth used in a fire scene, a polygonal body 11 made of a flame retardant material and a hand fitting portion 12 and two hand fitting portions 12 formed facing each other on either side of the body 11 ) Between the two hand-fitting parts 12 formed in between, including the head-fitting part 13 located on an imaginary line perpendicular to the line connecting the hand-fitting parts 12 in the event of a fire, By writing on (13) and covering the body, it is possible to move to a safe place avoiding flames and heat in case of fire.

화재현장에서 사용되는 개인용 방염포로서, 손끼움부(12)와 머리끼움부(13)는 본체(11)의 모서리와 변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As a personal flame retardant cloth used in a fire scene, the hand fitting portion 12 and the head fitting portion 13 may be formed adjacent to any one of the corners and sides of the main body 11.

손끼움부(12)와 머리끼움부(13)는 본체(11)의 모서리와 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모서리와 변중 어느 하나에는 덧댐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The hand-fitting portion 12 and the head-fitting portion 13 ar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any one of the corners and sides of the main body 11 so that the pad portion 14 may be formed on either of the edges and sides.

덧댐부(14)는 손끼움부(12)와 머리끼움부(13)의 면에 결합되는 것 일 수 있다. The padding portion 14 may be coupled to the surfaces of the hand fitting portion 12 and the head fitting portion 13.

본체(11)의 양쪽 면에는 암수로 결합하는 결합수단이 각각 형성되는데 다수개의 본체(11)를 이어서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수단이 좌우, 상하면으로 나누어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1, coupling mean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 respectively formed, and the coupling means may b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and upper and lower surfaces so that a plurality of main bodies 11 can be subsequently joined.

손끼움부는 장갑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tting par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glov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화재시 안전한 대피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safe evacuation in case of fire.

도1내지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1 to 4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에 도시된 방염포의 본체(11)는 전체적으로 4각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세군데의 모서리에 손과 머리를 끼우기 위한 손끼움부(12)와 머리끼움부(13)가 형성된다. 손끼움부(12)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머리끼움부(13)는 한 쌍의 손끼움부(12)를 양쪽으로 분할 하는 선위 에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방염포의 본체(11)의 형상은 4각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손끼움부(12)와 머리끼움부(13)를 형상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Below.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show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1 of the flame retardant fabric shown in FIG. 1 has a quadrangular shape as a whole, and a hand fitting portion 12 and a head fitting portion 13 are formed at three corners to fit the hand and head. The hand-fitting portion 12 is formed at posit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the head-fitting portion 13 may be on a line dividing the pair of hand-fitting portions 12 on both sides. However, the shape of the main body 11 of the flame retardant fabric is not limited to a quadrangular shape, and any shape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form the hand fitting portion 12 and the head fitting portion 13.

본 고안에 따른 방염포의 본체(11)는 화재 발생시에 양쪽의 손끼움부(12)에 손을 끼워 넣고 머리끼움부(13)에는 머리를 끼워 넣은 상태로 사용하며 불길이 심한 경우에는 양쪽 팔을 감아 몸과 얼굴을 감싸도록 하여 화재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열과 불꽃이 직접 닿지 않도록 한다. The main body 11 of the flame retardant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state in which a hand is inserted into both hand fitting portions 12 in the event of a fire, and the head is put into the head fitting portion 13, and when the flame is severe, both arms Wrapped around the body and face so that heat and flames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user in a fire situation.

불길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양쪽 팔을 펼쳐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손끼움부(12)에 손을 끼운 상태이기 때문에 방염포를 잡고 있을 필요가 없으며 방염포를 사물과 손의 중간에 놓은 상태에서 사물을 잡을 수 있게 된다. 화재상황에서는 금속 같은 것은 순식간에 뜨거워지기 때문에 맨손으로 잡다가 화상을 입을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손끼움부(12)에 손을 넣은 상태에서 방염포의 안쪽이나 바깥쪽부분이 사물에 닿은 상태에서 사물에 손을 대도록 하기 때문에 화상을 입을 가능성이 줄어들게 된다. If the flame is not severe, the space can be secured by spreading both arms, and there is no need to hold the flame retardant because it is in a state where the hand is inserted into the hand part 12, and the object is in a state where the flame retardant cloth is placed between the object and the hand. You will be able to catch. In a fire situation, metals, etc., quickly become hot and can cause burns while holding with your bare hands, but in the present design, the inner or outer part of the flame retardant cloth is placed on the object while it is in contact with the object. Because you put your hands on it, you are less likely to get burned.

또한 사물을 잡기 위하여 방염포를 놓을 필요가 없으며 한쪽 팔로는 몸과 얼굴을 가리고 다른 쪽 팔로는 손잡이나 물건을 잡아도 불꽃의 영향을 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방염포에 의해서 몸과 얼굴이 보호가 되는 상태가 되어 화재 현장에서 빠른 탈출을 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place a flame retardant to catch objects, and the body and face are protected by a flame retardant because the body and face are covered by one arm and the handle or object is held by the other arm. Will be able to quickly escape from the fire scene.

화재현장에서 요구조자가 쉽사리 움직이지 못하는 것은 불길 속에서 자신의 몸을 지킬 수단이 없기 때문이며 쉽게 움직이지 못하다가 탈출할 수 있는 시기를 놓치기가 쉬운데 본 고안에서와 같은 방염포로 몸을 보호할 수 있게 되면 화재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명피해를 더 많이 줄 일 수 있게 된다. The reason why the demanding helper cannot move easily in the fire scene is because there is no means to protect one's body in the flames, and it is easy to miss the time to escape after not being able to move easily. It will reduce the number of human casualties that can occur in a fire scene.

최근의 아파트에는 화재를 대비한 대피공간이 가구마다 설치가 되는데 화재시의 불길 때문에 대피공간까지의 대피도 어려운 경우도 종종 생기지만 본 고안에 의한 방염포에 의하는 경우 짧은 거리의 이동이라면 웬만큼 화염이 크지 않고서는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화재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피해 호흡이 가능한 장소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것만으로도 많은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게 된다. In recent apartments, evacuation spaces in case of fire are installed for each household, but it is often difficult to evacuate to the evacuation space due to the flames in case of fire. Since it is possible to move without being larg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lot of human damage by simply moving quickly to a place where breathing is possible, avoiding harmful gases generated during a fire.

본 고안에 따른 손끼움부(12)는 양쪽 끝단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모서리에 가까운 양쪽 변을 이어 손을 끼울 수 있는 부분을 만드는데 외부에서 보았을 때 직선 형태나 곡선 형태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도2에는 여러가지 형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4각형이나 원형 혹은 다각형 형상의 방염포 본체에 손끼움부(12)와 머리끼움부(13)를 형성하는데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손끼움부(12)와 머리끼움부(13)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2의 (a)에서 손끼움부(12)와 머리끼움부(13)는 일자 형태로 형성이 되어 있으며 3개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b)에서는 (a)에서와 위치는 같지만 외곽인 둥근 형태로 형성이 되어 있으며 (c)에서는 직선형으로 형성이 되어 있지만 모서리가 아니라 본체(11)의 좀 더 안쪽에 형성이 되어 있다. 이 경우 모서리 쪽으로 남는 덧댐부(14)가 형성이 될 수 있으며 덧댐부(14)는 손끼움부(12)나 머리끼움부(13)쪽으로 접어서 고정을 시킴으로써 손이나 머리를 한번 더 감싸도록 할 수 있다. (d)는 손끼움부와 머리끼움부를 원형으로 형성한형태를 도시하며 (e)는 6각형형태의 본체의 예를 도시한다 어떠한 형태의 다각형이라도 손끼움부(12)와 머리끼움부(13)를 모서리나 변 부분에 형성하거나 좀더 중심쪽에 가깝게 형성하여 덧댐부(14)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The hand-fitting part 1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at the corners of both ends, and may be formed to have a straight shape or a curved shape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making a part that can be worn by connecting both sides close to the edge. . 2 shows various types of embodiments. Forming a hand-fitting portion 12 and a head-fitting portion 13 in a tetragonal, circular or polygonal flame-retardant body, the hand-fitting portion 12 and the head-fitting portion 13 are various types as shown in FIG. 2. It can be formed of. In Figure 2 (a), the hand fitting portion 12 and the head fitting portion 13 are formed in a straight shape and are formed at three corner portions. In (b), the position is the same as in (a), but it is formed in an outer round shape, and in (c) it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but not in the corner, but in the inner part of the body 11 more. In this case, the pad portion 14 remaining toward the corner may be formed, and the pad portion 14 may be wrapped around the hand portion 12 or the head portion 13 to fix the hand or head once more. have. (d) shows a form in which the hand-fitting portion and the head-fitting portion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e) shows an example of a hexagonal-shaped main body. It may be formed in the corner or side portion or formed closer to the center to form the pad 14.

또한, 손끼움부(12)의 안쪽에는 고리(15)를 형성하여 고리(15)를 잡고 손끼움부(12)를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방염포를 쉽게 놓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방염포를 움직일 때 방염포에는 직접 손이 닿지 않아 화재의 열기운이 손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고리(15)가 없는 경우 방염포를 꽉 잡고 있을 수가 없기 때문에 손끼움부(12)를 형성함으로써 손이 잘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도 손이 빠질 수 있기 때문에 손끼움부(12) 내부에서 잡을 수 있는 고리(15)를 만들어 줌으로써 일부러 빼지 않는 한 손이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3에 이러한 형태가 도시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ame retardant from being easily missed by forming the ring 15 inside the hand fitting portion 12 to hold the ring 15 and move the hand fitting portion 12. In addition, when moving the flame retardant fabric, the flame retardant fabric may not be directly touched, so that the heat of fire of the fire is not directly touched. If there is no ring 15,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and from falling out easily by forming the hand-fitting portion 12 because the flame-retardant cloth cannot be grasped tightly. By making the catchable ring 15,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and from falling unless it is intentionally removed. Figure 3 shows this form.

또한, 손끼움부(12)는 모서리에서 보다 중심쪽으로 형성이 되도록 하여 덧댐부(14)를 형성하고 덧댐부(14)를 손끼움부(12)의 아래쪽이나 위쪽으로 붙여 벨크로등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손의 바닥과 손등면을 보호하면서도 손으로 물건을 잡는 동작을 하여도 열기로부터 손을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머리끼움부(13)도 덧댐부(14)를 형성하여 머리쪽으로 한겹 더 덧대는 효과를 가져와 머리를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머리끼움부(13)의 덧댐부(14)는 고정시키지 않고 머리쪽으로 늘어뜨리도록 하여 얼굴을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nd fitting portion 12 is formed to be formed toward the center from the corner to form a padding portion 14, and attaching the padding portion 14 to the bottom or top of the hand fitting portion 12 to fix the hand with Velcro. While protecting the bottom and back of the hand,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hand from heat even if the hand is held by an object. The head fitting portion 13 also forms the padding portion 14 to bring the effect of padding one more side toward the head to protect the head. In addition, the padding portion 14 of the head fitting portion 13 can be secured to the face by hanging it toward the head without fixing.

도4는 이러한 예를 도시한다. 도4에서 손끼움부(12)는 모서리쪽이 아닌 방염포의 양쪽 변에서 안쪽으로 조금 더 들어온 위치에 자리잡고 있다. 또한 손끼움부(12)의 바깥쪽에는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있어 옆면이나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덧댐부(14)에 형성된 또 다른 결합수단과 결합하여 손끼움부(12)의 바깥쪽에서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이 되면 손등과 손바닥쪽이 모두 방염포에 의해서 보호될 수 있기 때문에 손을 이용하여 문을 열거나 물건을 집어도 화상을 입을 가능성이 줄어들게 된다. 4 shows this example. In FIG. 4, the hand-fitting portion 12 is located at a position that is slightly inward from both sides of the flame retardant cloth, not toward the corner. In addition, the coupling means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tting part 12, and is combined with another coupling means formed on the padding part 14 formed on the side surface or the corner part to be coupled from the outside of the fitting part 12. When combined, both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palm of the hand can be protected by a flame retardant cloth, thus reducing the possibility of burns even if you open the door or pick up an object using your hand.

또한, 손끼움부(12)를 장갑의 형태로 형성하고 방염포의 모서리나 한쪽 변의 일부가 장갑의 바닥쪽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장갑을 손에 끼고 움직이더라도 방염포와 장갑으로 손을 보호하는 상태에서 사물을 만질 수 있기 때문에 화재발생시 화상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nd-fitting portion 1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glove, and a portion of one edge or one side of the flame retardant cloth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side of the glove. In this case, even if the glove is worn in the hand, the object can be touched in a state in which the hand is protected with a flame retardant cloth and gloves, thereby reducing burns in the event of a fire.

또한, 방염포의 안쪽에는 주머니(16)를 두어 화재시에 사용할 수 있는 마스크, 고글, 물통 등을 보관하도록 할 수 있다. 화재시에 불길만큼이나 위험한 것이 유해가스인데 방염포로 온몸을 감싸면서 얼굴과 입도 감싸도록 할 수 있지만 마스크로 직접적으로 코와 입을 보호하게 되면 방염포만으로 감싸는 것보다 효율적으로 가스를 막을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pocket 16 may be placed inside the flame retardant fabric to store a mask, goggles, and a bucket that can be used in case of fire. Hazardous gases are as dangerous as flames during a fire, but you can wrap your whole body with a flame retardant to cover your face and mouth, but if you protect your nose and mouth directly with a mask, you will be able to stop the gas more efficiently than with a flame retardant.

또한, 본체(11)의 양쪽 끝단의 아래쪽이나 위쪽에는 여러개의 본체(11)를 연이어 결합할 수 있는 결합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오른쪽의 위쪽과 왼쪽의 아래쪽에 암수결합이 되는 결합수단을 각각 형성하면 여러개의 본체(11)를 이어서 좀 더 큰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여러 개의 본체(11)를 잇는 경우 보다 큰 공간이 만들어 질 수 있어 혼자서 방염포를 컨트롤 할 수 없는 유아가 있는 경우 어른 두명이 유아한명을 가운데에 두고 보호하거나 좀더 큰 방염포로 두명이 함께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coupling means capable of connecting a plurality of bodies 11 in series may be formed below or above both ends of the body 11. For example, if the coupling mean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 formed on the upper right and the lower left, each of the main bodies 11 can be formed into a larger shape. If several bodies 11 are connected, a larger space can be created, so if there are infants who cannot control the flame retardant alone, two adults should protect one infant in the middle or use two with a larger flame retardant. Can.

11: 본체 12: 손끼움부
13: 머리끼움부 14: 덧댐부
15: 고리 16: 주머니
11: main body 12: fitting part
13: fitting part 14: padding part
15: loop 16: pocket

Claims (6)

화재현장에서 사용되는 개인용 방염포로서,
방염소재로 이루어진 다각형 형태의 본체(11)와
본체(11)의 어느 한 면에 서로 마주보고 형성된 손끼움부(12)와
두개의 손끼움부(12)의 사이에 형성된 두개의 손끼움부(12)를 이은 선에 수직한 가상의 선상에 위치한 머리끼움부(13) 를 포함하여
화재시에 손끼움부(12)에 양손을 끼우고 머리끼움부(13)에 쓰고 몸을 덮음으로써 화재시에 불꽃과 열기를 피해 안전한 장소로 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화재현장에서 사용되는 개인용 방염포
As a personal flame retardant cloth used in fire scenes,
Polygonal body 11 made of flame retardant material an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 facing each other and formed with the hand fitting portion 12
Including the head fitting portion 13 located on a virtual line perpendicular to the line connecting the two hand fitting portions 12 formed between the two hand fitting portions 12
It is used for personal use in the fire scene, by placing both hands on the hand-fitting part 12 in the event of a fire and wearing it on the head-fitting part 13 to cover the body, so that it can be moved to a safe place avoiding flames and heat in the event of a fire. Flame retardant
제1항에 있어서,
화재현장에서 사용되는 개인용 방염포로서, 손끼움부(12)와 머리끼움부(13)는 본체(11)의 모서리와 변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여 형성된, 화재현장에서 사용되는 개인용 방염포
According to claim 1,
As a personal flame retardant cloth used in a fire scene, the hand-fitting portion 12 and the head-fitting portion 13 are formed adjacent to any one of the corners and sides of the body 11, and the personal flame retardant fabric used in the fire scene
제1항에 있어서. 손끼움부(12)와 머리끼움부(13)는 본체(11)의 모서리와 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모서리와 변중 어느 하나에는 덧댐부(14)가 형성된. 화재현장에서 사용되는 개인용 방염포The method of claim 1. The hand-fitting part 12 and the head-fitting part 13 are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any one of the corners and sides of the main body 11, and the padding part 14 is formed on one of the corners and sides. Personal flame retardant cloth used in fire sites 제3항에 있어서, 덧댐부(14)는 손끼움부(12)와 머리끼움부(13)의 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현장에서 사용되는 개인용 방염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pad portion (14) i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surfaces of the hand-fitting portion (12) and the head-fitting portion (13), a personal flame retardant cloth used in a fire scene. 제4항에 있어서, 본체(11)의 양쪽 면에는 암수로 결합하는 결합수단이 각각 형성되는데 다수개의 본체(11)를 이어서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수단이 좌우, 상하면으로 나누어 배치되는, 화재현장에서 사용되는 개인용 방염포According to claim 4,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1) are formed with coupling mean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wherein the coupling means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and upper and lower surfaces so that a plurality of main bodies (11) can be subsequently joined, at a fire scene. Personal flame retardant used 제1항내지 제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손끼움부는 장갑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화재현장에서 사용되는 개인용 방염포
The personal flame retardant cloth used in a fire sce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fitting part is formed in the form of gloves.
KR2020190000440U 2019-01-29 2019-01-29 Fire blanket KR2020000176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40U KR20200001760U (en) 2019-01-29 2019-01-29 Fire blan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40U KR20200001760U (en) 2019-01-29 2019-01-29 Fire blank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760U true KR20200001760U (en) 2020-08-06

Family

ID=72038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440U KR20200001760U (en) 2019-01-29 2019-01-29 Fire blan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760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8308A (en) Heat and fire resistant respiratory filtration mask
KR100899991B1 (en) Protection against heat fabric laminated structure of heatproof clothes and a one body type heatproof clothes
US20170225016A1 (en) Firefighter Hood with Protective Flap
JP2010133772A (en) Protective clothing
WO2008140701A2 (en) Flameproof, heat resistant, one-piece escape suit
KR20170048809A (en) Portable somke and insulation mask which is possible suppling air
KR200481506Y1 (en) multi-functional fire-resistive blanket
CN208372324U (en) A kind of breathing mask for fire-fighting emergent escape
KR20200001760U (en) Fire blanket
KR20100001153U (en) A mask for preventing scald
KR20170001849U (en) Cover type fire blanket having hood
CN206433792U (en) A kind of protective garment of Antistatic flame-retardant oil-resistant water repellent
CN212661110U (en) Novel high-efficient fire prevention, apron of putting out a fire
GR2003168Y (en) Fire protection mask with face filter
CN206566381U (en) A kind of fire-fighting proximity suit
CN208048067U (en) A kind of heat-insulated temperature adjustment fireproof garment
JP2003325228A (en) Disaster prevention backpack
CN203777524U (en) Heat insulation anti-asphyxia rescue capsule
CN216257788U (en) Protection device for welding
CN208611621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fire extinguishing protective garment
JP2019187972A (en) Hood
CN211752006U (en) Environment-friendly kitchen fire extinguisher
CN215531779U (en) Safe flame-retardant protective clothing
CN210159102U (en) Heat-insulation firefighter uniform
CN209883522U (en) Improved fireproof s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