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691A - Smart key syste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mart key system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691A
KR20200001691A KR1020180074475A KR20180074475A KR20200001691A KR 20200001691 A KR20200001691 A KR 20200001691A KR 1020180074475 A KR1020180074475 A KR 1020180074475A KR 20180074475 A KR20180074475 A KR 20180074475A KR 20200001691 A KR20200001691 A KR 20200001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battery
vehicle
battery
module
contro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4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9038B1 (en
Inventor
윤정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4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038B1/en
Publication of KR20200001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6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0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A smart key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application module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and applying a signal to a vehicl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 control module which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a signal applied from the signal application module and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a vehicle door when us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a power supply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module; and an emergency power supply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module or the power supply module when power is not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module to the control module.

Description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SMART KEY SYSTEM FOR VEHICLE}Smart Key System for Vehicles {SMART KEY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방전시에도 기계식 키 없이 차량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key system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key system for a vehicle that can open and close the door of the vehicle without a mechanical key even when the vehicle is discharged.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사용자가 자동차에 구비되는 기계식 키홀에 키를 삽입하여 도어를 개폐하거나 엔진을 구동하도록 형성된다. 최근에는 다양한 방식의 스마트키 시스템이 적용되어 기계식 키 없이도 차량에의 출입 및 엔진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었다.In general, a vehicle is formed such that a user inserts a key into a mechanical keyhole provided in the vehicle to open or close a door or drive an engine. Recently, the smart key system of various methods has been applied to enable easy access to the vehicle and engine driving without a mechanical key.

구체적으로 스마트키 시스템은 운전자가 별도의 키의 조작이나 리모컨의 조작 없이 도어 락을 해제하는 방식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전자가 스마트키를 소지하고 차량의 일정 반경 이내에 있는 경우, 스마트키에서 인증 코드 등의 신호를 송신하고, 자동차 내의 사용자 인증장치에서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반하여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도어의 락이 해제되는 방식이다.Specifically, the smart key system refers to a method in which the driver releases the door lock without a separate key operation or a remote control operation. More specifically, when the driver possesses the smart key and is within a certain radius of the vehicle, the smart key transmits a signal such as an authentication code, and the us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mart key in the user authentication device in the vehicle. When the door is automatically unlocked.

하지만, 종래의 스마트키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스마트키를 소지하지 않은 경우, 차량 도어를 개폐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스마트키를 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거쳐 차량 도어를 개폐하는 방식이 소개되었다. 그러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차량 도어를 개폐하는 경우에도 차량 배터리가 방전된 상태에서는 자동으로 도어를 개폐할 수 없었으며, 차량 배터리가 방전된 상태에서 도어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기계식 키를 이용하여 개폐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기계식 키를 지참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mart key system, when the user does not have the smart key,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vehicle door cannot be opened and closed. To improve this, a method of opening and closing a vehicle door through user authentication using a user's smart phone, etc. has been introduced even without a smart key. However, even when the vehicle door was opened and closed using a smartphone, the door could not be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when the vehicle battery was discharged. There was no need for the user to have a mechanical key.

KR 10-2012-0102414 A1KR 10-2012-0102414 A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차량 배터리의 방전으로 차량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모듈로 전원공급이 불가능한 경우, 비상전원공급 모듈을 통해 차량의 배터리 또는 제어모듈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기계식 키 없이도 차량 배터리의 방전시에 차량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door due to the discharge of the vehicle battery is impossible, the power supply to the battery or control module of the vehicle through the emergency power supply modul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key system for a vehicle that can open and close a vehicle door when the vehicle battery is discharged without a mechanical key.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은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차량에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인가 모듈; 상기 신호인가 모듈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모듈; 및 상기 전원공급 모듈에서 상기 제어모듈로 전원공급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제어모듈 또는 상기 전원공급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공급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mart key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ignal applying module for applying a signal to the vehicl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 control module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a signal applied from the signal applying module, and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door when us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A power supply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module; And an emergency power supply module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module or the power supply module when power is not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module to the control module.

상기 전원공급 모듈은 메인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modu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ain battery and an auxiliary battery.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메인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시켜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값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보조 배터리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a charging stat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auxiliary battery; And an auxiliary battery controller configured to charge the auxiliary battery by using the power of the main battery to maintain the charging state of the auxiliary battery above a preset value.

상기 보조 배터리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값 이하가 될 시, 상기 보조 배터리가 완충되도록 할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controller may allow the auxiliary battery to be fully charged when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based on a monitoring result of the monitoring unit.

상기 보조 배터리 제어부는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충전상태에 따라 온/오프될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controller may be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charging stat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auxiliary battery.

상기 보조 배터리 제어부는 상기 메인 배터리가 사전 설정된 값 이하가 되고, 상기 보조 배터리가 완충되면 오프될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controller may be turned off when the main battery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and the auxiliary battery is fully charged.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상태가 사전 설정된 값 이하가 될 시, 상기 보조 배터리를 상기 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is less than a preset value, the switching uni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auxiliary battery with the control module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보조 배터리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상기 보조 배터리와 상기 제어모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온될 수 있다.The auxiliary battery controller may be turned on when the auxiliary battery and the control modul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switching unit.

상기 신호인가 모듈은 스마트키 및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applying modul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mart key and a smart phone.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배터리의 방전으로 차량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모듈로 전원공급이 불가능한 경우, 비상전원공급 모듈을 통해 차량의 배터리 또는 제어모듈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기계식 키 없이도 차량 배터리의 방전시에 차량 도어를 개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 및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power cannot be supplied to the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door by discharging the vehicle battery, the vehicle battery is discharged without a mechanical key by supplying power to the vehicle battery or the control module through the emergency power supply module. The vehicle door may be opened and closed at the time,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and system stability.

또한, 스마트키 시스템에서 기계식 키를 삭제함으로써 스마트키의 디자인의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degree of freedom of design of the smart key by deleting the mechanical key in the smart key system.

아울러, 기계식 키와 함께 기계식 키에 따라 작동되는 기계식 액츄에이터 등을 삭제함으로써 차량의 무게를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vehicle by deleting the mechanical actuator and the like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mechanical key together with the mechanical ke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에서, 메인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스위칭부를 통해 보조 배터리와 제어모듈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에서 보조 배터리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vehicle smart ke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auxiliary battery and a control modul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switching unit in a vehicle smart ke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in battery is discharged.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smart key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n auxiliary battery in a vehicle smart ke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smart key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메인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스위칭부를 통해 보조 배터리와 제어모듈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에서 보조 배터리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vehicle smart ke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tate in which the secondary battery and the control module is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switching unit when the main battery is discharged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vehicular smart ke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to control the auxiliary battery in a vehicular smart ke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roces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은 신호인가 모듈(100), 제어모듈(200), 전원공급 모듈(300) 및 비상전원공급 모듈(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모니터링부(500), 보조 배터리 제어부(600) 및 스위칭부(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의 세부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1, a vehicle smart ke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gnal application module 100, a control module 200, a power supply module 300, and an emergency power supply module 400. The control unit 500 may further include a monitoring unit 500, an auxiliary battery control unit 600, and a switching unit 700. 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vehicle smart ke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신호인가 모듈(100)은 통신부를 포함하며 통신부를 통해 차량에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신호인가 모듈(100)은 스마트키 및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신호인가 모듈(100)의 통신부는 실시예에 따라 블루투스, NFC 및 RF 등을 포함하는 통신모듈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블루투스, NFC 및 RF 등을 포함하는 통신부가 구비된 스마트키 또는 스마트폰에서 해당 통신부를 통해 차량의 고유ID 정보 등을 포함하는 신호를 차량에 인가할 수 있다.The signal applying module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and may apply a signal to the vehicl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ignal applying module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smart key and a smart phone, and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signal applying module 100 may include communication including Bluetooth, NFC, RF, etc.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may be a module. In other words, a smart key or a smart phone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Bluetooth, NFC and RF may apply a signal including unique ID information of the vehicle to the vehicle through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unit.

제어모듈(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인가 모듈(100)로부터 차량의 고유 ID 정보 등을 포함하는 신호가 인가되면, 인가된 신호의 정보와 사전 저장된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인가된 신호의 정보와 사전 저장된 인증정보가 일치하여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차량 도어(8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모듈(200)은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차량 도어(800)를 개폐하는 래치(latch)(미도시), 래치를 구동하는 전자식 액츄에이터(미도시) 등을 제어함으로써 차량 도어(800)의 개폐의 제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 signal including unique ID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applied from the signal applying module 100, the control module 200 may perform user authentication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of the applied signal with pre-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have. In addition,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by matching the information of the applied signal with pre-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door 800 may be controlled. Here,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the control module 200 controls a latch (not show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ehicle door 800, an electronic actuator (not shown) for driving the latch, and the like. Can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에는 신호인가 모듈(100)과의 무선 통신을 위한 다수의 안테나 등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모듈(200)은 차량에 설치된 다수의 안테나 등을 통해 신호인가 모듈(100)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신호를 사전에 저장된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전에 저장된 인증정보란 자동차의 고유 ID 정보, 사용자 정보 등일 수 있다. 즉, 신호인가 모듈(100)로부터 인가된 자동차의 고유 ID 정보 등의 신호가 사전 저장된 인증정보와 일치하면, 제어모듈(200)은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차량 도어(800)를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마트키를 포함하는 신호인가 모듈의 구성 및 작용은 널리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vehicle to which the smart key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ntennas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ignal applying module 100. In other words, the control module 200 may receive a signal applied from the signal applying module 100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compare the signal with previously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perform user authentication. . Her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may be unique ID information of the vehicle, user information, and the like. That is, when a signal such as unique ID information of the vehicle applied from the signal applying module 100 matches the pre-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control module 200 determines that us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and opens and closes the vehicle door 800. Can be. Sinc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ignal applying module including the smart key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well known technique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전원공급 모듈(300)은 제어모듈(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전원공급 모듈(300)은 메인 배터리(310) 및 보조 배터리(3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 모듈(300)이 메인 배터리(310) 및 보조 배터리(320)로 구성된 경우, 메인 배터리(310)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값 이상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배터리(310)를 통해 제어모듈(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메인 배터리(310)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값 이하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부(700)를 통해 보조 배터리(320)와 제어모듈(20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보조 배터리(320)를 통해 제어모듈(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module 300 serves to supply power to the control module 20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module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main battery 310 and the auxiliary battery 320. 1 and 2, when the power supply module 300 includes the main battery 310 and the auxiliary battery 320,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310 is a preset value. If it is above, as shown in FIG. 1,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control module 200 through the main battery 310. If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310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switching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The auxiliary battery 320 and the control module 2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unit 700 to supply power to the control module 200 through the auxiliary battery 320.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에서, 메인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메인 배터리가 정상인 경우), 메인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메인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메인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메인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에 따른 본 발명의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의 세부 구성의 작동 및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의 작동 과정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the vehicle smart ke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when the main battery is normal), when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preset value (if the main battery is discharged) In the operation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smart ke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vehicle smart key system according to the case where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auxiliary battery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when the main battery and the auxiliary battery are discharged).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먼저, 메인 배터리(310)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는 메인 배터리(310)를 통해 제어모듈(20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며, 모니터링부(500)를 통해 메인 배터리(310) 및 보조 배터리(320)의 충전 상태가 모니터링 될 수 있다. 즉, 메인 배터리(310)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신호인가 모듈(100)에서 신호를 인가하여 차량의 출입을 시도하면, 메인 배터리(31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제어모듈(200)에서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쳐 차량 도어(8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First, when the charging state of the main battery 31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control module 200 through the main battery 310, and the main battery 310 and the monitoring unit 500 may be supplied. The charging state of the auxiliary battery 320 may be monitored. That is, when the charging state of the main battery 31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when the signal application module 100 attempts to enter and exit the vehicle, the control module 200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main battery 310. In and through the user authentication process can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door (800).

아울러, 보조 배터리 제어부(600)는 모니터링부(500)를 통해 모니터링된 보조 배터리(320)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값 이하가 되면, 메인 배터리(310)의 전원을 이용하여 보조 배터리(320)를 충전시켜 보조 배터리(320)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값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harging state of the auxiliary battery 320 monitored by the monitoring unit 500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auxiliary battery controller 600 uses the power of the main battery 310 to operate the auxiliary battery 320. By charging, the charging state of the auxiliary battery 320 may be maintained above a preset value.

다시 말해, 메인 배터리(310)가 정상 상태인 경우, 모니터링부(500)에서 메인 배터리(310) 및 보조 배터리(320)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 하며, 보조 배터리 제어부(600)는 모니터링부(500)의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보조 배터리(320)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값 이하가 되면, 메인 배터리(310)의 전원을 이용하여 보조 배터리(320)가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보조 배터리(320)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값 이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main battery 310 is in a normal state, the monitoring unit 500 monitors the charging states of the main battery 310 and the auxiliary battery 320, and the auxiliary battery controller 600 monitors the charging unit 500. When the state of charge of the auxiliary battery 320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auxiliary battery 320 is charged using the power of the main battery 310, thereby charging the auxiliary battery 320. You can keep the state above a preset value.

두번째로, 메인 배터리(310)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부(700)를 통해 보조 배터리(320)와 제어모듈(20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보조 배터리(320)를 통해 제어모듈(200)에 전원을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배터리(310)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는 메인 배터리(310)가 방전된 경우로써 메인 배터리(310)에서 제어모듈(200)로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여 신호인가 모듈(100)로부터 인가된 신호의 인증을 수행할 수 없으며, 그에 따라 차량 도어(8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없는 상태이다. 본 발명에서는 메인 배터리(310)가 방전된 경우, 스위칭부(700)를 통해 보조 배터리(320)와 제어모듈(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보조 배터리(320)에서 제어모듈(20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메인 배터리(310)가 방전된 경우라도 사용자 인증 및 차량 도어(800)의 개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스위칭부(700)는 실시예에 따라 보조 배터리 제어부(600)를 통해 온/오프가 이루어질 수 있다.Second, when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310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as shown in FIG. 2, the auxiliary battery 320 and the control module 2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witching unit 700.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control module 200 through the 320. In this case, when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310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main battery 310 is discharged, and thus the signal applying module 100 cannot supply power from the main battery 310 to the control module 200. Authentication of a signal applied from the device cannot be performed, and thus the vehicle door 800 cannot be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in battery 310 is discharged, the auxiliary battery 320 and the control module 2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witching unit 700, and the power source is supplied from the auxiliary battery 320 to the control module 200. By supplying this, even when the main battery 310 is discharged, the user authentication and vehicle door 800 can be opened and closed stably. The switching unit 700 may be turned on / off through the auxiliary battery controller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한편, 보조 배터리 제어부(600)는 모니터링부(500)의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메인 배터리(310)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값 이하가 될 시, 보조 배터리(320)가 완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조 배터리 제어부(600)는 메인 배터리(310)의 충전 상태가 제어모듈(2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차량 도어(800)의 개폐를 제어하는데 불충분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보조 배터리(320)를 완충시킴으로써 메인 배터리(310)가 방전되는 경우 보조 배터리(320)를 통해 제어모듈(20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auxiliary battery controller 600 may allow the auxiliary battery 320 to be fully charged when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310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based on the monitoring result of the monitoring unit 500. In other words, when the auxiliary battery controller 600 determines that the charging state of the main battery 310 is insufficient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door 800 by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module 200, the auxiliary battery 320 When the main battery 310 is discharged by buffering the power supply),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control module 200 through the auxiliary battery 320.

아울러, 보조 배터리 제어부(600)는 메인 배터리(310) 및 보조 배터리(32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온/오프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조 배터리 제어부(600)는 메인 배터리(310)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값 이하가 되고, 보조 배터리(320)가 완충되면 오프될 수 있다. 또한, 보조 배터리 제어부(600)는 스위칭부(700)를 통해 보조 배터리(320)와 제어모듈(2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battery controller 600 may be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charging state of the main battery 310 and the auxiliary battery 320. More specifically, the auxiliary battery controller 600 may be turned off when the charging state of the main battery 310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and the auxiliary battery 320 is fully charged. In addition, the auxiliary battery controller 600 may be turned on when the auxiliary battery 320 and the control module 2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switching unit 700.

여기서, 메인 배터리(310)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 값 이하인 경우에는 보조 배터리(320)의 전원을 통해 제어모듈(200)을 구동시켜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보조 배터리(320)를 완충시킨 후 스위칭부(700)를 통해 보조 배터리(320)와 제어모듈(2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전까지 보조 배터리 제어부(600)를 오프시킴으로서 보조 배터리(320)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 시킬 수 있다.Here, when the charging state of the main battery 310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control module 200 must be driven by the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32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battery 320 is fully charged and then the switching uni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auxiliary battery 320 may be minimized by turning off the auxiliary battery controller 600 until the auxiliary battery 320 and the control module 2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700.

세번째로, 메인 배터리(310) 및 보조 배터리(320)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즉 전원공급 모듈(300)에서 제어모듈(200)로 전원공급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비상전원공급 모듈(400)을 통해 제어모듈(200) 또는 전원공급 모듈(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ird, when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310 and the auxiliary battery 320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value, that is, when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module 300 to the control module 200 is not possible, the emergency power supply module 400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control module 200 or the power supply module 300 through).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비상전원공급 모듈(400)은 차량 도어(800) 손잡이에 포함된 USB 커넥터 또는 에너지 하베스팅을 통해 에너지를 저장하고 있는 에너지 하베스팅부 등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메인 배터리(310) 및 보조 배터리(320)가 방전된 경우, 차량 도어(800)의 손잡이에 구비된 USB 커넥터(비상전원공급 모듈) 등을 통해 제어모듈(200), 메인 배터리(310) 및 보조 배터리(32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해줌으로써 차량 도어(80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에너지 하베스팅부에 저장된 에너지를 제어모듈(200), 메인 배터리(310) 및 보조 배터리(32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해줌으로써 차량 도어(80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emergency power supply modul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energy harvesting unit that stores energy through a USB connector or energy harvesting included in the handle of the vehicle door 800. In other words, when the main battery 310 and the auxiliary battery 320 are discharged, the control module 200 and the main battery 310 through a USB connector (emergency power supply module) provided on the handle of the vehicle door 800. And by supplying power to at least one of the auxiliary battery 320 to open and close the vehicle door 8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energy stored in the energy harvesting unit control module 200, the main battery ( The vehicle door 800 may be opened or closed by supplying power to at least one of the 310 and the auxiliary battery 320.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에서는, 메인 배터리(310)가 방전된 경우, 차량 도어에 설치된 USB 커넥터 또는 에너지 하베스팅부를 포함하는 비상전원공급 모듈(400)을 통해 제어모듈(200)에 직접적으로 전원을 공급해줄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이와 같은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에서는 보조 배터리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고, 메인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비상전원공급 모듈을 통해 제어모듈에 직접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차량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보조 배터리가 차지하는 부피 및 중량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vehicle smart ke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in battery 310 is discharged, the control module via the emergency power supply module 400 including a USB connector or energy harvesting unit installed in the vehicle door Power may be supplied directly to the 200. In other words, in such a vehicle smart key system, an auxiliary battery is not required separately, and when the main battery is discharged, the auxiliary battery is directly supplied to the control module through the emergency power supply module to open and close the vehicle door. It can reduce the volume and weight occupied.

100: 신호인가 모듈 200: 제어모듈
300: 전원공급 모듈 310: 메인 배터리
320: 보조 배터리 400: 비상전원공급 모듈
500: 모니터링부 600: 보조 배터리 제어부
700: 스위칭부 800: 도어
100: signal application module 200: control module
300: power supply module 310: main battery
320: auxiliary battery 400: emergency power supply module
500: monitoring unit 600: auxiliary battery control unit
700: switching unit 800: door

Claims (9)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차량에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인가 모듈;
상기 신호인가 모듈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차량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모듈;
상기 제어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모듈; 및
상기 전원공급 모듈에서 상기 제어모듈로 전원공급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제어모듈 또는 상기 전원공급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공급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
A signal applying module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and applying a signal to the vehicl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 control module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a signal applied from the signal applying module, and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door when user authentication is completed;
A power supply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module; And
Smart power system for a vehicle comprising an emergency power supply module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module or the power supply module, when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module to the control module is impossib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 모듈은,
메인 배터리 및 보조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supply module,
A smart key system for a vehicl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main battery and an auxiliary batter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메인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보조 배터리를 충전시켜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값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보조 배터리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a charging stat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auxiliary battery; And
And an auxiliary battery controller configured to charge the auxiliary battery by using the power of the main battery to maintain the charging state of the auxiliary battery above a preset valu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 제어부는,
상기 모니터링부의 모니터링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사전 설정된 값 이하가 될 시, 상기 보조 배터리가 완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uxiliary battery control unit,
And based on a monitoring result of the monitoring unit, when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auxiliary battery is buffer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 제어부는,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충전상태에 따라 온/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
The battery pack of claim 2, wherein the auxiliary battery controller includes:
Smart on-vehicl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on / off according to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auxiliary batter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 제어부는,
상기 메인 배터리가 사전 설정된 값 이하가 되고, 상기 보조 배터리가 완충되면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auxiliary battery control unit,
And the main battery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and is turned off when the auxiliary battery is fully charge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상태가 사전 설정된 값 이하가 될 시, 상기 보조 배터리를 상기 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And a switching unit electrically connecting the auxiliary battery to the control module when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valu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 제어부는,
상기 스위칭부를 통해 상기 보조 배터리와 상기 제어모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uxiliary battery control unit,
And the auxiliary battery and the control modul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witching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인가 모듈은,
스마트키 및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gnal application module,
Smart key system for a vehicl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smart key and a smart phone.
KR1020180074475A 2018-06-28 2018-06-28 Smart key system for vehicle KR1025890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475A KR102589038B1 (en) 2018-06-28 2018-06-28 Smart key system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475A KR102589038B1 (en) 2018-06-28 2018-06-28 Smart key system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691A true KR20200001691A (en) 2020-01-07
KR102589038B1 KR102589038B1 (en) 2023-10-16

Family

ID=69153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475A KR102589038B1 (en) 2018-06-28 2018-06-28 Smart key system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03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2414A (en) 2011-03-08 2012-09-18 주식회사 스마트온커뮤니케이션 Vehicle smart key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130056597A (en) * 2011-11-22 2013-05-3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and battery managing method for electric car
KR20150061753A (en) * 2013-11-28 2015-06-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Device for controlling the door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JP2017024462A (en) * 2015-07-16 2017-02-0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device
KR20170067186A (en) * 2015-12-07 2017-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ystem of managing power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2414A (en) 2011-03-08 2012-09-18 주식회사 스마트온커뮤니케이션 Vehicle smart key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130056597A (en) * 2011-11-22 2013-05-3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and battery managing method for electric car
KR20150061753A (en) * 2013-11-28 2015-06-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Device for controlling the door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JP2017024462A (en) * 2015-07-16 2017-02-0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device
KR20170067186A (en) * 2015-12-07 2017-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ystem of managing power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038B1 (en) 202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7343B2 (en) Keyless vehicle systems
US10294699B2 (en) Electric door release system
US2013025533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locking device power management
US10864893B2 (en) Access arrangement for a vehicle
US11192525B2 (en) Access arrangement for a vehicle
KR20200133364A (en) Control unit for car door
KR20190103613A (en) Charging control apparatus of electric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20200001691A (en) Smart key system for vehicle
CN114585543B (en) Method for operating an access system for a vehicle and vehicle
CN111038446B (en) Explosion-proof automobile starting method and system
JP2008127777A (en) Keyless system for vehicle
JP7054062B2 (en) Vehicle power system
US20220194320A1 (en) Backup energy supply and authentication for electronic latch
CN203547283U (en) Car key anti-theft system
CN107640030A (en) Reduce the method and device of pure electric automobile low tension battery capacity
US20220001838A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20904895U (en) Door control system and vehicle
CN115116163B (en) Low-power consumption authentication and unlocking system
CN117261796A (en) Vehicle door control method and system and vehicle
JP2019172028A (en) Vehicle control device
JP2001207702A (en) Keyless locking device for vehicle door
KR20090062386A (en) Remote keyless entry system
KR100692105B1 (en) One type Key system of automatic charge and magnetic communication
CN113096275A (en) PEPS system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139079A (en) Method for saving battery in smart ke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