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632U - Collection of perforated debris generated during drilling of concrete exterior wall - Google Patents
Collection of perforated debris generated during drilling of concrete exterior wa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01632U KR20200001632U KR2020200002356U KR20200002356U KR20200001632U KR 20200001632 U KR20200001632 U KR 20200001632U KR 2020200002356 U KR2020200002356 U KR 2020200002356U KR 20200002356 U KR20200002356 U KR 20200002356U KR 20200001632 U KR20200001632 U KR 20200001632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collection
- wall
- fixed
- debri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28D1/146—Too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 공사를 위해 콘크리트 외벽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크고 작은 콘크리트 잔여물을 수거하여 잔여물 낙하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외벽 천공과정에서 발생 된 천공 잔해물 수거함에 관한 것으로,
평판 구조의 베이스플레이트(10)가 구비되며, 그 베이스플레이트(10)의 4개 방향 가장자리에는 수직방향으로 지지플레이트(20)가 각각 연결 고정됨과 동시에 지지플레이트(20)에 의해 원기둥 형태의 잔해물(2)이 투입되도록 하는 투입부(30)가 형성되며, 투입 후에는 원기둥 형태의 잔해물(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2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는 이탈방지 플레이트(40)가 연결고정되는 한편,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40)의 타 측 방향 지지플레이트(20)에는 수거함(S)과 천공(1)의 위치를 조절함과 동시에 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용 로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lection of perforated debr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erforating a concrete outer wall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caused by falling residues by collecting large and small concrete residues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perforating a concrete outer wall for piping work. That,
A base plate 10 having a flat plate structure is provided, and the support plates 20 are respectively connected and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four direction edges of the base plate 10, and at the same time, a columnar debris by the support plate 20 ( 2) The input unit 30 is formed to be input, and after the input, any one of the support plates 20 selected to prevent the debris 2 in the form of a cylinder from being detached is prevented from falling off. On the other hand, while the connection is fixed, the fixing plate (50)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ollection box (S) and the perforation (1)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late 20 of the departure prevention plate 40 and fixed in place at the same time ).
Description
본 고안은 콘크리트 외벽 천공과정에서 발생 된 천공 잔해물 수거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배관 공사를 위해 콘크리트 외벽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크고 작은 콘크리트 잔여물을 수거하여 잔여물 낙하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외벽 천공과정에서 발생 된 천공 잔해물 수거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collection of perforated debris generated during the drilling process of the concrete outer wall. More specifically, the safety accident caused by falling of the residue is collected by collecting large and small concrete residues generated during the drilling of the concrete outer wall for plumbing. It relates to the collection of perforated debr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erforating the concrete outer wall that can be prevented.
일반적으로 에어컨을 설치할 때는 콘크리트 건물의 외벽을 천공한 후 그 천공 홈에 파이프를 삽입하여 실외기와 연결한다.In general, when installing an air conditioner, after drilling the outer wall of a concrete building, a pipe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ed groove to connect to the outdoor unit.
천공작업은 대부분 코어 드릴을 사용하며, 상당량의 콘크리트 잔여물이 발생한다. 이러한 콘크리트 잔여물은 분말에서부터 알갱이 크게는 코어 드릴의 내경에 준하는 원기둥 형태의 잔해물까지 발생하는데 원기둥 형태의 잔해물(천공석)은 중량물이기 때문에 낙하시에는 보행자의 안전사고로 연결되는 경우가 다반사다.Most drilling work uses a core drill, and a significant amount of concrete residue is generated. Such concrete residues are generated from powders to granules, largely in the form of a columnar debris that is equivalent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core drill. Since the columnar debris (perforated stone) is heavy, it often leads to pedestrian safety accidents when falling.
특히, 콘크리트 건물의 외벽을 천공하기 때문에 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잔해물은 내부에서 수거할 수 없는 위치여서 코어 드릴이 외벽을 관통하는 시점에는 잔해물이 외부로 낙하를 하며, 동시에 중량물의 원기둥 형태의 잔해물(천공석)이 낙하 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since the outer wall of the concrete building is perforated, the debris generated during the drilling process is a location that cannot be collected from the inside, so when the core drill penetrates the outer wall, the debris falls to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the debris in the form of a heavy cylinder ( The safety accident occurs when the sky stone falls).
물론, 천공 작업을 내부로 비스듬하게 천공을 할 수도 있겠으나, 이렇게 천공을 하게 되면 빗물이 외부로 유입되는 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 될 수 있어 천공은 외부로 미세하게나마 비스듬하게 천공을 하여야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Of course, it may be possible to perforate the drilling work obliquely inside, but if this is done, more serious problems may occur in which rainwater flows into the outside. It can block inflow.
따라서, 천공 작업을 내부로 비스듬하게 할 수 없는 이상, 외벽에서 관통 완료 시점에 낙하 될 수 있는 원기둥 형태의 잔해물(천공석)을 수거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며, 그러한 수거함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Therefore, it is most ideal to collect the debris in the form of a cylinder (perforated stone), which can fall at the point of completion of penetration from the outer wall, unless the perforation work cannot be slanted inside, and such a collection box is needed.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의 인식과 업계의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콘크리트 건물의 외벽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원기둥 형태의 잔해물(천공석)이 낙하 되는 것을 차단하여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외벽 천공과정에서 발생 된 천공 잔해물 수거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design, it was devised to meet the needs of the industry and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prevented the falling of a columnar debris (perforated stone) generated in the course of drilling the outer wall of a concrete building, resulting in pedestrian safety acciden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lection box for perforated debr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erforating a concrete outer wall that can be prevent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고안의 콘크리트 외벽 천공과정에서 발생 된 천공 잔해물 수거함(S)은,Perforated debris collection box (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erforating a concrete outer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평판 구조의 베이스플레이트(10)가 구비되며, 그 베이스플레이트(10)의 4개 방향 가장자리에는 수직방향으로 지지플레이트(20)가 각각 연결 고정됨과 동시에 지지플레이트(20)에 의해 원기둥 형태의 잔해물(2)이 투입되도록 하는 투입부(30)가 형성되며, 투입 후에는 원기둥 형태의 잔해물(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2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는 이탈방지 플레이트(40)가 연결고정되는 한편,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40)의 타 측 방향 지지플레이트(20)에는 수거함(S)과 천공(1)의 위치를 조절함과 동시에 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용 로프(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또한, 상기 수거함(S)이 중심방향으로 접힘 될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10)와 지지플레이트(20) 및 지지플레이트(20)와 이탈방지 플레이트(40)의 연결 부위에는 힌지(60)가 각각 구성되는 한편, 이탈방지 플레이트(40)를 기준으로 좌, 우측에 연결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20)의 측면에는 한 군데 이상에서 힌지(6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또한,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40)의 저면에는 접힘 후 펼쳤을 때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원터치 형 고정 돌기(41)가 형성되며, 그에 대응되는 지지플레이트의 상단 면에는 고정홈(21)이 좌, 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one-touch
또한, 이탈방지 플레이트(30)의 끝단에는 외벽(3)과 기밀한 밀착이 될 수 있도록 경사부(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nd portion of the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원 고안의 콘크리트 외벽 천공과정에서 발생 된 천공 잔해물 수거함은 콘크리트 외벽 천공과정에서 발생 되는 중량의 잔해물을 안전하게 수거함으로써 낙하에 따른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동 및 보관시에는 접을 수가 있어 사용의 편익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erforated debris collection box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erforating a concrete outer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can safely prevent a pedestrian's safety accident due to falling by safely collecting debris of a weight generated during perforation of a concrete outer wall. And it can be folded at the time of storage, which has the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of us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이탈방지 플레이트를 세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 예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viating prevention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recte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use state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콘크리트 외벽 천공과정에서 발생 된 천공 잔해물 수거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llection of perforated debris generated in the perforation process of the concrete outer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each attached drawing.
먼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콘크리트 외벽 천공과정에서 발생 된 천공 잔해물 수거함(S)은 도 1 내지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구조의 베이스플레이트(10)가 구비되며, 그 베이스플레이트(10)의 4개 방향 가장자리에는 수직방향으로 지지플레이트(20)가 각각 연결 고정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20)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는 이탈방지 플레이트(40)가 연결고정된다.First, the collection of perforated debris (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erforating a concrete outer wall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상기와 같이 4개 방향에 형성된 지지플레이트(20)에 의해 원기둥 형태의 잔해물(2)이 투입되도록 하는 투입부(30)가 형성되며, 투입 후에는 이탈방지 플레이트(40)에 의해 원기둥 형태의 잔해물(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40)의 타 측 방향 지지플레이트(20)에는 도 1 내지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함(S)과 천공(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용 로프(50)가 연결 고정된다.On the other
또한, 이탈방지 플레이트(30)의 끝단에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3)과 기밀한 밀착이 될 수 있도록 경사부(32)가 형성되는바, 이 경사부(32)에 의해 코어 드릴이 천공을 관통할 때 발생 되는 입자상의 잔해물까지 낙하 됨이 없이 수거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천공석(2)이 투입될 때도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an inclined portion 32 is formed at an end of the
또한, 상기 수거함(S)이 중심방향으로 접힘 될 수 있도록 구성할 때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지지플레이트(20) 및 지지플레이트(20)와 이탈방지 플레이트(40)의 연결 부위에 힌지(60)를 각각 구성시켜 접힘이 용이하도록 하고, 이탈방지 플레이트(40)를 기준으로 좌, 우측에 연결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20)의 측면에도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군데 이상에서 힌지(60)가 구성된다.In addition, when the collection box (S) is configured to be foldable in the center direction, the hinge (60)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base plate (10) and the support plate (20) and the support plate (20) and the anti-separation plate (40) Each is configured to facilitate folding, and the hinges at one or more places as shown in FIGS. 60) is composed.
이에 따라 본원 고안의 수거함(S)은 중심방향으로 접혀짐에 따라 보관 및 휴대시 부피가 감소하여 편익을 제공할 수 있으며, 펼친 후에는 이탈방지 플레이트(40)를 지지플레이트(20)와 고정 시켜 주면 견고한 박스 형태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llection box (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convenience by reducing the volume during storage and carrying as it is folded in the center direction, and after unfolding, the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40)의 저면에는 접힘 후 펼쳤을 때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원터치 형 고정 돌기(41)가 형성되며, 그에 대응되는 지지플레이트의 상단 면에는 고정홈(21)이 좌, 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접을 때는 해체를 하고 펼칠 때는 결합을 하면 되는 것이다.The one-touch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devise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changing, deleting or adding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I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and it will be said that it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 콘크리트 외벽 천공과정에서 발생 된 천공 잔해물 수거함
1: 천공
2: 천공석
3: 외벽
10: 베이스 플레이트
20: 지지플레이트
21: 고정홈
30: 투입부
40: 이탈방지 플레이트
41: 고정돌기
42: 경사부
50: 고정 로프
60: 힌지S: Collection of perforated debris generated during the drilling process
1: Perforated 2: Perforated Stone
3: outer wall 10: base plate
20: support plate 21: fixing groove
30: input part 40: departure prevention plate
41: fixed projection 42: slope
50: fixing rope 60: hinge
Claims (4)
A base plate 10 having a flat plate structure is provided, and the support plates 20 are respectively connected and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four direction edges of the base plate 10, and at the same time, a columnar debris by the support plate 20 ( 2) The input unit 30 is formed to be input, and after the input, any one of the support plates 20 selected to prevent the debris 2 in the form of a cylinder from being detached is prevented from falling off. On the other hand, while the connection is fixed, the fixing plate (50)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ollection box (S) and the perforation (1) on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plate 20 of the departure prevention plate 40 and fixed in place at the same time Collection of perforated debr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erforating a concrete outer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수거함(S)이 중심방향으로 접힘 될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10)와 지지플레이트(20) 및 지지플레이트(20)와 이탈방지 플레이트(40)의 연결 부위에는 힌지(60)가 각각 구성되는 한편, 이탈방지 플레이트(40)를 기준으로 좌, 우측에 연결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20)의 측면에는 한 군데 이상에서 힌지(6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외벽 천공과정에서 발생 된 천공 잔해물 수거함.
According to claim 1,
A hinge 60 is respectively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ase plate 10 and the support plate 20 and the support plate 20 and the anti-separation plate 40 so that the collection box S can be folded in the center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support plate 20, which is fixed to the left and right based on the anti-separation plate 40, the hinge 60 is formed in one or more places. .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40)의 저면에는 접힘 후 펼쳤을 때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원터치 형 고정 돌기(41)가 형성되며, 그에 대응되는 지지플레이트의 상단 면에는 고정홈(21)이 좌, 우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외벽 천공과정에서 발생 된 천공 잔해물 수거함.
According to claim 1,
The one-touch type fixing protrusion 41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nti-separation plate 40 so as to maintain a solid fixed state when folded and unfolded, and the fixing groove 21 is left and r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support plate. Collection of perforated debr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erforating a concrete outer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n each.
상기 이탈방지 플레이트(30)의 끝단에는 외벽(3)과 기밀한 밀착이 될 수 있도록 경사부(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외벽 천공과정에서 발생 된 천공 잔해물 수거함.According to claim 1,
Collection of perforated debris generated during the perforation process of the concrete outer wall, characterized in that an inclined portion 3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departure preventing plate 3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2356U KR20200001632U (en) | 2020-07-02 | 2020-07-02 | Collection of perforated debris generated during drilling of concrete exterior wa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2356U KR20200001632U (en) | 2020-07-02 | 2020-07-02 | Collection of perforated debris generated during drilling of concrete exterior wal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1632U true KR20200001632U (en) | 2020-07-22 |
Family
ID=71832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00002356U KR20200001632U (en) | 2020-07-02 | 2020-07-02 | Collection of perforated debris generated during drilling of concrete exterior wal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01632U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8106B1 (en) | 2018-02-09 | 2018-05-15 | 주식회사 대성지티 | Core drill with easy piercing of concrete wall |
-
2020
- 2020-07-02 KR KR2020200002356U patent/KR20200001632U/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8106B1 (en) | 2018-02-09 | 2018-05-15 | 주식회사 대성지티 | Core drill with easy piercing of concrete wal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46908B2 (en) | Collapsible containment bag | |
US20060243312A1 (en) | Collapsible enclosure for a machine tool | |
CN110154247A (en) | A kind of wall drilling device with dust-absorbing function | |
KR20200001632U (en) | Collection of perforated debris generated during drilling of concrete exterior wall | |
JP6839496B2 (en) | Gable skirting board for scaffolding | |
US10443253B2 (en) | Safety screen comprising a fixing means | |
JP4243608B2 (en) | How to attach the brace | |
KR101734443B1 (en) | folding type scaffold | |
KR20100024818A (en) | A supporter for preventing falling dawm of moving work shaft | |
KR101730169B1 (en) | a manhole structure having foldable ladder | |
KR102086713B1 (en) | Banister | |
US8038107B1 (en) | Method of retaining a lawn waste bag in an open position | |
KR200497253Y1 (en) | Foothold for ladder | |
CN208792369U (en) | A kind of inspection shaft | |
CA2521816A1 (en) | Collapsible alignment guide for core bit | |
JP2009228341A (en) | Foldable scaffold | |
KR101781595B1 (en) | rain removing device for umbrella | |
CN211873902U (en) | Collapsible material protector that connects | |
KR20170043288A (en) | a work scatfold structure including automatic closing cover | |
JP5538900B2 (en) | Bridge module | |
KR200249949Y1 (en) | Structure of safety guard for construction field | |
JP4163153B2 (en) | Scaffold for construction | |
KR200385987Y1 (en) | A Cover for an Aperture in a Building under Construction | |
JP2020190076A (en) | Assembly type buried box jig for handhole, manhole and the like, and assembling method of assembly type buried box using the jig | |
KR102490298B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ing into manho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