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397U - 플러그와 릴 케이블을 내장하여 전원공급과 케이블 길이조절 특화 보조배터리 - Google Patents

플러그와 릴 케이블을 내장하여 전원공급과 케이블 길이조절 특화 보조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397U
KR20200001397U KR2020180005899U KR20180005899U KR20200001397U KR 20200001397 U KR20200001397 U KR 20200001397U KR 2020180005899 U KR2020180005899 U KR 2020180005899U KR 20180005899 U KR20180005899 U KR 20180005899U KR 20200001397 U KR20200001397 U KR 202000013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able
battery
charging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8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헌우
구지혜
윤지혜
박진표
Original Assignee
이헌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우 filed Critical 이헌우
Priority to KR20201800058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397U/ko
Publication of KR202000013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39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01M2/1022
    • H01M2/1061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고안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배터리위에 전원 공급을 위한 플러그와 충전을 위한 릴 케이블을 배터리 상단에 위치시킨 뒤 그 주변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를 씌운 형태이다. 전원 공급을 받기 위한 플러그와 전원을 출력하는 스마트폰 연결단자는 각각 슬라이드 구조와 홈이 파여 있는 구조로 케이스 내부에 수납 할 수 있으며, 전원공급원으로부터 배터리를 충전 시 손잡이를 사용하여 케이스 외부로 플러그를 돌출하는 가변형태를 할 수 있는 형태와 릴 케이블을 적용하여 케이스 밖에 노출 되어있는 케이블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형태를 특징으로 하며, 전원공급원으로부터 배터리를 충전하는 동시에 릴 케이블 본체에도 전원이 공급되어 스마트폰 연결단자를 사용하여 스마트폰을 직접 충전하는 충전기 기능을 수행 할 수 있으며, 플러그로부터 전원공급이 중단되더라고 내장되어있는 배터리로 릴 케이블과 스마트폰 연결단자에 전원을 공급하여 보조배터리의 기능을 수행 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러그와 릴 케이블을 내장하여 전원공급과 케이블 길이조절 특화 보조배터리 {Battery pack having plug and reel cable}
본 고안은 휴대용 충전기 겸용 보조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본체에 내장 되어있는 슬라이드 플러그를 연장해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아 1m 내에서는 길이제한 없이 사용가능한 릴 케이블을 통해 스마트 폰과 내장되어있는 보조배터리에 직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기와 연결되어있는 전원공급원 없이 내장되어있는 보조배터리의 전류를 릴 케이블을 통해 스마트 폰을 충전할 수 있도록 고안한 보조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요즘 현대는 내장형 배터리를 탑재한 스마트 폰이 대량으로 출시되고 있으며 그로인해 배터리를 직접 교체하기 어려워졌으며 배터리의 교체대신 어디서든 스마트 폰의 충전을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게 되었다. 따라서 사람들에게 보조배터리는 필수품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보조배터리 용량이 작으면 매번 별도의 전원공급 장치를 통해 충전시켜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보조배터리와 충전기, 충전용 케이블을 모두 휴대하기에 불편하기 때문에 휴대성에 있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출원번호 10-2015-0066677, (등록일 : 2016년 05월 24일), “발명의 명칭 고속충전이 가능한 충전기 겸용 휴대용 보조배터리”, 특허권자 : (주)루벤틱스 에이디엠, 발명자 : 함은정, 오상수 대한민국등록특허 출원번호 10-2015-0120042, (등록일 : 2016년 12월 28일), “충전기”, 특허권자 : 장홍인, 발명자 : 장홍인
본 고안의 목적은 전원공급원 - 충전기 - 충전용 케이블 - 보조배터리의 충전과정과 보조배터리 - 전원공급용 케이블 - 스마트 폰의 충전과정에서 충전기 - 보조배터리 - 스마트폰간의 연결에 필요한 충전 기구들을 따로 가지고 다녀야하는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보조배터리 내부에 전원공급용 플러그와 충전용 릴 케이블을 내장하여 휴대성과 보관성에 특화된 보조배터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스마트 폰 보조배터리의 충전에 또 다른 충전기를 이용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언제 어떤 장소에서든 보조배터리의 충전을 가능하게 해 보조배터리의 이용을 더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스마트 폰 보조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는 구조 대신 보조배터리에 직접 전원과 접촉이 가능한 플러그를 달아서 언제 어떤 장소에서도 전원만 있으면 보조배터리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보조배터리에서 스마트 폰에 전기를 공급하는 케이블의 전선에 릴 형태의 케이블을 추가함으로써 전선을 자체적으로 부피를 줄여 보관하고, 필요시 길이를 1m로 연장시켜 충전에 접근성이 좋으며 케이블을 휴대시 발생하는 문제점 해결과 릴 케이블의 장점을 활용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별도의 전원 공급원이 있을 경우, 따로 충전용 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할 필요 없이 스마트폰 충전과 보조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다. 또한 전원 공급원이 없는 경우에는 보조배터리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 슬라이드 형태의 충전 플러그가 내장되어 있어 보관 시 보조배터리 케이스 안에 보관되어 있다가 필요시 길이를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어 안정성과 휴대성에 있어 용이하다. 스마트폰과 연결되는 충전용 케이블은 릴 형태로 내장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선을 정리 및 필요시 길이를 연장하여 사용해 편의성이 높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플러그와 릴 케이블을 내장한 보조배터리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플러그와 릴 케이블을 내장한 보조배터리의 구조를 전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플러그와 릴 케이블을 내장한 보조배터리의 과정을 보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와 충전케이블을 내장한 보조배터리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와 충전케이블을 내장한 보조배터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2는 도 1의 플러그와 케이블은 전개 하였을 때의 도면이다.
도1 내지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와 충전케이블을 내장한 보조배터리는 이차배터리 셀(1)과 슬라이드가 가능한 전원 플러그(2), (2)를 움직이기 위한 손잡이(5), 릴 형태의 케이블 본체(3), 휴대폰 연결단자(4)를 포함한 케이스(6)로 이루어진다.
상기 릴 형태의 휴대폰 연결단자 케이블(3)은 이차배터리 셀(2)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휴대폰 연결단자(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슬라이드가 가능한 전원플러그(2)는 릴 형태의 케이블 본체(3) 좌측에 위치되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가 가능한 전원플러그가 전원공급원(220V)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면 이차배터리 셀(2)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이 되는 동시에 릴 형태의 케이블 본체(3)와 휴대폰 연결단자(4)에도 전원을 공급하여 다른 전자제품을 충전하는 충전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가 가능한 전원플러그가 전원공급원(220V)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면 이차배터리 셀(2)에 남아있는 전류가 전원공급원을 대체하여 릴 형태 케이블 본체(3)와 휴대폰 연결단자(4)에 전원을 공급하여 보조배터리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3을 참조하면 전원공급원(220V)의 전류가 플러그를 통해 릴케이블 본체를 거쳐 충전단자에서 스마트기기로 전원이 공급되는 충전기 기능1, 플러그를 통해 들어온 전원을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2, 충전된 배터리의 전류를 릴케이블 을 통해 충전단자에서 스마트 기기로 전원이 공급되는 보조배터리의 기능3로 총 3개의 기능으로 나뉜다.

Claims (3)

  1. 본 고안은“플러그와 릴 케이블을 내장한 보조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충전용 케이블 대신 슬라이드 형태로 전원공급원에 바로 연결하여 보조배터리나 스마트 폰을 충전할 수 있는 플러그;
    스마트 폰의 충전을 위한 케이블의 전선을 릴 형식으로 내장할 수 있는 스마트 폰의 충전 케이블;
    플러그와 스마트 폰의 충전 케이블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와 릴 케이블을 내장한 보조배터리
  2. 제1항에 있어서,
    보조배터리의 내부에 충전용 플러그(220V)를 슬라이드 형태로 내장하여, 상단의 손잡이를 이용해 밀어서 플러그를 꺼내어 콘센트에 삽입하고, 충전이 끝나면 다시 손잡이를 이용해 안으로 밀어 넣을 수 있어 안전성과 휴대성을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와 릴 케이블을 내장한 보조배터리
  3. 제1항에 있어서,
    스마트폰과 연결하는 충전용 단자를 가진 케이블로, 릴 형태로 내장되어 있어 1m이내에서 필요한 길이만큼 꺼내어 스마트폰과 연결하여 충전하고, 충전이 끝나면 밀어 넣어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와 릴 케이블을 내장한 보조배터리
KR2020180005899U 2018-12-18 2018-12-18 플러그와 릴 케이블을 내장하여 전원공급과 케이블 길이조절 특화 보조배터리 KR202000013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899U KR20200001397U (ko) 2018-12-18 2018-12-18 플러그와 릴 케이블을 내장하여 전원공급과 케이블 길이조절 특화 보조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899U KR20200001397U (ko) 2018-12-18 2018-12-18 플러그와 릴 케이블을 내장하여 전원공급과 케이블 길이조절 특화 보조배터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397U true KR20200001397U (ko) 2020-06-26

Family

ID=71120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899U KR20200001397U (ko) 2018-12-18 2018-12-18 플러그와 릴 케이블을 내장하여 전원공급과 케이블 길이조절 특화 보조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397U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등록특허 출원번호 10-2015-0066677, (등록일 : 2016년 05월 24일), "발명의 명칭 고속충전이 가능한 충전기 겸용 휴대용 보조배터리", 특허권자 : (주)루벤틱스 에이디엠, 발명자 : 함은정, 오상수
대한민국등록특허 출원번호 10-2015-0120042, (등록일 : 2016년 12월 28일), "충전기", 특허권자 : 장홍인, 발명자 : 장홍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6936B2 (en) Rechargeable inductive charger
US20090115367A1 (en) Portable battery DC charger
JP2004040998A (ja) 携帯型エネルギー貯蔵装置を用いたバッテリー充電
US20140285137A1 (en) Portable Power Transfer Device
JP3143554U (ja) 蓄電式携帯型充電アダプタ
US20140159639A1 (en) Portable battery charger
US6956353B1 (en) Universal battery charger for cellular telephones and other battery operated devices
US20170353591A1 (en) Smartphone Charger
JP2010104155A (ja) 携帯電子機器用充電器
US7910235B2 (en) Self-charging lithium battery
US20160365742A1 (en) Portable back-up battery pack
JP2014036510A (ja) 充電機能及び装着機能付き携行用電気機器ケース
KR20200001397U (ko) 플러그와 릴 케이블을 내장하여 전원공급과 케이블 길이조절 특화 보조배터리
US20180219395A1 (en) Collapsible battery charger (cbc)
CN202931002U (zh) 便携式充电装置
CN207410121U (zh) 手持设备的背夹
JP3087509U (ja) 携帯電話の携帯用充電器
CN208874710U (zh) 便携式智能充电座及蓝牙耳机
US20130038269A1 (en) Handheld mobile electrical assembly
CN212486171U (zh) 一种便携收纳电源
KR1018303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 구조체
JP4978900B2 (ja) 携帯電話機用充電電池
KR20060105063A (ko) 유에스비 포트를 이용한 휴대용 충전기
KR200434049Y1 (ko) 자체 충전식 리튬 전지
CN205070501U (zh) 钥匙扣迷你充电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