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227U -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 - Google Patents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227U
KR20200001227U KR2020190000491U KR20190000491U KR20200001227U KR 20200001227 U KR20200001227 U KR 20200001227U KR 2020190000491 U KR2020190000491 U KR 2020190000491U KR 20190000491 U KR20190000491 U KR 20190000491U KR 20200001227 U KR20200001227 U KR 202000012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guide
space
cooling device
toddlers
inf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4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587Y1 (ko
Inventor
서보문
Original Assignee
서보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보문 filed Critical 서보문
Priority to PCT/KR2019/00627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159010A1/ko
Priority to US17/286,723 priority patent/US20210370998A1/en
Priority to JP2021520171A priority patent/JP2022504794A/ja
Publication of KR202000012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2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5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8Use of remot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A47C7/74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7/74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 B62B9/108Linings or cush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01K1/04Scales
    • G01K1/045Scales temperature indication combined with the indication of another vari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4/00Ventilation; Heating; Cooling;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4/00Ventilation; Heating; Cooling; Insulation
    • B62B2204/04Ventilation; Heating; Cooling; Insulation comprising a cooling unit

Abstract

본 고안은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흡기구(101)와 배기구(102)가 형성된 상판(10); 상판(10) 하부에 결합되되, 격벽(201)에 의해 내부 공간이 흡기공간(202)과 배기공간(203)으로 구획되고, 격벽(201)에 형성된 소정 크기의 통기부(201a)를 통해 두 공간이 연통되는 하판(20); 흡기공간(202) 내부에 설치되어 흡기구(101)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공간(203)과 연통되는 배기구(102)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송풍팬(30); 송풍팬(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0); 배기구(102)의 하부에 형성되어 바람 배출을 안내하는 바람가이드(50); 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인체 부위에 밀착되는 시트면에 밀착된 아기의 인체 부위와 인체 부위에 밀착되는 시트면 사이의 통풍과 그에 따른 냉각이 송풍팬에 의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쾌적감을 제공하며,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Sheet for infant and child with ventilation cooling device}
본 고안은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송풍팬을 구비하여 아기의 인체 부위와 인체 부위에 밀착되는 시트면 사이의 통풍과 그에 따른 냉각이 송풍팬에 의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쾌적감을 제공하며,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게 한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경제가 발전하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영유아용품에 대한 수요도 점점 다양화되고 있는데, 그중 영유아용 시트는 유모차 내부에 의자 등에 안착시키거나 설치하여 아기가 유모차나 의자 등에 눕거나 앉았을 때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영유아용 시트는 대부분이 내부에 쿠션재가 충진된 소정 두께의 직물 제품으로 제조됨으로써 편안함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는 다른 기능이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부 제품은 제품의 직물 소재가 좋지 않아 통풍성이 떨어짐으로써 조금만 눕거나 앉아 있어도 피부 온도가 높아지고, 땀이 차서 불쾌감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흐르는 땀이 신속하게 건조되지 않음으로써 땀띠나 각종 피부병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육각형 단면을 가진 다수의 통풍공을 이음면에 접하게 연속적으로 상하 관통 형성시켜 전체적으로 벌집 구조를 이루도록 하여 통기성이 우수하게 한 통풍방석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통풍방석은 통풍공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통기부가 상하면에만 형성됨으로써, 통풍방석을 의자의 착좌부에 놓고, 통풍방석의 상면에 아기가 앉으면 통풍공의 상하 통기부가 막히면서 통풍이 원활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3736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송풍팬을 구비하여 아기의 인체 부위와 인체 부위에 밀착되는 시트면 사이의 통풍과 그에 따른 냉각이 송풍팬에 의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의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는, 다수의 흡기구(101)와 배기구(102)가 형성된 상판(10);
상기 상판(10) 하부에 결합되되, 격벽(201)에 의해 내부 공간이 흡기공간(202)과 배기공간(203)으로 구획되고, 상기 격벽(201)에 형성된 소정 크기의 통기부(201a)를 통해 두 공간이 연통되는 하판(20);
상기 흡기공간(202)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101)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공간(203)과 연통되는 상기 배기구(102)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송풍팬(30);
상기 송풍팬(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0);
상기 배기구(102)의 하부에 형성되어 바람 배출을 안내하는 바람가이드(50); 를 포함한다.
상기 하판(20)에 형성된 흡기공간(202)과 배기공간(203)의 면적은 4:6의 비율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람가이드(50)는 상기 송풍팬(30)에 인접하게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되되, 저면이 상기 하판(20)의 바닥면과 이격되게 형성된 제1바람가이드(50a);
상기 제1바람가이드(50a)보다 송풍팬(30)과 더 이격되게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되되, 평면상 제1바람가이드(50a)와 지그재그로 위치하고, 제1바람가이드(50a)보다 더 큰 크기로 되어 저면이 상기 하판(20)의 바닥면에 밀착되게 형성된 제2바람가이드(50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람가이드(50)는, 삼각형 횡단면을 가지는 기둥 형상으로 되어, 일측면에 상기 배기구(102)와 이어지는 경사유도면(501)이 형성되되, 상기 경사유도면(501)은 내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람가이드(50)는, 타측면에 외향으로 볼록한 와류방지면(502)이 대칭되게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10) 일측에는 상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공급부(40)에 전원공급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압력센서(601);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10) 일측에는,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02);
주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603);
상기 온도센서(602)에서 제공된 온도측정값과, 상기 습도센서(603)에서 측정된 습도측정값을 모바일단말기(70)로 전송하고, 모바일단말기(7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송풍팬(30)을 제어하는 제어모듈(604);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아기의 인체 부위와 인체 부위에 밀착되는 시트면 사이의 통풍과 그에 따른 냉각이 송풍팬에 의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아기의 인체 부위에 땀이 차는 것을 억제하여 우수한 쾌적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땀으로 인한 땀띠나 각종 피부 질환의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판에 형성된 다수의 배기구를 통해 균일하게 공기가 배출되면서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신체의 국소부위에 미치는 바람량의 편차를 최소화하여 통풍 및 냉각 효과가 어느 한 부분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용 배터리를 송풍팬의 전원으로 사용 가능케 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쉬운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 공간을 흡기공간과 배기공간으로 분할 형성하고, 흡기공간에 적절하게 배치된 송풍팬을 통해 공기의 순환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송풍팬의 효율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력소모와 소음을 동시에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하판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바람가이드의 평면상 배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시행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고안의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하판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측면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바람가이드의 평면상 배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는 상판(10), 하판(20), 송풍팬(30), 전원공급부(40), 바람가이드(50)를 포함한다.
상기 상판(10)은 상측에 위치하는 벽체에 다수의 흡기구(101)와 배기구(102)가 형성된다.
즉, 평면상에서 볼 때 상판(10)을 앞뒤로 구획하여 앞쪽으로는 다수의 흡기구(101)가 소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고, 뒤쪽으로는 다수의 배기구(102)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흡기구(101)와 배기구(102)는 다수가 가로세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되, 그 평면 형상이나 크기는 한정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상판(10) 상면에는 매시원단(103)을 부착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시원단(103)은 흡기구(101)와 배기구(102)를 통한 공기의 소통은 원활하면서 흡기구(101) 및 배기구(102)로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판(20)은 상판(10) 하부에 결합되되, 격벽(201)에 의해 내부 공간이 흡기공간(202)과 배기공간(203)으로 구획되고, 격벽(201)에 형성된 소정 크기의 통기부(201a)를 통해 두 공간이 연결된다.
즉, 흡기공간(202)은 상판(10)에 형성된 흡기구(101)와 연통되고, 배기공간(203)은 상판(10)에 형성된 배기구(102)와 연통된다.
따라서 흡기구(101)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하판(20)의 흡기공간(202)으로 유입된 후, 격벽(201)의 통기부(201a)를 통해 하판(20)의 배기공간(203)으로 이동하여, 배기공간(203)과 연통되는 배기구(102)를 통해 외부로 최종 배출된다.
이때, 하판(20)에 형성된 흡기공간(202)과 배기공간(203)의 면적은 4:6의 비율로 형성함으로써, 송풍팬(30)에 의해 흡기공간(202)의 공기가 배기공간(203)으로 배출될 때, 송풍팬(30)이 감당하는 면적이 줄어들어 송풍팬(30)의 설치 수나 용량 및 송풍팬(30)의 가동을 위한 전력소모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풍팬(30)의 가동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송풍팬(30)은 흡기공간(202) 내부에 설치되되 공기흡입부가 상판(10)의 흡기구(101)와 바로 이어지도록 하고, 공기배출부는 격벽(201)에 형성된 통기부(201a)와 일렬로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송풍팬(30)에 의해 강제 흡입된 흡기구(101) 외부 공기는 흡기공간(202)으로 배출되되, 격벽(201)의 통기부(201a)를 통해 하판(20)의 배기공간(203)으로 이동하여, 배기공간(203)과 연통되는 배기구(102)를 통해 외부로 최종 배출된다.
이때, 송풍팬(30)의 토출 압력에 의해 배기구(102)를 통한 공기의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송풍팬(30)은 흡기공간(202) 내부에 위치하게 설치되되, 상판(10) 저면이나 하판(20)의 바닥면 중 어느 위치든 설치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전원공급부(40)는 송풍팬(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외장형 휴대용 배터리와 전원 공급 케이블로 연결되거나, 내장형 배터리가 일체로 구성되어 송풍팬(3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공급부(40)는 송풍팬(30)이 설치되는 상판(10) 또는 하판(20) 일측에서 송풍팬(30)과 인접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최종 제품의 사양이나 크기 등에 따라 배터리를 외장형 또는 내장형으로 구성하여 휴대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바람가이드(50)는 상기 배기구(102)의 하부에 형성되어 송풍팬(30)에 의해 흡기공간(202)에서 배기공간(203)으로 배출된 공기가 배기구(102)를 통해 최종 배출될 때, 신속한 배출이 가능하도록 공기 배출을 안내한다.
상기 바람가이드(50)는 제1바람가이드(50a), 제2바람가이드(50b)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바람가이드(50a)는 송풍팬(30)에 인접하게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되되, 저면이 하판(20)의 바닥면과 이격되게 형성됨으로써 제1바람가이드(50a)의 저면과 하판(20)의 바닥면 사이 공간으로도 바람의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바람가이드(50b)는 제1바람가이드(50a)보다 송풍팬(30)과 더 이격되게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되되, 평면상 제1바람가이드(50a)와 지그재그로 위치한다.
따라서 흡기공간(202)에서 배기공간(203)으로 이동한 공기가 송풍팬(30)과 인접한 제1바람가이드(50a)와 먼저 만나면서 제1바람가이드(50a)와 이어지는 배기구(102)를 통해 1차로 외부 배출되고, 제1바람가이드(50a) 사이 사이를 통과한 공기는 평면상 제1바람가이드(50a)와 지그재그로 위치하는 제2바람가이드(50b)에 의해 제2바람가이드(50b)와 이어지는 배기구(102)를 통해 2차로 외부 배출됨으로써 배기공간(203)과 연통되는 다수의 배기구(102)를 통해 공기가 고르게 배출된다.
아울러, 제2바람가이드(50b)는 제1바람가이드(50a)보다 더 큰 크기로 되어 저면이 하판(20)의 바닥면에 밀착되게 형성됨으로써 제1바람가이드(50a) 사이를 통과한 공기가 제2바람가이드(50b)와 만날 때, 더 넓은 표면적을 가진 제2바람가이드(50b)와 만나면서 제2바람가이드(50b)와 이어진 배기구(102)를 통해 더 효과적으로 배출된다.
즉, 제2바람가이드(50b)는 제1바람가이드(50a)에 비해 송풍팬(30)과 더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흡기공간(202)에서 배기공간(203)으로 공기가 이동할 때, 제2바람가이드(50b)까지 도달하는 공기의 압력은 약해지지만, 제2바람가이드(50b)가 제1바람가이드(50a)보다 더 넓은 표면적으로 가짐으로써 배기구(102)로 공기 배출을 유도할 때, 더욱 원활한 배출 유도가 가능케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바람가이드(50)는, 삼각형 횡단면을 가지는 기둥 형상으로 되어 일측면에 배기구(102)와 이어지는 경사유도면(501)이 형성된다.
즉, 바람가이드(50)는 측면에서 볼 때, 하부의 가로 폭이 넓고, 상부의 세로 폭이 좁아지도록 일측에 경사유도면(501)이 형성됨에 따라 흡기공간(202)에서 바람가이드(50) 쪽으로 이동한 공기가 경사유도면(501)을 타고 바람가이드(50)의 상부에 위치하는 배기구(102)로 신속하게 배출된다.
이때, 경사유도면(501)은 내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배출공간으로 유입되어 배기구(10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바람가이드(50)에 의해 유도되어 배기구(102)로 배출될 때, 더욱 신속한 배출이 가능케 된다.
아울러, 삼각형 횡단면을 가지는 기둥 형상으로 되어 일측면에 경사유도면(501)이 형성된 바람가이드(50)의 다른 두 측면은 외향으로 볼록한 와류방지면(502)이 대칭되게 형성됨으로써, 바람가이드(50)를 통과하는 공기가 와류방지면(502)을 지날 때, 와류방지면(502) 주변으로 와류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어 공기의 흐름과 배기구(102)를 통한 공기 배출이 더욱 원활하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상판(10) 일측에는 상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공급부(40)에 전원공급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압력센서(60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상판(10)에 아기의 신체 부위가 밀착되었을 때 아기의 체중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아기의 신체 부위가 밀착되었을 때만 전원공급부(40)에 의한 송풍팬(30)으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자동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전력 사용이 가능케 된다.
또한, 상판(10) 일측에는 온도센서(602), 습도센서(603), 제어모듈(60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602)는 상판(10) 일측에 설치되어 상판(10) 주변, 특히 상판(10)에 밀착된 아기의 인체 부위와 인접한 지점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습도센서(603)는 상판(10) 일측에 설치되어 상판(10) 주변, 특히 상판(10)에 밀착된 아기의 인체 부위와 인접한 지점의 습도를 측정한다.
상기 제어모듈(604)은 상기 온도센서(602)에서 제공된 온도측정값과, 상기 습도센서(603)에서 측정된 습도측정값을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단말기(70)로 무선 전송하고, 모바일단말기(7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송풍팬(30)을 제어한다.
제어모듈(604)은 모바일단말기(70)와 무선 통신을 위하여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통신모듈은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등 주지된 근거리무선통신 또는 Personal Area Network(PAN)일 수 있으며,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등을 이용하여 IoT에 연동 및 모바일단말기(70)와 데이터를 교환한다.
상기 모바일단말기(70)는 무선링크를 통하여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기기로서, 이는 포괄적인 개념의 휴대기기들이다. 즉,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 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 and System)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와 같이 멀티미디어 폰 및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일 수 있으며, 보호자가 소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모듈(604)에서 온도측정값과, 습도측정값을 수신한 모바일단말기(70)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판(10) 주변의 온도 및 습도가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이때,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사전 저장된 적정 온도 및 습도와, 제어모듈(604)에서 제공되어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온도 및 습도를 비교 표시함으로써 보호자는 본 고안의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의 상판(10) 주변 온도와 습도가 적정한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판(10) 주변 온도와 습도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송풍팬(30)을 1단, 2단, 3단 또는 수면모드, 보통모드, 강력모드 등 다단계로 바람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바일단말기(70)에서 제어모듈(604)로 제어신호가 전송되고, 그 제어신호에 의해 송풍팬(30)의 회전속도가 제어됨에 따라 상판(10) 주변 온도와 습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한 설명에서 본 고안의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는 방석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9와 같이
방석용 시트와 등받이용 시트 겸용을 사용 가능하다.
아울러, 방석용 시트와 등받이용 시트가 같이 구비되되, 소정 각도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상판 101: 흡기구
102: 배기구 20: 하판
201: 격벽 201a: 통기부
202: 흡기공간 203: 배기공간
30: 송풍팬 40: 전원공급부
50: 바람가이드 50a: 제1바람가이드
50b: 제2바람가이드 501: 경사유도면
502: 와류방지면 601: 압력센서
602: 온도센서 603: 습도센서
604: 제어모듈 70: 모바일단말기

Claims (6)

  1. 다수의 흡기구(101)와 배기구(102)가 형성된 상판(10);
    상기 상판(10) 하부에 결합되되, 격벽(201)에 의해 내부 공간이 흡기공간(202)과 배기공간(203)으로 구획되고, 상기 격벽(201)에 형성된 소정 크기의 통기부(201a)를 통해 두 공간이 연통되는 하판(20);
    상기 흡기공간(202)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흡기구(101)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공간(203)과 연통되는 상기 배기구(102)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송풍팬(30);
    상기 송풍팬(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40);
    상기 배기구(102)의 하부에 형성되어 바람 배출을 안내하는 바람가이드(50); 를 포함하는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가이드(50)는 상기 송풍팬(30)에 인접하게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되되, 저면이 상기 하판(20)의 바닥면과 이격되게 형성된 제1바람가이드(50a);
    상기 제1바람가이드(50a)보다 송풍팬(30)과 더 이격되게 소정 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되되, 평면상 제1바람가이드(50a)와 지그재그로 위치하고, 제1바람가이드(50a)보다 더 큰 크기로 되어 저면이 상기 하판(20)의 바닥면에 밀착되게 형성된 제2바람가이드(50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가이드(50)는,
    삼각형 횡단면을 가지는 기둥 형상으로 되어, 일측면에 상기 배기구(102)와 이어지는 경사유도면(501)이 형성되되,
    상기 경사유도면(501)은 내향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가이드(50)는,
    타측면에 외향으로 볼록한 와류방지면(502)이 대칭되게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 일측에는 상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공급부(40)에 전원공급 제어를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압력센서(601);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0) 일측에는,
    주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02);
    주변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603);
    상기 온도센서(602)에서 제공된 온도측정값과, 상기 습도센서(603)에서 측정된 습도측정값을 모바일단말기(70)로 전송하고, 모바일단말기(7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송풍팬(30)을 제어하는 제어모듈(604);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
KR2020190000491U 2018-08-31 2019-01-31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 KR200493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6276 WO2020159010A1 (ko) 2018-08-31 2019-05-24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
US17/286,723 US20210370998A1 (en) 2018-08-31 2019-05-24 Seat for infants and toddlers equipped with ventilation cooling device
JP2021520171A JP2022504794A (ja) 2018-08-31 2019-05-24 通風冷却装置を備えた幼児用シー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013612.9A CN108784141A (zh) 2018-08-31 2018-08-31 可折叠多用途通风婴幼儿垫
CN201811013612.9 2018-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227U true KR20200001227U (ko) 2020-06-12
KR200493587Y1 KR200493587Y1 (ko) 2021-04-27

Family

ID=64081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491U KR200493587Y1 (ko) 2018-08-31 2019-01-31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370998A1 (ko)
JP (1) JP2022504794A (ko)
KR (1) KR200493587Y1 (ko)
CN (1) CN108784141A (ko)
WO (1) WO202015901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451B1 (ko) 2020-11-09 2021-02-02 시대성 통풍 벨트 모듈, 이를 포함하는 통풍 시팅 라이너 및 시팅 라이너의 제어 방법
KR20220088966A (ko) 2020-12-21 2022-06-28 시대성 착석자의 사용감이 개선된 통풍 시팅 라이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19661B2 (ja) * 2019-06-24 2023-08-02 株式会社セフト研究所 ベビーカー用シート及び電動ファン付ベビーカー用シート
CN114847716B (zh) * 2022-06-14 2023-09-01 慕思健康睡眠股份有限公司 婴儿受压检测方法、装置、智能床垫和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419U (ko) * 1989-11-20 1991-06-27 전영모 집어용 낚시밥통
KR200353736Y1 (ko) 2004-03-18 2004-06-22 박준형 통풍방석
JP2010162935A (ja) * 2009-01-13 2010-07-29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KR101851563B1 (ko) * 2017-02-13 2018-04-2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의 차내 방치를 방지하기 위한 스마트 카시트 및 경보 시스템, 그리고 그 제어 방법
KR20180082034A (ko) * 2017-01-09 2018-07-18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제통풍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좌대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427Y1 (ko) * 2002-04-18 2002-07-13 노진구 흡기작용과 배기작용을 동시에 수행하는 신발용 에어펌프
US20050011009A1 (en) * 2003-07-15 2005-01-20 Hsiang-Ling Wu Ventilation mattress
JP2006055249A (ja) * 2004-08-18 2006-03-02 Emiko Miwa 人体の背面側支持構造体
CN202986889U (zh) * 2012-12-20 2013-06-12 西南交通大学 一种自换气式车用座垫
CN203047337U (zh) * 2012-12-26 2013-07-10 顾骏 一种儿童三轮车坐垫
US9155398B2 (en) * 2013-02-04 2015-10-1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eated and cooled chair apparatus
CN103510598A (zh) * 2013-09-30 2014-01-15 江苏苏北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下排风坐便器
KR101601259B1 (ko) * 2014-08-26 2016-03-09 갑을오토텍 주식회사 차량용 통풍시트
CN204722633U (zh) * 2015-05-27 2015-10-28 张泉笙 防止久坐的办公椅
CN206044084U (zh) * 2016-06-29 2017-03-29 佛山市顺德区豪琦莱家具有限公司 一种办公椅坐垫
CN206968461U (zh) * 2017-06-14 2018-02-06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产品的加热通风装置
CN207089057U (zh) * 2017-09-05 2018-03-13 昆山好创电子科技有限公司 智能吸风垫
KR101955964B1 (ko) * 2017-09-28 2019-03-12 (주)엘아이티씨 유아용 쿨앤핫시트
KR101902156B1 (ko) * 2018-05-16 2018-09-27 조영호 유아용 좌식 통풍시트
CN209219707U (zh) * 2018-08-31 2019-08-09 徐辅文 可折叠多用途通风婴幼儿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419U (ko) * 1989-11-20 1991-06-27 전영모 집어용 낚시밥통
KR200353736Y1 (ko) 2004-03-18 2004-06-22 박준형 통풍방석
JP2010162935A (ja) * 2009-01-13 2010-07-29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KR20180082034A (ko) * 2017-01-09 2018-07-18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강제통풍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좌대
KR101851563B1 (ko) * 2017-02-13 2018-04-2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의 차내 방치를 방지하기 위한 스마트 카시트 및 경보 시스템, 그리고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451B1 (ko) 2020-11-09 2021-02-02 시대성 통풍 벨트 모듈, 이를 포함하는 통풍 시팅 라이너 및 시팅 라이너의 제어 방법
KR20220088966A (ko) 2020-12-21 2022-06-28 시대성 착석자의 사용감이 개선된 통풍 시팅 라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70998A1 (en) 2021-12-02
JP2022504794A (ja) 2022-01-13
WO2020159010A1 (ko) 2020-08-06
CN108784141A (zh) 2018-11-13
KR200493587Y1 (ko) 202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1227U (ko) 통풍 냉각장치를 구비한 영유아용 시트
KR102317439B1 (ko) 열 회수 시스템을 갖는 주변 침대
US7900371B1 (en) Personal dryer apparatus
US20060085911A1 (en) Portable ventilation system
CN106263796A (zh) 身体支撑件组件
CN104390268B (zh) 天花板空调器及该天花板空调器的送风方法
CN201068119Y (zh) 汽车通风座椅结构
CN102252393B (zh) 一种适用于胶囊旅馆的两侧竖壁贴附式送风方法
KR20190001174A (ko) 탈부착형 통풍시트
CN208536158U (zh) 柜式空调室内机
TWM589434U (zh) 寵物空調床
CN104315691B (zh) 一种用于跑动状态的个性化节能送风装置
CN104315688B (zh) 一种用于睡姿的个性化节能送风装置
WO2011035524A1 (zh) 一种通风垫
CN104315689B (zh) 一种用于坐躺姿的个性化节能送风装置
CN210869269U (zh) 宠物空调床
CN209219707U (zh) 可折叠多用途通风婴幼儿垫
JP2012247117A (ja) 空調機能を有する机
CN208296047U (zh) 柜式空调室内机
CN204853950U (zh) 取暖换气扇
CN206540242U (zh) 空调出风结构和空调器
CN110642123A (zh) 一种具有环绕式通风效果的轿厢
CN209574065U (zh) 婴儿座垫的通风装置
CN205102259U (zh) 风管机及具有其的空调设备
CN219584009U (zh) 一种座椅上的循环风结构及儿童安全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