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224U - 신발 끈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신발 끈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224U
KR20200001224U KR2020180005588U KR20180005588U KR20200001224U KR 20200001224 U KR20200001224 U KR 20200001224U KR 2020180005588 U KR2020180005588 U KR 2020180005588U KR 20180005588 U KR20180005588 U KR 20180005588U KR 20200001224 U KR20200001224 U KR 202000012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shoelace
shoe
fix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5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호
Original Assignee
김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호 filed Critical 김원호
Priority to KR20201800055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224U/ko
Publication of KR202000012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22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4Clamp fastenings, e.g. strap fastenings; Clamp-buckle fastenings; Fastenings with toggle levers
    • A43C11/1493Strap fastenings having hook and loop-type fasten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03Zone lacing, i.e. whereby different zones of the footwear have different lacing tightening degrees, using one or a plurality of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6Shoe lacing fastenings tightened by draw-string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을 묶는 끈의 양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발 끈 고정장치(1)에 있어서, 중앙부에 신발 끈(3)을 삽입하는 제1끼움홈(11)이 형성되고, 삽입된 끈(3)을 지지하는 제1지지홈(12)이 형성된 제1삽입공(10); 일측에 신발 끈(3)을 삽입하는 제2끼움홈(21)이 형성되고, 삽입된 끈(3)을 지지하는 제2지지홈(2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공(10)을 거쳐 삽입된 끈(3)을 지지하는 제2삽입공(20); 타측에 삽입된 신발 끈(3)을 고정하는 고정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공(20)을 거쳐 삽입된 끈(3)을 고정 지지하는 제3삽입공(30)이 형성된 것이다. 본 고안은 신발에 결속되는 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신발의 착용감과 편의를 제공한 것이다.

Description

신발 끈 고정장치{Device for Fixing of Shoelaces}
본 고안은 신발 끈을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을 묶는 끈의 양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발에 착용하는 의류의 일종이다. 신발은 땅바닥에 혹시 있을지 모를 위험한 물체로부터 발을 보호하고, 어느 정도의 보온력도 제공하며, 운동화는 신체 활동을 돕기도 한다. 신발의 용도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더욱이 신발은 착용감이나 편의성에 따라 끈이 있거나 또는 끈이 없는 것이 있다.
종래에 끈이 구비된 신발에 있어서, 신발 앞쪽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구비된 체결공에 다양한 묶는 방식에 따라 끈을 체결한 후 나머지 양단부는 매듭으로 묶어 고정시킨다. 이때, 끈의 길이가 너무 길거나 또는 묶은 매듭이 풀리게 되면 발에 밟혀 쉽게 끈이 풀어질 수 있고, 더욱이 운동을 하거나 자전거를 타는 경우, 또는 사람이 붐비는 공간에서 끈이 쉽게 풀어져 밟히면 넘어지는 등 안전사고를 일으킬 위험이 내재되어 있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1은 신발끈이 관통되는 홀과, 관통된 상기 신발끈의 일단에 형성된 매듭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하여 상기 신발끈의 양단에 형성되는 고정멤버; 및 상기 매듭이 노출되지 않게 상기 수용부를 덮으며, 상기 고정멤버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식멤버를 포함하고, 상기 신발끈은 신발에 형성된 복수의 끈 구멍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신발에 발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멤버는 상기 끈 구멍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끈구멍을 한정하는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신발끈의 일단이 상기 끈구멍을 지나 상기 끈구멍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홀을 연통하여 상기 수용부에 상기 매듭이 수용되고, 상기 신발끈은 탄성부를 포함하여 신축가능하게 형성되고, 신발에 발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멤버가 상기 끈구멍의 상부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고정멤버는 그 하부에 상기 매듭이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부재에 의해 상기 부재의 상부에서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제2 지지부가 형성된 신발끈 고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3083호(2018.04.30. 공고)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발을 묶은 끈의 양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 지지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신발 끈 고정장치에 있어서, 중앙부에 신발 끈을 삽입하는 제1끼움홈이 형성되고, 삽입된 끈을 지지하는 제1지지홈이 형성된 제1삽입공; 일측에 신발 끈을 삽입하는 제2끼움홈이 형성되고, 삽입된 끈을 지지하는 제2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공을 거쳐 삽입된 끈을 지지하는 제2삽입공; 타측에 삽입된 신발 끈을 고정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공을 거쳐 삽입된 끈을 고정 지지하는 제3삽입공이 형성된 신발 끈 고정장치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장치 일측에 쐐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신발 끈은 탄성을 갖는 것이 좋다.
본 고안에 따르면, 탄성을 갖는 신발 끈을 신발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신발에 결속되는 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신발의 착용감 향상과 편의를 제공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로, 신발 끈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 끈 고정장치로 끈의 양단부를 신발에 고정시킨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신발 끈 고정장치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신발 끈 고정장치에 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 고정장치(1)는 박판으로 대략 직사각형이다. 고정장치(1)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이다.
고정장치(1)는 중앙부에 신발 끈(3)을 삽입하는 제1삽입공(10)이 관통 형성된다. 제1삽입공(10)에는 신발 끈(3) 종단이 쉽게 삽입되도록 원호 형상의 제1끼움홈(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끼움홈(11)을 통해 삽입된 끈(3)을 지지하는 제1지지홈(12)이 제1끼움홈(11)과 일체로 관통 형성된다.
또한, 고정장치(1) 일측에는 신발 끈(3)을 삽입 및 고정하는 제2삽입공(20)이 관통 형성된다. 제2삽입공(20)에는 신발 끈(3) 종단이 쉽게 삽입되도록 원호 형상의 제2끼움홈(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끼움홈(21)을 통해 삽입된 끈(3)을 지지하는 제2지지홈(22)이 제2끼움홈(21)과 일체로 관통 형성된다. 더욱이 제1삽입공(10)과 제2삽입공(20)은 일정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된다.
또한, 고정장치(1) 타측에는 신발 끈(3)을 삽입 및 고정하는 제3삽입공(30)이 관통 형성된다. 제3삽입공(30)에는 신발 끈(3) 일측이 측면을 통해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삽입공(30) 내측으로 삽입된 끈(3)을 고정 지지하는 고정홈(31)이 형성된다.
더욱이 고정장치(1) 일측에 쐐기(40)가 형성된다. 쐐기(40)는 신발 끈(3)이 밀려 빠지지 않도록 끈(3) 표면에 마찰이나 간섭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삽입공(30)의 고정홈(31) 측면에도 쐐기가 형성될 수 있다.
신발 끈(3)은 탄성을 갖는 합성고무 또는 천연고무 재질인 것이 좋다.
도 2에서, 고정장치(1)는 신발(2)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결속링(4) 중에서 가장 상단에 위치한 결속링(4) 내측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 좋지만, 결속링(4) 외측, 즉, 신발(2) 외부로 노출되어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신발 끈 고정장치의 체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a에서, 신발(2)에 복수로 구비된 결속링(4)에 각각 신발 끈(3)을 삽입하여 결속하되, 신발(2)의 최상단 결속링(4) 내측으로 신발 끈(3)이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장치(1)의 제1삽입공(10)으로 끈(3)의 종단을 삽입하여 끼운다. 이때, 끈(3)의 종단은 삽입이 쉽도록 둥글게 말려 있는 것이 좋다. 따라서 끈(3)의 종단은 고정장치(1) 뒤쪽에서 제1끼움홈(11)을 통해 앞쪽으로 삽입된 후 제1지지홈(12)에 삽입된다.
도 3b에서, 신발 끈(3)이 제1삽입공(10)에 삽입되면, 인접한 제2삽입공(20)에 신발 끈(3)을 삽입한다. 즉, 앞쪽으로 삽입되어 나온 신발 끈(3)의 종단을 제2삽입공(20)의 제2끼움홈(21)을 통해 뒤쪽으로 삽입한다. 이후, 신발 끈(3)은 제2지지홈(22)에 삽입된다.
또한, 도 3c에서, 제2삽입공(20)에 삽입된 신발 끈(3)을 고정장치(1) 측면을 통해 대략 360도 회전시킨 후 제3삽입공(30)에 삽입한다. 즉, 신발 끈(3)의 측면을 제3삽입공(30)에 삽입하여 고정홈(31)에 끼워지도록 한다.
따라서 신발 끈(3)은 고정장치(1) 뒤쪽에서 제1삽입공(10)을 통해 앞쪽으로 삽입하고, 다시 제2삽입공(20)의 앞쪽에서 뒤쪽으로 삽입하며, 제2삽입공(20)에 삽입된 신발 끈(3)을 고정장치(1)의 쐐기(40)가 있는 부분을 한 바퀴 돌아 제3삽입공(30)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신발 끈(3)은 제1삽입공(10)과 제2삽입공(20), 그리고 제3삽입공(30)을 통해 각각 삽입되는 동안 견고한 결속이 이루어진다. 더욱이 제2삽입공(20)에서 제3삽입공(30)으로 결속되는 동안 쐐기(40)에 의하여 신발 끈(3)은 더욱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신발 끈(3)은 탄성에 의하여 더욱 팽팽한 결속과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3d에서, 고정장치(1)를 통해 결속 및 고정이 이루어지면, 고정장치(1)의 제3삽입공(30)에서 노출된 신발 끈(3) 단부는 가위 등의 절단장치로 이용하여 절단 처리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신발 끈 고정 장치는 신발에 결속되는 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신발의 착용감과 편의를 제공한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고정장치 2: 신발 3: 끈 4: 결속링
10: 제1삽입공 11: 제1끼움홈 12: 제1지지홈
20: 제2삽입공 21: 제2끼움홈 22: 제2지지홈
30: 제3삽입공 31: 고정홈
40: 쐐기

Claims (3)

  1. 신발 끈 고정장치(1)에 있어서,
    중앙부에 신발 끈(3)을 삽입하는 제1끼움홈(11)이 형성되고, 삽입된 끈(3)을 지지하는 제1지지홈(12)이 형성된 제1삽입공(10);
    일측에 신발 끈(3)을 삽입하는 제2끼움홈(21)이 형성되고, 삽입된 끈(3)을 지지하는 제2지지홈(2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공(10)을 거쳐 삽입된 끈(3)을 지지하는 제2삽입공(20);
    타측에 삽입된 신발 끈(3)을 고정하는 고정홈(3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공(20)을 거쳐 삽입된 끈(3)을 고정 지지하는 제3삽입공(30)이 형성된, 신발 끈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1) 일측에 쐐기(40)가 형성된, 신발 끈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끈(3)은 탄성을 갖는, 신발 끈 고정장치.
KR2020180005588U 2018-12-04 2018-12-04 신발 끈 고정장치 KR2020000122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588U KR20200001224U (ko) 2018-12-04 2018-12-04 신발 끈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588U KR20200001224U (ko) 2018-12-04 2018-12-04 신발 끈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224U true KR20200001224U (ko) 2020-06-12

Family

ID=7107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588U KR20200001224U (ko) 2018-12-04 2018-12-04 신발 끈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224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083B1 (ko) 2017-03-06 2018-04-30 주식회사 블링크프로젝트 신발끈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083B1 (ko) 2017-03-06 2018-04-30 주식회사 블링크프로젝트 신발끈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1204B2 (en) Wire tightening device and providing method therefor
US4640025A (en) Figure eight shoe tie system
KR100552073B1 (ko) 운동화 끈 조임 구조
US5349764A (en) Shoe securement apparatus
US8166675B2 (en) Shoe tongue centralizer
US11160326B2 (en) Component shoe
US20080016723A1 (en) Sports shoe, in particular a cycling shoe, and tightening strap for such a shoe
JP2020531231A5 (ko)
US430982A (en) Shoe-fastener
KR200467145Y1 (ko)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는 신발
KR101844135B1 (ko) 신발끈 결속장치 및 신발끈 결속 키트
KR20200001224U (ko) 신발 끈 고정장치
US10334909B2 (en) Elastic shoelace with a ring
KR100765244B1 (ko) 신발끈 결속구
KR200440027Y1 (ko) 신발끈 조임장치
KR101853083B1 (ko) 신발끈 고정장치
US20080168680A1 (en) Tap shoe with multiple fastening devices and method of providing a shoe that provides the look and feel of a laced and elastically retained shoe
KR101189212B1 (ko) 신발끈 결착 장치
JP3153197U (ja) 運動靴
GB2071481A (en) Attaching uppers to soles
KR102455011B1 (ko) 신발
KR101643080B1 (ko) 전투화
EP2311342A1 (en) Accessory element for spike heel
KR102065465B1 (ko) 신발끈의 조임이 가능한 신발
KR200433348Y1 (ko) 탈부착이 되는 아이젠을 구비한 등산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