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809U - 반지 - Google Patents

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809U
KR20200000809U KR2020180004689U KR20180004689U KR20200000809U KR 20200000809 U KR20200000809 U KR 20200000809U KR 2020180004689 U KR2020180004689 U KR 2020180004689U KR 20180004689 U KR20180004689 U KR 20180004689U KR 20200000809 U KR20200000809 U KR 202000008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ornament
shape
separation region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6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철
Original Assignee
백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철 filed Critical 백승철
Priority to KR2020180004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809U/ko
Publication of KR202000008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80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038Finger-rings openable or able to be broken for safety reas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08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emovable
    • A44C17/0233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emovable using screws or screwed element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링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격 영역을 형성하며 직경이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서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보석 및 상기 보석을 고정시키는 크라운으로 이루어지는 장식구를 포함하며, 상기 장식구는 서로 다른 크기, 형상 및 색상을 가지며 복수개로 구비되며, 착용 테스트를 위하여 상기 몸체에서 선택적인 교체가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반지{Ring}
본 고안은 반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가락 굵기에 대응하며 직경이 가변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장식구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반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지는 주로 보석 전문판매점에서 구매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반지를 구매하고자 하는 목적은 본인이 직접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와, 상대방에게 선물을 하고자 하는 경우로 나눠진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반지의 구매 시, 본인 또는 상대방의 취향은 물론 손가락의 굵기를 고려하여야 하는 바 사람마다 그 취향이나 손가락의 굵기가 제 각각 이기 때문에, 원하는 디자인과 손가락 굵기에 알맞은 반지를 그 즉시에서 구매하기란 쉽지 않다.
특히, 상대방에게 선물을 할 경우에는 손가락 사이즈를 정확하게 알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상대방에게 손가락 사이즈를 물어보거나 사이즈를 재야하므로 상대방 모르게 기념선물을 하기가 어려워 선물에 의미가 상쇄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반지는 끼우고 싶은 손가락의 가장 굵은 부분을 기준으로 반지 호수를 선택하게 되지만, 손가락에서 최종 장착되는 부위는 손가락의 가장 굵은 부위를 통과한 후 위치하기 때문에, 반지를 손가락의 가장 굵은 부분을 통과하여 낄 때의 불편함과 반지를 낀 후에 위치하는 손가락이 가늘어져 반지가 빙글빙글 돌아가 착용감이 불안정한 문제가 발생하게 될 수 있다.
한편, 반지에 장착되는 장식구의 경우에는, 형상, 모양 및 색체 등에 따라 서로 다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반지의 중앙에 고정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구매자가 원하는 반지의 디자인과 장식구의 디자인을 각각 선택하여 매칭해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원하는 디자인의 반지와 장식구를 선택한다 하더라도, 완성된 상태의 반지를 착용해 본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제작이 이루어진 후 마음에 들지 않아도 어쩔 수 없이 착용을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몸체가 물리적인 힘에 의해 이격 영역을 형성하며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대응하며 몸체의 직경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몸체에서 장식구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원하는 장식구의 선택적인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반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반지는 링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격 영역을 형성하며 직경이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서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보석 및 상기 보석을 고정시키는 크라운으로 이루어지는 장식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장식구는 서로 다른 크기, 형상 및 색상을 가지며 복수개로 구비되며, 착용 테스트를 위하여 상기 몸체에서 선택적인 교체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상부 중앙에 암나사 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장식구는 상기 암나사 홀에 삽입되어 회전을 통해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크라운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테두리를 따르며 내부에 제1자성체가 내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식구는 상기 크라운의 하부에서 상기 제1자성체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자성에 의해 상기 몸체의 상부 테두리를 따르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자성체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이격 영역을 통해 제1몸체 및 제2몸체로 분리된다.
이러한 상기 이격 영역은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경계에서 사선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격 영역은 상기 제1몸체의 단부에서 'ㄷ'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1몸체의 단부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2몸체의 단부에 'ㅗ'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이격 영역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제2연결부재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몸체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이격 영역을 통해 제1몸체 및 제2몸체로 분리되며, 상기 이격 영역에는,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단부를 수용하는 가이드부가 삽입되어 이격 위치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의 하부 형상과 동일하도록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간격을 가지며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 돌기가 선택적으로 걸림 위치되도록 마련되는 걸림 홈을 구비한다.
본 고안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몸체가 물리적인 힘에 의해 이격 영역을 형성하며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착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대응하며 몸체의 직경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몸체에서 장식구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원하는 장식구의 선택적인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함에 있다.
그에 따라, 본 고안은 반지의 제작 이전에 사용자가 원하는 반지의 크기 및 디자인 뿐만 아니라 장식구의 디자인을 선택하여 매칭해볼 수 있기 때문에, 완성된 반지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반지의 교체에 대한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반지의 교체에 대한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반지의 몸체 구조에 대한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반지의 몸체 구조에 대한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반지의 몸체 구조에 대한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반지의 몸체 구조에 대한 제3실시예에서 가이드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반지의 교체에 대한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지는 몸체(100) 및 장신구(200)를 포함한다.
몸체(100)는 손가락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며, 또한 이격 영역(A)을 형성하며 직경이 가변되도록 형성된다.
장식구(200)는 몸체(100)의 외주면에서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이러한 장식구(200)는 보석(210) 및 보석(210)을 고정시키는 크라운(2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장식구(200)는 서로 다른 크기, 형상 및 색상을 가지며 복수개로 구비되며, 또한 착용 테스트를 위하여 몸체(100)에서 선택적인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장식구(200)의 경우, 형상, 모양 및 색체 등에 따라 서로 다른 분위기를 연출할 수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몸체(100)의 중앙에 고정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원하는 장식구(200)의 디자인을 선택하여 매칭해볼 수 없고, 만일 원하는 디자인의 장식구(200)를 선택한다 하더라도, 몸체(100)에 장착된, 다시 말해 완성된 상태의 반지를 착용해 볼 수는 없으므로, 제작이 이루어진 후 마음에 들지 않아도 어쩔 수 없이 착용을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장식구(200)의 선택적인 교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몸체(100)는 상부 중앙에 암나사 홀(H)이 관통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도록 장식구(200)는 결합 돌기(230)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결합 돌기(230)는 암나사 홀(H)에 삽입되어 회전을 통해 나사 결합되도록 크라운(220)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암나사 홀(H)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 상부 중앙에 하나 형성될 수도 있으나, 몸체(100)의 상부의 테두리를 따르며 복수개 또는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고, 그에 따라 구매자가 반지 제작 전 장식구(200)를 원하는 몸체(100) 상의 위치에 하나 또는 복수개 고정시킨 상태에서 착용해볼 수 있다.
이하,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반지의 교체에 대한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지는 장식구(200)의 선택적인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몸체(100)는 테두리를 따라 내부에 제1자성체(120)가 내장되도록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도록 장식구(200)에는 제2자성체(240)가 설치된다.
즉, 제2자성체(240)는 크라운(220)의 하부에서 제1자성체(120)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그에 따라 장식구(220)가 자성에 의해 몸체(100) 상부 테두리를 따르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자성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크기, 형상 및 색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장식구(200)에 대한 몸체(100) 상에서의 용이한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결과적으로는 반지 제작 전 몸체(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장식구(200)를 몸체(100) 상의 원하는 위치에 하나 또는 복수개 고정시켜볼 수 있으며, 자성에 의해 장식구(200)의 손쉬운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식구(200)의 위치를 미세 조절 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반지는 상기와 같이 자성에 의한 장식구(200)의 탈부착을 통해 반지 제작 이전에 구매자의 손에 어울리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착용 테스트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식구(220)의 미세 위치 조정이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구매자에 요구에 맞게 맞춤 제작(customizing)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반지의 몸체 구조에 대한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반지의 몸체 구조에 대한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100)는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그에 따라 물리적인 힘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격 영역(A)을 형성(조절)하며 제1몸체(100a) 및 제2몸체(100b)로 분리되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격 영역(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00a) 및 제2몸체(100b)의 경계에서 사선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반지에 대한 착용 테스트 시 이질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만일 몸체(100)의 직경 보다 구매자의 손가락 굵기가 더 얇은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몸체(100) 직경 보다 구매자의 손가락 굵기가 더 굵은 경우,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이격 영역(A)이 발생되면서 착용상 이질감을 줄 수 있다.
즉, 수직 형태로 이격 영역(A)이 형성된 상태에서 거울 등을 통해 착용이 이루어진 반지를 정면에서 바라보게 되면, 벌어진 이격 영역(A)이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착용 시 벌어진 공간으로 인해 시각적 이질감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100)의 내면과 손가락의 마찰되는 부분이 없어져 착용감 또한 이질감을 줄 수 있으므로, 이격 영역(A)이 사선 형태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제1몸체(100a) 및 제2몸체(100b)로 몸체(100)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하여 구매자의 서로 다른 손가락 굵기에 대응하면서도, 착용 상태에서 착용 안정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정면에서 벌어진 공간 없이 하나의 링 형태로 몸체(100)가 보여지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반지는 이격 영역(A)을 통해 구매자의 손가락 직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면서도, 이격 영역(A)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착용상 및 시각적 이질감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격 영역(A)은 상기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이격 영역(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재(102a) 및 제2연결부재(102b)로 이루어진다.
제1연결부재(102a)는 제1몸체(100a)의 단부에서 'ㄷ'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2연결부재(102b)는 제1몸체(100a)의 단부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더 자세하게는 제1몸체(100a)와 함께 이격 영역(A)을 형성하는 제2몸체(100b)의 단부에서 'ㅗ'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제2연결부재(102b)는 제1연결부재(102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1연결부재(102a)의 내부로 삽입되며,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1몸체(100a)와 제2몸체(100b)의 벌어짐을 통해 제1연결부재(102a)의 내부에서 이격 영역(A)이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구매자의 손가락 굵기에 대응하며 이격 영역(A)이 조절되도록 제1몸체(100a) 및 제2몸체(100b)로 몸체(100)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하면서도, 착용 상태에서는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하, 도 5 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반지의 몸체 구조에 대한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반지의 몸체 구조에 대한 제3실시예에서 가이드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지를 구성하는 몸체(10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고, 아울러 이격 영역(A)을 통해 제1몸체(100a) 및 제2몸체(100b)로 분리되며, 이러한 이격 영역(A)에는 서로 마주하는 제1몸체(100a) 및 제2몸체(100b) 각각의 단부를 수용하는 가이드부(110)가 삽입되어 이격 위치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몸체(10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착용 테스트 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손가락 굵기가 몸체(100)의 직경 보다 굵은 구매자로 하여금 착용상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부(110)의 삽입을 통해 이격 영역(A) 간격을 고정시킴으로써, 몸체(100)에 대한 착용 불편함을 방지하며 용이한 착용 테스트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1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2) 및 걸림 홈(114)를 구비한다.
본체(112)는 몸체(100)의 하부 형상과 동일하도록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며, 제1몸체(100a) 및 제2몸체(100b)를 내부에 수용한다.
걸림 홈(114)은 본체(112)의 내부에 간격을 가지며 복수개로 구비되고, 제1몸체(100a) 및 제2몸체(100b)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걸림 돌기(B)가 선택적으로 걸림 위치되도록 마련된다.
다시 말해, 본체(112)의 내부에 제1몸체(100a) 및 제2몸체(100b)를 수용하여 이격 영역(A)의 간격이 고정되게 할 수는 있으나, 복수의 구매자에 따라 손가락의 굵기가 다르기 때문에, 복수개의 걸림 홈(114) 중 어느 하나의 걸림 홈(114)에 걸림 돌기(B)가 선택적으로 걸림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구매자의 손가락 굵기에 대응하며 몸체(100)의 직경을 미세 조절하며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몸체(100a) 및 제2몸체(100b)는 본체(112)의 내부로 각각의 단부를 밀어 넣고, 당김을 통해 걸림 돌기(B)가 걸림 홈(114)에서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게 함으로써, 이격 영역(A)의 간격이 고정 또는 고정 해제되게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몸체(100)에 대한 용이한 직경 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몸체가 물리적인 힘에 의해 이격 영역을 형성하며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착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대응하며 몸체의 직경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몸체에서 장식구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원하는 장식구의 선택적인 장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함에 있다.
그에 따라, 본 고안은 반지의 제작 이전에 사용자가 원하는 반지의 크기 및 디자인 뿐만 아니라 장식구의 디자인을 선택하여 매칭해볼 수 있기 때문에, 완성된 반지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00 : 몸체 100a : 제1몸체
102a : 제1연결부재 100b : 제2몸체
102b : 제2연결부재 110 : 가이드부
112 : 본체 114 : 걸림 홈
120 : 제1자성체 200 : 장식구
210 : 보석 220 : 크라운
230 : 결합 돌기 240 : 제2자성체
A : 이격 영역 B : 걸림 돌기
H : 암나사 홀

Claims (8)

  1. 링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격 영역을 형성하며 직경이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서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보석 및 상기 보석을 고정시키는 크라운으로 이루어지는 장식구;를 포함하며,
    상기 장식구는,
    서로 다른 크기, 형상 및 색상을 가지며 복수개로 구비되며, 착용 테스트를 위하여 상기 몸체에서 선택적인 교체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부 중앙에 암나사 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장식구는, 상기 암나사 홀에 삽입되어 회전을 통해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크라운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테두리를 따르며 내부에 제1자성체가 내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식구는, 상기 크라운의 하부에서 상기 제1자성체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자성에 의해 상기 몸체의 상부 테두리를 따르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자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이격 영역을 통해 제1몸체 및 제2몸체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영역은,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경계에서 사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영역은,
    상기 제1몸체의 단부에서 'ㄷ'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제1몸체의 단부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상기 제2몸체의 단부에 'ㅗ'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이격 영역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제2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이격 영역을 통해 제1몸체 및 제2몸체로 분리되며,
    상기 이격 영역에는,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단부를 수용하는 가이드부가 삽입되어 이격 위치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의 하부 형상과 동일하도록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간격을 가지며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 돌기가 선택적으로 걸림 위치되도록 마련되는 걸림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
KR2020180004689U 2018-10-15 2018-10-15 반지 KR202000008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689U KR20200000809U (ko) 2018-10-15 2018-10-15 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689U KR20200000809U (ko) 2018-10-15 2018-10-15 반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809U true KR20200000809U (ko) 2020-04-23

Family

ID=70455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689U KR20200000809U (ko) 2018-10-15 2018-10-15 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80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702B1 (ko) 2022-04-01 2022-11-30 (주) 리베라리츠 피어싱 겸용 장식부가 교체 가능하게 구비된 반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피어싱 겸용 장식부가 교체 가능하게 구비된 반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702B1 (ko) 2022-04-01 2022-11-30 (주) 리베라리츠 피어싱 겸용 장식부가 교체 가능하게 구비된 반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피어싱 겸용 장식부가 교체 가능하게 구비된 반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2503A (en) Watch assembly having interchangeable bezels and coordinated interchangeable bands
US4153347A (en) Eyeglass frames with removable, interchangeable lenses, rims and temple pieces
CA2998583C (en) Interchangeable jewelry
US2752764A (en) Magnetic earrings with interchangeable ornaments
US8998484B2 (en) Watch strap with interchangeable indicia
US7341342B2 (en) Eyeglasses
US11389330B2 (en) Magnetic goggle lens changing system
US20170068115A1 (en) Decorative attachment for eyewear temple
US3098364A (en) Necklaces useable separately or in parallel strands
KR20200000809U (ko) 반지
KR101555489B1 (ko) 시계 체결 및 해제장치
US7481075B2 (en) Jewelry piece with a replaceable-exchangeable setting and attachment mechanism and setting apparatus therefor
US20190324295A1 (en) Interchangeable Jewelry Clip
CN209992820U (zh) 一种便于组装的手表
KR102069703B1 (ko) 착용감이 향상된 안경테 조립체
KR20140102402A (ko)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반지
US1654479A (en) Slide button
KR101363175B1 (ko) 장식구가 구비된 안경
US2077234A (en) Jewelry set
US8418695B1 (en) Eyeglass patch
US20190038466A1 (en) Goggle lens changing system
KR20210007428A (ko) 손목 시계
KR20110043915A (ko) 반지
US937502A (en) Articles of jewelry arranged for holding interchangeable gems or stones.
JP3880988B2 (ja) 眼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