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770U - Stand for smartphone - Google Patents

Stand for smart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770U
KR20200000770U KR2020180004592U KR20180004592U KR20200000770U KR 20200000770 U KR20200000770 U KR 20200000770U KR 2020180004592 U KR2020180004592 U KR 2020180004592U KR 20180004592 U KR20180004592 U KR 20180004592U KR 20200000770 U KR20200000770 U KR 202000007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martphone
height adjuster
smartphone holder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59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능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비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비엘
Priority to KR20201800045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770U/en
Publication of KR202000007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770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F16M11/34Members limiting spreading of legs, e.g. "umbrella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다양한 형태로 휘어질 수 있는 복수개의 다리를 구비하여 어떠한 장소에도 설치가 가능하고 캠으로 스마트폰의 높이를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는, 본체; 상기 본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지면 또는 대상물 상부에 놓여 상기 본체를 지지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절곡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소성을 가진 복수개의 서포트 레그; 상기 본체에 형성된 수직 관통홀에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단에는 스마트폰이 장착되는 높이 조절대; 및 상기 높이 조절대에 구비된 양측의 축받이에 삽입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고,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고정용 캠이 상기 높이 조절대를 눌러 고정하고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고정용 캠이 상기 높이 조절대와 이격되어 해제되도록 몸체에 상기 고정용 캠이 형성된 원터치 레버;를 포함한다.Disclosed is a smartphone holder that can be installed in any location by having a plurality of legs that can be bent in various forms and can quickly fix the height of the smartphone with a cam.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support legs having one end fix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placed on the ground or an object to support the main body and maintaining a bent shap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t is installed so as to be elevated in the vertical through-hole formed in the main body, and a height adjuster mounted on a smartphone at the top; And it is mounted on the rotating shaft so that it can be rotated around a rotation axis that is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shaft provided on the height adjuster, when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fixing cam is fixed by pressing the height adjuster and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It includes; a one-touch lever having the fixing cam formed on the body so that the fixing cam is separated from the height adjuster and released.

Description

스마트폰 거치대 {Stand for smartphone}Smartphone stand {Stand for smartphone}

본 고안은 다양한 형태로 휘어질 수 있는 복수개의 다리를 구비하여 어떠한 장소에도 설치가 가능하고 캠으로 스마트폰의 높이를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holder that can be installed in any place by having a plurality of legs that can be bent in various forms and can quickly fix the height of the smartphone with a cam.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 디바이스는 영상, 소리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는 이동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이렇게 정보를 제공받는 동안에도 양손으로는 필요한 다른 동작을 행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거치대를 이용하여 고가의 스마트폰이 파손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거치하려고 한다.Generally,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martphone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to a user through video, sound, and the like. However, the user often needs to perform other necessary operations with both hands while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this end, the user tries to mount the smartphone stably so that the expensive smartphone is not damaged.

나아가, 최근의 이동통신 디바이스는 통상 사진, 동영상, 음악 파일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을 처리하기 위해 고성능의 처리 시스템과 디스플레이 장치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처리 시스템과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기능을 신속히 수행하기 위해 많은 전력을 소비하는 반면, 휴대 가능한 배터리의 용량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를 빈번하게 충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이동 단말기용 충전기는 충전 케이블을 연결하여 유선으로 충전하는 방식과 전자기 유도 등의 현상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충전하는 방식으로 나뉜다. 전자의 방식은 이동 단말기의 휴대성과 자유로운 사용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후자의 무선 방식 충전기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Furthermore, recent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ually require high-performance processing systems and display devices to process multimedia files, such as photos, videos, and music files. However, while the processing system and the display device consume a lot of power to quickly perform the function, the portable battery has a limited capacity, and there is a hassle of frequently charging the mobile terminal. The charger for a mobile terminal used for this purpose is divided into a method of charging by wire by connecting a charging cable and a method of charging wirelessly using phenomena such as electromagnetic induction. Since the former method interferes with the portability and free use of the mobile terminal, the use of the latter wireless type charger is gradually increasing.

한편, 종래기술에 의한 스마트폰의 거지대는 삼각대 형태로 복수개의 다리를 포함하는 카메라용의 삼각대 같은 부류와, 한손으로 쥐고 움직이는 소위 셀카봉 등이 있는데, 종래기술에 의한 스마트폰의 거치대로서 삼각대 형태는 매우 무겁고 설치 및 해제에 시간이 많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고, 셀카봉의 경우에는 한 손으로 사용해야 하는 제약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smartphone of the prior art has a tripod-like type of camera tripod including a plurality of legs in the form of a tripod, and a so-called selfie stick that moves with one hand, such as a tripod for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very heav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install and uninstall, and in the case of selfie sticks,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limitation to use with one hand.

공개특허 10-2015-0104400Patent Publication 10-2015-0104400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한 복수개의 다리를 이용하여 불규칙한 장소에 단독으로 설치 및 서포트가 가능하고 캠을 이용하여 원터치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a smartphone that can be installed and supported alone in an irregular place by using a plurality of legs that can be deformed in various forms, and can adjust the height with a single touch using a cam. It is to provide a crad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본체; 상기 본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지면 또는 대상물 상부에 놓여 상기 본체를 지지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절곡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소성(塑性)을 가진 복수개의 서포트 레그; 상기 본체에 형성된 수직 관통홀에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단에는 스마트폰이 장착되는 높이 조절대; 상기 높이 조절대에 구비된 양측의 축받이에 삽입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고,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고정용 캠이 상기 높이 조절대를 눌러 고정하고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고정용 캠이 상기 높이 조절대와 이격되어 해제되도록 몸체에 상기 고정용 캠이 형성된 원터치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specific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support legs having one end fix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resting on a ground or an object to support the main body and maintaining a bent shap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t is installed so as to be elevated in the vertical through-hole formed in the main body, and a height adjuster mounted on a smartphone at the top; It is mounted on the rotating shaft so that it can be rotated around the rotational shafts inserted into the shaft supports on both sides provided in the height adjusting rod, and when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fixing cam is fixed by pressing the height adjusting rod and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It may include; a one-touch lever having the cam for fixing is formed on the body so that the cam is spaced apart from the height adjuster and releas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 조절대는 긴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의 수직 관통홀은 단면이 슬롯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수직 관톨홀과 연통되는 개방부가 상기 축받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height adjuster is made of a long plate shape, the vertical through-hole of the main body is formed in a slot shape, and an open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vertical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main body between the bearings. .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받이의 외측에는 부채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 끝단에는 부채 형상의 홈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a fan-shaped groove is formed outside the shaft, and a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fan-shaped groove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rotating shaft.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 조절대의 상단에는 볼 조인트가 구비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볼 조인트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부에 장착될 수 있다.Preferably, a ball joint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er, and the smart phone can be mounted on a mounting portion in which the ball joint is rotatably install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터치 레버는,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가 잡거나 걸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편익을 제공하게 되는 손잡이부; 상기 몸체가 회전되어 고정 위치에서는 상기 높이 조절대의 일부를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반대쪽으로 압박하여 고정하고, 반대로 회전되어 해제 위치에서는 상기 높이 조절대로부터 이격되는 고정용 캠; 및 상기 몸체가 회전되어 고정 위치에서 상기 고정용 캠이 상기 높이 조절대를 고정하게 되면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본체에 밀착되는 스톱퍼;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one-touch lever, the body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rotating shaft; A handl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dy to provide convenience for the user to rotate by grabbing or walking; A cam for fixing the body being rotated to fix a part of the height adjuster in the opposite direction through the opening part, and to be rotat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eight adjuster in a reversed position; And a stopper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to prevent further rotation when the main body is rotated to fix the height adjuster at a fixed posi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위치에서는 상기 고정용 캠의 끝단의 높이가 상기 회전축의 회전축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fixed position, the height of the end of the fixing cam may be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tion axis.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포트 레그는, 구부러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의 소성(塑性)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금속코어; 및 상기 금속코어의 외부룰 감싸도록 설치된 외피;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upport leg includes a metal core made of an internally sintered metal material to maintain a curved shape; And an outer shell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rule of the metal core.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코어는 철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metal core may be made of wire.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피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outer shell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용 캠의 일부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a part of the fixing cam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1) 본 고안은 스마트폰을 지자하게 되는 복수개의 다리가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소나 대상물에 제약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1) The present design provides an effect of stably supporting a place or an object without restriction because a plurality of legs that support a smartphone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2) 본 고안은 원터치 레버를 회전시킴으로써 높이 조절대를 캠에 의해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신속하게 스마트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2)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ffect of quick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martphone because the height adjuster can be fixed and released by the cam by rotating the one-touch lever.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고정 위치에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해제 위치에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해제 위치에서의 종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smart phon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art 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in a fixed position of the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in the release position of the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smartphone holder in a released pos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In addition,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above"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directly above" another part but also another part in the middle. Conversely, when a portion of a layer, film, region, plate, or the like is said to be “under” another portion,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underneath” another portion, but also another portion in the middl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1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smartphone hold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10)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체(20), 복수개의 서포트 레그(30), 높이 조절대(40), 원터치 레버(50)를 포함한다.The smartphone holder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 to 6, the main body 20, a plurality of support legs 30, a height adjuster 40, a one-touch lever 50 ).

상기 본체(20)는 상기 서포트 레그(30), 높이 조절대(40), 그리고 원터치 레버(50)가 모두 설치되는 몸체에 해당한다.The main body 20 corresponds to a body in which the support leg 30, the height adjuster 40, and the one-touch lever 50 are all installed.

이때, 상기 본체(20)에는 우선 상기 서포트 레그(30)의 상단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형태를 이루는 바, 양쪽에 각 하나씩. 그리고 전방에 또 다른 하나의 레그가 설치되어 총 3개의 서포트 레그가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20, firs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leg 30 is fitted to form a bar, one on each side. In addition, another leg is installed at the front to fix a total of three support legs.

이때, 상기 본체(20)는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고, 전술한 바와 같이 3개의 서포트 레그(30)의 상단이 고정되며, 중앙에는 단면이 사각형 형태, 즉 슬롯 형태의 수직 관통홀(20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직 관통홀(20b)에 상기 높이 조절대(40)가 승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main body 20 is made of a plate shape, and the upper ends of the three support legs 30 are fixed as described above, and a cross-section is formed in a square shape, that is, a vertical through hole 20b having a slot shape in the center. It is done. The height adjuster 40 is raised and lowered in the vertical through hole 20b.

이때, 상기 본체(20)의 후방에는 개방부(20c)가 형성되어 그 부분으로 상기 높이 조절대(4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At this time, an opening 20c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20, and a part of the height adjuster 40 is exposed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본체(20)의 상기 개방부(20c) 양쪽에는 축받이(21,22)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축받이(21,22)는 상기 본체(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축받이(21,22)에는 회전축(23)이 삽입되는 관통홀(21a,22a)이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portion 20c of the main body 20, the bearings 21 and 22 are respectively protru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bearings 21 and 22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20. Of course, the through-holes 21a and 22a in which the rotation shaft 23 is inserted are formed in the bearings 21 and 22.

이때, 상기 축받이(21,22)의 외측에는 부채 형상의 홈(22b)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23) 끝단에는 부채 형상의 홈(22b)에 대응되는 돌출부(23a)가 구비되어 조립된다.At this time, fan-shaped grooves 22b are formed on the outsides of the shaft supports 21 and 22, and projections 23a corresponding to fan-shaped grooves 22b ar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rotary shaft 23 and assembled.

상기 복수개의 서포트 레그(30)는 여기서 3개가 구비되어 있으나 그 이상을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30 are provided here, but of course, more than one can be installed.

상기 복수개의 서포트 레그(30)는 상기 본체(20)에 몸체(31)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32)은 지면(2) 또는 대상물 상부에 놓여 상기 본체(20)를 지지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절곡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소성(塑性)을 가진다.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30 is fixed to one end of the body 31 to the main body 20, and the other end 32 is placed on the ground 2 or the object to support the main body 20, and at the user's choice. Accordingly, it has plasticity to maintain a bent shape.

이때, 상기 서포트 레그(30)는, 구부러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의 소성(塑性)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금속코어와, 상기 금속코어의 외부룰 감싸도록 설치된 외피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leg 30 may include a metal core made of an inner plastic metal material to maintain a bent shape, and an outer shell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rules of the metal core.

이때, 상기 금속코어는 철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외피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metal core may be made of wire, and the shell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상기 높이 조절대(40)는 상기 본체(20)에 형성된 수직 관통홀(20b)에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단에는 스마트폰이 장착될 수 있다.The height adjuster 40 is installed to be elevated in the vertical through hole 20b formed in the main body 20, and a smart phone may be mounted on the top.

이때, 상기 높이 조절대(40)는 긴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20)의 수직 관통홀(20b)은 단면이 슬롯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20)에는 상기 수직 관톨홀(20b)과 연통되는 개방부(20c)가 상기 축받이(21,22)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원터치 레버(50)의 동작에 의해 상기 높이 조절대(40)가 고정 또는 해제된다.At this time, the height adjuster 40 is made of a long plate shape, the vertical through hole 20b of the main body 20 is formed in a slot shape, the main body 20 has the vertical through hole 20b ) And an open portion 20c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s formed between the bearings 21 and 22. Therefore, the height adjuster 40 is fixed or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one-touch lever 50.

이때, 상기 높이 조절대(40)의 상단에는 볼 조인트(41)가 구비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볼 조인트(4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부(60)에 장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a ball joint 41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er 40, and the smartphone may be mounted on a mounting portion 60 in which the ball joint 41 is rotatably installed.

이렇게 볼 조인트(41)를 사용함으로써 스마트폰의 각도를 사용자가 아주 손쉽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By using the ball joint 41 in this way, the user can adjust the angle of the smartphone very easily.

상기 원터치 레버(50)는, 상기 높이 조절대(40)에 구비된 양측의 축받이(21,22)에 삽입되는 회전축(23)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23)에 장착되고,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고정용 캠(50c)이 상기 높이 조절대(40)를 눌러 고정하고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고정용 캠(50c)이 상기 높이 조절대(40)와 이격되어 해제되도록 원터치 레버(50) 몸체에 상기 고정용 캠(50c)이 형성된다.The one-touch lever 50 is mounted on the rotating shaft 23 so that it can be rotated around the rotating shafts 23 inserted into the shaft supports 21 and 22 on both sides provided in the height adjuster 40, and in one direction. When rotated to the fixed cam (50c) is fixed by pressing the height adjuster 40, and when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fixed cam (50c) is spaced apart from the height adjuster 40 to release the one-touch lever (50) ) The fixing cam 50c is formed on the body.

이때, 상기 원터치 레버(50)는, 상기 회전축(2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용 홀(50b)을 구비한 몸체와,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가 잡거나 걸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편익을 제공하게 되는 손잡이부(50b)와, 상기 몸체가 회전되어 고정 위치에서는 상기 높이 조절대(40)의 일부를 상기 개방부(20c)를 통하여 반대쪽으로 압박하여 고정하고, 반대로 회전되어 해제 위치에서는 상기 높이 조절대(40)로부터 이격되는 고정용 캠(50c)과, 상기 몸체가 회전되어 고정 위치에서 상기 고정용 캠(50c)이 상기 높이 조절대(40)를 고정하게 되면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본체(20)에 밀착되는 스톱퍼(50d)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ne-touch lever 50, the body provided with a rotating hole (50b) rotatably inserted into the rotating shaft 23, and protrudes from the body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to catch or walk to rotate The handle portion (50b) to be, and the body is rotated to fix a part of the height adjuster (40) by pressing it in the opposite direction through the opening (20c) in a fixed position, and rotated to the contrary to adjust the height in a released position When the fixing cam 50c spaced apart from the stand 40 and the fixing cam 50c are fixed in the fixed position by rotating the body, the height adjuster 40 is fixed to prevent further rotation. It may include a stopper (50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20.

이때, 상기 고정 위치에서는,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고정용 캠(50c)의 끝단의 높이가 상기 회전축(23)의 중심보다 일정거리(△X) 높게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fixed position, referring to FIG. 5, the height of the end of the fixing cam 50c may be formed to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ΔX) higher than the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23.

이때, 상기 고정용 캠(50c)의 일부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고정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 part of the fixing cam 50c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so that the fixing state may be maintained more firmly.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작동과 사용법을 도면을 참고하면 설명한다.The operation and usage of the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우선, 스마트폰은 장착부(60)에 장착된다. 이러한 장착부(60)는 범용 상품을 사용이 가능하고, 장착부(60)는 볼조인트(4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각도를 조절한다.First, the smart phone is mounted on the mounting unit 60. The mounting unit 60 can use a general purpose product, and the mounting unit 60 is rotatably installed by the ball joint 41 so that the user adjusts the angle.

그 다음, 도 2와 도 3을 참고하면, 편편한 장소이면 도 2처럼 서포트 레그(30)를 모두 펼치고 각도만을 조정하여 스마트폰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나, 도 3과 같이 설치 장소가 울퉁불퉁하거나 한쪽이 계단이나 물건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서포트 레그(30)를 알맞게 굽혀 스마트폰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Next, referring to FIGS. 2 and 3, in a convenient place, the support leg 30 can be expanded and the angle of the smartphon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only the angle, as shown in FIG. 2, but the installation location is uneven or one side of the stairs as shown in FIG. If there is or an object, the support leg 30 is bent properly so that the smartphone is stably supported.

도 5와 6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높이 조절대(40)의 높이를 원터치 레버(50)를 사용하여 조정할 수 있는 바, 우선 도 6을 참고하면 높이 조절대(40)가 해제되어 있는 해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원터치 레버(50)의 고정용 캠(50c)이 상기 높이 조절대(40)로부터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높이 조절대(40)의 높이를 맘대로 조절할 수 있다.5 and 6, the user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height adjuster 40 using a one-touch lever 50. First, referring to FIG. 6, the height adjuster 40 is released. Is shown. In this state, since the cam 50c for fixing the one-touch lever 50 is spaced apart from the height adjuster 40, the height of the height adjuster 40 can be adjusted at will.

도 5를 참고하면, 높이 조절하고 고정시키기 위하여 레버(50)를 상측으로 회전한 고정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원터치 레버(50)의 손잡이(50a)를 잡아 위로 올려 스톱퍼(50d)가 상기 본체(20)에 밀착할 때까지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용 캠(50c)은 상기 높이 조절대(40)가 본체(20)에 밀착되도록 압박하는 위치에 있게 되기 때문에 상기 높이 조절대(40)가 그 위치에서 고정된다.Referring to FIG. 5, a fixed position in which the lever 50 is rotated upward to adjust and fix the height is illustrated. When the user pulls up the handle 50a of the one-touch lever 50 and rotates it until the stopper 50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20, the fixing cam 50c has the height adjuster 40 The height adjuster 40 is fixed at that position because it is in a position to be pres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20.

물론, 그 반대로 회전되면 도 6과 같은 상태가 된다.Of course, if the rotation is reversed, the state is as shown in FIG. 6.

이와 같이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장착부(60)에 장착하고, 서포트 레그(30)를 구부려 지지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높이 조절대(40)의 높이를 원터치 레버(50)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고정 및 해제할 수 있으며, 동시에 볼 조인트(41)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회전 각도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user can mount the smartphone to the mounting portion 60, bend the support leg 30, and adjust the position to be supported, and quickly fix the height of the height adjuster 40 using the one-touch lever 50 And can be release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smartphone at the same time using the ball joint (41).

한편, 도 7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도 6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20)에 자석(120)을 장착하고, 이에 대응하는 철판(150)을 고정용 캠(50c)의 외면에 설치한 것에 특징이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7, a part of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7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6, in this embodiment, the magnet 12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20, and the iron plate 150 corresponding thereto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cam 50c. have.

이때, 상기 자석(120)은 상기 고정용 캠(50c)이 해제 위치가 아닌 고정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에 위치한 경우 자력에 의해 인력을 받게 된다.At this time, the magnet 120 receives the attraction force by the magnetic force when the fixing cam 50c is locat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fixed position rather than a release position.

이렇게 자석(120)과 철판(150)을 설치함으로써 많은 사용으로 인해 장비가 닳거나 변형되어 고정 동작이 잘 되지 않을 때 자력의 도움으로 그 수명을 더 연장할 수 있게 된다.By installing the magnet 120 and the iron plate 150 in this way, when the equipment is worn out or deformed due to many uses, it is possible to extend its life with the help of magnetic force when the fixing operation is not performed well.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addition of components However, other embodiments may be easily proposed by changing, deleting, adding, or the like, but this will also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스마트폰 거치대
20 : 본체 30 : 서포트 레그
40 : 높이 조절대 50 : 원터치 레버
60 : 장착부
10: smartphone holder
20: main body 30: support leg
40: height adjuster 50: one-touch lever
60: mounting portion

Claims (10)

본체;
상기 본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지면 또는 대상물 상부에 놓여 상기 본체를 지지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절곡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소성을 가진 복수개의 서포트 레그;
상기 본체에 형성된 수직 관통홀에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단에는 스마트폰이 장착되는 높이 조절대;
상기 높이 조절대에 구비된 양측의 축받이에 삽입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고,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고정용 캠이 상기 높이 조절대를 눌러 고정하고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고정용 캠이 상기 높이 조절대와 이격되어 해제되도록 몸체에 상기 고정용 캠이 형성된 원터치 레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main body;
A plurality of support legs having one end fixed to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placed on the ground or an object to support the main body and maintaining a bent shap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t is installed so as to be elevated in the vertical through-hole formed in the main body, and a height adjuster mounted on a smartphone at the top;
It is mounted on the rotating shaft so that it can be rotated around the rotational shafts inserted into the shaft supports on both sides provided in the height adjusting rod, and when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fixing cam is fixed by pressing the height adjusting rod and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A one-touch lever having the fixing cam formed on the body so that the use cam is separated from the height adjuster and released;
Smartphon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대는 긴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의 수직 관통홀은 단면이 슬롯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수직 관톨홀과 연통되는 개방부가 상기 축받이 사이에 형성된 스마트폰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height adjuster is made of a long plate shape, the vertical through-hole of the main body is formed in a slot shape, the main body is a smartphone holder formed with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vertical through-hole between the ax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의 외측에는 부채 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 끝단에는 부채 형상의 홈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A fan-shaped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haft, and a smartphone holder having a projection corresponding to the fan-shaped groove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rotating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대의 상단에는 볼 조인트가 구비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볼 조인트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부에 장착되는 스마트폰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A ball joint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er, and the smartphone is a smartphone holder mounted on a mounting portion in which the ball joint is rotatably install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레버는,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몸체;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가 잡거나 걸어 회전시킬 수 있도록 편익을 제공하게 되는 손잡이부;
상기 몸체가 회전되어 고정 위치에서는 상기 높이 조절대의 일부를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반대쪽으로 압박하여 고정하고, 반대로 회전되어 해제 위치에서는 상기 높이 조절대로부터 이격되는 고정용 캠;
상기 몸체가 회전되어 고정 위치에서 상기 고정용 캠이 상기 높이 조절대를 고정하게 되면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본체에 밀착되는 스톱퍼;
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2,
The one-touch lever,
A body rotatably inserted into the rotating shaft;
A handl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dy to provide convenience for the user to rotate by grabbing or walking;
The body is rotated and fixed in a fixed position by pressing a part of the height adjuster in the opposite direction through the opening, and, conversely, a fixing cam spaced apart from the height adjuster in a released position;
A stopper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to prevent further rotation when the main body is rotated to fix the height adjuster at the fixed position;
Smartphone holder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위치에서는 상기 고정용 캠의 끝단의 높이가 상기 회전축의 회전축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형성된 스마트폰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fixed position, the height of the end of the cam for fixing the smartphone holder formed to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ting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레그는,
구부러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의 소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금속코어; 및
상기 금속코어의 외부룰 감싸도록 설치된 외피;
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leg,
A metal core made of an internal plastic metal material to maintain a bent shape; And
An outer shell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er rule of the metal core;
Smartphone hold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코어는 철사로 이루어진 스마트폰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metal core is a smartphone holder made of w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스마트폰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shell is a smartphone holder made of synthetic res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캠의 일부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스마트폰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A part of the fixing cam is a smartphone holder made of a rubber material.
KR2020180004592U 2018-10-08 2018-10-08 Stand for smartphone KR2020000077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592U KR20200000770U (en) 2018-10-08 2018-10-08 Stand for smart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592U KR20200000770U (en) 2018-10-08 2018-10-08 Stand for smart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770U true KR20200000770U (en) 2020-04-17

Family

ID=70455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592U KR20200000770U (en) 2018-10-08 2018-10-08 Stand for smart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770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3445A (en) * 2021-12-01 2022-04-15 广州林电智能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movement folding suppor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4400A (en) 2014-03-05 2015-09-15 강순덕 Light equipped trip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4400A (en) 2014-03-05 2015-09-15 강순덕 Light equipped trip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63445A (en) * 2021-12-01 2022-04-15 广州林电智能科技有限公司 Intelligent movement folding suppo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2244B2 (en) Multi-purpose camera stand
US9194165B2 (en) Ball hinge structure
US7536751B2 (en) Multi-step hing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US9841785B2 (en) Electronic device
US20050000056A1 (en) Caster
KR20120059015A (en) Terminal holder
JP6973815B2 (en) Electronic equipment installation device and adsorption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installation
US8789800B2 (en) Supporting apparatus
KR20200000770U (en) Stand for smartphone
KR200469096Y1 (en)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KR200471605Y1 (en) Case For Cliping and Cradling Portable Terminal
US10014095B1 (en) Cable with magnetic mounting assembly
KR101992297B1 (en) 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
KR20120008365U (en) Supporting case for display device
US20150144672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104455981B (en) Support
CN106231015A (en) A kind of smart mobile phone repacking video camera
KR102185589B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electronic device
KR102137363B1 (en) Skin ring
KR101537576B1 (en) Holder for handheld device
KR20120002185U (en) Protection case for tablet computer
KR200463901Y1 (en) Mobile device wrist holder
KR102150476B1 (en) Vacuum fixer for mounting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electronic device
CN217010926U (en) Cell phone stand is inhaled to magnetism that area rotated and accomodate
CN220529477U (en) Protective housing and electr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