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297B1 - 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297B1
KR101992297B1 KR1020180024335A KR20180024335A KR101992297B1 KR 101992297 B1 KR101992297 B1 KR 101992297B1 KR 1020180024335 A KR1020180024335 A KR 1020180024335A KR 20180024335 A KR20180024335 A KR 20180024335A KR 101992297 B1 KR101992297 B1 KR 101992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main body
cable
charg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3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성주
이상민
박성희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24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29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2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charging cable for charging and mounting a smartphone. Through a nail clipper structure of a support which can be rotated in two directions with an axis of rotation and hinge coupling with regard to a main body,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erform to mount the smartphone and, when not in use, the main body and the support can be in close contact through the above-stated two-direction rotation to minimize an occupied space, thereby maximizing space utilization and minimizing space interference when charging and mounting the smartphone.

Description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폰 충전과 스마트폰 거치를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charging cable capable of charging a smartphone together with a smartphone.

휴대폰은 과거에 단순한 통화의 용도로만 사용되었으나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다방면으로 그 기능이 확장되었다. In the past, mobile phones we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simple calls, but their functions have been expanded in many ways due to the recent spread of smartphones.

특히,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장시간이 소요되는 영화, 드라마, 스포츠 중계 등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으나, 이러한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다보면 종래의 통화용도의 휴대폰에 비해 배터리 소모량이 증가하게 된다.Particularly, it has become possible to watch movies, dramas, sports broadcasts, and the like, which take a long time by using a smart phone. However, when the various functions of the smart phone are utilized, battery consumption is increased as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mobile phone.

따라서, 스마트폰 충전기를 스마트폰에 연결하여 스마트폰에 외부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 채 상술한 영화 등과 같은 미디어 매체를 시청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Accordingly, it often happens that a user views a media such as a movie or the like while connecting the smartphone charger to the smartphone and supplying external power to the smart phone.

그러나,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액정 화면이 자신의 시각에 용이하게 보이게 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을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하여 거치해야 할 필요가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5-0102322 호 에서는 스마트폰 거치 및 충전이 동시에 가능한 스마트폰충전거치대에 관하여 기술한 바 있다.However, in order for the user to easily view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smartphone at his / her own viewing angle, the smartphone needs to be til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be mounted, an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02322 Describes a smartphone charging cradle capable of simultaneously mounting and charging a smartphone.

그러나, 상기 선행 문헌에 의할 시,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에 삽입되는 충전젠더의 크기에 비해 충전 몸통 거치부 등과 같은 타 구성들의 부피가 상당히 커서 휴대 용이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charging gantry to be inserted into the smartphone i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size of the charging gantry inserted in the smartphone for charging the smartphone, thereby remarkably reducing the portability.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5-0102322 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02322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스마트폰 충전 및 거치를 용이하게 수행하되, 발명의 전 구성이 최소한의 부피만을 차지하도록 하여 휴대 용이성도 확보할 수 있는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phone charging cable capable of easily charging and mounting a smartphone, .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은,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충전돌부, 상기 본체의 타단과 연결되는 케이블, 상기 본체의 일단면에 함몰형성되는 함몰공, 일단이 상기 함몰공에 삽입되고 회전 가능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타단이 내측으로 수용되어 상호 힌지 결합할 수 있도록 일단에 함몰형성되는 회전홈 및 일단면에 소정의 각도 및 경사를 갖고 절곡구조로 형성되는 절곡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martphone charging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charg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main body, a cabl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 recessed hole formed at one end surface of the main body, A rotating shaft which is inserted and rotatable and a rotary groove which is received at one end and is recessed at one end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is hinged to each other and a bent surface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inclina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inclination, And a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supporting member.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타단에 함몰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일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연결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main body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formed at the other end so that the cable can be inserted or removed, and the cable includes a connecting protrusion extended from one end to be inserted into or detached from the insertion groove, .

또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접촉하도록 일단면에 돌출형성되는 고정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base may include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contact one side surface or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본 발명은 본체와 본체에 대해 회전축 및 힌지결합을 축으로 하여 2 방향 회전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이에 의할 시 본체와 지지대간 일종의 손톱깎이 구조가 형성되어, 이러한 손톱깎이 구조를 통해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지지구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며, 상기 손톱깎이 구조를 통해 비사용시에는 지지대가 본체에 밀착되도록 하여 점유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 또한 발생한다.A nail clipper structure is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in such a manner that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are rotatable in two directions about the rotation axis and the hinge connection. The support structure for mounting the phone can be easily implemented. Also, when the nail clipper structure is not used through the nail clipper structure, the support fram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thereby minimizing the occupied space.

또한, 본 발명은 본체에 삽입홈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케이블에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거나 분리 가능한 연결돌부를 포함하며, 이에 의할 시 사용자의 스마트폰 배터리 용량이 충분한 경우, 케이블을 배제한 채 본체 및 본체에 연결된 구성들만으로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게되어 케이블에 의한 줄의 꼬임 및 공간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and the cable includes a connecting protrusion inserted into or detachable from the insertion groove. When the battery capacity of the smartphone of the user is sufficient, It is possible to mount the smart phone only by the component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twist of the wire and the spatial interference of the cable can be minimized.

또한, 상기 지지대는 일단면에 돌출형성되는 고정돌부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경우 스마트폰의 하중 등에 의해 지지대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추력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고정돌부가 본체를 접촉 지지하게 되어 지지대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이를 통해 스마트폰 거치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base includes a fixed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end face. Accordingly, even if thrust is generat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er due to the load of the smartphone or the like when the smartphone is mounted, So that the support does not rotate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thereby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smartphone moun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의 사용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b에 도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c에 도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d에 도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은 고정돌부에 의한 지지대와 본체간의 지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삽입홈과 연결돌부간의 연결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martphone charging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D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using a smartphone charging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shown in Fig. 2A. Fig.
4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shown in Fig. 2B.
5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shown in Fig. 2C.
6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shown in Fig. 2D.
7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where a smartphone is mounted using a smartphone charging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support between the support stand and the main body by the fixed protruding portion.
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connecting projection.

먼저, 분해 사시도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300)은 본체(100), 충전돌부(200), 케이블(300), 함몰공(400), 회전축(500) 및 지지대(600)를 포함하며, 이하 각 구성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1, a smartphone charging cabl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 charging protrusion 200, a cable 300, a recess hole 400, a rotation shaft 500 And a support table 600.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첫째로, 본 발명은 본체(100)를 포함하며 이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스마트폰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써, 스마트폰을 충전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후술할 지지대(600) 등과의 연계에 의해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which functions to transmit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to a smartphone, thereby not only charging a smartphone, but also connecting with a support 600 or the like To perform a function of mounting the smartphone by the user.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100)의 일단에는 충전돌부(200)가 돌출형성되고 타단에는 외부의 전력 공급수단과 상기 본체(100)를 연결하는 케이블(300)이 연결된다.In detail, a charging protrusion 200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main body 100, and a cable 300 connecting external power supply means and the main body 10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이때, 상기 충전돌부(200)를 스마트폰의 충전 단자에 삽입하고 상기 케이블(300)을 외부의 전력 공급수단에 연결함으로써, 스마트폰은 상기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300)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by inserting the charging protrusion 200 in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smartphone and connecting the cable 300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means, the smartphone can receive power by the smartphone charging cable 300 It is.

그리고, 상기 케이블(300)은 소정의 길이를 갖고 본체(100)의 타단과 연결되는 케이블 선(310)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100)와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형태일 수 있으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cable 300 may include a cable 3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00. The cable 300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And is detachably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100, a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를 위하여, 먼저 상기 본체(100)는 상기 케이블(300)이 삽입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타단에 함몰형성되는 삽입홈(110)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main body 100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110 formed at the other end so that the cable 300 can be inserted or removed.

그리고, 상기 케이블(300)은 상기 삽입홈(110)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일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연결돌부(320)를 포함하며, 이러한 상기 삽입홈(110)과 상기 연결돌부(320)간의 삽입 또는 분리 과정에 의해 상호간 연결 또는 분리되는 것이다.The cable 300 includes a connecting protrusion 320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cable 300 so that the cable 300 can be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insertion groove 110. Between the insertion groove 110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 320, They are connected or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n insertion or a separation process.

이에 의할 시, 스마트폰의 배터리 용량이 충분한 경우 상기 본체(100)는 상기 케이블(300)을 분리시킨 상태로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게 되어, 스마트폰 거치 시 상기 케이블(300)에 의한 줄의 꼬임 등과 같은 공간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In this case, when the battery capacity of the smartphone is sufficient, the main body 100 can mount the smartphone in a state in which the cable 300 is detached, It is possible to prevent spatial interference such as twist of the antenna.

또한, 케이블(300)을 배제하여 케이블(300)에 의한 공간 간섭을 최소화 한 채 어디에서든지 간편하게 스마트폰 거치를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이를 통해 휴대 용이성 또한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In addition, since the cable 300 can be excluded and the space interference by the cable 300 can be minimized, the smart phone can be easily mounted anywhere, thereby improving portability.

덧붙여, 상기 연결돌부(320)는 스마트폰을 충전시킬 수 있도록 스마트폰에 직접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rotrusion 320 is directly connectable to a smartphone so as to charge the smartphone.

이 경우, 스마트폰을 단순히 충전만 시키고자 할 때, 연결돌부(320)를 곧장 스마트폰에 연결시키고 배터리가 완충 되도록 소정시간 방치함으로써 일반적인 스마트폰 충전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smartphone is to be simply charged, the connection protrusion 320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martphone and allowed to function as a general smartphone charger function by allowing the battery to be charged for a predetermined time.

두 번째로,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0)의 일단면에 함몰형성되는 함몰공(400) 및 일단이 상기 함몰공(400)에 삽입되고 회전 가능한 회전축(500)을 포함한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ssed hole 400 formed in one end 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a rotary shaft 500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recessed hole 400 and rotatable.

그리고, 본 발명은 일단이 상기 회전축(500)의 타단과 힌지(H)를 통해 힌지결합하는 지지대(60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base 600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500 through a hinge (H).

상기 함몰공(400), 회전축(500) 및 지지대(600)는 상기 충전돌부(200)가 스마트폰에 삽입되어 상기 본체(100)와 스마트폰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한 구성들인 바, 상기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300)의 사용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인 도 2a 내지 도 2d 및 이에 대한 단면도인 도 3 내지 도 6을 더 참조하여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depression hole 400, the rotation shaft 500 and the support base 600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charging protrusion 200 is inserted into the smartphone 100 to mount the smartphone in a state where the main body 100 and the smartphone are coupled to each other. FIGS. 2A to 2D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using the smartphone charging cable 300, and FIGS. 3 to 6, which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same.

먼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600)를 본체(100)의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킨다.First,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support table 60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상세하게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600)와 연결된 상기 회전축(500)이 상기 함몰공(400) 내에서 본체(100)의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3 and 4, the rotation shaft 500 connected to the supporter 600 rotates in one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in the recess 400.

다음으로, 도 2b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b의 상태에서 지지대(600)가 본체(100)의 일단면인 상부면을 지나 본체(100)의 타측으로 향하도록 회전시킨다.Next, as shown in FIGS. 2B to 2D, in the state of FIG. 2B, the supporter 600 is rotated to face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upper surface, which is one end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상세하게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순서와 같이, 지지대(600)는 도 4의 상태에서 힌지(H)를 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 회전하는 것이다.4 to 6, the support table 600 rotates counterclockwise about the hinge H in the state of FIG. 4. As shown in FIG.

이때, 상술한 반시계 방향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대(600)는 일단에 함몰형성되는 회전홈(610)을 포함한다.At this time, in order to facilitate the above-described counterclockwise rotation, the support table 600 includes a rotation groove 610 formed at one end thereof.

이 경우, 회전홈(610)의 내측에 회전축(500)의 타단이 수용된 후 상기 지지대(600)와 회전홈(610)은 상호 힌지결합되는 것이다.In this case, after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500 is received inside the rotary groove 610, the support table 600 and the rotary groove 610 are hinged to each other.

이에 의할 시, 회전축(500)은 회전홈(610)의 공간에 대응되는 만큼 공간간섭을 받지 않게 되므로, 이를 통해 지지대(600)는 힌지(H)를 축으로 하여 간섭 없이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이러한 공간 간섭 배제에 의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In this case, since the rotary shaft 500 corresponds to the space of the rotary groove 610, it is not subjected to spatial interference, so that the support table 600 can rotate without interfering around the hinge H , The use convenience is improved by eliminating the spatial interference.

그리고, 상기 지지대(600)는 일단면에 소정의 각도 및 경사를 갖고 절곡 구조로 형성되는 절곡면(620)을 포함함으로써, 스마트폰 거치를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support base 600 includes a bent surface 620 formed at one end thereof with a predetermined angle and inclination so as to have a bent structure, so that the smartphone base can be more stably mounted. do.

먼저, 상기 절곡면(620)은, 일단이 타단에 비해 소정 높이 이상 낮도록 형성되는 제 1 경사구간(621) 및 일단이 상기 제 1 경사구간(621)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타단이 일단에 비해 소정 높이 이상 낮도록 형성되는 제 2 경사구간(622)을 포함한다.First, the bent surface 620 includes a first inclined section 621 whose one end is formed to be lower than a predetermined height by at least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second inclined section 622 whose one end extends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inclined section 621, And a second slope section 622 formed to be lower than a predetermined height.

즉, 상기 절곡면(620)은 제 1 경사구간(621) 및 제 2 경사구간(622)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제 1 경사구간(621) 및 제 2 경사구간(622)의 각각의 단부를 연결하면 일종의 삼각형 형상을 띄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bent surface 620 includes a first inclined section 621 and a second inclined section 622. At this time, the respective ends of the first inclined section 621 and the second inclined section 622 are connected A triangular shape is formed.

이에 의할 시, 도 2d, 도7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경사구간(621)이 본체(100)의 일단면에 접촉되고, 제 2 경사구간(622)의 타단인 지지대(600)의 타단은 스마트폰의 타단면과 소정의 끼인각을 둔채 본체(100)의 타단으로부터 기울어지게 된다.The first inclined section 621 is in contact with one end 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inclined section 622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 100. In this case, 600 are inclined from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100 with a predetermined inclined angle with the other end face of the smartphone.

즉, 스마트폰은 상술한 끼인각에 대응되는 만큼 지지대(600)의 방향을 향해 틸팅되어 거치되는 것이며, 이때 지지대(600)와, 스마트폰의 단부면 및 지면은 삼각형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That is, the smartphone is tilted toward the support base 600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included angle, and the end surface and the ground surface of the support base 600 and the smartphone are formed into a triangular shape.

결국, 상술한 삼각형 형상에 의해, 스마트폰의 무게중심은 지지대(600) 측으로 기울어진채 이에 지지됨으로써, 스마트폰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방향인 전방으로 쓰러지지 않게 되어, 스마트폰 거치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As a resul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martphone is tilted toward the supporter 600 by the triangular shape described above, so that the smartphone does not collapse forward, which is the direction of the display screen, Effect occurs.

덧붙여, 상술한 사용 과정은 최초에 지지대(600)를 본체(100)의 일측 방향인 좌측방향으로 회전시킨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나, 이는 설명을 위한 일 례일 뿐이며 상기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300)의 실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described use process is described based on the first rotation of the support table 600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this is only one example for explana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smartphone charging cable 30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설명은 충전돌부(200)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를 바라보는 사용자 시각의 우측에 삽입되는 경우에 대한 예시일 뿐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7,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an example of the case where the charging protrusion 200 is inserted to the right side of the user's viewing time on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그러므로, 충전돌부(200)가 사용자 시각의 좌측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지지대(600) 회전의 과정들을 역방향으로 실행하면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charging protrusion 200 is inserted to the left side of the user's time, the steps of the above-described rotation of the supporter 600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direction.

상세하게는, 지지대(600)를 우측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를 힌지(H)를 축으로 하여 시계방향 회전시키면 충전돌부(200)가 사용자 시각의 좌측에 삽입되는 사용 예가 되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support table 600 is rotated clockwise and rotated clockwise about the hinge H, the charging protrusion 200 is inserted to the left side of the user's time.

덧붙여,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대(600)를 회전축(500)을 축으로 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의 첫 단계가 실행되는 사용 예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사용 예에 의해서도 동일한 결과의 구현이 가능한 바,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by rotating the support table 600 to the left or the right with the rotation axis 500 as an axis,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same result by the use example in which the first step of use is executed, ,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지지대(600)가 본체(100)의 일단면으로부터 직립하도록, 도 2a 및 도 3의 상태에서 지지대(600)를 힌지(H)를 축으로하여 회전시킨다.First, the support table 600 is rotated about the hinge H in the state of FIG. 2A and FIG. 3 so that the support table 600 is erected from one end face of the main body 100.

다음으로, 지지대(600)가 힌지(H)를 축으로 본체(100)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50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킨다.Next, the rotation shaft 500 is rotated to the left or right so that the support table 600 rotates the hinge H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0 about the axis.

다음으로, 지지대(600)를 힌지(H)를 축으로 하여 본체(100)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시키면, 상술한 두 종류의 사용예들과 마찬가지로 충전돌부(200)가 사용자 시각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한 상태로 스마트폰을 거치하게 된다.Next, when the support base 600 is rotat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0 with the hinge H as an axis, the charging protrusion 200 is moved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user's time as in the above- The mobile phone is placed in a state where the mobile phone is located in the mobile phone.

마지막으로, 상기 지지대(600)는 본체(10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접촉하도록 일단면에 돌출형성되는 고정돌부(630)를 포함하며, 고정돌부에 의한 지지대와 본체 간의 지지 상태를 나타내는 도 8을 더 참조하여 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Lastly, the support 600 includes a fixing protrusion 630 protruding from one end face of the main body 100 to contact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0, 8 will be further described.

먼저, 도 2a 내지 도 2d와 같이 고정돌부(630)가 불비한 경우, 스마트폰을 지지하는 지지대(600)의 상태인 도 7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 불비하게 되어, 스마트폰의 하중 등에 의해 지지대(600)는 회전축(500)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어 스마트폰 거치 상태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2A to 2D, when the fixing protrusion 630 is defective, the means for maintaining the state of FIG. 7, which is the state of the support table 600 supporting the smartphone, becomes insufficient, The supporter 600 can be rotated about the rotary shaft 500, so that the smartphone mount state may become unstable.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돌부(630)가 포함되는 경우, 스마트폰의 하중 등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600)에 일측 또는 타측으로 추력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고정돌부(630)는 본체(10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을 접촉 지지하게 되어 지지대(600)가 회전축(500)에 대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8, when the fixing protrusion 630 is included, the thrust force is applied to the supporting table 600 at one side or the other side due to the load of the smartphone or the like. However, Thereby supporting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100 to prevent the support 600 from being rotat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500.

즉, 이러한 고정돌부(630)와 본체(100)간의 접촉에 의해 스마트폰 거치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That is, the contact between the fixed protrusion 630 and the main body 100 enhances the stability of the smartphone fixture.

이때, 충전돌부(200)가 사용자 시각의 우측에 삽입되는 경우 고정돌부(630)는 본체(100)의 타측면에 접촉되는 것이고, 사용자 시각의 좌측에 삽입되는 경우 고정돌부(630)는 본체(100)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것이다.In this case, when the charging protrusion 200 is inserted to the right side of the user's time, the fixing protrusion 630 contacts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0. When the charging protrusion 620 is inserted to the left side of the user's time, 100).

상술하여 설명한 내용들을 종합하자면, 상기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300)은 지지대(600)가 본체(100)에 대해 회전축(500) 및 힌지결합을 축으로 하여 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함으로써 스마트폰 거치를 위한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martphone charging cable 300 can be rotated in two directions about the rotation axis 500 and the hinge conn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smartphone charging cable 300 can be rotated in two directions Thereby forming a support structure.

또한, 비사용시에는 상술한 2 방향 회전을 통해 지지대(600)가 본체(100)와 밀착되도록 하여 점유공간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공간 활용율을 극대화하고 공간간섭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not in use, the support base 6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two-way rotation described above to minimize the occupied space, thereby maximizing the space utilization rate and minimizing the spatial interference.

즉, 상술한 지지대(600)에는 손톱깎이에 있어서 일종의 누름판과 같은 원리가 적용되어, 사용 편의성 및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above-described support table 600 is applied with the same principle as a kind of presser plate in the nail clipper, thereby maximizing the ease of use and space utiliza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300)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되,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 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phone charging cable 300 as a main technical idea,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only one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cope of the claims is to be accorded the broadest interpretation so as to encompass equivalent embodiments which may exist in various ways.

1 : 스마트폰
1000 :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
100 : 본체
110 : 삽입홈
200 : 충전돌부
300 : 케이블
310 : 케이블 선
320 : 연결돌부
400 : 함몰공
500 : 회전축
600 : 지지대
610 : 회전홈
620 : 절곡면
621 : 제 1 경사구간
622 : 제 2 경사구간
630 : 고정돌부
1: Smartphone
1000: Smartphone charging cable
100:
110: insertion groove
200:
300: Cable
310: Cable line
320:
400:
500:
600: Support
610: Rotating groove
620: Bending face
621: First slope section
622: 2nd slope section
630:

Claims (3)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을 스마트폰에 전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충전단자에 삽입되는 충전돌부;
상기 본체의 타단에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케이블;
상기 본체의 일단면에 함몰형성되는 함몰공;
일단이 상기 함몰공에 삽입되고 회전 가능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타단이 내측으로 수용되어 상호 힌지 결합할 수 있도록 일단에 함몰형성되는 회전홈이 형성된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의 일단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접촉되는 고정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부는 상기 스마트폰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의 일측 또는 타측에 추력이 가해진 경우 상기 본체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접촉 지지하여 상기 지지대가 상기 회전축에 대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지지대의 일단면은 제1경사구간 및 제2경사구간을 가진 절곡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경사구간은 상기 본체의 일단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2경사구간은 상기 본체의 타단으로부터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폰의 무게중심이 상기 지지대 측으로 기울어진채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
In a smartphone charging cable,
A main body formed to be able to transmit external power to the smartphone;
A charg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inserted into a charging terminal of the smartphone;
A cable inserted or separated at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A depression hole formed on one end face of the main body;
A rotatable shaft whose one end is inserted and rotatable in the recess; And
And a support table having a rotary groove formed at one end thereof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is received inward and hinged to each other,
And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end surface of the support and contacting with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When the thrust is appli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er due to the load of the smartphone, the fixed protrusion is abutt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to prevent the supporter from being rotated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
Wherein one end face of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with a folded face having a first inclined section and a second inclined section,
Wherein the first inclined section is in contact with one end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inclined section is inclined from the other end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martphone is supported while being inclined toward the support base.
Smartphone charging cab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타단에 함몰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일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연결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nd an insertion groove formed at the other end so that the cable can be inserted or removed,
The cable,
And a connect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one end so as to be inserted into or detached from the insertion groove.
Smartphone charging cable.
삭제delete
KR1020180024335A 2018-02-28 2018-02-28 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 KR1019922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335A KR101992297B1 (en) 2018-02-28 2018-02-28 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335A KR101992297B1 (en) 2018-02-28 2018-02-28 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2297B1 true KR101992297B1 (en) 2019-06-24

Family

ID=67055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335A KR101992297B1 (en) 2018-02-28 2018-02-28 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29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461A (en) * 2019-09-04 2021-03-1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
KR20210134199A (en) 2020-04-30 2021-11-09 박선홍 A Charging Cable Capable of Being Arranged with a Plural of Magne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685B1 (en) * 2012-05-21 2013-10-17 임태희 A apparatus for holding and fixing mobile phone
KR20140035209A (en) * 2012-09-13 2014-03-21 (주)애니토이 Upholding apparatus of display device
KR20150102322A (en) 2014-02-28 2015-09-07 주복순 charging cradle smartpho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685B1 (en) * 2012-05-21 2013-10-17 임태희 A apparatus for holding and fixing mobile phone
KR20140035209A (en) * 2012-09-13 2014-03-21 (주)애니토이 Upholding apparatus of display device
KR20150102322A (en) 2014-02-28 2015-09-07 주복순 charging cradle smartphon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461A (en) * 2019-09-04 2021-03-1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
KR102291149B1 (en) * 2019-09-04 2021-08-1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
KR20210134199A (en) 2020-04-30 2021-11-09 박선홍 A Charging Cable Capable of Being Arranged with a Plural of Magnets
KR20220029641A (en) 2020-04-30 2022-03-08 박선홍 A Charging Cable Capable of Being Arranged with a Plural of Magnets
KR20240044406A (en) 2020-04-30 2024-04-04 박선홍 A Charging Cable Capable of Being Arranged with a Plural of Magne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6406B2 (en) Desktop charger holder
KR100909011B1 (en) Stand hinges for electronic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s equipped with them
KR101797241B1 (en) Slim-type cradle for mobile phone
CN101026020B (en) Portable folding type cradle
US7567059B2 (en) Desktop charg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display
US20050255895A1 (en) Adaptable charging cradle with speaker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EP3160114B1 (en) Mobile terminal and camera assembly thereof
KR20130082285A (en)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plate
KR101992297B1 (en) 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
KR20160129507A (en) Assistance device for self-camera
KR20140090921A (en) Electronic device with foldable display
JP2005073143A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holder, mobi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program
US20230069686A1 (en) Charging base
CN105024717A (en) Mobile terminal
KR20130007167U (en) A folding type Supporting device for cellular phone
JP3236689U (en) Charging device
KR200488289Y1 (en) Stand of portable terminal
KR200480607Y1 (en) Second battery with supporting rest for hand phone
EP3840341B1 (en) Mobile terminal
KR101471071B1 (en) holder apparatus of smart phone for easily attachment and separation
KR20210093839A (en) Ring holder for portable mobile device
KR102291149B1 (en) 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
KR20110008333U (en) Mobile phone supporting device
KR20110038008A (en) Multi-function stand for portable device
KR101537576B1 (en) Holder for handhel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