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149B1 - 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149B1
KR102291149B1 KR1020190109594A KR20190109594A KR102291149B1 KR 102291149 B1 KR102291149 B1 KR 102291149B1 KR 1020190109594 A KR1020190109594 A KR 1020190109594A KR 20190109594 A KR20190109594 A KR 20190109594A KR 102291149 B1 KR102291149 B1 KR 102291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cable
cable body
charging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5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28461A (en
Inventor
조성주
정의영
류한규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일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일산업(주)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09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149B1/en
Publication of KR20210028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4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1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에 접속되어 충전에너지를 공급하는 충전 케이블에 힌지 회전하는 회전거치판이 설치됨에 따라 충전과 동시에 스마트폰 거치가 가능하여 거치를 위한 별도의 구성품이 필요없고 거치 과정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폰 충전 단자에 삽입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핀과, 상기 커넥터핀의 일정 부분을 수용하는 케이블본체와, 상기 케이블본체와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전선부로 이루어지는 충전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본체는 상기 돌출되는 커넥터핀측으로 단부측에 설치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어 일정 각도 회전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마트폰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거치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본체는 회전거치판의 회전에 따라 케이블본체의 외측면과 밀착시에 회전거치판이 안착가능하도록 안착홈이 형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charging cable, and more particularly, as a hinge-rotating rotating cradle is installed on a charging cable that is connected to a smartphone and supplies charging energy, it is possible to hold the smartphone at the same time as charging. It relates to a smartphone charging cable that requires no components and can be mounted quickly and easily.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harging consisting of a connector pin inserted into a smartphone charging terminal to supply power, a cable body accommodating a certain portion of the connector pin, and a wire part connected to the cable body to supply external power. A cable comprising: a hinge shaft installed at an end side toward the protruding connector pin; and a rotation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hinge shaft to selectively mount the smartphone as it rotates at a certain angle.
Here, the cable body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so that the rotation support plate can be seated when the cable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able bod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upport plate.

Description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Smartphone Charging Cable {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에 접속되어 충전에너지를 공급하는 충전 케이블에 힌지 회전하는 회전거치판이 설치됨에 따라 충전과 동시에 스마트폰 거치가 가능하여 거치를 위한 별도의 구성품이 필요없고 거치 과정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charging cable, and more particularly, as a hinge-rotating rotating cradle is installed on a charging cable that is connected to a smartphone and supplies charging energy, it is possible to hold the smartphone at the same time as charging. It relates to a smartphone charging cable that requires no components and can be mounted quickly and easily.

휴대폰은 과거에 단순한 통화의 용도로만 사용되었으나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해 다방면으로 그 기능이 확장되었다. Cell phones were used only for simple calls in the past, but their functions have been expanded in many ways due to the recent spread of smart phones.

특히,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장시간이 소요되는 영화, 드라마, 스포츠 중계 등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으나, 이러한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다보면 종래의 통화용도의 휴대폰에 비해 배터리 소모량이 증가하게 된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watch movies, dramas, sports broadcasts, etc. that take a long time using a smartphone. However, when various functions of the smartphone are utilized, the battery consumption increase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for calling.

따라서, 스마트폰 충전기를 스마트폰에 연결하여 스마트폰에 외부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 채 상술한 영화 등과 같은 미디어 매체를 시청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Accordingly, the case of watching media media such as the aforementioned movie while connecting the smartphone charger to the smartphone so that external power is supplied to the smartphone occurs frequently.

그러나,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액정 화면이 자신의 시각에 용이하게 보이게 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을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하여 거치해야 할 필요가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5-0102322 호 에서는 스마트폰 거치 및 충전이 동시에 가능한 스마트폰충전거치대에 관하여 기술한 바 있다.However, in order for the user to easily see the liquid crystal screen of the smartphone at his or her own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tilt the smartphone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mount it. In this issue, a smartphone charging cradle that can hold and charge a smartphone at the same time has been described.

그러나, 상기 선행 문헌에 의할 시,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에 삽입되는 충전젠더의 크기에 비해 충전 몸통 거치부 등과 같은 타 구성들의 부피가 상당히 커서 휴대 용이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literature, compared to the size of the charging gender inserted into the smartphone to charge the smartphone, the volume of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charging body holder is quite large, so portability is significantly reduc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5-0102322 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02322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마트폰에 접속되어 충전에너지를 공급하는 충전 케이블에 힌지 회전하는 회전거치판이 설치됨에 따라 충전과 동시에 스마트폰 거치가 가능하여 거치를 위한 별도의 구성품이 필요없고 거치 과정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s a hinge-rotating rotating cradle is installed on a charging cable that is connected to a smartphone and supplies charging energy, it is possible to hold the smartphone at the same time as charging, so a separate component for mount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phone charging cable that does not require this and that the mounting process can be made quickly and easily.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충전 단자에 삽입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핀과, 상기 커넥터핀의 일정 부분을 수용하는 케이블본체와, 상기 케이블본체와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전선부로 이루어지는 충전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본체는 상기 돌출되는 커넥터핀측으로 단부측에 설치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어 일정 각도 회전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마트폰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거치판;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cable comprising a connector pin inserted into a smartphone charging terminal to supply power, a cable body accommodating a certain portion of the connector pin, and an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cable body to supply external power. The cable body includes: a hinge shaft installed at an end side toward the protruding connector pin; and a rotating cradle plate coupled to the hinge shaft to selectively mount the smartphone as it rotates at a certain angle.

여기서 상기 케이블본체는 회전거치판의 회전에 따라 케이블본체의 외측면과 밀착시에 회전거치판이 안착가능하도록 안착홈이 형성된다. Here, the cable body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so that the rotation support plate can be seated when the cable body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able bod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upport plate.

또한 상기 회전거치판은 힌지축의 양단부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와, 상기 한 쌍의 결합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연장프레임와, 상기 한 쌍의 연장프레임의 단부측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rotation base plate includes a pair of coupling parts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inge shaft, an extension frame each extending from the pair of coupling parts, and a connection frame connecting the end sides of the pair of extension frames. include

아울러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연장프레임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연장프레임과 접하는 케이블본체의 안착홈은 이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frame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extension frame, and the seating groove of the cable body in contact with the extension frame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is shape.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 케이블에 힌지 회전하는 회전거치판을 통해 충전과 동시에 스마트폰 거치가 가능하여 거치를 위한 별도의 구성품이 필요없고 거치 과정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unt the smartphone at the same time as charging through the rotating cradle rotating hinged on the charging cable, so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component for mounting and the mounting process can be made quickly and easily.

아울러 연결프레임의 높이가 확장되도록 연장하여 스마트폰 거치시 바닥면과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안정적인 스마트폰 거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connection frame is extended so that the contact area with the floor is increased when the smartphone is mounted, thereby enabling stable smartphone mounting.

또한 연결프레임이 연결부와 지지부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지부측으로 가해지는 하중 부하가 연결부 통해 힌지축의 접히는 방향 반대측으로 작용함에 따라 바닥면의 요동이나 약한 외력에도 회전거치판이 케이블본체측으로 접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s the connection frame is composed of a connection part and a support part, the load applied to the support part act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olding direction of the hinge shaft through the connection part. It work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케이블을 통한 스마트폰 거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케이블을 통한 스마트폰 거치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케이블을 통한 스마트폰 거치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케이블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변형가능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변형가능한 실시예의 저면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ing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mounting a smartphone through a charging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martphone mounting state through a charging c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martphone mounting state through a charging c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harging c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charging c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variant embodiment of Fig. 4;
FIG.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deformabl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7 ;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ified below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m.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irst,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a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lso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presence of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케이블을 통한 스마트폰 거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harging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mounting a smartphone through a charging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전 케이블(1000)은 스마트폰 충전 단자에 삽입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핀(100)과, 상기 커넥터핀(100)의 일정 부분을 수용하는 케이블본체(200)와, 상기 케이블본체(200)와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전선부(300)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상기 케이블본체(200)는 상기 돌출되는 커넥터핀(100)측으로 단부측에 설치되는 힌지축(210)과, 상기 힌지축(210)에 결합되어 일정 각도 회전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마트폰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거치판(22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harging cabl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or pin 100 inserted into a smartphone charging terminal to supply power, and a cable body accommodating a certain portion of the connector pin 100 . 200 and a wire part 300 connected to the cable body 200 to supply external power, wherein the cable body 200 is at the end side toward the protruding connector pin 100 side. It includes a hinge shaft 210 to be installed, and a rotation support plate 220 coupled to the hinge shaft 210 to selectively mount a smartphone as it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케이블본체(200)는 내측으로 일측에 커넥터핀(100)의 일정부분을 수용하고, 내측으로 타측에 전선부(300)의 단부를 일정부분 수용하며, 전선부(3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커넥터핀(100)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반 부품이 실장된다. The cable body 200 accommodates a certain portion of the connector pin 100 on one side inward, receives a portion of the end of the electric wire part 300 on the other side inward, and receive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wire part 300 . All parts for transferring to the connector pin 100 are mounted.

이러한 케이블본체(200)의 커넥터핀(100)측으로 단부측에 힌지축(210)이 일정부분 수용 결합되는데, 이러한 힌지축(210)은 일정 각도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A portion of the hinge shaft 210 is accommodated and coupled to the end side toward the connector pin 100 of the cable body 200, and the hinge shaft 21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preferably 90° to 100°. do.

이러한 힌지축(210)의 양측으로 회전거치판(220)이 연장되어 결합되는데, 이러한 회전거치판(220)은 힌지축(210)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마트폰(P)을 거치하도록 구성된다. The rotation cradle 220 is extended and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hinge shaft 210 , and the rotation cradle 22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mount the smartphone P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inge shaft 210 . .

이와 같은 회전거치판(220)은 힌지축(210)의 양단부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221)와, 상기 한 쌍의 결합부(221)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연장프레임(222)와, 상기 한 쌍의 연장프레임(222)의 단부측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23)으로 이루어진다. Such a rotation support plate 220 includes a pair of coupling portions 221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inge shaft 210, and an extension frame 222 extending from the pair of coupling portions 221, respectively. and a connection frame 223 connecting the end sides of the pair of extension frames 222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거치판(220)이 케이블본체(200)로부터 멀어지도록 완전히 회전하게 되면 회전거치판(220)의 연결프레임(223) 일측면이 거치하고자 하는 테이블 또는 지면 등의 바닥면에 접하고 연장프레임(222)의 길이에 따라 스마트폰의 거치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로 스마트폰이 비스듬히 거치되게 된다. As shown in FIG. 2, when the rotating cradle 220 is completely rotated away from the cable body 200, one side of the connection frame 223 of the rotating cradle 220 is mounted on a table or a floor such as the ground. The smartphone is mounted at an angle whil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and the mounting angle of the smartphon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extension frame 222 .

여기서 상기 힌지축(210)의 회전각도는 90°보다 적을 경우 스마트폰(P)에 충전 케이블(1000)이 연결됨에 따라 스마트폰의 하중이 전달되어 케이블본체(200)측으로 다시 접혀질 수 있게 된다. Here, when the rotation angle of the hinge shaft 210 is less than 90°, as the charging cable 1000 is connected to the smartphone P, the load of the smartphone is transmitted, so that it can be folded back toward the cable body 200 side. .

아울러 상기 힌지축(210)의 회전각도 100°보다 클 경우에는 전술한 하중이 힌지축(210)에 부하로 작용하게 되어 장시간 사용시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rotation angle of the hinge shaft 210 is greater than 100°, the above-described load acts as a load on the hinge shaft 210 , which may act as a factor to reduce durability during long-term use.

따라서 상기 힌지축(210)의 회전각도는 바람직하게는 90°내지 1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0°내지 92°이다. Accordingly, the rotation angle of the hinge shaft 210 is preferably 90° to 100°, and more preferably 90° to 92°.

이러한 힌지축(210)의 회전각도를 설정하는 구체적인 힌지축 내부 구성은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Since the specific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hinge shaft for set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hinge shaft 210 is a technique well known in various fields, a separ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케이블(1000)은 간편한 조작만으로 스마트폰의 충전과 거치를 동시에 할 수 있어 기존 거치를 위한 별도의 부가 구성이 필요 없고 거치 과정에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과 과정이 요구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harging cabl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rge and mount the smartphone at the same time with a simple operation, so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additional configuration for the existing mounting, and relatively much time and process are not required for the mounting process. There is a characteristic.

한편 상기 케이블본체(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거치판(220)의 회전에 따라 케이블본체(200)의 외측면과 밀착시에 회전거치판(220)이 안착가능하도록 안착홈(200a)이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2, the cable body 200 has a seating groove ( 200a) may be formed.

물론 본 발명에 따른 회전거치판(2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프레임(222)와 연결프레임(223) 형태로 구성되지 않고 판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Of course, the rotation mounting plate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rather than in the form of the extension frame 222 and the connection frame 223 as shown in FIG. 2 .

판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이와 접하는 케이블본체(200)의 외측면 상에 안착홈(200a)이 형성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When formed in a plate shape, it will not be necessary to form the seating groove 200a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ble body 200 in contact therewith.

이와 같은 안착홈(200a)의 형성에 따라 안정적인 힌지축(210)의 회전이 가능하고 케이블본체(200)와의 밀착시에 안정적으로 밀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The stable rotation of the hinge shaft 210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formation of the seating groove 200a as described above, and stable contact can be made when the hinge shaft 2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ble body 200 .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케이블을 통한 스마트폰 거치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a smartphone mounting state through a charging c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케이블(1000)은 회전거치판(220)을 구성하는 연장프레임(222)와 연결프레임(223)에서 연결프레임(223)의 높이를 보다 확장하여 상기 연장프레임(222)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harging cabl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extends the height of the connection frame 223 from the extension frame 222 and the connection frame 223 constituting the rotation cradle 220 to the extension frame. It is formed larger than the height of (222).

물론 전술한 실시예 및 본 실시예에서의 연장프레임(222)과 연결프레임(223)의 경계가 모호할 수 있으나, 연장프레임(222)의 경우 힌지축(210)과 결합되는 결합부(221)로부터 연장되어 길이방향을 가지는 부분이며, 연결프레임(223)은 이들 간을 연결하는 부분이다. Of course, the boundary between the extension frame 222 and the connection frame 223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is embodiment may be ambiguous, but in the case of the extension frame 222 , the coupling part 221 coupled to the hinge shaft 210 . It is a part extending from and havi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nnection frame 223 is a part connecting them.

따라서, 필요에 따라 높이가 확장되는 연결프레임(223)과 근접하는 연장프레임(222) 또한 일정 길이 높이가 확장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extension frame 222 adjacent to the connection frame 223 whose height is extended as needed may also extend a certain length in height.

이와 같은 연결프레임(223)의 높이 확장에 의해 스마트폰(P) 거치 시 바닥면과 접촉되는 연결프레임(223) 접촉면이 증대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게 된다. Due to the height extension of the connection frame 223 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surface of the connection frame 223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when the smartphone P is mounted increases, so that it can be mounted more stably.

아울러 높이가 확장되는 연결프레임(223) 및 연장프레임(222)의 일정 부분에 대응하여 안착홈(200a)의 형상 또한 형성됨은 물론이다. In addition, of course, the shape of the seating groove 200a is also formed in response to a certain portion of the connection frame 223 and the extension frame 222, the height of which is extended.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케이블을 통한 스마트폰 거치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케이블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케이블의 저면사시도이다.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martphone mounting state through a charging c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ing c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charging c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충전 케이블(1000)은 회전거치판(220)을 구성하는 연결프레임(223)이 연결부(223a)와 지지부(223b)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in the charging cabl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on frame 223 constituting the rotating cradle 220 includes a connection part 223a and a support part 223b.

여기서 상기 연결부(223a)는 한 쌍의 연장프레임(222) 간을 연결하되, 연장프레임(222)으로부터 일정 각도 경사지게 절곡되는 형태로 연결된다. Here, the connecting portion 223a connects between the pair of extended frames 222 , and is connected to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extended frame 222 .

아울러 상기 지지부(223b)는 상기 연결부(223a)로부터 연결되되 연결부(223a)와 일정 각도 경사지게 절곡되는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연장프레임(222)와 지지부(223b)가 서로 직교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223b is connecte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223a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223a in a shap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extension frame 222 and the support portion 223b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물론 상기 연장프레임(222)와 지지부(223b)는 서로 접하여 결합되지 않음에 따라 직접적으로 직교하지 않고, 이들 면의 연장면이 서로 직교되게 된다. Of course, since the extension frame 222 and the support portion 223b are not coupled to each other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y are not directly orthogonal, and the extension surfaces of these surfaces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따라서 일예로 연장프레임(222)과 연결부(223a)가 45°로 절곡 연결되고, 연결부(223a)와 지지부(223b)가 45°로 절곡 연결될 수 있다. Therefore, for example, the extension frame 222 and the connecting portion 223a may be bent and connected at 45°, and the connecting portion 223a and the supporting portion 223b may be bent and connected at 45°.

아울러 상기 지지부(223b)는 케이블본체(200)의 안착홈(200a)으로 안착시에 전선부(30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중앙부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223b may have an opening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electric wire portion 300 when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200a of the cable body 200 .

이와 같이 스마트폰 거치시 바닥면에 접하는 지지부(223b)와 연장프레임(223)이 직접 연결되지 않고, 절곡 형성되는 연결부(223a)를 통해 연결되는 이유는 스마트폰과 충전케이블이 연결되고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해 회전거치판(220)이 거치각도로 회전하게 될 경우, 지지부(223b)측으로 가해지는 하중 부하가 연결부(223a)를 통해 힌지축(210)의 접히는 방향 반대측(펴짐 방향)으로 작용함에 따라 바닥면의 요동이나 약한 외력에도 회전거치판이 케이블본체측으로 접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reason that the support part 223b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the extension frame 223 are not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smartphone is mounted, but are connected through the bent connection part 223a. When the rotary cradle 220 is rotated at a mounting angle for mounting, the load applied to the support 223b acts on the opposite side (unfolding direction) of the hinge shaft 210 through the connecting part 223a.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the rotating cradle being folded toward the cable body side even when the floor surface fluctuates or a weak external force.

즉, 스마트폰 거치시 테이블이 흔들리거나 스마트폰으로 약간의 외력이 가해질 때 회전거치판(220)에 가해지는 하중이 힌지축(210)이 접히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면 힌지축(210)이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거치 중인 스마트폰이 바닥측으로 쓰러지게 된다. That is, when the table shakes when the smartphone is mounted or when a slight external force is applied with the smartphone, the load applied to the rotary cradle 220 act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inge shaft 210 is folded, the hinge shaft 210 is folded. rotates, causing the smartphone being mounted to fall to the floor.

이 경우 스마트폰에 강한 충격이 가해질 수 있고, 재차 스마트폰을 거치하기 위해 인위적인 조작이 가해져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다. In this case, a strong impact may be applied to the smartphone, and the inconvenience that artificial manipulation must be applied to mount the smartphone again may occur.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폰이 거치 중일 경우 기본적으로 지지부(223b)의 하중 부하가 연결부(223a)를 통해 힌지축(210)이 접히는 방향 반대측(펴짐 방향)으로 작용됨에 따라 약한 진동이나 외력에도 스마트폰 거치 형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smartphone is being mounted, basically, the load load of the support part 223b act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olding direction (unfolding direction) of the hinge shaft 210 through the connection part 223a, so even weak vibration or external force The smartphone mounting shape can be maintained.

도 7은 도 4의 변형가능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따른 변형가능한 실시예의 저면사시도이다. FIG. 7 is a view showing a deformable embodiment of FIG. 4 , and FIG.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deformabl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7 .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본체(1000)는 전 실시예에서의 지지부(223b) 상에 거치 중인 바닥면과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지지부(223b)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부분 연장 볼륨을 가지는 연장부(223ba)가 더 형성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able body 10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 volume extending outward from the support part 223b by a certain part in order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bottom surface mounted on the support part 223b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branch is further formed with an extended portion 223ba.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지지부(223b)와 바닥면 간이 선접촉으로 이루어짐에 반해 본 실시예에는 연장부(223ba)의 일측면이 바닥면과 면접촉하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스마트폰 거치가 가능해지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거치판(220)이 케이블본체(200)로 밀착된 상태에서 연장부(223ba)가 일정 길이 돌출됨에 따라 힌지 회전 조작을 위한 손잡이부 즉, 간섭 돌기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upport portion 223b and the bottom surface are in line contact, whereas in this embodiment, one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223ba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enabling a more stable smartphone mounting, FIG. As shown in Fig., as the extension part 223ba protrudes for a certain length in a state in which the rotary cradle 2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ble body 200, it can simultaneously serve as a handle for hinge rotation operation, that is, an interference protrusion. there will b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커넥터핀 200 : 케이블본체
210 : 힌지축 220 : 회전거치판
300 : 전선부 1000 : 충전 케이블
100: connector pin 200: cable body
210: hinge shaft 220: rotation base plate
300: wire part 1000: charging cable

Claims (4)

스마트폰 충전 단자에 삽입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핀(100)과, 상기 커넥터핀(100)의 일정 부분을 수용하는 케이블본체(200)와, 상기 케이블본체(200)와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전선부(300)로 이루어지는 충전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본체(200)는
돌출되는 상기 커넥터핀(100)측으로 단부측에 설치되는 힌지축(210)과;
상기 힌지축(210)에 결합되어 일정 각도 회전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스마트폰의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거치판(220);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거치판(220)은
힌지축(210)의 양단부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221)와,
상기 한 쌍의 결합부(221)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연장프레임(222)와,
상기 한 쌍의 연장프레임(222)의 단부측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23)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223)의 높이가 상기 연장프레임(222)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연장프레임(222)과 접하는 케이블본체(200)의 안착홈(200a)은 이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거치판을 가지는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
A connector pin 100 inserted into the smartphone charging terminal to supply power, a cable body 200 accommodating a certain portion of the connector pin 100, and the cable body 200 ar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In the charging cable consisting of the electric wire part 300 to supply,
The cable body 200 is
a hinge shaft 210 installed on the end side toward the protruding connector pin 100;
A rotation support plate 220 coupled to the hinge shaft 210 to selectively mount a smartphone as it rotates at a certain angle;
including,
The rotary cradle 220 is
A pair of coupling portions 221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inge shaft 210 and;
an extension frame 222 extending from the pair of coupling portions 221, respectively;
and a connection frame 223 connecting the end sides of the pair of extension frames 222,
The height of the connection frame 223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extension frame 222, and the seating groove 200a of the cable body 200 in contact with the extension frame 222 is formed to correspond in shape to this. Smartphone charging cable having a rotating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본체(200)는
회전거치판(220)의 회전에 따라 케이블본체(200)의 외측면과 밀착시에 회전거치판(220)이 안착가능하도록 안착홈(200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거치판을 가지는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
According to claim 1,
The cable body 200 is
Smart having a rotating base plate, characterized in that a seating groove (200a) is formed so that the rotating base plate (220) can be se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able body (20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ase plate (220) phone charging cabl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09594A 2019-09-04 2019-09-04 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 KR1022911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594A KR102291149B1 (en) 2019-09-04 2019-09-04 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594A KR102291149B1 (en) 2019-09-04 2019-09-04 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461A KR20210028461A (en) 2021-03-12
KR102291149B1 true KR102291149B1 (en) 2021-08-18

Family

ID=75177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594A KR102291149B1 (en) 2019-09-04 2019-09-04 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14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071B1 (en) * 2013-09-13 2014-12-10 서울인터내셔널 주식회사 holder apparatus of smart phone for easily attachment and separation
KR101992297B1 (en) * 2018-02-28 2019-06-2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2322A (en) 2014-02-28 2015-09-07 주복순 charging cradle smartpho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071B1 (en) * 2013-09-13 2014-12-10 서울인터내셔널 주식회사 holder apparatus of smart phone for easily attachment and separation
KR101992297B1 (en) * 2018-02-28 2019-06-2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461A (en) 2021-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26767A1 (en) Adjustable wireless charging device
JP4269185B2 (en) Cradl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8457702B2 (en) Cradle for a portable terminal
KR100770858B1 (en) Portable folding type cradle
KR101927201B1 (en)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plate
KR20040079134A (en) Desk top charger for bar 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200454217Y1 (en) Case for mobile Haiti devices with mounting means
KR200469096Y1 (en) Charging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KR102291149B1 (en) 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
KR100470587B1 (en) A combination case and charger for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KR101992297B1 (en) 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
KR100702709B1 (en) Step hing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thereof
KR200488289Y1 (en) Stand of portable terminal
KR100944592B1 (en) An apparatus for supporting electronic device
KR20160129502A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strap
KR200461325Y1 (en) iPad PUT ON TYPE WALLET STRUCTURE
KR20060010166A (en) Ability assistance type complex apparatu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6619982B2 (en) Charge adapter for charging and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s
KR101955772B1 (en) Auxiliary battery capable of connecting mobile phone by a combination element
KR102320154B1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having a holding function for a mobile phone
CN216291052U (en) Combined mobile phone protective sleeve with support
CN116436169B (en) Electronic equipment protective sheath and electronic equipment subassembly
KR20090024564A (en) Mobile device
CN218482879U (en) Folding screen mobile phone support protective housing
KR102367415B1 (en) Folding multimedia terminal with foldable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