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736U - 배전용 피뢰기의 절연 행거 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용 피뢰기의 절연 행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736U
KR20200000736U KR2020180004527U KR20180004527U KR20200000736U KR 20200000736 U KR20200000736 U KR 20200000736U KR 2020180004527 U KR2020180004527 U KR 2020180004527U KR 20180004527 U KR20180004527 U KR 20180004527U KR 20200000736 U KR20200000736 U KR 202000007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rester
hanger
insulation
insula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5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종은
박운창
최성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1800045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736U/ko
Publication of KR202000007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73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80Discharge by conduction or dissipation, e.g. rods, arresters, spark g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1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voltage responsive, i.e. varistors
    • H01C7/12Overvoltage protection re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배전용 피뢰기의 절연 행거 장치에 관한 고안이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배전용 피뢰기의 절연 행거 장치는: 피뢰기; 피뢰기가 장착되는 절연행거; 및 절연행거와 브래킷에 의해 연결되고, 지주에 고정되는 완철을 포함하고, 절연행거는, 피뢰기와 브래킷을 연결하는 절연행거 몸체부; 및 절연행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돌출되게 장착되는 절연 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전용 피뢰기의 절연 행거 장치{APPARATUS OF INSULATION HANGER FOR LIGHTNING ARRESTER IN POWER DISTRIBUTION}
본 고안은 배전용 피뢰기의 절연 행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계통에서 뇌 서지(lightning surge) 또는 개폐시 발생하는 이상 전압을 제한하고, 상용주파 속류를 차단하는 배전용 피뢰기의 절연 행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전용 피뢰기는 뇌 서지 또는 개폐시 발생하는 이상전압을 대지로 흘려보내고 속류를 차단하는 설비로서, 주로 배전용변압기와 배전용개폐기를 보호하기 위해서 설치한다.
종래 기술에서 배전용 피뢰기를 설치하기 위해서 피뢰기의 절연행거에 내오손 결합애자를 추가로 부설하여 피뢰기의 두부와 접지된 완철 간의 거리를 최대한 이격한다. 내오손 결합애자는 피뢰기의 두부와 접지된 완철 간의 거리를 물리적으로 증대하여 까치, 까마귀 등의 조류로 인한 고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에는 리드선 부착형 피뢰기가 개발되어 두부의 금속체가 직접 노출되는 것을 구조적으로 막고 있기 때문에 순간 고장은 많이 감소되고 있다. 그러나 피뢰기의 1차 리드선이나 두부에 철사나 나뭇가지 등이 장시간 접촉하면 방전이 지속되어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현장에서는 고장을 예방하기 위하여 배전용 피뢰기 설치시 절연행거에 내오손 결합애자를 추가로 취부하고 있다.
배전용 피뢰기 설치시 내오손 결합애자를 추가로 취부하는 것은 별도의 자재비와 시공비가 발생하는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된다. 또한 제조시 소성 불량에 의해서 자기 재질의 내오손 결합애자가 파손되거나, 제조 결함에 의해서 폴리머 재질의 내오손 결합애자의 금구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2717호(2017.02.20 등록, 고안의 명칭: 친환경 리드선 일체형 피뢰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력계통에서 뇌 서지 또는 개폐시 발생하는 이상전압을 제한하고, 상용주파 속류를 차단하는 배전용 피뢰기의 절연 행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전용 피뢰기의 절연 행거 장치는: 피뢰기; 상기 피뢰기가 장착되는 절연행거; 및 상기 절연행거와 브래킷에 의해 연결되고, 지주에 고정되는 완철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행거는, 상기 피뢰기와 상기 브래킷을 연결하는 절연행거 몸체부; 및 상기 절연행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돌출되게 장착되는 절연 갓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절연행거 몸체부는, 절연행거 메인몸체부; 상기 절연행거 메인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피뢰기가 장착되는 피뢰기 고정부; 및 상기 절연행거 메인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과 연결되는 브래킷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절연행거 몸체부는, 상기 절연행거 메인몸체부와 상기 피뢰기 고정부, 또는 상기 절연행거 메인몸체부와 상기 브래킷 고정부 사이에 형성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피뢰기 고정부 또는 상기 브래킷 고정부에서 상기 절연행거 메인몸체부 측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되게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절연행거는 표면에 방수 수지가 도포된다.
본 고안에 따른 뇌 서지 또는 개폐시 발생되는 이상 전압을 대지로 흘려 보내고 속류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피뢰기의 취부시 별도의 내오손 결합애자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절연행거에 의해 피뢰기와 완철의 브래킷을 연결함으로써, 자재비를 절감하고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피뢰기의 절연 행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행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행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행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행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전용 피뢰기의 절연 행거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피뢰기의 절연 행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행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행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행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행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피뢰기의 절연 행거 장치는 피뢰기(100), 절연행거(200), 완철(300), 브래킷(500)을 포함한다.
피뢰기(100)는 뇌 서지(lightning surge) 또는 개폐시 발생하는 이상 전압을 대지로 흘려보내고 속류를 차단하는 설비로, 배전용 변압기와 배전용 개폐기를 보호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피뢰기(100)는 피뢰기 몸체부(110), 리드선(120), 두부(130)를 포함한다. 피뢰기 몸체부(110)는 절연행거(200)의 피뢰기 고정부(213)에 고정된다. 두부(13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고, 절연물에 의해 외측면에 덮혀져 있는 것으로, 피뢰기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장착된다. 리드선(120)은 알루미늄 금속 전극 등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두부(130)에 연결된다.
단로기(140)는 피뢰기(100)의 피뢰기 몸체부(110)의 단부(도 1 기준 하단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피뢰기(100)에 용량 이상의 고전압이 인가되거나 습기의 침투로 절연이 파괴되어 표면에 고전압의 누설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부하전류(load current)를 제거한 후 회로를 격리시킨다.
접지선(150)은 단로기(140)의 단부(도 1 기준 하단부)에 연겨뢰는 것으로, 피뢰기(100)로부터의 고압전류를 유출시킨다.
절연행거(200)는 피뢰기(100)의 피뢰기 몸체부(110)에 장착되는 것으로, 피뢰기(100)를 지주(400)에 고정된 완철(300)에 브래킷(500)에 의해 고정한다. 완철(300)은 절연행거(200)와 브래킷(500)에 의해 연결되고, 지주(400)에 고정된다.
본 고안에서 절연행거(200)는 피뢰기(100)와 완철(300)의 이격된 거리를 연결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피뢰기(100)와 완철(300) 사이에 내오손 결합애자와 같은 별도의 구조물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절연할 수 있다.
절연행거(200)는 절연행거 몸체부(210), 보강부(230), 절연 갓부(250)를 포함한다. 절연행거 몸체부(210)는 피뢰기(100)와 브래킷(500)을 연결한다. 절연행거 몸체부(210)는 피뢰기(100)와 브래킷(500)을 연결한다. 브래킷(500)은 단면의 형상이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도 1 기준 상측)이 절연행거 몸체부(210)에 제1체결부(610)에 의해 연결되고, 타측(도 1 기준 우측)이 완철(300)에 제2체결부(620)에 의해 연결된다.
절연행거 몸체부(210)는 절연행거 메인몸체부(211), 피뢰기 고정부(213), 브래킷 고정부(215)를 포함한다. 절연행거 메인몸체부(211)는 피뢰기(100)와 브래킷(50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양측에 피뢰기 고정부(213)와 브래킷 고정부(215)가 각각 형성된다.
피뢰기 고정부(213)는 절연행거 메인몸체부(211)의 일측(도 1 기준 좌측)에 형성되고, 피뢰기(100)가 장착된다. 피뢰기 고정부(213)에는 제1관통공부(214)가 관통 형성되어, 제1관통공부(214)에 피뢰기(100)의 피뢰기 몸체부(110)가 장착되고, 볼팅 등에 의해 고정된다.
브래킷 고정부(215)는 절연행거 메인몸체부(211)의 타측(도 1 기준 우측)에 형성되고, 브래킷(500)과 연결된다. 브래킷 고정부(215)에는 제2관통공부(216)가 관통 형성되어, 제2관통공부(216)에 브래킷(500)을 관통한 제1체결부(610)에 의해 브래킷(500)과 브래킷 고정부(215)가 연결 고정된다.
보강부(230)는 절연행거 메인몸체부(211)와 피뢰기 고정부(213), 또는 절연행거 메인몸체부(211)와 브래킷 고정부(215)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절연행거 메인몸체부(211)와 피뢰기 고정부(213) 사이, 또는 절연행거 메인몸체부(211)와 브래킷 고정부(215) 사이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보강부(230)는 피뢰기 고정부(213)에서 절연행거 메인몸체부(211) 측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되게 형성된다. 또한 보강부(230)는 브래킷 고정부(215)에서 절연행거 메인몸체부(211) 측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되게 형성된다. 보강부(230)는 단면의 형상이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사각형상에 비해 재료비는 절감되면서 유사한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피뢰기 고정부(213)와 절연행거 메인몸체부(211) 사이에 형성된 보강부(230)는, 브래킷 고정부(215)와 절연행거 메인몸체부(211) 사이에 형성된 보강부(230)는 각각 폭이 같거나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절연 갓부(250)는 절연행거 몸체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돌출되게 장착된다. 절연 갓부(250)는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절연행거 몸체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장착되어, 방전시 방전현상이 절연 갓부(250)에서 발생되도록 구속한다.
본 고안에서 절연행거 몸체부(210), 보강부(230), 절연 갓부(250)는 절연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절연행거 몸체부(210), 보강부(230), 절연 갓부(250)를 포함하는 절연행거(200)는 표면에 방수 수지가 도포된다. 방수 수지는 절연행거(200)에 비, 물 등이 투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불투수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절연행거(200)의 표면에 방수 수지를 도포하여 절연 내력(dielectric strength)을 높이고 발수성을 강화하여 내트래킹성(tracking-resistiv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절연행거(200)에 수분이 발생되어 전도성이 향상되며, 불꽃이나 아크 등에 닿아 절연행거(200) 표면에 도전성의 통로가 생긴다. 이것을 트래킹이라 하고, 절연 파괴로 이어진다. 본 고안에서 절연행거(200)에 방수 수지가 도포되어, 내트래킹성을 향상시켜 트래킹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뇌 서지 또는 개폐시 발생되는 이상 전압을 대지로 흘려 보내고 속류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피뢰기(100)의 취부시 별도의 내오손 결합애자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절연행거(200)에 의해 피뢰기(100)와 완철(300)의 브래킷(500)을 연결함으로써, 자재비를 절감하고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피뢰기 110: 피뢰기 몸체부
120: 리드선 130: 두부
140: 단로기 150: 접지선
200: 절연행거 210: 절연행거 몸체부
211: 절연행거 메인몸체부 213: 피뢰기 고정부
214: 제1관통공부 215: 브래킷 몸체부
216: 제2관통공부 230: 보강부
250: 절연 갓부 300: 완철
400: 지주 500: 브래킷
610: 제1체결부 620: 제2체결부

Claims (5)

  1. 피뢰기;
    상기 피뢰기가 장착되는 절연행거; 및
    상기 절연행거와 브래킷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완철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행거는,
    상기 피뢰기와 상기 브래킷을 연결하는 절연행거 몸체부; 및
    상기 절연행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돌출되게 장착되는 절연 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피뢰기의 절연 행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행거 몸체부는,
    절연행거 메인몸체부;
    상기 절연행거 메인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피뢰기가 장착되는 피뢰기 고정부; 및
    상기 절연행거 메인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과 연결되는 브래킷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피뢰기의 절연 행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행거 메인몸체부와 상기 피뢰기 고정부, 또는 상기 절연행거 메인몸체부와 상기 브래킷 고정부 사이에 형성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피뢰기의 절연 행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피뢰기 고정부 또는 상기 브래킷 고정부에서 절연행거 상기 메인몸체부 측을 향할수록 폭이 증가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피뢰기의 절연 행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행거는 표면에 방수 수지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피뢰기의 절연 행거 장치.
KR2020180004527U 2018-10-02 2018-10-02 배전용 피뢰기의 절연 행거 장치 KR2020000073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527U KR20200000736U (ko) 2018-10-02 2018-10-02 배전용 피뢰기의 절연 행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527U KR20200000736U (ko) 2018-10-02 2018-10-02 배전용 피뢰기의 절연 행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736U true KR20200000736U (ko) 2020-04-10

Family

ID=70224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527U KR20200000736U (ko) 2018-10-02 2018-10-02 배전용 피뢰기의 절연 행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73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754B1 (ko) * 2021-04-12 2021-07-05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배전용 피뢰기의 조립식 절연행거
KR102370185B1 (ko) 2021-08-24 2022-03-04 주식회사 김이지엔지니어링 투수성이 우수한 배전용 피뢰기의 절연행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754B1 (ko) * 2021-04-12 2021-07-05 주식회사 청림이앤씨 배전용 피뢰기의 조립식 절연행거
KR102370185B1 (ko) 2021-08-24 2022-03-04 주식회사 김이지엔지니어링 투수성이 우수한 배전용 피뢰기의 절연행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24693B1 (ru) Высоковольтный изолятор и высоковольтная линия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использующая данный изолятор
KR101166307B1 (ko) 전주용 피뢰기 설치구조
KR20200000736U (ko) 배전용 피뢰기의 절연 행거 장치
CN104952562A (zh) 用于10kV输电线路的防雷防冰针式复合绝缘子
CN104882876B (zh) 一种特高压直流接地极线路防护系统
CN105788775A (zh) 10kV输电线路用针式复合绝缘子
US6717790B1 (en) Creeping discharge lightning protection device
CN202650738U (zh) 放电箝位瓷绝缘子
US20190392965A1 (en) High-voltage insulator having an arc protection ring
US2866135A (en) Lightning arresters
CN104756337B (zh) 具有绝缘引线的防雷装置
RU2378725C1 (ru) Высоковольтная линия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и высоковольтный изолятор для этой линии
CN102394159A (zh) 一种能提高外绝缘强度,屏障安装位置灵活的绝缘子
CN106684833A (zh) 一种防工频续流放电间隙装置
CN111630741B (zh) 传输线导体桥接装置和在架空线塔架的改造或制造方法中的应用
CN108231300B (zh) 一种防雷绝缘子的并联间隙装置
US3360686A (en) Lightning protection assembly for overhead lines
KR102370185B1 (ko) 투수성이 우수한 배전용 피뢰기의 절연행거장치
CN205050656U (zh) 一种防雷过电压保护器
KR102186000B1 (ko) 직류송전 방식 철탑
RU199043U1 (ru) Мультикамерный разрядник с секторными ребрами
CN204668040U (zh) 10kV绝缘电缆过电压保护避雷器
CN105826892B (zh) 用于减少山区750kV同杆双回线路绕击暴露弧的屏蔽线系统
CN213025619U (zh) 一种雷击闪络保护器
JP2004220903A (ja) 避雷針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