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497U - 발코니 난간용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발코니 난간용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497U
KR20200000497U KR2020200000434U KR20200000434U KR20200000497U KR 20200000497 U KR20200000497 U KR 20200000497U KR 2020200000434 U KR2020200000434 U KR 2020200000434U KR 20200000434 U KR20200000434 U KR 20200000434U KR 20200000497 U KR20200000497 U KR 202000004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lcony
vertical frame
fixe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4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312Y1 (ko
Inventor
박기형
Original Assignee
(주)파랑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랑이엔지 filed Critical (주)파랑이엔지
Priority to KR20202000004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312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4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4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3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3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76Movable elements, e.g. against sun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코니 난간용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는, 그 일단이 발코니 상단 수평프레임에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발코니 상단 수평프레임보다 낮은 위치에 결합되고,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양단이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코니 난간용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HOLDER FOR BALUSTRADE OF BALCONY}
이 고안은 발코니 난간용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아파트 등의 발코니 난간에 설치하는 발코니 난간용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발전기는 태양의 빛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함으로써, 화석연료를 사용하면서 발생되는 CO2 등의 온실가스 및 NOx, SOx 등의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최근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의 전부 또는 일부를 태양광 발전기를 통해 생산할 수 있도록, 옥상이나 발코니 등에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기는 태양광을 최대한 많이 받을 수 있도록 남쪽에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태양광 발전기는 그 면적이 넓고, 예를 들어 아파트의 발코니 등에 설치될 경우 발코니를 통한 창문 면적을 크게 가림으로써, 조망을 심각하게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아파트 발코니 등에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하더라도, 조망의 악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고안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4-0119230 A (2014.10.10)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발코니 난간에 설치하면서 발코니 조망 악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발코니 난간용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발코니 난간용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는, 그 일단이 발코니 상단 수평프레임(11)에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발코니 상단 수평프레임(11)보다 낮은 위치에 결합되고,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양단이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프레임의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1고정공 및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2고정공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고정공은 상기 제2고정공보다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단 방향에 가깝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은 복수 개의 상기 제1고정공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각도조절부의 일단은 복수 개의 상기 제2고정공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공 및 상기 제2고정공은 각각 복수 개가 동일 간격씩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고정공 중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이 결합되는 어느 한 제1고정공과, 복수 개의 상기 제2고정공 중 상기 각도조절부의 일단이 결합되는 어느 한 제2고정공 사이의 항상 일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각도조절부의 타단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3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부의 타단이 복수 개의 제3고정공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의 설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공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 간격씩 이격되도록 4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공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 간격씩 이격되도록 4개가 형성되되, 상기 제1고정공 중 상기 수직프레임의 타단 방향에 가장 가까이 형성된 어느 하나보다 상기 제2고정공 중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단 방향에 가장 가까이 형성된 어느 하나보다 상기 수직프레임의 타단 방향에 가깝게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제1고정공간의 간격과, 복수 개의 상기 제2고정공간의 간격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을 상기 발코니 상단 수평프레임(11)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발코니 상단 수평프레임(11)을 감싸면서 양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유볼트; 및 상기 수직프레임을 발코니 하단 수평프레임(12)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발코니 하단 수평프레임(12)을 감싸면서 양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유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의 타단은 발코니 하단 수평프레임(12)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단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타단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코니 난간용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에 따르면, 아파트 등의 가정에서 발코니에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하더라도, 조망 악화를 최소화하고 집안에 유입되는 햇빛을 최대화하며, 설치가 간편하여 설치시 필요한 작업자를 최소화하고, 설치된 이후에도 발전기 패널의 각도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코니 난간용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발코니 난간용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발코니 난간용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발코니 난간용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를 설치하기 위한 보조 지지대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발코니 난간용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고안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이하의 설명은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코니 난간용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발코니 난간용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발코니 난간용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발코니 난간용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를 설치하기 위한 보조 지지대의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코니 난간용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는, 그 일단이 발코니 상단 수평프레임(11)에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 일단이 수직프레임(110)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발코니 상단 수평프레임(11)보다 낮은 위치에 결합되고, 태양광 패널(20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20) 및 양단이 각각 수직프레임(110)과 지지프레임(120)에 결합되어 지지프레임(12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코니의 난간은 통상적으로 사람의 허리~가슴 높이에 설치된 발코니 상단 수평프레임(11) 및 사람의 발목~종아리 위치에 설치된 발코니 하단 수평프레임(12)의 사이에 발코니 수직프레임(13)이 설치되어 사람이 발코니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아파트 등에 사용되는 가정용 태양광 발전기는 규정상 발코니 상단 수평프레임(11)에 의해 지지되어야만 하는바, 종래의 태양광 발전기의 상단이 발코니 상단 수평프레임(11)에 설치되기 때문에, 태양광 발전기가 발코니 면적의 상당 부분을 가리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태양광 발전기가 발코니를 가리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태양광 패널(200)이 설치되는 위치를 발코니의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태양광 패널(200)을 발코니 상단 수평프레임(11) 또는 발코니 상단 수평프레임(11)에 고정되는 수직프레임(110)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 수직프레임(110)의 일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지지프레임(120)에 태양광 패널(200)을 설치하는 것이다.
즉, 태양광 패널(200)의 상단이 발코니 상단 수평프레임(11)의 높이보다 낮게 설치되고, 지지프레임(120)의 타단부는 발코니 하단 수평프레임(12)보다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태양광 패널(200)이 가리는 영역이 발코니의 하부 영역 및 층간 간격이 되기 때문에, 발코니 상단 수평프레임(11)과 태양광 패널(200)의 상단 사이에 외부를 조망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태양광 발전기의 설치에 의한 조망 악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태양광 패널(200)을 지나치게 하측으로 이동시켜 설치할 경우, 아래층의 조망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프레임(120) 및 태양광 패널(200)이 발코니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는 최대 60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통상적인 아파트에서 위층의 바닥과 아래층의 천장 사이 간격이 약 60cm이기 때문으로써, 지지프레임(120) 및 태양광 패널(200)이 하측으로 돌출되었을 때 아래층의 조망을 방해하지 않는 최대 길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수직프레임(110)의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1고정공(111) 및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2고정공(112)이 각각 형성되되, 제1고정공(111)은 제2고정공(112)보다 수직프레임(110)의 일단 방향에 가깝게 설치된다.
이때 제1고정공(111)은 수직프레임(110)과 지지프레임(120)의 일단을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고, 제2고정공(112)은 수직프레임(110)과 각도조절부(130)의 일단을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제1고정공(111)과 제2고정공(112)은 각각 같은 개수가 형성됨으로써, 제1고정공(111) 및 제2고정공(112)이 각각 일대일 대응되도록 함으로써, 지지프레임(120)의 일단과 각도조절부(130)의 일단 사이의 간격이 항상 일정하도록 설치된다.
복수 개의 제1고정공(111) 및 제2고정공(112)의 개수는 설치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인 아파트 발코니의 형상과 층간 간격 등을 고려할 때, 각각 4개씩 형성되고, 각각의 제1고정공(111) 또는 제2고정공(112)간의 간격은 10~15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고정공(111) 중 가장 높은 위치에 형성된 제1고정공a(111a)는 수직프레임(110)의 일단부에서 하측으로 이격 형성되어, 발코니 상단 수평프레임(11)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이어서 제1고정공b(111b), 제1고정공c(111c), 제1고정공d(111d) 등 복수 개의 제1고정공(111)들은 수직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렇게 제1고정공(111)의 형성 위치를 발코니 상단 수평프레임(11)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시킴으로써, 태양광 패널(20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20)이 설치되는 위치를 발코니 상단 수평프레임(11)보다 낮게 조절하여 조망 범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2고정공(112) 중 가장 높은 위치에 형성된 제2고정공a(112a)을 제1고정공(111) 중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된 제1고정공d(111d)에 비해 수직프레임(110)의 타단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시키고, 제1고정공d(111d)과 제2고정공a(112a) 사이의 간격을 복수 개의 제1고정공(111)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시킴으로써, 설치시 작업자가 제1고정공(111)과 제2고정공(112)을 혼동하지 않도록 하여 작업 실수를 최소화하며 설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고정공a(112a), 제2고정공b(112b), 제2고정공c(112c), 제2고정공d(112d)는 수직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복수 개의 제1고정공(111)들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지프레임(120)의 일단이 제1고정공a(111a)에 결합될 경우에는 각도조절부(130)의 일단이 제2고정공a(112a)에 결합되고, 지지프레임(120)의 일단이 제1고정공b(111b)에 결합될 경우에는 각도조절부(130)의 일단이 제2고정공b(112b)에 결합되는 등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됨으로써, 지지프레임(120)의 일단과 각도조절부(130)의 일단 사이의 간격이 항상 일정해질 수 있다.
한편, 지지프레임(12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 개의 제3고정공(121)이 형성되는 바, 이 제3고정공(121)에는 각도조절부(130)의 타단이 결합된다. 복수 개의 제3고정공(121)중 어느 하나에 각도조절부(130)의 타단을 결합시킴으로써, 지지프레임(120)이 수직프레임(110)에 대해 이루는 각도가 결정되게 된다.
예를 들어, 제3고정공(121)은 제3고정공a(121a) 및 제3고정공b(121b)의 두 개가 형성될 수 있고, 각도조절부(130)의 타단이 제3고정공a(121a)에 결합될 경우 제3고정공b(121b)에 결합될 경우보다 지지프레임(120)이 수직프레임(110)에 대해 이루는 각도가 더 크게 형성된다.
제3고정공(121)의 형성 개수나 지지프레임(120)과 수직프레임(110) 사이의 각도는 설치 환경 등에 따라 조절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제3고정공a(121a)에 결합될 경우에는 25°, 제3고정공b(121b)에 결합될 경우에는 15°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에서 태양의 남중고도는 계절에 따라 30~75°정도인 바, 평균 고도는 그 절반인 15~38°정도가 된다. 따라서 지지프레임(120) 및 이에 지지되는 태양광 패널(200)과 수직프레임(110) 사이의 각도를 태양의 평균 고도인 15° 이상으로 설정하여, 태양광이 태양광 패널(200)에 최대한 많은 양이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태양광 패널(200)을 30° 이상의 고각으로 설치할 경우 바람 등에 의한 파손 가능성이 증가하는 바, 최대 각도를 25°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수직프레임(110)의 일단은 제1유볼트(113)를 이용하여 발코니 상단 수평프레임(11)에 고정되고, 수직프레임(110)의 타단은 제2유볼트(114)를 이용하여 발코니 하단 수평프레임(12)에 고정되는 바, 수직프레임(110)이 발코니 난간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난간용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를 발코니 난간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지지프레임(120)에 태양광 패널(200)을 고정시킨 상태로 설치해야 하는바, 작업자가 한 명일 경우에 설치 편의성을 돕기 위한 보조 지지대(300)를 이용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수직프레임(110)을 연결하는 보조 지지대(300)를 설치하고, 이 보조 지지대(300)의 수평바(310)에 설치된 설치용 앵커(320)를 발코니 상단 수평프레임(11)에 걸친 후, 수직프레임(110)의 후면에 제1유볼트(113) 및 제2유볼트(114)를 설치하여 수직프레임(110)을 발코니 난간에 결속시킨 이후, 보조 지지대(300)를 철거하여 회수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한 명이더라도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경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발코니 상단 수평프레임 12: 발코니 하단 수평프레임
13: 발코니 수직프레임 110: 수직프레임
111: 제1고정공 112: 제2고정공
113: 제1유볼트 114: 제2유볼트
120: 지지프레임 121: 제3고정공
130: 각도조절부 200: 태양광 패널
300: 보조 지지대

Claims (7)

  1. 그 일단이 발코니 상단 수평프레임에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일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발코니 상단 수평프레임보다 낮은 위치에 결합되고, 태양광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양단이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1고정공 및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제2고정공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고정공은 상기 제2고정공보다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단 방향에 가깝게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은 복수 개의 상기 제1고정공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각도조절부의 일단은 복수 개의 상기 제2고정공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공 및 상기 제2고정공은 각각 복수 개가 동일 간격씩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1고정공 중 상기 지지프레임의 일단이 결합되는 어느 한 제1고정공과, 복수 개의 상기 제2고정공 중 상기 각도조절부의 일단이 결합되는 어느 한 제2고정공 사이의 항상 일정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각도조절부의 타단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3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부의 타단이 복수 개의 제3고정공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지지프레임의 설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공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 간격씩 이격되도록 4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공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 간격씩 이격되도록 4개가 형성되되, 상기 제1고정공 중 상기 수직프레임의 타단 방향에 가장 가까이 형성된 어느 하나보다 상기 제2고정공 중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단 방향에 가장 가까이 형성된 어느 하나보다 상기 수직프레임의 타단 방향에 가깝게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제1고정공간의 간격과, 복수 개의 상기 제2고정공간의 간격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을 상기 발코니 상단 수평프레임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발코니 상단 수평프레임을 감싸면서 양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1유볼트; 및
    상기 수직프레임을 발코니 하단 수평프레임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발코니 하단 수평프레임(12)을 감싸면서 양단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2유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타단은 발코니 하단 수평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단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타단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
KR2020200000434U 2020-02-05 2020-02-05 발코니 난간용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 KR2004923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434U KR200492312Y1 (ko) 2020-02-05 2020-02-05 발코니 난간용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434U KR200492312Y1 (ko) 2020-02-05 2020-02-05 발코니 난간용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497U true KR20200000497U (ko) 2020-03-04
KR200492312Y1 KR200492312Y1 (ko) 2020-09-15

Family

ID=69767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434U KR200492312Y1 (ko) 2020-02-05 2020-02-05 발코니 난간용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31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9230A (ko) 2013-03-27 2014-10-10 김지희 발코니 난간대용 태양광 집광판 고정장치
KR20160023515A (ko) * 2014-08-22 2016-03-03 주식회사 에너지발전연구소 베란다 설치용 태양광 패널 거치대
KR101733976B1 (ko) * 2016-04-22 2017-05-10 주식회사 탑선 베란다 설치형 태양광모듈 장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9230A (ko) 2013-03-27 2014-10-10 김지희 발코니 난간대용 태양광 집광판 고정장치
KR20160023515A (ko) * 2014-08-22 2016-03-03 주식회사 에너지발전연구소 베란다 설치용 태양광 패널 거치대
KR101733976B1 (ko) * 2016-04-22 2017-05-10 주식회사 탑선 베란다 설치형 태양광모듈 장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312Y1 (ko) 202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7691C (en) Slider clip and photovoltaic structure mounting system
KR101733976B1 (ko) 베란다 설치형 태양광모듈 장착장치
US9548696B2 (en) East-west photovoltaic array with spaced apart photovoltaic modules for improved aerodynamic efficiency
WO2011037336A2 (ko) 난간 부착형 태양광 발전모듈
KR101275078B1 (ko) 솔라패널 어레이 지지시스템
US20120233939A1 (en) Adjustable solar panel cap
KR101813453B1 (ko) 태양전지 모듈용 지지대
KR101215665B1 (ko) 난간 부착형 태양광 발전모듈
US20140311550A1 (en) Low wind resistance self ballasting photovoltaic module mounting systems
US20110265401A1 (en) Mounting system for solar modules
KR102123157B1 (ko) 태양광 추적장치
KR20140119230A (ko) 발코니 난간대용 태양광 집광판 고정장치
KR200492312Y1 (ko) 발코니 난간용 태양광 발전기 거치대
KR20190082494A (ko) 건물 베란다 난간 일체형 태양광발전 모듈시스템
KR101674817B1 (ko) 베란다 설치용 태양발전장치
KR101729218B1 (ko) 수동 각도조절 기능을 가지는 태양광 발전 구조물
KR101797898B1 (ko) 태양광 패널 조립체
KR20180136732A (ko) 옥상 난간용 태양광 발전 장치
KR20230081236A (ko) 건물일체형 태양광 모듈 고정장치
KR102085325B1 (ko) 태양광 모듈 지지대
KR102032448B1 (ko) 베란다 난간 설치형 태양열전지판 거치체
KR102032435B1 (ko) 간편 설치식 태양열전지판 거치대
KR200481480Y1 (ko) 투시형 태양광모듈 고정장치
JP4624157B2 (ja) 太陽光発電装置の設置構造
KR102207802B1 (ko)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독립 주차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