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476U - 장화 세척기 - Google Patents

장화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476U
KR20200000476U KR2020180003897U KR20180003897U KR20200000476U KR 20200000476 U KR20200000476 U KR 20200000476U KR 2020180003897 U KR2020180003897 U KR 2020180003897U KR 20180003897 U KR20180003897 U KR 20180003897U KR 20200000476 U KR20200000476 U KR 202000004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main body
pair
pip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8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2499Y1 (ko
Inventor
신경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스
Priority to KR20201800038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499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4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4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4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04Hand implements for shoe-cleaning,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Landscapes

  • Brush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이 길게 올라온 장화를 물과 브러쉬로 세척하는 장화 세척기로서, 본체(100); 본체(100)의 하면 양측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블록(210)과, 본체(100)의 하면 중앙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센터블록(220)을 구비하는 블록부(200); 한 쌍의 사이드블록(210)에 각각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 브러쉬(310)와, 센터블록(220)에 결합되는 바닥 브러쉬(320)로 구성되는 풋브러쉬부(300); 한 쌍의 분사관(410), 제1 연결관(420), 제2 연결관(430) 및 분기관(440)으로 구성되는 급수관(400); 헤드부(510)와 그립부(520)로 구성되는 핸드브러쉬부(500); 핸드브러쉬부(500)와 분기관(440)을 연결하는 연결호스(600); 분기관(440)을 개폐하는 제1 개폐밸브(700); 및 제2 연결관(430)을 개폐하는 제2 개폐밸브(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화 세척기{Boots cleaner}
본 고안은 장화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목이 길게 올라온 장화를 물과 브러쉬로 세척하는 장화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장화 또는 부츠(boots)란 신발의 한 종류로 복사뼈 위나 장딴지 이상 높이를 갖는 신발을 총칭한다. 장화는 주로 가죽이나 고무, 합성피혁으로 많이 제작되며, 작업용, 방한용, 방수용, 스포츠용, 안전용, 패션용 등 다양한 용도로 신는 신발이다.
작업용으로 신는 장화는 작업장에 있는 각종 이물질(흙, 먼지, 오물, 세균, 찌꺼기, 식품 재료 등)이 장화의 바닥과 겉면에 끼거나 달라붙어 더러워지기 때문에, 장화를 수시로 세척할 필요가 있다.
예전에는 출입구에 흙떨이 융단을 펼쳐놓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발을 굴러 이물질을 분리하는 정도에 불과하였던 바, 최근에는 장화를 편하게 세척하기 위해 다양한 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 일례로 등록실용신안 제20-0284513호('신발 자동 세척장치')가 있다.
종래의 '신발 자동 세척장치'는 세척기의 발판을 딛고 서면, 스위치가 작동하여 신발에 붙은 이물질이 자동으로 제거되고, 제거된 이물질은 세척솔의 하부에 위치한 흙받이통에 수납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신발 자동 세척장치'는 장화를 안전그릴(21)에 닿도록 올리면, 장화의 밑면은 물(W)에 담가져 불려지고 장화의 겉면은 세척솔로 닦이는 구조였기 때문에, 가장 더럽고 구석진 곳이 많은 장화의 밑면은 솔 세척이 되지 못했고, 먼지가 많이 뭍어있는 장화의 겉면은 물 세척이 불가능하였다.
특히, 종래의 '신발 자동 세척장치'는 세척솔이 일정 높이에 고정된 구조였기 때문에, 세척솔이 닿지 않는 장화의 연장된 목 부분을 추가적으로 세척하기 어려웠다.
또한, 종래의 '신발 자동 세척장치'는 흙받이통(20)을 분리하여 수시로 청소해야 했기 때문에 번거러웠으며, 회전솔(3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먼지가 주변으로 비산되는 등 단점이 많은 장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4513호(2002년08월03일 등록 공고, 고안의 명칭 : 신발 자동 세척장치)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솔 세척과 물 세척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장화를 보다 깨끗하고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고, 먼지가 날리지 않으며, 별도로 청소할 필요가 없는 작고 가벼운 장화 세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장화 세척기는, 전면과 상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을 갖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하면 양측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블록(210)과, 상기 본체(100)의 하면 중앙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센터블록(220)을 구비하는 블록부(200); 다수의 세척솔(301)이 식재된 판(302)으로, 상기 한 쌍의 사이드블록(210)에 각각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 브러쉬(310)와, 상기 센터블록(220)에 결합되는 바닥 브러쉬(320)로 구성되는 풋브러쉬부(300); 상기 한 쌍의 사이드블록(210)의 상면에 놓여지는 한 쌍의 분사관(410)과, 상기 한 쌍의 분사관(410)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관(420)과, 상기 제1 연결관(42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물(w)을 공급받는 제2 연결관(430)과, 상기 제2 연결관(430)의 일지점에 결합되는 분기관(440)으로 구성되는 급수관(400); 다수의 세척솔(511)이 식재되는 헤드부(510)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510)에서 연장되고 내부를 따라 연결유로(521)가 형성된 그립부(520)로 구성되는 핸드브러쉬부(500); 상기 핸드브러쉬부(500)의 연결유로(521)와 상기 분기관(440)을 연결하는 연결호스(600); 상기 연결호스(600)와 상기 분기관(440)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분기관(440)을 개폐하는 제1 개폐밸브(700); 및 상기 제2 연결관(430)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연결관(430)을 개폐하는 제2 개폐밸브(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장화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에는, 양측 상단부에 각각 손잡이홈(101)이 형성되고, 양측면 및 배면에 다수의 줄홈(102)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사이드블록(210)의 상면에는, 한 쌍의 커플돌기(211)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분사관(410)이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는 관 지지홈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100)와 상기 블록부(200)는, 폴리에틸렌 재질로 사출성형되어 일체를 이루며, 상기 풋브러쉬부(300)에 구비된 세척솔(301)과, 이것이 식재되는 판(302)은, 부식되지 않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본체(100)의 일측면에는, 수평으로 돌출되다 상향절곡되어 상기 핸드브러쉬부(500)의 헤드부(510)와 그립부(520) 사이의 목부를 받치는 제1 걸이구(910)와, 상기 제1 걸이구(910)에서 상기 본체(100)의 배면 측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다 하향절곡되어 상기 헤드부(510)의 상단부를 지압하는 제2 걸이구(920)를 구비하는 브러쉬 걸이부(900);가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장화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풋브러쉬부(300) 중, 한 쌍의 측면 브러쉬(310)에 식재된 세척솔(301a)은 제1 길이 및 제1 강도로 구성되고, 바닥 브러쉬(320)에 식재된 세척솔(301b)은, 상대적으로 잘 휘어지지 않도록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 및 상기 제1 강도보다 강한 제2 강도로 구성되며, 상기 판(302)은, 상기 사이드블록(210)에 직결피스(p)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장화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전면은, 차수벽(150)에 의해 바닥에서 일정높이로 차폐되고, 상기 차수벽(150) - 상기 본체(100) - 상기 블록부(200) 사이의 공간은, 상기 한 쌍의 분사관(410)에서 배출되는 물(w)이 모이는 물받이 공간(S)으로 정의되며, 상기 물받이 공간(S)과 접하는 본체(100)의 일측면 하단에는, 상기 물받이 공간(S)과 연통되도록 배출구(160)가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 공간(S)의 바닥면은, 상기 배출구(160)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장화 세척기에 따르면, 솔 세척과 물 세척이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주변으로 먼지가 날리지 않으면서 장화를 말끔히 세척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제1 세척모드에서 장화의 하반부를 세척한 후 제2 세척모드로 전환하여 장화의 상반부를 세척함으로써, 장화의 전 영역을 쉽고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세척 과정에서 분사된 물이 물받이 공간에 모두 모여 이물질과 함께 배출구로 실시간 배출됨으로써, 본체를 별도로 청소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장화의 일반적인 사이즈를 고려하여 본체의 규격을 최소로 설계하고, 그 재질을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을 적용하여 일체로 사출성형함으로써, 작고 가볍고 튼튼한 장화 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화 세척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장화 세척기의 시제품 내부를 찍은 사진.
도 3은 도 2의 장화 세척기의 바닥 부분을 확대하여 찍은 사진.
도 4는 도 2의 장화 세척기를 이용하여 장화를 세척하는 과정을 나타낸 과정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장화 세척기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화 세척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장화 세척기의 시제품 내부를 찍은 사진이며, 도 3은 도 2의 장화 세척기의 바닥 부분을 확대하여 찍은 사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화 세척기는 목이 길게 올라온 장화를 물과 브러쉬로 세척하는 장화 세척기로서, 본체(100), 블록부(200), 풋브러쉬부(300), 급수관(400), 핸드브러쉬부(500), 연결호스(600), 제1 개폐밸브(700) 및 제2 개폐밸브(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과 상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으로 제작된다.
작업자가 본체(100)에 발을 넣고 몸을 앞으로 숙였을 때, 손으로 잡고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본체(100)의 양측 상단부에 각각 손잡이홈(10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작업자와 마주보는 본체(100)의 양측 기대면(100a)을 바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성 보강을 위해 본체(100)의 양측면 및 배면에 다수의 줄홈(102)이 형성되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바닥면 중앙에 오목하게 반구형태로 요홈이 형성되며, 네 가장자리에 각각 받침돌기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후술되는 급수관(400)을 통해 본체(100) 안으로 물이 분사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물이 본체(100) 안에 머물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체(100)의 전면은 차수벽(150)에 의해 바닥에서 일정높이로 차폐되고, 바닥 부분에 물받이 공간(S)이 별도로 구성된다.
물받이 공간(S) 형성을 위해 도입된 블록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하면 양측을 따라 제1 높이로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블록(210)과, 본체(100)의 하면 중앙을 따라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로 돌출형성되는 센터블록(220)을 구비한다.
후술되는 한 쌍의 분사관(410)에서 배출되는 물(w)이 모이는 물받이 공간(S)은, 차수벽(150) - 본체(100) - 블록부(200)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되며, 물받이 공간(S)과 접하는 본체(100)의 일측면 하단에는 물받이 공간(S)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배출구(160)가 형성된다.
물받이 공간(S)에 물이 고이지 않고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물받이 공간(S)의 바닥면은 배출구(160)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0)의 크기가 최소화되도록, 장화의 일반적인 사이즈를 고려하여 본체의 폭, 높이, 깊이는 대략 0.5m, 1m, 0.5m로 제작되며, 전체 무게가 최소화되도록, 본체(100)와 블록부(200)는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에틸렌 재질로 사출성형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제작된다.
여기서 폴리에틸렌 재질은 햇빛이나 비바람에 강한 재질로서, 외부의 악조건을 견디면서 장기간 사용할 수 있어서 선택된 재질이다.
풋브러쉬부(300)는 다수의 세척솔(301)이 식재된 판(302)으로, 한 쌍의 사이드블록(210)에 각각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 브러쉬(310)와, 센터블록(220)에 결합되는 바닥 브러쉬(320)로 구성되어, 그 사이에 세척공간(A)이 형성된다.
풋브러쉬부(300)에 구비된 세척솔(301)과 이것이 식재되는 판(302)은, 부식되지 않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바닥 브러쉬(320)는 장화의 바닥면에 강하게 밟히는 부분이고, 측면 브러쉬(310)는 장화의 측면이 약하게 쓸리는 부분이다. 따라서, 바닥 브러쉬(320)는 측면 브러쉬(310)보다 강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3과 같이 풋브러쉬부(300) 중, 한 쌍의 측면 브러쉬(310)에 식재된 세척솔(301a)은 제1 길이 및 제1 강도로 구성되고, 바닥 브러쉬(320)에 식재된 세척솔(301b)은, 상대적으로 잘 휘어지지 않도록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 및 제1 강도보다 강한 제2 강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반복적인 세척으로 인해 세척솔이 마모되거나 탄력을 상실하면, 풋브러쉬부(30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판(302)은 블록부(200)에 직결피스(p)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수관(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분사관(410), 제1 연결관(420), 제2 연결관(430) 및 분기관(440)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분사관(410)은 한 쌍의 사이드블록(210)의 상면에 놓여지고 서로 마주보는 대향면에 다수의 분사홀(41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제1 연결관(420)은 한 쌍의 분사관(410)의 단부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제2 연결관(430)은 제1 연결관(420)에서 본체(100)의 내측면을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어 물(w)을 공급받는 구성이다. 제2 연결관(430)의 단부에는 물 공급관(3, 도 1 참조)이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별도의 접속구(435)가 장착된다.
분기관(440)은 제2 연결관(430)의 일지점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된다.
급수관(400)이 본체(1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제2 연결관(430)은 U자형 클램프(436)로 고정되며, 한 쌍의 사이드블록(210)의 상면에는 한 쌍의 커플돌기(211)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한 쌍의 분사관(410)이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는 관 지지홈을 형성한다.
핸드브러쉬부(500)는 내부의 공동유로(511)와 연통되도록 다수의 세척솔(512)이 식재되는 헤드부(510)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헤드부(510)에서 연장되고 내부를 따라 연결유로(521)가 형성된 그립부(520)와, 그립부(520)의 단부를 조이도록 나사결합되어 후술되는 연결호스(600)를 압착고정하는 호스체결부(530)로 구성되며, 본체(100)의 일측에 걸려 가고정된다.
핸드브러쉬부(500)를 간편하게 걸 수 있도록 브러쉬 걸이부(900)가 더 포함된다. 브러쉬 걸이부(900)는 본체(100)의 일측면에는 수평으로 돌출되다 상향절곡되어 핸드브러쉬부(500)의 헤드부(510)와 그립부(520) 사이의 목부를 받치는 제1 걸이구(910)와, 제1 걸이구(910)에서 본체(100)의 배면 측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다 하향절곡되어 헤드부(510)의 상단부를 지압하는 제2 걸이구(920)를 구비한다.
연결호스(600)는 자유롭게 구부러지면서 핸드브러쉬부(500)의 연결유로(521)와 분기관(440)을 연결하는 구성이다.
제1 개폐밸브(700)는 연결호스(600)와 분기관(440) 사이에 결합되어 분기관(440)을 개폐한다.
제2 개폐밸브(800)는 제2 연결관(430)을 개폐하는 구성으로, 분기관(440)을 기준으로 나뉘는 제2 연결관(430)의 상측구간과 하측구간 중, 하측구간에 결합된다.
만약, 제2 개폐밸브(800)가 상측구간에 결합되어도 세척은 가능하다. 그러나, 밸브 개폐 과정이 복잡해진다. 왜냐하면, 제2 개폐밸브(800)가 제2 연결관(430)의 상측구간에 결합되면, 제2 연결관(430)의 상측구간까지만 물이 공급되고 분기관(440)에는 공급되지 않는 상태가 되면서, 분기관(440)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제2 개폐밸브(800)를 한번 더 열고 닫아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제2 개폐밸브(800)가 제2 연결관(430)의 하측구간에 결합되어, 제2 연결관(430)의 하측구간과 분기관(440)에 물이 동시에 공급되면서, 제1 개폐밸브(700)와 제2 개폐밸브(800)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세척하는 것이 조작 편의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신속하고 편리하게 장화를 세척한다. 도 4는 도 2의 장화 세척기를 이용하여 장화를 세척하는 과정을 나타낸 과정도이다.
먼저, 도 4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개폐밸브(800)를 잠그고 제1 개폐밸브(미도시, 다리에 가려졌음)를 열면, 한 쌍의 분사관(410)에서 풋브러쉬부(300)의 세척공간(A)으로 물(w)이 분사되는 제1 세척모드가 된다.
제1 세척모드 상태에서, 장화를 세척공간(A)으로 넣고 앞뒤로 움직이면, 장화의 바닥면은 바닥 브러쉬(320)와 물(w)에 의해 세척되고, 장화의 하반부 측면은 측면 브러쉬(310)와 물(w)에 의해 동시에 세척된다.
장화의 하반부 세척이 끝나면, 도 4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폐밸브(700)를 잠그고 제2 개폐밸브(800)를 연다. 그러면, 핸드브러쉬부(500)의 헤드부(510)로 물(w)이 분사되는 제2 세척모드가 된다.
제2 세척모드 상태에서, 장화의 하반부에 묻은 이물질을 닦으면, 장화의 세척이 완료된다.
세척 과정에서 장화로 분사되는 물(w)은 물받이 공간(S)에 모두 받아져 배출구(160)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화 세척기는, 솔 세척과 물 세척이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주변으로 먼지가 날리지 않으면서 장화를 말끔히 세척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제1 세척모드에서 장화의 하반부를 세척한 후 제2 세척모드로 전환하여 장화의 상반부를 세척함으로써, 장화의 전 영역을 쉽고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세척 과정에서 분사된 물이 물받이 공간에 모두 모여 이물질과 함께 배출구로 실시간 배출됨으로써, 본체를 별도로 청소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장화의 일반적인 사이즈를 고려하여 본체의 규격을 최소로 설계하고, 그 재질을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을 적용하여 일체로 사출성형함으로써, 작고 가볍고 튼튼한 장화 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본체
200 : 블록부
300 : 풋브러쉬부
400 : 급수관
500 : 핸드브러쉬부
600 : 연결호스
700 : 제1 개폐밸브
800 : 제2 개폐밸브

Claims (4)

  1. 전면과 상면이 개구된 함체 형상을 갖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하면 양측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블록(210)과, 상기 본체(100)의 하면 중앙을 따라 돌출형성되는 센터블록(220)을 구비하는 블록부(200);
    다수의 세척솔(301)이 식재된 판(302)으로, 상기 한 쌍의 사이드블록(210)에 각각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 브러쉬(310)와, 상기 센터블록(220)에 결합되는 바닥 브러쉬(320)로 구성되는 풋브러쉬부(300);
    상기 한 쌍의 사이드블록(210)의 상면에 놓여지는 한 쌍의 분사관(410)과, 상기 한 쌍의 분사관(410)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관(420)과, 상기 제1 연결관(42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물(w)을 공급받는 제2 연결관(430)과, 상기 제2 연결관(430)의 일지점에 결합되는 분기관(440)으로 구성되는 급수관(400);
    다수의 세척솔(511)이 식재되는 헤드부(510)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510)에서 연장되고 내부를 따라 연결유로(521)가 형성된 그립부(520)로 구성되는 핸드브러쉬부(500);
    상기 핸드브러쉬부(500)의 연결유로(521)와 상기 분기관(440)을 연결하는 연결호스(600);
    상기 연결호스(600)와 상기 분기관(440)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분기관(440)을 개폐하는 제1 개폐밸브(700); 및
    상기 제2 연결관(430)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연결관(430)을 개폐하는 제2 개폐밸브(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화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에는, 양측 상단부에 각각 손잡이홈(101)이 형성되고, 양측면 및 배면에 다수의 줄홈(102)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사이드블록(210)의 상면에는, 한 쌍의 커플돌기(211)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분사관(410)이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는 관 지지홈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100)와 상기 블록부(200)는, 폴리에틸렌 재질로 사출성형되어 일체를 이루며,
    상기 풋브러쉬부(300)에 구비된 세척솔(301)과, 이것이 식재되는 판(302)은, 부식되지 않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본체(100)의 일측면에는, 수평으로 돌출되다 상향절곡되어 상기 핸드브러쉬부(500)의 헤드부(510)와 그립부(520) 사이의 목부를 받치는 제1 걸이구(910)와, 상기 제1 걸이구(910)에서 상기 본체(100)의 배면 측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수평으로 돌출되다 하향절곡되어 상기 헤드부(510)의 상단부를 지압하는 제2 걸이구(920)를 구비하는 브러쉬 걸이부(90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화 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풋브러쉬부(300) 중, 한 쌍의 측면 브러쉬(310)에 식재된 세척솔(301a)은 제1 길이 및 제1 강도로 구성되고, 바닥 브러쉬(320)에 식재된 세척솔(301b)은, 상대적으로 잘 휘어지지 않도록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 및 상기 제1 강도보다 강한 제2 강도로 구성되며,
    상기 판(302)은, 상기 사이드블록(210)에 직결피스(p)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화 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전면은, 차수벽(150)에 의해 바닥에서 일정높이로 차폐되고,
    상기 차수벽(150) - 상기 본체(100) - 상기 블록부(200) 사이의 공간은, 상기 한 쌍의 분사관(410)에서 배출되는 물(w)이 모이는 물받이 공간(S)으로 정의되며,
    상기 물받이 공간(S)과 접하는 본체(100)의 일측면 하단에는, 상기 물받이 공간(S)과 연통되도록 배출구(160)가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 공간(S)의 바닥면은, 상기 배출구(160)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화 세척기.
KR2020180003897U 2018-08-22 2018-08-22 장화 세척기 KR2004924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897U KR200492499Y1 (ko) 2018-08-22 2018-08-22 장화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897U KR200492499Y1 (ko) 2018-08-22 2018-08-22 장화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476U true KR20200000476U (ko) 2020-03-03
KR200492499Y1 KR200492499Y1 (ko) 2020-10-27

Family

ID=69767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897U KR200492499Y1 (ko) 2018-08-22 2018-08-22 장화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49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935B1 (ko) * 2021-02-09 2021-08-18 (주) 엠엔에스 신발 바닥 세척기
KR102290825B1 (ko) * 2021-02-09 2021-08-18 (주) 엠엔에스 장화 세척기
US20210345854A1 (en) * 2020-05-06 2021-11-11 Bright Kingdom Global Sourcing Limited Apparatus for cleaning footwear
KR20230002303U (ko) * 2022-05-26 2023-12-05 육문균 장화 세척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513Y1 (ko) 2002-05-15 2002-08-03 김종화 신발 자동 세척장치
US6557203B2 (en) * 2001-05-25 2003-05-06 Irwin B Meshbesher Footwear cleaning and sanitizing device
KR200443217Y1 (ko) * 2007-09-11 2009-01-22 김정한 장화 세척기
KR200447891Y1 (ko) * 2009-08-24 2010-03-03 한상규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장화세척기
KR20100115007A (ko) * 2009-04-17 2010-10-27 김종석 장화 세척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7203B2 (en) * 2001-05-25 2003-05-06 Irwin B Meshbesher Footwear cleaning and sanitizing device
KR200284513Y1 (ko) 2002-05-15 2002-08-03 김종화 신발 자동 세척장치
KR200443217Y1 (ko) * 2007-09-11 2009-01-22 김정한 장화 세척기
KR20100115007A (ko) * 2009-04-17 2010-10-27 김종석 장화 세척기
KR200447891Y1 (ko) * 2009-08-24 2010-03-03 한상규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장화세척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45854A1 (en) * 2020-05-06 2021-11-11 Bright Kingdom Global Sourcing Limited Apparatus for cleaning footwear
KR102290935B1 (ko) * 2021-02-09 2021-08-18 (주) 엠엔에스 신발 바닥 세척기
KR102290825B1 (ko) * 2021-02-09 2021-08-18 (주) 엠엔에스 장화 세척기
KR20230002303U (ko) * 2022-05-26 2023-12-05 육문균 장화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499Y1 (ko) 202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2499Y1 (ko) 장화 세척기
US6584636B2 (en) Footwear cleaning apparatus
US7188438B1 (en) Step-in/step out overshoe
US20070022527A1 (en) Foot scrubbing and massaging assembly
US5996163A (en) Foot brush assembly
US5724695A (en) Foot brush assembly
US20030204927A1 (en) Foot brush
US5371958A (en) Shower sandal
US5345641A (en) Portable footwear cleaner
US3945736A (en) Extension mop
ES2967800T3 (es) Dispositivo de limpieza de piscinas
US6740052B1 (en) Foot scrubber
KR102354338B1 (ko) 반려동물 샤워 겸용 드라이룸
KR20090011186U (ko) 욕실 청소용 슬리퍼
US11752526B1 (en) Shoe sole cleaning device
KR102354237B1 (ko) 축산용 장화세척장치
JP2003070715A (ja) 靴の水洗い・乾燥装置
KR102410477B1 (ko) 다목적 가축 방역장비
KR20100003127U (ko) 발 걸레
ES2299370B1 (es) Cepillo para la limpieza interior del calzado con aerosol de espuma seca.
US20230218138A1 (en) Foot or Footwear Cleaner
KR100591696B1 (ko) 골프화청소기
KR20230014549A (ko) 열선이 구비된 축산용 장화세척장치
JP3082736U (ja) 動物の足裏洗浄器
CN218651740U (zh) 雨鞋便捷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