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406U - Towing jig for tap hole's brick of Electric furnace - Google Patents

Towing jig for tap hole's brick of Electric furn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406U
KR20200000406U KR2020200000461U KR20200000461U KR20200000406U KR 20200000406 U KR20200000406 U KR 20200000406U KR 2020200000461 U KR2020200000461 U KR 2020200000461U KR 20200000461 U KR20200000461 U KR 20200000461U KR 20200000406 U KR20200000406 U KR 202000004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lugs
towing
crane
electric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46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3683Y1 (en
Inventor
유길용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20180002344U external-priority patent/KR20190003016U/en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00000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683Y1/en
Publication of KR202000004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40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6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68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2Manufacture of steel in electric furn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로 출강구 연와 견인용 지그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전기로 출강구의 연와를 이동시키기 위해 쇠사슬과 연와 견인용 프레임을 통해서 상기 연와와 본 고안을 연결시킨다. 와이어를 이용하여 본 고안을 크레인과 연결시켜 상기 전기로 출강구 연와를 이동시킨다.
본 고안은 크레인의 작업범위 밖으로 상기 연와를 이동시키기 위해 고안되었다. 공장 내 크레인은 작업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상기 연와의 설치위치가 크레인 작업범위 밖에 존재하게 된다면, 크레인으로 상기 연와를 이동시키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크레인 작업범위 밖으로 상기 연와를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 본 고안의 몸체 길이만큼 크레인 작업범위 밖으로 상기 연와를 이동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electric furnace exit kit and a traction ji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yoke and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chain and a kite and a towing frame to move the yoke of the tap with an electric furnac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crane by using a wire to move the tapping edge of the electric furnac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move the blade outside the working range of the crane. Cranes in the factory have a limited working range. I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kite is out of the crane working range, there is a limit to moving the kite with a crane. Therefore, when it is necessary to move the blade out of the crane working range, it is possible to move the blade out of the crane working range by the length of th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전기로 출강구 연와 견인용 지그 {Towing jig for tap hole's brick of Electric furnace}Towing jig for tap hole's brick of Electric furnace}

본 고안은, 전기로 출강구 연와의 견인을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 the towing of the electric outlet tap.

전기로는 전기를 이용하여 발생되는 열로 고철을 용해하는 노로써 금속의 정련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 전기로는 아크열 또는 그 복사열로 고철을 용해하면서 내부에 산소를 투입하고 불순물을 제거하여 용강을 제조한다.An electric furnace is a furnace for melting scrap metal by heat generated using electricity, and is mainly used for refining metals. The electric furnace is dissolved in scrap iron by arc heat or radiant heat, and oxygen is introduced therein to remove impurities to produce molten steel.

상기 전기로에서 용강이 용해 완료되면, 전기로의 하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출강구를 통하여 래들로 수강된 후 후공정으로 이송된다.When the molten steel is dissolved in the electric furnace, the ladle is taken through the tap hole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electric furnace and then transferred to the later process.

상기 출강구에는 용강의 출강 시 내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화물로 제조된 연와가 장착된다.The tap hole is equipped with a lead made of refractory to prevent the inner wall is damaged when tapping the molten steel.

상기한 연와는 용강을 생산하고 배출하는 과정이 반복됨으로써 마모되고 용손되기 때문에 일정기간 이후에는 내화부재로서 수명이 다하여 교체되어야 한다.Since the lead is worn and melted by repeating the process of producing and discharging molten steel, it must be replac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s a refractory member.

교체과정에서 연와의 무게로 인해 크레인을 통해 이동시킨다.During the replacement, the weight of the lead causes it to move through the crane.

이동과정에서 연와가 설치될 전기로 출강구의 위치가 크레인의 이동경로와 가깝다면 1개의 크레인을 통해 상기 연와를 이동시킬 수 있다.If the position of the electric furnace tap hole to be installed in the movement process is close to the movement path of the crane it can be moved through the one crane.

하지만, 전기로 출강구의 위치가 크레인의 이동경로와 떨어져 있다면, 떨어진 거리를 메울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However, if the location of the furnace exit is away from the crane's path, a tool is needed to fill the distance.

크레인의 작업범위 밖에 있는 위치로 전기로 출강구 연와를 옮겨야 할 경우에, 본 고안은 크레인의 넓어진 작업범위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the case where it is necessary to transfer the tapping lead to an electric position outside the working range of the crane,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wider working range of the crane.

본 고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지그의 몸체를 이루는 몸체부와 견인목적물을 견인시키기 위해 몸체부에 부착되는 러그와 견인목적물과의 무게중심을 위해 몸체부에 부착되는 카운터 웨이트를 포함하는 전기로 출강구 연와 견인용 지그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power outlet including a counterweight attached to the body portion for the center of gravity between the lug attached to the body portion and the towing object to tow the towing object and the body portion constituting the jig body Kite and towing jig are provided.

여기서, 러그와 카운터 웨이트의 부착을 위해 상기 몸체부가 H빔이 될 수 있다.Here, the body portion may be an H beam for attachment of lugs and counter weights.

또한, 상기 러그는 견인목적물의 견인을 위해 몸체부의 모서리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ug may be installed at the corner of the body portion for the towing of the towing object.

또한, 상기 카운터 웨이트는 몸체부와의 부착을 위해 직육면체의 형태를 갖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nter weight may have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or attachment to the body portion.

또한, 상기 몸체부의 밑면에 러그보다 높이가 긴 직육면체 형태를 갖는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may include a pedestal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longer than the lug.

본 고안의 실시예는 크레인의 정해진 작업범위 밖으로 연와를 이동시킴으로써 크레인의 작업범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orking range of the crane by moving the edge out of the fixed working range of the cran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본 고안이 전기로 출강구 연와를 견인중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 본 고안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 본 고안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1의 실시예에서 본 고안을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Figure 1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towing the electric outlet tap.
Figure 2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3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Figure 4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써, 전기로 출강구 연와 견인용 지그(100)가 연와(12)를 견인중인 모습을 도시한다. 본 고안의 구조적인 측면은 후술한다.Figure 1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 outlet tap and the towing jig 100 is towing the kite (12). The structur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전기로 출강구 연와(12)의 견인을 위해 상기 연와(12)에 견인을 위한 견인용 프레임(15)을 장착시킨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견인용 프레임(15)의 일면은 4개의 바를 포함한다. 평행한 2개의 바를 다른 2개의 바가 평행하게 가로지르는 형태이다. 견인용 프레임(15)의 양측면과 양측면을 이어주는 다른면을 포함하는 세개의 면은 전술한 것과 같이 사다리형태를 이루고, 상기 견인용 프레임(15)의 남은 일면은 빈 공간을 이룬다. 덧붙여, 빈 공간을 나타내는 상기 남은 일면은 상기 도 1에서 본 고안과 마주보는 면이다. Towing the electric trailway hook 12 is mounted to the traction frame 15 for traction to the yeon 12. In this embodiment, one side of the towing frame 15 includes four bars. The two parallel bars cross the other two bars in parallel. Three surfaces, including two sides of the towing frame 15 and the other surface connecting both sides, form a ladder as described above, and the remaining one surface of the towing frame 15 forms an empty space. In addition, the remaining one surface representing the empty space is a surface facing the subject innovation of FIG. 1.

상기 견인용 프레임(15)의 양측면의 상측부에는 러그(104)가 부착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측부에 위치하는 2개의 바 각각에 러그(104)가 2개씩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상측부에 총 4개의 러그(104)가 부착된다. 상기 상측부의 1개의 바에 러그(104) 2개를 연속으로 부착하되, 2개의 러그(104) 사이는 어느 정도의 거리를 둘 수 있다.The lugs 104 are attached to upp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towing frame 15. In this embodiment, two lugs 104 are attached to each of the two bars located on the upper side. Therefore, a total of four lugs 104 are attached to the upper side. Two lugs 104 are continuously attached to one bar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lugs 104 may be provided to some extent.

전기로 출강구 연와(12)에 상기 견인용 프레임(15)을 장착하고, 상기 견인용 프레임(15) 상의 상기 러그(104)에 쇠사슬(16)을 연결한다. 연결된 쇠사슬(16)은 상기 견인용 프레임(15)과 본 고안을 이어준다.The traction frame 15 is mounted on the electric furnace tap hoop 12, and a chain 16 is connected to the lug 104 on the traction frame 15. Connected chain 16 connects the towing frame 15 with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연와(12)의 이동을 위해 크레인으로부터 이어진 와이어(18)와 러그(104)를 이어서 상기 실시예를 크레인과 연결한다. 안정적인 견인을 위해 카운터 웨이트(108)가 존재하는 일면에 위치하는 8개의 러그(104) 중 6개의 러그(104)와 상기 와이어(18)를 상기 도 1의 실시예와 같이 연결한다.The wire 18 and the lug 104 running from the crane for movement of the edge 12 are then connected with the crane. 6 of the 8 lugs 104 located on one surface where the counter weight 108 is present to connect the wire 18 and the wire 18 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연와(12)는 이동을 위해 견인용 프레임(15)을 장착하고, 상기 견인용 프레임(15) 상의 러그(104)에 쇠사슬(16)을 연결한다. 연결된 상기 쇠사슬(16)을 본 고안의 받침대(106)가 존재하는 일면의 러그(104)에 연결시킨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받침대(106)가 존재하는 일면에 총 4개의 러그(104)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106)는 본 고안이 지면과 닿는 부분에 위치하고,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edge 12 mounts the towing frame 15 for movement and connects the chain 16 to the lug 104 on the towing frame 15. The chain 16 is connected to the lug 104 on one side where the pedestal 106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re are a total of four lugs 104 on one side where the pedestal 106 is present. The pedestal 106 is located in a portion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전술한 바대로 와이어(18)와 쇠사슬(16)을 통해 본 고안을 크레인과 연와(12)와 연결하여 상기 연와(12)를 이동시킨다. 연와(12)가 장착되어야 할 위치가 크레인 가동범위 밖에 있을 경우, 상기 도 1에 나타나듯이 본 고안의 길이만큼 상기 연와(12)를 크레인 가동범위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crane and the kite 12 through the wire 18 and the chain 16 to move the kite 12. When the position that the edge 12 is to be mounted is outside the crane movable range, as shown in FIG. 1, the edge 12 may be moved out of the crane movable range by the lengt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상기 도1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본 고안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 고안인 지그는 몸체부, 러그, 카운터 웨이트를 포함한다.Figure 2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The devised jig includes a body portion, a lug and a counter weight.

상기 몸체부는 이동시키는 연와(12)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보(beam)이다. 몸체부는 이동목적물의 지지를 위해 강도가 높은 것이어야 한다. 도 4의 실시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고안의 몸체부는 H빔이 될 수 있다. H빔은 빔들 중에 단면이 H모양을 띈 것으로 도 1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지그의 몸체부분에 해당된다.The body portion is a beam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moving edge 12. The body shall be of high strength to support the moving object. 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ure 4 the body portion of the design can be an H beam. The H beam corresponds to the body portion of the jig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1 with an H-shaped cross section among the beams.

상기 러그(104)는 본 고안을 견인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주로 고리형태로 본 고안의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러그(104)는 빔에 용접을 통해 부착되고, 상기 H빔의 바깥면에 러그(104)가 부착됨을 나타낸다.The lug 104 is made to tow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ainly mounted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rm of a ring.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lug 104 is attached to the beam by welding, and lug 104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 beam.

상기 도 1에서 나타나는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이 러그(104)를 6쌍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안의 카운터 웨이트(108)가 설치된 일면에 러그(104)가 4쌍이 부착되고, 받침대(106)가 설치된 다른면에 러그(104)가 2쌍 부착된다. 상기 일면에서 3등분되는 위치에 러그(104)가 1쌍씩 설치되고, 추가적으로 러그(104)의 1쌍은 도 2에 나타나듯이 연속하는 2쌍의 러그(104)들 사이에 설치하되 카운터 웨이트(108)가 없는 쪽에 설치한다. 받침대(106)가 설치된 다른면에 위치하는 러그(104) 2쌍은 카운터 웨이트(108)에서 먼 쪽에 설치한다. 상기 러그(104) 2쌍은 연와(12)와의 연결을 위함이다. 상기 연와(12)가 연결되어서 하중이 실리는 곳이기 때문에 무게중심 유지를 위해 카운터 웨이트(108)와 먼 곳에 상기 러그(104) 2쌍을 설치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ix pairs of lugs 104. Specifically, four pairs of lugs 104 are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counterweight 108 of the above invention, and two pairs of lugs 104 are attach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pedestal 106. One pair of lugs 104 is installed at three equal positions on the one surface, and one pair of lugs 104 is installed between two consecutive pairs of lugs 104 as shown in FIG. Install on the side without). Two pairs of lugs 104 located on the other side on which the pedestal 106 is installed are installed far from the counterweight 108. The two pairs of lugs 104 are for connection with the kite 12. Since the edge 12 is connected to the load load, the pair of lugs 104 are installed far from the counterweight 108 to maintain the center of gravity.

받침대(106)는 고안의 러그(104)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상기 받침대(106)가 없다면 지그를 보관하기 위해 평평한 바닥에 놓았을 때, 러그(104)가 바닥과의 마찰로 인해 손상될 수 있다. 러그(104)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받침대(106)를 본 고안이 지면과 닿게되는 부분에 설치한다. 도 2에 나타나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받침대(106)는 카운터 웨이트(108)가 없는 일면에 설치된다.Pedestal 106 is installed to protect the lug 104 of the invention. Without the pedestal 106, the lugs 104 may be damaged due to friction with the floor when placed on a flat floor for storing the jig. In order to prevent the lugs 104 from being damaged, the pedestal 106 is installed at a plac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the pedestal 106 is installed on one surface without the counter weight 108.

받침대(106)는 러그(104)를 바닥면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기에, 도 4에서 도시한는 실시예와 같이 상기 받침대(106)는 높이면에서 러그(104)보다 높아서 바닥면에 러그(104)보다 먼저 닿아야한다. 지그의 안정적인 보관을 위해 지그가 지면과 닿는 면의 양 끝단과 가운데에 받침대(106) 1개씩, 총 3개의 받침대(106)를 설치한다. 도 2에 나타나는 실시예와 달리 카운터 웨이트(108)가 연와(12)와 쇠사슬(16)로 연결되는 다른면에 설치가 되어있다면, 도 2와 달리 상기 받침대(106)를 카운터 웨이트(108)의 반대쪽에 1개만 설치해도 무방하다. 카운터 웨이트(108)가 받침대(106)의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Since the pedestal 106 is for protecting the lug 104 from the bottom surface, as shown in FIG. 4, the pedestal 106 is higher than the lug 104 in height so that the pedestal 106 is placed before the lug 104 on the bottom surface. Should reach For stable storage of the jig, a total of three pedestals 106 are installed, one pedestal 106 at both ends and the center of the surface where the jig contacts the ground. Unlike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if the counter weight 108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connected with the kite 12 and the chain 16, unlike the FIG. 2, the pedestal 106 is connected to the counter weight 108. You can install only one on the other side. This is because the counter weight 108 can serve as the pedestal 106.

상기 받침대(106)의 일면은 직사각형을 나타낸다. 본 고안의 몸체부가 H빔인 경우, H빔의 내측면 일면은 평평하고 또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내측면 일면과 동일한 형태로 평평하고 직사각형의 일면을 갖는 직육면체 형태로 상기 받침대(106)를 상기 H빔에 부착시킬 수 있다.One side of the pedestal 106 represents a rectangle. When the body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H beam, one inner surface of the H beam has a flat and rectangular shape. The pedestal 106 may be attached to the H beam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 flat and rectangular one surface in the same shape as the inner surface.

카운터 웨이트(108)는 본 고안의 무게중심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고안의 끝부분에 전기로 출강구 연와(12)를 매달기 때문에, 본 고안의 연와(12)가 연결되는 상기 끝부분의 반대쪽 끝부분에 카운터 웨이트(108)를 설치하여 본 고안의 무게중심을 유지한다.The counter weight 108 is installed to maintai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because the suspension hook (12) by the electric end of the desig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counter weight 108 on the opposite end of the end connected to the kite (12) of the present invention Stay centered

상기 카운터 웨이트(108)는 여러 형태가 될 수 있으나, 도 1에 나타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카운터 웨이트(108)의 형태는 긴 직육면체 형태이다. 상기 카운터 웨이트(108)를 위에서 보면 긴 직사각형의 형태를 지닌다는 것을 도 3에 도시하는 실시예를 보면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본 고안의 몸체부가 H빔인 경우, H빔의 내측면 일면이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기 때문에 카운터 웨이트(108)의 일면 역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 직육면체 형태가 H빔 내측면과 부착된다. The counter weight 108 may be in various forms, but the counter weight 108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has a long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t can be seen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that the counter weight 108 has a long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In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body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H beam, since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 beam has a rectangular shap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one side of the counter weight 108 also has a rectangular shape is attached to the H beam inner surface.

상기 카운터 웨이트(108)는 연와(12)와 쇠사슬(16)을 통해 연결되는 일면의 반대면에 설치되어있다. 이와 달리, 상기 카운터 웨이트(108)는 연와(12)와 쇠사슬(16)을 통해 연결되는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The counter weight 108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one surface that is connected via the edge 12 and the chain 16. Alternatively, the counter weight 108 may be installed on one surface that is connected through the edge 12 and the chain 16.

도 1에서 도시하는 실시예 같이 지그의 몸체가 H빔인 경우, 상기 카운터 웨이트(108)는 H빔의 내측부 일면에 부착된다. 본 고안을 정면에서 바라보는 도 4에 나타나듯 상기 카운터 웨이트(108)는 H빔 내측부 일면에 설치되고, 내측부 반대면에는 받침대(106)가 설치된다. When the body of the jig is the H beam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counter weight 108 is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inner portion of the H beam. 4, the counterweight 108 is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inner side of the H beam, and a pedestal 106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ner side.

이상,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etc., which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2 : 전기로 출강구 연와 15 : 견인용 프레임
16 : 쇠사슬 18 : 와이어
100 : 전기로 출강구 연와 견인용 지그
102 : 몸체부 104 : 러그
106 : 받침대 108 : 카운터 웨이트
12: electric furnace exit lead 15: towing frame
16: chain 18: wire
100: electric furnace exit kite and towing jig
102: body 104: lug
106: pedestal 108: counter weight

Claims (3)

지그의 몸체를 이루는 몸체부와;
견인목적물을 견인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부에 부착되는 러그와;
견인목적물과의 무게중심을 위해 몸체부에 부착되는 카운터 웨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서로 대향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제2부분을 포함하는 H빔이고,
상기 카운터 웨이트는 상기 제2부분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러그는, 상기 제1부분의 외측에 부착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러그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을 향하도록 돌출되는 4쌍의 러그와, 상기 몸체부의 하면을 향하도록 돌출되는 2쌍의 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4쌍의 러그는, 상기 몸체부의 양측 단부 및 중간부에 각 1쌍씩 위치하고,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반대측 단부와 상기 몸체부의 중간부 사이에 1쌍이 위치하고,
상기 2쌍의 러그는,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견인목적물을 운반하는 크레인으로부터 이어진 와이어는, 상기 4쌍의 러그 중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반대측 단부에 위치하는 1쌍의 러그를 제외한 3쌍의 러그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견인목적물이 상기 크레인의 가동범위 밖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출강구 연와 견인용 지그.
A body part forming a body of the jig;
A lug attached to the body portion to pull a towing object;
A counterweight attached to the body for center of gravity with the towing object,
The body portion is an H beam including a first portion facing each other and a second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portion,
The counter weight is attach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The lugs are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portion and provided in pairs to face each other,
The lug includes four pairs of lugs protruding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wo pairs of lugs protruding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Each of the four pairs of lugs is located at each end of the body portion and at one end of the pair, and one pair is located between the opposite end of the counter weight and the middle of the body portion.
The two pairs of lugs are located on opposite sides of the counter weight,
The wire from the crane carrying the towing object is connected to three pairs of lugs except one pair of lugs positioned at opposite ends of the counterweight among the four pairs of lugs,
An electric furnace tap opening and towing jig, wherein the towing object is located outside the movable range of the cr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웨이트는 상기 제2부분과의 부착을 위해 직육면체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출강구 연와 견인용 지그.
The method of claim 1,
The counterweight is electric furnace exit kite and traction jig,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or attachment with the second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의 밑면에 러그보다 높이가 긴 직육면체 형태를 갖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출강구 연와 견인용 지그.
The method of claim 2,
An electric furnace tap and a towing ji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edestal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longer than the lug on the bottom of the second portion.
KR2020200000461U 2018-05-30 2020-02-10 Towing jig for tap hole's brick of Electric furnace KR20049368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461U KR200493683Y1 (en) 2018-05-30 2020-02-10 Towing jig for tap hole's brick of Electric furn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344U KR20190003016U (en) 2018-05-30 2018-05-30 Towing jig for tap hole's brick of Electric furnace
KR2020200000461U KR200493683Y1 (en) 2018-05-30 2020-02-10 Towing jig for tap hole's brick of Electric furna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344U Division KR20190003016U (en) 2018-05-30 2018-05-30 Towing jig for tap hole's brick of Electric furn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406U true KR20200000406U (en) 2020-02-19
KR200493683Y1 KR200493683Y1 (en) 2021-05-18

Family

ID=69638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461U KR200493683Y1 (en) 2018-05-30 2020-02-10 Towing jig for tap hole's brick of Electric furna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683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57093A (en) * 2021-11-16 2022-02-18 张家港宏昌钢板有限公司 Special platform for replacing steel hole of electric furna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6874U (en) * 1983-05-10 1984-11-26 日立造船株式会社 balance beam
KR19980017552U (en) * 1996-09-24 1998-07-06 김종진 Centering device for jig for roll replacement
JP2014122104A (en) * 2012-12-21 2014-07-03 Toda Constr Co Ltd Suspension fixture for irregular mold body and suspens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6874U (en) * 1983-05-10 1984-11-26 日立造船株式会社 balance beam
KR19980017552U (en) * 1996-09-24 1998-07-06 김종진 Centering device for jig for roll replacement
JP2014122104A (en) * 2012-12-21 2014-07-03 Toda Constr Co Ltd Suspension fixture for irregular mold body and suspension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57093A (en) * 2021-11-16 2022-02-18 张家港宏昌钢板有限公司 Special platform for replacing steel hole of electric furnace
CN114057093B (en) * 2021-11-16 2024-02-20 张家港宏昌钢板有限公司 Special platform for replacing tapping hole of electric furn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683Y1 (en)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59961B (en) The top cover of electric furnace
KR20200000406U (en) Towing jig for tap hole's brick of Electric furnace
KR101235614B1 (en) Apparatus for lifting of ladle
KR20190003016U (en) Towing jig for tap hole's brick of Electric furnace
US4328956A (en) Taphole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5715272A (en) Device for charging an electric furnace
CN211645306U (en) Converter slag trap and converter
JP2013158824A (en) Pouring ladle transmission device
CN210029830U (en) Special lifting appliance for replacing bell-less furnace top airtight box
KR101243130B1 (en) Tilting ring for preventing separation
CN210498353U (en) Tundish of anti-collapse permanent lining ladle tire
CN210098953U (en) Can dismantle hot-metal bottle of jar mouth
JP2010279997A (en) Magnesium adding device
CN210340962U (en) Slag pot for slag charge for smelting high-carbon ferrochrome
KR101256531B1 (en) Apparatus for standing ladle of ladle car
CN209636258U (en) A kind of safeguard structure of slag ladle axis platform crackle
RU2773449C1 (en) Slag pot for an electric arc furnace
CN220560401U (en) Refractory lining for prolonging service life of hot-metal ladle
CN215431511U (en) Improved hot-metal bottle
CN218822716U (en) Automatic weighing system for hot metal ladle
CN217709532U (en) Anti-splashing residual iron discharging device for blast furnace
CN211233945U (en) Industrial frequency furnace lining mould
CN217497282U (en) Slag containing box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lead alloy slag
CN215104293U (en) Converter stove lower track foundation structure
JP6672550B2 (en) Tundish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