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358U - Umbrella case - Google Patents

Umbrella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358U
KR20200000358U KR2020180003632U KR20180003632U KR20200000358U KR 20200000358 U KR20200000358 U KR 20200000358U KR 2020180003632 U KR2020180003632 U KR 2020180003632U KR 20180003632 U KR20180003632 U KR 20180003632U KR 20200000358 U KR20200000358 U KR 202000003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coupling
coupling portion
pilla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63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91847Y1 (en
Inventor
오충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란지교
오충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란지교, 오충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란지교
Priority to KR20201800036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847Y1/en
Publication of KR202000003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35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8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84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4Protective coverings for umbrellas when clos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2019/002Umbrellas stored inside the stick when closed, e.g. collapsible into th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우산 케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는 우산을 수납하여 보관하는 우산 케이스로서, 상기 우산이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일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우산의 기둥 끝단이 결합되는 우산 결합부가 형성되고, 걸림부를 중심으로 양단에 각각 상기 바디와 결합하기 위한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형성된 캡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우산 결합부가 형성된 일단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와 결합될 때 우산 수납 상태를 만들어 주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우산 결합부가 형성된 일단의 반대편인 타단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와 결합될 때 우산 사용 상태를 만들어 주며, 상기 제2 결합부는 꼭지점이 라운드된 다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An umbrella case is disclosed. Umbrell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mbrella case for storing and storing the umbrella, the storage space is received inside the folded state of the umbrella is formed inside, the body is formed with an opening at one end; An umbrella coupling part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pillar end of the umbrella, and includes a cap formed with a first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he body to both ends around the locking portion, respectively, where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is the umbrella coupling I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formed to form an umbrella receiving state when combined with the body,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ne end formed with the umbrella coupling portion when the umbrella is used when combined with the body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have a polygonal cross section with rounded vertices.

Description

우산 케이스{Umbrella case}Umbrella case {Umbrella case}

본 고안은 우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mbrella case.

비가 올 때 머리 위에 받쳐 비를 막기 위해 우산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외에서 우산을 사용할 때에는 비를 피하게 하는 요긴한 물건이지만, 건물 실내 혹은 대중교통을 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우산을 접어 휴대할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 우산의 빗물이 흘러내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When it rains, it is common to use an umbrella to cover your head and prevent it. When using an umbrella outdoors, it is a useful thing to avoid rain, but when you want to use the building indoors or public transport, it is necessary to fold and carry the umbrella,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rain water flows down the umbrella.

이에 따라 건물의 출입구에 우산 비닐커버 공급기를 구비하여 우산을 접어서 공급기의 삽입구에 꽂아 당기면 젖은 우산이 우산 비닐커버에 수납된 상태로 배출됨으로써, 빗물에 의한 실내 바닥의 젖음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있다. Accordingly, when the umbrella door is provided with an umbrella plastic cover feeder at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when the umbrella is folded and pull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feeder, the wet umbrella is discharged as stored in the umbrella plastic cover, thereby preventing the wetness of the indoor floor by rainwater. .

하지만, 비닐커버는 일회용이어서 폐비닐로 버려질 경우 환경오염과 자원낭비의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최근 서울시에서는 환경 보호를 위해 지하철 역사와 청사에서 우산 비닐커버 제공을 중단하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the vinyl cover is disposable and there is a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waste of resources if it is thrown away as waste vinyl. Accordingly, in recent years, the city of Seoul has stopped providing umbrella vinyl covers at subway stations and government buildings to protect the environment.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7823호 (2013.07.01 등록) - 우산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우산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67823 (registered Jul. 1, 2013)-Umbrella case and umbrella

본 고안은 접힌 상태의 우산을 바디의 내부에 수납함으로써 빗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하고, 우산 사용 시에는 바디가 손잡이로서 기능하게 하여 편리한 파지가 가능하게 하는 우산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umbrella case to accommodate the umbrella in the folded state to prevent rain water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nd when the umbrella is used to enable the body to function as a handle for convenient gripping.

본 고안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우산을 수납하여 보관하는 우산 케이스로서, 상기 우산이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일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우산의 기둥 끝단이 결합되는 우산 결합부가 형성되고, 걸림부를 중심으로 양단에 각각 상기 바디와 결합하기 위한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형성된 캡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우산 결합부가 형성된 일단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와 결합될 때 우산 수납 상태를 만들어 주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우산 결합부가 형성된 일단의 반대편인 타단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와 결합될 때 우산 사용 상태를 만들어 주며, 상기 제2 결합부는 꼭지점이 라운드된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케이스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mbrella case for storing and storing an umbrella, the storage space for receiving the umbrella in a folded state is formed therein, the body is formed with an opening at one end; An umbrella coupling part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pillar end of the umbrella, and includes a cap formed with a first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he body to both ends around the locking portion, respectively, where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is the umbrella coupling I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formed to form an umbrella receiving state when combined with the body,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ne end formed with the umbrella coupling portion when the umbrella is used when combined with the body It provides a,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provides an umbrella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ex has a rounded polygonal cross section.

상기 바디와 상기 제1 결합부의 결합 시 상기 수납공간을 완전 밀폐시키는 고무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무링은 상기 제1 결합부의 외면 둘레에 형성된 링 체결홈에 끼움 결합할 수 있다.A rubber ring may be further included to completely seal the receiving space when the body and the first coupling part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rubber ring may be fitted into a ring coupling groove formed around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art.

상기 제1 결합부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체결편과; 상기 제2 결합부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체결편과; 상기 개구부의 내면 둘레에 형성되는 캡 체결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우산 수납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체결편이 상기 캡 체결홈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우산 사용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체결편이 상기 캡 체결홈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At least one first fastening piece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art; At least one second fastening piece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art; And a cap fastening groove formed around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wherein the first fastening piece is fitted into the cap fastening groove in the umbrella storage state, and the second fastening piece is connected to the cap fastening groove in the umbrella use state. The fittings can be combined.

상기 우산 결합부는, 접힌 상태에 있는 상기 우산의 살대 끝단을 수납하는 살대 수납부와; 상기 살대 수납부의 중간에 형성되며, 상기 우산의 기둥이 진입하는 기둥 끼움부와; 상기 기둥 끼움부의 중간에 형성되며, 상기 기둥의 끝단에 형성된 체결부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홈을 포함하며, 상기 우산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기둥 끼움부에 삽입하여 상기 우산의 기둥을 고정시키는 우산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mbrella coupling unit, a rod housing for receiving the rod end of the umbrella in a folded state; A pillar fitting portion formed in the middle of the rib storage portion and into which the pillar of the umbrella enters; It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pillar fitting portion, and includes a screw groove for screwing the fastening portion formed on the end of the pillar, the umbrella is inserted into the pillar fitting portion in the state that the umbrella is coupled to secure the pillar of the umbrella May include more government.

상기 우산 고정부는 반원 형상의 관통홈이 형성된 반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2개의 우산 고정편을 포함하되, 상기 2개의 우산 고정편이 상기 기둥 끼움부에 각각 조립되어 상기 기둥의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의 관통홀을 가지고 상기 기둥 끼움부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가지게 될 수 있다. The umbrella fixing part includes two umbrella fixing pieces having a semi-cylindrical shape in which a semi-circular through groove is formed, and the two umbrella fixing pieces are assembled to the pillar fitting parts, respectively, and have a through hole having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illar. It may have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pillar fitting portion.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e above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접힌 상태의 우산을 바디의 내부에 수납함으로써 빗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하고, 우산 사용 시에는 바디가 손잡이로서 기능하게 하여 편리한 파지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toring the umbrella in the folded state inside the body so that rain water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when using the umbrella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body to function as a handle for convenient gripping.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평면도(a) 및 저면도(b),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에서 바디와 캡의 제1 결합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다른 우산 케이스에서 바디와 캡의 제2 결합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우산 사용 상태에서의 결합 구조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사용 모습을 나타낸 사진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mbrell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n umbrell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a) and a bottom view (b) of the umbrell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mbrell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of the body and the cap in the umbrell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of the body and the cap coupled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structure in the umbrella use state of the umbrell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hotograph showing the use of the umbrell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another component may be presen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re not limited to the corresponding embodiments, and may be implemented to be included in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description is omitted, it is obvious that a plurality of embodiments may be reimplemented into one integrated embodimen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the same or related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평면도(a) 및 저면도(b)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단면도((a)는 결합 상태의 단면도, (b)는 분해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에서 바디와 캡의 제1 결합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다른 우산 케이스에서 바디와 캡의 제2 결합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우산 사용 상태에서의 결합 구조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의 사용 모습을 나타낸 사진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mbrell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an umbrell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of an umbrell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and the bottom view (b),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mbrell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ed state, (b)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sassembled state), Figure 5 In the umbrell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ew show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of the body and the cap is coupled, Figure 6 is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of the body and the cap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structure in the umbrella use state of the umbrell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use state of the umbrell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ictures are shown.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1)는 우산 미사용 시에는 우산을 내부에 수납하여 보관함으로써 우산에 묻은 빗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우산 사용 시에는 우산 손잡이로서 기능하여 파지가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Umbrella cas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rain water on the umbrella spills outside by storing the umbrella inside when the umbrella is not in use, the gripping function as an umbrella handle when using the umbrella It is characterized by facilitating.

본 고안에서 우산(2)은 피복부, 살대부, 기둥부를 포함한다. 피복부는 비를 막기 위한 것으로, 방수 재질의 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살대부는 우산을 펼쳤을 때 피복부가 펼쳐져 내리는 비를 막을 수 있도록 피복부를 지탱한다. 물론, 살대부는 장우산과 같이 일자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도 8에 예시된 것과 같이 2단, 3단 또는 다단으로 접힐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기둥부는 살대부와 연결되며, 그 끝단에는 손잡이의 결합을 위해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피복부, 살대부, 기둥부는 통상적인 우산에 모두 구비되는 구성부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mbrella 2 includes a covering part, a rib part and a pillar part. The covering part is for preventing rain and may be implemented with a cloth of waterproof material. The killer supports the cover to prevent the rain from spreading when the umbrella is opened. Of course, the stalk portion may be implemented in a straight shape, such as Jang Usan, but may be formed to be folded in two, three or multi-stage as illustrated in FIG. The pilla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rib portion, the end of which may be provided with a threaded fastening portion on the surface for coupling of the handle. Since the coating part, the rod part, and the pillar part are all provided in a conventional umbrella, furthe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른 우산 케이스(1)는 바디(10)와 캡(20)을 기본 골격으로 포함한다. The umbrella cas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ody 10 and a cap 20 as a basic skeleton.

바디(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수납공간(11)을 갖는 길이가 긴 원통 구조로 케이스 몸체를 구성한다. 수납공간(11)에는 우산(2)(특히, 접힌 상태의 우산(2))이 수납될 수 있다. The body 10 constitutes a case body in a long cylindrical structure having an empty storage space 11. The umbrella 2 (particularly, the umbrella 2 in a folded stat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

바디(10)의 일단에는 개구부(13)가 형성되고, 바디(10)의 타단은 폐쇄된 바닥면(15) 구조를 가진다. An opening 13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10,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10 has a closed bottom surface 15 structure.

개구부(13)는 바디(10)의 타단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바디(1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는 소정 경사를 가지는 테이퍼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테이퍼부(12)를 기준으로 바디(10)의 일단 측(개구부(13))은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져 접힌 상태의 우산이 수납공간(11)으로 용이하게 진입하게 한다. 또한, 테이퍼부(12)를 기준으로 바디(10)의 타단 측(바닥면(15))은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져 수납공간(11)에 진입하여 수납된 접힌 상태의 우산이 내부에서 요동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The opening 13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other end of the body 10, and a taper portion 12 having a predetermined slope may be formed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body 10. One side of the body 10 (opening 13) relative to the tapered portion 12 has a relatively large diameter so that the umbrella in a folded state can easily enter the storage space 11. In addition, the other end side (bottom surface 15) of the body 10 with respect to the tapered portion 12 has a relatively small diameter to enter the storage space 11, the folded umbrella that is stored in the inside swings. To be firmly fixed.

바디(10)의 길이는 수납공간(11)에 수납하고자 하는 우산(2)의 길이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length of the body 10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umbrella 2 to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

캡(20)은 바디(10)의 개구부(13)에 결합하는 케이스 뚜껑으로, 캡(20)의 우산 결합부(30)에는 우산(2), 특히 기둥부가 결합된다. The cap 20 is a case lid that is coupled to the opening 13 of the body 10, the umbrella coupling portion 30 of the cap 20 is coupled to the umbrella 2, in particular pillars.

우산 결합부(30)에는 우산(2)이 접힌 상태에서 살대부의 끝단이 수납될 수 있는 살대 수납부(31)가 형성된다. 살대 수납부(31)의 중간에는 우산(2)의 기둥부가 끼움 결합할 수 있는 기둥 끼움부(32)가 형성된다. 기둥 끼움부(32)의 중간에는 우산(2)의 기둥부의 끝단에 형성된 체결부가 나사결합되는 나사홈(33)이 형성된다. 나사홈(33)의 내표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우산(2) 중 기둥(5) 끝단의 체결부 표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Umbrella coupling portion 30 is formed with a spigot storage portion 31 that can be stored in the end of the spigot in the umbrella (2) folded state. In the middle of the rod housing 31 is a pillar fitting portion 32 which can be fitted to the pillar portion of the umbrella (2)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pillar fitting portion 32 is formed a screw groove 33 for screwing the fastening portion formed at the end of the pillar portion of the umbrella (2). The thread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crew groove 33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ead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end of the pillar 5 of the umbrella 2.

또한, 캡(20)은 바디(10)와의 결합을 위해 걸림부(28)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제1 결합부(21)와 제2 결합부(22)를 포함한다. 걸림부(28)의 직경은 바디(10)의 개구부(13)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캡(20)이 바디(1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p 20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21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22 on both sides of the locking portion 28 for coupling with the body 10, respectively. The diameter of the locking portion 28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opening 13 of the body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p 2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body (10).

제1 결합부(21)는 걸림부(28)를 중심으로 캡(20)의 우산 결합부(30)가 형성된 일단의 외면에 구현된다.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 is implement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in which the umbrella coupling portion 30 of the cap 20 is formed around the locking portion 28.

캡(20)에 우산(2)이 체결된 상태에서 접힌 상태의 우산(2)을 바디(10)의 수납공간(11)에 수납시키고자 할 때 캡(20)의 제1 결합부(21)와 바디(10)의 개구부(13)가 만날 수 있게 한다(도 5 참조 - 우산 수납 상태).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 of the cap 20 when the umbrella 2 in a state in which the umbrella 2 is fastened to the cap 20 is to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1 of the body 10. And the opening 13 of the body 10 can meet (see FIG. 5-umbrella holding state).

제1 결합부(21)의 외경은 바디(10)의 개구부(13)의 내경에 대응될 수 있다.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 may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opening 13 of the body 10.

제1 결합부(21)의 외면 둘레에는 고무링(40) 체결을 위한 링 체결홈(23)이 형성될 수 있다. 링 체결홈(23) 내에는 고무링(40)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링 체결홈(23)의 깊이는 고무링(40)의 직경보다는 작아서, 고무링(40)이 링 체결홈(23)에 끼움 결합된 경우 제1 결합부(21)의 외면보다 돌출되게 된다. 제1 결합부(21)를 통해 바디(10)와 캡(20)이 결합될 때, 고무링(40)이 돌출된 부분에 의해 개구부(13)와 제1 결합부(21) 사이의 제조에 따른 유격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바디(10)의 수납공간(11)이 완전 밀폐될 수 있게 한다. 수납공간(11)의 완전 밀폐에 의해 내부에 수납된 우산(2)의 물기(예. 빗물)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Ring coupling grooves 23 for fastening the rubber ring 40 may be form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art 21. The rubber ring 40 may be fitted into the ring fastening groove 23. Here, the depth of the ring coupling groove 23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rubber ring 40, so that when the rubber ring 40 is fitted into the ring coupling groove 23 to protrude more tha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 do. When the body 10 and the cap 20 are coupled through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 the rubber ring 40 protrudes to produce the opening between the opening 13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 Even when the clearance occurs according to the storage space 11 of the body 10 to be completely sealed. By completely sealing the storage space 1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eg, rain water) of the umbrella 2 stored therein from leaking out.

제1 결합부(21)의 외면에는 제1 체결편(24)이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편(24)이 형성되는 위치는 걸림부(28)를 기준으로 링 체결홈(23)이 형성된 위치보다 멀리 위치할 수 있다. One or more first fastening pieces 24 may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art 21. The position at which the first fastening piece 24 is formed may be located farther from the position at which the ring fastening groove 23 is formed based on the locking portion 28.

제1 체결편(24)에 대응되어 바디(10)의 개구부(13) 내면 둘레에는 캡 체결홈(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1)를 통해 캡(20)이 바디(10)에 결합된 경우, 제1 체결편(23)이 캡 체결홈(14) 내에 끼움 결합되어, 보다 안정적인 체결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The cap fastening groove 14 may be formed around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13 of the body 10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iece 24. When the cap 20 is coupled to the body 10 through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 the first fastening piece 23 is fitted into the cap fastening groove 14, so that a more stable fastening can be achieved. have.

제2 결합부(22)는 걸림부(28)를 중심으로 캡(20)의 우산 결합부(30)가 형성된 일단의 반대측인 타단의 외면에 구현된다.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is impleme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end opposite to one end where the umbrella coupling portion 30 of the cap 20 is formed around the locking portion 28.

캡(20)에 우산(2)이 체결된 상태에서 우산(2)을 사용하고자 할 때 캡(20)의 제2 결합부(22)와 바디(10)의 개구부(13)가 만날 수 있게 한다(도 6 참조 - 우산 사용 상태). When the umbrella 2 is to be used while the umbrella 2 is fastened to the cap 20, the second coupling part 22 of the cap 20 and the opening 13 of the body 10 may meet each other. (See Figure 6-Umbrella Use).

제2 결합부(22)의 외경은 바디(10)의 개구부(13)의 내경에 대응될 수 있다.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may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opening 13 of the body 10.

제2 결합부(22)는 원에 내접하는 다각형(예컨대,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여기서, 다각형의 꼭지점 부분은 라운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has a polygonal (eg, triangular) shaped cross section inscribed in a circle. Here, the vertex portion of the polygon may have a rounded shape.

이처럼 원형이 아닌 단면 형상에 의해 제2 결합부(22)를 통해 캡(20)이 바디(10)에 결합될 때 제2 결합부(22)와 개구부(13) 사이에는 다각형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측면부(26)에 의한 이격 공간이 생성된다. 캡(20)이 제2 결합부(22)를 통해 바디(10)에 결합되어 바디(10)가 우산 손잡이로서 기능하다가 다시 우산 수납부로서 기능하게 하기 위해 제2 결합부(22)와의 체결을 해제할 때, 제2 결합부(22)의 측면부(26)와 바디(10)의 개구부(13) 내측면 사이에 확보된 이격 공간에 의해 용이한 분리가 가능하게 한다. As such, when the cap 20 is coupled to the body 10 throug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by a non-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edges of the polygons correspond to the edges of the polygons betwee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and the opening 13. The spacing space by the side part 26 is created. The cap 20 is coupled to the body 10 via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so that the body 10 functions as an umbrella handle and then again functions as an umbrella storage portion. When releasing,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by the separation space secured between the side portion 26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13 of the body 10.

또한, 바디(10)가 캡(20)의 제1 결합부(21)에 체결된 경우, 이에 대한 체결을 해제할 때 캡(20)에 대한 파지가 용이하게 하고, 분리를 위해 가해지는 힘을 집중시켜 그 체결 해제가 용이하게 한다. In addition, when the body 10 is fasten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 of the cap 20, when releasing the fastening to facilitate the gripping on the cap 20, the force applied for separation Concentration to facilitate its release.

제2 결합부(22)의 외면에는 캡 체결홈(14)에 대응되는 제2 체결편(25)이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편(25)이 형성되는 위치는 다각형 단면의 라운드된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편(25)이 형성되는 위치는 걸림부(28)를 중심으로 제1 체결편(24)과 대칭되는 위치일 수 있다. 즉, 제2 체결편(25)과 걸림부(28)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제1 체결편(24)과 걸림부(28) 사이의 이격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At least one second fastening piece 25 corresponding to the cap fastening groove 14 may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art 22. The position at which the second fastening piece 25 is formed may be formed at the rounded side of the polygonal cross section. In addition,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fastening piece 25 is formed may be a position symmetrical with the first fastening piece 24 about the locking portion 28. That i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fastening piece 25 and the locking portion 28 may be equal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fastening piece 24 and the locking portion 28.

제2 결합부(22)를 통해 캡(20)이 바디(10)에 결합될 때, 바디(10)의 개구부(13)에 형성된 캡 체결홈(14) 내에 제2 체결편(25)이 끼움 결합하여 제2 결합부(22)를 통한 결합이 보다 안정적이게 할 수 있다. When the cap 20 is coupled to the body 10 throug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the second fastening piece 25 is fitted into the cap fastening groove 14 formed in the opening 13 of the body 10. By coupling, the coupling throug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can be more stable.

캡(20)의 우산 결합부(30)에 우산(2)을 결합할 때, 우산 기둥(5)과 우산 결합부(30), 특히 기둥 끼움부(32) 사이의 이격 부분에 의해 우산 사용 상태에서는 우산(2)이 견고히 고정되지 못하고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When the umbrella 2 is coupled to the umbrella coupling portion 30 of the cap 20, the umbrella is in use by the spaced portion between the umbrella pole 5 and the umbrella coupling portion 30, in particular the pillar fitting portion 32. In the umbrella (2) is not firmly fixed and flow may occur.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우산 기둥(5)이 기둥 끼움부(32)를 통해 나사홈(33)이 나사결합된 이후, 그 이격 공간에 2개의 우산 고정편(51, 52)으로 이루어진 우산 고정부(50)를 추가 조립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as shown in FIG. 7, after the screw groove 33 is screwed through the pillar fitting portion 32, two umbrella fixing pieces 51 and 5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Umbrella fixing portion consisting of 50 can be additionally assembled.

우산 고정편(51, 52)은 반원 형상의 관통홈이 형성된 반원기둥 형상을 가진다. 2개의 우산 고정편(51, 52)은 서로 결합되면, 내부에는 우산 기둥(5)의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결합된 우산 고정부(50)의 외경은 기둥 끼움부(32)의 내경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The umbrella fixing pieces 51 and 52 have a semi-cylindrical shape in which semi-circular through holes are formed. When the two umbrella fixing pieces 51 and 52 are coupled to each other, a through hole having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umbrella pillar 5 is formed therei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mbined umbrella fixing portion 50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pillar fitting portion (32).

도 8을 참조하면, (a)에는 바디(10)를 캡(20)의 제1 결합부(21)에 결합한 상태(우산 수납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내부에 우산(2)에 수납되어 있으며, 외부로 물기가 유출되지 않는 상태로, 가방 등에 넣어서 보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body 10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 of the cap 20 (umbrella storage state). It is housed inside the umbrella 2 and can be stored in a bag or the like in a state where water does not spill out.

(b)에는 우산 수납 상태에서 바디(10)와 캡(20)을 분리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바디(10)를 분리시키면, 캡(20)에 결합된 우산(2)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body 10 and the cap 20 are separated from the umbrella storage state. When the body 10 is separated, the umbrella 2 coupled to the cap 2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c)에는 바디(10)를 캡(20)의 제2 결합부(22)에 결합한 상태(우산 사용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바디(10)는 우산 손잡이로서 기능하게 된다. (c) shows a state (umbrella use state) in which the body 10 is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 of the cap 20. In this case, the body 10 will function as an umbrella handle.

(d)에는 우산 사용 상태에서 우산(2)을 펼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d) shows the umbrella (2) unfolded in the state of using the umbrella.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mad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var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1: 우산 케이스 2: 우산
10: 바디 11: 수납공간
12: 테이퍼부 13: 개구부
14: 캡 체결홈 15: 바닥면
20: 캡 21: 제1 결합부
22: 제2 결합부 23: 링 체결홈
24: 제1 체결편 25: 제2 체결편
26: 모서리 측면부 28: 걸림부
30: 우산 결합부 31: 살대 수납부
32: 기둥 끼움부 33: 나사홈
40: 고무링 50: 우산 고정부
51, 52: 우산 고정편
1: umbrella case 2: umbrella
10: Body 11: Storage
12: taper portion 13: opening
14: cap fastening groove 15: bottom surface
20: cap 21: first coupling portion
22: second coupling portion 23: ring fastening groove
24: first fastening piece 25: second fastening piece
26: corner side portion 28: locking portion
30: umbrella coupling unit 31: rod storage unit
32: pillar fitting 33: screw groove
40: rubber ring 50: umbrella fixing portion
51, 52: umbrella stand

Claims (5)

우산을 수납하여 보관하는 우산 케이스로서,
상기 우산이 접힌 상태로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일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우산의 기둥 끝단이 결합되는 우산 결합부가 형성되고, 걸림부를 중심으로 양단에 각각 상기 바디와 결합하기 위한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형성된 캡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우산 결합부가 형성된 일단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와 결합될 때 우산 수납 상태를 만들어 주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우산 결합부가 형성된 일단의 반대편인 타단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와 결합될 때 우산 사용 상태를 만들어 주며,
상기 제2 결합부는 꼭지점이 라운드된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케이스.
Umbrella case for storing and storing umbrellas,
A body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the umbrella is folded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one end thereof;
An umbrella coupling part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pillar end of the umbrella, including a cap having a first coupling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with the body at both ends of the locking portion, respectively,
The first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formed with the umbrella coupling portion to create an umbrella receiving state when combined with the body,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ne end formed with the umbrella coupling portion is When combined with the body makes the use of the umbrella,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an umbrella c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ex has a polygonal cross section roun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와 상기 제1 결합부의 결합 시 상기 수납공간을 완전 밀폐시키는 고무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무링은 상기 제1 결합부의 외면 둘레에 형성된 링 체결홈에 끼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ubber ring for completely sealing the receiving space when the body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he rubber ring is an umbrella case, characterized in that to fit into the ring coupling groove form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체결편과;
상기 제2 결합부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체결편과;
상기 개구부의 내면 둘레에 형성되는 캡 체결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우산 수납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체결편이 상기 캡 체결홈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우산 사용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체결편이 상기 캡 체결홈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first fastening piece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art;
At least one second fastening piece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art;
Further comprising a cap fastening groove formed around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The umbrella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fastening piece is fitted into the cap fastening groove in the umbrella storage state, the second fastening piece is fitted into the cap fastening groove in the umbrella use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 결합부는, 접힌 상태에 있는 상기 우산의 살대 끝단을 수납하는 살대 수납부와; 상기 살대 수납부의 중간에 형성되며, 상기 우산의 기둥이 진입하는 기둥 끼움부와; 상기 기둥 끼움부의 중간에 형성되며, 상기 기둥의 끝단에 형성된 체결부와 나사 결합하는 나사홈을 포함하며,
상기 우산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기둥 끼움부에 삽입하여 상기 우산의 기둥을 고정시키는 우산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우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The umbrella coupling unit, a rod holder for accommodating the rod end of the umbrella in a folded state; A pillar fitting portion formed in the middle of the rib storage portion and into which the pillar of the umbrella enters;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pillar fitting portion, and includes a screw groove for screwing the fastening portion formed at the end of the pillar,
The umbrella case further comprises an umbrella fixing part for fixing the pillar of the umbrella by inserting the pillar fitting por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umbrella is coupl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 고정부는 반원 형상의 관통홈이 형성된 반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2개의 우산 고정편을 포함하되,
상기 2개의 우산 고정편이 상기 기둥 끼움부에 각각 조립되어 상기 기둥의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의 관통홀을 가지고 상기 기둥 끼움부의 내경에 상응하는 외경을 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mbrella fixing part includes two umbrella fixing pieces having a semi-cylindrical shape having a semi-circular through-groove,
And the two umbrella fixing pieces are assembled to the pillar fitting portions, respectively, and have through holes of the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illar, and have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pillar fitting portions.
KR2020180003632U 2018-08-06 2018-08-06 Umbrella case KR20049184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632U KR200491847Y1 (en) 2018-08-06 2018-08-06 Umbrella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632U KR200491847Y1 (en) 2018-08-06 2018-08-06 Umbrella ca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358U true KR20200000358U (en) 2020-02-14
KR200491847Y1 KR200491847Y1 (en) 2020-06-17

Family

ID=69494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632U KR200491847Y1 (en) 2018-08-06 2018-08-06 Umbrella 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847Y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756U (en) * 1994-07-05 1996-02-14 이원식 Umbrella cover
JP3044806U (en) * 1997-03-31 1998-01-16 道子 中村 Folding umbrella with umbrella cover as pattern
US6334454B1 (en) * 1999-11-09 2002-01-01 Richard C. Williams Collapsible umbrella with sheathing handle
KR20090008584U (en) * 2008-02-21 2009-08-26 이준호 Umbrella with capsule-typed water resistant case
KR20100003318U (en) * 2008-09-17 2010-03-25 윤성근 umbrella have a custody case
KR20100004232U (en) * 2008-10-15 2010-04-23 오충록 Case of umbrella and umbrella including the same
KR20110003216U (en) * 2009-09-22 2011-03-30 강병남 Handle Umbrella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806B2 (en) * 1991-03-19 2000-05-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Camera integrated magnetic recording / reproducing devic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756U (en) * 1994-07-05 1996-02-14 이원식 Umbrella cover
JP3044806U (en) * 1997-03-31 1998-01-16 道子 中村 Folding umbrella with umbrella cover as pattern
US6334454B1 (en) * 1999-11-09 2002-01-01 Richard C. Williams Collapsible umbrella with sheathing handle
KR20090008584U (en) * 2008-02-21 2009-08-26 이준호 Umbrella with capsule-typed water resistant case
KR20100003318U (en) * 2008-09-17 2010-03-25 윤성근 umbrella have a custody case
KR20100004232U (en) * 2008-10-15 2010-04-23 오충록 Case of umbrella and umbrella including the same
KR200467823Y1 (en) 2008-10-15 2013-07-05 오충록 Case of umbrella and umbrella including the same
KR20110003216U (en) * 2009-09-22 2011-03-30 강병남 Handle Umbrell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847Y1 (en)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7075B1 (en) Umbrella cover for preventing dripping rainwater from umbrella
KR101083705B1 (en) Packsack stickable an umbrella
KR20200000358U (en) Umbrella case
US20160073765A1 (en) Retractable cosmetic pencil
KR20180098740A (en) Umbrella rain gutter
US20060283905A1 (en) No-drip umbrella sheath
KR200449655Y1 (en) Portable umbrella sealed with case having auxillary haadle cap
KR200467823Y1 (en) Case of umbrella and umbrella including the same
KR101021737B1 (en) An Umbrella with Waterproof Cover Storage
KR20170054657A (en) Umbrella with umbrella case
KR20100018144A (en) Umbrella having case
KR200236561Y1 (en) Umbrella with sheath
KR200366498Y1 (en) Umbrella with cover for containing umbrella
KR101259046B1 (en) An umbrella with case
CN206744353U (en) It is easy to fixed outdoor use Mosquito killer lamp
KR20100003318U (en) umbrella have a custody case
CN205547714U (en) Umbrella
US9247793B2 (en) Compact umbrella with can-shaped handle
KR100396174B1 (en) Umbrella
KR101988568B1 (en) Portable umbrella case
KR20010000031U (en) Umbrella Cap of Rainwater Receiver
KR200141355Y1 (en) Umbrella cap
JP3134718U (en) Liquid storage container
JP3216976U (en) Tomb Flower Set Tool
KR100898421B1 (en) An umbrella with case which receive a rain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