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568B1 - Portable umbrella case - Google Patents

Portable umbrella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568B1
KR101988568B1 KR1020180153694A KR20180153694A KR101988568B1 KR 101988568 B1 KR101988568 B1 KR 101988568B1 KR 1020180153694 A KR1020180153694 A KR 1020180153694A KR 20180153694 A KR20180153694 A KR 20180153694A KR 101988568 B1 KR101988568 B1 KR 101988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inner space
ribs
rib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6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은정
서남경
Original Assignee
전은정
서남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은정, 서남경 filed Critical 전은정
Priority to KR1020180153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56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5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4Protective coverings for umbrellas when closed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umbrella case comprises: a body unit having an inner space and at least one side of which is opened; at least one rib protruding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space in a center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and provided radially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a cover unit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unit and a connecting member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unit; and a water tray unit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body unit with the connecting member to cover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unit.

Description

휴대용 우산통{PORTABLE UMBRELLA CASE}Portable umbrella case {PORTABLE UMBRELLA CASE}

본 발명은 휴대용 우산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산을 편리하게 보관하여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우산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umbrella 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umbrella case capable of conveniently storing and carrying an umbrella.

일반적으로 우산은 금속제 살이나 대오리 살에 방수천 또는 유지를 덧발라서 비가 올 때 손에 펴 들고 머리 위를 가려서 비를 막는 물건으로,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우산은 서양에서 전해져 온 깃이 대부분이다. 초기의 우산은 쇠살을 골조로 한 우산살대와, 비를 막기 위해 상기 우산살대에 발려지는 검정이나 감색 류 등 어두운 색의 우산외피와, 상기 우산외피와 우산살대의 한가운데에 장착되어 금속이나 대목제로 이루어진 우산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우산대에 결착되어 사람이 우산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한 우산손잡이를 함께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Generally, an umbrella is a metal flesh or a frosted fleece which is waterproof cloth or grease, spreads on the hand when it rains, and covers the head by covering the rain. Most umbrellas commonly used in the present are the feathers transmitted from the West. The initial umbrella is composed of a umbrella strip with a frame of tattered grass and a dark umbrella cover such as a black or navy blue color applied to the umbrella strip to prevent the rain and an umbrella cover and umbrella strip, And an umbrella handle which is attached to the umbrella stand so that a person can easily catch the umbrella.

비오는 날 우산을 사용할 시 우산외피의 외측에 빗물이 상당량 묻게된다. 우산외피의 외측에 묻은 빗물 때문에 지하철 등 공공장소에서 옆사람에게 불편을 끼치기도 하며, 실내에 들어갈 때에도 흐르는 물 때문에 바닥이 더러워지고 미끄러짐 등으로 안전사고를 일으키기도 한다.When using an umbrella on a rainy day, there is a considerable amount of rainwater on the outside of the umbrella shell. The rainwater on the outside of the umbrella envelope may cause inconvenience to people in public places such as subways, and may cause safety accidents due to dirty floors and slipping due to the flowing water even when entering the room.

그에 따라 현재 각종 건물에서는 출입구에 우산을 수용할 수 있는 일회용 비닐주머니를 비치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우산으로부터 떨어지는 빗물에 의해 실내가 더러워지는 것을 막고 쾌적한 분위기를 만들려고 하고 있다.As a result, various buildings now have disposable plastic bags that can accommodate umbrellas at the entrance, so that the rooms are prevented from being dirty by the rainwater falling from the umbrella, thereby creating a pleasant atmosphere.

그러나, 이러한 일회용 비닐주머니의 경우, 한번 사용 후 버려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자원의 낭비문제와 함께 쓰레기 처리문제 등이 발생하게 되고, 사용 후 버려지는 비닐주머니에 의해 오히려 건물 주변환경이 더 저해됨과 함께, 상기 비닐주머니에 우산을 넣기 위해 출입구에 사람들이 모이게 되면서 출입구가 혼잡해지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disposable plastic bag, since it is common to discard it once after use, there is a problem of waste of resources and a problem of garbage disposal,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building is further hindered by the plastic bag that is discarded after use, There have been various problems such as crowded entrances due to people gathering at the entrance to put the umbrella in the plastic bag.

또한, 이러한 일회용 비닐주머니는 대형 건물의 경우에는 비치가 가능하지만, 비용이나 설치조건 등으로 인하여 지하철이나 버스 등에는 설치가 어렵기 때문에, 우천시 지하철이나 버스 등의 바닥이 항상 젖어 있고 지저분하게 되어 탑승객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또한, 음식점 등에서는 출입구에 별도의 우산 보관함을 설치하여 일회용 비닐주머니를 이용하여 우산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나, 일회용 비닐주머니에 의해 음식점 등 주변이 오염됨은 물론 우산이 분실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이용객에게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uch a disposable plastic bag can be parked in the case of a large building, but due to cost and installation conditions, it is difficult to install it on a subway or a bus, so that the floor of a subway or a bus is always wet and dirty, . In addition, in a restaurant or the like, a separate umbrella storage box is installed at a doorway so that an umbrella can be stored using a disposable plastic bag. However, disposable plastic bags cause contamination of the surrounding area such as a restaurant and an umbrella may be lost. .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41938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41938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빗물에 젖은 우산이 우산 보관함 내부에 수용되어 바닥이 빗물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우산천에 젖은 빗물로 인해 건문 내부, 차량 실내 등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우산통을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portable umbrella which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with rain water by being housed in an umbrella storage compartment with a rainwater-resistant umbrella therein, and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inside of the door, I would like to provide a contain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공간이 구비되며 적어도 일측면이 개방된 몸체부와 상기 내부공간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의 중심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 내주면 둘레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는 리브와 상기 몸체부 상측과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 상측을 덮는 덮개부와 상기 몸체부 하측과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 하측을 덮는 물받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mprising: a body portion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having at least one side opened; a body portion projecting toward the center of the internal space from the internal spac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cover part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part and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body part and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part and the water receiving part covering the lower side of the body par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우산천에 묻어 있는 빗물이 외부로 유출되어 외부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rainwater on the umbrella cloth from flowing out to pollute the external environment.

또한, 리브를 포함함으로써 우산천에 묻어 있는 빗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물받이부로 유인함으로써 빗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by including the ribs, the rainwater on the umbrella cloth can be more efficiently introduced into the water receiving portion, thereby preventing the rainwater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우산이 수납된 모습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 대한 우산 수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
도 4b, 4c는 리브만을 확대한 측면도
도 5는 상기 도 2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n umbrella is house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mbrella storing process of Fig. 2,
4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B and 4C are side views showing only the ribs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우산통에 대해 상술한다.Hereinafter, a portable umbrella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인 휴대용 우산통(100)은 몸체부(110), 리브(115), 덮개부(120), 물받이부(130)를 포함함으로써 우산을 수납할 수 있다.The portable umbrella hoo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110, a rib 115, a lid 120, and a water receiving portion 130 to accommodate the umbrella.

몸체부(110)는 내부공간이 구비되며 적어도 일측면이 개방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는 상부측에 개구가 형성됨으로써 우산을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에 수납을 할 수 있다. 상기 개구는 후술할 덮개부(120)를 통해 개폐된다.The body 110 has an inner space and at least one side can be opened. As shown in FIG. 3, an opening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 so that the umbrella can be received in the internal space through the opening. The opening is opened and closed through a lid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몸체부(110)는 횡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몸체부(110)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본원에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기 몸체부(110) 횡단면이 원형인 경우만을 도시한다.The body portion 110 may have a circular or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so that the shape of the body portion 110 may vary. In the drawings attached hereto, only the case where the transverse section of the body part 110 is circular is shown.

몸체부(110)는 하부에 바닥면(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면(112)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배수공(11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수공(113)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면(112)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몸체부(110) 내부공간에 수납된 우산으로부터 떨어진 빗물들이 배수공(113)으로 몰리게 되고, 상기 배수공(113)을 통해 후술할 물받이부(130)로 빗물이 고이게 된다.The body 110 may include a bottom surface 112 at the bottom. The bottom surface 112 may include at least one drain hole 113 and may be sloped downward toward the drain hole 113. The bottom surface 112 is inclined so that the rainwater separated from the umbrella sto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10 is poured into the drain hole 113 and the water receiver 130, This becomes high.

몸체부(110)는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된 고리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고리부(114)가 몸체부(110) 상부에 안착되어 있다. 상기 고리부(114)를 통해 본 발명인 휴대용 우산통(1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데, 본 발명인 휴대용 우산통 사용자가 버스에 탑승 시, 버스 내 좌석 손받이 부분에 상기 고리부(114)가 맞물리도록 결합시켜 휴대용 우산통(100)을 고정시킬 수 있다.The body portion 110 may include an annulus 114 that is bent at least once. As shown in FIG. 4,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ing part 114 is seated on the body part 110. So that the portable umbrella hol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xed through the hook 114.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umbrella holder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bus, the portable umbrella holder 100 can be fixed by engaging the hook portion 114 with the seat hand rest of the bus.

몸체부(110)는 길이방향으로 체결되는 어깨끈(119)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어깨끈(119)의 재질 및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어깨끈(119)을 통해 사용자는 휴대용 우산통(100)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The body 110 may include a shoulder strap 119 which is fast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material and the number of the shoulder straps 119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user can easily carry the portable umbrella case 100 through the shoulder strap 119.

리브(115)는 몸체부 내부공간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의 중심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 내주면 둘레방향을 따라 상기 리브(115) 복수 개가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리브(115)가 상기 몸체부(110)와 결합되는 방식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브 돌출부(116)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않으며 상기 리브 돌출부(116) 없이 본드이음과 같은 방식 역시 사용될 수 있다.The ribs 115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art toward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and a plurality of the ribs 115 are radially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space. The ribs 115 may be coupled to the body 110 through the rib protrusions 116 as shown in FIG. 4A,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 method such as bond-without-bonding can also be used.

리브(115)는 소정깊이 인입된 홈(117)을 적어도 한 개 이상 포함한다. 상기 홈은 몸체부(110) 내부공간 중심에 인접한 리브(115) 일단에서 상기 내부공간 내주면에 인접한 리브(115) 타단으로 하향경사지게 연속하여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우산 천표면에 존재하는 빗물들이 상기 홈(117)을 따라 몸체부(110)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ribs 115 include at least one recessed groove 117 at a predetermined depth. The groove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ly from one end of the rib 115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10 to the other end of the rib 115 adjacent to the inner spac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us, the rainwater existing on the surface of the umbrella cloth can be moved downward along the groove 117 along the body portion 110.

리브(115)에 형성된 홈(117)은 리브(115)의 일측면 또는 대향하는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브(115) 일측면에서 이에 대향하는 타측면으로 홈이 인입되어 형성된 경우 이를 일측홈(117a)이라 정의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리브 타측면에서 이에 대향하는 일측면으로 홈이 인입되어 형성된 경우 이를 타측홈(117b)이라 정의할 수 있다. 전술한 홈(117)은 상기 일측홈(117a)과 타측홈(117b)을 다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grooves 117 formed in the ribs 115 may be formed on one side or both opposite sides of the ribs 115. Specifically, when grooves are formed in one side surface of the rib 115 opposite to the other side, the groove 117a can be defined as one side groove 117a. On the other hand, If it is formed, it can be defined as the other side groove 117b. The above-mentioned groove 117 includes the one side groove 117a and the other side groove 117b.

본원에 첨부된 도 4a에서는 상기 일측홈(117a)이 상기 타측홈(117b)과 대칭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한다. 그러나, 도 4c에서와 같이 상기 일측홈(117a)이 상기 타측홈(117b)과 대칭되도록 리브(115)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115) 일측면에만 일측홈(117a)이 형성될 수 있다.In FIG. 4A attached hereto, the one side groove 117a is not symmetrical with the other side groove 117b. However, as shown in FIG. 4C, the one side groove 117a may be formed on the rib 115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the other side groove 117b. In some cases, one side groove 117a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rib 115 as shown in FIG. 4B.

리브(115) 반경방향의 단면폭은 몸체부(110) 하측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 즉, 상기 리브(115)는 몸체부(110) 내부공간에 안착되는 우산의 살과 살 사이에 안착됨을 고려하여 상측이 좁고 하측이 넓은 상협하광(上狹下廣)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리브(115)는 대략 직사각형과 유사한 형상을 갖을 수도 있어, 상기 리브(115)의 형상은 반드시 상기 상협하광 구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cross-sectional width of the ribs 115 in the radial direction may become larger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110. In other words, the ribs 115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having a narrow upper side and a wider lower side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ribs 115 are seated between the flesh of the umbrella that is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10 The shape of the ribs 115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vertically-arranged lower light structure.

덮개부(120)는 몸체부(110) 상측과 연결부재(124)로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110) 상측을 덮을 수 있어 몸체부(110)에 존재하는 개구를 개폐한다. 상기 덮개부(120)는 외측에서 일정깊이 이상 절개된 절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22)을 통해 우산이 몸체부(110) 내부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덮개부(120)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122)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본원의 도면들에는 상측에서 바라봤을 때 대략 'U'형태와 유사하다.The lid part 120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part 110 and the connecting member 124 so as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body part 110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in the body part 110. The lid part 120 may include a cutout part 122 cut from the outside by a predetermined depth or more. The lid 120 can be opened or closed even when the umbrella is se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10 through the cutout 122. The shape of the cut-out portion 122 is not limited, but the drawing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imilar to the 'U'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또한, 상기 덮개부(120)를 닫은 후에도 우산 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손잡이를 통해 사용자는 본 발명인 휴대용 우산통(100)을 파지하여 이동할 수 있다.Also, after the lid 120 is closed, the umbrella handle protrudes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grip and move the portable umbrella holder 100 through the handle.

덮개부(120)는 몸체부(110)에 닫혀 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자성에 의해 닫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덮개부(120)와 상기 몸체부(110)는 자석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자석부(126)는 덮개부(120)가 닫혔을 때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자석부(126)들의 자성은 사람의 힘보다 강하지는 않기에, 평상시에는 자성으로 덮개부(120)가 닫혀져 있고 사용자가 덮개부(120)를 열고자 할 때에는 자력이상의 힘으로 손쉽게 덮개부(120)를 열 수 있다.The lid part 120 and the body part 1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of the lid part 120. However, (126). As shown in Figs. 4A and 5, each magnet portion 126 is provided so as to face when the lid portion 120 is closed. Since the magnetism of the magnet portions 126 is not stronger than the force of a human being, the lid portion 120 is normally closed by magnetic force. When the user wants to open the lid portion 120, 120 can be opened.

물받이부(130)는 배수공(113)을 통해 유입된 빗물들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일정이상의 빗물이 저장되면 비워야한다. 따라서 상기 물받이부(130)는 몸체부(110)와 결합 및 해체가 쉽게 되어야 하고, 또한 물받이부(130)의 이탈에 따른 상실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부재(134)를 통해 상기 물받이부(130)는 몸체부(110)에 항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water receiving unit 130 is a space for storing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drain hole 113, and should be emptied when a certain amount of rainwater is stored. Therefore, the water receiving unit 130 should be easily coupled to and dismounted from the body 110, and the water receiving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receiving unit 130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134, Can be maintained in the state of being always coupled to the body 110.

또한, 물받이부(130)는 몸체부(110)와 결합을 유지하기 위해 걸림구(134) 및 체결공을 구비한 체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구(134)는 상기 물받이부(130) 상측 또는 몸체부(110) 하측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체결부(132)은 상기 몸체부(110) 하측 또는 물받이부(130)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원에 첨부된 도 4a에서 걸림구(134)는 물받이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턱이며, 체결부(132)은 절곡되고 상기 걸림구(134)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을 포함한다. The water receiving portion 130 may include a fastening portion 132 having a fastening hole 134 and a fastening hole for retaining the coupling with the body portion 110. The fastening part 134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receiving part 130 or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art 110. The fastening part 132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art 110 or on the water receiving part 130 . 4A, the stop 134 i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part, and the fastening part 132 includes a fastening hole into which the fastening part 134 can be inserted.

상기 걸림구(134)는 체결부(132) 내 체결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체결공과 맞물려 고정됨으로써 상기 물받이부(130)는 몸체부(110)와 밀착되어 물받이부(130) 내 빗물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게 한다.The stopper 134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in the fastening part 132 and is engaged and fixed with the fastening hole so that the water receiving part 130 closely contacts with the body part 110 so that the rainwater in the water receiving part 130 leaks out Do not.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휴대용 우산통
110 : 몸체부
120 : 덮개부
130 : 물받이부
100: Portable umbrella tray
110:
120:
130:

Claims (5)

내부공간이 구비되며 적어도 일측면이 개방된 몸체부, 상기 내부공간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의 중심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 내주면 둘레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되는 리브, 상기 몸체부 상측과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 상측을 덮는 덮개부, 상기 몸체부 하측과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 하측을 덮는 물받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리브에는 복수 개의 홈이 상기 내부공간 중심에 인접한 상기 리브 일단에서 상기 내부공간 내주면에 인접한 상기 리브 타단으로 하향경사지게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리브 반경방향의 단면폭은 몸체부 하측으로 갈수록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우산통.
A rib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space toward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and having at least one radial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space, A lid part connected to the upper side and the connecting member to cover the upper side of the body part, and a water receiving part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part and the connecting member to cover the lower side of the body part,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in the ribs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ly from one end of the rib adjacent to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to the other end of the rib adjacent to the inner spac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cross-sectional width of the rib in the radial direction in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바닥면이 중앙에 형성된 배수공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우산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ttom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rain hole formed at the center.
제1 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에 형성된 홈은 리브의 일측면 또는 대향하는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우산통.
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grooves formed in the ribs are formed on one side or opposite side surfaces of the ribs.
삭제delete 제1 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는 우산 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우산통.
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lid portion is formed with a cut-out portion so that the umbrella handle protrudes to the outside.
KR1020180153694A 2018-12-03 2018-12-03 Portable umbrella case KR1019885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694A KR101988568B1 (en) 2018-12-03 2018-12-03 Portable umbrella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694A KR101988568B1 (en) 2018-12-03 2018-12-03 Portable umbrella ca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568B1 true KR101988568B1 (en) 2019-06-12

Family

ID=66846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694A KR101988568B1 (en) 2018-12-03 2018-12-03 Portable umbrella 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56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938Y1 (en) 1999-05-29 2001-09-25 강신묵 Umbrella case linked with umbrella
KR200445806Y1 (en) * 2009-05-29 2009-09-03 오승원 Dehydrator for a wet umbrella
JP3178206U (en) * 2012-06-22 2012-09-06 株式会社 プラス化成 Folding umbrella sealed case
KR20140096882A (en) * 2013-01-29 2014-08-06 변동휘 Custody capsule for wet umbrella
KR20160001443U (en) * 2014-10-24 2016-05-04 김석환 Case for umbrella
KR20170030183A (en) * 2015-09-09 2017-03-17 서연지 A Holder having a function to drain a water and portable for Umbrella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938Y1 (en) 1999-05-29 2001-09-25 강신묵 Umbrella case linked with umbrella
KR200445806Y1 (en) * 2009-05-29 2009-09-03 오승원 Dehydrator for a wet umbrella
JP3178206U (en) * 2012-06-22 2012-09-06 株式会社 プラス化成 Folding umbrella sealed case
KR20140096882A (en) * 2013-01-29 2014-08-06 변동휘 Custody capsule for wet umbrella
KR20160001443U (en) * 2014-10-24 2016-05-04 김석환 Case for umbrella
KR20170030183A (en) * 2015-09-09 2017-03-17 서연지 A Holder having a function to drain a water and portable for Umbrell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0516A (en) Utility seat
JP2001253463A (en) Straw with cap
CA2032649C (en) Lock and protective cover assembly
US5671487A (en) Portable mobile toilet
KR101428652B1 (en) Portable umbrella case
KR101988568B1 (en) Portable umbrella case
US4534190A (en) Padlock cover
US3957141A (en) Briefcase
KR101138305B1 (en) Safety umbrella equipped with cover and safety device
WO2018058180A1 (en) A portable toilet paper roll carrier
KR100655402B1 (en) An umbrella case for rainwater
KR200440331Y1 (en) An umbrella case for rainwater
KR200313434Y1 (en) An umbrella with case of the handle
KR101021737B1 (en) An Umbrella with Waterproof Cover Storage
KR20180129373A (en) Rain Pedestal Umbrella
JPH07187307A (en) Rubbish box
KR200304792Y1 (en) Umbrella with waterproof case
CN216627943U (en) Detachable waterproof storage device
RU2005110060A (en) COMBINED CONTAINER FOR COSMETIC PRODUCTS
KR200370078Y1 (en) Water drop protected umbrella
KR102028951B1 (en) Umbrella tap Cap Device for collecting rainwater
KR980006375U (en) Bag with umbrella storing mouth
KR20170130068A (en) An entire type umbrella case for rainwater
JPH0129348Y2 (en)
KR100898421B1 (en) An umbrella with case which receive a rain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