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146A - 비트린의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트린의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146A
KR20200000146A KR1020180072094A KR20180072094A KR20200000146A KR 20200000146 A KR20200000146 A KR 20200000146A KR 1020180072094 A KR1020180072094 A KR 1020180072094A KR 20180072094 A KR20180072094 A KR 20180072094A KR 20200000146 A KR20200000146 A KR 20200000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hibitor
disease
vitrin
peyronie
extracellular matr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준규
류지간
최민지
송강문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72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0146A/ko
Publication of KR20200000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1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Nucle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Endocrin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트린의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트린의 억제제는 음경백막의 섬유화 병변을 감소시키고, 섬유모세포 내 비트린의 발현을 억제하여 TGF-β에 의한 세포외기질의 수축 및 세포와 세포외기질 부착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세포외기질의 합성을 감소시켜 조직섬유화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우수하여,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트린의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eyronie's disease comprising Vitrin inhibitor}
본 발명은 비트린의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트린(Vitrin)은 2개의 VWFA 도메인과 1개의 LCCL 도메인으로 구성된 5개의 다른 동형단백질 형태로 존재하며, 678개의 아미노산을 가진 분비단백질이다. 생물학적으로 세포외기질의 수축(extracellular matrix contracture)과 세포-세포외 기질부착(cell substrate adhesion)에 능동적인 조절에 관여한다. 현재까지 Vitrin과 페이로니병(음경만곡증 또는 음경섬유화라고도 함)의 연관 관계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된 바 없다.
한편, 페이로니병은 음경 발기조직을 둘러싸고 있는 음경백막에 섬유화병변이 생기고, 발기 시에 통증을 유발하고 섬유화병변이 있는 쪽으로 음경이 휘는 음경만곡을 유발해서 정상적인 성행위에 장애를 주는 질환이다. 일종의 후천성 음경기형으로서 성행위시 음경백막의 반복적인 외상 또는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β)등과 같은 전구섬유화인자의 과발현이 섬유화병변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당뇨, 유전적 소인 등이 페이로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현재까지 페이로니병의 치료를 위해 개발된 전문의약품은 전혀 없으며, 비타민 E 등과 같이 항산화 작용이 있는 약물이 경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그 효과는 미미하고, 수술적 치료가 유일하게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따라서, 음경백막의 섬유화병변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페이로니병 치료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페이로니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비트린 억제제가 페이로니병 환자의 섬유화병변에서 분리 배양된 섬유모세포에서 항섬유화 작용을 가지며, 섬유모세포에서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의 수축과 부착을 억제함으로 즉, 섬유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026554호(2016.03.09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비트린의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트린의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비트린의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트린의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트린의 억제제는 음경백막의 섬유화 병변을 감소시키고, 섬유모세포 내 세포외기질의 수축(extracellular matrix contracture)과 세포-세포외 기질부착(cell substrate adhesion)을 억제하여 조직섬유화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우수하여,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페이로니병 환자의 정상 또는 섬유화병변으로부터 분리 배양된 섬유모세포 내 비트린 mRNA 발현양 차이를 RT-PCR 결과를 통해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페이로니병 환자의 섬유화병변으로부터 분리 배양된 섬유모세포에서 비트린 억제로 인한 세포외기질(플라스미노겐 활성인자 억제제-1, 피브로넥틴, 콜리겐 I 및 콜라겐 IV) 합성 억제 효과를 웨스턴블롯 결과를 통해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페이로니병 환자의 섬유화병변으로부터 분리 배양된 섬유모세포에서 비트린 억제로 인한 콜라겐 생성 감소 효과를 하이드록시프롤린 어세이 결과를 통해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페이로니병 환자의 섬유화병변으로부터 분리 배양된 섬유모세포에서 비트린 억제로 인한 세포외기질의 수축 억제 효과를 콜라겐 수축 어세이 결과를 통해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비트린(Vitrin)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트린 억제제는 섬유모세포 내 세포외기질의 수축 (extracellular matrix contracture)과 세포-세포외 기질부착(cell substrate adhesion)을 억제하여 조직섬유화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비트린의 억제제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한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비트린 억제제는 비트린의 siRNA가 바람직하다.
상기 비트린의 siRNA는 비트린을 만드는 mRNA를 간섭하여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짧은 이중사슬 RNA이며, 비트린의 세포 내 발현을 억제하여 비트린의 발현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트린의 억제제는 시험관에서 siRNA를 직접 합성한 뒤, 형질전환 과정을 거쳐 세포 안으로 도입시키는 방법 및 siRNA가 세포 안에서 발현되도록 제조된 siRNA 발현 벡터 또는 PCR-유래 siRNA 발현 카세트를 세포 안으로 형질전환시키는 방법이 있다. siRNA를 제조하고 세포 또는 동물로 도입하는 방법의 결정은 실험의 목적 및 표적 유전자 산물의 세포 생물학적 기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페이로니병은 음경 섬유모세포에서 세포외기질의 과도한 생성으로 인한 음경백막의 섬유화병변에 의하여 야기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음경백막의 섬유화는 성교시 손상, 당뇨병, 유전적 소인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것에 의하여 야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세포외기질 단백질은 플라스미노겐 활성인자 억제제-1(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1,PAI-1), 피브로넥틴(fibronectin), 콜라겐 I(collagen I) 및 콜라겐 IV(collagen IV)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트린의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과 함께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적합한 제제는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최근,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이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또한,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0001 mg/kg 내지 1000 mg/kg의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질병의 예방 및 개선, 생체방어, 면역, 병후의 회복, 노화 억제 등 생체조절기능을 가지는 식품을 말하는 것으로, 장기적으로 복용하였을 때 인체에 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비트린의 억제제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트린의 엑제제를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비트린의 억제제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 (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비트린의 억제제는 원료에 대하여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0.1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페이로니병 환자의 정상 및 섬유화병변에서 분리된 섬유모세포의 일차배양 및 섬유화 관련 신규타겟 물질 발굴
섬유모세포에서 섬유화 관련 신규타겟 물질 발굴을 위한 RNA의 발현 비교 분석을 위해, 페이로니병 환자의 정상 및 섬유화병변 조직으로부터 섬유모세포를 분리하여 일차 배양을 시행하였다. 이후 분리 배양된 섬유모세포에서 RNA를 추출하여 마이크로어레이를 수행하였다.
1-1. 섬유모세포 배양 및 RNA 추출
페이로니병 환자의 정상 및 섬유화병변에서 분리 배양된 섬유모세포는 37℃에서 10% FBS(fetal bovine serum), 100 units/ml 페니실린 및 100㎍/ml 스트렙토마이신으로 보충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el Medium) 배지에서 증식시켰다. 세포를 규칙적으로 계대 배양하여 대수적 성장을 유지하였다. 배양된 섬유모세포를 PBS로 완전하게 세척한 다음 트리졸(1 ml/1×106 cells) 시약을 첨가하여 피펫팅하여 세포를 분쇄하였다. 각각의 섬유모세포의 RNA가 용출된 시료는 -70℃에 보관 후 (주)이바이오젠에 의뢰하여 RNA 마이크로어레이를 수행하였다.
1-2. 마이크로어레이 결과 및 분석
(주)이바이오젠으로부터 RNA 추출 후, 각 시료에 대한 Q.C 진행 후 애질런트(agilent) 방식을 사용하여 마이크로어레이를 수행하였다. 분석시료에 대한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결과값을 가지고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에 관련된 유전자들을 색출하고 정상 및 병변 섬유화세포의 발현차를 비교 분석 후 신규타겟물질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 내지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1-3. 신규타겟물질의 발현 비교
섬유화병변에서 높은 발현율을 나타낸 몇 가지 타겟 물질 중 하나를 선정하여, 발현량 비교를 위해, RT-PCR를 수행하였다.
정상 및 섬유화병변으로부터 분리한 섬유모세포로부터 트리졸(Trizol, Gibbco-BRL, 미국) 방법을 사용하여 총 RNA를 분리하였다. 이때 사용한 모든 용액은 0.1 % 디에틸피로카보네이트처리수(diethyl pryrocarbonate-treated water, DEPC-dH2O)를 처리함으로써 RNA 분해효소 활성을 억제하였다. 배양된 섬유모세포를 PBS로 완전하게 세척한 다음 트리졸(1 ml/1×106 cells) 시약을 첨가하여 피펫팅하여 세포를 분쇄하였다. 상온에서 5분간 방치한 후, 상층액에 200μl의 클로로포름을 첨가하고 15초 동안 세게 흔들어 섞어준 후, 상온에서 15분간 방치한다. 이후 혼합물을 4℃에서 13,000 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새 튜브에 상층액만 분리해서 200 μl의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을 첨가하여 세게 흔들어서 섞어준 후 얼음이 든 아이스박스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 혼합액은 4℃에서 13,000 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총 RNA를 획득하였다. RNA 펠렛은 DEPC-dH2O 처리된 1 ml의 70% 에탄올로 세척한 후 건조시켰고, DEPC-dH2O로 재균질화 시킨 뒤 60℃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70℃에서 보관하였다. RNA 농도는 동일한 조건하에서 260 nm(RNA; 1 OD260=40μg of RNA/ml)와 280 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추출한 RNA를 역전사하여 비트린 유전자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AccuPower PCR premix를 사용하여 RNA를 42℃에서 90 분간 반응시킨 다음, 94℃에서 5분간 배양하여 잔류단백질을 불활성화시켰다. 비트린 유전자를 증폭하기 위하여 사용한 프라이머 쌍(10 pmole, 비트린 특이적 프라이머세트: 서열번호 1 및 2)을 각각 1μl, cDNA를 1μl, Taq 폴리머라아제(5U/μl)를 0.5μl 넣고 나머지는 증류수로 50μl가 되도록 첨가한 후, 94 ℃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94℃에서 30초, 60℃에서 30초, 72℃에서 45초간의 반응과정을 30 주기로 수행하였다. 72℃에서 10 분간 신장시킨 다음 1% 아가로오스 겔에서 확인하였다. 이때, GAPDH(10 pmole, GAPDH 특이적 프라이머세트: 서열번호 3 및 4)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유전자 서열번호 프라이머 서열 크기(bp)
Vitrin 1 F: AAC GGC TTC TAC TCG CTC C 392
Vitrin 2 R: TG CTC CAG GGC GAA GTT GA
GAPDH 3 F: CCA CTG GCG TCT TCA CCA C 503
GAPDH 4 R: CCT GCT TCA CCA CCT TCT TG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RT-PCR 결과, 페이로니병 환자의 섬유화병변에서 분리 배양된 섬유모세포에서 비트린의 발현양이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2> 페이로니병 환자의 섬유화병변에서 분리된 섬유모세포의 일차 배양 및 비트린의 siRNA가 세포외기질 단백질의 합성에 미치는 영향
섬유모세포에서 비트린의 siRNA가 비트린 유전자 발현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페이로니병 환자의 섬유화병변 조직으로부터 섬유모세포를 분리하여 일차 배양을 시행하였다. 이후 페이로니병 환자의 섬유화병변에서 분리 배양된 섬유모세포에서 비트린의 siRNA가 TGF-β1에 의한 비트린 유전자 발현 억제 및 세포외기질의 생성, 즉 섬유화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웨스턴블롯 및 하이드록시프롤린 어세이를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2-1. 섬유모세포 배양 및 비트린의 siRNA의 형질전환(transfection)
페이로니병 환자의 섬유화병변에서 분리 배양된 섬유모세포는 37℃에서 10% FBS(fetal bovine serum), 100 units/ml 페니실린 및 100㎍/ml 스트렙토마이신으로 보충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el Medium) 배지에서 증식시켰다. 세포를 규칙적으로 계대 배양하여 대수적 성장을 유지하였다. 형질전환(transfection) 24시간 전, 약 80%의 세포 충만도(confluency)에서 트립신을 처리한 후 항생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신선한 배지에서 배양을 유지시켰다. 형질전환은 부착성 세포에 대하여는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리포펙타민(Lipofectamine) 2000 시약(GIBCO, USA)으로 수행되었다. 섬유모세포가 배양되어 있는 각 웰 당, 100 pmol 농도의 비트린의 siRNA(santacruz, USA, #sc-95025)를 48시간 동안 처리하였고, 그 후 TGF-β1을 48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2-2. 섬유모세포에서 비트린의 siRNA가 TGF-β1에 의한 세포외기질 단백질 합성에 미치는 영향
2-2-1. 웨스턴블롯
섬유모세포에서 비트린의 siRNA가 TGF-β1에 의한 세포외기질 단백질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웨스턴블롯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2-1에서의 페이로니병 환자의 섬유화병변에서 분리 배양된 섬유모세포를 PBS로 완전하게 세척한 다음 단백질 분해효소 저해제 혼합물(protease inhibitor cocktail)이 포함된 세포 분해 완충액(RIPA buffer)을 넣고 용해시킨 후 4℃에서 13,000 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 회수하였다. 이 용해물을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을 이용하여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였다. 추출된 단백질들은 SDS-PAGE(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하여 전기영동한 후 겔 속에 있던 단백질들을 니트로셀로로오스 막(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이동시키고, 5% 탈지유(skim milk)로 차단(blocking) 하였다. 그리고 플라스미노겐 활성인자 억제제-1(PAI-1), 피브로넥틴(fibronectin), 콜라겐 I 및 콜라겐 IV 항체를 사용하여 4℃에서 16시간 반응시켰다. 그 후 남아 있는 항체를 제거하기 위해서 세척 완충액으로 다시 3회 세척한 다음, 이차항체(HRP-labeled anti-mouse or HRP-labeled anti-rabbit antibody)를 1:200 비율로 상온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남아있는 항체를 제거하기 위해 세척 완충액으로 다시 3회 세척한 후에 발색시켰다.
비트린의 siRNA에 의한 비트린 유전자 발현억제 유도 후 이에 따른 TGF-β1 신호전달에 의한 세포외기질 단백질의 발현 여부의 웨스턴블롯 관찰한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페이로니병 환자의 섬유화병변에서 분리 배양된 섬유모세포에서 TGF-β1을 처리한 결과, TGF-β1에 의한 세포외기질(플라스미노겐 활성인자 억제제-1, 피브로넥틴, 콜라겐 I, 콜라겐 IV) 단백질 합성이 증가하였고, 비트린의 siRNA는 TGF-β1에 의한 세포외기질 단백질 발현 증가를 성공적으로 억제하였다.
2-2-2. 콜라겐 발현량 분석(Hydroxyproline assay)
섬유모세포에서 비트린의 siRNA가 TGF-β1에 의한 세포외기질 단백질 중 하나인 콜라겐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하이드록시프롤린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2-1에서의 실험군에 72시간 TGF-β1 처리 후, PBS로 완전하게 세척한 다음, 세포를 모아 HCL(Hydrogen cloride)을 이용하여 고온 (120℃, 3시간)에 반응시켜 가수분해시켰다. 가수분해된 샘플은 클로라민-T 시약으로 산성화 반응을 일으킨 후, Ehrlich 시약과 반응시켜 콜라겐 양에 따른 발색 정도를 살펴보았다. 섬유모세포 내에서 비트린의 siRNA가 TGF-β1에 의한 콜라겐 발현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페이로니병 환자의 섬유화병변에서 분리 배양된 섬유모세포에서 TGF-β1을 처리한 결과, 비트린의 siRNA에 의해 세포내 콜라겐 발현 증가를 성공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비트린의 억제제가 세포외기질의 수축에 미치는 영향
페이로니병 환자의 섬유화병변에서 분리 배양된 섬유모세포에서 비트린의 억제제에 의한 비트린 유전자 발현억제가 TGF-β1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외기질의 수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세포 수축 어세이(cell contraction assay)를 수행하였다.
3-1. 콜라겐 겔 워킹 용액(Collagen gel working solution) 준비
세포 수축 어세이를 수행하기에 앞서, 정제된 랫트 꼬리 타입 I 텔로-콜라겐 용액(Purified rat tail Type I telo-Collagen solution ; 4 mg/mL, Advanced BioMatrix, #5153)과 차가운 중화 용액(neutralization solution ; Advanced BioMatrix, #5153)을 9:1의 비율로 섞어 준비하였다.
3-2. 섬유모세포 배양 및 세포 수축 어세이
상기 실시예 2-1에서의 실험군에 24시간 TGF-β1 처리 후, PBS로 완전하게 세척한 다음, 2-5 x 106 cells/mL로 준비 후, 차가운 콜라겐 겔 워킹 용액과 2:8 비율로 섞었다. 24 웰 플레이트에 상기 coll-collagen 혼합물을 0.5 mL 씩 주입 후, 37℃에 1시간 동안 정치하여 콜라겐 중합반응을 유도하였다. 각각의 콜라겐 겔 위에 1.0 mL 배지를 보충하여 48시간 배양 후, 주사기 바늘을 이용하여 콜라겐 겔 가장자리를 둘러 웰로부터 띄어내었다. 그 후 24시간 뒤 수축된 콜라겐 겔의 사이즈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페이로니병 환자의 섬유화병변에서 분리 배양된 섬유모세포에서 TGF-β1을 처리한 결과, 비트린의 siRNA에 의해 콜라겐 겔의 크기가 정상 그룹과 유사하게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콜라겐의 수축 및 세포와 세포외기질의 부착을 비트린의 siRNA가 성공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실시예의 결과들은 페이로니병 환자의 섬유화병변에서 분리 배양된 섬유모세포에서 비트린의 억제제를 이용한 비트린 유전자 발현억제가 세포외기질의 합성 및 수축을 억제함으로써, 즉 섬유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나타내고 있다. 이는 비트린의 억제제를 이용한 비트린 유전자 발현억제가 페이로니병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
1-1. 산제의 제조
비트린 억제제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1-2. 정제의 제조
비트린 억제제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1-3. 캡슐제의 제조
비트린 억제제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1-4. 주사제의 제조
비트린 억제제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1-5. 액제의 제조
비트린 억제제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식품 조성물의 제제
2-1. 건강식품의 제조
비트린 억제제 1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μg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μg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μg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μg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2-2. 건강음료의 제조
비트린 억제제 100 mg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즉,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
<110> INHA-INDUSTRY PARTNERSHIP INSTITUTE <120>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eyronie's disease comprising Vitrin inhibitor <130> ADP-2018-0229 <160> 4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itrin Forward <400> 1 aacggcttct actcgctcc 19 <210> 2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itrin Reverse <400> 2 tgctccaggg cgaagttga 19 <210> 3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Forward <400> 3 ccactggcgt cttcaccac 19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Reverse <400> 4 cctgcttcac caccttcttg 20

Claims (8)

  1. 비트린(Vitrin)의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린의 억제제는 비트린 siRN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린의 억제제는 음경백막의 섬유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린의 억제제는 섬유모세포에서 TGF-β1에 의한 세포외기질의 수축 및 세포와 세포외기질 부착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린의 억제제는 섬유모세포에서 TGF-β1에 의한 세포외기질의 합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기질은 플라스미노겐 활성인자 억제제-1(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1, PAI-1), 피브로넥틴(fibronectin), 콜라겐 I(collagen I) 및 콜라겐 IV(collagen IV)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비트린의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린의 억제제는 비트린 siRN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80072094A 2018-06-22 2018-06-22 비트린의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001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094A KR20200000146A (ko) 2018-06-22 2018-06-22 비트린의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094A KR20200000146A (ko) 2018-06-22 2018-06-22 비트린의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46A true KR20200000146A (ko) 2020-01-02

Family

ID=69155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094A KR20200000146A (ko) 2018-06-22 2018-06-22 비트린의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01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3495A (ko) 2021-05-10 2023-11-30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KR20230163517A (ko) 2021-05-10 2023-11-30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KR20240006535A (ko) 2021-05-10 2024-01-15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회로 유닛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3495A (ko) 2021-05-10 2023-11-30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KR20230163517A (ko) 2021-05-10 2023-11-30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KR20240006535A (ko) 2021-05-10 2024-01-15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회로 유닛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2705A (ko)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997060B1 (ko) 발효 녹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60138927A (ko) 길경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6344796B2 (ja) 高齢者用アルツハイマー型認知症改善剤
KR20200000146A (ko) 비트린의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189994B2 (ja) ジペプチジルペプチダーゼ−iv阻害用飲食品組成物
KR102124986B1 (ko) 익모초 추출물 또는 레오누린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US10034911B2 (en) Chondrocyte proliferation promoting agent
US11759489B2 (en) Food composition for promoting height growth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omoting height growth including Humulus japonicus extract or ground Humulus japonicus as active ingredient
KR20130076851A (ko) 감마-세크레타제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81709B1 (ko) Sac-1004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80162B1 (ko) 효소처리 로얄젤리 분말을 포함하는 염증성 골관절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00100827A (ko) 아디포넥틴 분비 촉진 및/또는 감소 억제제
JP2022110113A (ja) エンテロコッカス・フェカーリス、その培養液またはその死菌体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筋肉の減退、低下及び筋萎縮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の薬学組成物、食品組成物及び食品添加剤
KR102292696B1 (ko) 파골세포 분화 억제용 풀무치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20180119958A (ko)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7의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82086B1 (ko)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2의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26109B1 (ko) 고시페틴을 함유하는 골다공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184804B1 (ko) 광어의 가수분해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펩티드를 포함하는 근육 증가 촉진용 조성물
EP4245307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scle diseases, containing stem cells in which gro-? is expressed or gro-?
KR20200104746A (ko)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35077B1 (ko)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능을 가지는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hy8101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1924880B1 (ko) 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 분화 촉진용 조성물
KR102034314B1 (ko) 적색 파프리카 추출물 또는 캡산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16084A (ko) 스매드 7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페이로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