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140A - 트랜스포머 - Google Patents

트랜스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140A
KR20200000140A KR1020180072082A KR20180072082A KR20200000140A KR 20200000140 A KR20200000140 A KR 20200000140A KR 1020180072082 A KR1020180072082 A KR 1020180072082A KR 20180072082 A KR20180072082 A KR 20180072082A KR 20200000140 A KR20200000140 A KR 20200000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lates
bobbin
coil
type conductive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5507B1 (ko
Inventor
김유선
배석
윤수광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2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507B1/ko
Priority to US17/253,191 priority patent/US12046412B2/en
Priority to CN201980041770.1A priority patent/CN112400208B/zh
Priority to PCT/KR2019/007184 priority patent/WO2019245233A1/ko
Publication of KR20200000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47Sheets; 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6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권취된 도전선으로 구성된 1차 코일부과 도전성 플레이트가 적층된 2차 코일부를 포함하는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측을 따라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코어부; 및 상기 보빈에 삽입되되,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 각각은 2차측 코일의 권선에 해당하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의 양단 각각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방향은 평면 상에서 상기 코어부의 장축 방향으로부터 소정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트랜스포머{TRANSFORMER}
본 발명은 권취된 도전선으로 구성된 1차 코일부과 도전성 플레이트가 적층된 2차 코일부를 포함하는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의 전원공급장치에는 트랜스포머나 라인 필터와 같은 다양한 코일 부품이 탑재된다.
트랜스포머(Transformer, 변압기)는 다양한 목적으로 전자기기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스포머는 하나의 회로에서 다른 회로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에너지 전달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트랜스포머는 전압의 크기를 바꾸는 승압 혹은 강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1차, 2차측 권선 간에 유도성 결합(커플링)만 되므로 어떠한 DC 경로도 직접 형성되지 않는 특징을 가지는 트랜스포머는 직류 차단 및 교류 통과를 위한 목적이나 두 회로간 절연 분리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최근 들어 각종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집적화 추세에 따라 전원 공급 장치인 트랜스포머의 크기도 작아질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와 동시에, 크기가 작으면서도 고용량(High Power) 성능을 만족하기 위하여 2차 측 코일을 금속판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중이다. 그런데, 금속판으로 2차측 코일에 복수의 턴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두께방향으로 중첩된 복수의 금속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고정할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고정 방법의 하나로 솔더링 방식이 고려될 수 있으나, 솔더링이 적용되기에는 코일 면적이 크며 금속판 간의 공간으로 인해 열이 분산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2차측 코일을 구성하는 금속판들은 외부 연결을 위해 코일로 기능하는 부분에서 연장되는 연결부가 구비되나, 연결부와의 경계에서 전류 집중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복수의 금속판이 적층된 2차 코일부의 효율적인 연결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차 측 코일부의 전류 집중 현상을 완화할 수 있는 트랜스포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측을 따라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코어부; 및 상기 보빈에 삽입되되,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 각각은 2차측 코일의 권선에 해당하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의 양단 각각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방향은 평면 상에서 상기 코어부의 장축 방향으로부터 소정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코일부의 일단 중 외측과 상기 제1 연결부 사이의 제1 경계 부분; 상기 일단 중 내측과 상기 제1 연결부 사이의 제2 경계 부분; 상기 코일부의 타단 중 내측과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의 제3 경계 부분; 및 상기 타단 중 외측과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의 제4 경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경계 부분 내지 상기 제4 경계 부분 중 어느 하나의 경계 부분의 곡률은, 나머지 세 경계 부분의 곡률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연결부는 그라운드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시그널 단자와 연결되되, 상기 나머지 세 경계 부분의 곡률보다 큰 곡률을 갖는 상기 어느 하나의 경계 부분은, 상기 제4 경계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는, 복수의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와 평면 형상이 좌우 대칭인 복수의 제2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제2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는 서로 교번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 기울기는, 87도 미만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보빈; 상기 보빈의 외측을 따라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코어부; 및 상기 보빈에 삽입되되,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 각각은 2차측 코일의 권선에 해당하며, 열린 고리형 평면 형상을 갖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의 일단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코일부의 타단에서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평면 상에서 소정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 각도는, 3도 내지 90도 사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가 상기 보빈에 삽입되는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는, 복수의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와 평면 형상이 좌우 대칭인 복수의 제2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제2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는 서로 교번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에 대한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차 측 코일을 구성하는 복수의 금속판이 효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2차 측 코일부의 전류 집중 현상을 완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 결합형 트랜스포머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측면도 및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4a는 실시예에 따른 코어부의 평면도를, 도 4b는 하부 코어의 외관 사시도의 일례를 각각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는 실시예에 따른 두 가지 타입의 도전성 플레이트의 평면 형상을 각각 나타낸다.
도 6a는 실시예에 따른 2차 코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b는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c는 도 6b에 도시된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의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가지 타입의 도전성 플레이트의 평면 형상을, 도 7c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도전성 플레이트들이 결합될 때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7d 및 도 7e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가지 타입의 도전성 플레이트의 평면 형상을, 도 7f는 도 7d 및 도 7e에 도시된 도전성 플레이트들이 결합될 때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플레이트간의 체결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플레이트와 보빈 간의 체결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플레이트와 보빈 간의 체결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플레이트간의 결합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 "전(앞) 또는 후(뒤)"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 및"전(앞) 또는 후(뒤)"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 결합형 트랜스포머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 결합형 트랜스포머(100)는 보빈(110)과, 보빈(110)에 삽입되는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120),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1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120)와 함께 일체로 2차 코일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체결부(130) 및 보빈(110)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코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보빈(110)에 권선되되, 1차 코일부를 구성하는 도전선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의 도면들에서의 도시는 생략되었다. 1차 코일부(미도시)는 강성 도체 금속, 예를 들어 구리 도전선이 수회 감겨진 다중 권선(winding)일 수 있다.
2차 코일부(120, 130)는 제1 코일부(미도시)로부터 공급 받은 전원 신호를 변압시켜 출력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2차 코일부(120, 130)를 구성함에 있어 총 8매의 도전성 플레이트가 두께 방향(예를 들어, z축 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도전성 플레이트는 2차 코일부에서 1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8 매의 도전성 플레이트가 적용된 경우, 2차 코일부의 턴수는 8턴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더 많거나 더 적은 도전성 플레이트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2차 코일부의 턴수는 도전성 플레이트의 매수에 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120) 각각은 x축 방향으로 보빈(110)에 삽입될 수 있다.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120) 각각은 체결부(130)를 통한 전기적 연결을 제외하면 절연재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 중 서로 인접한 도전성 플레이트 사이에는 절연 필름이 배치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절연 필름은 케톤, 폴리이미드 등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120) 각각은 후술할 체결부(130)의 와셔(132)의 두께에 따라 서로 두께 방향으로 이격됨으로써 절연될 수도 있다. 이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120)는 도전성 금속, 예를 들어, 구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구리 대신 알루미늄이 적용될 경우, 도전성 플레이트의 두께는 구리 대비 약 60% 더 두꺼울 수 있다.
보빈(110)은 1차 코일부를 구성하는 도전선(미도시), 2차 코일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120), 그리고 코어부(140)가 서로 절연되되, 각각(120, 14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거나 고정시키기에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빈(110)은 절연성 물질, 예를 들어, 수지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성형 방식으로 생산될 수 있다. 보빈(110)의 보다 구체적인 형상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체결부(130)는 볼트(131), 와셔(132) 및 너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볼트(131)는 2차 코일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120) 전체를 수직 방향(예컨대, z축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으며, 와셔(132)는 서로 인접하되 동일한 형상을 갖는 도전성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너트(133)는 소정 매수(예컨대, 4매) 단위의 도전성 플레이트(120)가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매수의 도전성 플레이트는 하나의 너트(133)와 다른 너트(133) 사이 또는 볼트(131) 헤드와 너트(133)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자기회로의 성격을 가지는 코어부(140)는 자속의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코어부는 상측에서 결합되는 상부 코어(141)와 하측에서 결합되는 하부 코어(142)를 포함할 수 있다. 두 코어(141, 142)는 서로 상하로 대칭되는 형상일 수도 있고, 비대칭 형상일 수도 있다. 코어부(140)는 자성물질, 예를 들어, 철 또는 페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어부(14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측면도 및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보빈(110)은 제1 플레이트(111), 제2 플레이트(112), 제3 플레이트(113), 제4 플레이트(114), 제2 플레이트(112)와 제3 플레이트(113)를 연결하는 연결부(115), 측벽부(116U, 116L) 및 권선 고정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플레이트(111, 112, 113, 114)는 환형 평면 형상을 가지며, 각 플레이트(111, 112, 113, 114)와 연결부(115)는 평면 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관통홀(TH)을 중심으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15)의 내측면은 관통홀(TH)의 측벽을 정의할 수도 있다.
측벽부(116U, 116L)는 제1 플레이트(111)와 제2 플레이트(112)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측벽(116U)과, 제3 플레이트(113)와 제4 플레이트(114)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 측벽(116L)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측벽(116U, 116L)은 원호형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11)와 제2 플레이트(112) 사이에서 상부 측벽(116U)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은 제1 개구(OP1)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3 플레이트(113)와 제4 플레이트(114) 사이에서 하부 측벽(116L)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은 제2 개구(OP2)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개구(OP1)를 통해 후술할 상부 코일부(120T)가 삽입될 수 있으며, 제2 개구(OP2)를 통해 후술할 하부 코일부(120U)가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플레이트(111), 제2 플레이트(112) 및 상부 측벽(116U)에 의해 정의되는 수용공에 상부 코일부(120T)가 수용될 수 있으며, 제3 플레이트(113), 제4 플레이트(114) 및 하부 측벽(116L)에 의해 정의되는 수용공에 하부 코일부(120U)가 수용될 수 있다.
1차 코일부를 구성하는 도전선(미도시)은 제2 플레이트(112)와 제3 플레이트(113) 사이의 공간에서 연결부(115)의 외주면을 따라 권선될 수 있다. 권선 고정부(117)는 두 개의 홀(117H)을 포함하여, 각 홀(117H)에는 1차 코일부를 구성하는 도전선(미도시)의 일단 및 타단이 각각 끼워넣기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플레이트(111)의 상면과 제4 플레이트(114)의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18)가 배치되어, 코어부(140)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며 결합시 코어부(140)가 관통홀(TH)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코어부(14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a는 실시예에 따른 코어부의 평면도를, 도 4b는 하부 코어의 외관 사시도의 일례를 각각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코어부(140)는 모래시계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평면 형상을 갖는 코어부(140)를 “pq”형 코어라 칭할 수도 있다. 코어부(140)는 이러한 평면 형상으로 인해 단축과 장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서는 단축 방향은 x축 방향에 해당하고, 장축 방향은 y축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코어부(140)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코어(여기서는 하부 코어(142))는 원형 기둥 형상을 갖는 중심부(142_1)와 중심부(142_1) 주변의 서로 대면하는 양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부(142_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부 코어(142)가 보빈(110)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측면부(142_2)의 내주면과 중심부(142_1)의 외주면 사이에서 토로이달 형상으로 정의되는 수용공은 보빈(110)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중심부(142_1)는 보빈(110)의 관통홀(TH)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중심부(142_1)는 “중족”이라고 하며, 보빈(110)과 결합될 때, 상부 코어(141)의 중족(미도시)과 하부 코어(142)의 중족(142_1)은 서로 접촉할 수도 있고, 소정 간격(예를 들어, 100um) 이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a 내지 도 7c을 참조하여 2차 코일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실시예에 따른 두 가지 타입의 도전성 플레이트의 평면 형상을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 6a는 실시예에 따른 2차 코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b는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c는 도 6b에 도시된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의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아울러, 도 7a 및 도 7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가지 타입의 도전성 플레이트의 평면 형상을, 도 7c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도전성 플레이트들이 결합될 때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두 가지 서로 다른 평면 형상을 갖는 도전성 플레이트(121, 122)가 도시된다.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121)는 제2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122) 대비 좌우가 반전됨을 제외하면 동일한 구성이므로, 도 5a에 도시된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121)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플레이트(121)는 2차 코일부의 1턴을 구성하기 위하여 두 개의 단부(121D, 121E)를 갖는 열린 고리형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a를 포함한 본 명세서에서 도전성 플레이트는 원형 고리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평면 형상은 열린 원형/타원형 고리형상이나 열린 다각형 고리형상 또는 열린 트랙형 고리형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121)는 실제 2차 코일부의 1턴을 구성하되, 중공(HC)을 중심으로 열린 환형 평면 형상을 갖는 코일부(121A), 제1 단부(121D), 제2 단부(121E), 코일부(121A)의 일단과 제1 단부(121D)를 연결하되 일축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121B) 및 코일부(121A)의 타단과 제2 단부(121E)를 연결하되 일축 방향(즉, x축)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121C)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두 연결부(121B, 121C)는 평면 상에서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코일부(121A), 제1 연결부(121B) 및 제2 연결부(121C)에 의해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121)는“q”자형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122)는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121)와 좌우 대칭형상인 바, “p”자형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121)를 기준으로 제1 단부(121D)는 그라운드로 연결되므로 그라운드 단부라 칭할 수 있으며, 제2 단부(121E)는 하나의 시그널 라인으로 연결되므로 제1 시그널 단부라 칭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121)도 하나의 그라운드 단부와 하나의 시그널 단부를 가질 수 있는데, 시그널 단부는 제1 시그널 단부(121E)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며, 제2 시그널 단부라 칭할 수 있다.
따라서, 4매의 도전성 플레이트가 적용될 경우, 총 4개의 그라운드 단부, 두 개의 제1 시그널 단부 및 두 개의 제2 시그널 단부가 구비된다. 총 4개의 그라운드 단부, 두 개의 제1 시그널 단부 및 두 개의 제2 시그널 단부 각각은, 수직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 또는 수직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두 개의 제1 시그널 단부, 네 개의 그라운드 단부, 두 개의 제2 시그널 단부 각각은 체결부(130)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적어도 코일부(121A) 각각은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절연될 수 있다.
또한, 각 단부에는 체결부(130)의 볼트(131)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H1, H2)이 구비될 수 있다. 단부마다 홀의 개수와 위치는 상이할 수 있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부(121A)의 외곽에는 돌출부(PT)가 구비되어, 보빈(110)과 결합될 때 측벽부(116U, 116L)의 가장자리와 접촉하여 보빈(110)에 고정될 위치가 가이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2차 코일부는 총 8 매의 도전성 플레이트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수직방향으로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121)와 제2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122)가 교번순으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측의 네 개의 도전성 플레이트가 하나의 군을 이루어 상부 코일부(120T)를 구성할 수 있으며, 하측의 네 개의 도전성 플레이트가 다른 하나의 군을 이루어 하부 코일부(120U)를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코일부(120T)는 하부 코일부(120U)와 수직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되, 일정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격 간격은 체결부(130)의 체결 관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예컨대, 볼트(131)에 결합되는 너트(133)들 간의 간격에 의해 이격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상부 코일부(120T)와 하부 코일부(120U)가 보빈(110)에 수용될 때, 상부 코일부(120T)와 하부 코일부(120U) 사이에는 1차 코일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도전성 플레이트(121, 122)의 두 연결부(121B, 121C)는 서로 나란하되, 수평(예를 들어, Y축) 방향과 직교하는 일 방향(예컨대, X축)을 따라 연장되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두 연결부가 평면 상에서 일정 각도만큼 수평 방향과 직교하지 않고 일정 경사도(기울기)를 갖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를 도 7a 내지 도 7f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도전성 플레이트(121, 122)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먼저, 도 7a 내지 도 7c를 함께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플레이트를 설명한다. 도 7a에는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121’)가 도시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121’)는 2차 코일부의 1턴을 구성하기 위하여 두 개의 단부(121D’, 121E’)를 갖는 열린 고리형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121’)는 실제 2차 코일부의 1턴을 구성하되, 중공(HC’)을 중심으로 열린 환형 평면 형상을 갖는 코일부(121A’), 제1 단부(121D’), 제2 단부(121E’), 코일부(121A’)의 일단과 제1 단부(121D’)를 연결하되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121B’) 및 코일부(121A’)의 타단과 제2 단부(121E’)를 연결하되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121C’)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두 연결부(121B’, 121C’)는 평면 상에서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때, 도 5a 및 도 5b의 경우와 달리, 두 연결부(121B’, 121C’)는 보빈의 정면 방향(예컨대, x축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연결부(121B’, 121C’)는 수평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과 수직이 아닌 소정 각도(θ)만큼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연결부(121B’, 121C’)가 연장되는 방향이라고 함은, 연결부중 직선을 포함하는 가장자리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직선이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도 있고, 제1 연결부(121B’)와 제2 연결부(121C’)의 가장자리 중 서로 인접하여 나란한 변(예컨대, 제1 연결부의 우측변과 제2 연결부의 좌측변)이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도 있다.
아울러, 소정 각도(θ)는 수평 방향과 연장되는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할 수도 있고, 중공(HC’)의 중심과 어느 하나의 관통홀(예컨대, H2’)의 중심을 연결한 선과 수평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연결부(121B’)와 제2 연결부(121C’)가 연장되는 방향이 서로 나란하지 않을 경우, 소정 각도(θ)는 제1 연결부(121B’)와 제2 연결부(121C’) 중 어느 하나의 연결부가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정 각도(θ)는 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7도 이하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0도일 수 있다.
이러한 각도(θ) 범위를 갖는 이유는, 코일부(121A’)가 최대한의 평면적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코일부(121A’)와 각 연결부(121B’, 121C’) 사이에서 곡률이 변경되는 부분(또는 코일부와 연장부의 경계부분: R1, R2, R3, R4)의 곡률을 작게 하기 위함이다. 코일부(121A)의 평면적이 큼은 트랜스포머의 크기 대비 용량과 효율이 높음을 의미하며, 코일부(121A’)와 각 연결부(121B’, 121C’) 사이에서 곡률이 변경되는 부분(R1, R2, R3, R4)의 곡률이 작음은, 해당 부분(R1, R2, R3, R4)에 전류 집중 현상이 저감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히, 코일부(121A’)는 중공(HC’)의 곡률에 해당하는 내경 곡률을 갖고, 내경 곡률보다 작은 외경 곡률을 갖는데, 각 연결부(121B’, 121C’)와의 경계 부분(R1, R2, R3, R4)에서는 내경 곡률 또는 외경 곡률과는 다른 곡률을 갖게 된다. 여기서, 네 경계부분(R1, R2, R3, R4) 중 어느 하나는, 나머지 부분의 곡률보다 더 큰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부(121A’)의 외측 가장자리와 제2 연장부(121C’) 사이의 제4 경계 부분(R4)은 제1 경계 부분(R1), 제2 경계 부분(R2) 및 제3 경계 부분(R3)보다 더 큰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도 7b에는 제2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122’)가 도시되는데,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121’)와 좌우 대칭인 점을 제외하면 동일한 구조를 갖는 바, 중복되는 기재는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플레이트(121’, 122’)가 상기와 같은 각도(θ) 범위를 가지되, X축 방향 길이(H1)가 48.47mm일 경우, 제1 연장부(121B’)의 폭(w1)은 10mm일 수 있으며, 제2 단부(121E)의 높이(H2)는 10mm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도전성 플레이트(121’, 122’)의 크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7d 내지 도 7f를 함께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121“)와 제2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122”)가 도시된다.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121”)와 제2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122”)는 좌우 대칭인 점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바, 이하에서는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121”)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121”)는 2차 코일부의 1턴을 구성하기 위하여 두 개의 단부(121D”, 121E”)를 갖는 열린 고리형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단부(121D”)에는 제1 관통홀(H1”)이 구비되고, 제2 단부(121E”) 단부에는 제2 관통홀(H2”)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121”)는 실제 2차 코일부의 1턴을 구성하되, 중공(HC”)을 중심으로 열린 환형 평면 형상을 갖는 코일부(121A”), 제1 단부(121D”), 제2 단부(121E”), 코일부(121A”)의 일단과 제1 단부(121D”)를 연결하되 수직 방향(예컨대,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121B”) 및 코일부(121A”)의 타단과 제2 단부(121E”)를 연결하되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12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21B)”와 제2 연결부(121C”)는 평면 상에서 서로 이격되는데, 이격 거리(D1)는 연장 방향으로 가면서 변할 수 있다. 다만, 이격 거리(D1)는 각 도전성 플레이트(121”, 122”)의 두께와 같거나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및 도 5b, 도 7a 내지 도 7c의 경우와 달리, 두 연결부(121B”, 121C”) 중 하나(121C”)가 보빈의 정면 방향(예컨대, x축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연결부(121C”)가 연장되는 방향은 제1 연결부(121B”)가 연장되는 방향과 소정 각도(θ’)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121B”)가 연장되는 방향은 중공(HC”)의 중심(HCC”)에서 제1 관통홀(H1”)의 중심(H1C”)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제2 연결부(121C”)가 연장되는 방향은 중공(HC”)의 중심(HCC”)에서 제2 관통홀(H2”)의 중심(H2C”)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실시예의 다른 양상에서는 제2 연결부(121C”)가 연장되는 방향은 중공(HC”)의 중심(HCC”)에서, 제2 관통홀(H2”)의 중심(H2C”)을 향하는 방향 대신 제2 관통홀(H2”)의 중심(H2C”)에서 수직 방향으로 아래에 위치하는 제2 단부(121E”)의 가장자리(H2”-1)를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7f를 참조하여 제2 연결부(121C”)가 연장되는 방향이 제1 연결부(121B”)가 연장되는 방향과 이루는 각도(θ’)의 조건을 설명한다.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HC”)의 중심(HCC”), 제1 관통홀(H1”)의 중심(H1C”) 및 제2 관통홀(H2”)의 중심(H2C”)을 연결하면 직각 삼각형이 형성된다. 그런데, 직각 삼각형에서 직각이 아닌 두각은 예각이고, 그 두 각의 합은 항상 90도 이다. 따라서, 각도(θ’)는 우선 “0 < θ’ < 90“의 범위를 만족해야 한다.
그런데, 도전성 플레이트의 최대 크기는 코어(140)의 입구 크기, 즉, 서로 마주하는 측면부(142_2) 중 가장 가까운 거리(D2)에 의해 제한된다. 다시 말해, 코어의 입구 크기(D2)는 그와 동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세 개의 연결부 폭(D3), 두 개의 연결부간 간격(D1), 그리고 도전성 플레이트와 코어의 양 측면부 사이의 두 공차(D4)의 합 이상(즉, 3*D3 + 2*D1 + 2*D4 ≤ D2)이어야 한다.
여기서, 공차(D4)의 최소값을 0.1mm로 가정하고(즉, 0.1mm ≤ D4) D2는 PQ40.5/30.3/28A 규격의 페라이트 코어를 가정하면 최소값이 27.8mm가 된다. 또한, 도전성 플레이트 1매의 두께를 1mm라 가정하면, 각 연결부간 간격(D1)이 1mm가 된다. 이러한 가정하에서 세 연결부 폭(D3)이 동일하다면, 각 연결부의 폭(D3)은 “(27.8-2-0.2)/3 = 8.5mm”로 볼 수 있다.
다시, 삼각함수 원리에 의해 각도(θ’)는 tan θ’=S1/S2 이므로, θ’=tan-1(S1/S2)가 된다. 이때, S1을 상수로 보면, S2의 길이에 의해 각도 θ’값이 달라질 수 있다.
물론, θ’의 최대값은 90도 미만으로 고정되나 현실적인 구현에 있어서의 최소값은 다음과 같이 구해질 수 있다.
각 연결부의 폭(D3)을 1mm라고 가정한다면 “S2= D3 + D1”이므로, S2는 2mm가 된다. S1의 길이는 적어도 코일부(121A”)의 외경 반지름과 제1 연결부(121B”)의 수직 길이보다 길어야 하므로, S1의 최소값은 38.7mm로 볼 수 있다.
즉, θ’=tan-1 (2/38.7)이고, tan θ’값은 약 3˚일때 0.0524로 가장 유사하므로 최소 각도 (θ’)는 3˚라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θ’의 범위는 “3˚ < θ’ < 9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외일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직각 삼각형은 본 실시예의 다른 양상에 따라 직각 삼각형은 중공(HC”)의 중심(HCC”), 제1 관통홀(H1”)의 중심(H1C”)에서 수직 하방에 위치하는 제1 단부(121D”)의 가장자리(H1C”-1) 및 제2 관통홀(H2”)의 중심(H2C”)에서 수직 방향으로 아래에 위치하는 제2 단부(121E”)의 가장자리(H2”-1)를 연결한 직각 삼각형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플레이트간의 체결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2차 코일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 중 최상측에 위치하는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121)와 그 아래 배치되는 제2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122)만이 도시되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121)와 제2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121) 각각은 그라운드 단부측에서는 관통홀(H1)을 관통하는 볼트(131C)를 통해 와셔 없이 체결된다. 이와 달리, 시그널 단부측에서는 그 아래에 위치하는 동일 타입의 도전성 플레이트(미도시) 사이에 와셔(132A)가 배치된다. 이때, 와셔의 두께는 도전성 플레이트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2차 코일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의 각 그라운드 단부는 그라운드 단부끼리 볼트(131C)를 통해 폐루프를 형성하고, 각 시그널 단부는 해당하는 시그널 단부끼리 와셔(132A)를 통해 간격을 유지하면서 볼트(131A)를 통해 폐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플레이트와 보빈 간의 체결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플레이트와 보빈 간의 체결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부 코일부(120T)는 제1 개구(OP1)를 통해 보빈에 삽입될 수 있으며, 하부 코일부(120U)는 제2 개구(OP2)를 통해 보빈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코일부(120T, 120U)의 측면에 배치된 돌출부(PT)는 각 코일부(120T, 120U)가 보빈에 수용되어 고정될 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삽입된 후 각 코일부(120T, 120U)의 이동이나 관통홀(TH)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코일부(120T)의 돌출부(PT)는, 상부 코일부(120T)가 제1 개구(OP1)를 통해 보빈(110)에 삽입될 때, 제1 개구(OP1)를 정의하는 상부 측벽(116U)의 양 가장자리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 코일부(120T)의 돌출부(PT)가 상부 측벽(116U)의 가장자리와 접촉한 후에는 더 이상 깊이 삽입될 수 없으며,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 코일부(120T)의 회전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9b를 참조하면, 도 7d 내지 도 7f를 참조하여 설명한 도전성 플레이트가 적용된 경우가 도시된다. 상부 코일부(120T”)는 제1 개구(OP1)를 통해, 하부 코일부(120U”)는 제2 개구(OP2)를 통해 보빈(110)에 각각 삽입됨은 도 9a의 경우와 유사하다.
다만, 각 도전성 플레이트는 볼트(131), 와셔(132), 너트(133) 대신 솔더링 방식으로 고정 및 통전될 수 있다. 솔더링을 위해, 제1 홀(H1”) 및 서로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는 제2홀(H2”)은 각각에는 솔더링 핀(134)이 관통하는 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다시 솔더링 핀(134)에 전기적으로 연결, 예컨대, 솔더링 핀(134)의해 관통되는 터미널(TM)이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터미널(TM)은 트랜스포머(100)가 기판 등에 실장될 때 2차측 코일과 전기적 통로가 됨과 함께, 트랜스포머(100)를 기판 등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9b에서는 각 터미널(TM)이 두께 방향에서 상부 코일부(120T”)와 하부 코일부(120U”) 사이에 배치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각 터미널(TM)은 기판(미도시)과의 배치 관계에 따라 두께 방향에서 상부 코일부(120T”)의 상방에 배치될 수도 있고, 하부 코일부(120U”)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7d 내지 도 7f를 참조하여 설명한 도전성 플레이트가 적용되더라도, 보빈(110), 코어(140) 등 나머지 구성요소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와셔의 두께에 의해 각 도전성 플레이트간의 이격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플레이트간의 결합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와셔의 두께와 도전성 플레이트의 두께가 동일한 것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끼리는 서로 밀착되므로 서로간의 절연을 위한 절연필름 등의 별도의 절연부재가 필요했다. 그런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131A’)의 두께(T1)가 도전성 플레이트(121-1, 121-2, 122-1, 122-2)의 두께(T2)보다 두꺼운 경우, 서로 인접한 적어도 일부 도전성 플레이트(예를 들어, 122-1, 121-2)는 서로 밀착되지 않고 두께 방향으로 이격되기 때문에 해당 도전성 플레이트 사이에는 절연부재가 생략될 수도 있다.
실시 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 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그널 단부, 그라운드 단부 및 제2 시그널 단부는 동일 방향(예컨대, x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보빈(110)의 일 면(예를 들어, 정면) 상에 함께 노출된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1 시그널 단부, 그라운드 단부 및 제2 시그널 단부 중 적어도 일부는 보빈 상에서 나머지 단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보빈 상에서 나머지 단부가 노출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을 통해 노출될 수도 있다.
아울러, 각 도전성 플레이트는 볼트, 와셔 및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부를 통해 체결 및 통전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각 도전성 플레이트는 솔더링 방식으로 서로 체결 및 통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계기용변성기, 교류계산반, 직류변환기(DC-DC converter), 교류 승압기, 교류 강압기 등에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트랜스포머 110: 보빈
120, 121, 122, 121’, 122’: 도전성 플레이트
130: 체결부 140: 코어부

Claims (10)

  1. 보빈;
    상기 보빈의 외측을 따라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코어부; 및
    상기 보빈에 삽입되되,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 각각은,
    2차측 코일의 권선에 해당하는 코일부; 및
    상기 코일부의 양단 각각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방향은 평면 상에서 상기 코어부의 장축 방향으로부터 소정 기울기를 갖는, 트랜스포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코일부의 일단 중 외측과 상기 제1 연결부 사이의 제1 경계 부분;
    상기 일단 중 내측과 상기 제1 연결부 사이의 제2 경계 부분;
    상기 코일부의 타단 중 내측과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의 제3 경계 부분; 및
    상기 타단 중 외측과 상기 제2 연결부 사이의 제4 경계 부분을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계 부분 내지 상기 제4 경계 부분 중 어느 하나의 경계 부분의 곡률은, 나머지 세 경계 부분의 곡률보다 큰, 트랜스포머.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그라운드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시그널 단자와 연결되되,
    상기 나머지 세 경계 부분의 곡률보다 큰 곡률을 갖는 상기 어느 하나의 경계 부분은, 상기 제4 경계 부분인, 트랜스포머.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는,
    복수의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와 평면 형상이 좌우 대칭인 복수의 제2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제2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는 서로 교번순으로 배치되는, 트랜스포머.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울기는, 87도 미만인, 트랜스포머.
  7. 보빈;
    상기 보빈의 외측을 따라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코어부; 및
    상기 보빈에 삽입되되,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 각각은,
    2차측 코일의 권선에 해당하며, 열린 고리형 평면 형상을 갖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의 일단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코일부의 타단에서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평면 상에서 소정 각도를 이루는, 트랜스포머.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각도는, 3도 내지 90도 사이인, 트랜스포머.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가 상기 보빈에 삽입되는 방향에 해당하는, 트랜스포머.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성 플레이트는,
    복수의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와 평면 형상이 좌우 대칭인 복수의 제2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의 제2 타입 도전성 플레이트는 서로 교번순으로 배치되는, 트랜스포머.
KR1020180072082A 2018-06-22 2018-06-22 트랜스포머 KR102605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082A KR102605507B1 (ko) 2018-06-22 2018-06-22 트랜스포머
US17/253,191 US12046412B2 (en) 2018-06-22 2019-06-14 Transformer
CN201980041770.1A CN112400208B (zh) 2018-06-22 2019-06-14 变压器
PCT/KR2019/007184 WO2019245233A1 (ko) 2018-06-22 2019-06-14 트랜스포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082A KR102605507B1 (ko) 2018-06-22 2018-06-22 트랜스포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140A true KR20200000140A (ko) 2020-01-02
KR102605507B1 KR102605507B1 (ko) 2023-11-23

Family

ID=69155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082A KR102605507B1 (ko) 2018-06-22 2018-06-22 트랜스포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5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360B1 (ko) * 2020-10-22 2021-03-11 이지윤 변압기용 평판형 2차 코일소자
KR102232378B1 (ko) * 2020-01-15 2021-03-26 인텍전기전자 주식회사 조작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15598A1 (en) * 2009-11-19 2011-05-19 Delta Electronics, Inc. Bobbin structure and transformer having the same
JP2014060400A (ja) * 2012-09-14 2014-04-03 Lsis Co Ltd 変圧器
KR20140122688A (ko) * 2013-04-10 2014-10-20 펄스 일렉트로닉스, 인크. 인터리브된 평면의 유도성 장치와 그의 제조 및 사용 방법
JP2017224767A (ja) * 2016-06-16 2017-12-21 富士電機株式会社 高周波トラン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15598A1 (en) * 2009-11-19 2011-05-19 Delta Electronics, Inc. Bobbin structure and transformer having the same
JP2014060400A (ja) * 2012-09-14 2014-04-03 Lsis Co Ltd 変圧器
KR20140122688A (ko) * 2013-04-10 2014-10-20 펄스 일렉트로닉스, 인크. 인터리브된 평면의 유도성 장치와 그의 제조 및 사용 방법
JP2017224767A (ja) * 2016-06-16 2017-12-21 富士電機株式会社 高周波トランス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378B1 (ko) * 2020-01-15 2021-03-26 인텍전기전자 주식회사 조작기
WO2021145478A1 (ko) * 2020-01-15 2021-07-22 인텍전기전자 주식회사 조작기
KR102227360B1 (ko) * 2020-10-22 2021-03-11 이지윤 변압기용 평판형 2차 코일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507B1 (ko) 202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6201B2 (en) High-voltage transformer
JP2005203744A (ja) プリント回路トランス
CN101840765A (zh) 线圈部件、变压器以及开关电源装置
US20230089019A1 (en) Magnetic part using winding coil and pattern coil
US20050231317A1 (en) Inductor and transformer
KR20240129139A (ko) 자성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출력 장치
KR102605507B1 (ko) 트랜스포머
CN105931815A (zh) 平面变压器
US12046412B2 (en) Transformer
US20230076761A1 (en)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JPH08107023A (ja) インダクタンス素子
KR102683814B1 (ko) 자성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WO2018012760A1 (ko) 공통 권선 평면 트랜스포머
KR20230002189A (ko) 자성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
KR102715001B1 (ko) 트랜스포머
US20210287848A1 (en) Coupled inductor and power module
KR102209038B1 (ko) 자기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58498B1 (ko) 클립 결합식 트랜스포머
US12131858B2 (en) Transformer
US9263178B2 (en) Coil structure and electric power conversion device
KR102526062B1 (ko) 트랜스포머
KR20220122280A (ko) 코일 및 그를 포함하는 자성 소자
KR102715000B1 (ko) 트랜스포머
KR102697283B1 (ko) 자성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출력 장치
KR20200070836A (ko) 평면형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자성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