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037U -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037U
KR20200000037U KR2020180002948U KR20180002948U KR20200000037U KR 20200000037 U KR20200000037 U KR 20200000037U KR 2020180002948 U KR2020180002948 U KR 2020180002948U KR 20180002948 U KR20180002948 U KR 20180002948U KR 20200000037 U KR20200000037 U KR 202000000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ng element
fastening
hole
coup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9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140Y1 (ko
Inventor
윤병재
Original Assignee
윤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병재 filed Critical 윤병재
Priority to KR20201800029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140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0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0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1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1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13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using sonic or ultrasonic 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22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B06B1/0207 for details covered by B06B1/0207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B06B2201/70Specific application
    • B06B2201/71Cleaning in a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는, 배수구를 갖는 세척조의 결합공에 진동소자를 결합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진동소자의 상면 중심부에 형성된 체결홈에 체결되도록 저면에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저면 가장자리에 나선축이 방사상으로 배치된 진동소자 지지부; 상기 진동소자 지지부의 나선축이 통과하도록 대응되는 가장자리마다 관통공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상기 진동소자의 하단이 통과하도록 통과홀이 형성되는 압력 분산부; 및 상기 압력 분산부의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나선축의 단부에 나선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는, 세척조의 결합공 상부에 진동소자가 고정된 진동소자 지지부를 위치시키고, 결합공의 하부에 압력 분산부를 배치시킨 후 진동소자 지지부의 나선축 각각을 압력 분산부의 관통공을 통과시킨 상태에서 체결부로 각각 체결하여 세척조의 결합공에 진동소자를 빠르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 {Vibrator assembly device of ultrasonic washer}
본 고안은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기의 세척조에 결합 설치되는 초음파 진동소자의 결합구조를 개선한 진동소자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음파 세척기는 초음파를 발생하는 진동소자에서 방출하는 강력한 에너지에 의해 충격파를 일으키어 식기나 과일 등을 세척하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초음파 세척기는 다양한 크기, 모양의 세척조 바닥에 다수의 진동소자를 결합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져 전원 인가시 진동소자에서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세척조에는 결합공을 가공하고, 이에 진동소자를 결합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진동소자의 결합 구조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09635호 및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26200호에 제안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진동소자에 결합되는 기밀링이 세척조의 결합공 상부, 내측, 하부를 감싸며 결합되고, 그 하부에서 가압링 및 체결링을 진동소자에 체결 가압하는 것에 의해 세척조의 상, 하부에서 결합공을 감싸는 기밀링을 가압하면서 세척조에 밀착되는 가압 밀착력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는 초음파 식기세척기의 진동소자 결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는 세척조 등에 설치되는 진동판에 진동소자의 결합 위치로 조립공을 갖는 단차요부를 기 형성하여 상기 단차요부로 진동소자를 각각 삽입 위치하여 결합 설치하게 되는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2는 진동소자에 외주면 상단에 나선을 형성하고 나선에 체결되는 너트인 체결링에 의해 진동소자를 세척조에 고정하였는데, 진동소자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과 이에 체결되는 체결링의 나선 직경이 커서 체결링의 나선이 진동소자의 나선에 정확히 체결되어야 체결이 수행되므로 작업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09635호(2006.02.17)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26200호(2006.09.04)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세척조의 결합공 상부에 진동소자가 고정된 진동소자 지지부를 위치시키고, 결합공의 하부에 압력 분산부를 배치시킨 후 진동소자 지지부의 나선축 각각을 압력 분산부의 관통공을 통과시킨 상태에서 체결부로 각각 체결하여 세척조의 결합공에 진동소자를 빠르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한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는, 배수구를 갖는 세척조의 결합공에 진동소자를 결합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진동소자의 상면 중심부에 형성된 체결홈에 체결되도록 저면에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저면 가장자리에 나선축이 방사상으로 배치된 진동소자 지지부; 상기 진동소자 지지부의 나선축이 통과하도록 대응되는 가장자리마다 관통공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상기 진동소자의 하단이 통과하도록 통과홀이 형성되는 압력 분산부; 및 상기 압력 분산부의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나선축의 단부에 나선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소자 지지부는 상기 결합공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소자 지지부의 저면 가장자리가 상기 결합공에 설치된 밀봉부재의 상면 가장자리에 밀착되고, 상기 압력 분산부의 상면 가장자리가 상기 밀봉부재의 저면 가장자리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홈 및 상기 체결돌기는 나선 체결되거나, 상기 체결돌기의 대향면에 횡방향으로 출몰하는 구 형상의 출몰부재가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체결홈의 대향된 내벽면에 상기 출몰부재가 위치되도록 반구 형상의 결속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에 결합되면 상기 출몰부재가 상기 결속홈에 결속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는, 세척조의 결합공 상부에 진동소자가 고정된 진동소자 지지부를 위치시키고, 결합공의 하부에 압력 분산부를 배치시킨 후 진동소자 지지부의 나선축 각각을 압력 분산부의 관통공을 통과시킨 상태에서 체결부로 각각 체결하여 세척조의 결합공에 진동소자를 빠르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를 통해 진동소자를 세척조의 결합공에 결합하기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에서 진동소자 지지부와 진동소자 간에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에서 체결부가 설치된 압력 분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를 통해 진동소자를 세척조의 결합공에 결합하기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에서 진동소자 지지부와 진동소자 간에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에서 체결부가 설치된 압력 분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100)는 진동소자 지지부(110), 압력 분산부(120) 및 체결부(130)를 포함하며, 배수구를 갖는 세척조(1)의 결합공(2)에 진동소자(10)를 결합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때, 세척조(1)의 결합공(2) 테두리에 실링을 위한 패킹인 밀봉부재(P)가 대향된 "ㄷ" 자인 단면을 갖도록 고정된다.
진동소자 지지부(11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진동소자(10)의 상면 중심부에 형성된 체결홈(14)에 체결되도록 저면 중심부에 체결돌기(112)가 형성되며, 저면 가장자리에 나선축(114)이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이때, 진동소자(10)는 상면 중심부에 진동소자 지지부(110)의 체결돌기(112)가 나선 체결되도록 나선홈이 형성된 체결홈(14)이 형성되고, 전원 인가시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소자로 외주면 양단에 전원 인가를 위한 단자(12)가 설치된다.
더욱이, 진동소자 지지부(110)는 상면 가장자리가 라운딩 처리되어 날카로운 모서리에 야채나 과일 및 식기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며, 저면 가장자리가 밀봉부재(P)의 상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진동소자 지지부(110)는 세척조(1)의 결합공(2)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가장자리에 의해 결합공(2)을 밀폐시킬 수 있다.
체결돌기(112)는 나선홈 형상으로 형성된 진동소자(10)의 체결홈(14)과 나선 체결되어 진동소자(10)가 진동소자 지지부(110)에 지지되도록 구비된 나선돌기이다.
나선축(114)은 진동소자 지지부(110)의 저면 가장자리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압력 분산부(120)의 관통공(124)을 통과한 단부를 각각의 체결부(130)로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직립 형태로 구비된다.
여기서, 나선축(114)은 4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개수의 증감이 가능하다.
압력 분산부(120)는 통과한 진동소자 지지부(110)의 나선축(114) 단부에 체결부(130)로 체결할 때 압력이 분산되도록 하는 환형인 와셔 형태로 형성되며, 중심부에 진동소자(10)의 하단이 통과하도록 통과홀(122)이 형성되고, 진동소자 지지부(110)의 나선축(114)이 통과하도록 대응되는 가장자리마다 관통공(124)이 형성된다.
이때, 압력 분산부(120)는 상면 가장자리가 밀봉부재(P)의 저면에 밀착된다.
한편, 관통공(124)은 나선축(114)과 대응되도록 4개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나선축(114)과 대응되는 개수로 증감이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압력 분산부(120)는 부분 절개된 상태로 절개된 단부가 상하로 서로 이격 형성되도록 하여 체결부(130)에 의해 진동소자 지지부(110)와 압력 분산부(120)를 체결하였을 때 이격된 단부가 변형된 최초 위치로 이동하려는 힘을 통해 스프링 역할을 하게 한다.
체결부(130)는 압력 분산부(120)의 관통공(124)을 통과한 진동소자 지지부(110)의 나선축(114) 단부를 나선 체결하여 진동소자 지지부(110)와 압력 분산부(12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너트 형태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100)를 통해 진동소자(10)를 세척조(1)의 결합공(2)에 결합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진동소자 지지부(110)의 체결돌기(112)를 진동소자(10)의 체결홈(14)에 체결시킨다.
다음으로, 진동소자(10)가 설치된 진동소자 지지부(110)의 저면 가장자리를 세척조(1)의 결합공(2)에 설치된 밀봉부재(P) 상면에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진동소자 지지부(11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진동소자 지지부(110)의 저면에 방사상으로 구비된 나선축(114)에 압력 분산부(120)의 관통공(124)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압력 분산부(120)의 상면 가장자리가 밀봉부재(P) 저면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압력 분산부(120)의 관통공(124)을 통과한 나선축(114)의 단부마다 체결부(130)를 순차 체결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는 진동소자 지지부(210), 압력 분산부(도면에 미도시) 및 체결부(도면에 미도시)를 포함하며, 진동소자 지지부(210)의 체결돌기(212)와 진동소자(10)의 체결홈(13)의 체결 구조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조는 동일하다. 이때, 체결돌기(212)와 체결홈(13)은 단면 형상이 원형인 제1 실시예와 달리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돌기(212)는 대향면에 횡방향의 홀(212a)이 관통 형성되고, 홀(212a)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출몰하는 한 쌍의 구 형상을 갖는 출몰부재(213)가 그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S)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홀(212a)은 일측이 출몰부재(213)가 분리되지 않도록 출몰부재(21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홀이 관통 형성되고, 개구된 타측에 이탈방지부재(212b)가 나선 체결된다. 한편, 이탈방지부재(212b)에도 출몰부재(213)가 분리되지 않도록 출몰부재(21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체결홈(13)의 대향된 내벽면에 출몰부재(213)가 위치되도록 반구 형상의 결속홈(13a)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돌기(212)가 체결홈(13)에 결합되기 시작하면 출몰부재(213)가 체결홈(13)의 너비에 맞게 후진하게 되며, 출몰부재(213)가 결속홈(13a)에 도달하게 되면 탄성부재(S)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결속홈(13a)에 결속된다. 이를 통해 진동소자 지지부(210)에 진동소자(10)를 삽입하는 형태로 빠르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는 진동소자 지지부(도면에 미도시), 압력 분산부(320) 및 체결부(330)를 포함하며, 진동소자 지지부는 앞선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는 압력 분산부(320) 및 체결부(330)가 일체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압력 분산부(320)의 관통공(324)에 체결부(3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연결부재(326)가 부가된다.
즉, 연결부재(326)는 도 5 기준 상단 외주면에 나선돌기가 형성되어 압력 분산부(320)의 관통공(324) 하단에 형성된 나선홈에 각각 나선 체결되고, 하단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턱(326a)이 각각 형성되며, 중심에 종방향의 홀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체결부(330)는 연결부재(326)의 결합턱(326a)에 결합되도록 상단 내주면에 결합홈(334)이 형성되고, 하단 내주면에 진동소자 지지부의 나선축과 나선 체결되도록 나선홈(332)이 각각 형성되며, 중심에 종방향의 홀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부호 322는 통과홀이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의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는 압력 분산부(320) 및 체결부(330)가 일체로 구비되어 진동소자가 결합된 진동소자 지지부를 체결부(330)를 통해 압력 분산부(320)에 고정시킬 때 체결부(330)를 회전시켜 진동소자 지지부의 나선축에 나선 체결되게 함으로써 압력 분산부(320)를 잡지 않아도 작업이 가능하며, 체결부의 분실 역시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세척조 2: 결합공
100: 진동소자 결합장치 110, 210: 진동소자 지지부
112, 212: 체결돌기 114: 나선축
120, 320: 압력 분산부 122, 322: 통과홀
124, 324: 관통공 130, 330: 체결부
P: 밀봉부재

Claims (4)

  1. 배수구를 갖는 세척조의 결합공에 진동소자를 결합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진동소자의 상면 중심부에 형성된 체결홈에 체결되도록 저면에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저면 가장자리에 나선축이 방사상으로 배치된 진동소자 지지부;
    상기 진동소자 지지부의 나선축이 통과하도록 대응되는 가장자리마다 관통공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상기 진동소자의 하단이 통과하도록 통과홀이 형성되는 압력 분산부; 및
    상기 압력 분산부의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나선축의 단부에 나선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소자 지지부는 상기 결합공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소자 지지부의 저면 가장자리가 상기 결합공에 설치된 밀봉부재의 상면 가장자리에 밀착되고, 상기 압력 분산부의 상면 가장자리가 상기 밀봉부재의 저면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 및 상기 체결돌기는 나선 체결되거나, 상기 체결돌기의 대향면에 횡방향으로 출몰하는 구 형상의 출몰부재가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체결홈의 대향된 내벽면에 상기 출몰부재가 위치되도록 반구 형상의 결속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홈에 결합되면 상기 출몰부재가 상기 결속홈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
KR2020180002948U 2018-06-27 2018-06-27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 KR2004911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948U KR200491140Y1 (ko) 2018-06-27 2018-06-27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948U KR200491140Y1 (ko) 2018-06-27 2018-06-27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037U true KR20200000037U (ko) 2020-01-06
KR200491140Y1 KR200491140Y1 (ko) 2020-02-25

Family

ID=69155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948U KR200491140Y1 (ko) 2018-06-27 2018-06-27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1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5421A (ko) * 2021-11-04 2023-05-12 김태훈 에너지절약형 식기세척기 및 그 작동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200B1 (ko) 2002-10-30 2004-04-06 (주)인비트로플랜트 장미의 기내 개화방법
JP2014210243A (ja) * 2013-04-19 2014-11-1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洗浄装置
KR101849063B1 (ko) * 2018-01-24 2018-04-16 성진하이쿨(주) 세척기용 초음파 진동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200B1 (ko) 2002-10-30 2004-04-06 (주)인비트로플랜트 장미의 기내 개화방법
JP2014210243A (ja) * 2013-04-19 2014-11-1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洗浄装置
KR101849063B1 (ko) * 2018-01-24 2018-04-16 성진하이쿨(주) 세척기용 초음파 진동발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5421A (ko) * 2021-11-04 2023-05-12 김태훈 에너지절약형 식기세척기 및 그 작동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140Y1 (ko) 202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42623B (zh) 自动水平控制装置
KR101326079B1 (ko) 파이프 연결장치
JP2010500509A (ja) ボルト、ワッシャおよびスリーブからなる組合せ並びにこの種の組合せを形成する方法
KR200491140Y1 (ko)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소자 결합장치
JP2009507666A5 (ko)
CN208645144U (zh) 保压夹具和保压夹具组件
JP5775718B2 (ja) 下段部材の固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流体制御装置
KR20140040315A (ko)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MXPA03010905A (es) Aparato tensor y parche de tambor.
JP5653284B2 (ja) 防振プロテクター
CN108200488B (zh) 用于音响器材的防振装置及具有防振装置的音响器材架
KR100742646B1 (ko) 가전제품의 높이 조절 및 내 진동 지지장치
JPWO2007080897A1 (ja) 伸縮装置
JPH0893221A (ja) 界床スラブ配管孔のモルタル充填用受け治具
CN205379554U (zh) 一种超声治疗头和超声治疗设备
KR101473770B1 (ko) 가구용 체결구
CN206581345U (zh) 一种水龙头安装结构
CN206280435U (zh) 一种减震橡胶件
KR101978465B1 (ko) 초음파 집중에 의해 세척 효과가 향상된 초음파 식기세척기
CN108517932B (zh) 一种排水阀外接功能部件的快装结构
KR101526980B1 (ko) 피팅부재 고정용 클램프
KR102007032B1 (ko) 세탁기용 급수호스 연결장치
KR20210026438A (ko) 능동 기울기 가변형 서핑운동용 훈련장치
KR100767068B1 (ko) 세탁기용 급수호스 결합장치
KR100740236B1 (ko) 초음파 식기세척기의 진동소자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