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033U -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033U
KR20200000033U KR2020180002929U KR20180002929U KR20200000033U KR 20200000033 U KR20200000033 U KR 20200000033U KR 2020180002929 U KR2020180002929 U KR 2020180002929U KR 20180002929 U KR20180002929 U KR 20180002929U KR 20200000033 U KR20200000033 U KR 202000000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frame
mirror plate
rotation guide
groove
cosmetic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9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0927Y1 (ko
Inventor
신호준
이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1800029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927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0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0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9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45D33/008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comprising a mirr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납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는, 상방이 개방된 형태의 측면 프레임; 및 상기 용기본체와 대면하는 거울이 부착되며, 회전하여 상기 측면 프레임과 탈착되는 거울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Cosmetic vessel}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 용기로부터 거울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는 메이크업에 사용되는 파우더나 크림 등 각종 화장품들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화장품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진다. 이러한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포장 사용하는 용도에서부터 리필 용도까지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시대의 흐름이나 요구에 따라 최근에는 고체나, 반고체, 겔상, 액상 형태의 화장품을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고, 수분이나 오일이 혼합된 화장품을 함침부재에 함침시킨 형태를 화장품 용기에 수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화장품 용기 중, 콤팩트는 화장품이 수납되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일측에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용기본체는 화장품을 수납하며, 뚜껑의 내측면에 거울이 부착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거울을 이용하여 자신의 얼굴을 가꾸거나 또는 얼굴에 묻은 이물질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장품 용기를 이용하여 거울을 보는 경우, 뚜껑을 개방한 상태로 용기본체를 잡고 이용해야 하므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화장품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화장품 용기 전체가 버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장품 용기로부터 거울이 탈착 가능한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납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는, 상방이 개방된 형태의 측면 프레임; 및 상기 용기본체와 대면하는 거울이 부착되며, 회전하여 상기 측면 프레임과 탈착되는 거울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단 둘레의 일부에 회전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거울 플레이트는 상기 측면 프레임과 접하는 내측 둘레를 따라 상기 측면 프레임의 회전 가이드가 삽입되는 탈착홈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울 플레이트의 탈착홈은 평면 상에서 상기 회전 가이드가 비형성된 영역에 대응하여 마련되며, 상기 회전 가이드와 상기 탈착홈이 교대로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거울 플레이트가 회전하면, 단면 상에서 상기 거울 플레이트의 탈착홈 내로 상기 측면 프레임의 회전 가이드가 삽입되어 상기 측면 프레임과 상기 거울 플레이트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울 플레이트의 탈착홈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의 회동을 저지하는 걸림턱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회전 가이드로부터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의 수용홈이 구비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면 상기 측면 프레임과 상기 거울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착홈의 내주면에서 상기 수용홈과 대면하는 영역에 상기 회전 가이드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점차 높이가 증가되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가이드와 상기 탈착홈은 서로 마주하여 결합되도록 "ㄷ"자로 절곡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가이드와 상기 탈착홈 각각은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거울이 부착된 거울 플레이트가 회전하여 측면 프레임과 탈착 가능함으로써, 화장품을 다 사용한 뒤에 거울의 재활용이 용이해지고, 분리된 거울을 손거울로 이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다른 화장품 용기와 차별화될 수 있으며, 소비자에게 화장품 용기의 가치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거울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측면 프레임으로부터 거울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측면 프레임과 거울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울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측면 프레임에 도 6의 거울 플레이트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거울 플레이트가 회전하여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덮개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에서 거울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는 용기본체(100)와 덮개부(200)를 포함한다.
용기본체(100)는 화장품 용기(10)에서 외형의 일부를 이루는 구성으로,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화장품이 수납되도록 오목한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용기본체(100)는 원형 타입으로 구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용기본체(10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중체(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중체는 용기본체(100)의 내측면과 이격된 측면과, 측면으로부터 용기본체(100)의 내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기본체(100)와 중체는 그 사이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중체의 내측에는 내용기(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내용기에는 내용물이 수납될 수 있으며, 리필용기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용기가 용기본체(10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용물 소진 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내용기는 내측에 내용물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내용물은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미도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내용기의 공간에 수납되는 내용물이 함침부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에 다양한 재질의 내용물이 수납 가능함은 물론이다.
더욱이, 내용기의 상부에는 내뚜껑(400)이 구비되어, 내용기의 상부면을 개폐할 수 있다. 내뚜껑(400)은 내용기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부재(5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내뚜껑(400)이 개폐되는 방향은 덮개부(200)와 용기본체(100)가 개폐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뚜껑(400)의 개폐 시 덮개부(200)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화장 시에도 내뚜껑(400)이 거울을 가리지 않을 수 있다.
덮개부(200)는 용기본체(100)의 상부 측에서 용기본체(100)에 결합됨에 의해 화장품 용기(10)의 외형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덮개부(200)의 일측은 용기본체(100)와 힌지부재(500)에 의해 연결되어, 힌지부재(500)를 축으로 용기본체(100)에 대하여 타측이 개폐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덮개부(200)는 상방이 개방된 측면 프레임(210)과, 측면 프레임(210)을 덮는 거울 플레이트(220)로 구성될 수 있다.
측면 프레임(210)은 거울 플레이트(220)의 둘레를 감싸며 일정 길이만큼 하부로 연장되어, 용기본체(100)의 상단 둘레와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 측면 프레임(210)은 원형의 용기본체(100)의 둘레에 대응되는 원통 형태일 수 있다.
거울 플레이트(220)는 용기본체(100)의 상부를 개폐하며, 용기본체(100)와 대면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거울 플레이트(220)의 내측에는 용기본체(100)와 대면하는 거울(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울이 부착된 화장품 용기(10)에서 거울 플레이트(220)의 외측에는 캐릭터와의 콜라보 등을 통한 차별화된 디자인의 제품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화려하고 차별화된 거울 플레이트(220)의 디자인으로 소비자의 구매 욕구가 높은 것에 비하여 화장품 사용이 완료된 후에는 화장품 용기(10) 전체가 버려지게 되어 비용적으로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에서 거울이 부착된 거울 플레이트(220)가 회전하여 측면 프레임(210)과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화장품을 다 사용한 뒤에 거울의 재활용이 용이해지고, 분리된 거울을 손거울로 이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한, 다른 화장품 용기와 차별화될 수 있으며, 소비자에게도 화장품 용기(10)의 가치가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2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측면 프레임으로부터 거울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측면 프레임과 거울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200)는 측면 프레임(210)과 회전하여 탈착되는 거울 플레이트(220)로 구성된다.
측면 프레임(210)은 상단 둘레의 일부에 회전 가이드(211)가 구비되고, 거울 플레이트(220)는 측면 프레임(210)과 접하는 내측 둘레를 따라 측면 프레임(210)의 회전 가이드(211)가 삽입되는 탈착홈(221)이 구비된다.
거울 플레이트(220)의 하부에는 거울(230)이 부착될 수 있다. 거울 플레이트(220)는 거울(230)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거울(230)의 둘레에 대응하여 형성된 거울 안착부(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면 프레임(210)의 회전 가이드(211)와 거울 플레이트(220)의 탈착홈(221)은 서로 마주하여 결합되도록 "ㄷ"자로 절곡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즉, 회전 가이드(211)는 측면 프레임(210) 본체로부터 "ㄷ"자로 절곡된 단면을 가지며, 탈착홈(221)은 거울 플레이트(220) 본체로부터 "ㄷ"자로 절곡된 단면을 가지되, 회전 가이드(211)와 탈착홈(221)은 절곡된 부분이 서로 맞물리도록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 구조에 의하여, 거울 플레이트(220)는 측면 프레임(210)으로부터 상방으로 이탈이 방지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울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측면 프레임에 도 6의 거울 플레이트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거울 플레이트가 회전하여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회전 가이드(211)와 탈착홈(221) 각각은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 가이드(211)는 시계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구비된 제1 회전 가이드(211a), 제2 회전 가이드(211b), 제3 회전 가이드(211c) 및 제4 회전 가이드(211d)를 포함한다. 또한, 탈착홈(221)은 시계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구비된 제1 탈착홈(221a), 제2 탈착홈(221b), 제3 탈착홈(221c) 및 제4 탈착홈(221d)을 포함한다.
여기서, 거울 플레이트(220)의 탈착홈(221)은 평면 상에서 회전 가이드(211)가 비형성된 영역(NA)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즉, 제1 탈착홈(221a)은 제4 회전 가이드(211d)와 제1 회전 가이드(211a) 사이의 비형성 영역(NA)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제2 탈착홈(221b)은 제1 회전 가이드(211a)와 제2 회전 가이드(211b) 사이의 비형성 영역(NA)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제3 탈착홈(221c)은 제2 회전 가이드(211b)와 제3 회전 가이드(211c) 사이의 비형성 영역(NA)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제4 탈착홈(221d)은 제3 회전 가이드(211c)와 제4 회전 가이드(211d) 사이의 비형성 영역(NA)에 대응하여 구비된다.
상술한 구조에 의하여, 측면 프레임(210)에 거울 플레이트(220)가 안착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가이드(211)와 탈착홈(221)이 교대로 맞물린다. 평면 상에서 탈착홈(221)의 크기는 회전 가이드(211)와 동일하거나 약간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회전 가이드(211)와 탈착홈(221)이 교대로 맞물린 상태에서 거울 플레이트(220)가 회전하면, 단면 상에서 거울 플레이트(220)의 탈착홈(221) 내로 측면 프레임(210)의 회전 가이드(211)가 삽입되어 측면 프레임(210)과 거울 플레이트(220)가 결합된다.
거울 플레이트(220)는 화장품 용기(10)의 사용시 손가락을 넣어 용기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손잡이부(250)를 이용해 거울 플레이트(22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손잡이부(250)의 소재는 패브릭이나 연질소재의 합성수지일 수 있다.
거울 플레이트(220)의 회전에 의해 탈착홈(221) 내로 회전 가이드(211)가 삽입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상에서 탈착홈(221)과 회전 가이드(211)가 중첩된다. 이와 같이, 탈착홈(221)과 회전 가이드(211)의 맞물린 구조에 의해 측면 프레임(210)과 거울 플레이트(220)가 결합되고 이탈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거울 플레이트(22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측면 프레임(210)과 결합됨을 예시하였으나, 거울 플레이트(22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측면 프레임(210)과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거울 플레이트(220)의 탈착홈(221) 내에는 회전 가이드(211)의 회동을 저지하는 걸림턱(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탈착홈(221) 내에서 걸림턱은 회전 가이드(211)가 삽입되는 입구에 반대하는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은 탈착홈(221)의 오목한 공간의 전체 또는 일부가 메워진 형태일 수 있다. 걸림턱에 의하여, 거울 플레이트(220)의 무한정한 회전이 저지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덮개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전술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갖는 구성 요소에 관하여는 모순되지 않는 한 전술한 개시 사항을 참조할 수 있으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의 모서리 영역(A)을 확대 도시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측면 프레임(210)은 회전 가이드(211)로부터 돌출된 돌기(212a)를 포함하고, 거울 플레이트(220)는 탈착홈(221)의 내주면에 형성된 수용홈(222a)을 포함한다. 수용홈(222a)은 돌기(212a)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돌기(212a)가 수용홈(222a)에 삽입되면 측면 프레임(210)과 거울 플레이트(220)가 결합된 상태로 고정된다.
돌기(212a)는 회전 가이드(211)의 말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홈(222a)은 회전 가이드(211)가 탈착홈(221) 내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돌기(212a)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거울 플레이트(220)가 측면 프레임(210)에 결합된 상태로 유동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탈착홈(221)의 내주면에는 수용홈(222a)과 대면하는 영역에 회전 가이드(211)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점차 높이가 증가되는 단차부(223a)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가이드(211)는 단차부(223a)에 의해 돌기(212a) 측으로 압력을 받게 되고, 돌기(212a)와 수용홈(222a)의 결합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돌기(212b)는 회전 가이드(211)의 말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걸림턱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돌기(212b)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단차부(223b)의 일부가 제거된 형태로 수용홈(222b)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들에서는 회전 가이드(211)에 돌출부(212a, 212b)가 구비되고, 탈착홈(221)에 수용홈(222a, 222b)이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반대로 회전 가이드(211)에 수용홈이 구비되고, 탈착홈(221)에 돌출부가 구비되어도 됨은 물론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20)의 덮개부(200c)는 거울 플레이트(220c)를 가압하여 측면 프레임(210c)에 결합하는 방식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울 플레이트(220c)의 둘레에는 걸림턱 구조의 체결부(227)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227)는 거울 플레이트(220c)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말단에 걸림턱 구조물을 가질 수 있다. 체결부(227)는 거울 플레이트(220c)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측면 프레임(210c)의 상단부는 체결부(227)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거울 플레이트(220c)를 가압하여 측면 프레임(210c)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측면 프레임(210c)은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내측으로 휘어지기 용이하도록 틈새(S)를 구비할 수 있다. 틈새(S)는 힌지부재(500)에 인접한 영역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 틈새(S)의 위치, 형상,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측면 프레임(210c)의 외주면을 가압하면, 틈새(S)에 의해 측면 프레임(210c)의 둘레 모양이 변형되고, 이때 거울 플레이트(220c)를 들어올리면 체결부(227)가 측면 프레임(210c)으로부터 이탈되면서 거울 플레이트(220c)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는 측면 프레임과 거울 플레이트가 회전에 의해 나사산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화장품 용기
100: 용기본체 200: 덮개부
210: 측면 프레임 220: 거울 플레이트
211: 회전 가이드 221: 탈착홈
212a, 212b: 돌기 222a, 222b: 수용홈
223a, 223b: 단차부 230: 거울
250: 손잡이부

Claims (8)

  1. 내부에 내용물이 수납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는,
    상방이 개방된 형태의 측면 프레임; 및
    상기 용기본체와 대면하는 거울이 부착되며, 회전하여 상기 측면 프레임과 탈착되는 거울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단 둘레의 일부에 회전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거울 플레이트는 상기 측면 프레임과 접하는 내측 둘레를 따라 상기 측면 프레임의 회전 가이드가 삽입되는 탈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 플레이트의 탈착홈은 평면 상에서 상기 회전 가이드가 비형성된 영역에 대응하여 마련되며,
    상기 회전 가이드와 상기 탈착홈이 교대로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거울 플레이트가 회전하면, 단면 상에서 상기 거울 플레이트의 탈착홈 내로 상기 측면 프레임의 회전 가이드가 삽입되어 상기 측면 프레임과 상기 거울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 플레이트의 탈착홈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의 회동을 저지하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회전 가이드로부터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의 수용홈이 구비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면 상기 측면 프레임과 상기 거울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홈의 내주면에서 상기 수용홈과 대면하는 영역에 상기 회전 가이드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점차 높이가 증가되는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와 상기 탈착홈은 서로 마주하여 결합되도록 "ㄷ"자로 절곡된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와 상기 탈착홈 각각은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KR2020180002929U 2018-06-26 2018-06-26 화장품 용기 KR200490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929U KR200490927Y1 (ko) 2018-06-26 2018-06-26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929U KR200490927Y1 (ko) 2018-06-26 2018-06-26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033U true KR20200000033U (ko) 2020-01-06
KR200490927Y1 KR200490927Y1 (ko) 2020-01-22

Family

ID=69155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929U KR200490927Y1 (ko) 2018-06-26 2018-06-26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92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1111A (ko) * 2020-04-23 2021-11-02 펌텍코리아 (주) 탈착식 거울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WO2021256707A1 (ko) * 2020-06-19 2021-12-23 펌텍코리아(주) 버튼의 분리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220001754A (ko) * 2020-06-30 2022-01-06 펌텍코리아 (주) 버튼의 작동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282B1 (ko) * 2021-04-09 2022-10-04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재활용이 용이한 화장품 케이스
KR102504926B1 (ko) * 2021-10-27 2023-03-02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화장품 케이스
WO2022215833A1 (ko) * 2021-04-09 2022-10-13 주식회사 동기피엔아이 재활용이 용이한 화장품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1812U (ko) * 1987-01-09 1988-07-18
JP3792792B2 (ja) * 1996-08-01 2006-07-05 紀伊産業株式会社 コンパクト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1812U (ko) * 1987-01-09 1988-07-18
JP3792792B2 (ja) * 1996-08-01 2006-07-05 紀伊産業株式会社 コンパクト容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1111A (ko) * 2020-04-23 2021-11-02 펌텍코리아 (주) 탈착식 거울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WO2021256707A1 (ko) * 2020-06-19 2021-12-23 펌텍코리아(주) 버튼의 분리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210157223A (ko) * 2020-06-19 2021-12-28 펌텍코리아 (주) 버튼의 분리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220001754A (ko) * 2020-06-30 2022-01-06 펌텍코리아 (주) 버튼의 작동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927Y1 (ko)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927Y1 (ko) 화장품 용기
EP3205228B1 (en) Two-liquid mixing container provided with pressing pocket
US11730249B2 (en) Cosmetic jars with sweep collar
KR200488068Y1 (ko) 화장품 용기
KR102085110B1 (ko) 화장품 용기
CN208017088U (zh) 具有用于均匀地排出化妆品的排出板的化妆品用粉盒容器
KR200494153Y1 (ko) 화장품 용기
KR102634142B1 (ko) 리필용기의 체결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US20200069028A1 (en) Cosmetic container with moving sifter
WO2015101358A1 (zh) 化妆品包装
US5897015A (en) Disc shaped container
KR200492537Y1 (ko) 화장품 용기
CN107280210A (zh) 被填充有凝胶状化妆品和固体化妆品的化妆品容器
KR102356605B1 (ko) 화장품 용기
KR101214566B1 (ko) 다용도 화장품 용기
KR200490765Y1 (ko) 화장품 용기
KR102495236B1 (ko) 화장품 용기
KR200472043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JPS6238584Y2 (ko)
KR102664580B1 (ko) 콤팩트 타입 화장품용 리필케이스
KR200490823Y1 (ko) 화장품 용기
KR102292441B1 (ko) 내용물접시의 하부 결합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385651B1 (ko) 교체가 용이한 화장품용기
KR102029097B1 (ko) 힌지결합부가 내측으로 구성되는 화장품 용기
KR102550546B1 (ko) 원터치 개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