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022A - Device and method supporting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s of user equipment based on service characteristics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supporting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s of user equipment based on service characteristic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022A
KR20200000022A KR1020180071758A KR20180071758A KR20200000022A KR 20200000022 A KR20200000022 A KR 20200000022A KR 1020180071758 A KR1020180071758 A KR 1020180071758A KR 20180071758 A KR20180071758 A KR 20180071758A KR 20200000022 A KR20200000022 A KR 20200000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system
service
terminal
bearer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7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07761B1 (en
Inventor
정상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1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761B1/en
Publication of KR20200000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0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7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Abstract

Disclosed are a device and a method for supporting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servi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a base station supporting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a terminal connected to a first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service characteristics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information on whether to allow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terminal; receiving whether to allow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a bearer supporting services based on the service characteristics; receiving availability of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o support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service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on whether to allow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terminal, whether to allow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s based on the service characteristics and availability of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terminal; and changing the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s to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when it is determined to support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servic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 of a terminal by considering service characteristics and accordingly, can improve service quality.

Description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단말의 이종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SUPPORTING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S OF USER EQUIPMENT BASED ON SERVICE CHARACTERISTICS}DEVICE AND METHOD SUPPORTING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S OF USER EQUIPMENT BASED ON SERVICE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단말의 이종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 of a terminal based on a service characteristic.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constitute a prior art.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서비스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수준의 서비스 품질 및 이동성을 지원해야 한다. 현재 LTE 통신 시스템 이후,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5G(5 generation) 통신 시스템이 개발 중에 있다. LTE 통신 시스템은 커버리지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넓은 커버리지를 갖는 반면, 5G 통신 시스템은 통신 용량(capability)을 만족하기 위해 작은 커버리지를 갖게 된다. 이때 5G 셀(cell)은 LTE 셀과 함께 배치될 수도 있고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5G 통신 시스템은 크게 LTE 통신 시스템과 연동해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여부에 따라 5G SA(standalone) 통신 시스템과 5G NSA(non-standalone) 통신 시스템으로 나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system should support the appropriate level of service quality and mobility in consideration of the service characteristics used by the user. Since the LTE communication system, a 5G (5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is being developed to meet wireless data traffic demand. LTE communication systems have wide coverage to meet coverage requirements, while 5G communication systems have small coverage to meet communication capacities. In this case, the 5G cell may be disposed together with the LTE cell or may be disposed independently. The 5G communication system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5G SA (standalone) communication system and a 5G non-standalone (NSA) communication system depending on whether the service is provided in conjunction with the LTE communication system.

5G 셀과 LTE 셀이 함께 배치된 5G NSA 통신 시스템에서는 LTE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제어 데이터가 전송되고 5G 통신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 데이터가 전송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제안되는 방식에 의할 경우 데이터의 전송속도는 빠르나, 음성 서비스와 같이 서비스의 품질 유지가 중요하고 지속적인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서비스에 있어 안정성이 문제될 수 있다. In a 5G NS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5G cell and an LTE cell are disposed together, a 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data through an LTE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tting user data through a 5G communication system has been proposed. However, in the proposed method, the data transmission speed is fast, but stability may be a problem in services that need to maintain the quality of service and require continuous data transmission such as voice service.

본 실시예는, 5G NSA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특성을 고려해 단말의 이종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여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This embodiment has a main purpos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a service by providing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 of a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service characteristics in a 5G NSA communication system.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제1 통신 시스템에 연결된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기지국의 방법은, 상기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의 제2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의 이용 가능 여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의 제2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 및 상기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의 이용 가능 여부에 기초해 상기 서비스의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서비스의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기로 결정하면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를 제2 통신 시스템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a method of a base station supporting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a terminal connected to a first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a service characteristic may include receiv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terminal allows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Receiving whether to allow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based on the service characteristics, receiving the availability of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terminal, whether to accept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terminal Determine whether to support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a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based on the information, the service characteristic, and whether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terminal is available; And a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if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service is determined to support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It includes the step of changing.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제1 통신 시스템에 연결된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기지국 장치는, 상기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의 제2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를 수신하며, 상기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의 이용 가능 여부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의 제2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 및 상기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의 이용 가능 여부에 기초해 상기 서비스의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서비스의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기로 결정하면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를 제2 통신 시스템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a base station apparatus supporting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a terminal connected to a first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a service characteristic receiv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terminal permits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service. A transceiver for receiving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a bearer supporting a service based on a characteristic, and receiving the availability of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terminal, a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terminal is allowed Determine whether to support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a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based on the service characteristic, and whether to support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service based on whether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terminal is available; And, when determining to support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service, change the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to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It is a control unit.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서비스의 특성에 기반해 제1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제2 통신 시스템으로 연결을 변경하는 단말의 방법은,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을 이용해 서비스를 요청하는 과정, 상기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의 이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판단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를 상기 제2 통신 시스템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통신 시스템과 생성한 상기 베어러를 통해 상기 서비스를 지원받는 과정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a method of a terminal for changing a connection from a first communication system to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a characteristic of a service may include: requesting a service using the first communication system; 2 determining whether the communication system is available, transmitting the determined information to a base station, generating a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and generating the bearer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It includes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service through.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서비스의 특성에 기반해 제1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제2 통신 시스템으로 연결을 변경하는 단말 장치는, 상기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의 이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를 상기 제2 통신 시스템과 생성하고, 상기 제2 통신 시스템과 생성한 상기 베어러를 통해 상기 서비스를 지원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을 이용해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판단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a terminal device that changes a connection from a first communication system to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a characteristic of a service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terminal is available and provides the service. A supporting bearer is generated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a control unit receiving the service through the bearer generated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a service request using the first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determined information is determined by a base station. It includes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to.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특성을 고려해 단말의 이종 통신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서비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rvice quality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 of the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service characteristic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5G 통신 시스템이 LTE 통신 시스템과 공존하면서 동작하는 5G NSA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 예로 5G NSA 통신 시스템에서 5G 통신 시스템과 LTE 통신 시스템이 함께 단말을 지원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이종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이종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이종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LTE eNB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LTE eNB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llustrates a 5G NS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5G communication system coexists with an LT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5G communication system and an LT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 a terminal together in an 5G NSA communication system as an example;
3 illustrates a method of supporting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a servic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upporting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a servic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llustrates a method of supporting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a servic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LTE eNB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LTE eNB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 of this invention, terms, such as 1st, 2nd, A, B, (a),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include' a certain component, which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 In addition,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unit' and 'module'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하나의 통신 시스템은 다른 이종 통신 시스템과 공존하면서 동작할 수 있다.One communication system can coexist and operate with other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5G 통신 시스템이 LTE 통신 시스템과 공존하면서 동작하는 5G NSA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5G NS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5G communication system coexists with an LT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에 따르면 LTE 통신 시스템의 셀(cell) 커버리지(110)는 넓은 반면, 5G 통신 시스템의 셀 커버리지(120, 130, 140, 150)는 좁다. 이로 인해 셀의 배치에 따라 일부 지역(160)에서는 5G 통신 시스템의 지원을 받지 못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1, the cell coverage 110 of the LTE communication system is wide while the cell coverage 120, 130, 140, 150 of the 5G communication system is narrow. As a result, some regions 160 may not be supported by the 5G communication system depending on the cell arrangement.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LTE 통신 시스템보다 데이터의 전송속도가 빠르다. 그런데 단말이 5G 통신 시스템의 지원을 받지 못하는 지역에 위치하게 되면, 5G 통신 시스템에 의해 지원받던 서비스는 끊길 수 있다. 따라서, LTE 통신 시스템은 데이터의 전송속도보다는 안정성을 우선으로 하는 서비스에 더 적합하며, 5G 통신 시스템은 안정성보다는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를 우선으로 하는 서비스에 더 적합하다. 예를 들어 음성 서비스의 경우, 약간의 지연이 발생하더라도 문제되지 않으나 음성 서비스가 끊기면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기 때문에 안정성이 우선인 서비스로 LTE 통신 시스템으로 지원하는 것이 적합하다. 반면, 데이터 서비스인 웹 서핑의 경우, 웹 페이지를 연속적으로 변경하기 보다는 한 페이지를 일정시간 이용하기 때문에 빠르게 다운로드 받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우선으로 하는 서비스는 LTE 통신 시스템 보다 5G 통신 시스템이 더 적합하다.In 5G communication system, data transmission speed is faster than LTE communication system. However, if the terminal is located in an area not supported by the 5G communication system, the service supported by the 5G communication system may be interrupted. Accordingly, LTE communication systems are more suitable for services that prioritize stability over data transmission speed, and 5G communication systems are more suitable for services that prioritize faster data transmission speed than stability.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voice service, even if a slight delay occurs, it is not a problem, but if the voice service is interrupted, it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On the other hand, web surfing, a data service, is important to download quickly because it uses a pag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rather than continuously changing web pages. Therefore, a 5G communication system is more suitable for a service that prioritizes data transmission speed than an LTE communication system.

도 2는 일 예로 5G NSA 통신 시스템에서 5G 통신 시스템과 LTE 통신 시스템이 함께 단말을 지원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5G communication system and an LT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 a terminal together in an 5G NSA communication system as an example.

5G NSA 통신 시스템에 따르면, EPC(evolved packet core)(240)에 무선접속망(radio access network, RAN)으로 LTE 통신 시스템(이하 'LTE')(220)과 5G NR(new radio) 통신 시스템(이하 '5G NR', '5G', 또는 'NR')(230)이 접속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LTE는 데이터의 전송 속도가 느리지만 연속성이 보장돼 안정적인 반면, 5G NR는 데이터의 전송 속도는 빠르지만 안정적이지 않다. According to the 5G NSA communication system, an LTE communication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LTE') 220 and a 5G new radio (NR) communication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volved packet core (EPC) 240) as a radio access network (RAN). '5G NR', '5G', or 'NR') 230 may be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LTE has a low data transmission speed but is stable due to continuity, while 5G NR has a high data transmission speed but is not stable.

단말(210)이 LTE(220)와 5G NR(230)에 모두 접속이 가능하고 LTE(220) 및 5G NR(230)을 모두 지원한다면, 단말(210)은 LTE(220)를 이용해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LTE(220) 및/또는 5G NR(230)을 이용해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제어 데이터는 EPC(240)로부터 LTE(220)를 거쳐 단말(210)로 송수신되며, 사용자 데이터는 EPC(240)로부터 LTE(220) 및/또는 5G NR(230)을 거쳐 단말(210)로 송수신될 수 있다. 이때 LTE(220)와 5G NR(230)은 단말(210)로 전송하는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If the terminal 210 is capable of accessing both the LTE 220 and the 5G NR 230 and supports both the LTE 220 and the 5G NR 230, the terminal 210 uses the LTE 220 to control data. And transmit and receive user data using LTE 220 and / or 5G NR 230. That is, control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from the EPC 240 to the terminal 210 via the LTE 220, and the user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EPC 240 to the terminal 210 via the LTE 220 and / or 5G NR 230. It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y. In this case, the LTE 220 and the 5G NR 230 may exchange information on user data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10.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LTE 통신 시스템을 기본 통신 시스템으로 연결하며, 선택 및 추가적으로 5G 통신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terminal connects the LTE communication system to the basic communication system, and may be selectively and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5G communication system.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이종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upporting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a servic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먼저, 단말(301)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통신 시스템에 접속한다. 구체적으로, HLR(home location register)(311)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309)로 단말(301)의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321). 상기 가입자에 대한 정보는 이종 통신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입자는 요금제 등에 의해 선택적으로 LTE만을 이용하거나, 또는 5G NR과 LTE 모두를 이용할 수 있다. First, the terminal 301 connects to a communication system to use a service. In detail, the home location register (HLR) 311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subscriber of the terminal 301 to the 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309 (321). The information on the subscriber may include information on whether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 can be used. For example, the subscriber may optionally use only LTE, or both 5G NR and LTE, depending on the plan.

MME(309)는 상기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단말(301)이 5G NR에 연결되는 것을 허용할지 여부 즉, 단말(301)의 5G NR 허용 여부에 대해 결정한다(323).The MME 309 determines whether to allow the terminal 301 to be connected to the 5G NR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ubscriber, that is, whether to allow the 5G NR of the terminal 301 (323).

이후, MME(309)는 LTE eNB(evolved-NodeB)(303)로 상기 결정된 단말(301)의 5G NR의 허용 여부에 대해 전송하고, LTE eNB(303)는 상기 결정된 5G NR의 허용 여부를 단말(301)에게 전송할 수 있다(325). 다만, 상기 가입자에 대한 정보가 단말(301)에 저장되어 있다면, LTE eNB(303)는 상기 결정된 5G NR의 허용 여부를 단말(301)에게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Then, the MME 309 transmits to the LTE evolved-NodeB (eNB) 303 about whether the determined 5G NR of the terminal 301 is allowed, and the LTE eNB 303 determines whether to allow the 5G NR determined above. It may transmit to 301 (325). However, if the information on the subscriber is stored in the terminal 301, the LTE eNB 303 may not transmit to the terminal 301 whether to allow the determined 5G NR.

또한, MME(309)는 베어러(bearer)를 설정하기 위해 베어러별로 5G NR의 허용 여부를 설정해 LTE eNB(303)로 전송한다(327). 예를 들어 MME(309)가 LTE eNB(303)로 전송하는 Initial context setup 메시지나 E-RAS setup 메시지에 베어러별로 5G NR의 허용 여부를 나타내는 Bearer type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Bearer type은 'LTE only(5G NR 불허)' 또는 '5G NR 허용'으로 표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성 서비스를 LTE로만 지원하고 상기 음성 서비스의 QCI(QoS class identifier)가 1/2/5인 경우, MME(309)는 QCI가 1/2/5인 베어러에 대해서 상기 Bearer type을 LTE only로 설정하여 LTE eNB(303)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LTE eNB(303)는 상기 Initial context setup 메시지나 E-RAS setup 메시지에 Bearer type이 추가되어 있지 않다면 즉, QCI가 1/2/5를 제외한 베어러에 대해서는 5G NR 허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MME(309)는 음성 서비스 이외의 다른 서비스로 QCI가 8/9인 베어러에 대해 5G NR 허용으로 설정하여 LTE eNB(303)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LTE eNB(303)는 Bearer type이 상기 Initial context setup 메시지나 E-RAS setup 메시지에 추가되어 있지 않다면 LTE only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베어러에 대한 이종 통신 시스템의 허용 여부를 미리 정해두고 MME(309)는 통신 시스템이 변경되는 경우에 한해 알려줄 수 있다. 또는 MME(309)는 항상 bearer type을 상기 Initial context setup 메시지나 E-RAS setup 메시지에 포함해 LTE eNB(303)에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ME 309 sets whether to allow 5G NR per bearer to establish a bearer and transmits to the LTE eNB 303 (327). For example, a bearer type indicating whether to allow 5G NR per bearer may be added to an initial context setup message or an E-RAS setup message transmitted by the MME 309 to the LTE eNB 303. The bearer type may be expressed as 'LTE only (5G NR not allowed)' or '5G NR allowed'. Specifically, if the voice service supports only LTE and the QCI (QoS class identifier) of the voice service is 1/2/5, the MME 309 performs LTE bearer type on the bearer type for the bearer having the QCI of 1/2/5. It can be set to transmit to the LTE eNB (303). In this case, if the bearer type is not added to the initial context setup message or the E-RAS setup message, the LTE eNB 303 may determine that 5G NR is allowed for the bearer except QCI 1/2/5. As another example, the MME 309 may transmit a service other than the voice service to the LTE eNB 303 by setting 5G NR allowance for a bearer having a QCI of 8/9. In this case, the LTE eNB 303 may determine that the bearer type is LTE only if the bearer type is not added to the initial context setup message or the E-RAS setup message. That is, the MME 309 may be informed only when the communication system is changed while pre-determining whether to allow the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 for the bearer. Alternatively, the MME 309 may always transmit a bearer type to the LTE eNB 303 by including the initial context setup message or the E-RAS setup message.

단말(301)은 5G NR을 이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해 그 결과를 LTE eNB(303)로 전송한다(329). 구체적으로 단말(301)은 단말(301)이 5G NR을 지원하는 영역에 있는지의 여부, 단말(301)이 5G NR을 이용할 수 있는 단말인지의 여부, 수신 감도 등을 고려해 단말(301)이 5G NR을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The terminal 301 determines whether 5G NR is available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LTE eNB 303 (329). In more detail, the terminal 301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301 is in a region that supports 5G NR, whether the terminal 301 is a terminal capable of using 5G NR, and reception sensitivity.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NR is available.

LTE eNB(303)는 단말(301)에 의해 판단된 상기 5G NR을 이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와 단말(301)의 가입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해 단말(301)의 5G NR 이용 여부를 결정한다(331).The LTE eNB 303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301 uses the 5G NR based on whether the 5G NR determined by the terminal 301 is available and information on the subscriber of the terminal 301 (331). ).

단말(301)이 5G NR을 이용할 수 있다면, LTE eNB(303)는 MME(309)에 의해 설정된 베어러별로 5G NR의 허용 여부에 따라 베어러별로 5G NR을 이용할지 여부를 결정한다(333).If the UE 301 can use the 5G NR, the LTE eNB 303 determines whether to use the 5G NR for each bearer according to whether to allow 5G NR for each bearer set by the MME 309 (333).

여기서는 단말과, 베어러를 각각 나누어서 5G NR 이용여부에 대해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LTE eNB(303)는 한번에 결정할 수 있다. Here, the UE and the bearer are divided to determine whether to use 5G NR. However, the LTE eNB 303 may decide at a time.

5G NR이 허용된 베어러는 재설정된다(335). 즉, 5G NR이 허용되면 단말(301), 5G NR의 기지국인 gNB(305), GW(gateway)(307), 및 MME(309)로 베어러가 재설정된다.Bearers allowed for 5G NR are reset (335). That is, if 5G NR is allowed, the bearer is reconfigured to the terminal 301, the base station of the 5G NR, the gNB 305, the gateway 307, and the MME 309.

이후 단말(301)은 5G NR이 허용된 베어러에 대해서는 gNR(305)로 데이터를 전송하고(337), 5G NR이 허용되지 않은 베어러 즉, LTE만이 허용된 베어러에 대해서는 LTE eNB(303)로 데이터를 전송한다(339).Thereafter, the terminal 301 transmits data to the gNR 305 for the bearer for which 5G NR is allowed (337), and transmits data to the LTE eNB 303 for a bearer for which only 5G NR is not allowed, that is, a LTE only allowed bearer. Send (339).

이하에서는 도 3에서와 동일한 과정은 같은 식별 번호를 이용해 나타냈으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same process as in FIG. 3 is shown using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이종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upporting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a servic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구체적으로 도 4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베어러의 QoS(quality of service)를 나타내는 또 다른 파라미터인 ARP(allocation and retention priority)를 이용하는 방법이다.In detail,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is a method of using an allocation and retention priority (ARP) which is another parameter representing a quality of service (QoS) of a bearer.

단말(301)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통신 시스템에 접속한다. HLR(311)는 MME(309)로 단말(301)의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321), MME(309)는 상기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단말(301)이 5G NR에 연결되는 것을 허용할지 여부 즉, 5G NR 허용 여부에 대해 결정한다(323). 이후 단말(301)의 5G NR의 허용 여부에 대해 MME(309)는 LTE eNB(303)로 전송하고, LTE eNB(303)는 단말(301)로 전송한다(325). The terminal 301 connects to a communication system to use a service. The HLR 311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subscriber of the terminal 301 to the MME 309 (321), and the MME 309 indicates that the terminal 301 is connected to the 5G NR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ubscriber. It is determined whether to allow, that is, whether to allow 5G NR (323). Thereafter, the MME 309 transmits to the LTE eNB 303 and the LTE eNB 303 transmits to the terminal 301 whether the 5G NR of the terminal 301 is allowed (325).

MME(309)는 베어러별 5G NR의 허용 여부에 따라 ARP를 결정한다(401). 상기 ARP는 베어러 생성 또는 거절에만 관여하는 파라미터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5G NR의 허용 여부에 대해서도 추가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RP 중 priority field의 범위로 5G NR의 허용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ARP가 0 ~ 15 사이의 값이라면 5G NR의 불허로 판단되고, ARP가 16이상의 값이라면 5G NR의 허용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는 반대로도 설정 가능하다.The MME 309 determines the ARP according to whether 5G NR per bearer is allowed (401). The ARP was a parameter only involved in bearer generation or rejection, but may be further indicated in this embodiment as to whether 5G NR is allowed. For example, whether or not to allow 5G NR may be determined as a range of the priority field of the ARP. If ARP is a value between 0 and 15, 5G NR may be determined to be unacceptable. If ARP is 16 or more, 5G NR may be determined to be allowed. Or vice versa.

MME(309)는 상기 결정된 ARP를 포함하는 베어러별로 5G NR의 허용 여부를 LTE eNB(303)로 전송한다(403). 이때 상기 결정된 ARP는 Initial context setup 메시지나 E-RAS setup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The MME 309 transmits to the LTE eNB 303 whether to allow 5G NR for each bearer including the determined ARP (403). In this case, the determined ARP may be included in an Initial context setup message or an E-RAS setup message.

단말(301)은 5G NR을 이용할 수 있는지를 판단해 그 결과를 LTE eNB(303)로 전송하고(329), LTE eNB(303)는 단말(301)이 5G NR을 이용할지 여부를 결정한다(331).The terminal 301 determines whether 5G NR is available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LTE eNB 303 (329), and the LTE eNB 303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301 uses the 5G NR ( 331).

단말(301)이 5G NR을 이용할 수 있다면, LTE eNB(303)는 MME(309)로부터 수신한 ARP를 기초로 베어러별 5G NR을 이용할지 여부를 결정한다(405).If the terminal 301 can use the 5G NR, the LTE eNB 303 determines whether to use the bearer 5G NR based on the ARP received from the MME 309 (405).

5G NR이 허용된 베어러는 재설정된다(407). 즉, 5G NR이 허용되면, 단말(301), gNB(305), GW(gateway)(307), 및 MME(309)로 베어러가 설정된다.Bearers allowed for 5G NR are reset (407). That is, if 5G NR is allowed, a bearer is set to the terminal 301, the gNB 305, the gateway 307, and the MME 309.

이후 단말(301)은 5G NR이 허용된 베어러에 대해서는 gNR(305)로 데이터를 전송하고(337), 5G NR이 허용되지 않은 베어러 즉, LTE만이 허용된 베어러에 대해서는 LTE eNB(303)로 데이터를 전송한다(339).Thereafter, the terminal 301 transmits data to the gNR 305 for the bearer for which 5G NR is allowed (337), and transmits data to the LTE eNB 303 for a bearer for which only 5G NR is not allowed, that is, a LTE only allowed bearer. Send (339).

도 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이종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supporting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a servic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단말(301)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통신 시스템에 접속한다. HLR(311)는 MME(309)로 단말(301)의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321), MME(309)는 상기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단말(301)의 5G NR을 허용할지 여부에 대해 결정한다(323).The terminal 301 connects to a communication system to use a service. The HLR 311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subscriber of the terminal 301 to the MME 309 (321), and whether the MME 309 allows 5G NR of the terminal 301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ubscriber. Determine (323).

MME(309)는 단말(301)의 5G NR 허용 여부와 단말(301)이 이용할 수 있는 베어러에 대한 정보를 LTE eNB(303)에게 전송한다(511).The MME 309 transmits information on whether the terminal 301 permits 5G NR and information on a bearer available to the terminal 301 to the LTE eNB 303 (511).

단말(301)은 기본 통신 시스템으로 LTE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기 때문에, LTE eNB(303)는 먼저 단말(301) 및 GW(307)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경로인 베어러를 설정한다(513). 즉, 상기 베어러는 5G NR을 이용하지 않는다.Since the terminal 301 uses the LTE communication system as a basic communication system, the LTE eNB 303 first establishes a bearer which is a path for transmitting data with the terminal 301 and the GW 307 (513). That is, the bearer does not use 5G NR.

단말(301)은 MO(management object) 서버(501)로부터 QCI별 5G NR 허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는다(515).The terminal 301 receives information on whether 5G NR per QCI is allowed from the management object server 501 (515).

LTE eNB(303)는 단말(301)의 5G NR 사용 여부에 대해 결정한다(517).The LTE eNB 303 determines whether the UE 301 uses 5G NR (517).

이후 LTE eNB(303)와 gNB(305)는 단말(301)이 5G NR을 이용하기 위한 자원을 할당한다(519).Thereafter, the LTE eNB 303 and the gNB 305 allocate a resource for the UE 301 to use 5G NR (519).

LTE eNB(303)는 RRC(radio resource control)를 재구성해 단말(301)로 전송한다(521). 상기 재구성된 RRC에는 DRB(data radio bearer) ID와 Scell(secondary cell) ID가 포함될 수 있다. The LTE eNB 303 reconfigures and transmits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to the terminal 301 (521). The reconstructed RRC may include a data radio bearer (DRB) ID and a secondary cell (Scell) ID.

단말(301)은 전송받은 상기 DRB ID의 QCI를 확인한다(523). 단말(301)은 상기 DRB ID의 QCI와 MO 서버(501)로부터 전송받은 5G NR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5G NR 이용 여부를 결정한다. The terminal 301 checks the QCI of the received DRB ID (523). The terminal 301 determines whether to use 5G NR based on the QCI of the DRB ID and information on whether to use 5G NR received from the MO server 501.

만약 MO 서버(501)로부터 전송된 QCI별 5G NR 사용 여부 및 LTE eNB(303)로부터 전송된 DRB ID에 기초해 5G NR를 허용하지 않기로 결정되면, 단말(301)은 5G NR 사용을 거부하는 RRC를 재구성해 LTE eNB(303)로 전송한다(525).If it is determined not to allow 5G NR based on whether or not to use 5G NR per QCI transmitted from the MO server 501 and the DRB ID transmitted from the LTE eNB 303, the UE 301 may deny 5G NR use. Reconstruct and transmits to LTE eNB 303 (525).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LTE eNB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LTE eNB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LTE eNB는 단말이 5G NR에 연결되는 것을 허용할지 여부 즉, 5G NR 허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601). 상기 단말의 5G NR 허용 여부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단말의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MME에 의해 결정된 정보일 수 있다.The LTE eNB receives information on whether to allow the UE to be connected to 5G NR, that is, whether to allow 5G NR (601). Information on whether 5G NR of the terminal is allowed may be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MM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ubscriber of the terminal.

상기 LTE eNB는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의 5G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를 수신한다(603). 상기 MME는 설정할 베어러별로 5G NR의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별로 베어러가 설정될 수 있으며, 베어러별로 QoS가 설정될 수 있다.The LTE eNB receives whether to allow a bearer supporting the 5G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a service characteristic (603). The MME may determine whether to allow 5G NR for each bearer to be set. The bearer may be set for each service, and the QoS may be set for each bearer.

상기 LTE eNB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의 5G 통신 시스템의 이용 가능 여부를 수신한다(605). 즉, 상기 단말은 5G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지 여부, 지원한다면 5G 통신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 등에 대해 판단하여 상기 LTE eNB로 전송한다.The LTE eNB receives availability of the 5G communication system of the terminal from the terminal (605). That is,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o support the 5G communication system, and if so, whether or not to use the 5G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ts to the LTE eNB.

상기 LTE eNB는 상기 단말의 5G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의 제2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 및 상기 단말의 5G 통신 시스템의 이용 가능 여부에 기초해 상기 서비스의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할지 여부를 결정한다(607).The LTE eNB is based on information on whether the UE allows the 5G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the service characteristics, whether the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permits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and whether the UE can use the 5G communication system. It is determined whether to support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service (607).

상기 LTE eNB는 상기 서비스의 5G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기로 결정하면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를 5G 통신 시스템으로 변경한다(609).When the LTE eNB determines to support the 5G communication system of the service, the LTE eNB changes the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to the 5G communication system (609).

도 6에서는 과정 601 내지 과정 609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6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과정 601 내지 과정 609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6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FIG. 6, processes 601 to 609 are described as being sequentially executed,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may execute the process described in FIG. 6 by changing the order described in FIG. 6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bove processe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to be executed in parallel, FIG. 6 is not limited to the time series order.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상기 단말은 LTE 통신 시스템을 이용해 서비스를 요청한다(701).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은 상기 단말과 이미 연결된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The terminal requests a service using the LTE communication system (701). The first communication system may be a communication system already connected to the terminal.

상기 단말은 5G 통신 시스템의 이용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703). 또한, 상기 단말은 LTE eNB의 요청에 의해 또는 주기적으로 5G 통신 시스템의 이용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5G communication system is available (703).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5G communication system is available at the request of the LTE eNB or periodically.

상기 단말은 상기 판단한 정보를 상기 LTE eNB으로 전송한다(705).The terminal transmits the determined information to the LTE eNB (705).

상기 단말은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를 상기 5G 통신 시스템과 생성한다(707). 상기 5G 통신 시스템을 이용할 지에 대한 여부는 상기 LTE eNB에 의해 판단될 수 있으며, 상기 LTE eNB의 요청에 의해 상기 단말은 상기 베어러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LTE eNB은 QCI, ARP, 및 EP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해 상기 단말의 5G 통신 시스템의 지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The terminal generates a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with the 5G communication system (707). Whether to use the 5G communication system may be determined by the LTE eNB, and the terminal may generate the bearer at the request of the LTE eNB. The LTE eNB may determine whether to support the 5G communication system of the terminal based on at least one of QCI, ARP, and EPS.

상기 단말은 상기 5G 통신 시스템과 생성한 상기 베어러를 통해 상기 서비스를 지원받는다(709).The terminal receives the service through the bearer created with the 5G communication system (709).

도 7에서는 과정 701 내지 과정 709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6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과정 701 내지 과정 709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7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FIG. 7, processes 701 to 709 are sequentially executed,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may execute the process described in FIG. 6 by changing the order described in FIG. 6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bove processe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to be executed in parallel, FIG. 7 is not limited to the time series order.

한편,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6 to 7 may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That is,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 magnetic storage medium (for example, ROM, floppy disk, hard disk, etc.), an optical reading medium (for example, CD-ROM, DVD, etc.) and a carrier wave (for example, the Internet Storag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LTE eNB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LTE eNB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도 8에 따르면, 상기 LTE eNB는 송수신부(801)와 제어부(803)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송수신부(801)와 제어부(803)로 나누어 설명하나 하나의 구성으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의 구성이 여러 개의 구성으로 나누어 구현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FIG. 8, the LTE eNB may be configured as a transceiver 801 and a controller 803. In FIG. 8,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801 and the control unit 803 are described separately, but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nfiguration or implemented. Alternatively, one configuration may be implemented by dividing into multiple configurations.

상기 LTE eNB의 송수신부(801)는 단말의 5G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의 5G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를 수신하고, 상기 LTE eNB의 제어부(803)는 상기 단말의 5G 통신 시스템의 이용 가능 여부를 수신한다. 상기 단말의 5G NR 허용 여부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단말의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MME에 의해 결정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MME는 설정할 베어러별로 5G NR의 허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transmitter / receiver 801 of the LTE eNB receiv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5G communication system is allowed by the terminal, and receives the permission of the 5G communication system of a bearer supporting a service based on the service characteristics, and controls the LTE eNB. 803 receives availability of the 5G communication system of the terminal. Information on whether 5G NR of the terminal is allowed may be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MME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subscriber of the terminal. The MME may determine whether to allow 5G NR for each bearer to be set.

상기 LTE eNB의 제어부(803)는 상기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의 5G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 및 상기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의 이용 가능 여부에 기초해 상기 서비스의 5G 통신 시스템을 지원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서비스의 5G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기로 결정하면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를 5G 통신 시스템으로 변경한다.The control unit 803 of the LTE eNB is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o allow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terminal, whether or not the 5G communication system of the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based on the service characteristics,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terminal It is determined whether to support the 5G communication system of the service based on the availability, and if the decision to support the 5G communication system of the service is determined, the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is changed to the 5G communication system.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도 9에 따르면, 상기 단말은 송수신부(901)와 제어부(903)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송수신부(901)와 제어부(903)로 나누어 설명하나 하나의 구성으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의 구성이 여러 개의 구성으로 나누어 구현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FIG. 9, the terminal may include a transceiver 901 and a controller 903. In FIG. 9,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901 and the control unit 903 are described separately, but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nfiguration or implemented in one configuration.

상기 단말의 제어부(903)는 상기 단말의 5G 통신 시스템의 이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를 상기 5G 통신 시스템과 생성하고, 상기 5G 통신 시스템과 생성한 상기 베어러를 통해 상기 서비스를 지원받는다. 또한, 상기 단말의 제어부(903)는 LTE eNB의 요청에 의해 또는 주기적으로 5G 통신 시스템의 이용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903 of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5G communication system of the terminal is available, generates a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with the 5G communication system, and generates the bearer through the bearer generated with the 5G communication system. Is support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903 of the terminal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5G communication system is available at the request of the LTE eNB or periodically.

상기 단말의 송수신부(901)는 상기 LTE 통신 시스템을 이용해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판단한 정보를 LTE eNB로 전송한다. 그 외에도 상기 단말의 송수신부(901)는 LTE eNB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LTE eNB의 요청에 따른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The transceiver 901 of the terminal requests a service using the LTE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ts the determined information to the LTE eNB. In addition, the transceiver 901 of the terminal may receive a request from the LTE eNB, and may transmi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LTE eNB.

이상에서는 이종 통신 시스템으로 LTE와 5G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LTE and 5G have been described as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s, but it may be applied to other communication systems.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belong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210: 단말 220: LTE
230: 5G NR 240: EPC
301: 단말 303: LTE eNB
305: gNB 307: GW
309: MME 311: HLR
210: terminal 220: LTE
230: 5G NR 240: EPC
301: terminal 303: LTE eNB
305: gNB 307: GW
309: MME 311: HLR

Claims (18)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제1 통신 시스템에 연결된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기지국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의 제2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의 이용 가능 여부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의 제2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 및 상기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의 이용 가능 여부에 기초해 상기 서비스의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서비스의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기로 결정하면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를 제2 통신 시스템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제1 통신 시스템에 연결된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기지국의 방법.
A method of a base station supporting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a terminal connected to a first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a service characteristic,
Receiv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terminal permits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Receiving whether to allow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a bearer supporting a service based on the service characteristic;
Receiving availability of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terminal;
Information on whether the terminal permits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whether the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is allow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the service characteristic, and whether the terminal uses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Determining whether to support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And
Changing a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to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when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service is determined to support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의 제2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는 QCI(quality of service(QoS) class identifier)에 기초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시스템에 연결된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기지국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communication of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system is determined whether the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based on the service characteristic is allowed based on the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identifier (QCI). The method of base station supporting th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의 제2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는 ARP(allocation and retention priority)에 의해 지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시스템에 연결된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기지국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Base station supporting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whether or not to allow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based on the service characteristic is indicated by the allocation and retention priority (ARP) W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의 제2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는 bearer type으로 지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시스템에 연결된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기지국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of the base station supporting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rer type is indicated whether or not the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based on the service characteristic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은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시스템이며,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은 5G(generation) 통신 시스템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시스템에 연결된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기지국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communication system is a long term evolution (LTE) communication system,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is a method of a base station supporting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a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5G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제1 통신 시스템에 연결된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의 제2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를 수신하며, 상기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의 이용 가능 여부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에 대한 정보, 상기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의 제2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 및 상기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의 이용 가능 여부에 기초해 상기 서비스의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서비스의 제2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기로 결정하면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를 제2 통신 시스템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A base station apparatus supporting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a terminal connected to a first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a service characteristic, the base station apparatus comprising:
Receiv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o allow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terminal, and whether to accept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based on the service characteristics, and whether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terminal is available Receiving and receiving unit,
Information on whether the terminal permits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whether the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is allowed in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the service characteristic, and whether the terminal uses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o support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service and changing a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to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when determining to support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ser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QCI(quality of service(QoS) class identifier)에 기초해 상기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의 제2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o allow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a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based on the service characteristic based on a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identifier (QCI).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의 제2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는 ARP(allocation and retention priority)에 의해 지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Base s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rvice characteristic is indicated by the allocation and retention priority (ARP) whether or not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특성에 기반해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의 제2 통신 시스템 허용 여부는 bearer type으로 지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base s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rer type whether or not to allow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bearer that supports the ser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은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시스템이며, 상기 제2 통신 시스템은 5G(generation) 통신 시스템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first communication system is a long term evolution (LT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is a 5G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서비스의 특성에 기반해 제1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제2 통신 시스템으로 연결을 변경하는 단말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을 이용해 서비스를 요청하는 과정;
상기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의 이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판단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를 상기 제2 통신 시스템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제2 통신 시스템과 생성한 상기 베어러를 통해 상기 서비스를 지원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제1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제2 통신 시스템으로 연결을 변경하는 단말의 방법.
In the method of the terminal for changing the connec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system to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Requesting a service using the first communication system;
Determining whether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terminal is available;
Transmitting the determined information to a base station;
Creating a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of changing a connection from a first communication system to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the service through the bearer created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는 QCI(quality of service(QoS) class identifier)에 기초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허용 여부가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제2 통신 시스템으로 연결을 변경하는 단말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is determined by the base station based on a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identifier (QoS), the method of the terminal to change the connec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system to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는 ARP(allocation and retention priority)에 기초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허용 여부가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제2 통신 시스템으로 연결을 변경하는 단말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is determined by the base station based on allocation and retention priority (ARP), the method of the terminal to change the connec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system to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는 bearer type에 기초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허용 여부가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제2 통신 시스템으로 연결을 변경하는 단말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is determined by the base station based on the bearer type whether or not to change the connec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system to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서비스의 특성에 기반해 제1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제2 통신 시스템으로 연결을 변경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제2 통신 시스템의 이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를 상기 제2 통신 시스템과 생성하고, 상기 제2 통신 시스템과 생성한 상기 베어러를 통해 상기 서비스를 지원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1 통신 시스템을 이용해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판단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제1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제2 통신 시스템으로 연결을 변경하는 단말 장치.
A terminal apparatus for changing a connection from a first communication system to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a characteristic of a service,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of the terminal is available, generating a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and receiving the service through the bearer generated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
Terminal device for changing the connec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system to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transceiver for requesting a service using the first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tting the determined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는 QCI(quality of service(QoS) class identifier)에 기초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허용 여부가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제2 통신 시스템으로 연결을 변경하는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The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is determined to be permitted by the base station based on a quality of service (QoS) class identifier (QoS), the terminal device for changing the connec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system to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는 ARP(allocation and retention priority)에 기초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허용 여부가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제2 통신 시스템으로 연결을 변경하는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And a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is determined by the base station based on an allocation and retention priority (ARP).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를 지원하는 베어러는 bearer type에 기초해 상기 기지국에 의해 허용 여부가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제2 통신 시스템으로 연결을 변경하는 단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The bearer supporting the service is a terminal device for changing the connec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system to the second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by the base station based on the bearer type.
KR1020180071758A 2018-06-22 2018-06-22 Device and method supporting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s of user equipment based on service characteristics KR1021077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758A KR102107761B1 (en) 2018-06-22 2018-06-22 Device and method supporting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s of user equipment based on service characteristic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758A KR102107761B1 (en) 2018-06-22 2018-06-22 Device and method supporting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s of user equipment based on service characteristic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022A true KR20200000022A (en) 2020-01-02
KR102107761B1 KR102107761B1 (en) 2020-05-07

Family

ID=69155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758A KR102107761B1 (en) 2018-06-22 2018-06-22 Device and method supporting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s of user equipment based on service characteristic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76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933A (en) * 2015-08-21 201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933A (en) * 2015-08-21 201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761B1 (en)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6702B2 (en) Network entity,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the control and use of network slices
JP6822418B2 (en) Network devices, wireless terminals, and their methods
US10993271B2 (en) UE access method and apparatus
US11064388B2 (en) Traffic distribution method through multi-access network in a network and network entity performing the same
CN113630749B (en) Method and device for acquiring edge service
JP2019509698A (en) Wireless access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0907644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network slices and services
US11659462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electing a session management entity for ser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1721291B1 (en) Method and device of transmitting data in network linked heterogeneous systems
JP2013519256A (en) Method and deployment structure in a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KR20160132756A (en) Method for supporting ue access control
KR20210039502A (en) Interference coordination by dynamic spectrum management in communication systems
CN110769468B (en) Processing method of network slice, access network element and user terminal
CN111556565A (en) Paging method and paging device
EP3913982A1 (en) Network slicing with a radio access network node
US10362580B2 (en) Fair resource sharing in broadcast based D2D communications
US10129079B2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KR101989137B1 (en) S1AP signaling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107761B1 (en) Device and method supporting heterogeneous communication systems of user equipment based on service characteristics
CN115244991A (en) Communi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US20240031929A1 (en) Connection Establishment
EP291811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ent distribution within a sub - cell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20230422293A1 (en) Network Slice Based Priority Access
KR10211113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ual connectivity
CN117479263A (en) Method for determining access identifier and user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