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3735A - Pillow within hinoki cypress pillow - Google Patents
Pillow within hinoki cypress pillow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43735A KR20190143735A KR1020180071625A KR20180071625A KR20190143735A KR 20190143735 A KR20190143735 A KR 20190143735A KR 1020180071625 A KR1020180071625 A KR 1020180071625A KR 20180071625 A KR20180071625 A KR 20180071625A KR 20190143735 A KR20190143735 A KR 201901437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ypress
- grains
- pillow
- cushion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723436 Chamaecyparis obtusa Species 0.000 title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41000218691 Cupressace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6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1000723437 Chamaecyparis Species 0.000 abstract 4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620 Fagopyrum esculen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19 Fagopyrum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79 Memory 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3738 Sleep Initiation and Maintenanc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2437 insomn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6 lat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26 latex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0 memory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761 scalp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6—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of wood powder or sawdu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24—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household utensils, e.g. spoons, clothes hangers, clothes peg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1/00—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 B68G2001/005—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for pillows or duv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편백나무 알갱이가 내장된 베게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복원력에 의한 완충효과가 뛰어난 발포 스펀지의 상부에 편백나무 알갱이를 배치하여 취침시 숙면을 유도할 수 있는 편백나무 알갱이가 내장된 베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ow with a built-in cypress granules, more specifically, a cypress granules that can induce a good night's sleep at the time of bedtime by placing the cypress granules on top of a foam sponge having excellent buffering effect by the restoring force It's about pillows.
일반적으로 취침시 머리를 받쳐주는 베게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베게는 전체적으로 납작하거나 둥근 형태를 가지며, 머리의 형태에 따라 가변되면서 형태가 변할 수 있도록 쿠션을 가진다. 예컨대, 라텍스 재질로 제작되는 메모리폼 베게가 있다.Generally, a pillow for supporting the head at bedtime is used. The pillow has a flat or round shape as a whole, and has a cushion to change shap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head. For example, there is a memory foam pillow made of a latex material.
또한, 베게에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향기가 나는 나무조각이나 메밀 등의 천연재료를 베게속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향균 및 탈취 기능이 부여되기도 한다.In addition, natural materials such as scented wood chips and buckwheat may be used as pillows to impart functionality to pillows, and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functions may be provided.
또한, 사용자의 수면 습관과 취향에 따라 푹신한 재질을 선호하는 경우도 있는 반면, 딱딱한 재질을 선호하는 경우도 있으며, 베게를 넓게 보는 경우, 수면 중에 지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목침도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user's sleep habits and tastes may be preferred to a fluffy material, while a hard material may also be preferred, if the pillow is wide, may include a needle that can obtain the effect of acupressure during sleep.
최근에는, 천연재료인 편백나무를 알갱이 형태로 제작하여 베게 속을 채워 사용하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데, 편백나무 만으로 베게 속을 채우는 경우 지압의 효과는 있는 반면, 예수면 중 통증을 느껴 숙면을 방해하는 경우도 있다.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to use natural materials of cypress, which are in the form of granules, to fill the pillow with pillows. In some cases.
또한, 상기와 같이 편백나무 알갱이 만으로 베게 속을 채우는 경우, 두부의 하중에 의해 편백나무 알갱이가 일측으로 치우지게 되는데, 이는 베게의 높이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없어 수면 후 목이 뻐근하거나 심할 경우 목디스크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filling the pillow with only cypress grains as described above, the cypress grains are removed to one side by the load of the head, which is not able to maintain the height of the pillow uniformly so that the neck disk is stiff or severe after sleep.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caused.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9-0021710호(고안의 명칭:베게, 공개일자:1999년 06월 25일)가 있다.Related prior art is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9-0021710 (designated name: pillow, published date: June 25, 199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원력에 의한 완충효과가 뛰어난 발포 스펀지의 상부에 편백나무 알갱이를 배치하여 취침시 숙면을 유도할 수 있는 편백나무 알갱이가 내장된 베게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lace a cypress granules on top of the foam sponge excellent in the buffering effect by the restoring force is built-in cypress granules that can induce a good night sleep To provide pillows.
또한, 수면 중 두부를 움직이거나 뒤척이는 경우에도 편백나무 알갱이가 일측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여 베게의 높이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편안하게 숙면을 유지시킬 수 있는 편백나무 알갱이가 내장된 베게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even when the head is moved or tossed during sleep, the cypress grains are prevented from being biased to one side to maintain the height of the pillow evenly, thereby providing a pillow with the cypress grains that can maintain a good night's sleep.
또한, 쿠션부에는 물성변화의 편차가 적어지도록 직육면체 형상의 알갱이인 발포스펀지가 채워짐으로 인하여 베게의 위치별 쿠션감의 편차가 적은 편백나무 알갱이가 내장된 베게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ushion portion is filled with a foam sponge, which is a cuboid-shaped granules so that the variation of the physical property change is to provide a pillow with a built-in cypress grains with less variation in the cushioning feeling for each position of the pillow.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 알갱이가 내장된 베게는, 수면시 두부를 지지하는 베게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는 발포스펀지가 채워지는 쿠션부와, 상기 쿠션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편백나무 알갱이가 채워지는 포켓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illows with built-in cypress granu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relates to a pillow for supporting the head when sleeping, the cushion portion is filled with a foam sponge inside, an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portion ,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cket portion filled with cypress grains.
또한, 상기 발포스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편백나무 알갱이는 모서리가 둥근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oam sponge is produc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 cypress grain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ner is manufactur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또한, 상기 쿠션부의 상면에는 상기 편백나무 알갱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쿠션부의 상면 대비 함몰되는 복수의 제1포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first pockets recessed relativ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portion so that the granules of cypress can be accommodated.
또한, 상기 복수의 제1포켓은, 상기 편백나무 알갱이가 수용되는 수용홈과, 상단이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편백나무 알갱이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수직 목부와, 상기 쿠션부 내부에서 상기 수직 목부들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수직 목부를 통해 유입되는 편백나무 알갱이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수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irst pockets, the vertical neck portion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cypress granules are accommodated, and an upp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so that the cypress granule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can flow. And a horizontal part connecting the vertical neck parts to each other in the cushion part and allowing the cypress grains introduced through the vertical neck part to m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상기 연통라인의 외벽에는 사용자 두부의 하중에 의해 상기 제1포켓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er wall of the communication lin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member to prevent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pocket to one side by the load of the user head.
또한, 상기 복수의 제1포켓들 사이에는, 내부에는 편백나무 알갱이가 채워져 상기 쿠션부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포켓부의 내측면과 맞닿아 상기 포켓부에 채워진 편백나무 알갱이가 일측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포켓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pockets, the interior of the cypress grains are filled to protrud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portion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pocket portion to prevent the cypress grains filled in the pocket portion to be biased to one side A second pocket is further characterized.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복원력에 의한 완충효과가 뛰어난 발포 스펀지의 상부에 편백나무 알갱이를 배치하여 취침시 숙면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induce a good night's sleep at bedtime by arranging grains of cypress on the top of the foam sponge excellent in buffering effect by the restoring force.
또한, 수면 중 두부를 움직이거나 뒤척이는 경우에도 편백나무 알갱이가 일측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여 베게의 높이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편안하게 숙면을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head is moved or tossed during sleep, the cypress grain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iased to one side, thereby maintaining the height of the pillow evenly.
또한, 쿠션부에는 물성변화의 편차가 적어지도록 직육면체 형상의 알갱이인 발포스펀지가 채워짐으로 인하여 베게의 위치별 쿠션감의 편차가 적어지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ushion portion has a merit in that the cushioning by position of the pillow is reduced due to the filling of the foam sponge, which is a cuboid-shaped grain, so that the variation of the physical property is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편백나무 알갱이가 내장된 베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 및 발포 스펀지와 편백나무 알갱이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편백나무 알갱이가 내장된 베게의 쿠션부 상면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편백나무 알갱이가 내장된 베게의 쿠션부에서 제1포켓을 분리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편백나무 알갱이가 내장된 배게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llow having a built-in cypress grai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AA and foam sponge and cypress granules of FIG.
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portion of the pillow with a built-in cypress grain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pocket is separated from a cushion part of a pillow having a built-in cypress grai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llow with a built-in cypress granul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편백나무 알갱이가 내장된 베게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 및 발포 스펀지와 편백나무 알갱이를 보인 예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illow with a built-in cypress granul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and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oam sponge and a cypress grain. to be.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편백나무 알갱이가 내장된 베게는, 쿠션부(100)와 포켓부(200)를 포함하며, 두부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본 발명의 외부는 외피(10)에 의해 덮여진다. 상기 외피는 취침시 땀이나 두피에서 배출되는 노폐물 등에 의해 오염될 수 있으므로 위생상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방법으로 교체가 가능하다.Pillows with built-in cypress grai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쿠션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복수의 발포 스펀지(20)가 채워지는데, 이러한 발포 스펀지(20)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며, 도 3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상기와 같이 쿠션부(100)에 채워지는 발포 스펀지(20)는 신속하게 변형 및 복원되며, 취침시 푹신한 느낌을 주는 완충재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발포스펀지(20)가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큐빅 형상)으로 제작되면, 일체로 제작되는 것 보다 물성변화의 편차가 적어지는데, 일체로 제작되는 경우 온도변화에 따라 물성(부드러움)의 편차가 크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발포 스펀지(2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됨으로 인하여 물성 변화의 편차가 적어져 베게 전반적으로 쿠션감이 균일해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Accordingly, since the
이에 따라, 발포 스펀지(20)는 취침시 두부의 하중이 가해지면 편백나무 알갱이에 의해 가압되면서 자연스럽게 변형되며, 변형에 의해 발포 스펀지(20)에는 복원력이 저장되는데, 이러한 복원력에 의해 수면시 취침자는 푹신하고 편안한 느낌을 받게 된다.Accordingly, the
상기와 같은 쿠션부(100)의 상면에는 포켓부(20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포켓부(200)의 내부에는 편백나무 알갱이(30)가 채워진다.The upper surface of the
편백나무는 피톤치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피톤치드는 희랍어로 Phtton(식물)+Cide(죽이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러시아의 한 대학교 학자가 1937년 처음으로 발견했는데, 편백나무가 해충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뿜어내는 물질이라고 해서 피톤치드라는 이름이 지어졌다.Cypress contains phytoncide, which means Phtton + Cide in Greek. A Russian university scholar discovered it for the first time in 1937 and named it phytoncid as a substance that the cypress exudes to protect itself from pests.
편백나무의 효능으로는 면역력 향상, 악취제거, 생기기능의 활성화, 불면증 해소와 스트레스 해소 및 피부재생 등이 있다.The benefits of cypress include improving immunity, removing odors, activating vitality, relieving insomnia and stress, and regenerating skin.
상기 편백나무 알갱이(30)는 도 3의 부분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며, 취침시 두부에 지압효과를 줌과 동시에 통증은 최소한으로 발생되도록 방지되도록 모서리를 둥글게 마감처리하는 방식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한편, 상기 포켓부(200)는 내부에 보관된 편백나무 알갱이(30)가 좌우로 치우치는 것이 방지되도록 탄성이 있는 재질(예:나일론 소재 등)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편백나무 알갱이가 내장된 베게의 쿠션부 상면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편백나무 알갱이가 내장된 베게의 쿠션부에서 제1포켓을 분리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편백나무 알갱이가 내장된 배게의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portion of the pillow with a built-in cypress grai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ushion portion of a pillow with a built-in cypress grai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pocket is separate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llow having a built-in cypress grai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의 포켓부(200) 상면과 내부에 편백나무 알갱이(30)가 더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베게의 높이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후술할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detailed descriptions of components overlapping with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상기 쿠션부(100)의 상면에는 쿠션부(100)의 상면 대비 함몰되는 제1포켓(110)이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쿠션부(100)의 상면은 베게가 대체로 평평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와 같은 제1포켓(110)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100)의 상면에 개방부(101)가 형성되고, 제1포켓(110)은 대체로 상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제작된다.As shown in FIGS. 4 to 5, the
상기 제1포켓(110)의 상면에 인접한 테두리에는 포켓부(200)의 상면에 탈착되도록 결합수단(예:벨크로, 버튼 등)이 구비되어 쿠션부(100)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The edge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제1포켓(110)은 포켓부(200) 상면의 복수의 위치에서 탈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쿠션부(100)가 개방됨으로 인하여 발포 스펀지(2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제1포켓(110)을 쿠션부에서 분리시킴으로 간편하게 발포 스펀지(20)를 교체할 수 있다.When the
상기 발포 스펀지(2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는, 발포 스펀지(20)의 복원력 상실이나 발포 스펀지(20)가 오염된 경우 등이 있을 것이다.When the
상기와 같은 복수의 제1포켓(110)은 편백나무 알갱이(30)가 수용되는 수용홈(111)과, 이 수용홈(111)의 하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며, 상기 수용홈(111)과 연통되는 수직 목부(112)를 각각 포함하며, 각각의 수직 목부(112)의 하부는 수평부(113)와 연통되어 모든 수직 목부(112)는 수용홈(111)과 연통된다.The plurality of
상기와 같은 수직 목부(112)와 수평부(113)는 쿠션부(100)의 내부에 배치된다.The
상기와 같이 연통되는 수용홈(111), 수직 목부(112) 및 수평부(113)에는 편백나무 알갱이(30)가 모두 채워지는데, 이렇게 채워지는 편백나무 알갱이(30)들은 사용자 두부의 하중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다.Receiving groove 111, the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어느 하나의 수용홈에 채워진 편백나무 알갱이(30)는 사용자 두부의 하중에 의해 수직 목부(112)와 수평부(113)를 통해 다른 수용홈(111)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이에 따라, 포켓부(200)에 상대적으로 적은 개수의 편백나무 알갱이(30)가 채워진 곳으로 편백나무 알갱이(30)가 이동되어 베게의 상면이 항상 균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Accordingly, the
또한, 상기 수직 목부(112)에는 지지부재(11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지지부재(114)는 사용자 두부의 하중이 집중되어 수직 목부(112)가 눌리게 되는 경우에도 제1포켓(110)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수직 목부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됨으로 인해 제1포켓(110)에 수용된 편백나무 알갱이(30)들은 이동될 수 있다.Since the vertical neck is prevented from tilting to one side 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상기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100)의 상면에 구비된 복수의 제1포켓(110)들 사이에는 제2포켓(120)들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2포켓(120)의 내부에는 편백나무 알갱이(30)가 채워진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5 to 6,
상기와 같이 제2포켓(120)의 내부에 편백나무 알갱이(30)가 채워지게 되면, 쿠션부(10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When the
상기와 같이 제2포켓(120)이 돌출되는 경우, 포켓부(200)의 저면과 제2포켓(120)의 상면이 밀착되어 포켓부(200)의 내부(쿠션부(100)의 상부)에서 편백나무 알갱이(30)가 일측으로 치우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When the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복원력에 의한 완충효과가 뛰어난 발포 스펀지의 상부에 편백나무 알갱이를 배치하여 취침시 숙면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induce a good night's sleep at bedtime by arranging grains of cypress on the top of the foam sponge excellent in buffering effect by the restoring force.
또한, 수면 중 두부를 움직이거나 뒤척이는 경우에도 편백나무 알갱이가 일측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여 베게의 높이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편안하게 숙면을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head is moved or tossed during sleep, the cypress grain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iased to one side, thereby maintaining the height of the pillow evenly.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best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Herein,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but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외피
20-발포 스펀지
30-편백나무 알갱이
100-쿠션부
101-개방부
110-제1포켓
111-수용홈
112-수직 목부
113-수평부
114-지지부재
200-포켓부10-shell
20-foaming sponge
30-Cypress Kernel
100-Cushion 101-Open
110-pocket 1 111-receiving groove
112-Vertical Neck 113-Horizontal
114-support member
200-pocket part
Claims (6)
내부에는 발포 스펀지가 채워지는 쿠션부와,
상기 쿠션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편백나무 알갱이가 채워지는 포켓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알갱이가 내장된 베게.A pillow for supporting the head when sleeping,
Cushion part filled with foam sponge inside,
I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portion, pillows with built-in cypress grain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includes a pocket portion filled with cypress grains.
상기 발포 스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기 편백나무 알갱이는 모서리가 둥근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알갱이가 내장된 베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amed sponge is made of a cuboid shape,
The cypress grains are pillows with built-in cypress grain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ners are rounded rectangular shape.
상기 쿠션부의 상면에는 상기 편백나무 알갱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쿠션부의 상면 대비 함몰되는 복수의 제1포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알갱이가 내장된 베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illow on which the cypress granules are embedde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unit, a plurality of first pockets recessed relativ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unit to accommodate the cypress grains.
상기 복수의 제1포켓은,
상기 편백나무 알갱이가 수용되는 수용홈과,
상단이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편백나무 알갱이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수직 목부와,
상기 쿠션부 내부에서 상기 수직 목부들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수직 목부를 통해 유입되는 편백나무 알갱이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수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알갱이가 내장된 베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plurality of first pockets,
A receiving groove in which the cypress grains are accommodated;
A vertical neck having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groove and provided with a space for introducing the cypress grain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groove;
A pillow having a built-in cypress grain, comprising a horizontal portion which connects the vertical throats to each other inside the cushion part and which the cypress grains flowing through the vertical throat can m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연통라인의 외벽에는 사용자 두부의 하중에 의해 상기 제1포켓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지지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알갱이가 내장된 베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 pillow with embedded cypress grains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communication line to further prevent the first pocket from being inclined to one side by the load of the user's head.
상기 복수의 제1포켓들 사이에는,
내부에는 편백나무 알갱이가 채워져 상기 쿠션부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포켓부의 내측면과 맞닿아 상기 포켓부에 채워진 편백나무 알갱이가 일측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포켓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알갱이가 내장된 베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pockets,
A cypress granules are filled therein, and a second pocket for protru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ushion part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pocket part to prevent the cypress granules filled in the pocket part from being biased to one side. Pillow with wood grai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1625A KR102121993B1 (en) | 2018-06-21 | 2018-06-21 | Pillow within hinoki cypress pillow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1625A KR102121993B1 (en) | 2018-06-21 | 2018-06-21 | Pillow within hinoki cypress pillow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43735A true KR20190143735A (en) | 2019-12-31 |
KR102121993B1 KR102121993B1 (en) | 2020-06-11 |
Family
ID=69051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1625A KR102121993B1 (en) | 2018-06-21 | 2018-06-21 | Pillow within hinoki cypress pillow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199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7119B1 (en) | 2020-07-09 | 2022-12-13 | 홍성권 | Filler for cushi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3143B1 (en) * | 2014-06-30 | 2016-01-06 | 김종율 | Functional pillow including combined dual structure inner pillow |
JP2016165461A (en) * | 2015-03-06 | 2016-09-15 | 株式会社タイカ | Packing and cushion or mattress using the same |
-
2018
- 2018-06-21 KR KR1020180071625A patent/KR10212199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3143B1 (en) * | 2014-06-30 | 2016-01-06 | 김종율 | Functional pillow including combined dual structure inner pillow |
JP2016165461A (en) * | 2015-03-06 | 2016-09-15 | 株式会社タイカ | Packing and cushion or mattress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21993B1 (en) | 2020-06-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143735A (en) | Pillow within hinoki cypress pillow | |
KR101557145B1 (en) | Height control pillow | |
KR20230064167A (en) | Pillow structure | |
KR20110007707U (en) | a variable mattress cover | |
KR102690207B1 (en) | Functional pillow | |
KR100703195B1 (en) | Custom pillow | |
KR20220106632A (en) | Pillow for head pressure relief | |
KR101649980B1 (en) | Functional pillow with neck support pillow portion | |
KR200421926Y1 (en) | Functional shoulder.Back pillow | |
KR101299401B1 (en) | Multi function pillow for supporting cervical vertebrae | |
KR101551571B1 (en) | Functional pillow including dual structure inner pillow | |
KR101626219B1 (en) | Enabled functionality pillows in different directions | |
KR101554728B1 (en) | The pillow | |
KR200490055Y1 (en) | Memory Foam Pillow | |
JP6366293B2 (en) | pillow | |
KR102520310B1 (en) | Functional pillow with adjustable cervical vertebrae height | |
KR200497926Y1 (en) | Pillow | |
JP2002262977A (en) | Pillow | |
JP2020171486A (en) | Pillow body and pillow | |
CN211984828U (en) | Multifunctional pillow | |
KR102417727B1 (en) | Multi-function pad member and bean bag including the same | |
KR102668612B1 (en) | Pillow | |
KR200369626Y1 (en) | pillow | |
KR200420646Y1 (en) | Functional back pillow | |
KR100665859B1 (en) | Arm pillow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6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