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143B1 - Functional pillow including combined dual structure inner pillow - Google Patents

Functional pillow including combined dual structure inner pill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143B1
KR101583143B1 KR1020140080733A KR20140080733A KR101583143B1 KR 101583143 B1 KR101583143 B1 KR 101583143B1 KR 1020140080733 A KR1020140080733 A KR 1020140080733A KR 20140080733 A KR20140080733 A KR 20140080733A KR 101583143 B1 KR101583143 B1 KR 101583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ing
pillow
pocket
partition wall
wal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7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율
Original Assignee
김종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율 filed Critical 김종율
Priority to KR1020140080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14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1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6Filling of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pillow including an integrate type inner pillow of a dual structure in which two pockets that are capable of filling a first inner pillow and a second inner pillow formed of different material from that of the first inner pillow are formed in one pillow inner skin. A functional pillow including an integrated type inner pillow of a dual structure as an inner pillow (100) of which an outer surface is laid by a pillow outer skin (200), and which includes filler housed in the inner space thereof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filling pocket (20A) which is formed of granular material, and in which a high hardness first filler (20) based on physical properties thereof is filled is includ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pillow; a second filling pocket (30A) filling a second filler (30) having buffering properties is included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pillow, wherein the second filling pocket (30A) includes a second outer member (13) and an intermediate partition member (12) as fiber members that form the second filling pocket (30A) such that the second filling pocket (30A) is provided in a pocket form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second outer member (13) and the intermediate partition member (12); the first filling pocket (20A) is provided in another pocket form formed by a space between the intermediate partition member (12) and a first outer member (11) which is in an integrated form in a state that the first filling pocket (20A) is added to the intermediate partition member (12) forming the second filling pocket (30A) in an opposite direction of the second outer member (13); an inner partition member (40) extending in a plan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extension plane of the intermediate partition member (12)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illing pocket (30A) is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outer member (13) and the intermediate partition member (12) that form the second filling pocket (30A); and one end of the inner partition member (40) is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partition member (12), the other end of the inner partition member (40) is connected to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outer member (13) such that the second filling pocket (30A) is divided and formed into two pillar type filling spaces (30A1) and (30A2), and the two pillar type filling spaces (30A1) and (30A2) that form the second filling pocket (30A) are circumscribed on the first filling pocket (20A) in a state that the intermediate partition member (12) is formed between the two pillar type filling spaces (30A1) and (30A2) to form an integrated type inner pillow (100).

Description

이중 구조의 일체형 베개 속을 구비한 기능성 베개 {Functional pillow including combined dual structure inner pillow}[0001] Functional pillow including a combined dual structure inner pillow [

본 발명은 베개 내피에 수납되는 제1 베개 속과 다른 재료로 형성되는 제2 베개 속을 충진할 수 있는 2개의 포켓을 하나의 베개 내피에 형성한 이중 구조의 일체형 베개 속을 구비한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pillow having a dual structure integral pillow in which two pockets are formed in a single pillow inner surface to fill a second pillow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pillow contained in the pillow endothelium .

일반적으로,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아주 편안한 상태에서의 숙면을 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수면을 취하기 위해서는 각종 침구류(베개, 이불, 요, 침대 등)가 사용 되며, 이들 중에서 특히 베개는 인체에 가장 중요한 머리 부분에 받쳐 사용하게 되므로 적절한 쿠션력과 높이의 설정이 요구되며, 숙면을 위한 기본적이면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뿐만 아니라 베개는 편안한 숙면 뿐 아니라 수면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경추(목뼈)의 안정적인 지지나 목 주변 근육의 충분한 이완을 지원하여야 하는 등의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베개는 다양한 형태로 내부의 베개 속에 각종 충진재를 충진하여 구성하여 이러한 베개 속을 세탁이 가능한 소재로 구성된 베개 외피를 감싸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In general, it is very important to take a good night's sleep in a comfortable state to maintain health. In order to sleep, various kinds of bedclothes (pillow, quilt, urine, bed, etc.) are used. Among them, It is necessary to set appropriate cushion power and height because it is used on the important head part, and it is a basic and most important factor for sleeping. In addition, the pillow performs necessary functions such as supporting a stable support of the user's cervical vertebrae (neckbone) and sufficient relaxation of the muscles around the neck in the process of sleeping as well as comfortable sleeping. The pillow is filled with various fillers to enclose the pillow envelope made of a washable material.

과거로부터 단순한 쿠션감을 위한 솜이나 스폰지 등이 사용되었으나, 오늘날 기능성 베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각종 기능성 성분의 충진재를 베개 속에 넣어 구성하고 있다.In the past, a cotton or sponge was used for a simple cushioning feeling. However, as the demand for a functional pillow increases, the filling material of various functional ingredients is put into a pillow.

이러한 기능성 충진재로서는 다양한 재료가 있지만, 양호한 기능성 제품의 하나의 예로서 피톤치드 작용을 통해서 스트레스 해소, 불면증예방, 숙면에 도움을 주며 진드기 예방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편백나무 조각을 이용한 도 1a와 같은 구조를 가진 편백나무 베개(1)가 상용화되어 있다.There is a variety of materials as such functional fillers, but one example of a good functional product is the one having a structure as shown in Fig. 1A using a piece of wood flour, which is known to relieve stress through phytoncide action, prevent insomnia, A soft wood pillow (1) is commercially available.

그러나, 편백나무 조각(1b)은 칩 형태(육면체, 원기둥 등의 다양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경도가 높은 재료이기에 지퍼형 체결구(1c)를 구비한 베개 속(1a)에 편백나무 조각(1b)을 넣고서 그 외부에 일반적인 베개 외피(1d)를 감싸는 일반적인 구조의 편백나무 베개(1)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딱딱한 편백나무 조각(1b)이 머리에 닿는 이물감을 선호하지 않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편백나무 베개(1)를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편백나무 조각을 보다 얇게 가공하거나 톱밥과 같은 형태로 가공하는 경우에는 잘 부스러지고 먼지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uneven wood pieces 1b are formed in a chip form (various forms such as a hexahedron and a cylinder) and are made of a material with high hardness, the uneded wood pieces 1b In the case of a user who does not prefer a foreign body touching the head with the hardened piece of the wood piece 1b in the case of constituting the plain pillow body 1 with a general structure in which the outside of the pillow body 1d is covered with a general pillow sheath 1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the pillow 1.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a piece of unbranched wood is processed to be thinner or processed into sawdust shape, it is crumbled and dust is generated.

또한, 이와 같이 베개 속 재료로서 메밀씨나 복숭아씨와 같이 편백나무 조각처럼 경도가 높고 입자 크기가 큰 재료가 사용되는 경우나 또는 국화 베개를 구성하면서 베개 속 재료로서 국화 꽃잎 뿐만 아니라 국화꽃 가지를 일부 포함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재료들은 사용자에게 딱딱한 이물감을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when a material having a high hardness and a large particle size such as buckwheat or peach seeds such as buckwheat or peach seeds i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pillow, or when forming a chrysanthemum pillow, the chrysanthemum flower bud Even if included in some cases, these materials have the same problem of allowing the user to experience a rigid foreign body sensation.

이러한 상황에 대한 1차적인 해결책으로서 첨부 도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종류의 상이한 베개속 충진재(2b-1, 2b-2)를 각각 충진한 2개의 베개 내피(2a-1, 2a-2)를 결합 수단(2e)으로써 한 묶음으로 만든 다음에 베개 외피(2d) 내부 공간에 삽입하고, 지퍼식 체결구(2c)로 베개 외피(2d)의 입구를 봉하는 구조를 가진 이중 구조의 베개(2)를 채택할 수 있으나, 2종류의 상이한 베개속 충진재(2b-1, 2b-2)를 각각 충진한 2개의 베개 내피(2a-1, 2a-2)의 경우에는 이들을 예컨대 벨크로 테이프와 같은 결합 수단(2e)으로써 상호 연결하더라도 상호 일체성이 부족하여서 사용중에 어느 한쪽의 베개 내피 또는 그 내부의 충진재가 한쪽으로 쏠리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쉬워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생산자 입장에서도 부품 수요가 많아서 생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반면에 구조적인 한계로 인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기는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As a primary solution to this situation, two pillow endothelium (2a-1, 2a- 2c) filled respectively with two different pillow packings (2b-1, 2b-2) 2) having a structure of making a bundle by a coupling means 2e and then inserting it into the inner space of the pillow outer 2d and sealing the mouth of the pillow outer 2d with the zipper type fastener 2c The pillow 2 may be adopted but in the case of the two pillow endothelium 2a-1 and 2a-2 filled with two kinds of different pillow fillers 2b-1 and 2b-2,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ner surface of one of the pillows or the filling material in the inner side of the pillow tends to be tilted to one side during use, so that it is not only inconvenient to the user, And the production cost is high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duct due to structural limitations on the other hand, it has to be a difficult problem.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를 일부 개량한 개량 구조가 가진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능성 베개를 구성하는 제1 베개속 충진재(제1 충진재)로서 편백나무 조각과 같이 사용자에게 딱딱한 이물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이를 완충할 수 있도록 완충성을 가진 제2 베개속 충진재(제2 충진재)를 하나의 베개 내피 속에 함께 충진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베개속 구조를 가진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된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improved structure. The first pillow filling material (first filling material) constituting the functional pillow is provided with a rigid foreign body (Second filling material) having a buffering property so as to be able to buffer the filling material even when using a material that allows the user to feel the feeling of the double pillow structure It is a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llow.

나아가, 제1 베개속 충진재(제1 충진재)와 제2 베개속 충진재(제2 충진재)를 하나의 베개 내피에 형성되는 복수의 분리된 충진 포켓에 충진할 때, 충진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2가지의 상이한 물성을 가진 충진재를 일체형 베개 내피의 내부에 공간 분할되어 형성되는 각각의 충진 포켓에 순차적으로 충진할 때, 먼저 충진된 충진재에 의해 발생하는 충진 밀도 분포의 불균형성으로 인하여 후속 충진되는 충진재의 균일한 충진이 방해 받지 않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된다.
Furthermore, when filling the first pillow filling material (first filling material) and the second pillow filling material (second filling material) into a plurality of separate filling pockets formed in one pillow inner film, the convenience of the filling operation is improved When the filling material having two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is sequentially filled in each of the filling pockets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integral pillow endothelium, the filling density of the filling material is not uniformly distributed due to the imbalance of the packing density distribution caused by the filling material, It is also a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the uniform filling of the filler material is not disturbe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이중 구조의 베개 속을 가진 기능성 베개에 있어서,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nctional pillow having a dual structure of a pillow,

베개 외피에 의해 외표면이 쌓여지며 내부 공간에 충진재를 포함하는 베개 속으로서, A pillow having an outer surface stacked by a pillow shell and containing a filling material in an inner space,

입상체로 형성되며 자체의 물성적인 특성에 기초한 고경도의 제1 충진재를 충진하는 제1 충진 포켓을 베개의 일측면에 구비하며, 상기 제1 충진재를 완충하기 위하여 베개의 타측면에는 완충성을 가진 제2 충진재를 충진하는 제2 충진 포켓을 구비하고, A first filling pocket formed of a granular material and filling a first filling material having a high hardness based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rst filling material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illow and the other side of the pillow is buffered And a second filling pocket for filling the second filling material,

상기 제2 충진 포켓은 이를 형성하는 섬유 부재로서 제2 외측 부재와 중간 격벽 부재를 포함하여 그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하나의 주머니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제1 충진 포켓은 상기 제2 충진 포켓을 형성하는 상기 중간 격벽 부재에 상기 제2 외측 부재의 반대 방향으로 부가되어 일체로 제공되는 제1 외측 부재와 상기 중간 격벽 부재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또 하나의 주머니 형태로 제공되며, 그리고Wherein the second filling pocket is provided as a fibrous member that forms the second filling pocket and includes a second outer member and an intermediate partition wall member and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ag formed in the space therebetween and the first filling pocket forms the second filling pocket A second outer member provided on the intermediate partition wall member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outer member and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intermediate partition wall member, and another pocket formed by a space between the intermediate partition wall members,

상기 제2 충진 포켓을 형성하는 상기 제2 외측 부재와 중간 격벽 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2 충진 포켓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중간 격벽 부재의 연장 평면에 수직되는 방향의 평면으로 연장되는 내격벽 부재를 설치하되, 상기 내격벽 부재의 일단은 상기 중간 격벽 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외측 부재의 내측면에 연결하여 제2 충진 포켓을 2개의 기둥형 충진 공간으로 분할 형성하며, 제2 충진 포켓을 형성하는 2개의 기둥형 충진 공간은 상기 중간 격벽 부재를 사이에 두고서 상기 제1 충진 포켓에 외접하여 1개의 일체화된 베개 속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일체형 베개 속을 구비한 기능성 베개를 제공한다.An inner partition wall member extending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plane of the intermediate partition wall memb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ill pocket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outer member and the intermediate partition wall member forming the second fill pocket One end of the inner partition wall member is connected to the middle partition wall membe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outer member to divide the second fill pocket into two column fill spaces and form a second fill po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pillars are provided so as to circumscribe the first filling pocket with the intermediate partition wall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to form one integrated pillow. ≪ RTI ID = 0.0 >Lt; / RTI >

여기에서, 상기 내격벽 부재의 양측에 충진되는 제2 충진재의 상기 2개의 기둥형 충진 공간 사이에서의 이동이 차단되지 않도록 상기 내격벽 부재는 베개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중앙부에 설치되고 양단부에까지 연장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inner partition wall member may be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with respect to the entire length of the pillow so as not to block movement between the two pillars of the second filling material fill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partition wall member, .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의 베개 속을 구비한 기능성 베개에 의하면, 편백나무 조각과 같이 사용자에게 딱딱한 이물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소재를 베개 속 재료로 사용하는 기능성 베개를 구성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딱딱한 이물감을 제공하는 제1 베개 속 충진재가 충진되는 제1 충진 포멧과, 사용자의 머리 부분 사이에 별도의 완충성 재료를 충진한 제2 충전 포켓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취향의 사용자에게 보다 사용하기 편리한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unctional pillow having the double structure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unctional pillow is used as a material for the pillow such that the user can feel a strong foreign body feeling like a piece of uneven wood And a second charging pocket filled with a separate shock-absorbing material between the head portion of the user can be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pillows, To provide a functional pillow that is more convenient to use.

또한, 입상형의 제1 베개속 충진재와 이 보다 입자가 작으며 완충성을 가진 제2 베개속 충진재를 하나의 베개 내피에 형성되는 복수의 분리된 충진 포켓에 충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진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하나(한겹)의 섬유 부재, 즉 중간 격벽 부재를 사이에 두고서 제1 베개속 충진재와 제2 베개속 충진재가 함께 충진되기에 입상형의 제1 베개속 충진재의 일부가 제2 베개속 충진재에 밀착 또는 압착되어 충진되도록 함으로써 2가지 충진재의 일체성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ill the granular first filler material and the second granular filler material smaller in size and buffering into a plurality of separate filler pockets formed on the inner end of one pillow, (One-ply) fibrous material, that is, the first pillow filler and the second pillow filler are filled together with the intermediate partition wall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so that part of the granular first pillow filler 2 It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integrity of the two fillers by being pressed or pressed by the filler in the pillow.

그리고, 2가지의 상이한 물성을 가진 충진재를 일체형 베개 내피의 내부에 공간 분할되어 형성되는 각각의 충진 포켓에 순차적으로 충진할 때 먼저 충진되는 완충성을 가진 제2 베개속 충진재에 의해 발생하는 제2 충진 포켓의 하단부의 팽창 현상을 제2 충진 포켓을 2개의 기둥형 충진 공간으로 분할 형성함으로써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진 밀도 분포의 불균형성을 감소시켜서 후속 충진되는 제1 베개속 충진재의 균일한 충진이 방해 받지 않도록 하여 최종적인 제품의 품질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When the filler material having two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is sequentially filled in the respective filler pockets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integral pillar endothelium, the second pillar filler material having the buffering property, which is filled first, The inflation of the lower end of the filling pocket can be minimized by dividing the second filling pocket into two column-like filling spaces, thereby reducing the imbalance of the filling density distribution, so that the uniform filling of the first filling material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contributing to improvement of final product quality.

도 1a는 종래의 일반적인 편백나무 베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이르기 이전의 1차적 개량 기술로서 완충성 충진재를 충진한 추가적인 베개 속을 베개 외피 내에 함께 삽입하는 구조의 이중 구조 베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기능성 베개을 구성하는 베개 속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일체형 베개 속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제2 충진 포켓에 완충성의 제2 충진재를 먼저 충진하는 상태를 사시도의 형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의 상태에서 제2 충진 포켓 내에 완충성의 제2 충진재를 채운 다음에, 후속하여 제1 충진 포켓 내에 제1 충진재(편백나무 칩)를 충진하는 상태를 사시도의 형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b의 a-a선 단면도로서, 베개속 외부의 베개 외피까지 나타낸 기능성 베개 전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제2 충진 포켓 내부에 내격벽을 설치한 상태에서, 제2 충진 포켓에 완충성의 제2 충진재를 먼저 충진하는 상태를 사시도의 형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 후속하여 제1 충진 포켓 내에 제1 충진재(편백나무 칩)를 충진하는 상태에서 도 4의 a-a선을 따라서 단면한 베개속 외부의 베개 외피까지 나타낸 기능성 베개 전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충진 포켓 내부에 설치되는 내격벽 부재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 1A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plain white wooden pillow.
FIG. 1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uble structure pillow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n additional pillow filled with a buffer filler is inserted together in a pillow shell as a primary modification technique prior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ual-structure integral type pillow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pillow constituting a functional pillow, wherein the second filling pocket is filled with a buffering second filling material first In the form of a perspective view.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illing material is filled in the second filling pocket in the state of FIG. 2A, and then the first filling material (plain wood chip) is filled in the first filling pocket to be.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b, showing the entire functional pillow up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illow outside the pillow.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filling material is first filled in a second filling pocket in a state in which an inner partition wall is provided inside a second filling pocket,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tire functional pillow show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illow outside the pillow sectioned along the line aa in Fig. 4 in a state of filling the first filling material (plain wood chip) in the first filling pocket subsequent to the state of Fig. to b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position of an inner partition wall member provided inside the second filling pocke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2a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의 베개 속을 구비한 기능성 베개의 기본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내지 도 6은 이러한 기능성 베개를 구성하는 다양한 변형 실시예들과 그 단면 구조들이 실시예를 통하여 도시되어 있다.FIGS. 2A to 3 show a basic structure of a functional pillow having a doub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to 6 illustrate various modified embodiments of the functional pillow and their sectional structures Is shown through an embodiment.

이하에서는,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의 베개 속을 구비한 기능성 베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unctional pillow having a dual structure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의 베개 속을 구비한 기능성 베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ual pillowed functional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2A and 2B,

베개 외피(200)에 의해 외표면이 쌓여지며 내부 공간에 충진재를 포함하는 베개 속(100)으로서, A pillow (100) having an outer surface stacked by a pillow sheath (200) and containing a filling material in an inner space,

편백나무 조각과 같이, 입상체로 형성되며 자체의 물성적인 특성에 기초한 고경도의 제1 충진재(20)를 충진하는 제1 충진 포켓(20A)을 베개의 일측면에 구비하며, 상기 제1 충진재를 완충하기 위하여 베개의 타측면에는 완충성을 가진 메밀 껍질과 같은 제2 충진재(30)를 충진하는 제2 충진 포켓(30A)을 구비하고, 그리고A first filler pocket 20A is formed on the one side of the pillow and is filled with the first filler 20 having a high hardness based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ller, The other side of the pillow is provided with a second filling pocket 30A for filling a second filling material 30 such as buckwheat husk with a buffering property,

상기 제2 충진 포켓(30A)은 이를 형성하는 섬유 부재로서 제2 외측 부재(13)와 중간 격벽 부재(12)를 포함하여 그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하나의 주머니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제1 충진 포켓(20A)은 상기 제2 충진 포켓(30A)을 형성하는 상기 중간 격벽 부재(12)에 상기 제2 외측 부재(13)의 반대 방향으로 부가되어 일체로 제공되는 제1 외측 부재(11)와 상기 중간 격벽 부재(12)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또 하나의 주머니 형태로 제공된다.The second filling pocket 30A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ag which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filling member 30 and the second outer member 13 and the middle partition wall member 12 as a fiber member forming the second filling pocket 30A, The pocket 20A includes a first outer member 11 integrally provided to the intermediate partition wall member 12 forming the second filled pocket 30A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outer member 13, And is provided in the form of another bag formed by the space between the intermediate partition wall members 12.

도 2a에는 먼저 제2 충진 포켓(30A)에 완충성의 제2 충진재(30)를 먼저 충진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그리고 도 2b에는 후속하여 제1 충진 포켓(20A) 내에 기능성 충진재로서 편백나무 칩과 같이 딱딱한 고경도의 제1 충진재(20)를 충진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2A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illing pocket 30A is filled first with a buffering second filling material 30, and FIG. 2B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filling pocket 20A is filled with a white wood chip And filling the first filler 20 having a hard and high hardness as shown in FIG.

이로써, 사용자는 편백나무 조각과 같은 기능성 충진재를 제1 충진재(20)로서 충진한 제1 충진 포켓(20A)이 부담하는 지지 하중을 제1 충진재(20)와 다른 완충성 재료(예컨대, 메밀 껍질)로서 형성되는 제2 충진재(30)를 충진시킨 제2 충진 포켓(30A)을 통하여 완충하면서 지지 하중이 사용자 머리 표면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딱딱한 이물감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Thus, the user can load the support load imposed on the first fill pocket 20A filled with the first filler 20 as a functional filler material such as a piece of wood flour as a buffer material (for example, buckwheat husk The supporting load is uniformly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user's head while being buffered through the second filling pocket 30A filled with the second filling member 30 formed as the second filling member 30,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a hard foreign body feeling that the user can feel .

여기에서, 제1 충진 포켓(20A)에 제1 충진재(20)를 담기 위하여 제1 충진 포켓(20A)의 일측에는 지퍼형 체결구(20m)가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제2 충진 포켓(30A)에 제2 충진재(30)를 담기 위하여 제2 충진 포켓(30A)의 일측에는 지퍼형 체결구(30m)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러한 지퍼형 체결구 역시 하나의 예시적인 부품에 불과하고 이를 대용할 수 있는 다른 구성품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Here, a zipper type fastener 20m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filling pocket 20A to accommodate the first filling material 20 in the first filling pocket 20A, and a second filling pocket 30A A zipper type fastener 30m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cond fill pocket 30A in order to accommodate the second filler material 30 in the first filler pocket 30. Such a zipper type fastener is also an exemplary component, Other components that can be used may be used.

또한, 상기 제1 충진 포켓(20A)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 격벽 부재(12)에 부가되어 일체로 제공되는 제1 외측 부재(11)는 '재봉 고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한 고정 등 이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기술 영역에 포함되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 가능하다.In order to form the first fill pocket 20A, the first outer member 11 added to the intermediate partition wall member 12 integrally may be formed by 'sew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fixing method using a hot melt adhesive or the like, and various methods included in substantially equivalent technical fields are applicable.

한편, 이러한 이중 베개 속 구조를 가진 베개의 경우에,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충진재(30)를 제2 충진 포켓(30A)에 채우는 작업을 진행할 때 작업 효율 향상과 밀실한 충진을 위하여 베개 속(100)을 종방향으로 세워 두고서 그 상측(체결구(30m)가 제공된 일측)의 투입구를 통하여 메밀 껍질과 같이 재료적인 특성에 기초한 완충성을 가진 제2 충진재(30)를 먼저 투입하면서 자중 또는 필요한 추가 압력을 가하면서 일정 수준 이상의 밀실도를 가지도록 충진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제2 충진재의 투입/충진 과정 중에 완충성을 가진 제2 충진재가 주머니 형태의 제2 충진 포켓(30A) 내부를 충진하면서 베개 속을 형성하는 섬유 재질의 제2 충진 포켓(30A) 하단부를 외측으로 팽팽하게 확장시키게 되는데, 이중 구조 베개속을 가진 기능성 베개의 경우에는 이와 같이 제2 충진 포켓(30A)을 형성하는 섬유 재질 부재(즉, 제2 외측 부재와 중간 격벽 부재)가 외측으로 팽창하게 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이 팽창된 중간 격벽 부재(12) 부분과 그 외측의 팽창되지 않은 부분으로서 제1 충진 포켓(20A)을 형성하는 제1 외측 부재(11) 사이의 공간이 축소되게 되는데, 특히 제2 충진재(30)의 밀실도가 가장 높은 하단부(종방향으로 세워서 충진할 때 바닥면에 가까운 부분)에서 특히 공간 축소의 정도가 심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pillow having such a double pillow structure, as shown in FIG. 2A, when the second filling material 30 is filled in the second filling pocket 30A, The pillow 100 is set up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filling material 30 having a buffering property based on the material characteristic such as buckwheat husk is first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of the upper side (one side provided with the fastening tool 30m) The second filling material having a buffering property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lling pocket 30A in the form of a bag during the filling / filling process of the second filling material,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illing pocket 30A made of a fiber material forming the inside of the pillow is expanded by expanding outwardly. In the case of a functional pillow having a double structure pillow, (That is, the second outer member and the intermediate partition wall member) forming the second fill pocket 30A are expanded outward, the portion of the expanded intermediate partition wall member 12 and the outer The space between the first outer member 11 forming the first filling pocket 20A as the non-inflated portion is reduced. In particular, the space betwee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econd filling material 30 Especially near the floor surface), the degree of space reduction becomes severe.

이런 상황에서 제1 충진 포켓(20A)의 내부 공간에, 기능성 베개에서 요구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편백나무 칩과 같이 일정 크기의 입상체로 형성되고 그리고 자체의 물성적인 특성에 기초한 완충성을 구비하지 못한 고경도의 제1 충진재(20)를 충진하게 되는 경우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하단부에서 그 충진 공간이 부족하여 설계 당시에 의도하였던 수준의 충진량에 도달하지 못하게 되며 충진량의 균일한 분포도 달성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완충성의 제1 충진재와 고경도의 기능성 제2 충진재의 입도 분포가 베개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일정하지 않음에 따른 불편감을 느끼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추가적인 문제점은 도 4 내지 도 6을 통하여 예시된 추가적인 구성에 대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극복될 수 있다.In this circumstance,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filling pocket 20A, as a means for providing the function required by the functional pillow, it is formed into a granular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ize such as a white wood chip and has a buffering property based on its own physical characteristics As shown in FIG. 3, when the first filler 20 having a high hardness is not filled, the filling space at the lower end is insufficient to reach the filling amount at the design stage at the time of designing, It is difficult to achieve a uniform distribution. This may cause a discomfort due to the fact that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first filling material having a buffering property and the second functional filling material having a high hardness is not constant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illow from the viewpoint of the user It might be. This additional problem can be overcome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dditional configuration illustrated in Figures 4-6.

이에 따르면,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2 충진 포켓(30A)을 형성하는 상기 제2 외측 부재(13)와 중간 격벽 부재(12) 사이에는 상기 제2 충진 포켓(30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중간 격벽 부재(12)의 연장 평면에 수직되는 방향의 평면으로 연장되는 내격벽 부재(40)를 설치하되, 상기 내격벽 부재(40)의 일단은 상기 중간 격벽 부재(1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외측 부재(13)의 내측면에 연결하여 제2 충진 포켓(30A)을 2개의 기둥형 충진 공간(30A1, 30A2)으로 분할 형성하며, 제2 충진 포켓(30A)을 형성하는 2개의 기둥형 충진 공간(30A1, 30A2)은 상기 중간 격벽 부재(12)를 사이에 두고서 상기 제1 충진 포켓(20A)에 외접하여 1개의 일체화된 베개 속(100)을 형성하도록 제공된다.4 and 5, there is a gap between the second outer member 13 and the intermediate partition wall member 12 forming the second filled pocket 30A, An inner partition wall member 40 extending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plane of the intermediate partition wall member 1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inner partition wall member 4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outer member 13 so that the second filling pocket 30A is divided into two columnar filling spaces 30A1 and 30A2 and the second filling pocket 30A is divided into two column- The two columnar filling spaces 30A1 and 30A2 forming are formed to circumscribe the first filling pocket 20A with the intermediary partition member 12 interposed therebetween to form one integrated pillow 100 .

이로써, 상기 중간 격벽 부재(12)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외측 부재(13)의 내측면에 타단이 연결되어 제공되는 상기 내격벽 부재(40)는, 도 5에 단면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충진 포켓(30A) 내에 제2 충진재(30)를 충진하는 과정 중에서 상기 중간 격벽 부재(12)와 상기 제2 외측 부재(13) 사이의 거리가 보다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중간 격벽 부재(12)와 제1 외측 부재(11) 사이의 간격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하여 후속 충진되는 제1 충진 포켓(20A)의 공간 축소를 방지하도록 한다.The inner partition wall member 40, which is connected at one end to the middle partition wall member 12 and connected at the other en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econd outer member 13, The distance between the intermediate partition member 12 and the second outer member 13 can be kept constant during the filling of the second filler 30 in the second filling pocket 30A,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ace between the partition member 12 and the first outer member 11 from being reduced, thereby preventing the space reduction of the first filling pocket 20A to be filled next.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격벽 부재(40)는 베개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중앙부에 설치되고 양단부(Hu, Hd)에까지 연장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내격벽 부재(40)의 양측에 충진되는 제2 충진재(30)의 상기 2개의 기둥형 충진 공간(30A1, 30A2) 사이에서의 이동이 차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는 충진 과정에서 2개의 기둥형 충진 공간(30A1, 30A2)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초기 충진 밀실도 차이를 흡수하는 완화 기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6, the inner partition wall member 40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with respect to the entire length of the pillow so as not to extend to both ends Hu and Hd, thereby filling the both side portions of the inner partition wall member 40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second filling material 30 between the two columnar filling spaces 30A1 and 30A2 between the two columnar filling spaces 30A1 and 30A2 in the filling process Which may help to ensure that the initial filling chamber, which can occur in a vacuum, absorbs the difference.

여기에서도, 상기 내격벽 부재(40)의 일단을 상기 중간 격벽 부재(12)에 연결하고 그 타단은 상기 제2 외측 부재(13)의 내측면에 연결하는 것은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재봉 고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핫멜트 접착제를 이용한 고정 등 이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기술 영역에 포함되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 가능하다.In this case, one end of the inner partition wall member 40 is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partition wall member 12,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outer member 13,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ethods included in a substantially equal technical field such as fixing using a hot-melt adhesive can be appli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nd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1:제1 외측 부재
12: 중간 격벽 부재
13: 제2 외측 부재
20: 제1 충진재
20A: 제1 충진 포켓
30: 제2 충진재
30A: 제2 충진 포켓
30A1, 30A2: 기둥형 충진 공간
40: 내격벽 부재
100: 베개 속
200: 베개 외피
11: first outer member
12: intermediate partition wall member
13: second outer member
20: First filler
20A: first filling pocket
30: second filler
30A: second filling pocket
30A1, 30A2: Column-type filling space
40: inner partition wall member
100: in the pillow
200: pillow envelope

Claims (2)

이중 구조의 베개 속을 가진 기능성 베개에 있어서,
베개 외피(200)에 의해 외표면이 쌓여지며 내부 공간에 충진재를 포함하는 베개 속(100)으로서,
입상체로 형성되며 자체의 물성적인 특성에 기초한 고경도의 제1 충진재(20)를 충진하는 제1 충진 포켓(20A)을 베개의 일측면에 구비하며, 상기 제1 충진재를 완충하기 위하여 베개의 타측면에는 완충성을 가진 제2 충진재(30)를 충진하는 제2 충진 포켓(30A)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충진 포켓(30A)은 이를 형성하는 섬유 부재로서 제2 외측 부재(13)와 중간 격벽 부재(12)를 포함하여 그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하나의 주머니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제1 충진 포켓(20A)은 상기 제2 충진 포켓(30A)을 형성하는 상기 중간 격벽 부재(12)에 상기 제2 외측 부재(13)의 반대 방향으로 부가되어 일체로 제공되는 제1 외측 부재(11)와 상기 중간 격벽 부재(12) 사이의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또 하나의 주머니 형태로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제2 충진 포켓(30A)을 형성하는 상기 제2 외측 부재(13)와 중간 격벽 부재(12) 사이에는 상기 제2 충진 포켓(30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중간 격벽 부재(12)의 연장 평면에 수직되는 방향의 평면으로 연장되는 내격벽 부재(40)를 설치하되, 상기 내격벽 부재(40)의 일단은 상기 중간 격벽 부재(1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외측 부재(13)의 내측면에 연결하여 제2 충진 포켓(30A)을 2개의 기둥형 충진 공간(30A1, 30A2)으로 분할 형성하며, 제2 충진 포켓(30A)을 형성하는 2개의 기둥형 충진 공간(30A1, 30A2)은 상기 중간 격벽 부재(12)를 사이에 두고서 상기 제1 충진 포켓(20A)에 외접하여 1개의 일체화된 베개 속(100)을 형성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일체형 베개 속을 구비한 기능성 베개.
In a functional pillow having a dual structure pillow,
A pillow (100) having an outer surface stacked by a pillow sheath (200) and containing a filling material in an inner space,
A first filler pocket 20A formed of a granular material and filling a first filler 20 having a high hardness based on its physical properties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illow, And a second filling pocket (30A) filling the second filling material (30) having buffering properties,
The second filling pocket 30A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ag which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filling member 30 and the second outer member 13 and the middle partition wall member 12 as a fiber member forming the second filling pocket 30A, The pocket 20A includes a first outer member 11 integrally provided to the intermediate partition wall member 12 forming the second filled pocket 30A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outer member 13, Is provided in the form of another bag formed by the space between the intermediate partition wall members 12, and
The second filling pocket 30A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outer member 13 and the middle partition wall member 12 so as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illing pocket 30A, Wherein one end of the inner partition wall member 40 is connected to the middle partition wall member 12 and the other end of the inner partition wall member 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er member 13 Two columnar filling spaces 30A1 and 30A2 are formed by dividing the second filling pockets 30A into two columnar filling spaces 30A1 and 30A2 by connecting to the inner surfaces thereof and forming the second filling pockets 30A, Is provided to circumscribe the first filling pocket (20A) with the intermediate partition wall member (12) interposed therebetween to form one integrated pillow (100). Functional pillo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격벽 부재(40)의 양측에 충진되는 제2 충진재(30)의 상기 2개의 기둥형 충진 공간(30A1, 30A2) 사이에서의 이동이 차단되지 않도록 상기 내격벽 부재(40)는 베개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중앙부에 설치되고 양단부(Hu, Hd)에까지 연장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일체형 베개 속을 구비한 기능성 베개.The internal partition wall member (40)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inner partition wall member (40) is formed in a shape such that the movement of the second filler (30) between the two columnar filling spaces (30A1, 30A2) 40) is provided at the cente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entire length of the pillow and does not extend to both ends (Hu, Hd).
KR1020140080733A 2014-06-30 2014-06-30 Functional pillow including combined dual structure inner pillow KR1015831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733A KR101583143B1 (en) 2014-06-30 2014-06-30 Functional pillow including combined dual structure inner pil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733A KR101583143B1 (en) 2014-06-30 2014-06-30 Functional pillow including combined dual structure inner pillo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143B1 true KR101583143B1 (en) 2016-01-06

Family

ID=55165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733A KR101583143B1 (en) 2014-06-30 2014-06-30 Functional pillow including combined dual structure inner pill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14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190B1 (en) * 2015-12-31 2017-11-08 신기율 Pillow cover and pillow using the same
KR20190143735A (en) * 2018-06-21 2019-12-31 이명수 Pillow within hinoki cypress pillow
KR102136495B1 (en) * 2019-10-11 2020-07-21 정영훈 Functional pillow
KR102345937B1 (en) * 2020-07-14 2021-12-30 맹상영 Pillow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470U (en) * 1998-08-28 1998-11-25 이환우 Pillow
JP2011072761A (en) * 2009-10-01 2011-04-14 Tetsuya Matsushima Multilayered pillow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470U (en) * 1998-08-28 1998-11-25 이환우 Pillow
JP2011072761A (en) * 2009-10-01 2011-04-14 Tetsuya Matsushima Multilayered pillow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190B1 (en) * 2015-12-31 2017-11-08 신기율 Pillow cover and pillow using the same
KR20190143735A (en) * 2018-06-21 2019-12-31 이명수 Pillow within hinoki cypress pillow
KR102121993B1 (en) * 2018-06-21 2020-06-11 이명수 Pillow within hinoki cypress pillow
KR102136495B1 (en) * 2019-10-11 2020-07-21 정영훈 Functional pillow
KR102345937B1 (en) * 2020-07-14 2021-12-30 맹상영 Pillo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143B1 (en) Functional pillow including combined dual structure inner pillow
US20120102654A1 (en) Pillow
EP3256029B1 (en) Neck support pillow
US20190038043A1 (en) Dual density systems and methods for bedding applications
CN104883932A (en) Enhanced mobility mattress
US6701555B1 (en) Dual-filled, adjustable postural health pillow
US8650683B2 (en) Pillow
US20220015549A1 (en) Mattress
KR200392947Y1 (en) pillow
JP6585331B2 (en) Bedclothes
JP5569637B1 (en) pillow
KR101551571B1 (en) Functional pillow including dual structure inner pillow
KR102121993B1 (en) Pillow within hinoki cypress pillow
CN205125770U (en) Rib earflap pillow that has four independent subregion pillow structures
KR20130006357U (en) Pillow for protecting cervical vertebrae
CN104414301A (en) Multi-layer adjustable pillow
JP2016002437A (en) Stuffing material
US20200375370A1 (en) Floatation-type mattress filled with fluidized balls
AU2016100177A4 (en) A mattres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attress
CN104095458A (en) Pillow
KR101942470B1 (en) Functional pillow having improved conformity to body
KR101554728B1 (en) The pillow
JP2014045890A (en) Sleeping pillow
JP2007014596A (en) Pillow
JP3935900B2 (en) pil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