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3733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3733A
KR20190143733A KR1020180071617A KR20180071617A KR20190143733A KR 20190143733 A KR20190143733 A KR 20190143733A KR 1020180071617 A KR1020180071617 A KR 1020180071617A KR 20180071617 A KR20180071617 A KR 20180071617A KR 20190143733 A KR20190143733 A KR 20190143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si
bwp
terminal
present disclosure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8708B1 (ko
Inventor
정병훈
백상규
김성훈
김동건
노훈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1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708B1/ko
Priority to US16/440,333 priority patent/US11652575B2/en
Priority to CN201980050239.0A priority patent/CN112514308A/zh
Priority to EP19823071.6A priority patent/EP3811553B1/en
Priority to PCT/KR2019/007197 priority patent/WO2019245236A1/en
Priority to RU2021100911A priority patent/RU2758705C1/ru
Publication of KR20190143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733A/ko
Priority to US18/308,252 priority patent/US2023026903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고려하여 단말에게 기준 신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셀 측정 및 보고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것과 무선통신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러한 서비스들을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고려하여 단말에게 기준 신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셀 측정 및 보고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1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da 내지 1d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e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상기 주파수 대역 일부 (BWP) 별 CSI-RS 자원을 설정받고, 이를 측정하고 보고하는 내용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f는 단말이 사용중인 BWP를 변경하는 경우에 대한 동작을 추가하여 설명한 도면이다.
도 1ga 내지 1gd는, CSI-RS 자원 설정이 각 BWP별로 여러 번 반복되어 전송되어야 하는 문제를 설명한 도면들이다.
도 1h는 다수의 CSI-RS 자원 설정이 각 BWP별로 전송되어야 하는 문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li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사용중인 BWP를 변경하는 경우에 대한 동작에 대한 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j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사용중인 BWP를 변경하는 경우에 대한 동작을 고려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lk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사용중인 BWP를 변경하는 경우에 대한 동작에 대한 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패킷 중복 전송을 수행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패킷 중복 전송이 설정된 환경에서 RLC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을 때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2c는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되었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셀이 변경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d는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을 때 단말 동작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e는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을 때 단말 동작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f는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을 때 단말 동작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g는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을 때 단말 동작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h는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을 때 단말 동작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i는 패킷 중복이 활성화 된 시점에 RETX_COUNT를 초기화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면,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경로이고, 상향링크는(Uplink; UL)는 단말이 기국에게 전송하는 신호의 무선 전송경로를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LTE 혹은 LTE-A 시스템을 일 예로서 설명할 수도 있지만, 유사한 기술적 배경 또는 채널형태를 갖는 다른 통신시스템에도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A 이후에 개발되는 5세대 이동통신 기술(5G, new radio, NR)이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하의 5G는 기존의 LTE, LTE-A 및 유사한 다른 서비스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써 본 개시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일부 변형을 통해 다른 통신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고려 하는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접속하기 위해 가장 좋은 기지국을 선택하는 IDLE 모드에서의 초기 셀 선택(Initial cell selection) 방법 및 셀 재 선택 방법(cell reselection)을 필요로 한다. 또한 CONNECTD 모드에서 단말이 더 좋은 셀로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핸드오버를 위해서는 무선 자원 관측 및 셀 선택 방법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Measurement) 등을 수행해야 한다. 이렇듯 셀을 정하고 셀 간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 단말은 각 셀을 대표하는 측정값 또는 측정으로부터 유도된 값을 관측하거나 계산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기존 LTE에는 Omni-beam 을 이용한 공유 주파수 대역에서 서로 다른 기지국들이 Orthogonal 한 자원을 예약하고 이를 이용해 각 셀의 기준 신호 (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를 전송하고 있으며 단말은 이를 측정하여 각 셀의 수신 신호 세기 (RSRP)를 알게 된다.
또한, 빔포밍을 고려하는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기지국들이 서로 다른 빔을 이용하여 돌아가면서 서로 다른 자원에 각 셀, 각 빔의 기준 신호 (Cell and Beam Specific Reference Signal)을 전송하고, 단말이 이러한 하나의 셀에서 전송되는 다수의 빔에 대한 측정값을 이용하여 해당 셀에 대응되는 하나의 대표값을 도출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서도 기존에 연구가 된 바가 있다.
이렇듯 하나의 빔을 이용한 기준 신호 전송, 또는 다수개의 빔을 이용한 기준 신호 전송에 대한 연구는 기존에 존재하였지만, 각각의 기지국들이 서로 다른 빔 면적, 커버리지, 전송 주기 등을 갖는 두 종류 이상의 빔을 이용해 서로 다른 신호 생성 규칙으로 생성되는 두 종류 이상의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대하여서는 기존에 연구된 바가 없다.
본 개시는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한 개 이상의 기지국 및 한 개 이상의 단말을 포함하고 있는 빔포밍 기반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 일부를 고려해 단말에게 기준 신호를 설정하는 방법 및 설정된 기준 신호를 이용한 셀 측정 및 보고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기지국과 단말이 존재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조건에 의한 빔 측정을 위한 기준 신호 설정 방법, 조건에 의한 기준 신호 측정 방법, 그리고 조건에 의한 기준 신호 측정 보고 절차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 및 하나 이상의 단말을 포함하는 빔포밍 기반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 일부를 고려해 단말에게 기준 신호를 설정하는 방법 및 설정된 기준 신호를 이용한 셀 측정 및 보고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기지국과 단말이 존재하는 무선 시스템에서 조건에 의한 빔 측정을 위한 기준 신호 설정 방법, 조건에 의한 기준 신호 측정 방법, 그리고 조건에 의한 기준 신호 측정 보고 절차에 관한 것이다.
단말은 기지국들이 서로 다른 안테나 구성을 이용해 빔을 돌려가며 전송하는 beam sweeping 구성을 통해 전송하는 기준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고려하고 있는 기준 신호는 동기화 신호 (Synchronization signal) 및 채널 상태 측정 기준 신호 (CSI-RS) 가 있으며,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는 않을 수도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a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는 노드(node)들의 일부로서, 기지국(110), 단말(120), 단말(130)을 도시한다. 도 1a에는 하나의 기지국만이 도시되었으나, 기지국(1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기지국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기지국(110)은 단말들(120, 130)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이다. 기지국(110)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거리에 기초하여 일정한 지리적 영역으로 정의되는 커버리지(coverage)를 가질 수 있다. 기지국(110)은 기지국(base station) 외에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5G 노드(5th generation node)',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단말(120) 및 단말(130) 각각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기지국(110)과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단말(120) 및 단말(130)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관여 없이 운영될 수 있다. 즉, 단말(120) 및 단말(130) 중 적어도 하나는 기계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지 아니할 수 있다. 단말(120) 및 단말(130) 각각은 단말(terminal) 외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또는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110), 단말(120), 단말(130)은 밀리미터 파(mmWave) 대역(예: 28GHz, 30GHz, 38GHz, 60GHz)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이득의 향상을 위해, 기지국(110), 단말(120), 단말(130)은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빔포밍은 송신 빔포밍 및 수신 빔포밍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110), 단말(120), 단말(130)은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에 방향성(directivity)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110) 및 단말들(120, 130)은 빔 탐색(beam search) 또는 빔 관리(beam management) 절차를 통해 서빙(serving) 빔들(112, 113, 121, 131)을 선택할 수 있다. 서빙 빔들(112, 113, 121, 131)이 선택된 후, 이후 통신은 서빙 빔들(112, 113, 121, 131)을 송신한 자원과 QCL(quasi co-located) 관계에 있는 자원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을 전달한 채널의 광범위한(large-scale) 특성들이 제2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을 전달한 채널로부터 추정될(inferred) 수 있다면, 제1 안테나 포트 및 제2 안테나 포트는 QCL 관계에 있다고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범위한 특성들은 지연 스프레드(delay spread), 도플러 스프레드(doppler spread), 도플러 쉬프트(doppler shift), 평균 이득(average gain), 평균 지연(average delay), 공간적 수신 파라미터(spatial receiver parame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b에 예시된 구성은 기지국(11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b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무선통신부(210), 백홀통신부(220), 저장부(230),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210)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무선통신부(21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통신부(210)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210)는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이를 위해, 무선통신부(2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210)는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무선통신부(210)는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antenna elements)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무선통신부(210)는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및 아날로그 유닛(analog uni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유닛은 동작 전력, 동작 주파수 등에 따라 다수의 서브 유닛(sub-unit)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부(2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transmitter)', '수신부(receiver)' 또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무선통신부(2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백홀통신부(220)는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백홀통신부(220)는 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다른 접속 노드, 다른 기지국, 상위 노드,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30)는 제어부(2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무선통신부(210) 또는 백홀통신부(220)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저장부(23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토콜 스텍은 무선통신부(21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어부(240)는 기지국이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기지국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c에 예시된 구성은 단말 12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c를 참고하면, 단말은 통신부(310), 저장부(320), 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통신부(31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통신부(310)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할 수 있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310)는 다수의 안테나 요소들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측면에서, 통신부(310)는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는 하나의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31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3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통신부(3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저장부(320)는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2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320)는 제어부(3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30)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30)는 통신부(310)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저장부(3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은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톨 스택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micro)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제어부(330)는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의 일부 및 제어부(330)는 CP(communication processor)라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330)는 단말이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330)는, 후술하는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된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330)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고려하여 단말에게 기준 신호를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설정된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셀 측정 및 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da 내지 1d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da 내지 1dc는 도 1b의 무선통신부(210) 또는 도 1c의 통신부(31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1da 내지 1dc는 도 1b의 무선통신부(210) 또는 도 1c의 통신부(310)의 일부로서,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da를 참고하면, 무선통신부(210) 또는 통신부(310)는 부호화 및 변조부(402), 디지털 빔포밍부(404), 다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 아날로그 빔포밍부(408)를 포함할 수 있다.
부호화 및 변조부(402)는 채널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채널 인코딩을 위해,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코드, 컨볼루션(convoluation) 코드, 폴라(polar) 코드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부호화 및 변조부(402)는 성상도 맵핑(contellation mapping)을 수행함으로써 변조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디지털 빔포밍부(404)는 디지털 신호(예: 변조 심벌들)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부(404)는 변조 심벌들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곱할 수 있다. 여기서, 빔포밍 가중치들은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프리코딩 행렬(precoding matrix)', '프리코더(precoder)'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디지털 7빔포밍부(404)는 다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로 디지털 빔포밍된 변조 심벌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 기법에 따라, 변조 심벌들은 다중화되거나, 다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로 동일한 변조 심벌들이 제공될 수 있다.
다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은 디지털 빔포밍된 디지털 신호들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 각각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부, CP(cyclic prefix) 삽입부, DAC, 상향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CP 삽입부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위한 것으로, 다른 물리 계층 방식(예: FBMC(filter bank multi-carrier))이 적용되는 경우 제외될 수 있다. 즉, 다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은 디지털 빔포밍을 통해 생성된 다수의 스트림(stream)들에 대하여 독립된 신호처리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 구현 방식에 따라, 다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날로그 빔포밍부(408)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부(404)는 아날로그 신호들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곱할 수 있다. 여기서, 빔포밍 가중치들은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 및 안테나들 간 연결 구조에 따라, 아날로그 빔포밍부(408)는 도 1db 또는 도 1dc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1db를 참고하면, 아날로그 빔포밍부(408)로 입력된 신호들은 위상/크기 변환, 증폭의 연산을 거쳐, 안테나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이때, 각 경로의 신호는 서로 다른 안테나 집합들 즉, 안테나 어레이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첫 번째 경로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처리에서, 신호는 위상/크기 변환부들(412-1-1 내지 412-1-M)에 의해 서로 다른 또는 동일한 위상/크기를 가지는 신호열로 변환될 수 있고, 증폭기들(414-1-1 내지 414-1-M)에 의해 증폭된 후, 안테나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도 1dc를 참고하면, 아날로그 빔포밍부(408)로 입력된 신호들은 위상/크기 변환, 증폭의 연산을 거쳐, 안테나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이때, 각 경로의 신호는 동일한 안테나 집합, 즉,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첫 번째 경로를 통해 입력된 신호의 처리를 살펴보면, 신호는 위상/크기 변환부들(412-1-1 내지 412-1-M)에 의해 서로 다른 또는 동일한 위상/크기를 가지는 신호열로 변환될 수 있고, 증폭기들(414-1-1 내지 414-1-M)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송신되도록, 증폭된 신호들은 안테나 요소를 기준으로 합산부들(416-1-1 내지 416-1-M)에 의해 합산된 후, 안테나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도 1db는 송신 경로 별 독립적 안테나 어레이가 사용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dc는 송신 경로들이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공유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일부 송신 경로들은 독립적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할 수 있고, 나머지 송신 경로들은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송신 경로들 및 안테나 어레이들 간 스위치 가능한(switchable)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주파수 대역 일부 (BWP) 별 기준 신호 설정, 측정, 및 보고 방법
기지국은 기지국 영역 내 속해 있는 단말들 및 인접 기지국에게 속해 있는 단말들을 대상으로 채널 상황 측정을 위한 어떠한 기준 신호, 예를 들면 CSI-RS(Channel Status Information - Reference Signal) 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CSI-RS 는 특정 주파수 대역 일부 (BWP) 내 종속 되도록 아래의 표 1과 같이 하향링크 BWP 설정 내에 CSI-RS 설정이 포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BWP-Downlink ::= SEQUENCE {
-- An identifier for this bandwidth part. Other parts of the RRC configuration use the BWP-Id to associate themselves with a particular
-- bandwidth part. The BWP ID=0 is always associated with the initial BWP and may hence not be used here. (in other bandwidth parts).
-- The NW may trigger the UE to swtich UL or DL BWP using a DCI field. The four code points in that DCI field map to the RRC-configured
-- BWP-ID as follows: For up to 3 configured BWPs (in addition to the initial BWP) the DCI code point is equivalent to the BWP ID
-- (initial = 0, first dedicated = 1, ...). If the NW configures 4 dedicated bandwidth parts, they are identified by DCI code
-- points 0 to 3. In this case it is not possible to switch to the initial BWP using the DCI field.
-- Corresponds to L1 parameter 'DL-BWP-index'. (see 38.211, 38.213, section 12)
bwp-Id BWP-Id,
bwp-Common BWP-DownlinkCommon
OPTIONAL, -- Need M
bwp-Dedicated BWP-DownlinkDedicated
OPTIONAL, -- Need M
csi-ResourceConfigId CSI-ResourceConfigId
OPTIONAL,
nzp-CSI-RS-ResourceSetId NZP-CSI-RS-ResourceSetId
OPTIONAL,
zp-CSI-RS-ResourceSetId ZP-CSI-RS-ResourceSetId
OPTIONAL,
nzp-CSI-RS-ResourceId NZP-CSI-RS-ResourceId
OPTIONAL,
zp-CSI-RS-ResourceId ZP-CSI-RS-ResourceId
OPTIONAL,

...
}
또는, 각 CSI-RS 설정 내에 해당 CSI-RS 가 속한 BWP-id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e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상기 주파수 대역 일부 (BWP) 별 CSI-RS 자원을 설정받고, 이를 측정하고 보고하는 내용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말은 1e-1 단계에서 망으로부터 BWP 별 CSI-RS 자원 설정을 수신하고, 각 BWP 와 CSI-RS 자원들간의 상관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단말은 1e-2 단계에서 자신이 현재 사용중인 BWP (active BWP)를 특정할 수 있다.
단말은 1e-3 단계에서 상기 1e-2 단계에서 특정한 현재 사용중인 BWP (active BWP)에 소속된 CSI-RS 자원을 특정할 수 있다.
단말은 1e-4 단계에서 상기 1e-3 단계에서 특정한 CSI-RS 자원을 측정할 수 있다.
단말은 1e-5 단계에서 상기 1e-4 단계에서 측정한 CSI-RS 자원이 기 설정된 어떠한 측정 보고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만족하는 경우 측정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도 1e에 도시된 순서도는 단말이 사용중인 BWP (active BWP)가 한 개일 때를 가정하여 도시되었지만,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은 두 개 이상의 BWP를 동시 사용 가능한 경우 두 개 이상의 사용중인 BWP (active BWPs) 들에 대하여 동시에 도 1e의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BWP 별 CSI-RS 자원 설정 방법은 각각의 CSI-RS 자원 설정(CSI-ResourceConfig, NZP(Non Zero Power)-CSI-RS-ResourceSet, NZP-CSI-RS-Resource, CSI-IM(Interference Measurement)-ResourceSet, CSI-IM-Resource, ZP(Zero Power)-CSI-RS-ResourceSet, ZP-CSI-RS-Resource, ...) 내에 해당 CSI-RS 자원이 속한 BWP Id 를 일일이 한 개씩 포함하는 방법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1f는, 상술한 도 1e에 대한 설명을 기초로, 단말이 사용중인 BWP를 변경하는 경우에 대한 동작을 추가하여 설명한 도면이다.단말은 1f-1 단계에서 망으로부터 상기 BWP 별 CSI-RS 자원 설정을 수신하고, 각 BWP 와 CSI-RS 자원들간의 상관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단말은 1f-2 단계에서 자신이 현재 사용 중이던 BWP 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약 사용 중이던 BWP가 변경되지 않았다면, 단말은 1f-11 단계와 1f-12 단계를 거쳐 기존에 측정 중이던 현재 사용중인 BWP에 속한 CSI-RS 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특정 보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보고하는 동작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1f-2 단계에서 단말이 사용 중이던 BWP가 변경되었다면, 단말은 1f-3 단계에서 기존 BWP 와 관련된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파기하고 초기화할 수 있다. 해당 정보들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 BWP 내 CSI-RS 측정 정보 (filter 값, sample 값 등이 저장된 메모리 등) 파기
- BWP 내 beam failure detection 관련 timer, counter, 및 측정값 정보 파기
- BWP 내 radio link monitoring 관련 timer, counter, 및 측정값 정보 파기
- BWP 내 Hybrid ARQ 관련 저장 정보 파기
- BWP 내 DRX (또는 C-DRX) 관련 timer 및 counter 정보 파기
단말은 1f-4 단계에서 새로운 사용 BWP (active BWP)를 특정할 수 있다.
단말은 1f-5 단계에서 상기 1f-4 단계에서 특정한 신규 사용 BWP (active BWP) 에 소속된 CSI-RS 자원을 특정할 수 있다.
단말은 1f-6 단계에서 상기 1f-5 단계에서 특정한 CSI-RS 자원을 측정할 수 있다.
단말은 1f-7 단계에서 상기 1f-6 단계에서 측정한 CSI-RS 자원이 기 설정된 어떠한 측정 보고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만족하는 경우 측정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도 1f에 도시된 순서도는 단말이 사용중인 BWP (active BWP) 가 한 개 일 때를 가정하여 도시되었지만, 단말은 두 개 이상의 BWP를 동시 사용 가능한 경우 두 개 이상의 사용중인 BWP (active BWPs) 들에 대하여 동시에 도 1f 의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단말은 복수의 사용중인 BWP들에 대해서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도 1f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BWP 별 CSI-RS 자원 설정 방법은 각각의 CSI-RS 자원 설정(CSI-ResourceConfig, NZP-CSI-RS-ResourceSet, NZP-CSI-RS-Resource, CSI-IM-ResourceSet, CSI-IM-Resource, ZP-CSI-RS-ResourceSet, ZP-CSI-RS-Resource, ...) 내에 해당 CSI-RS 자원이 속한 BWP Id 를 일일이 한 개씩 포함하는 방법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실시예 2: 기준 신호 설정 내 다중 주파수 대역 일부 (BWP) 정보 포함 방법
기지국은 기지국 영역 내 속해 있는 단말들 및 인접 기지국에게 속해 있는 단말들을 대상으로 채널 상황 측정을 위한 어떠한 기준 신호, 예를 들면 CSI-RS 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설정하는 CSI-RS가 오직 하나의 BWP와 연관 관계를 갖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문제 1: 중첩된 BWP 들 간에 동일한 CSI-RS 를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다중 CSI-ResourceConfig IE 설정이 필요하다.
도 1ga 내지 1gd는, 동일한 CSI-RS를 포함하는 중첩된 BWP들이 존재할 때에 만약 CSI-RS가 한 번에 하나의 BWP에 대해서만 설정 가능하다면, 이러한 CSI-RS 측정을 위한 CSI-RS 자원 설정이 각 BWP별로 여러 번 반복되어 전송되어야 하는 문제를 설명한 도면들이다. 도 1ga 및 1g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은 하나의 CSI-RS만을 설정하여 중첩된 BWP들에 대해 단말이 적응적으로 BWP 대역폭에 맞게 CSI-RS를 측정하도록 설정하기를 원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 신호 전송에 있어서는 CSI-RS 가 한 번에 하나의 BWP에 대해서만 설정 가능하기 때문에, 도 1gc 및 1g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치 서로 다른 3개의 CSI-RS들을 설정하는 것처럼 망은 반복 전송을 하게 된다. 또한, 단말은 이렇게 설정된 CSI-RS들을 각각 서로 다른 CSI-RS 로 판단하여 비록 그 자원이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반복하여 필터링(filtering)하고, 조건을 비교하고, 보고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동일한 동작을 불필요하게 중복 수행할 수도 있으며, 메모리 용량이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문제 2: 서로 다른 BWP 별로 다수의 CSI-RS 설정 필요
도 1h는 중첩된 BWP들 및 개별 BWP들이 존재할 때에 만약 CSI-RS 가 한 번에 하나의 BWP에 대해서만 설정 가능하다면 복수의 CSI-RS 자원 설정이 각 BWP별로 전송되어야 하는 문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동일한, 또는 서로 다른 Resource Element 영역을 갖는 다수의 CSI-RS 자원들이 BWP 수, CSI-RS resource set 수, CSI-RS configuration 수에 따라 중첩되어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망이 전송하고 단말이 수신하여 관리해야 하는 CSI-RS 자원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망은 넓은 주파수대역에 걸쳐 CSI-RS를 설정하고 송신할 수 있다. 또한 CSI-RS가 송신되는 주파수 대역이 한 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 일부 (bandwidth part, BWP)들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한 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 일부(BWP)의 정보는 CSI-RS 설정 정보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CSI-RS 설정 정보는 아래의 표 2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 ASN1START
-- TAG-CSI-RESOURCECONFIG-START

-- One CSI resource configuration comprising of one or more resource sets
CSI-ResourceConfig ::= SEQUENCE {

-- Used in CSI-ReportConfig to refer to an instance of CSI-ResourceConfig
csi-ResourceConfigId CSI-ResourceConfigId,

-- Contains up to maxNrofNZP-CSI-RS-ResourceSetsPerConfig resource sets if ResourceConfigType is 'aperiodic' and 1 otherwise.
-- Corresponds to L1 parameter 'ResourceSetConfigList' (see 38.214, section 5.2.1.3.1)
csi-RS-ResourceSetList CHOICE {
nzp-CSI-RS-SSB SEQUENCE {
nzp-CSI-RS-ResourceSetList SEQUENCE (SIZE (1..maxNrofNZP-CSI-RS-ResourceSetsPerConfig)) OF NZP-CSI-RS-ResourceSetId OPTIONAL,
-- List of SSB resources used for beam measurement and reporting in a resource set
-- Corresponds to L1 parameter 'resource-config-SS-list' (see 38,214, section FFS_Section)
csi-SSB-ResourceSetList SEQUENCE (SIZE (1..maxNrofCSI-SSB-ResourceSetsPerConfig)) OF CSI-SSB-ResourceSetId OPTIONAL
},
csi-IM-ResourceSetList SEQUENCE (SIZE (1..maxNrofCSI-IM-ResourceSetsPerConfig)) OF CSI-IM-ResourceSetId
},


-- The DL BWPs which the CSI-RS associated with this CSI-ResourceConfig.
-- Corresponds to L1 parameter 'BWP-Info' (see 38.214, section 5.2.1.2
bwp-IdList SEQUENCE (SIZE(1..maxBWP-Id)) OF BWP-Id OPTIONAL,

-- Time domain behavior of resource configuration. Corresponds to L1 parameter 'ResourceConfigType' (see 38.214, section 5.2.2.3.5)
resourceType ENUMERATED { aperiodic, semiPersistent, periodic },
...
}

-- TAG-CSI-RESOURCECONFIGTOADDMOD-STOP
-- ASN1STOP
다중 BWP 정보를 포함한 CSI-RS를 설정 받은 단말은, 단말이 속한 현재 사용 가능한 active BWP 가 변하더라도, 이전에 사용하던 active BWP 와 현재 사용 가능한 active BWP 에 모두 걸쳐 있는 CSI-RS 가 존재하는지 특정할 수 있게 되고, 해당 CSI-RS 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CSI-RS 에 대하여서는 측정값이나 관련 카운터(counter), 타이머(timer)를 파기하지 않고 측정과 보고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li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사용중인 BWP를 변경하는 경우에 대한 동작에 대한 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은 1i-1 단계에서 망으로부터 상기 다중 BWP 설정 정보를 포함한 CSI-RS 자원 설정을 수신하고, 각 CSI-RS 자원들과 해당 자원들이 연관된 BWP들 간의 상관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단말은 1i-2 단계에서 자신이 현재 사용 중이던 BWP 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사용 중이던 BWP가 변경되지 않았다면, 단말은 1i-12 단계와 1i-13 단계를 거쳐 기존에 측정 중이던 현재 사용중인 BWP에 속한 CSI-RS 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특정 보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보고하는 동작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1i-2 단계에서 단말이 사용 중이던 BWP가 변경되었다면, 단말은 1i-3 단계에서 새로운 사용 BWP (active BWP) 를 특정할 수 있다. 새로운 사용 BWP의 특정은,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BWP 변경을 위하여 기 수신한 하향링크 신호 내의 BWP Id 를 이용해,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기 수신한 BWP 정보 중 상기 BWP-Id 와 일치하는 정보를 파악하고, 해당 BWP 정보에 따라 단말의 RF 단, 구체적으로 center frequency, frequency band, 수신 Resource Element 등을 특정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단말은 1i-4 단계에서 상기 1i-3 단계에서 특정한 신규 사용 BWP (active BWP) 와 연관된, 다시 말하면 해당 CSI-RS 자원 설정 내에 신규 사용 BWP (active BWP) ID가 포함된 CSI-RS 자원(들)을 특정할 수 있다.
단말은 1i-5 단계에서 상기 1i-4 단계에서 특정한 CSI-RS가 기존에 사용하던 BWP에서 측정하던 기 설정된 CSI-RS 와 동일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 해당 CSI-RS ResourceConfig, NZP, ZP, 또는 IM CSI-RS-ResourceSet, 또는 NZP, ZP, 또는 IM CSI-RS-Resource 내 존재하는 연관된 BWP-Id list 내에 기존에 사용하던 active BWP의 Id 및 상기 1i-3 단계에서 특정된 신규 단말 사용 active BWP의 Id 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경우,
-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BWP 와 CSI-RS 간의 연관 관계를 명시하는 표 안에 포함된, 기존에 사용하던 active BWP의 Id 및 상기 1i-3 단계에서 특정된 신규 단말 사용 active BWP의 Id 가, 모두 상기 1i-4 단계에서 특정된 CSI-RS 의 ResourceConfig Id, NZP, ZP 또는 IM CSI-RS-ResourceSet Id, 또는 NZP, ZP 또는 IM CSI-RS-Resource Id 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 단말이 사용하던 이전 active BWP의 측정 주파수 대역폭, resource element 가 포함되어 있는 어떠한 CSI-RS 가 있다고 할 때, 해당 CSI-RS 의 전송 주파수 대역폭, 또는 resource element 영역 내에 단말이 새로 특정한 신규 사용 active BWP의 측정 주파수 대역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만약 1i-4 단계에서 특정한 CSI-RS 가 기존에 사용하던 BWP에서 측정하던 기 설정된 CSI-RS와 동일하지 않다면, 단말은 1i-11 단계에서 기존 BWP 와 관련된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파기하고 초기화할 수 있다. 해당 정보들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 BWP 내 CSI-RS 측정 정보 (filter 값, sample 값 등이 저장된 메모리 등) 파기
- BWP 내 beam failure detection 관련 timer, counter, 및 측정값 정보 파기
- BWP 내 radio link monitoring 관련 timer, counter, 및 측정값 정보 파기
- BWP 내 Hybrid ARQ 관련 저장 정보 파기
- BWP 내 DRX (또는 C-DRX) 관련 timer 및 counter 정보 파기
1i-11 단계 이후 단말은 1i-12 단계와 1i-13 단계를 거쳐 기존에 측정 중이던 현재 사용중인 BWP에 속한 CSI-RS 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특정 보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보고하는 동작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만약 1i-5 단계에서 단말이 판단하기에 1i-4 단계에서 특정한 CSI-RS 가 기존에 사용하던 BWP에서 측정하던 기 설정된 CSI-RS와 동일하다면, 단말은 1i-6 단계에서 1i-4 단계에서 특정한 CSI-RS 자원을 이어서 측정할 수 있다. 단말은 기존 BWP에서 해당 CSI-RS 측정값을 입력하던 L1/L3 측정 필터(measurement filter)에 이어서 신규 BWP에서 측정한 해당 CSI-RS 측정값을 이어서 입력하고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해당 CSI-RS 에 의하여 트리거(trigger)되거나 관련된 빔 검출 실패(beam failure detection), 무선 링크 모니터링(radio link monitoring), 무선 링크 실패(radio link failure) 및 drx(Discontinue reception) 관련 타이머(timer)를 유지하고 관련 동작 역시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1i-7 단계에서 1i-6 단계에서 측정한 CSI-RS 자원이 기 설정된 어떠한 측정 보고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만족하는 경우 측정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측정 보고 시에, 단말은 해당 CSI-RS 가 어떠한 BWP에서 측정되었는지 정보를 포함하는 BWP-Id 정보를 포함한 측정 보고를 송신할 수도 있으며, BWP 두 개 이상에서 측정된 CSI-RS 에 대해서는 해당 CSI-RS 가 두 개 이상의 BWP에서 측정되었음을 지시하는 지시자(indicator) 1bit 및/또는 한 개 이상의 BWP Id 를 포함하여 보고할 수도 있다.
상기 순서도에서는 단말이 사용중인 BWP (active BWP) 가 한 개일 때를 가정하고 있지만,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은 두 개 이상의 BWP를 동시 사용 가능한 경우 두 개 이상의 사용중인 BWP (active BWPs) 들에 대하여 동시에 도 1i 의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BWP 별 CSI-RS 자원 설정 방법은, 각각의 CSI-RS 자원 설정(CSI-ResourceConfig, NZP-CSI-RS-ResourceSet, NZP-CSI-RS-Resource, CSI-IM-ResourceSet, CSI-IM-Resource, ZP-CSI-RS-ResourceSet, ZP-CSI-RS-Resource, ...) 내에 해당 CSI-RS 자원이 속한 BWP Id 를 일일이 한 개씩 포함하는 방법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사용 가능한 active BWP 특정 및 CSI-RS 특정 동작에서 단말은 한 개 이상의 BWP들 및 CSI-RS들을 특정하고, 각각의 BWP들 및 CSI-RS들에 대하여 후속 동작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예 3: 기타 기준 신호 연관 관계 설정 내 다중 주파수 대역 일부 (BWP) 정보 포함 방법
또 다른 실시 예로, 단말은 CSI-RS 설정 내부가 아닌 기타 다른 정보 내에 포함되어 있는 기준 신호와 BWP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할 수 있다.
단말은 한 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 일부(BWP)와 한 개 이상의 CSI-RS 설정 정보들 간의 상관관계를 포함한 아래와 같은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망은 단말에게 설정하는 CSI-RS 내에 특정 BWP-Id 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망은 CSI-ResourceConfig IE 내의 BWP-Id 를 옵션(optional)으로 설정하고, 다음의 표 3과 같은 조건(condition)을 설정할 수도 있다.
Conditional Presence Explanation
CSI-over-multiple-BWPs If the CSI-RS resource config is configured over multiple BWPs, this field is absent, otherwise, it is mandatory present.
상기 기타 다른 정보의 일 예는 다음의 표 4와 같다
-- ASN1START
-- TAG-TCI-STATE-START

TCI-State ::= SEQUENCE {
tci-StateId TCI-StateId,
qcl-Type1 QCL-Info,
qcl-Type2 QCL-Info OPTIONAL, -- Need R
nrofPTRS-Ports ENUMERATED {n1, n2} OPTIONAL, -- Need R
...
}

QCL-Info ::= SEQUENCE {

-- The carrier which the RS is located in. If the field is absent, it applies to the serving cell in which the TCI-State is configured
cell ServCellIndex OPTIONAL, -- Need R

-- The DL BWP which the RS is located in.
bwp-IdList SEQUENCE (SIZE(1..maxBWP-Id)) OF BWP-Id OPTIONAL, -- Cond CSI-RS-Indicated
-- Cond NZP-CSI-RS-Indicated: mandatory if csi-rs or csi-RS-for-tracking is included, absent otherwise
referenceSignal CHOICE {
csi-rs NZP-CSI-RS-ResourceId,
ssb SSB-Index,
-- A set of CSI-RS resources for tracking
csi-RS-for-tracking NZP-CSI-RS-ResourceSetId
},
qcl-Type ENUMERATED {typeA, typeB, typeC, typeD},
...
}

-- TAG-TCI-STATE-STOP
-- ASN1STOP
QCL (Quasi-Co-Location) 정보를 수신한 단말은, 어떠한 셀(cell) 내에 속해 있는 어떠한 BWP Id 들이 어떠한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특히 CSI-RS 와 연관 관계에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정보를 특정 셀(cell) 내의 모든 BWP 들, 그리고 모든 CSI-RS 들에 대하여 수신하게 되면 단말은 해당 셀(cell) 내의 모든 BWP들과 CSI-RS 들 간의 연관 관계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정보를 파악한 단말은, 단말이 속한 현재 사용 가능한 active BWP 가 변하더라도, 이전에 사용하던 active BWP 와 현재 사용 가능한 active BWP 에 모두 걸쳐 있는 CSI-RS 가 존재하는지 특정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해당 CSI-RS 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CSI-RS 에 대하여서는 측정값이나 관련 counter, timer를 파기하지 않고 측정과 보고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j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사용중인 BWP를 변경하는 경우에 대한 동작을 고려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은 1j-0 단계에서 망으로부터 CSI-RS 자원 설정 및 보고 설정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1j-1 단계에서 망으로부터 CSI-RS 설정으로 설정된 CSI-RS 들과 셀 내 다중 BWP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수신하고, 각 CSI-RS 자원들과 해당 자원들이 연관된 BWP들 간의 상관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단말은 1j-2 단계에서 자신이 현재 사용 중이던 BWP 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사용 중이던 BWP가 변경되지 않았다면, 단말은 1j-12 단계와 1j-13 단계를 거쳐 기존에 측정 중이던 현재 사용중인 BWP에 속한 CSI-RS 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특정 보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보고하는 동작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1j-2 단계에서 단말이 사용 중이던 BWP가 변경되었다면, 단말은 1j-3 단계에서 새로운 사용 BWP (active BWP) 를 특정할 수 있다. 새로운 사용 BWP의 특정은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BWP 변경을 위하여 기 수신한 하향링크 신호 내의 BWP Id 를 이용해 역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기 수신한 BWP 정보 중 상기 BWP-Id 와 일치하는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해당 BWP 정보에 따라 단말의 RF 단, 구체적으로 중앙 주파수(center frequency), 주파수 밴드(frequency band), 수신 리소스 엘리먼트(Resource Element) 등을 특정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단말은 1j-4 단계에서 상기 1j-3 단계에서 특정한 신규 사용 BWP (active BWP) 와 연관된, 다시 말하면 해당 CSI-RS 자원 설정 내에 신규 사용 BWP (active BWP) ID가 포함된 CSI-RS 자원을 특정할 수 있다.
단말은 1j-5 단계에서 상기 1j-4 단계에서 특정한 CSI-RS가 기존에 사용하던 BWP에서 측정하던 기 설정된 CSI-RS 와 동일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 될 수 있다.
- 해당 CSI-RS ResourceConfig, NZP, ZP, 또는 IM CSI-RS-ResourceSet, 또는 NZP, ZP, 또는 IM CSI-RS-Resource 내 존재하는 연관된 BWP-Id list 내에 기존에 사용하던 active BWP의 Id 및 상기 1j-3 단계에서 특정된 신규 단말 사용 active BWP의 Id 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경우,
-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BWP 와 CSI-RS 간의 연관 관계를 명시하는 표 안에 포함된, 기존에 사용하던 active BWP의 Id 및 상기 1j-3 단계에서 특정된 신규 단말 사용 active BWP의 Id 가, 모두 상기 1j-4 단계에서 특정된 CSI-RS 의 ResourceConfig Id, NZP, ZP 또는 IM CSI-RS-ResourceSet Id, 또는 NZP, ZP 또는 IM CSI-RS-Resource Id 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 단말이 사용하던 이전 active BWP의 측정 주파수 대역폭, resource element 가 포함되어 있는 어떠한 CSI-RS 가 있다고 할 때, 해당 CSI-RS 의 전송 주파수 대역폭, 또는 resource element 영역 내에 단말이 새로 특정한 신규 사용 active BWP의 측정 주파수 대역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만약 1j-4 단계에서 특정한 CSI-RS 가 기존에 사용하던 BWP에서 측정하던 기 설정된 CSI-RS와 동일하지 않다면, 단말은 1j-11 단계에서 기존 BWP 와 관련된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파기하고 초기화할 수 있다. 파기 또는 초기화 되는 정보들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물론 하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 BWP 내 CSI-RS 측정 정보 (filter 값, sample 값 등이 저장된 메모리 등) 파기
- BWP 내 beam failure detection 관련 timer, counter, 및 측정값 정보 파기
- BWP 내 radio link monitoring 관련 timer, counter, 및 측정값 정보 파기
- BWP 내 Hybrid ARQ 관련 저장 정보 파기
- BWP 내 DRX (또는 C-DRX) 관련 timer 및 counter 정보 파기
1j-11 단계 이후 단말은 1j-12 단계와 1j-13 단계를 거쳐 기존에 측정 중이던 현재 사용중인 BWP에 속한 CSI-RS 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특정 보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보고하는 동작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만약 1j-5 단계에서 단말이 판단할 때 1j-4 단계에서 특정한 CSI-RS 가 기존에 사용하던 BWP에서 측정하던 기 설정된 CSI-RS와 동일하다면, 단말은 1j-6 단계에서 1j-4 단계에서 특정한 CSI-RS 자원을 이어서 측정할 수 있다. 단말은 기존 BWP에서 해당 CSI-RS 측정값을 입력하던 L1/L3 측정 필터(measurement filter)에 이어서 신규 BWP에서 측정한 해당 CSI-RS 측정값을 입력하고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해당 CSI-RS 에 의하여 트리거(trigger) 되거나 관련된 빔 검출 실패(beam failure detection), 무선 링크 모니터링(radio link monitoring), 무선 링크 실패(radio link failure), 및 drx 관련 타이머(timer)를 유지하고 관련 동작 역시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1j-7 단계에서 상기 1j-6 단계에서 측정한 CSI-RS 자원이 기 설정된 어떠한 측정 보고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만족하는 경우 측정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 측정 보고 시에, 단말은 해당 CSI-RS 가 어떠한 BWP에서 측정되었는지 정보를 포함하는 BWP-Id 정보를 포함한 측정 보고를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은 BWP 두 개 이상에서 측정된 CSI-RS 에 대해서는 해당 CSI-RS 가 두 개 이상의 BWP에서 측정되었음을 지시하는 지시자(indicator) 1bit 및/또는 한 개 이상의 BWP Id 를 포함하여 보고할 수도 있다.
순서도에서는 단말이 사용중인 BWP(active BWP)가 한 개일 때를 가정하고 있지만,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은 두 개 이상의 BWP를 동시 사용 가능한 경우 두 개 이상의 사용중인 BWP (active BWPs) 들에 대하여 동시에 도 1j 의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BWP 별 CSI-RS 자원 설정 방법은 각각의 CSI-RS 자원 설정(CSI-ResourceConfig, NZP-CSI-RS-ResourceSet, NZP-CSI-RS-Resource, CSI-IM-ResourceSet, CSI-IM-Resource, ZP-CSI-RS-ResourceSet, ZP-CSI-RS-Resource, ...) 내에 해당 CSI-RS 자원이 속한 BWP Id 를 일일이 한 개씩 포함하는 방법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사용 가능한 active BWP 특정 및 CSI-RS 특정 동작에서 단말은 한 개 이상의 BWP들 및 CSI-RS들을 특정하고, 각각의 BWP들 및 CSI-RS들에 대하여 후속 동작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실시예 4: 기준 신호 설정 내 인용되는 타 기준 신호 설정이 포함된 다중 주파수 대역 일부 (BWP) 정보 포함 방법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망은 서로 다른 BWP에 대하여 동일한 CSI-RS를 설정하고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CSI-RS를 설정하기 위하여, 단말에게 송신되는 신호들 중 어떠한 설정 신호 내에서 CSI-RS 자원 설정을 생략하고 (csi-RS-ResourceSetList 전송 생략), 동일한 자원 설정을 사용하는 다른 CSI-RS 설정 ID, 또는 BWP Id 의 정보를 CSI-RS 설정 정보 내에 포함하여 아래의 표 5 및 표 6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 ASN1START
-- TAG-CSI-RESOURCECONFIG-START

-- One CSI resource configuration comprising of one or more resource sets
CSI-ResourceConfig ::= SEQUENCE {

-- Used in CSI-ReportConfig to refer to an instance of CSI-ResourceConfig
csi-ResourceConfigId CSI-ResourceConfigId,

-- Contains up to maxNrofNZP-CSI-RS-ResourceSetsPerConfig resource sets if ResourceConfigType is 'aperiodic' and 1 otherwise.
-- Corresponds to L1 parameter 'ResourceSetConfigList' (see 38.214, section 5.2.1.3.1)
csi-RS-ResourceSetList CHOICE {
nzp-CSI-RS-SSB SEQUENCE {
nzp-CSI-RS-ResourceSetList SEQUENCE (SIZE (1..maxNrofNZP-CSI-RS-ResourceSetsPerConfig)) OF NZP-CSI-RS-ResourceSetId OPTIONAL,
-- List of SSB resources used for beam measurement and reporting in a resource set
-- Corresponds to L1 parameter 'resource-config-SS-list' (see 38,214, section FFS_Section)
csi-SSB-ResourceSetList SEQUENCE (SIZE (1..maxNrofCSI-SSB-ResourceSetsPerConfig)) OF CSI-SSB-ResourceSetId OPTIONAL
},
csi-IM-ResourceSetList SEQUENCE (SIZE (1..maxNrofCSI-IM-ResourceSetsPerConfig)) OF CSI-IM-ResourceSetId
} OPTIONAL,


-- The DL BWPs which the CSI-RS associated with this CSI-ResourceConfig.
-- Corresponds to L1 parameter 'BWP-Info' (see 38.214, section 5.2.1.2
bwp-IdList SEQUENCE (SIZE(1..maxBWP-Id)) OF BWP-Id OPTIONAL,
ref-csi-ResourceConfigId CSI-ResourceConfigId OPTIONAL, -- Cond Duplicated-CSI-RS-ResourceSetList

-- Time domain behavior of resource configuration. Corresponds to L1 parameter 'ResourceConfigType' (see 38.214, section 5.2.2.3.5)
resourceType ENUMERATED { aperiodic, semiPersistent, periodic },
...
}

-- TAG-CSI-RESOURCECONFIGTOADDMOD-STOP
-- ASN1STOP
Conditional Presence Explanation
Duplicated-CSI-RS-ResourceSetList If csi-RS-ResourceSetList is absent, this field is optionally present, otherwise, it is absent.
다중 BWP 정보를 포함한 CSI-RS 를 설정 받은 단말은, 단말이 속한 현재 사용 가능한 active BWP 가 변하더라도, 이전에 사용하던 active BWP 와 현재 사용 가능한 active BWP 에 모두 걸쳐 있는 CSI-RS 가 존재하는지 특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CSI-RS 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CSI-RS 에 대하여서는 측정값이나 관련 카운터(counter), 타이머(timer)를 파기하지 않고 측정과 보고를 단말이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lk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사용중인 BWP를 변경하는 경우에 대한 동작에 대한 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은 1k-1 단계에서 망으로부터 상기 다중 BWP 설정 정보를 포함한 CSI-RS 자원 설정을 수신하고, 각 CSI-RS 자원들과 해당 자원들이 연관된 BWP들 간의 상관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단말은 1k-2 단계에서 자신이 현재 사용 중이던 BWP 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사용 중이던 BWP가 변경되지 않았다면, 단말은 1k-12 단계와 1k-13 단계를 거쳐 기존에 측정 중이던 현재 사용중인 BWP에 속한 CSI-RS 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특정 보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보고하는 동작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상기 1k-2 단계에서 단말이 사용 중이던 BWP가 변경되었다면, 단말은 1k-3 단계에서 새로운 사용 BWP(active BWP)를 특정할 수 있다. 새로운 사용 BWP의 특정은,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BWP 변경을 위하여 기 수신한 하향링크 신호 내의 BWP Id 를 이용해,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기 수신한 BWP 정보 중 상기 BWP-Id 와 일치하는 정보를 파악하고, 해당 BWP 정보에 따라 단말의 RF 단, 구체적으로 중앙 주파수(center frequency), 주파수 밴드(frequency band), 수신 리소스 엘리먼트(Resource Element) 등을 특정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단말은 1k-4 단계에서 1k-3 단계에서 특정한 신규 사용 BWP (active BWP) 와 연관된, 다시 말하면 해당 CSI-RS 자원 설정 내에 신규 사용 BWP (active BWP) ID가 포함된 CSI-RS 자원을 특정할 수 있다.
단말은 1k-5 단계에서 상기 1k-4 단계에서 특정한 CSI-RS가 기존에 사용하던 BWP에서 측정하던 기 설정된 CSI-RS 와 동일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 해당 CSI-RS ResourceConfig, NZP, ZP, 또는 IM CSI-RS-ResourceSet, 또는 NZP, ZP, 또는 IM CSI-RS-Resource 내 존재하는 연관된 BWP-Id list 내에 기존에 사용하던 active BWP의 Id 및 상기 1k-3 단계에서 특정된 신규 단말 사용 active BWP의 Id 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 경우,
-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BWP 와 CSI-RS 간의 연관 관계를 명시하는 표 안에 포함된, 기존에 사용하던 active BWP의 Id 및 상기 1k-3 단계에서 특정된 신규 단말 사용 active BWP의 Id 가, 모두 상기 1k-4 단계에서 특정된 CSI-RS 의 ResourceConfig Id, NZP, ZP 또는 IM CSI-RS-ResourceSet Id, 또는 NZP, ZP 또는 IM CSI-RS-Resource Id 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 단말이 사용하던 이전 active BWP의 측정 주파수 대역폭, 리소스 엘리먼트(resource element)가 포함되어 있는 어떠한 CSI-RS 가 있다고 할 때, 해당 CSI-RS 의 전송 주파수 대역폭, 또는 리소스 엘리먼트(resource element) 영역 내에 단말이 새로 특정한 신규 사용 active BWP의 측정 주파수 대역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 기존에 사용하던 active BWP 또는 새로 특정된 신규 단말 사용 active BWP 와 연관된 (각 active BWP들 안에 설정된) CSI-RS ResourceConfig 내에 포함된 CSI-RS set 또는 CSI-RS 자원 설정 및 이를 인용하는 reference ID (CSI-ResourceConfigId 또는 BWP-Id) 를 통해 두 개의 서로 다른 BWP 내에 설정된 서로 다른 CSI-ResourceConfig 들이 동일한 CSI-RS Resource 설정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을 경우,
만약 1k-4 단계에서 특정한 CSI-RS가 기존에 사용하던 BWP에서 측정하던 기 설정된 CSI-RS와 동일하지 않다면, 단말은 1k-11 단계에서 기존 BWP 와 관련된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파기하고 초기화할 수 있다. 해당 정보들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 BWP 내 CSI-RS 측정 정보 (filter 값, sample 값 등이 저장된 메모리 등) 파기
- BWP 내 beam failure detection 관련 timer, counter, 및 측정값 정보 파기
- BWP 내 radio link monitoring 관련 timer, counter, 및 측정값 정보 파기
- BWP 내 Hybrid ARQ 관련 저장 정보 파기
- BWP 내 DRX (또는 C-DRX) 관련 timer 및 counter 정보 파기
1k-11 단계 이후 단말은 1k-12 단계와 1k-13 단계를 거쳐 기존에 측정 중이던 현재 사용중인 BWP에 속한 CSI-RS 를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특정 보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보고하는 동작을 계속 수행할 수 있다.
만약 1k-5 단계에서 단말이 판단하기에 1k-4 단계에서 특정한 CSI-RS가 기존에 사용하던 BWP에서 측정하던 기 설정된 CSI-RS와 동일하다면, 단말은 1k-6 단계에서 1k-4 단계에서 특정한 CSI-RS 자원을 이어서 측정할 수 있다. 단말은 기존 BWP에서 해당 CSI-RS 측정값을 입력하던 L1/L3 measurement filter 에 이어서 신규 BWP에서 측정한 해당 CSI-RS 측정값을 이어서 입력하고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해당 CSI-RS 에 의하여 트리거(trigger) 되거나 관련된 빔 검출 실패(beam failure detection), 무선 링크 모니터링(radio link monitoring), 무선 링크 실패(radio link failure), 및 drx(Discontiune reception) 관련 타이머(timer)를 유지하고 관련 동작 역시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1k-7 단계에서 1k-6 단계에서 측정한 CSI-RS 자원이 기 설정된 어떠한 측정 보고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고,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측정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 측정 보고시에 단말은 해당 CSI-RS 가 어떠한 BWP에서 측정되었는지 정보를 포함하는 BWP-Id 정보를 포함한 측정 보고를 송신할 수도 있으며, BWP 두 개 이상에서 측정된 CSI-RS 에 대해서는 해당 CSI-RS 가 두 개 이상의 BWP에서 측정되었음을 지시하는 지시자(indicator) 1bit 및/또는, 한 개 이상의 BWP Id 를 포함하여 보고할 수도 있다.
순서도에서는 단말이 사용중인 BWP (active BWP)가 한 개일 때를 가정하고 있지만, 실제로 단말은 두 개 이상의 BWP를 동시 사용 가능한 경우 두 개 이상의 사용중인 BWP (active BWPs)들에 대하여 동시에 도 1k의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BWP 별 CSI-RS 자원 설정 방법은 각각의 CSI-RS 자원 설정(CSI-ResourceConfig, NZP-CSI-RS-ResourceSet, NZP-CSI-RS-Resource, CSI-IM-ResourceSet, CSI-IM-Resource, ZP-CSI-RS-ResourceSet, ZP-CSI-RS-Resource, ...) 내에 해당 CSI-RS 자원이 속한 BWP Id 를 일일이 한 개씩 포함하는 방법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사용 가능한 active BWP 특정 및 CSI-RS 특정 동작에서 단말은 한 개 이상의 BWP들 및 CSI-RS들을 특정하고, 각각의 BWP들 및 CSI-RS들에 대하여 후속 동작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a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CA)에서 패킷 중복 전송이 수행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패킷 중복 전송이란, 하나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장치(2a-10)에서 패킷(PDCP PDU)을 복제한 후, 두 개 이상의 RLC(Radio Link Control) 장치(2a-20, 2a-30)로 각각 데이터를 보내어, 독립적으로 전송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PDCP 장치에 연결되는 RLC 장치는 각각 프라이머리(Primary) RLC 장치와 세컨더리(Secondary) RLC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프라이머리 RLC 장치는 패킷 중복의 활성화 여부에 관계 없이 송신기의 PDCP 계층에서 패킷 전달을 수행하는 RLC 장치이다. 세컨더리 RLC 장치는 패킷 중복이 활성화 되었을 때만 송신기의 PDCP 계층에서 패킷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RLC 장치는 하나의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에 대응될 수 있다. CA 환경에서 패킷 중복 전송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논리채널과 셀(Cell)의 맵핑이 필요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논리 채널들은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셀의 제한이 필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논리 채널 1(2a-40)은 SCell(Secondary Cell) 1(2a-70), SCell 2(2a-80)로 데이터를 보낼 수 있고, 논리 채널 2는 SCell 3(2a-90), SCell 4(2a-100)로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여기서 셀은, 성분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패킷 중복 전송 방식은, 동일한 패킷을 두 개 이상의 RLC 장치를 사용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무선 자원의 소모가 늘어날 수 있다. 무선 자원 활용이 비효율을 가지고 올 수 있기 때문에, 패킷 중복 방식을 항상 수행하는 것은 좋지 않다. 따라서 패킷 중복 전송을, 패킷 중복 전송이 필요한 경우에 한해 수행하게 할 수 있다. 패킷 중복이 설정된 무선 베어러에서 패킷 중복을 실제로 수행하게 하는 것을 패킷 중복의 활성화(Activation)라고 한다. 반대로 패킷 중복이 설정된 무선 베어러에서 패킷 중복을 수행하지 않게 하는 것을 패킷 중복의 비활성화(Deactivation)라고 한다. 패킷 중복의 활성화 및 비 활성화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지시하여 단말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단말이 사전에 설정된 조건에 따라 패킷 중복의 활성화 및 비 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될 경우 각각의 RLC 장치 및 대응되는 논리 채널이 패킷을 전송할 수 있는 셀을 제한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따라서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될 경우 논리 채널1과 논리 채널2는 PCell(Primary Cell)(2a-65), SCell 1(2a-75), SCell 2(2a-85), SCell 3(2a-95), SCell 4(2a-105), SCell 4(2a-115)를 모두 패킷 전송에 사용할 수 있다. 즉, 활성화 된 모든 셀로 패킷을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단, 패킷 중복 전송의 비활성화 시 PDCP 장치(2a-15)는 세컨더리 RLC 장치(2a-35)로 패킷을 보내지 않기 때문에 세컨더리 RLC 장치의 전송이 많지 않을 수 있다.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패킷 중복 전송이 설정된 환경에서 RLC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을 때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동작은 RLC AM(Acknowledged Mode)에서 적용되며, 단말은 초기 전송한 패킷에 대해 전송이 되지 않았다는 NACK을 수신하게 되면, RETX_COUNT 값을 0으로 설정한 후 재전송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동일 패킷에 대해 NACK을 수신할 때 마다 RETX_COUNT를 1씩 증가하고 사전에 설정된 최대 재전송 수인 maxRetxThreshold 값에 도달하면 단말은 기지국에 해당 이벤트를 알릴 수 있다. 만약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한 RLC 장치가 도 2a의 RLC1(2a-40)이나 RLC2(2a-45)처럼 PCell이나 PSCell(Primary Secondary Cell)을 사용할 수 없고 SCell만 사용할 수 있다면, 단말은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음을 단순히 기지국에 알릴 수 있다(2b-100). 이 때 문제가 발생한 RLC 장치를 알려주기 위해, 단말은 기지국에게 해당 문제가 발생한 RLC 장치에 대응하는 논리채널 ID (Logical Channel Identifier, LCID)와 셀그룹(Cell Group)을 알려주게 된다. 이후에 기지국은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LC 장치의 초기화(Reset), 무선 베어러의 재설정(Reconfiguration)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논리 채널이 사용할 수 있는 셀의 제한이 존재하지 않거나 논리 채널이 PCell이나 PSCell을 사용할 수 있다면, 이 때 단말은 RLF (Radio Link Failure)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한 RLC 장치가 도 2a의 RLC1(2a-40)이나 RLC2(2a-45)처럼 PCell이나 PSCell을 사용할 수 없고 SCell만 사용할 수 있는 경우라고 할지라도,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될 경우에는, RLC 장치는 PCell이나 PSCell을 사용하여 패킷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패킷 중복의 활성화와 비활성화는 기지국의 지시나 사전에 설정된 조건에 의해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b에 따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는, 두 번째 재전송(2b-32)까지는 패킷 중복이 비활성화 되었고, 두번째 재전송(2b-32) 이후에 패킷 중복이 활성화 된 것을 가정한다. 이 때 초기 전송(2b-30), 첫 번째 재전송(2b-31), 두 번째 재전송(2b-32)은 PCell이나 PSCell로 수행되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RLC 장치가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다고 해서, 단순히 해당 문제가 발생한 RLC 장치에 대응하는 논리채널 ID와 셀그룹만 알려주는 것은, 기지국이 정확히 문제를 판단하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2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되었을 때 사용될 수 있는 셀이 변경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패킷 중복이 활성화 되었을 때, 각 논리 채널이 사용할 수 있는 셀의 목록은 도 2a의 예시와 동일하다. 다시 말해, 논리 채널 1(2c-40)은 SCell 1(2c-70), SCell 2(2c-80)을 사용할 수 있고, 논리 채널 2(2c-50)은 SCell 3(2c-90), SCell 4(2c-100)를 사용할 수 있다.
만약 해당 무선 베어러의 패킷 중복이 비활성화 될 경우 각 논리 채널이 사용할 수 있는 논리 채널은 늘어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킷 중복이 비활성화 될 경우, 해당 무선 베어러의 논리 채널은 해당 베어러에 연결된 논리 채널이 사용할 수 있는 전체 셀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논리 채널 1과 논리 채널 2는, 이들 논리 채널이 사용할 수 있었던 SCell 1(2c-75), SCell 2(2c-85), SCell 3(2c-95), SCell 4(2c-105)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논리채널 1이나 논리 채널 2가 모두 사용할 수 없는 PCell(2c-65), SCell 5(2c-115)은 패킷 중복이 비활성화 된 시점에도 사용할 수 없다. 도 2c 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라이머리 RLC 장치는 패킷 중복의 활성화 여부에 관계 없이 송신기의 PDCP 계층에서 패킷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세컨더리 RLC 장치는 패킷 중복이 활성화 되었을 때만 송신기의 PDCP 계층에서 패킷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특정 패킷이 RLC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을 때의 단말 동작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특정 패킷이 RLC 재전송 수에 도달하고 RLC 장치에 대응하는 논리채널이 사용할 수 있는 셀 목록에 PCell이나 PSCell이 없다면(2d-10), 단말은 MCG(Master Cell Group) 또는 SCG(Secondary Cell Group)의 RLF(Radio Link Failure) 동작을 수행하거나(2d-40), 단순히 기지국에게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음을 알릴 수 있다(2b-100, 2d-30). 이 때, 해당 패킷의 초기 전송이 시작된 시점 이후로 패킷 중복이 계속 활성화 되어 있는지가 그 기준이 될 수 있다(2d-20). 이 경우, 단말은 매 패킷(RLC PDU)의 초기 전송 시점과 최근 패킷 중복의 활성화 시점을 비교하여 상기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한 패킷의 초기 전송 시점부터 지금까지 패킷 중복이 활성화 되어 있다면, 단말은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음을 기지국에게 알릴 수 있다(2d-30). 단말의 RLC 장치에서 단말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장치로 내용을 전달한 후 단말의 RRC 장치가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의 RRC 장치는 기지국에게 제공하는 보고를 통해 문제가 발생한 RLC 장치를 지시할 수 있으며, 기지국에게 제공하는 보고는 논리 채널 ID와 셀그룹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한 패킷의 초기 전송 이후에 패킷 중복이 비활성화 된 적이 있다면, 단말은 MCG 또는 SCG의 RLF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2d-40).
도 2e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특정 패킷이 RLC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을 때의 단말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특정 패킷이 RLC 재전송 수에 도달하고 해당 RLC 장치에 해당하는 논리채널이 사용할 수 있는 셀 목록에 PCell이나 PSCell이 없다면(2e-10) 단말은 MCG 또는 SCG의 RLF 동작을 수행하거나(2e-40), 단순히 기지국에게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음을 알릴 수 있다(2b-100, 2e-30).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을 때 패킷 중복의 활성화 여부가 그 기준이 될 수 있다(2e-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매 패킷(RLC PDU)의 초기 전송 시점을 확인할 필요가 없고 최대 재전송 도달 시점에서만 패킷 중복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한 시점에 패킷 중복이 활성화 되어 있다면, 단말은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음을 기지국에게 알릴 수 있다(2e-30). 단말의 RLC 장치에서 단말의 RRC 장치로 내용을 전달한 후, 단말의 RRC 장치가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단말의 RRC 장치는 기지국에게 제공하는 보고를 통해 문제가 발생한 RLC 장치를 지시할 수 있으며, 기지국에게 제공하는 보고는 논리 채널 ID와 셀그룹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한 시점에 패킷 중복이 비활성화 되어 있다면, 단말은 MCG 또는 SCG의 RLF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2e-40).
도 2f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특정 패킷이 RLC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을 때의 단말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특정 패킷이 RLC 재전송 수에 도달하고 해당 RLC 장치에 해당하는 논리채널이 사용할 수 있는 셀 목록에 PCell이나 PSCell이 없다면(2f-10) 단말은 MCG 또는 SCG의 RLF 동작을 수행하거나(2f-40), 단순히 기지국에게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음을 알릴 수 있다(2b-100, 2f-30). 이 때,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한 패킷의 초기 전송과 모든 재전송이 해당 논리 채널이 사용할 수 있는 셀 목록에 있는 셀로 전송되었는지의 여부가 그 기준이 될 수 있다(2f-20). 이 경우 단말은 매 패킷(RLC PDU(Protocol Data Unit)의 초기 전송 및 재전송이 수행된 셀을 기록할 필요가 있고, 단말은 최대 재전송 도달 시점에서 전송된 셀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만약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한 패킷의 초기 전송과 모든 재전송이 해당 논리채널이 사용할 수 있는 셀 목록에 있는 셀로 전송이 되었다면, 단말은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음을 기지국에게 알릴 수 있다(2f-30). 단말의 RLC 장치에서 단말의 RRC 장치로 내용을 전달한 후 단말의 RRC 장치가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의 RRC 장치는 기지국에게 제공하는 보고 보고를 통해 문제가 발생한 RLC 장치를 지시할 수 있으며, 기지국에게 제공하는 보고는 논리 채널 ID와 셀그룹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한 패킷의 초기 전송과 모든 재전송 중 적어도 하나가 해당 논리채널이 사용할 수 있는 셀 목록에 있는 셀이 아닌 다른 셀로 전송이 되었다면, 단말은 MCG 또는 SCG의 RLF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2f-40).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한 패킷의 초기 전송과 모든 재전송이 SCell로 전송되었는지가 그 기준이 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한 패킷의 초기 전송과 모든 재전송이 SCell로 전송이 되었다면 단말은 최대 재전송 수를 보고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말은 MCG 또는 SCG의 RLF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2f-20) 단계에 추가적으로 그 시점에 패킷 중복이 활성화 되었는지가 고려될 수 있다.
도 2g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특정 패킷이 RLC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을 때의 단말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특정 패킷이 RLC 재전송 수에 도달하고 해당 RLC 장치에 해당하는 논리채널이 사용할 수 있는 셀 목록에 PCell이나 PSCell이 없다면(2g-10), 단말은 MCG 또는 SCG의 RLF 동작을 수행하거나(2g-40), 단순히 기지국에게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음을 알릴 수 있다(2b-100, 2g-30). 이 때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한 패킷의 초기 전송과 모든 재전송이 패킷 중복의 활성화 상태에서 이루어졌는지 여부가 그 기준이 될 수 있다(2g-20). 이 경우 단말은 매 패킷(RLC PDU)의 초기 전송 및 재전송이 수행되었을 때 패킷 중복의 활성화 상태를 기록할 필요가 있고, 최대 재전송 도달 시점에서 해당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만약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한 패킷의 초기 전송과 모든 재전송이 해당 논리채널이 사용할 수 있는 셀 목록에 있는 셀로 전송이 되었다면, 단말은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음을 기지국에게 알릴 수 있다(2g-30). 단말의 RLC 장치에서 단말의 RRC 장치로 내용을 전달한 후 단말의 RRC 장치가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의 RRC 장치는 기지국에게 제공하는 해당 보고를 통해 문제가 발생한 RLC 장치를 지시할 수 있으며, 기지국에게 제공하는 보고는 논리 채널 ID와 셀그룹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한 패킷의 초기 전송과 모든 재전송 중 적어도 하나가 해당 논리채널이 사용할 수 있는 셀 목록에 있는 셀이 아닌 다른 셀로 전송이 되었다면 단말은 MCG 또는 SCG의 RLF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2g-40). 또한 (2g-20) 단계에 추가적으로 그 시점에 패킷 중복이 활성화 되었는지가 고려될 수 있다.
도 2h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특정 패킷이 RLC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을 때의 단말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특정 패킷이 RLC 재전송 수에 도달하고 해당 RLC 장치에 해당하는 논리채널이 사용할 수 있는 셀 목록에 PCell이나 PSCell이 없다면(2h-10), 단말은 MCG 또는 SCG의 RLF 동작을 수행하거나(2h-40), 단순히 기지국에게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음을 알릴 수 있다(2b-100, 2h-30). 이 때,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한 시점까지 사전에 설정된 시간 동안 패킷 중복이 계속 활성화 되어 있는지가 그 기준이 될 수 있다(2h-20). 예를 들어 사전에 설정된 시간이 1초인 경우,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한 시점부터 최근 1초 이내에 패킷 중복이 계속 활성화 되어 있는지를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매 패킷(RLC PDU)의 직전 패킷 중복 활성화 시점을 기록하고 최대 재전송 수 도달 시 그 시점을 비교하여 상기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한 시점까지 최근 설정된 시간동안 패킷 중복의 활성화가 지속되어 있다면, 단말은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음을 기지국에게 알릴 수 있다(2h-30). 단말의 RLC 장치에서 단말의 RRC 장치로 내용을 전달한 후 단말의 RRC 장치가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의 RRC 장치는 기지국에게 제공하는 해당 보고를 통해 문제가 발생한 RLC 장치를 지시할 수 있으며, 기지국에게 제공하는 보고는 논리 채널 ID와 셀그룹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한 시점까지 사전에 설정된 시간 동안 패킷 중복 전송이 비활성화 된 적이 있다면, 단말은 MCG 또는 SCG의 RLF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2h-40).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RLF 동작을 수행하거나, 단순히 기지국에게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음을 알릴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은 도 2d 내지 도 2h에서 설명한 기준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단말은 도 2d 내지 도 2h에서 설명한 중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 적용함으로써, RLF 동작을 수행할지, 단순히 기지국에게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음을 알릴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i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재전송 수를 업데이트 하는 내용을 도시한 것이다. 도 2b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이 초기 전송 패킷에 해당하는 NACK을 받았을 때, 재전송 수에 해당하는 RETX_COUNT를, 단말은 초기화할 수 있다. 또한, 재전송 이후에 단말이 NACK을 받았을 때, 단말은 RETX_COUNT를 1씩 증가시킬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내용에 따르면, 패킷 중복이 비활성화 된 상태에서, 논리채널이 사용할 수 있는 셀 이외의 다른 셀로 패킷 전송이 수행될 수 있고, 이것은 최대 재전송 시에는 고려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 2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킷 중복이 활성화 된 시점에 단말은 RETX_COUNT를 초기화(2i-40)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킷 중복이 비활성화 된 상태에서(2i-10)에서 초기 전송(2i-30), 첫 번째 재전송(2i-31)이 실패하고 두 번째 재전송(2i-32)까지 수행된 후 패킷 중복이 활성화 된 것(2i-15)을 가정한다. 패킷 중복이 활성화 됨에 따라 단말은 RETX_COUNT를 초기화할 수 있다(2i-40). 이후에 두 번째 재전송에 대한 NACK이 수신되고(2i-62), 이 때 단말은 이를 해당 패킷의 첫 재전송으로 간주할 수 있고, 단말은 RETX_COUNT를 0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 동작을 수행한 후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하는 경우, 해당 패킷의 전송이 모두 패킷 중복의 활성화 상태에서 수행된 것이 되므로, 단말은 RLF를 선언하지 않고 기지국에게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음을 보고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RETX_COUNT가 초기화된 시점(2i-40) 이후부터는, 단말은 기존에 수행하던 재전송을 무시하고 초기 전송을 다시 수행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RETX_COUNT가 초기화된 시점(2i-40) 이후에, 재전송을 수행하는 것이 첫 번째 전송으로 간주될 수 있다. 해당 첫 번째 전송에 대한 NACK을 수신하면, 단말은 이를 첫 번째 재전송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단말은 프로세서(301), 송수신부(302), 메모리(30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프로세서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프로세서(301)는 도 1c를 참고하여 설명된 제어부(330)에 대응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송수신부(302)는 도 1c를 참고하여 설명된 통신부(310)에 대응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저장부(303)는 도 1c를 참고하여 설명된 저장부(320)에 대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301)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1)는 상기에서 기술한 순서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수신부(302)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302)는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동기 신호 또는 기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303)는 상기 송수신부 (302)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프로세서 (301)를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301)는, 도 1i를 참고하여 설명된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301)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고려하여 단말에게 기준 신호를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셀 측정 및 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301)는, 도 2d 내지 도 2h를 참고하여 설명된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301)는, 특정 패킷이 RLC 재전송 수에 도달하고 RLC 장치에 해당하는 논리채널이 사용할 수 있는 셀 목록에 PCell이나 PSCell이 없다면, 패킷이 논리 채널이 사용할 수 있는 셀 목록에 있는 셀을 통해 전송되었는지 여부 또는 패킷 중복 방식의 활성화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를 고려하여, 단말을 통해 MCG 또는 SCG의 RLF 동작을 수행할지 또는 , 단순히 기지국에게 최대 재전송 수에 도달했음을 알릴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301)는 전술한 모든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해 단말의 다른 구성부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프로세서(401), 송수신부(402), 메모리(4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프로세서(401)는 도 1b를 참고하여 설명된 제어부(240)에 대응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송수신부(402)는 도 1b를 참고하여 설명된 무선 통신부(210)에 대응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저장부(403)는 도 1b를 참고하여 설명된 저장부(230)에 대응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프로세서(401)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401)는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401)는 상기에서 기술한 순서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수신부(402)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402)는 예를 들어, 단말에 시스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동기 신호 또는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403)는 상기 송수신부 (402)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프로세서 (401)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 상의 별도의 저장 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개시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다른 일 실시예의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기지국과 단말이 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도 적용 가능하며,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 또한 실시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고려하여 단말에게 기준 신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셀 측정 및 보고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80071617A 2018-06-21 2018-06-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38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617A KR102638708B1 (ko) 2018-06-21 2018-06-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6/440,333 US11652575B2 (en) 2018-06-21 2019-06-13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1980050239.0A CN112514308A (zh) 2018-06-21 2019-06-14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数据的方法和装置
EP19823071.6A EP3811553B1 (en) 2018-06-21 2019-06-14 Packet duplication in a wireless network
PCT/KR2019/007197 WO2019245236A1 (en) 2018-06-21 2019-06-14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U2021100911A RU2758705C1 (ru) 2018-06-21 2019-06-14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данных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18/308,252 US20230269030A1 (en) 2018-06-21 2023-04-27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617A KR102638708B1 (ko) 2018-06-21 2018-06-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733A true KR20190143733A (ko) 2019-12-31
KR102638708B1 KR102638708B1 (ko) 2024-02-21

Family

ID=68980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617A KR102638708B1 (ko) 2018-06-21 2018-06-2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652575B2 (ko)
EP (1) EP3811553B1 (ko)
KR (1) KR102638708B1 (ko)
CN (1) CN112514308A (ko)
RU (1) RU2758705C1 (ko)
WO (1) WO201924523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94839A1 (en) * 2019-03-29 2023-03-30 Qualcomm Incorporated Beam indication reuse
US11696259B2 (en) 2019-04-30 202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process
US11778679B2 (en) 2019-02-14 2023-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9835B2 (en) * 2018-06-22 2022-10-1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an ID of specific BWP among the multiple BWP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740468B (zh) * 2018-07-18 2023-07-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网络通信的状态检测方法、配置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111132203B (zh) * 2018-10-31 2021-11-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处理方法及终端
US11743904B2 (en) * 2019-03-28 2023-08-29 Ofinno, Llc Configured grant processes in a wireless device
US11678314B2 (en) * 2019-06-24 2023-06-13 Qualcomm Incorporated Packet duplication carrier enhancements
CA3152718A1 (en) * 2019-09-30 2021-04-08 Chunli Wu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1182584B (zh) * 2020-01-07 2023-04-25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激活scg的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13453271A (zh) * 2020-03-25 2021-09-28 索尼公司 用于无线通信的电子设备和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TWI747229B (zh) * 2020-04-06 2021-11-21 智易科技股份有限公司 通訊系統及其資料傳輸方法與基站
WO2022031197A1 (en) * 2020-08-06 2022-02-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ditional thresholds for dual connectivity data path switching
US11277735B1 (en) 2020-09-08 2022-03-15 T-Mobile Innovations Llc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layer control for wireless user equipment
US20230132063A1 (en) * 2021-10-26 2023-04-27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ments for beamformed sl groupcast over mmw bands
WO2023178634A1 (en) * 2022-03-25 2023-09-28 Apple Inc.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and measurement for reduced capability wireless device operation
WO2023178647A1 (en) * 2022-03-25 2023-09-28 Apple Inc.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for reduced capability wireless device op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616682D0 (en) 2006-08-22 2006-10-04 Nec Corp Mobile telecommunications
KR101669966B1 (ko) * 2009-05-11 2016-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복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2223730B (zh) * 2010-04-14 2015-04-22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辅载波随机接入失败的处理方法及装置
CN105122863A (zh) * 2013-01-18 2015-12-02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小小区网络中rlm以及rlf机制的处理
WO2015141682A1 (ja) * 2014-03-18 2015-09-24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無線通信方法、集積回路および処理方法
JP2015216502A (ja) * 2014-05-09 2015-12-03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方法
KR102241827B1 (ko) * 2014-05-16 2021-04-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캐리어들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423756B1 (ko) * 2015-01-29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셀 집적 시스템에서 하향 제어 채널 정보 송신 방법 및 장치
US10244444B2 (en) 2015-03-04 2019-03-26 Qualcomm Incorporated Dual link handover
CN112969226A (zh) * 2015-03-06 2021-06-15 三星电子株式会社 执行和报告测量的方法和装置
CN115866684A (zh) * 2017-03-13 2023-03-28 诺基亚技术有限公司 新无线电接入技术中的重复和rlc操作
EP4057562A1 (en) 2017-03-23 2022-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ement configuration of different reference signals and cell measurement report mechanism
US11005606B2 (en) * 2017-03-24 2021-05-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al of duplicated packets for transmission
US11184945B2 (en) * 2017-06-14 2021-11-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handling deactivation for a cell in which packet duplication is performe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807717* *
3GPP R2-1710861* *
3GPP R2-1806144*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78679B2 (en) 2019-02-14 2023-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tat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30094839A1 (en) * 2019-03-29 2023-03-30 Qualcomm Incorporated Beam indication reuse
US11696259B2 (en) 2019-04-30 202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45236A1 (en) 2019-12-26
US20190393989A1 (en) 2019-12-26
EP3811553B1 (en) 2024-03-13
RU2758705C1 (ru) 2021-11-01
CN112514308A (zh) 2021-03-16
EP3811553A4 (en) 2021-07-28
US11652575B2 (en) 2023-05-16
EP3811553A1 (en) 2021-04-28
US20230269030A1 (en) 2023-08-24
KR102638708B1 (ko) 202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870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112716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 using beam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8141272A1 (zh) 终端、网络设备和通信方法
KR2020012752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10226681A1 (en) Techniques for antenna subset selection in upper millimeter wave bands
EP4315950A1 (en) Techniques for measurement gap configurations
US20240014965A1 (en) Aperiodic reference signal measurements for multip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s
EP4211856A2 (en) Resource set configuration reporting with multiple channel and interference measurements
US20230163938A1 (en) Indication of asymmetric default operating frequencies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s
US1108955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40048221A1 (en) Techniques for beam refinement and beam selection enhancement
US11996918B2 (en) Techniques for indicating preferred beams in multi-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multi-TRP) systems based on default operating frequency (DOF) mismatch
US11451259B2 (en) Techniques for self-interference reporting
KR20240049571A (ko) 다중 trp 시스템용 공간 필터의 동적 전환
US11817924B1 (en) Transmission precoding matrix indicator grouping and designs for uplink multi-layer transmissions
US11870533B2 (en) Techniques for individual beam failure detection
US20240022982A1 (en) Techniques for layer 2 signaling for layer 1 and layer 2 mobility
WO2024065357A1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for multi-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based beam prediction
US20230319931A1 (en) Multi-path beam failure reporting techniques
US20230328562A1 (en) Techniques for panel-specific cli measurement
US20240040416A1 (en) Techniques for channel measurements for multiple uplink carriers in carrier aggregation
WO2023130305A1 (en) Techniques for event-triggered beam group reporting
WO2023283063A1 (en) Techniques for selecting spatial relation information for simultaneous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resources across multiple component carriers
KR2023009357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로 연결된 원격단말의 경로 변경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