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3647A -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 Google Patents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3647A
KR20190143647A KR1020180071405A KR20180071405A KR20190143647A KR 20190143647 A KR20190143647 A KR 20190143647A KR 1020180071405 A KR1020180071405 A KR 1020180071405A KR 20180071405 A KR20180071405 A KR 20180071405A KR 20190143647 A KR20190143647 A KR 20190143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er
athlete
user terminal
information
ratio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3176B1 (ko
Inventor
윤종국
박재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80071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176B1/ko
Publication of KR20190143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e.g. for requesting a higher resolution version of a selected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은 스포츠 경기장에서 경기를 수행하는 복수의 선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위치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한 복수의 선수에 대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 선수의 위치에 대한 비율값을 산출하는 비율값 산출부 및 상기 스포츠 경기장의 맵을 표시하고, 상기 경기의 진행에 따라 상기 산출된 비율값에 기초하여 상기 각 선수의 위치를 상기 스포츠 경기장의 맵에 설정된 스플라인 곡선(spline curve)을 따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USER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PORTS VIDEO AND USER DEVICE FOR DISPLAYING SPORTS VIDEO}
본 발명은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이다.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이란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컴퓨터 작업을 통해 가상 세계를 만들고,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제 주변 상황 및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 주는 인간과 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가상 현실은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경험하기 어려운 환경을 직접 체험하지 않고 그 환경에 들어와 있는 것처럼 보여주고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예를 들어, 탱크, 항공기 조종법 훈련, 가구의 배치 설계, 수술 실습, 게임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상 현실 기술과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2017-0115390호는 3차원 가상현실 구현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에서 가상 현실 기술이 적용된 콘텐츠를 통해 실시간으로 사물(예를 들어, 자동차, 비행기 등) 또는 사람의 위치를 표현하는 경우, 사물 또는 사람의 갑작스러운 움직임 또는 비정상적인 움직임이 많이 발생됨에 따라 위치 표현이 부자연스러워지고, 이는 사용자 경험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스포츠 경기를 시청하는 경우,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동안에 경기에 참가한 선수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선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선수의 위치를 자연스럽게 표현되도록 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선수의 위치를 보간하는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동안, 사용자가 원하는 스포츠 경기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선수를 추적하는 영상 또는 선수의 시점에서 바라보는 영상을 제공하는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사용자가 스포츠 경기장의 실제 트랙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에 대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카메라의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을 제공하는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포츠 경기장에서 경기를 수행하는 복수의 선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위치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한 복수의 선수에 대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 선수의 위치에 대한 비율값을 산출하는 비율값 산출부 및 상기 스포츠 경기장의 맵을 표시하고, 상기 경기의 진행에 따라 상기 산출된 비율값에 기초하여 상기 각 선수의 위치를 상기 스포츠 경기장의 맵에 설정된 스플라인 곡선(spline curve)을 따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스포츠 경기장에서 경기를 수행하는 복수의 선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위치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한 복수의 선수에 대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 선수의 위치에 대한 비율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스포츠 경기장의 맵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경기의 진행에 따라 상기 산출된 비율값에 기초하여 상기 각 선수의 위치를 상기 스포츠 경기장의 맵에 설정된 스플라인 곡선(spline curve)을 따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스포츠 경기장의 맵을 표시하는 맵 표시부, 상기 스포츠 경기장에서 경기를 수행하는 복수의 선수에 대해 수집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상기 각 선수의 위치에 대한 비율값에 따라 상기 각 선수의 위치를 상기 스포츠 경기장의 맵에 설정된 스플라인 곡선(spline curve)을 따라 표시하는 선수 위치 표시부 및 상기 복수의 선수에 대한 리스트를 상기 화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는 선수 정보 표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스포츠 경기를 시청하는 경우,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동안에 경기에 참가한 선수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선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선수의 위치를 자연스럽게 표현되도록 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선수의 위치를 보간하는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스포츠 경기가 진행되는 동안, 사용자가 원하는 스포츠 경기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선수를 추적하는 영상 또는 선수의 시점에서 바라보는 영상을 제공하는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포츠 경기장의 실제 트랙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에 대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카메라의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을 제공하는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선수의 위치를 보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각 선수의 위치를 스포츠 경기장의 맵에 설정된 스플라인 곡선을 따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각 선수의 위치에 대한 순위에 기초하여 순위 및 국기를 군집화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에서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10) 및 위치 정보 제공 서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 및 위치 정보 제공 서버(120)는 영상 제공 시스템(1)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영상 제공 시스템(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은 위치 정보 제공 서버(120)와 동시에 또는 시간 간격을 두고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 (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라이파이(L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에게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단말로서, 스포츠 경기장에서 경기를 수행하는 복수의 선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위치 정보 제공 서버(120)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이 때, 각 선수에 대한 위치 정보는 실제 트랙의 전체 길이에 대해 각 선수가 이동한 거리, 각 선수의 위치로부터 실제 트랙의 종료 좌표까지 남은 거리 및 각 선수의 위치에 해당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수집한 복수의 선수에 대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선수의 위치에 대한 비율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실제 트랙의 전체 길이에 대해 각 선수가 이동한 거리 및 각 선수의 위치로부터 실제 트랙의 종료 좌표까지 남은 거리에 기초하여 비율값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각 선수의 위치에 대해 산출된 비율값에 대해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10)은 산출된 비율값이 유효하지 않은 값으로 판단된 경우, 유효하지 않는 값으로 판단된 비율값에 대응하는 선수의 위치를 스플라인 곡선(spline curve)을 따라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경기가 시작되기 전 또는 경기가 종료된 후에 수신된 각 선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비율값을 유효하지 않는 값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비율값이 유효한 값으로 판단된 경우, 유효한 값으로 판단된 비율값을 정렬하여 각 선수에 대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비율값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각 선수의 위치를 보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각 선수의 스포츠 경기장에서의 제 1 위치 정보에 대한 비율값 및 시간 정보와 제 1 위치 정보 보다 이전 시점에 해당하는 제 2 위치 정보에 대한 비율값 및 시간 정보 간에 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각 선수의 위치를 보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의 화면에 스포츠 경기장의 맵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경기의 진행에 따라 산출된 비율값에 기초하여 각 선수의 위치를 스포츠 경기장의 맵에 설정된 스플라인 곡선을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10)은 결정된 각 선수에 대한 순위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순위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선수에 대한 순위 및 국기를 군집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스포츠 경기장에서 경기를 수행하는 복수의 선수에 대해 수집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각 선수의 위치에 대한 비율값에 따라 각 선수의 위치를 스포츠 경기장의 맵에 설정된 스플라인 곡선을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플라인 곡선은 스포츠 경기장 내에 위치하는 실제 트랙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실제 트랙의 시작 좌표 및 상기 실제 트랙의 종료 좌표 사이에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선수에 대한 리스트를 화면의 제 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표시된 복수의 선수에 대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선수가 선택되면, 선택된 선수의 상태 정보를 화면의 제 2 영역에 더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선택된 선수를 추적하는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선택된 선수의 시점에 대한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스포츠 경기장의 실제 트랙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에 대한 리스트를 화면의 제 3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카메라에 대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가 선택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 중 선택된 카메라의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수집부(210), 비율값 산출부(220), 유효성 판단부(230), 보간부(240) 및 표시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부(210)는 스포츠 경기장에서 경기를 수행하는 복수의 선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위치 정보 제공 서버(120)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각 선수에 대한 위치 정보는 실제 트랙의 전체 길이에 대해 각 선수가 이동한 거리 및 각 선수의 위치로부터 실제 트랙의 종료 좌표까지 남은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선수에 대한 위치 정보는 각 선수의 위치에 해당하는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율값 산출부(220)는 수집한 복수의 선수에 대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선수의 위치에 대한 비율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율값 산출부(220)는 실제 트랙의 전체 길이에 대해 각 선수가 이동한 거리 및 각 선수의 위치로부터 실제 트랙의 종료 좌표까지 남은 거리에 기초하여 비율값을 산출할 수 있다. 특정 선수에 관한 비율값은 예를 들어, (해당 선수가 이동한 총거리)/실제 트랙의 전체 길이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이 때, 비율값은 [0, 1] 범위에 포함되며, [0, 1] 범위는 예를 들어, 각 선수가 경기장 트랙을 따라 이동한 거리를 나타내며, '0'은 각 선수가 트랙의 시작 위치에 위치하였음을 의미하고, '1'은 각 선수가 트랙의 종료 위치인 결승선에 도달하였음을 의미한다.
유효성 판단부(230)는 각 선수의 위치에 대해 산출된 비율값에 대해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유효성 판단부(230)는 산출된 비율값이 0~1 범위를 벗어나는 것과 같이 유효하지 않은 값으로 판단된 경우, 유효하지 않은 값에 해당하는 비율값을 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이전에 미리 필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성 판단부(230)는 산출된 비율값이 유효하지 않은 값으로 판단된 경우, 표시부(250)를 통해 유효하지 않는 값으로 판단된 비율값에 대응하는 선수의 위치를 스플라인 곡선을 따라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효성 판단부(230)는 경기가 시작되기 전 또는 경기가 종료된 후에 수신된 각 선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비율값을 유효하지 않는 값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기가 시작되기 전의 경우, 수집부(210)는 경기가 시작되기 10~20분 전부터 복수의 선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집하지만, 스타트 라인 밖에 있는 선수들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비율값은 유효한 비율값이 아니므로, 유효성 판단부(230)는 표시부(250)를 통해 경기가 시작되기 4~8초 전까지는 모든 선수들의 움직임 및 대기 중인 그래픽을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경기가 종료된 후의 경우, 종료점까지의 거리가 '0'이 되어 비율값이 '1'이 되어 더 이상 선수를 표시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효성 판단부(230)는 경기가 종료되면 표시부(250)를 통해 모든 선수가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경기 도중의 경우, 유효성 판단부(230)는 수집부(210)를 통해 유효하지 않은 위치 정보가 수집되거나, 수 초간 위치 정보가 수집되지 않거나, 비율값 산출부(220)를 통해 산출된 비율값이 0~1 사이의 값이 아닌 경우, 표시부(250)를 통해 해당 선수의 위치가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잠시동안 선수의 위치 정보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정확한 위치 정보가 재수집되는 즉시 유효성 판단부(230)는 표시부(250)를 통해 해당 선수가 다시 표시되도록 하고, 그 외의 경우(예를 들어, 서비스 중단, 선수의 헬멧 또는 장비에 장착된 GPS 수신기 고장, 선수의 경기장 이탈), 선수의 위치가 스포츠 경기장의 트랙을 이탈한 것으로 간주하여 해당 선수의 위치를 표시하지 않도록 예외 처리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유효성 판단부(230)는 비율값이 유효한 값으로 판단된 경우, 유효한 값으로 판단된 비율값을 정렬하여 각 선수에 대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성 판단부(230)는 유효한 값으로 판단된 비율값을 각각 비교하여 값이 큰 순서대로 정렬하고, 정렬된 비율값의 순서대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보간부(240)는 비율값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각 선수의 위치를 보간할 수 있다.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앱에서 현재 경기 중인 각 선수의 위치에 대한 움직임을 매끄럽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두 시점에서의 위치 정보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보간부(240)는 각 선수의 스포츠 경기장에서의 제 1 위치 정보에 대한 비율값 및 시간 정보와 제 1 위치 정보 보다 이전 시점에 해당하는 제 2 위치 정보에 대한 비율값 및 시간 정보 간에 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각 선수의 위치를 보간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위치 정보는 선수의 가장 최근 위치에 해당하는 정보이고, 제 2 위치 정보는 선수의 가장 최근 위치의 이전 위치에 해당하는 정보로서, 두번째 최근 위치에 해당하는 정보일 수 있다. 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선수의 위치를 보간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선수의 위치를 보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간부(240)는 각 선수의 스포츠 경기장에서의 제 1 위치 정보에 대한 비율값 및 시간 정보와 제 1 위치 정보 보다 이전 시점에 해당하는 제 2 위치 정보에 대한 비율값 및 시간 정보 간에 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각 선수의 위치를 보간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위치 정보는 각 선수의 가장 최근 위치(300)를 나타내고, 제 2 위치 정보는 각 선수의 두번째 최근 위치(310)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최근 위치(300)에 대한 비율값이 '0.6'이고, 시간 정보가 '3sec'이고, 두번째 최근 위치(310)에 대한 비율값이 '0.4'이고, 시간 정보가 '1sec'인 경우, 보간부(240)는 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해당 선수의 위치에 대한 보간된 위치(320)로 비율값을 '0.5'로, 시간 정보를 '2sec'로 보간함으로써, 뷰 보간을 통해 의도적으로 선수의 위치가 1초 지연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보간법은 표준 선형 보간법이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표시부(250)는 스포츠 경기장의 맵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250)는 스포츠 경기장의 맵을 3D 맵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50)는 경기의 진행에 따라 산출된 비율값에 기초하여 각 선수의 위치를 스포츠 경기장의 맵에 설정된 스플라인 곡선을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부(250)는 기존의 렌더링 API를 이용하여 3D 렌더링을 수행하여 보간된 각 선수의 위치를 스포츠 경기장의 맵에 설정된 스플라인 곡선을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플라인 곡선은 스포츠 경기장 내에 위치하는 실제 트랙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실제 트랙의 시작 좌표 및 실제 트랙의 종료 좌표 사이에 설정될 수 있다. 각 선수의 위치를 스포츠 경기장의 맵에 설정된 스플라인 곡선을 따라 표시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각 선수의 위치를 스포츠 경기장의 맵에 설정된 스플라인 곡선을 따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스포츠 경기장의 트랙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경우, 실제 트랙과 불일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그래픽 시각화와 동일한 좌표계에서 3D 경기장의 트랙을 나타내는 스플라인 곡선의 정의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표시부(250)는 경기의 진행에 따라 산출된 비율값에 기초하여 각 선수의 위치를 스포츠 경기장의 맵에 설정된 스플라인 곡선을 따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스플라인 곡선이란 컴퓨터 그래픽에서 유선형의 모양을 만들기 위해 제어점들을 지정하고 이를 잇는 곡선으로, 스플라인 곡선의 주어진 점에 도달할 때까지 스플라인 곡선을 따라 이동하는 비율값을 사용한 스플라인 곡선 상의 점을 찾는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직교 좌표 공간에서의 위치는 이전에 계산된 비율값을 사용한 스플라인 곡선으로부터 획득하게 된다. 이 때, 위치는 x, y, z의 구성 요소가 있는 3차원 벡터 값으로 3D 맵 상에 표시되도록 변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부(250)는 스포츠 경기장의 3D 형태의 맵(400)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출발점(410) 위치에 해당하는 각 선수의 비율값은 '0'이고, 결승점(420) 위치에 해당하는 각 선수의 비율값은 '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A 선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비율값이 '0.5'(430)인 경우, 표시부(250)는 A 선수의 위치를 3D 맵(400) 상에 비율값인 '0.5'(430)에 해당하는 스플라인 곡선을 따라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표시부(250)는 유효성 판단부(230)에서 결정된 각 선수에 대한 순위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순위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선수에 대한 순위 및 국기를 군집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성 판단부(230)에서 정렬된 비율값에 대해 값이 큰 순서대로 순위가 결정되면, 표시부(250)는 각 선수의 등수를 나타내기 위한 플래그를 설정하고, 기설정된 순위 내에 들어온 선수를 최대 5개(예를 들어, 5명의 선수 및 국기) 단위로 군집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선수의 순위 및 국기를 군집화하여 표시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각 선수의 위치에 대한 순위에 기초하여 순위 및 국기를 군집화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부(250)는 정렬된 비율값을 기준으로 실시간으로 군집화 및 순위를 표시하고, 그래픽에 표시된 군집된 국기(선수)의 상단 왼쪽에 숫자로 순위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순위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표시부(250)는 기설정된 순위 내에 들어오는 선수를 최대 5개(5명의 선수 및 국기) 단위로 군집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250)는 스포츠 경기장의 맵(500) 상에 31~34위(520)에 해당하는 선수의 위치(510)를 스플라인 곡선 상에 표시하고, 35~36(540)에 해당하는 선수의 위치(530)를 스플라인 곡선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10)에서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1)에 의해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에서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61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스포츠 경기장에서 경기를 수행하는 복수의 선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위치 정보 제공 서버(120)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수집한 복수의 선수에 대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선수의 위치에 대한 비율값을 산출할 수 있다.
단계 S63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스포츠 경기장의 맵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64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경기의 진행에 따라 산출된 비율값에 기초하여 각 선수의 위치를 스포츠 경기장의 맵에 설정된 스플라인 곡선을 따라 표시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110)은 경기의 진행에 따라 주기적으로 각 선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한 각 선수의 위치 정보에 따른 비율값에 기초하여 각 선수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10 내지 S64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맵 표시부(710), 선수 위치 표시부(720), 선수 정보 표시부(730) 및 카메라 정보 표시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맵 표시부(710)는 사용자 단말(110)의 화면에 스포츠 경기장의 맵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맵 표시부(710)는 사용자 단말(110)의 화면에 크로스컨트리, 스키애슬론과 같은 스포츠 경기장의 맵을 3D 형태로 가상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선수 위치 표시부(720)는 스포츠 경기장에서 경기를 수행하는 복수의 선수에 대해 수집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각 선수의 위치에 대한 비율값에 따라 각 선수의 위치를 스포츠 경기장의 맵에 설정된 스플라인 곡선을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수 위치 표시부(720)는 스포츠 경기가 시작되면, 각 선수의 위치를 스포츠 경기장의 맵에 설정된 스플라인 곡선을 따라 표시함으로써, 경기 화면의 가상의 트랙 상에 각 선수의 위치를 선수의 국기를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 선수들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
선수 정보 표시부(730)는 복수의 선수에 대한 리스트를 화면의 제 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제 1 영역에 표시된 복수의 선수에 대한 리스트는 경기 순위에 따라 선수명 및 해당 선수가 속한 국가의 국기, 1위와의 기록 차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선수 정보 표시부(730)는 표시된 복수의 선수에 대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선수가 선택되면, 선택된 선수의 상태 정보를 화면의 제 2 영역에 더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복수의 선수에 대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순위에 해당하는 국기를 선택하면, 해당 순위에 대응하는 선수의 상태 정보를 제 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선수의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선수의 사진, 선수명, 현재 순위, 현재 거리, 현재 기록, 1위와의 기록 차이, 선수를 추적하는 영상, 선수의 시점에 대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수 정보 표시부(730)는 선택된 선수를 추적하는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선수를 추적하는 영상은 선수의 헬멧, 장비 등에 부착된 GPS 단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함으로써, 스포츠 경기의 진행 중 선수가 트랙의 이동 시, 가장 근접한 카메라의 영상을 자동으로 실행함으로써, 해당 선수의 경기를 자동으로 추적하여 감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선수가 카메라에 비춰지지 않는 트랙을 움직이는 경우, 선수 정보 표시부(730)는 기본으로 지정된 카메라(예를 들어, 1번 카메라)로 영상을 재생함으로써, 지속적인 영상 스트리밍을 통해 사용자에게 실감나는 스포츠 경기의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선수 정보 표시부(730)는 선택된 선수의 시점에 대한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선수의 시점에 대한 영상은 3D로 시각화된 가상의 스포츠 경기장에서 사용자가 선수의 시점을 통해 영상을 시청함으로써, 사용자가 선수가 되어 스포츠 경기장의 트랙 상에서 직접 경기하는 것과 같은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 정보 표시부(740)는 스포츠 경기장의 실제 트랙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에 대한 리스트를 화면의 제 3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 정보 표시부(740)는 복수의 카메라에 대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가 선택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 중 선택된 카메라의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앱의 메인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스포츠 경기를 시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앱을 통해 올림픽 경기 중 크로스컨트리, 스키애슬론과 같이 트랙으로 구성된 스포츠 경기장의 경기를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앱에서 스포츠 경기 종목을 선택함으로써, 3D 맵으로 표시된 가상의 스포츠 경기장 화면으로 입장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스포츠 경기 종목의 선택 후, 선택한 스포츠 경기 종목에 대한 경기 일정 리스트를 통해 확인하고, 경기 일정 리스트 중 현재 진행 중인 스포츠 경기를 선택함으로써, 스포츠 경기 화면으로 입장할 수 있다.
스포츠 경기 화면은 스포츠 경기장의 맵(800) 및 경기 화면의 복수의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크로스컨트리, 스키애슬론 중 크로스컨트리 경기를 선택받은 경우, 가상의 트랙을 포함하는 크로스컨트리 경기장의 맵(800)을 3D 맵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10)의 스포츠 경기 화면의 하단의 제 1 영역에 스코어보드 정보(801), 제 2 영역에 선수 정보(802) 및 제 3 영역에 비디오 정보(803)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스포츠 경기에 진행에 따라 선수의 위치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스포츠 경기가 시작되면, 스포츠 경기 화면의 가상의 트랙 상에 각 선수의 위치 및 해당 선수의 국기를 표시함으로써(도면 부호 810 참조), 각 선수들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보여지도록 할 수 있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경기 화면에서 스코어보드 정보 및 선수 정보에 대응하는 상세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1 영역을 통해 스포츠 경기의 진행에 따른 스코어보드 정보(820)를 표시할 수 있다. 스코어보드 정보(820)는 스포츠 경기의 진행에 따른 선수의 순위 리스트로 구성되며, 스코어보드 정보(820)는 각 순위에 대응하는 선수명, 국기, 1위와의 기록 차이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스코어보드 정보(820)를 통해 3위에 해당하는 'BJORNSEN Sadie'라는 선수의 국기(821)를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제 2 영역을 통해 해당 선수 정보(830)를 표시할 수 있다.
선수 정보(830)는 스코어보드 정보(820)를 통해 선택된 선수의 사진, 이름, 현재 순위, 경기기록, 1위와의 기록 차이, 선수 추적 영상(831), 선수 시점 영상(8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수 정보(830) 중 선수 추적 영상(831)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선수의 헬멧, 장비 등에 부착된 GPS 단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함으로써, 스포츠 경기 중 선수가 트랙의 이동 시, 가장 근접한 카메라의 영상을 자동으로 실행하여 해당 선수의 경기를 자동으로 추적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선수의 위치가 8번 카메라와 인접한 트랙을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8번 카메라'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선수가 카메라가 비추지 않는 트랙을 지나가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기본으로 지정된 카메라(예를 들어, #1번 카메라)의 영상을 재생하여 지속적으로 영상 스트리밍을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감나는 스포츠 경기의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수 시점 영상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선수 정보(830) 중 선수 시점 영상(832)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선택된 선수의 시점에서 3D로 시각화된 가상의 경기장에서의 해당 선수 시점에 대한 뷰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선수가 되어 스포츠 경기장의 트랙 상에서 직접 경기하는 것과 같은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경기 화면에서 비디오 정보에 대응하는 상세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e를 참조하면, 비디오 정보(850)는 스포츠 경기장의 실제 트랙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840)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카메라(840)에 대한 리스트(850) 중 사용자가 '카메라 #06'(851)을 선택하는 경우, '카메라 #06'(851)의 영상을 재생창(86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포츠 경기장의 트랙 상에 표시된 '#06 카메라 아이콘'(841)을 직접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카메라에 대응하는 영상을 재생창(86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재생창(860)을 통해 재생되는 영상을 한 번 더 클릭하면, 전체화면을 통해 확대된 영상으로 재생되며, 사용자가 전체 화면에서 오른쪽 하단에 위치한 축소 버튼을 클릭하면, 원래의 화면 크기로 돌아가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스포츠 경기장의 트랙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해당 지점에서의 경기 영상을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에서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에서 스포츠 경기장으로 입장하는 화면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HMD(Head Mounted Display, 115)를 통해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앱을 실행하여 실시간으로 스포츠 경기를 시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HMD(115)에서 실행되는 앱을 통해 올림픽 경기 중 크로스컨트리, 스키애슬론과 같이 트랙으로 구성된 스포츠 경기장의 경기를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HMD(115)에서 실행되는 앱의 메인 화면에서 크로스컨트리 아이콘(900)에 초점을 맞춘 후, 흰색의 게이지 바가 모두 채워지게 되면 크로스컨트리 경기장 화면으로 입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크로스컨트리 경기장의 입장 후, 각 'Location'의 시선 아이콘(910)을 선택하면, HMD(115)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시선 아이콘(910)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로 시선을 이동시켜 다양한 위치와 각도에서 스포츠 경기를 관람할 수 있도록 경기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MD에서 목록 버튼을 통해 상세 화면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HMD(115)는 크로스컨트리 경기장 트랙을 3D 맵으로 가상화하여 크로스컨트리 경기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크로스컨트리 경기 화면에서 시선을 아래로 내림으로써, 목록 버튼(920)을 선택하면, HMD(115)는 목록(930)을 표시할 수 있다. 목록(930)은 경기 정보, 시작/종료 시간, 경기 중인 선수들의 순위, 국적, 이름, 기록 등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목록(930)의 오른쪽에 위치한 스크롤 버튼(931)에 시선을 고정시킨 후, 시선을 위로 올리거나 아래로 내림으로써 목록의 스크롤을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목록 또는 가상의 트랙에 위치한 국기를 선택하면, 해당 선수 시점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다시 시선을 아래로 내린 후, 목록 버튼(920)을 선택하는 경우, 목록(930)은 사라지게 되며, 목록(930)이 사라진 후, 사용자가 취소 버튼을 선택하면, HMD(115)는 스포츠 경기의 시청을 종료하여 크로스컨트리 경기 화면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수 시점 영상을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목록(930)에 포함된 국기 중 어느 하나의 국기(940)에 초점을 맞추어 지속적으로 응시하게 되면, HMD는 해당 선수의 관점으로 가상 트랙에서의 움직임을 시청할 수 있는 선수 시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HMD는 모바일에서 제공하는 선수 시점 영상 보다 가상 트랙의 움직임을 실제 선수가 느끼는 것과 같은 체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수 시점 영상을 종료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선수 시점 영상의 시청 중 고개를 살짝 숙이게 되면, HMD는 취소 버튼 및 목록 버튼을 포함하는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취소 버튼(950)을 통해 선수 시점 영상을 종료시킬 수 있고, 목록 버튼(951)을 통해 실시간 경기 현황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목록 버튼(951)에 초점을 맞춘 후 지속적으로 응시하게 되면, HMD는 목록(960)을 통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스포츠 경기의 순위를 표시하고, 경기 순위에 포함된 다른 국기에 초점을 맞추면, 다른 국기의 선수 시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10)에서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9d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제공 시스템(1)에 의해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9d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10)에서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101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 단말(110)의 화면에 스포츠 경기장의 맵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102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스포츠 경기장에서 경기를 수행하는 복수의 선수에 대해 수집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각 선수의 위치에 대한 비율값에 따라 각 선수의 위치를 스포츠 경기장의 맵에 설정된 스플라인 곡선을 따라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1030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복수의 선수에 대한 리스트를 화면의 제 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010 내지 S103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전환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된 사용자 단말에서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된 사용자 단말에서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사용자 단말
120: 위치 정보 제공 서버
210: 수집부
220: 비율값 산출부
230: 유효성 판단부
240: 보간부
250: 표시부
710: 맵 표시부
720: 선수 위치 표시부
730: 선수 정보 표시부
740: 카메라 정보 표시부

Claims (18)

  1.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스포츠 경기장에서 경기를 수행하는 복수의 선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위치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한 복수의 선수에 대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 선수의 위치에 대한 비율값을 산출하는 비율값 산출부; 및
    상기 스포츠 경기장의 맵을 표시하고, 상기 경기의 진행에 따라 상기 산출된 비율값에 기초하여 상기 각 선수의 위치를 상기 스포츠 경기장의 맵에 설정된 스플라인 곡선(spline curve)을 따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인 곡선은 상기 스포츠 경기장 내에 위치하는 실제 트랙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플라인 곡선은 상기 실제 트랙의 시작 좌표 및 상기 실제 트랙의 종료 좌표 사이에 설정되고,
    상기 비율값 산출부는 상기 실제 트랙의 전체 길이에 대해 상기 각 선수가 이동한 거리 및 상기 각 선수의 위치로부터 상기 실제 트랙의 종료 좌표까지 남은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비율값을 산출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선수에 대한 위치 정보는 상기 각 선수의 위치에 해당하는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율값 및 상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각 선수의 위치를 보간하는 보간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간부는 상기 각 선수의 상기 스포츠 경기장에서의 제 1 위치 정보에 대한 비율값 및 시간 정보와 상기 제 1 위치 정보 보다 이전 시점에 해당하는 제 2 위치 정보에 대한 비율값 및 시간 정보 간에 상기 보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각 선수의 위치를 보간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선수의 위치에 대해 산출된 비율값에 대해 유효성을 판단하는 유효성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판단부는 상기 산출된 비율값이 유효하지 않은 값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유효하지 않는 값으로 판단된 비율값에 대응하는 선수의 위치를 상기 스플라인 곡선을 따라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판단부는 상기 경기가 시작되기 전 또는 상기 경기가 종료된 후에 수신된 각 선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비율값을 유효하지 않는 값으로 판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판단부는 상기 비율값이 유효한 값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유효한 값으로 판단된 비율값을 정렬하여 상기 각 선수에 대한 순위를 결정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결정된 각 선수에 대한 순위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순위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선수에 대한 순위 및 국기를 군집화하여 표시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2. 사용자 단말에서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포츠 경기장에서 경기를 수행하는 복수의 선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위치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한 복수의 선수에 대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각 선수의 위치에 대한 비율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스포츠 경기장의 맵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경기의 진행에 따라 상기 산출된 비율값에 기초하여 상기 각 선수의 위치를 상기 스포츠 경기장의 맵에 설정된 스플라인 곡선(spline curve)을 따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경기의 진행에 따라 주기적으로 상기 각 선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각 선수의 위치 정보에 따른 비율값에 기초하여 각 선수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갱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제공 방법.
  14.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스포츠 경기장의 맵을 표시하는 맵 표시부;
    상기 스포츠 경기장에서 경기를 수행하는 복수의 선수에 대해 수집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상기 각 선수의 위치에 대한 비율값에 따라 상기 각 선수의 위치를 상기 스포츠 경기장의 맵에 설정된 스플라인 곡선(spline curve)을 따라 표시하는 선수 위치 표시부; 및
    상기 복수의 선수에 대한 리스트를 상기 화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는 선수 정보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 정보 표시부는 상기 표시된 복수의 선수에 대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선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선수의 상태 정보를 상기 화면의 제 2 영역에 더 표시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 정보 표시부는 상기 선택된 선수를 추적하는 영상을 재생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 정보 표시부는 상기 선택된 선수의 시점에 대한 영상을 재생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츠 경기장의 실제 트랙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에 대한 리스트를 상기 화면의 제 3 영역에 표시하는 카메라 정보 표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정보 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대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상기 선택된 카메라의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을 재생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KR1020180071405A 2018-06-21 2018-06-21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KR102513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405A KR102513176B1 (ko) 2018-06-21 2018-06-21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405A KR102513176B1 (ko) 2018-06-21 2018-06-21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647A true KR20190143647A (ko) 2019-12-31
KR102513176B1 KR102513176B1 (ko) 2023-03-23

Family

ID=69051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405A KR102513176B1 (ko) 2018-06-21 2018-06-21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1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097B1 (ko) * 2023-02-07 2024-04-03 학교법인 인산학원 실감형 스포츠 중계 송출과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1671A (ja) * 2000-03-03 2001-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相互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相互位置情報通知方法
KR20130113752A (ko) * 2012-04-06 2013-10-16 (주)비글 실시간 순위 중계 시스템 및 그 중계 방법
KR20150066941A (ko) * 2013-12-09 2015-06-17 주식회사 케이티 선수 정보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수 정보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1671A (ja) * 2000-03-03 2001-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相互位置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相互位置情報通知方法
KR20130113752A (ko) * 2012-04-06 2013-10-16 (주)비글 실시간 순위 중계 시스템 및 그 중계 방법
KR20150066941A (ko) * 2013-12-09 2015-06-17 주식회사 케이티 선수 정보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수 정보 제공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준호, "KT 5G 기술의 결정체 '평창 크로스컨트리 센터' 가보니", 아주경제, 2018년 2월 12일.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097B1 (ko) * 2023-02-07 2024-04-03 학교법인 인산학원 실감형 스포츠 중계 송출과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176B1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8406B2 (en) Virtual spectator experience with a personal audio/visual apparatus
US2021033913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pectating characters in virtual reality views
JP703045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9138652B1 (en) Fantasy sports integration with video content
CA2888448C (en) Autonomous systems and methods for still and moving picture production
EP3432590A1 (en)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device
JP7132730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18199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の送受信方法
US10434404B2 (en)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game program, game processing method, game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P3117882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user interaction
JPWO2019130864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144294A (zh) 互动操作实现方法、装置及客户端设备
JP202008698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599047A (zh) 一种基于ar技术的交互式导游解说系统
CN103198096B (zh) 街景视图展示方法及终端
CN114359343A (zh) 运动轨迹管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513176B1 (ko) 스포츠 경기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방법 및 스포츠 경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CN115604500A (zh) 直播间页面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357246A (zh) 运动轨迹管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84771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distribution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05854267A (zh) 数据处理的方法、装置及跑步机
KR102062911B1 (ko) 복수의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US2024014224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 pace indicator in an extended reality environment
WO2022130568A1 (ja) 実況画像表示支援装置、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実況画像表示支援方法
KR20180068254A (ko) 게임 영상 제공 장치 및 게임 영상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