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3612A - 다중 복합형 여과설비 - Google Patents

다중 복합형 여과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3612A
KR20190143612A KR1020180071266A KR20180071266A KR20190143612A KR 20190143612 A KR20190143612 A KR 20190143612A KR 1020180071266 A KR1020180071266 A KR 1020180071266A KR 20180071266 A KR20180071266 A KR 20180071266A KR 20190143612 A KR20190143612 A KR 20190143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contaminated water
contaminated
settl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구
Original Assignee
윤성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구 filed Critical 윤성구
Priority to KR1020180071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43612A/ko
Publication of KR20190143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6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많은 사람들이 물을 이용하는 시설이나 대형 세탁업소 등지에서 사용후에 버려지는 오염된 물을 효과적으로 여과하여 재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다중 복합형 여과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염된 물이 공급되는 급수관 및 이 급수관을 통해 오염된 물이 중앙부로 투입되어 다수의 수조를 단계적으로 넘어가도록 하여 순차적으로 여과시키기 위한 다중 침전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다중 침전조는 바닥이 막힌 수조와 바닥이 뚫린 수조를 1개조로 하여 다단으로 연이어 설치함과 동시에 오염된 물은 중앙의 수조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해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최종 외곽 수조로 공급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바닥이 막힌 수조들의 내부 저면에는 블로어로부터 에어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침전물을 강제 부유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전반적인 여과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침전조 만으로도 다단계 여과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 설비 자체를 적은 면적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 시설비를 포함한 전반적인 운영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깨끗하게 여과된 물을 외부로 일체 배출시키지 않고 전량 재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복합형 여과설비 {Multi Complex Type Filter Device}
본 발명은 많은 사람들이 물을 이용하는 시설이나 대형 세탁업소 등지에서 사용후에 버려지는 오염된 물을 효과적으로 여과하여 재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다중 복합형 여과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중 사우나는 물론 수영장 시설, 대형 세탁업소에서는 상당한 양의 물을 사용하게 되고, 이 물은 각종 화학약품이나 슬러지, 부유물질 등으로 인해 오염된다.
이와 같이 오염된 물이 하수구를 통해 그대로 방류된다면 환경을 오염시키게 됨은 물론 물의 사용량이 너무 많아 시설 운영이나 폐수 처리에 따른 경비가 증가하여 크게 부담을 줄 뿐만 아니라 수자원 고갈 및 에너지 낭비를 초래한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오염된 물은 각종 여과설비들을 이용하여 걸러낸 후 다시 순환시키는 방식으로 재 활용함으로써 물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통상, 오염된 물을 깨끗하게 여과하기 위해 사용되는 있는 방식으로서, 샌드여과기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여과재를 보충하거나 전량 교체해야 할 필요가 있고, 여과재의 불완전한 재생으로 인해 수질이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 규조토를 이용한 여과기는 수동으로 여과재를 매회 보충해 주어야만 함은 물론 세정 부족으로 인해 수질 악화의 위험이 높고 역세정에 장시간이 소요되며, 카트리지 방식의 여과기는 단기적인 필터 교환을 필요로 하고 필터가 오염되는 경우 수질이 급격히 나빠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여과설비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보면, 등록특허 제0528809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의 경우, 욕조수를 가압펌프에서 공급되는 욕조수와 압축기에서 압축공기(오존, 염소와 같은 특정 기체 또는 외부 공기)를 서로 적절하게 가압탱크에서 혼합하여 욕조 가장자리에 설치한 감압밸브로 토출시킴으로써 미세 기포를 욕조수에 공급하는 기포공급장치와, 이 미세 기포에 의해 부상하는 각종 이물질과 함께 오버 플로우(Over-flow)되는 욕조수를 펌프 및 여과재에 의해 여과한 후 물을 순환시키는 이물여과장치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여과설비에 있어서는 오염된 물로부터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해 오버 플로우 방식으로 욕조수가 욕조에서 넘치도록 하기 때문에 낭비되는 물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더구나,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지고 장치 자체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각종 배관 연결이 매우 복잡하여 초기의 시설 경비도 많이 소요되어 경제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것이었다.
등록특허 제0528809호(2005.11.09 등록) - 목욕탕 욕조수 정화장치. 등록특허 제1328039호(2013.11.05 등록) - 수영장 또는 목욕장 여과기. 공개특허 제2018-0009553호(2018.01.29 공개) - 대중 목욕탕 수조 여과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된 물에 대한 여과효율을 극대화 하여 많은 양의 물을 재 활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설비 자체를 간단히 하여 비교적 적은 면적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설 비용을 포함한 전반적인 운영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다중 복합형 여과설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가 포함된 폐수를 수집하여 탈수 및 약품 첨가에 의해 슬러지를 처리한 후 오염된 물을 다시 여과하기 위한 다중 복합형 여과설비에 있어서, 오염된 물이 공급되는 급수관 및 이 급수관을 통해 오염된 물이 중앙부로 투입되어 다수의 수조를 단계적으로 넘어가도록 하여 순차적으로 여과시키기 위한 다중 침전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다중 침전조는 바닥이 막힌 수조와 바닥이 뚫린 수조를 1개조로 하여 다단으로 연이어 설치함과 동시에 오염된 물은 중앙의 수조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해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최종 외곽 수조로 공급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바닥이 막힌 수조들의 내부 저면에는 블로어로부터 에어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침전물을 강제 부유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다중 침전조에는 각각의 수조로부터 이송라인을 통해 오염된 물을 여과함과 동시에 다시 다중 침전조의 중앙부로 리턴시키기 위한 샌드여과기를 부설할 수 있으며, 상기 샌드여과기에는 오염된 물에서 걸러진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역세토출탱크를 설치할 수 있다.
또, 상기 다중 침전조에는 여과된 물을 일시 저장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제1리버스탱크 및 이 제1리버스탱크로부터 여과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제2리버스탱크를 연이어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들에 의해, 오염된 물을 단계적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침전조를 다중으로 제작함으로써 전반적인 여과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침전조 만으로도 다단계 여과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 설비 자체를 적은 면적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 시설비를 포함한 전반적인 운영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깨끗하게 여과된 물을 외부로 일체 배출시키지 않고 전량 재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등록특허 제0573425호에 개시된 폐수 여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폐수 공급관에 대한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복합형 여과설비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다중 침전조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6은 다중 복합형 여과설비의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다중 침전조의 단면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의 기술내용과 관련이 있는 하나의 예로서 등록특허 제0573425호에 개시된 공지기술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한 후에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후술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수 여과장치는 상측이 개방된 육면체 용기 형상의 여과기 본체(10)와, 이 여과기 본체(10)의 상측에 좌측부(20a)로부터 우측부(20b)를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여과부재인 그물망(20)과, 이 그물망(20)의 우측부(20b) 측방에 위치하도록 여과기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측이 개방된 오물유입부(30)로 구성된다.
상기 여과기 본체(10)의 상방에는 좌측부(20a)를 향하여 목욕탕의 폐수가 떨어지는 폐수공급관(50)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여과기 본체(10)의 저면에는 폐수공급관(50)으로 부터 공급되어 그물망(20)을 통과한 후에 떨어지는 폐수가 배출되도록 폐수배출관(11)이 형성된다.
또, 상기 오물유입부(30)의 저면에는 오물이 배출되는 오물배출관(31)이 형성되고, 이 오물배출관(31)의 하측에는 오물을 수거하기 위한 오물수거통(40)이 배치된다.
상기 오물수거통(40)에는 그물통(41)이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이 그물통(41)의 일측에 손잡이부(42)가 형성되며, 상기 오물수거통(40)의 저면에는 폐수회수관(43)이 형성되어 여과기 본체(1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그물망(20)은 체결부재(60)에 의하여 여과기 본체(10)에 고정되는 그물눈 간격을 갖는 상부 그물망(21) 및 이 상부 그물망(21)의 그물눈 간격보다 작은 하부 그물망(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재(60)는 여과기 본체(10)의 내측면의 복수 개소에 용접된 "L"자형의 브라켓(61)과, 이 브라켓(61)에 상,하부 그물망(2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넛트(62)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부 그물눈(21,22) 사이에 간격 유지용 판재(63) 및 상부 그물눈(21)의 상측에 압착용 판재(64)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폐수 여과장치는, 폐수공급관(50)으로 부터 상측으로 경사진 그물망(20)의 좌측부(20a)를 향해 폐수가 떨어지면 폐수에 함유된 오물은 그물망(20)에 걸리고, 오물이 분리된 폐수는 그물망(20)을 통과하여 여과기 본체(10)의 하측으로 떨어진다.
상기 그물망(20)은 우측부(20b)를 향하여 하측방향으로 경사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폐수의 일부는 우측부(20b)를 향하여 이동되면서 그물망(20)을 통과하여 하측으로 떨어지고, 이 그물망(20)에 걸려 쌓이는 이물질은 폐수가 계속적으로 공급됨에 따라 하측방향으로 경사진 우측부(20b)를 향하여 이동하여 오물유입부(30)로 유입된다.
이 때, 대부분의 폐수는 그물망(20)의 하측으로 떨어지고 극히 일부만이 오물 등과 함께 오물유입부(30)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 오물유입부(30)로 유입된 오물과 폐수는 오물배출관(31)을 통하여 오물수거통(40)으로 떨어진 후 오물은 그물통(41)에 걸려 쌓이고 폐수는 폐수회수관(43)을 통하여 여과기 본체(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여과기 본체(10)의 하측으로 떨어진 폐수 및 폐수회수관(43)으로부터 유입된 폐수는 폐수배출관(11)을 통하여 배출되어 정화조(도시생략)로 직접 유입되거나 혹은 폐열회수기(도시생략)를 통과한 다음 정화조로 유입되어 처리된다.
상기 그물망(20)의 경우, 그물눈의 간격이 큰 상부그물망(21)과 그물눈의 간격이 작은 하부그물망(22)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크기가 큰 오물은 상부그물망(21)에 걸리고, 크기가 작은 오물은 상부그물망(21)을 통과한 후 하부그물망(22)에 걸려 오물유입부(30)로 유입된다.
따라서, 폐수에 함유된 오물이 오물수거통(40)의 그물통(41)에 수거되므로 필요시 그물통(41)의 손잡이(42)를 잡아 오물수거통(40)으로부터 그물통(41)을 분리하여 그물통(41)에 쌓여진 오물을 수거하는 작업만으로 여과장치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폐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수공급부(51) 및 이 폐수공급부(51)로부터 제공되는 폐수를 그물망의 폭 방향으로 분배하여 그물망으로 이송시키는 폐수분배부(52)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공지기술에 있어서는, 그물눈의 간격이 큰 상부그물망(21) 및 그물눈의 간격이 작은 하부그물망(22)에 의존하여 오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효율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더구나, 오염된 물에 대한 여과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다단의 여과장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지고, 장치 자체의 시설 면적으로 인해 상당한 투자비용을 감수해야만 한다.
한편, 첨부된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복합형 여과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가 포함된 폐수를 탈수기(70) 내로 공급하여 처리함에 따라 슬러지를 제거하고, 이어서 약품을 투입탱크(71)를 통해 혼합탱크(72)로 공급하여 교반하는 것에 의해 오염된 물을 처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탈수처리 및 약품에 의한 후속 처리과정은 일반 폐수의 여과 처리시스템에서 흔히 사용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탈수 및 약품처리가 행해진 오염된 물은 급수관(73)을 통해 다중 침전조(80) 내로 투입되어 1차 여과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다중 침전조(80)의 경우, 바닥이 막힌 4대의 수조(81a∼81d)와 바닥이 뚫린 3대의 수조(82a∼82c)가 각각 1대씩 번갈아 배치되어 다단으로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급수관(73)을 통해 공급되는 오염된 물은 중앙부에 배치된 바닥이 막힌 수조(81a)로 투입됨과 동시에 인접하는 바닥이 뚫린 수조(82a)를 거쳐 수조(81b)→ 수조(82b)→ 수조(81c)→ 수조(82c)→ 수조(82d)를 향해 단계적으로 이송되면서 여과되어 최종 외곽에 배치된 집수조(83) 측에 저류된다.
상기 바닥이 막힌 수조(81a∼81d))들과 바닥이 뚫린 수조(82a∼82c)들 사이에는 받침판(84)이 적절한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다중 침전조(80)을 일체형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각 수조들의 상단부는 물이 넘쳐 흐르는 것을 고려하여 간격(h)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여과된 물은 외곽 집수조(83)로부터 이송라인을 통해 제1리버스탱크(85A)로 공급되어 침전 처리되고, 이 제1리버스탱크(85A)를 거쳐 최종적으로 여과된 물은 다시 제2리버스탱크(85B)를 거쳐 배수되어 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바닥이 막힌 수조(81a∼81d)의 내부 저면에는 분사노즐(86a)이 각각 부설되어 블로어(87A)로부터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침전물을 강제 부유시킬 수 있는 동시에 급수펌프(87B)를 통해 물을 공급하여 수조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수조(81a∼81d)에는 이송라인이 배설됨에 따라 오염된 물을 샌드여과기(88) 측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 샌드여과기(88)로 이송된 물은 샌드여과기(88) 내에 구비된 통상의 필터나 여과재(도시생략) 등을 거쳐 여과된 후 다시 다중 침전조(80)의 중앙부측 수조(81a)로 리턴되어 초기 여과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샌드여과기(88)에는 역세토출탱크(89a,89b)가 배설되어 오염된 물에서 걸러진 슬러지를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며.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다중 침전조(80)에는 청소작업을 행하기 위하여 세척용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입수로 및 퇴수로를 각각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첨부된 도 6 및 도 7은, 전술한 바와 같은 폐수 처리과정을 통해 여과된 물을 다시 반복 처리함으로써 보다 더욱 깨끗한 물로 여과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이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제1 및 제2리버스탱크(85A,85B)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다시 별도로 설치된 다중 침전조(100) 내로 이송하여 완전히 여과시킨 후에 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2리버스탱크(85B)로부터 토출되는 물은 샌드여과기(90) 측으로 공급된 후 다시 급수관(91)을 통해 다중 침전조(100) 내로 투입된다.
이 다중 침전조(100)의 경우에는 바닥이 막힌 2대의 수조(101a,101b) 및 이 수조(101a,101b)들 사이에 바닥이 뚫린 1대의 수조(102a)를 배치하여 다단으로 구성됨에 따라 바닥이 막힌 수조(101a)로 투입됨과 동시에 인접하는 바닥이 뚫린 수조(102a)를 거쳐 수조(101b)를 향해 단계적으로 이송되면서 여과된 후 최종 외곽에 배치된 집수조(103) 측에 저류된다.
이 경우에도 바닥이 막힌 수조(101a,101b)와 바닥이 뚫린 수조(102a)들 사이에는 받침판(104)이 적절한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다중 침전조(100)을 일체형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각 수조들의 상단부는 물이 넘쳐 흐르는 것을 고려하여 간격(h)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 여과된 물은 외곽 집수조(103)로부터 이송라인을 통해 제3리버스탱크(105)로 공급된 후 최종적으로 여과된 물을 배수되어 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바닥이 막힌 수조(101a,101b)의 내부 저면에는 분사노즐(106a)이 각각 부설되어 블로어(107)로부터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침전물을 강제 부유시킬 수 있는 동시에 급수펌프(107B)를 통해 물을 공급하여 수조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수조(10a,101b)에 배설된 이송라인을 통해 샌드여과기(90) 측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 샌드여과기(90)로 이송된 물은 샌드여과기(90) 내에 구비된 통상의 필터나 여과재(도시생략) 등을 거쳐 여과된 후 다시 다중 침전조(100)의 중앙부측 수조(101a)로 리턴되어 초기 여과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며, 역세토출탱크(108a,108b)에 의해 슬러지를 걸러낼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각각의 이송라인에는 폐수 처리시에 흔히 사용되고 있는 밸브나 펌프가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제어 명령에 따라 작동을 행하도록 함으로써 오염된 물이 순환하는 과정에서 여과된 후에 외부로 배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고압의 물이나 에어를 다중 침전조 내로 공급하여 바닥에 쌓인 슬러지를 세척하는 작업, 또한 폐수 처리설비의 가동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에 대해서는 이미 공지된 기술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복합형 여과설비에 의하면, 오염된 물을 단계적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침전조를 다중으로 제작함으로써 전반적인 여과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침전조 만으로도 다단계 여과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 설비 자체를 적은 면적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 시설비를 포함한 전반적인 운영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더구나, 깨끗하게 여과된 물을 외부로 일체 배출시키지 않고 전량 재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 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70: 탈수기 71: 투입탱크
72: 혼합탱크 73: 급수관
80: 다중 침전조 81a∼81d: 바닥이 막힌 수조
82a∼82c: 바닥이 뚫린 수조 83: 집수조
84: 받침판 85A: 제1리버스탱크
85B: 제2리버스탱크 86a: 분사노즐
87A: 블로어 87B: 급수탱크
88: 샌드여과기 89a,89b: 역세토출탱크
91: 샌드여과기 92: 급수관
100: 다중 침전조 101a,101b: 바닥이 막힌 수조
102a: 바닥이 뚫린 수조 103: 집수조
104: 받침판 105: 제3리버스탱크
106a: 분사노즐 107A: 블로어
107B: 급수탱크 108a,108b: 역세토출탱크

Claims (4)

  1. 전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가 포함된 폐수를 수집하여 탈수 및 약품 첨가에 의해 슬러지를 처리한 후 오염된 물을 다시 여과하기 위한 다중 복합형 여과설비에 있어서,
    오염된 물이 공급되는 급수관(73) 및 이 급수관을 통해 오염된 물이 중앙부로 투입되어 다수의 수조를 단계적으로 넘어가도록 하여 순차적으로 여과시키기 위한 다중 침전조(8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다중 침전조(80)는 바닥이 막힌 수조와 바닥이 뚫린 수조를 1개조로 하여 다단으로 연이어 설치함과 동시에 오염된 물은 중앙의 수조(81a)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해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최종 외곽 수조(83)로 공급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바닥이 막힌 수조들의 내부 저면에는 블로어(87A)로부터 에어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침전물을 강제 부유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복합형 여과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침전조(80)에는 각각의 수조로부터 이송라인을 통해 오염된 물을 여과함과 동시에 다시 다중 침전조(80)의 중앙부로 리턴시키기 위한 샌드여과기(88)가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복합형 여과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샌드여과기(88)에는 오염된 물에서 걸러진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역세토출탱크(89a,89b)가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복합형 여과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침전조에는 여과된 물을 일시 저장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제1리버스탱크(85A) 및 이 제1리버스탱크로부터 여과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제2리버스탱크(85B)가 연이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복합형 여과설비.
KR1020180071266A 2018-06-21 2018-06-21 다중 복합형 여과설비 KR201901436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266A KR20190143612A (ko) 2018-06-21 2018-06-21 다중 복합형 여과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1266A KR20190143612A (ko) 2018-06-21 2018-06-21 다중 복합형 여과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612A true KR20190143612A (ko) 2019-12-31

Family

ID=69051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266A KR20190143612A (ko) 2018-06-21 2018-06-21 다중 복합형 여과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436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9479A (en) Fine particle lint filter
US6010621A (en) Oil filter for absorbing free oil from laundry water
WO1999046205A2 (en) Water recycling system for laundry or dish washing
US4714558A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6224766B1 (en) Membrane treatment method and membrane treatment apparatus
JP2003200181A (ja) 汚水の浄化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汚水浄化装置、ならびに浄化槽用混入異物分離機
KR20190143612A (ko) 다중 복합형 여과설비
JPH0722749B2 (ja) 汚水処理装置
KR101307926B1 (ko) 오폐수처리 시스템
KR102305739B1 (ko) 슬러지 탈수기의 오수 재생 장치
KR101806838B1 (ko) 우수 처리 장치
KR101469634B1 (ko) 관형여과기모듈을 이용한 수처리시스템
US6998046B2 (en) Filter system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CN2507857Y (zh) 家用型废水循环处理装置
KR20140029698A (ko) 폐수 정화처리장치
KR100456449B1 (ko) 폐수처리 시스템
WO2004045742A1 (en) Water filter and a method of water purification, backwashing and rinsing
KR102335470B1 (ko) 여과, 흡착, 살균기능이 결합된 모듈형 수처리 여과장치
US20220410848A1 (en) Movable automobile washing device and system with fluid recycling
KR101771056B1 (ko) 비점오염 처리시스템
CN208667292U (zh) 一种环保水洗槽设备
JPH0312919Y2 (ko)
KR20010077159A (ko) 오수 고속 정화 시스템
KR100536887B1 (ko) 정화수의 위생적인 활용을 위한 건축용 상수 정화설비구조
RU2201789C2 (ru) Фильтр с зернистой загрузко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