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3407A - Battery having multi electrode-lead and The battery module - Google Patents

Battery having multi electrode-lead and The battery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3407A
KR20190143407A KR1020190072890A KR20190072890A KR20190143407A KR 20190143407 A KR20190143407 A KR 20190143407A KR 1020190072890 A KR1020190072890 A KR 1020190072890A KR 20190072890 A KR20190072890 A KR 20190072890A KR 20190143407 A KR20190143407 A KR 20190143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cell
positive
battery module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8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5756B1 (en
Inventor
김현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445,737 priority Critical patent/US11545706B2/en
Priority to DE102019116701.9A priority patent/DE102019116701A1/en
Publication of KR20190143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407A/en
Priority to KR1020210110048A priority patent/KR10253956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756B1/en
Priority to US17/994,222 priority patent/US2023008967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01M2/26
    • H01M2/021
    • H01M2/202
    • H01M2/30
    • H01M2/30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ell having multiple electrodes and a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module is formed only by connecting electrodes without having an extra bus bar, and in order to improve the degree of freedom in the connection, a positive terminal and a negative terminal are formed to be protruded to the outside in the battery cell. The battery cell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 terminals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are formed on both opposite sides, thereby forming various battery modules according to the layout of a vehicle.

Description

복수의 전극을 갖는 배터리전지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모듈{Battery having multi electrode-lead and The battery module}Battery cell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Battery having multi electrode-lead and The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복수의 전극을 갖는 배터리전지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이차전지의 양측단에 복수의 전극이 형성된 배터리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ell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condary battery.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차량, 디젤차량 등의 대기오염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HEV)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소형 모바일 기기들과는 달리,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에는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에 따라 다수의 전지셀을 연결한 중대형 전지모듈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중대형 전지모듈을 적용하여 다양한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경우에, 단위 전지모듈간의 전기적 연결구조는 디바이스의 구조에 따라 적용여부가 결정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의 플랫폼의 한정된 공간에 다수의 전지팩들을 전기적 연결 구조를 고려하여 탑재하는 것은 각 전지모듈들의 전극단자의 위치 특성에 따라 추가적인 부품을 추가하거나 혹은 전지모듈 결합의 구조를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recent years, secondary batteries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have been proposed as solutions for air pollution of conventional gasoline and diesel vehicles using fossil fuels, including electric vehicles (EVs),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and plug-ins. It is also attracting attention as a power source for hybrid electric vehicles (P-HEV). Unlike small mobile devices, medium and large devices such as automobiles are used for medium and large battery modules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connected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high output and large capacity, and in the case of configuring various devices by applying such medium and large battery modules, a unit battery module is used. 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two is an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the application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device. For example, mounting a plurality of battery packs in a limited space of an electric vehicle platform in consideration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may add additional components or change the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combin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modules. There was a problem that had to be done,

또한, 전지모듈의 최종 단자인 플러스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의 위치의 제약에 따라 전지모듈을 결합하는 경우에 별도의 버스바를 사용해야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만약 전지모듈이 탑재 및 적용되는 디바이스 구조에 따라 버스바 결합여부를 달리 적용한다면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생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지모듈이 적용될 다양한 디바이스의 작동성능이나 구동 신뢰성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차전지의 적용분야가 날로 다양화 되어가는 최근의 추세를 고려하여 보더라도, 전지모듈의 전기적 연결에 의한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필요성이 더욱 크게 대두되고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often necessary to use a separate bus bar when the battery module is coupled in accordance with the constraints of the positions of the plus terminal and the minus terminal which are final terminals of the battery module. If the application of the bus bar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device structure in which the battery module is mounted and applied, not only can the productivity of the battery module assembly be lowered, but also the operation performance or driving reliability of various devices to which the battery module is applied will be greatly affected. There was this. In addition, even in view of the recent trend that the application field of the secondary battery is diversifying day by day, the need to improve the design freedom by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battery module is increasing.

이에 따라,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2689호(전지모듈 어셈블리, 2014.06.13.)에서는 양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양극 및 음극단자를 갖는 파우치형 이차전지가 적층되어 구성된 전지모듈에 적용되는 버스바의 양 측단에 단자부를 형성하여, 기존 버스바를 개량함으로써, 다수의 전지모듈 연결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서는 양측에 하나씩 형성된 전극을 갖는 이차전지를 이용하여 배터리모듈을 구성함에 있어, 양극과 음극전지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버스바를 구비하여야 한다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버스바를 통해 전극을 연결하여 모듈을 구성하는 종래의 배터리모듈의 경우, 버스바의 구성에 따른 용접등의 공정이 추가로 필요하며, 버스바에서의 저항이 증가하여 배터리의 효율이 감소하고, 품질관리의 어려움이 발생한다.Accordingly,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72689 (Battery Module Assembly, 2014.06.13.), A bus is applied to a battery module in which a pouch-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protruding on both sides is stacked. Terminal part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ar, and the existing bus bar is improved to improve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ing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However, the above document does not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of having a separate bus bar for connecting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when constructing a battery module using a secondary battery having electrodes formed on each sid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battery module that connects electrodes through a busbar to form a module, a process such as welding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busbar is additionally required, and the resistance of the busbar increases, thereby reducing the efficiency of the battery and improving quality. Difficulties in management aris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8058호(배터리 모듈, 2014.05.14.)에서는 외부로 돌출형성된 베터리셀의 양극탭과 음극탭을 절개하여 절개된 전극들의 연결만으로 다수개가 적층된 배터리모듈을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서의 배터리셀은 일방향으로만 양극탭 및 음극탭이 형성되어 있어, 다수의 단위모듈을 연결하는데 그 확장성에 한계가 있으며, 하나의 양극탭 및 음극탭을 절개하여 한쌍의 절개부를 형성함에 따라, 인접하여 동일한 극을 갖는 전극이 형성되어야 하는 구조적인 한계가 발생하였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58058 (Battery Module, 2014.05.14.) Is a plurality of only by connecting the electrodes cut by cutting the positive and negative tabs of the battery cell protruding to the outside. The stacked battery modules are connected. However, since the battery cell in the above literature has positive and negative tabs formed in only one direction, there is a limit in the expandability of connecting a plurality of unit modules, and a pair of incisions are made by cutting one positive and negative tabs. As a result, structural limitations have arisen in which electrodes with the same poles adjacent to each other have to be formed.

이와 같은 종래의 이차전지는 대향되는 양측에 하나의 양극 또는 음극전극을 형성하거나, 양극전극 및 음극전극이 같은 방향을 향하는 일측에 형성되어, 전지들의 직/병렬연결 시, 배터리모듈의 구성이 한정되어 차량의 레이아웃에 따라 다양한 구성으로 적용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Such a conventional secondary battery has one positive or negative electrode formed on opposite sides, or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re formed on one side facing the same direction, so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module is limited when the cells are connected in parallel / parallel.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in a variety of configurations depending on the layout of the vehicle.

또한, 최근 고효율 대용량의 전기차량 배터리 모듈에서는 2개의 전지를 병렬연결하고, 병렬연결된 한 쌍의 전지 12SET를 서로 직렬연결하여 형성되는 2P12S모듈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배터리 모듈은 대향되는 양측에 하나의 전극이 형성된 전지가 일방향으로 적층되어 구비되며, 병렬연결된 한 쌍의 전지가 인접하는 다른 한 쌍의 전지와 직렬연결되기 위하여, 별도의 버스바를 추가로 구성하여야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버스바가 추가로 구성되면, 전극간에 불필요하게 접촉되는 저항이 증가하여 배터리모듈에서의 에너지 효율 및 전지간의 연결 공정의 일관성 있는 작업 공정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배터리모듈의 공정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In addition, the recent high-efficiency high-capacity electric vehicle battery module requires a 2P12S module formed by connecting two cells in parallel and connecting a parallel set of 12SET cells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Batteries in which electrodes are formed are stacked in one direction, and a pair of batteries connected in parallel are additionally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ir of adjacent batteries in series. If the bus bar is furth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resistance of unnecessary contact between the electrodes increases, causing a problem that the process quality of the battery module is deteriorated because the work efficiency of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battery module and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cells cannot be achieved. It is becoming.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2689호(전지모듈 어셈블리, 2014.06.13.)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72689 (Battery Module Assembly, 2014.06.13.)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8058호(배터리 모듈, 2014.05.14.)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58058 (Battery Module, 2014.05.14.)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버스바를 구비하지 않고 전극간의 연결만으로 배터리모듈을 구성하며, 그 연결 간에 자유도를 향상시킨 복수의 전극을 갖는 배터리전지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does not have a separate bus bar constitutes a battery module by only connecting between electrodes, a battery cell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to improve the degree of freedom between the connection and a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To provide.

상기와 본 발명은 복수의 전극을 갖는 배터리전지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외부로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포함하는 전극단자가 돌출 형성되는 배터리전지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전지는 대향되는 양측에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전극단자가 복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ell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a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cell in which an electrode terminal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is protruded to the outside, wherein the battery cell is opposed to each other. It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one or more electrode terminals selected from the positive terminal or the negative terminal is formed on both sides.

또한, 상기 배터리전지는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서로 같은 극성을 띄는 복수의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cell may be formed adjacent to a plurality of positive or negative terminals having the same polarity to each other opposite sides.

또한,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을 띄는 한 쌍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전극단자를 갖는 배터리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battery cell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ir of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having a different polarity on each opposite side is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또한, 대향되는 양측에 형성되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는 상기 배터리전지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극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전극단자를 갖는 배터리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formed on both opposite sides may include a battery cell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to have different p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ttery cell.

또한, 상기 배터리전지의 대향되는 양측에 형성되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는 상기 배터리전지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같은 극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전극단자를 갖는 배터리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battery cell may include a battery cell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to have the same p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ttery cell.

또한, 일측에 인접하여 서로 같은 극을 갖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에 인접하여 서로 다른 극을 갖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전극단자를 갖는 배터리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having the same poles are formed adjacent to one side, and a plurality of pairs of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having different poles are formed adjacent to the other side facing the one side. It may include a battery cell having an electrod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의 상기 배터리전지가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두 개 이상의 배터리전지에 인접하는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전지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module formed by stacking two or more of the battery cells and electrically connecting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or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adjacent to the two or more battery cells. The battery may be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이때, 상기 배터리모듈은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서로 같은 극성을 띄는 복수의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되어, 서로 병렬연결된 복수의 배터리전지가 복수로 구성되어, 서로 직렬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battery module has a plurality of the positive terminal or the negative terminal having the same polarity on each of the opposite sides ar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s configured in series, characterized in that do.

또한, 상기 배터리모듈은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서로 같은 극성을 띄는 한 쌍의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되어, 서로 병렬연결되는 복수의 배터리전지와,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을 띄는 한 쌍의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양극단자및 음극단자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극을 갖도록 배치되어 서로 병렬연결된 복수의 배터리전지가 직렬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ttery module is a pair of the positive terminal or the negative terminal having the same polarity each other on both sides ar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he opposite sides respectively have different polarities A pair of prominent pairs of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ar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are arranged to have different p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re connected in series.

또한, 상기 배터리모듈은일측에 인접하여 서로 같은 극을 갖는 상기 양극단자또는 음극단자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에 인접하여 서로 다른 극을 갖는 상기 양극단자또는 음극단자한 쌍이 형성되어, 서로 병렬연결된 복수의 배터리전지가 복수로 구성되어, 서로 직렬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ttery module is a pair of the positive terminal or the negative terminal having the same poles adjacent to one side is formed, and a pair of the positive terminal or the negative terminal having a different pole adjacent to the other side is formed is formed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배터리모듈은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서로 같은 극성을 띄는 한 쌍의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되는 배터리전지 및상기 배터리전지의 전후방향으로의 양측에 적층되어 상기 배터리전지와 병렬연결되며, 일측에 인접하여 서로 같은 극을 갖는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에 인접하여 서로 다른 극을 갖는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 한 쌍이 형성되는 한 쌍의 배터리전지를 포함하여, 서로 병렬연결된 상기 배터리전지 및 한 쌍의 배터리전지가 복수로 적층되어 서로 직렬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ttery module is stacked on both sides of the battery cell and the battery cell in which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of the pair having the same polarity on both sides opposite to each other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s parallel to the battery cell A pair of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having the same poles adjacent to one side, and a pair of the positive or negative terminals having different poles adjacent to the other side are formed. Including a battery cell, the battery cell and a pair of battery cells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re stacked in plurality ar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in series.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배터리전지는 대향되는 양측에 복수의 전극이 형성되어 배터리전지의 연결 간에 자유도를 향상시킴으로, 차량의 레이아웃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모듈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어, 전극간 연결 만으로 직/병렬 연결이 가능하고, 별도의 버스바를 구성하지 않아 전극의 연결에 따른 저항 값을 낮추어 고효율의 배터리모듈을 개발할 수 있으며, 전지간 연결 공정의 일관성 있는 작업 공정이 가능하여 기존의 배터리모듈 공정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battery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 plurality of electrodes are formed on opposite sides to improve the degree of freedom between the connection of the battery cells, so that various types of battery modules can be applied to the layout of the vehicle, thereby Direct / parallel connection is possible only by inter-connection, and high efficiency battery module can be developed by lowering the resistance value according to electrode connection by not forming a separate bus bar, and it is possible to make consistent work process of inter-cell connection process. The battery module process qualit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전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배터리전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전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전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전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전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도시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3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3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도시한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4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 및 도 15는본 발명의 제2-4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도시한 개략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간의 결합을 도시한 예시도.
도 18 내지 21은 외부 버스바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단자간 연결되는 본 발명의 일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cell according to the first-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cell according to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cel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2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cel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3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cel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4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cell according to embodiment 1-5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2-1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embodiment 2-1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2-2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view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embodiment 2-2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2-3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embodiment 2-3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2-4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nd 15 are schematic views showing battery modules according to embodiments 2-4 of the present invention.
16 and 17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coupling between battery modul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to 2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between adjacent terminals using an external bus bar.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the middle. Should b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examples to illustrat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u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 1 : 배터리 전지>Example 1 Battery Cell

<실시예 1-1 ><Example 1-1>

도1은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전지(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배터리전지(100)의 분해사시도로서, 도 1및 도2를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전지(100)는 양극단자(110), 음극단자(120), 전극조립체(130), 외장케이스(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ttery cell 100 according to the first-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cell 100 according to Figure 1,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battery cell 100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10,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20, an electrode assembly 130, and an outer case 140.

상기 전극조립체(130)는 하나 이상의 양극판및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양극판과 하나의 음극판이 세퍼레이터와 함께 권취된 권취형 또는 다수의 양극판과 다수의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교대로 적층된 스택형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전지(100)는 건전지형 또는 팩형의 일차전지 또는 이차전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하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좌우 방향으로 대향되는 양측면에 상기 양극단자(110) 및 음극단자(120)가 형성되는 파우치형의 적층형 이차전지로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13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or more positive electrode plates and negative electrode plates are dispos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on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one negative electrode plate are wound together with the separator, or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 plates and a plurality of negative electrode plates. The separators may be divided into stacks stacked alternately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battery cell 100 may be formed of a primary battery or a secondary battery of a battery type or a pack type, preferably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on both sides fac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the form of a vertical direction. 120 may be formed as a pouch-type stacked secondary battery.

또한, 상기 외장케이스(140)는 외부 절연층, 금속층 및 내부 접착층을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전극조립체(130)와 전해액 등의 내부 구성요소를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조립체(130)와 전해액에 의한 전기적, 화학적 성질에 대한 보완 및 방열성 등을 제고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형태의 금속박막이 절연층과 내부 접착층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전극조립체(130)의 적층방향의 양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전극조립체(130)를 수납하며, 상기 외장케이스(140)의 외주면에는 실링부가 구비되어 상기 전극조립체(130)가 수용된 상기 외장케이스(140)를 밀폐시킬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외장케이스(140)는 상기 전극 조립체(130)의 적층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에는 오목한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case 1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uter insulating layer, a metal layer, and an inner adhesive layer, and accommodate the internal components such as the electrode assembly 130 and the electrolyte. In this case, in order to improve the electr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electrode assembly 130 and the electrolyte and to improve heat dissipation, an aluminum-type metal thin film is interposed between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inner adhesive layer, thereby stacking the electrode assembly 130. I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rection to accommodate the electrode assembly 130,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case 140 is provided with a sealing portion can seal the outer case 140, the electrode assembly 130 is accommodated. In addition, the exterior case 140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concave shape in at least one of the electrode assembly 130 in the stacking direction.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130)의 각 전극판에는 전극 탭이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전극 탭이 각각의 양극판 및 음극판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케이스(140)의 실링부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터리전지(100)의 전극 단자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130)의 상기 전극단자가 형성되는 일면에 상기 양극판 또는 음극판을 각기 연결하는 전극 탭(111, 121)이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전지(100)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외장케이스(140)의 외부로 상기 양극단자(110) 및 음극단자(120)가 돌출 형성되며, 대향되는 양측에 상기 양극단자(110) 또는 음극단자(1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복수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electrode plate of the electrode assembly 130 is provided with an electrode tab, one or more electrode tabs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is interposed between the sealing portion of the outer case 140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It may function as an electrod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100. In addition, a plurality of electrode tabs 111 and 121 respectively connecting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or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re formed on one surface on which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electrode assembly 130 is formed, and the battery cell 100 has the outer cas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2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140, and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10 or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20 may be formed in plural opposite sides. have.

더욱 자세하게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전지(100)는 길이방향의 일측에 인접하여 양극 전극탭이 형성된 양극판과 길이방향의 일측에 인접하여 음극 전극탭(121)이 형성된 음극판이 서로 적층되며, 이때 상기 양극판의 양극 전극탭(111) 및 상기 음극판의 음극전극탭(121)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적층되어, 각각 서로 같은 극성을 띄는 한 쌍의 상기 양극단자(110) 또는 음극단자(120)가 인접하여 형성되어, 길이방향의 일측에 한 쌍의 양극단자(110)를 형성하고 타측에 한 쌍의 음극단자(120)가 배치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battery cel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1-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sitive electrode plate formed with a positive electrode tab adjacent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negative electrode tab 121 adjacent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negative electrode plates are stacked on each other, wherein the positive electrode tab 111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121 of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re stacked to face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ach pair has the same polarity.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10 or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20 is formed adjacent to form a pair of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10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air of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20 on the other side to be formed Can be.

아울러, 상기 배터리전지(100)는 대향되는 양측면에 상기 양극단자(110) 및 음극단자(120)가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의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배터리전지(100)를 적층하여 구성하는 배터리모듈의 설계 시에 불필요한 전극단자를 제거할 수 있으나,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한 쌍의 전극단자(110, 120)를 형성하여 배터리전지(100)간의 연결 시에 불필요한 전극단자를 형성하지 않으며 높은 자유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attery cell 100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three or more of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20 on both sides of the opposite, if necessary, the battery cell 100 is laminated Unnecessary electrode terminals can be removed when designing the battery module, but a pair of electrode terminals 110 and 120 are formed on opposite sides, respectively, so that unnecessary electrode terminals are not formed when the battery cells 100 are connected. It is desirable to have a degree of freedom.

< 실시예 1-2 ><Example 1-2>

도3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전지(200)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전지(200)는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을 띄는 한 쌍의 상기 양극단자(210) 및 음극단자(220)가 인접하여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의 대향되는 양측에 동일한 극을 갖도록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진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cell 200 according to embodiment 1-2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battery cell 200 according to embodiment 1-2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2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220 each having a different polarity on each opposite side is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it is made of a form arranged to have the same pole on both sides fac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때, 상기 배터리전지(200)는 길이방향으로 대향되는 양측에 한 쌍의 전극탭이 형성된 양극판 및 음극판이 서로 적층되되, 상기 양극판및 음극판에 형성된 각각의 양극 전극탭 및 음극 전극탭은 적층방향으로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되도록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battery cell 200 is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having a pair of electrode tabs formed on both sides fac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stacked on each other, each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formed o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in the stacking direction It may be stacked and form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 실시예 1-3><Example 1-3>

도4은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전지(3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전지(300)는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을 띄는 한 쌍의 상기 양극단자(310) 및 음극단자(320)가 인접하여 형성되되, 상기 배터리전지(300)의 길이방향으로 대향되는 양측에 서로 다른 극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cell 300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battery cell 300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posite. A pair of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3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320 having different polarities on each side ar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re arranged to have different poles on both sides fac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ttery cell 300. Can be.

이때, 상기 배터리전지(300)은 사각 형상의 전극판에 모서리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전극탭이 형성된 양극판 및 음극판이 서로 적층되며, 이때 적층되는 상기 양극 전극탭 및 음극 전극탭은 적층방향으로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battery cell 300 is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is formed with a pair of electrode tabs facing each other in the corner direction to the rectangular electrode plate is stacked on each other, wherein the positive electrode tab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 is stacked in the stacking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arrang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 실시예 1-4,1-5 ><Examples 1-4,1-5>

도5는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전지(4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전지(500)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1-4 및 1-5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전지(400, 500)는 일측에 인접하여 서로 같은 극을 갖는 상기 양극단자(410, 510) 또는 음극단자(420, 520)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에 인접하여 서로 다른 극을 갖는 상기 양극단자(410, 510) 및 음극단자(420, 520) 한 쌍이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전지(400, 5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전지(400, 500)는 하나의 전극판에 복수개의 전극탭이 형성되어 적층됨으로써 각각의 양극단자(410, 510) 또는 음극단자(420, 520)를 형성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전극탭이 형성된 전극판의 전극탭이 돌출되는 방향의 배치를 통하여, 복수의 단자들을 형성하도록 적층됨으로써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cell 400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ttery cell 500 according to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cells 400 and 5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1-4 and 1-5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pair of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s 410 and 510 or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s 420 and 520 having the same poles adjacent to one side thereof. And a pair of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s 410 and 5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s 420 and 520 having different poles adjacent to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may be formed to constitute the battery cells 400 and 500. . In this case, the battery cells 400 and 500 are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electrode tabs on one electrode plate to form respective positive electrode terminals 410 and 510 or negative electrode terminals 420 and 520, or at least one electrode. The electrode tab of the electrode plate on which the tab is formed may be manufactured by being stacked to form a plurality of terminals through the arrangem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tab protrudes.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4실시예에 따른배터리전지(400)는 일측에 한 쌍의 양극단자(410)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대향되는 타측에 하나의 양극단자(410) 및 하나의 음극단자(420)가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른 상기 배터리전지(400)는 상기 양극단자(410)가 3개 구비됨으로써, 인접하여 적층되는 다른 배터리전지들과의 연결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in the battery cell 400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a pair of positive electrode terminals 410 are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on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battery cell 400. 410 and one cathode terminal 420 are formed in a pair. The battery cell 4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provided with three positive electrode terminals 410, thereby increasing the degree of freedom of connection with other battery cells stacked adjacently.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5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전지(500)는 길이방향으로의 일측에 한 쌍의 양극단자(520)가 형성되고, 대향되는 타측에 하나의 양극단자(510) 및 음극단자(520)가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술한 구성에 따른 배터리전지(500)는 상기 음극단자(520)가 3개 구비됨으로써, 인접하여 적층되는 다른 배터리전지들과의 연결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in the battery cell 500 according to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a pair of positive electrode terminals 520 are formed o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attery cell 500. 5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520 is formed to form a pair. In this case, the battery cell 5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provided with three negative electrode terminals 520, thereby increasing connection freedom with other battery cells stacked adjacently.

아울러,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극단자가 배열된 배터리전지는 복수로 적층되어 하나의 단위모듈로 구성할 수 있으며, 각각의 단위모듈의 요구되는 스펙에 따라, 다양한 배열을 갖는 상기 배터리전지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전지는 인접하는 배터리전지와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되어 구성되는 단위모듈에 요구되는 상기 배터리전지의 개수 및 용량 등에 따라 다양한 방향 또는 상기 전극단자의 배열을 갖는 상기 배터리전지를 활용하여 상기 배터리모듈의 설계 시에, 차량의 레이아웃에 따라 상기 배터리모듈을 설계할 수 있는 높은 자유도를 갖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battery cell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 terminals are arranged may be stacked in plural and constitute a single unit module, and have various arrangements according to required specifications of each unit module. The battery cell may be used. In this case, the battery cell using the battery cell having a variety of directions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de terminal according to the number and capacity of the battery cell required in the unit module is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with an adjacent battery cell, the battery In the design of the module, there is an advantage of having a high degree of freedom to design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layout of the vehicle.

< 실시예 2 : 배터리모듈 >Example 2 Battery Module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전지(100, 200, 300, 400, 500)를 이용하여 적층된 하나의 모듈을 이루는 배터리모듈(1000, 2000, 3000, 4000)에 관하여 서술한다.Hereinafter, the battery modules 1000, 2000, 3000, and 4000 forming one module stacked using the battery cells 100, 200, 300, 400, and 5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또한, 상기한 구성에 따른 상기 배터리전지(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기 배터리전지(100)가 적층되어, 인접하는 상기 배터리전지(100)의 상기 양극단자(110) 또는 음극단자(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모듈(1000)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전지(100)의 넓은 면이 전후방을 향하도록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형태로 좌우 방향의 양측에 상기 배터리전지(100)의 전극단자가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적층 배열된 상기 배터리전지(100)의 방향을 y축, 상기 배터리전지(100)의 좌우측의 길이방향을 x축 및 상기 배터리전지(100)의 좌우 양측면에 상기 전극단자(110, 120)가 인접하여 배치되는 높이방향을 z축으로 구분하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battery cell 100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7, at least two or more battery cells 100 are stacked, and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10 of the adjacent battery cell 100 is stacked. ) Or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20 may be configured to the battery module 1000 is electrically connected. On the other hand,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battery cell 100 is formed on both s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 form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o that the wide surface of the battery cell 100 toward the front and rear, the battery cells stack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direction of 100 is the y axis, the length direct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ttery cell 100 is the x axis, and the height direc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s 110 and 120 is disposed adjacent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ttery cell 100. Separate it by z axis.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모듈(1000)은 상기 배터리전지(100)가 y축방향으로 넓은면이 서로 대면되는 형태로 배열되어 하나의 배터리모듈(1000)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모듈(1000)은 상기 양극단자(110) 또는 음극단자(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별도의 버스바를 이용하지 않고 동일한 방향으로의 다양한 상기 배터리전지(100)의 구성들을 모듈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양극단자(110) 및 음극단자(120)의 전기적인 연결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전극단자(110, 120)가 절곡되어 인접하여 배치된 다른 하나의 배터리전지(100)의 전극단자(110, 120)와 접촉되어 각각의 배터리전지(1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접촉된 상기 단자(110, 120)는 용접 또는 상기 배터리모듈(1000)을 감싸는 보호케이스(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전극 간의 불필요한 접촉 및 외부로부터의 파손을 보호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battery module 10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battery cells 100 have a wide surface facing each other in the y-axis direction to form one battery module 1000. In this case, the battery module 10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 110 or the negative terminal 120 to modularize the components of the various battery cells 100 in the same direction without using a separate bus bar. There is an advantage. In this cas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20 is the other battery cell 100 is disposed adjacent to each of the electrode terminals (110, 120) as shown in FIG. The electrode terminals 110 and 120 of the contact may electrically connect each of the battery cells 100, and the terminals 110 and 120 contacted are protected by welding or surrounding the battery module 1000 (not shown). C) can be further provided to prevent unnecessary contact between the electrodes and damage from the outside.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상기 배터리모듈(1000)은 대향되는 양측에 복수의 전극단자(110, 120)를 형성하여 상기 배터리모듈(1000)의 설계 시에 적층되는 방향 및 배터리모듈의 모양, 전극간의 연결에 자유도를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일정한 형상을 유지해야 하는 각형 배터리전지에 비해,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1000)은 그 형상의 제조가 다양한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의 레이아웃에 맞추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battery modul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lurality of electrode terminals 110 and 120 on opposite sides of the battery module 1000, and the shape of the battery module 1000 and the direction of the battery module 1000 are stacked in the design of the battery module 1000. , There is an advantage to improve the degree of freedom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s, compared to the square battery cells that must maintain a constant shape, the battery modul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variety of pouch-type secondary battery of the sha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layout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1000)은 복수의 양극단자(110) 및 음극단자(120)가 대향되는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구성됨으로써, 일방향으로 상기 배터리전극(100)이 직렬 및 병렬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모듈(1000)을 구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방향으로 상기 배터리전극(100)이 적층되어 상기 배터리모듈(1000)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x축 방향으로 연결되는 상기 배터리전극(100)의 양극단자(110) 또는 음극단자(120)는 y축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절곡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전극단자(110, 120)가 절곡되는 각도는 상기 전극단자(110, 120)의 두께 및 상기 배터리전극(100)의 배치에 기인한다.In addition, the battery module 1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20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the battery electrode 100 in one direction is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to the The battery module 1000 may be configured, and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battery electrodes 100 may be stacked in the x-axis direction to configure the battery module 1000 as necessary. In this case,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10 or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20 of the battery electrode 100 connected in the x-axis direction may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the y-axis direction, and the electrode terminal 110 may be connected thereto. The angle at which the 120 is bent is caused by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terminals 110 and 120 and the arrangement of the battery electrode 100.

또한, 상기 배터리모듈(1000)은 상기 배터리전지(100)에 배치되는 전극단자(110, 120)의 형태에 따라, 상기 배터리전지(100)의 양측면에 형성된 양극단자(110)와 음극단자(120)가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모듈(1000)을 형성하며, 상기 배터리모듈(1000)의 설계 조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전지(100)의 다양한 조합에 따라 상기 배터리모듈(1000)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battery module 100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lectrode terminal (110, 120) disposed in the battery cell 100,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2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ttery cell 100. ) Is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to form the battery module 1000, 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of the battery module 1000,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various combinations of the battery cel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may be configured.

< 실시예 2-1 ><Example 2-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최근 고효율 대용량의 전기차량에서 요구되는 2개의 배터리전지가 병렬연결되고, 병열연결된 한 쌍의 전지 12set를 서로 직렬연결하여 형성되는 2P12S모듈을 제작하기 위한 배터리모듈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배터리모듈은 상기 배터리전지의 대양되는 양측에 형성되는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배치되는 조합에 따라 다양한 모듈을 형성할 수 있으며, 하기에서는 2개의 배터리전지를 병렬연결하고, 병렬연결된 한 쌍의 배터리전지가 서로 직렬열결되어 이루어지는 배터리모듈을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battery module for manufacturing a 2P12S module, which is formed by connecting two battery cells in parallel and a parallel set of 12 sets of cells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which are required for a high-efficiency electric vehicle in recent years. do. In this case, the battery module may form various modules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ttery cell, and in the following, a pair of two battery cells connected in parallel and connected in parallel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battery module is made of a series of battery cells connected to each other.

도 7은본 발명의 제2-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1000)의 일부룰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본 발명의 제2-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1000)의 일부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모듈(1000)은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서로 같은 극성을 띄는 한 쌍의 상기 양극단자(110) 또는 음극단자(120)가 인접하여 형성되어, 서로 병렬연결된 한 쌍의 배터리전지(100a)가 인접하는 다른 한 쌍의 배터리전지(100b)와 직렬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모듈(1000)를 형성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면상에는2개의 상기 배터리전지(100a)가 병렬연결되고, 병렬연결된 한 쌍의 상기 배터리전지(100a) 3SET가 서로 직렬연결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배터리전지가 연결되는 개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 남이 없이 복수로 적층되어 상기 배터리모듈(100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battery modul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2-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battery modul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2-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battery module 1000 has a pair of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110 or 120 having the same polarity on both sides of the battery module 1000 adjacent to each other. A pair of battery cells 100a connected in parallel are connected to a pair of adjacent battery cells 100b in series to form the battery module 1000. In the drawing, the two battery cells 100a are illustrated.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the pair of battery cells 100a connected in parallel to 3SET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of battery cells connected thereto, and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100a may be connec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is stacked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the module 1000.

이때, 서로 병렬연결된 한 쌍의 배터리전지(100a)는 인접하는 다른 한 쌍의 배터리전지(100a)와 직렬연결되기 위하여, 서로 직렬연결되는 전극의 방향이 동일하도록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한 쌍의 배터리전지(100b)를 두께방향(y축)을 기준으로 길이방향(x축)으로 회전시켜 상기 전극이 향하는 방향을 반전시켜 배치함으로써, 일방향으로 적층된 배터리모듈(1000)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상술한 바와 같이 직렬연결을 위해 상기 배터리전지(100b)를 길이방향(x축)으로 회전시켜 반전시키게 될 경우에는 적층되는 방향에 따른 양극판 및 음극판이 적층되는 방향이 반전되지 않으나, 상기 배터리전지(100b)를 길이방향(x축)을 기준으로 두께방향(y축)으로 회전시키게 될 경우,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이 적층되는 방향이 반전되어, 성능 및 안전상의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양극판 및 음극판이 적층된 방향이 바뀌게 될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전지 내부에서 이동하는 음전하의 이동경로가 변하게 될 수 있어,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이 서로 완벽한 대칭을 이루도록 제작되어야만 하고,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의 불량을 야기할 수 있고, 이는 배터리의 폭발사고에 직결되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a pair of battery cells 100a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s connected to another pair of battery cells 100a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pair of batterie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directions of electrodes connected in series to each other are the same. By rotating the battery 100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based on the thickness direction (y-axis), the battery module 1000 stacked in one direction may be configured by inverting and disposing the battery 100b. In this case, when the battery cell 100b is rot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and inverted for series conn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re stacked is not reversed. When the 100b is rota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y-axis)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are stacked is reversed, which may cause performance and safety problems. More specifically, 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are stacked is changed. The movement path of the negative charge moving inside the battery cell may be changed, so that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should be manufactured to have perfect symmetry with each other, and may cause a failure of the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May cause a problem directly related to the explosion.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모듈(1000)을 구성할 시에 인접하는 다른 한 쌍의 배터리전지(100a)와 직렬연결 시에는 하나의 양극판 및 음극판의 연결로도 충분하므로, 사용되지 않는 불필요한 양극단자(110) 및 음극단자(120)를 절단하거나, 불필요한 단자에 보호캡을 씌워, 상기 배터리모듈(100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8, when configuring the battery module 1000, when connected in series with another pair of battery cells (100a) adjacent to one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is sufficient, it is not used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battery module 1000 by cutting the unnecessary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20, or by putting a protective cap on the unnecessary terminal.

< 실시예 2-2><Example 2-2>

도 9는본 발명의 제2-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2000)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본 발명의 제2-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2000)의 일부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2000)은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서로 같은 극성을 띄는 한 쌍의 상기 양극단자(110) 또는 음극단자(120)가 인접하여 형성되어, 서로 병렬연결되는 한 쌍의 배터리전지(100)와,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을 띄는 한 쌍의 상기 양극단자(310) 및 음극단자(320)가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양극단자(310) 및 음극단자(320)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극을 갖도록 배치되어 서로 병렬연결된 다른 한 쌍의 배터리전지(300)가 직렬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모듈(1000)을 구성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한 쌍의 배터리전지(100)와 직렬연결되는 다른 한 쌍의 배터리전지(300)의 전극단자(310, 320)간의 방향을 맞추기 위해 상기 배터리전지(100, 300)의 방향을 반전시킬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battery module 2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2-2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part of the battery module 2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2-2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the battery module 2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2-2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ir of the positive terminal 110 or the negative terminal having the same polarity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battery module 2000. 120 is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a pair of battery cells 100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pair of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3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320 having different polarities on opposite sides, respectively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3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320 are arranged to have different p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pair of battery cells 300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re connected in series to connect the battery module 1000. It shows a configuration, wherein the pair of battery cells (100) ), There is no need to reverse the direction of the battery cells 100 and 300 in order to orient the electrode terminals 310 and 320 of the other pair of battery cells 300 connected in series.

< 실시예 2-3><Example 2-3>

상술한, 상기 제2-1실시예 및 제2-2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배터리전지가 적층되어되는 하나의 배터리모듈을 이루고, 이때 배터리전지의 적층방향(y축)의 단부에서 인접하는 배터리전지와 연결되지 않는 전극은 상기 배터리전지의 적층방향(y)과 다른 방향으로 연결되기 위한 외부단자로 기능한다. 이때, 상기 배터리모듈은 적층방향(y축)의 양단에 같은 극을 갖는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전지의 길이방향(x축)으로 서로 다른 극을 갖는 전극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1 및 2-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1000, 2000)은 배터리전지의 길이방향(x축, 도 16참고)으로 병렬연결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서로 다른 극을 연결 해야 하는 직렬연결 시에 서로 같은 단자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단자를 절단 또는 절연시켜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2-1 and 2-2, a battery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is formed, and at this time, the battery cells adjacent at the end of the stacking direction (y-axis) of the battery cells are formed. The electrode, which is not connected to, functions as an external terminal to be connect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stacking direction (y) of the battery cell. In this case, the battery module has terminals having the same pole at both ends of the stacking direction (y-axis), and electrodes having different p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of the battery cell are formed. In this case, the battery modules 1000 and 2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2-1 and 2-2 have an advantage in that parallel connection is eas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see FIG. 16) of the battery cell, but different po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ame terminals are formed to face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time of series connection, which causes a problem of cutting or insulating any one terminal.

하기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터리전지의 길이방향(x축)으로 서로 같은 극을 갖는 외부단자가 형성되는 배터리모듈을 제시한다.In the following,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battery module having external terminals having the same p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axis) of the battery cell is provided.

도 11은 본 발명의 제2-3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3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3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3000)은일측에 인접하여 서로 같은 극을 갖는 상기 양극단자(510) 또는 음극단자(520)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과 길이방향으로 대향되는 타측에 인접하여 서로 다른 극을 갖는 상기 양극단자(510) 또는 음극단자(520) 한 쌍이 형성되어, 서로 병렬연결된 한 쌍의 배터리전지(400, 500)가 인접하는 다른 한 쌍의 배터리전지(400, 500)와 직렬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배터리전지(400, 500)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단자(420, 510)를 하나씩만 갖도록 배치되고, 서로 대응되는 방향에 서로 같은 극성을 갖는 전극단자를 배치할 수 있으며, 직렬연결되는 다른 한 쌍의 배터리전지(400, 500)간에도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단자가 대응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일관성있는 모듈화 공정이 가능하다.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to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schematic view of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ference, in the battery module 30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510 or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520 having the same poles adjacent to one side is formed, and the one side and the length thereof. A pair of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510 or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520 having different poles adjacent to the other side facing in the direction is formed, so that a pair of battery cells 400 and 500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he battery cells 400 and 500 may be connected in series. In this case, the battery cells 400 and 500 are arranged to have only one electrode terminal 420 and 510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nd have the same polarity in direc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Electrode terminals can be arranged and connected in series Since the electrode terminal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correspond to each other between the pair of battery cells 400 and 500, a consistent modularization process is possible.

< 실시예 2-4 ><Example 2-4>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 하기에서는 3개의 배터리전지가 병렬연결되고 병렬연결된 3개의 배터리전지 8set가 직렬연결되어 3P8S모듈을 이루는 배터리모듈(4000)을 제시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three battery cells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three battery cells 8set connected in parallel are provided in series to form a battery module 4000 of 3P8S module.

도 13은 본 발명의 제2-4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2-4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4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4000)은 길이 방향으로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서로 같은 극성을 띄는 한 쌍의 상기 양극단자(110) 또는 음극단자(120)가 인접하여 형성되는 배터리전지(100) 및 상기 배터리전지(100)의 적층방향으로 양측에 적층되어 상기 배터리전지(100)와 병렬연결되며, 일측에 인접하여 서로 같은 극을 갖는 상기 양극단자(410, 510) 또는 음극단자(420, 520)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에 인접하여 서로 다른 극을 갖는 상기 양극단자(410, 510) 또는 음극단자(420, 520) 한 쌍이 형성되는 한 쌍의 배터리전지(400, 500)를 포함하여, 서로 병렬연결된 상기 배터리전지(100) 및 한 쌍의 배터리전지(400, 500)가 복수로 적층되며 서로 직렬연결되어 상기 배터리모듈(4000)을 구성한다.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4 and 15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5, the battery module 4000 according to 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ir of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10 or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120 having the same polarity to each other on both sides fac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re stacked on both sides in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battery cell 100 and the battery cell 100 ar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battery cell 100, the positive terminal having the same pole adjacent to each other ( A pair of 410 and 510 or cathode terminals 420 and 520 is formed, and a pair of anode terminals 410 and 510 or cathode terminals 420 and 520 having different poles adjacent to the other side facing the one side is formed. Including a pair of battery cells (400, 500) to b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he battery cell 100 and a pair of battery cells 400 and 500 are stacked in plural and connected in series to constitute the battery module 4000.

이때, 상기 배터리모듈(400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전지가 500 - 100 - 400 순으로 병렬연결되는 배터리모듈(4000a)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전지가 400 - 100 - 500 순으로 병렬연결되는 배터리모듈(4000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배터리모듈(4000a) 및 배터리모듈(4000b)는 상기 외부단자를 이루는 전극단자의 방향이 반전된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는 상기 제2-3 및 제2-4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3000, 4000)의 외부단자가 적층방향(y축)으로의 양단에 서로 다른 극을 형성함으로써, 외부단자의 극을 반전하기 위하여는 양극판 및 음극판이 적층된 방향이 반전되는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각기 병렬연결되는 배터리전지(400, 500)의 순서를 바꿔 외부단자의 전극방향이 반전된 두 개의 배터리모듈(4000a, 4000b)를 제작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ttery module 4000, as shown in Figure 14, the battery module 4000a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battery cells in the order of 500-100-400, and as shown in Figure 15 the battery cells 400-100 It may be configured as a battery module (4000b) connected in parallel in order 500, wherein the battery module (4000a) and the battery module (4000b) is manufactured in a shape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forming the external terminal is reversed. This is because the external terminals of the battery modules 3000 and 4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2-3 and 2-4 form different poles at both ends in the stacking direction (y-axis), thereby inverting the poles of the external terminals. To this end,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are stacked is reversed, two battery modules 4000a and 4000b in which the electrode directions of the external terminals are reversed by changing the order of the battery cells 400 and 500 connected in parallel. Can be produced.

더하여,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의 배터리모듈은 전술한 2P12S의 배터리모듈이 아닌, 복수의 병렬 연결된 배터리전지들이 서로 직렬연결 되어 하나의 배터리모듈을 이루는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더욱 자세하게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배터리전지가 적층되어, 각각 서로 같은 극성을 띄는 인접한 양극단자 또는 음각단자가 서로 병렬 연결되고, 상기 병렬 연결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배터리전지가 복수로 적층되되, 어느 하나의 상기 병렬 연결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배터리전지와 인접하여 적층되는 다른 하나의 상기 병렬 연결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배터리전지는 서로 인접하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직렬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배터리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parallel connected battery cel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to form a single battery module, rather than the above-described 2P12S battery module. In detail, at least two or more battery cells are stacked, and adjacent positive or negative terminals each having the same polarity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at least two or more battery cells connected in parallel are stacked in plurality, wherein any one of the parallel The at least two or more battery cells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stacked adjacent to at least two or more battery cells connected to each other may form a battery module having various specifications by serially connecting adjacent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도 16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간의 결합을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 16은 본 발명의 제2-4실시예에 따른 상기 배터리전지의 적층방향으로의 양단부에 형성된 외부전극을 이우는 전극단자가 서로 다른 극으로 이루어진 배터리모듈의 배터리전지의 적층방향(y축) 및 길이방향(x축)으로의 직렬 및 병렬 연결을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전지는 Y축 방향으로 복수 개가 적층되어 형성되어 복수의 배터리모듈(4000a)을 형성하고, 각각의 배터리모듈(4000a)은 인접하여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적층되어 하나의 배터리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16 and 17 are views illustrating coupling between battery modul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provided at both ends in a stacking direction of the battery cells according to the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terminals connecting the formed external electrode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in a stacking direction (y axis) and a length direction (x axis) of a battery cell of a battery module having different poles. In this case, the battery cells are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in the Y-axis direction to form a plurality of battery modules 4000a, and each battery module 4000a is adjacently stacked in the X-axis or Y-axis direction to form one battery module. Can be configured.

< section - A ><section-A>

도 16의 section-A는 상기 배터리모듈(4000a)이 배터리전지의 적층방향으로 직렬연결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배터리모듈(4000a)은 Y축 방향으로 인접하여 적층된 다른 하나의 배터리모듈(4000a)과 서로 다른 극성을 띄는 상기 양극단자(410) 및 음극단자(520)가 연결되어 서로 직렬연결 될 수 있다.Section-A of FIG. 16 shows that the battery module 4000a is connected in series in a stacking direction of a battery cell, wherein the battery module 4000a is stacked on one another adjacent to the Y-axis direction. The positive terminal 4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520 having different polarities from each other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with each other.

< section - B><section-B>

도 16의 section-B는 상기 배터리모듈(4000a)이 배터리전지의 길이방향(X축)으로 직렬연결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배터리모듈(4000a)은 X축 방향으로 인접하여 적층된 다른 하나의 배터리모듈(4000b)과 서로 다른 극성을 띄는 상기 양극단자(410) 및 음극단자(520)가 연결되어 서로 직렬연결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모듈 (4000a)는 배터리전지가 500 - 100 - 400 순으로 병렬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배터리모듈(4000b)는 배터리전지가 400 - 100 - 500 순으로 병렬연결되어 구성된 것으로, 직렬연결되는 배터리모듈(4000a, 4000b)이 X축 방향으로 서로 대면되는 외부단자를 이루는 전극단자가 다른 극성을 띄는 상기 양극단자(410) 및 음극단자(520)를 갖도록, 상기 외부단자가 적층방향(y축)으로의 양단에 서로 다른 극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단자의 전극단자에 방향이 반전된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배터리모듈(4000a, 4000b)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16 shows that the battery module 4000a is connected in seri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axis) of the battery cell, wherein the battery module 4000a is stacked adjacent to the X axis direction. One battery module 4000b and the positive terminal 410 and the negative terminal 520 having different polarities may be connected and connected in series. At this time, the battery module (4000a) is a battery cell is configured in parallel connection in the order of 500-100-400, the battery module (4000b) is a battery cell is configured in parallel connection in the order of 400-100-500, in series connection The external terminals of the battery modules 4000a and 4000b to form the external terminals facing each other in the X-axis direction have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4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520 having different polarities. It is preferable to connect using a pair of battery modules (4000a, 4000b) having a shape in which the direction is inver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external terminal to form different poles at both ends to the shaft).

< section - C><section-C>

도 16의 section-C는 상기 배터리모듈(4000a)이 배터리전지의 적층방향으로 병렬연결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배터리모듈(4000a)은 Y축 방향으로 인접하여 적층된 다른 하나의 배터리모듈(4000a)과 서로 같은 극성을 띄는 상기 양극단자(410) 및 음극단자(520)가 연결되어 병렬연결 될 수 있다.Section-C of FIG. 16 illustrates that the battery modules 4000a are connected in parallel in a stacking direction of a battery cell, wherein the battery modules 4000a are stacked adjacent one another in the Y-axis direction.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410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520 having the same polarity as each other (4000a) may be connected and connected in paralle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터리전지의 조합으로 구성된 배터리모듈은 설계된 규정에 맞추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배터리모듈의 길이방향 및 두께방향으로의 자유로운 연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module composed of the combination of the battery cell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designed regulations,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free conn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battery module is possible.

필요에 따라 전극단자 사이 직접 연결이 힘든 경우 도 18 내지 21에서와 같이 외부 버스바를 이용하여 배터리전지간의 직렬 및 병렬연결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전기전도성 부재(busbar)를 매개체로 상기 배터리모듈을 이루는 배터리전지들의 전극단자들이 연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의 배터리전지들의 전극단자간에 연결은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을 것이다. If necessary, if the direct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s is difficult , as shown in Figures 18 to 21 can be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between the battery cells using an external bus bar, the battery forming the battery module via a separate electrically conductive member (busbar) as a medium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ies may be connected,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battery cell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본 발명의 배터리전지는 전극단자가 복수로 구성됨으로써, 도 19의 (b), 도 20의 (b) 및 도 21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직렬연결하기 위한 배터리전지를 높이방향으로 반전시켜 인접하는 전극단자간 접촉을 통해 직렬연결됨으로써, 인접하는 전극단자간의 연결을 별도의 버스바를 통하지 않고 연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battery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electrode terminals, as shown in Figure 19 (b), Figure 20 (b) and Figure 21 (b), height the battery cell for series connection By inverting in the direction is connected in series through the contact between the adjacent electrode terminal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onnected between the adjacent electrode terminals without a separate bus bar.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is not limited,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1000, 2000, 3000, 4000 : 배터리모듈
100, 200, 300, 400, 500 : 배터리전지
110, 210, 310, 410, 510 : 양극단자
120, 220, 320, 420, 520 : 음극단자
130, 230, 330, 430, 530 : 전극조립체
140, 240, 340, 440, 540 : 외장케이스
1000, 2000, 3000, 4000: Battery Module
100, 200, 300, 400, 500: battery cell
110, 210, 310, 410, 510: positive terminal
120, 220, 320, 420, 520: negative terminal
130, 230, 330, 430, 530: electrode assembly
140, 240, 340, 440, 540: outer case

Claims (11)

외부로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포함하는 전극단자가 돌출 형성되는 배터리전지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전지는,
대향되는 양측에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전극단자가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전극단자를 갖는 배터리전지.
In the battery cell in which the electrode terminal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protruding to the outside,
The battery cell,
A battery cell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one or more electrode terminals selected from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or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is formed on both opposite si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전지는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서로 같은 극성을 띄는 복수의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전극단자를 갖는 배터리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battery cell has a plurality of electrode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 terminals or negative electrode terminals having the same polarity to each other on both sides ar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전지는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을 띄는 한 쌍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전극단자를 갖는 배터리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battery cell has a plurality of electrode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having a different polarity on each opposite side is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전지의 대향되는 양측에 형성되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는 상기 배터리전지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극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전극단자를 갖는 배터리전지.
The method of claim 3,
A battery cell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battery cell are arranged to have different p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ttery cel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전지의 대향되는 양측에 형성되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는 상기 배터리전지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같은 극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전극단자를 갖는 배터리전지.
The method of claim 3,
A battery cell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terminal formed on opposite sides of the battery cell are arranged to have the same p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ttery ce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전지는 일측에 인접하여 서로 같은 극을 갖는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에 인접하여 서로 다른 극을 갖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전극단자를 갖는 배터리전지.
The method of claim 1,
The battery cell is adjacent to one side is formed with a pair of positive terminal or negative terminal having the same pole with each other,
A battery cell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 terminals,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having a different pole adjacent to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is formed.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배터리전지를 이용한 배터리모듈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상기 배터리전지가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두 개 이상의 배터리전지에 인접하는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In the battery module using any one of the battery cells of claim 1,
Two or more of the battery cells are formed by stacking,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ve terminal or the negative terminal adjacent to the two or more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모듈은,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서로 같은 극성을 띄는 복수의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되어, 서로 병렬연결된 복수의 배터리전지가 복수로 구성되어, 서로 직렬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attery module,
A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ositive or negative terminals having the same polarity to each other opposite to each other is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series, and connected in seri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모듈은,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서로 같은 극성을 띄는 한 쌍의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되어, 서로 병렬연결되는 복수의 배터리전지와,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을 띄는 한 쌍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극을 갖도록 배치되어 서로 병렬연결된 복수의 배터리전지가 서로 직렬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attery module,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each of which has a pair of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having the same polarity and are adjacent to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 pair of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r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on opposite sides,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are arranged to have different p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re arranged.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in seri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모듈은,
일측에 인접하여 서로 같은 극을 갖는 양극단자또는 음극단자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에 인접하여 서로 다른 극을 갖는 상기 양극단자및 음극단자한 쌍이 형성되어, 서로 병렬연결된 복수의 배터리전지가 복수로 구성되어, 서로 직렬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attery module,
A pair of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having the same poles adjacent to one side is formed, and a pair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having different poles adjacent to the other side are formed, and a plurality of batteries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is composed of a plurality,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모듈은,
대향되는 양측에 각각 서로 같은 극성을 띄는 한 쌍의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가 인접하여 형성되는 배터리전지 및,
상기 배터리전지의 전후방향으로의 양측에 적층되어 상기 배터리전지와 병렬연결되며, 일측에 인접하여 서로 같은 극을 갖는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 한 쌍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에 인접하여 서로 다른 극을 갖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한 쌍이 형성되는 한 쌍의 배터리전지,
를 포함하여,
서로 병렬연결된 상기 배터리전지 및한 쌍의 배터리전지가 복수로 적층되어 서로 직렬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모듈.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attery module,
A battery cell in which a pair of positive or negative terminals having the same polarity ar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on both sides thereof;
The battery cell is stacked on both sid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attery cell and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battery cell, and a pair of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having the same poles are formed adjacent to one side, and adjacent to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A pair of battery cells in which a pair of positive and negative terminals having a pole is formed,
Including,
A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the battery cells and a pair of battery cells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re stacked in series.
KR1020190072890A 2018-06-19 2019-06-19 Battery having multi electrode-lead and The battery module KR1022957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445,737 US11545706B2 (en) 2018-06-19 2019-06-19 Battery cell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DE102019116701.9A DE102019116701A1 (en) 2018-06-19 2019-06-19 BATTERY CELL WITH A VARIETY OF ELECTRODES AND BATTERY MODULE WITH SUCH A BATTERY CELL
KR1020210110048A KR102539569B1 (en) 2018-06-19 2021-08-20 Battery having multi electrode-lead and The battery module
US17/994,222 US20230089670A1 (en) 2018-06-19 2022-11-25 Battery cell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70373 2018-06-19
KR1020180070373 2018-06-1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048A Division KR102539569B1 (en) 2018-06-19 2021-08-20 Battery having multi electrode-lead and The battery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407A true KR20190143407A (en) 2019-12-30
KR102295756B1 KR102295756B1 (en) 2021-09-01

Family

ID=689213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890A KR102295756B1 (en) 2018-06-19 2019-06-19 Battery having multi electrode-lead and The battery module
KR1020210110048A KR102539569B1 (en) 2018-06-19 2021-08-20 Battery having multi electrode-lead and The battery modul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048A KR102539569B1 (en) 2018-06-19 2021-08-20 Battery having multi electrode-lead and The battery modu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295756B1 (en)
CN (1) CN11062020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708A1 (en) * 2020-09-28 2022-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cell comprising electrode tab having stress-relieving portion formed thereon
WO2024014926A1 (en) * 2022-07-14 2024-01-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04330B2 (en) * 2020-09-18 2023-07-06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secondary batter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015A (en) * 2001-06-20 2004-01-16 양태허 Low internal impedance current pool for a charging/discharging device
JP2006252855A (en) * 2005-03-09 2006-09-21 Hitachi Vehicle Energy Ltd Thin secondary battery for high-current discharge and battery module
KR20130119457A (en) * 2010-12-20 2013-10-31 주식회사 엘지화학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multi-directional lead-tab structure
KR20140058058A (en) 2012-11-06 2014-05-1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The battery module
KR20140072689A (en) 2012-12-05 2014-06-1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Battery Modul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8905B2 (en) * 2002-02-01 2010-03-10 日本電気株式会社 Flat battery and battery pack using the same
JP6162459B2 (en) * 2013-04-11 2017-07-12 三洋電機株式会社 Battery pack
KR101782984B1 (en) * 2014-03-19 2017-09-28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Comprising Battery Cells or Unit Modules Having Multi- Directional Connection Struc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015A (en) * 2001-06-20 2004-01-16 양태허 Low internal impedance current pool for a charging/discharging device
JP2006252855A (en) * 2005-03-09 2006-09-21 Hitachi Vehicle Energy Ltd Thin secondary battery for high-current discharge and battery module
KR20130119457A (en) * 2010-12-20 2013-10-31 주식회사 엘지화학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multi-directional lead-tab structure
KR20140058058A (en) 2012-11-06 2014-05-1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The battery module
KR20140072689A (en) 2012-12-05 2014-06-1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Battery Module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708A1 (en) * 2020-09-28 2022-03-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cell comprising electrode tab having stress-relieving portion formed thereon
WO2024014926A1 (en) * 2022-07-14 2024-01-1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20209A (en) 2019-12-27
KR20210109494A (en) 2021-09-06
KR102539569B1 (en) 2023-06-05
KR102295756B1 (en) 202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3544C (en) Secondary battery pack having configuration of alternative orientation
US8263249B2 (en) Foldable battery cartridge and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US9343714B2 (en) High capacity battery cell employed with two or more unit cells
US9780381B2 (en) Current collectors
KR102539569B1 (en) Battery having multi electrode-lead and The battery module
KR102170472B1 (en) Multi cavity battery module
US20230089670A1 (en) Battery cell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KR102055852B1 (en) Pouch-type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modified leads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20080074239A (en) High capacity battery cell of high life characteristics and safety
EP2830121B1 (en) Rechargeable battery
US10991985B2 (en) Secondary battery
US11942660B2 (en) Battery pack
KR102113156B1 (en) The battery module
KR20150025207A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JP2022545245A (en) battery module
WO2017063876A1 (en) Weld-free current collector for a battery cell
KR20240007501A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230058852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KR20220007272A (en) Battery module including end plate assembly
JP2019106258A (en) Battery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