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3346A - 농작물 수확기 - Google Patents

농작물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3346A
KR20190143346A KR1020190025158A KR20190025158A KR20190143346A KR 20190143346 A KR20190143346 A KR 20190143346A KR 1020190025158 A KR1020190025158 A KR 1020190025158A KR 20190025158 A KR20190025158 A KR 20190025158A KR 20190143346 A KR20190143346 A KR 20190143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uide
crop harvester
crop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산업
Priority to KR1020190025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43346A/ko
Publication of KR20190143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3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3/00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 A01D43/06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ollecting, gathering or loading mown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의 고르기에 관계없이 초본 등의 농작물을 균일한 높이로 절단하여 수확할 수 있는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차륜이 설치되고 상부에는 조향핸들이 설치되는 이동 프레임과; 이동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며 농작물을 모아서 세워주는 가이드부재와, 농작물의 절단을 위한 예취날을 갖는 절단장치와, 절단된 농작물의 이송을 위한 이송장치가 구비되는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되, 가이드 프레임이 이동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농작물 수확기{AGRICULTURAL HARVESTER}
본 발명은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의 고르기에 관계없이 초본 등의 농작물을 균일한 높이로 절단하여 수확할 수 있는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인류가 이용할 목적으로 재배하는 식물은 다양하며, 그 중에서도 부추는 카로틴, 비타민 B2, 비타민 C, 칼슘, 철 등의 영양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녹황색 채소로서, 소화를 돕고 장을 튼튼하게 하며 강정 효과가 있는 등, 최근 들어 각광받고 있는 건강식품이다. 이러한 부추는 내한성과 내서성이 강하고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매우 뛰어나 재배하기가 쉬운 바, 많은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다.
그러나, 부추는 재배하기는 쉬우나, 재배된 부추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수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부추는 다년생 채소인바,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잎만을 채취해야 하며, 이에 따라 수확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재배된 부추를 자동으로 수확할 수 있는 부추 수확기가 다양하게 개발되었다.
일 예로서, 종래의 부추 수확기는 경사진 프레임을 가지며, 경사진 프레임의 중앙과 뒷쪽에는 한 쌍의 구동륜과 한 쌍의 손잡이가 설치된다. 구동륜은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는데, 이 구동모터는 프레임에 장착되는 배터리에 의해 구동된다. 손잡이는 부추 수확기를 운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프레임의 앞쪽 끝부분에는 부추를 모아주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가 설치되며, 가이드의 하부에는 모아진 부추를 절단하는 예취날이 설치되어 있다. 예취날은 프레임에 설치되는 예취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예취모터는 배터리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종래의 부추 수확기는 절단된 부추를 파지하여 프레임의 뒷쪽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장치를 가지며, 이 컨베이어장치는 2개가 1조를 이루는 제1 및 제2 벨트 컨베이어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 벨트 컨베이어는 프레임의 뒷쪽에 설치되는 구동롤러와, 프레임의 앞쪽에 설치되는 종동롤러와, 구동롤러와 종동롤러를 감아서 연결하는 벨트와, 구동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된다. 구동롤러는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설치되고, 종동롤러는 구동롤러에 대해 90°각도를 이루면서 배치되며, 벨트는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에 직각걸이 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벨트 컨베이어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수직하게 절단된 부추를 파지하여 프레임의 뒷쪽으로 끌어올려 주며, 직각걸이된 벨트들은 수직하게 절단된 부추를 수평한 상태로 이송시켜 준다.
아울러, 부추 수확기는 제1 및 제2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부추를 담아 수집할 수 있는 수집통을 갖추고 있다. 수집통은 상부가 트이도록 구성되며, 제1 및 제2 벨트 컨베이어로부터 낙하되는 부추를 담아서 저장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부추 수확기를 부추밭으로 몰게 되면, 부추가 가이드에 의해 모아지면서 예취날에 의해 절단되고, 절단된 부추는 컨베이어장치에 의해 뒷쪽 상부로 끌어올려진 후 수집통에 수집된다.
그런데, 종래의 부추 수확기는 프레임의 높이 때문에 수확하고자 하는 부추가 가려서 안 보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잘못된 방향으로 부추 수확기를 몰게 되면 부추의 수확이 불가능할뿐더러 재배된 부추를 상하게 할 우려도 있다.
또한, 종래의 부추 수확기는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구동륜이 부추밭의 지면 굴곡을 지날 때 예취날의 높이가 변화하게 되며, 따라서 부추의 절단 높이가 고르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부추 수확기는 수확된 부추를 컨베이어장치로 끌어올린 다음 하부로 낙하시켜 수집통에 수집시키는바, 수집통에 낙하시키는 과정에서 수확된 부추가 흐트러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수집통에 수집된 부추를 소정량으로 묶어 출하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많은 양의 부추가 수집통으로 낙하하면서 서로 짖눌려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터 구동에 의해 주행하면서 농작물을 쉽게 수확할 수 있는 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굴곡진 지면의 이동시에도 예취날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따라서 농작물의 절단높이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프레임에 사용자가 탑승함으로써, 농작물에 대한 가이드부재의 접근 위치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면서 주행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예취날의 설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단 후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된 농작물을 가지런히 정렬하여 수집할 수 있는 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중 가이드부재의 지면 접촉시 가이드부재가 지면을 따라 미끄러짐으로써 파손이나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에 차륜이 설치되고 상부에는 조향핸들이 설치되는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며, 농작물을 모아서 세워주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농작물의 절단을 위한 예취날을 갖는 절단장치와, 절단된 농작물의 이송을 위한 이송장치가 구비되는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프레임이 상기 이동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동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는 힌지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동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하 방향 회동에 따라 상기 이동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농작물을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방으로 밀어내는 정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정렬장치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전단부 일측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후단에 힌지 결합되는 정렬 브라켓과, 상기 정렬 브라켓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이송장치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의 양단에 일측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회전바의 회전시 상기 농작물을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방으로 밀어내는 갈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동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 사이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리프트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예취날의 높이를 조절하는 예취날 높이조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1 가로 프레임과, 상기 제1 가로 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수직하게 형성되는 세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의 상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외곽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외곽 프레임 사이에 상기 외곽 프레임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중간 프레임과, 상기 중간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장치와 상기 예취날 높이조절장치를 지지하며 상기 외곽 프레임에 후단 양측이 힌지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예취날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중간 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중간프레임과 상기 지지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 프레임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바와, 상기 높이조절바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에 지지되며 상기 높이조절바의 상단 높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부재의 전단부 저면에 미끄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미끄럼부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전단부 저면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단에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전단을 감싸도록 상향 만곡지게 형성되는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동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집함이 적재되는 수집함 적재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집함 적재 프레임은, 상기 이동 프레임의 후단 일측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 프레임과, 상기 연장 프레임의 후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수집함이 안착되는 안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안착 프레임은, 상기 연장 프레임의 후단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전방 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되는 안착바와, 상기 안착바의 후단 상측에 결합되는 후방 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후방 프레임의 전단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전방 프레임의 양측 상단에 하향 절곡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측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에 의하면, 모터 구동에 의해 자동 주행하므로 여성이나 노약자도 쉽게 조작할 수 있으며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에 의하면, 지면의 굴곡 정도에 따라 가이드 프레임이 이동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지면에 대한 예취날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에 따라 농작물의 절단높이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에 의하면, 주행중 농작물과 가이드부재의 간격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올바른 주행 방향을 벗어나면서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에 의하면, 부품의 분해 및 재조립 없이도 예취날의 설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에 의하면, 절단 후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농작물을 가지런히 정렬하여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에 의하면, 지면 접촉시 가이드부재가 지면을 따라 자연스럽게 미끄러지므로, 파손이나 고장 발생 우려가 낮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굴곡진 지면 이동시 가이드 프레임의 회동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실린더에 의한 가이드 프레임의 회동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100)는 차륜과 조향핸들(220)이 설치되는 이동 프레임(200)과, 가이드부재(400)와 절단장치(500) 및 이송장치(700)가 구비되는 가이드 프레임(300)을 포함한다.
이동 프레임(200)은 복수 개의 단위 프레임이 가로, 세로 방향으로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사각형 프레임을 이룬다. 이때, 단위 프레임은 예컨대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금속재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단위 프레임은 용접 또는 볼팅 등의 방법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는, 가이드 프레임(300)과 후술하는 지지 프레임(800)을 구성하는 단위 프레임 역시 마찬가지이다.
이동 프레임(20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륜이 설치되며, 차륜은 엔진이나 구동모터(230)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때, 구동수단이 구동모터(230)인 경우 충전 배터리(240)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조향핸들(220)은 이동 프레임(20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조향샤프트(221)의 상단에 결합되며, 사용자는 조향핸들(220)을 조작하여 주행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프레임(200)의 전방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의 전방휠(211)이 구비되고, 이동 프레임(200)의 후방 중앙에는 하나의 후방휠(21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조향샤프트(221)의 하단과 후방휠(212)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부재(250)로 연결되며, 조향핸들(220)의 회전 조작시 후방휠(212)의 정렬방향이 변하면서 농작물 수확기(100)의 주행 방향이 변하게 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한 쌍의 전방휠(211)이 구동모터(230)에 의해 구동되며, 후방휠(212)은 조향핸들(220) 조작시 농작물 수확기(100)의 주행방향을 전환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전방휠(211)과 후방휠(212)의 개수 및 배치형태, 전방휠(211)과 후방휠(212) 각각의 구동 여부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한 쌍의 후방휠(212)이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구동모터(230)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후방휠(212)과, 조향핸들(220)과 연동하여 방향 전환되는 하나의 전방휠(211)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조향핸들(220)의 상측에는 이동 프레임(200)의 주행방향과 속도, 후술하는 예취날(510)과 컨베이어 벨트(710), 헤드라이트(371)와 조명램프(372, 도 3 참조) 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들과 배터리 잔량표시부가 구비되는 컨트롤 박스(22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동 프레임(200)의 후단에는 사용자의 탑승을 위한 발판(260)이 돌출 형성된다. 또한, 컨트롤 박스(222)의 상측에는 긴급정지 버튼이 구비될 수 있으며, 컨트롤 박스(222)의 후방에는 농작물 수확기(100)의 주행 또는 정지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바(223, 도 3 참조)가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바(223)를 조향핸들(220) 쪽으로 올려서 함께 파지하는 경우 농작물 수확기(100)의 주행이 이루어지며, 긴급상황 발생시 컨트롤바(223)를 놓으면 농작물 수확기(100)가 그 자리에 멈추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300)은 이동 프레임(200)의 전방에 설치되는데, 이동 프레임(200)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1 가로 프레임(310)과, 제1 가로 프레임(310)의 양단에 각각 수직하게 형성되는 세로 프레임(320)과, 양측 세로 프레임(320)의 상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외곽 프레임(330)을 포함하며, 세로 프레임(320)과 외곽 프레임(330) 사이에 보강 프레임(340, 도 3 참조)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가로 프레임(310)의 중간부에는 수직 프레임(350)이 형성되며, 한 쌍의 외곽 프레임(330) 사이에는 외곽 프레임(330)과 평행하게 중간 프레임(360)이 형성된다. 이때, 중간 프레임(360)의 후단은 수직 프레임(350)의 전단에 결합되며, 수직 프레임(350)의 상단에는 제2 가로 프레임(370)이 제1 가로 프레임(310)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2 가로 프레임(370)의 상측에는 전방을 비추는 헤드라이트(371)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가로 프레임(370)의 후방에는 수확작업시 후술하는 적재함(910)의 내부를 비추도록 LED 등의 조명램프(372)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중간 프레임(36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한 쌍의 외곽 프레임(330) 사이에 하나의 중간 프레임(360)이 형성되어 동시에 2열의 농작물에 대한 수확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중간 프레임(360) 없이 1열의 농작물에 대한 수확작업을 진행하거나, 2개의 중간 프레임(360)을 설치함으로써 동시에 3열의 농작물에 대한 수확작업을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이드 프레임(300)은 이동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는 이동 프레임(200)과 가이드 프레임(300)을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는 힌지 결합부를 포함한다.
일 예로서, 힌지 결합부는 이동 프레임(200)의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 힌지 브라켓(381)과, 가이드 프레임(300)의 제1 가로 프레임(310) 양단에 형성되는 제2 힌지 브라켓(382)과, 제1,제2 힌지 브라켓(381,382)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힌지축(38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프레임(300)은 힌지축(383)을 중심으로 이동 프레임(20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며, 이에 따라 농작물 수확기(100)의 주행시 지면의 굴곡에 따라 가이드 프레임(300)의 전단부가 자유롭게 상하 방향으로 오르내리면서 후술하는 예취날(510)의 절단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확작업 완료 후 이동시에는 가이드 프레임(300)을 지면으로부터 완전히 들어올려 빠르게 주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이동 프레임(200)과 가이드 프레임(300) 사이에는 이동 프레임(200)에 대하여 가이드 프레임(300)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프트 실린더(390, 도 3 참조)가 설치된다. 이때, 리프트 실린더(390)의 후단이 이동 프레임(200)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고, 리프트 실린더(390)의 전단은 중간 프레임(360)의 후방에 힌지 결합되는데, 리프트 실린더(390)의 신장시 가이드 프레임(300)은 지면으로부터 들어 올려지며, 리프트 실린더(390)의 압축시에는 가이드 프레임(300)이 하향 회동하여 지면에 안착된다. 또한, 수확 작업시 지면의 굴곡에 따른 가이드 프레임(300)의 회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중간 프레임(360) 후방의 결합브라켓(361)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장방타원형 결합홈(362)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362)에 리프트 실린더(390)의 전단이 힌지 결합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 프레임(300)의 회동시, 리프트 실린더(390)의 전단은 결합홈(362)을 따라 소정 간격 이동하는 유격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가이드 프레임(300)에는 농작물을 모아서 세워주는 가이드부재(400)와, 농작물의 절단을 위한 예취날(510)을 갖는 절단장치(500)와, 절단된 농작물의 이송을 위한 이송장치(700)가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의 사시도이다.
가이드부재(400)는 외곽 프레임(330) 및 중간 프레임(36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농작물 수확기(100)의 주행시 한 쌍의 가이드부재(400) 사이로 들어오는 농작물을 모아서 세워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재(400)는 전단이 낮고 뾰족한 형태로 형성되며, 외측에는 가이드와이어(410)가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부재(400)의 전단부 저면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미끄럼부(420)가 형성되는데, 이 미끄럼부(420)는 지면과의 접촉시 가이드부재(400)가 지면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가이드부재(400)의 전단부 저면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421)와, 몸체(421)의 전단에서 가이드부재(400)의 전단을 감싸도록 상향 만곡지게 형성되는 만곡부(422)를 포함한다. 미끄럼부(420)는 농작물 수확기(100)의 주행시 가이드부재(400)의 전단부가 지면을 파고들어 박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가이드 프레임(300)의 전단에는 가이드부재(400)의 후방 하부에 보조휠(332)이 각각 장착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절단장치(500)는 농작물의 절단을 위한 예취날(510)과, 예취날(51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520)와, 회전모터(520)의 구동력을 예취날(510)에 전달하는 샤프트(530)를 포함한다. 회전모터(520)와 샤프트(530)는 외곽 프레임(330)과 중간 프레임(360)의 하부에 설치되는 사각틀 형태의 보조 프레임(540)에 의해 지지되며, 보조 프레임(540)의 후단 양측이 외곽 프레임(330)의 일측에서 하향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331)에 힌지 결합된다.
사용자는 예취날(510)의 설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중간 프레임(360)의 일측에 예취날 높이조절장치(600)가 설치된다. 예취날 높이조절장치(600)는 중간 프레임(360)을 관통하여 하단이 보조 프레임(540)의 상측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바(610)와, 중간 프레임(360)의 상측에 형성되어 높이조절바(610)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620)과, 지지브라켓(620)에 대한 높이조절바(610)의 상단 높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지지브라켓(6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높이조절바(610)의 하단은 지지브라켓(620)과 중간 프레임(360)을 차례로 관통하여 보조 프레임(540)의 상측에 결합되며, 높이조절바(610)의 상단은 지지브라켓(620)의 상부로 돌출된다. 고정부재(630)는 높이조절바에 나사 결합되는 한 쌍의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너트는 지지브라켓(620)의 상측에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의 너트는 지지브라켓(620)의 하측에 결합되어 지지브라켓(620)에 대한 높이조절바(610)의 상단 돌출 높이를 고정하게 된다. 사용자가 높이조절바(610)를 잡고 올리거나 내리면 높이조절바(610)가 결합된 보조 프레임(540)의 전단부가 외곽 프레임(330)의 결합부(331)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보조 프레임(540)에 지지되는 예취날(510)의 설치 높이가 변화하게 된다. 예취날(510)을 적절한 설치 높이에 위치시킨 후에는, 고정부재(630)로 높이조절바(610)를 지지브라켓(620)에 고정함으로써 예취날(510)의 설치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이송장치(700)는 예취날(510)에 의해 절단된 농작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절단된 농작물을 잡아 후방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710)와, 가이드 프레임(30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결합되는 전방풀리(720) 및 후방풀리(730)와, 컨베이어 벨트(710)의 순환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740, 도 3 참조)와, 이송모터(740)의 구동력을 후방풀리(730)에 전달하는 복수 개의 스포라켓(750)과, 복수 개의 스포라켓(750)이 상호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체인(760)을 포함한다. 이때, 복수 개의 스포라켓(750)과 체인(760)은, 중간 프레임(360)과 대향하도록 제1 가로 프레임(310)의 중간부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35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별도의 이송모터(740)를 설치하는 대신에, 전술한 구동모터(230) 또는 회전모터(520)의 구동력으로 컨베이어 벨트(710)가 순환하게끔 할 수도 있다.
서로 접하는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710)가 외곽 프레임(330)과 중간 프레임(360)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이때 전방풀리(720)는 세로방향으로 세워서 설치되고 후방풀리(730)는 가로방향으로 눕혀서 설치된다. 이에 따라, 선 상태로 절단된 농작물은 컨베이어 벨트(710)를 따라 후방으로 이송되면서 옆으로 눕혀져서 배출된다.
컨베이어 벨트(710)의 하부에는 이송되는 농작물이 지면으로부터 튄 흙 등의 이물질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림판(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가림판은 사각형 플레이트 형태로서 일측이 외곽 프레임(330)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중간 프레임(36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주행중 또는 작업중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이동 프레임(200)과 외곽 프레임(330)의 외측에는 덮개판(280)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덮개판(280)은 주행중 또는 작업중 근처 작업자의 상해를 방지하는 한편, 흙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농작물 수확기(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동 프레임(200)의 상측에 지지 프레임(800)이 설치되며, 이 지지 프레임(800)의 상측에는 컨베이어 벨트(710)를 통해 가이드 프레임(300)의 후방으로 이송된 농작물을 수집하는 수집박스(900)가 설치된다.
지지 프레임(800)은 전체적으로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지며, 지지 프레임(800)의 상측에는 이송된 농작물을 지지 프레임(800)의 후방으로 밀어내는 정렬장치(810)가 구비된다. 이때, 정렬장치(810)의 전단부 일측이 가이드 프레임(300)의 후단에 힌지 결합되며, 지지 프레임(800)의 양측은 이동 프레임(200)의 후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베어링부재(270)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따라, 이동 프레임(200)에 대한 가이드 프레임(300)의 상하 방향 회동시, 지지 프레임(800)은 이동 프레임(200)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수집박스(900)는 양측에 수직하게 절개홀(911)이 형성된 함체 형태의 적재함(910)과, 절개홀(911)의 외측 상부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지지바(912)와, 적재함(910)을 가로질러 절개홀(911)을 통해 양단이 돌출되는 가이드바(920)와, 지지바(912)의 상단과 가이드바(920)의 일단에 양단이 결합되는 스프링부재(930)와, 가이드바(920)의 상측에 안착되어 적재함(910) 내부에 적재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재판(940, 도 7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베이어 벨트(710)를 통해 가이드 프레임(300)의 후방으로 이송된 농작물은 적재함(910)에 적재된 적재판(940)으로 떨어지며, 스프링부재(930)의 신장과 함께 적재판(940)은 그 위에 적재되는 농작물의 무게만큼 하강한다. 적재판(940) 위에 필요한 만큼 농작물이 적재되면 최상층의 적재판(940)을 분리하여 농작물을 별도의 수집함으로 옮겨 담을 수 있다. 이때, 분리된 적재판(940) 하층의 적재판(940)이 스프링부재(930)의 탄성력에 의해 적재위치로 상승하며, 전술한 과정이 되풀이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장치의 사시도이다.
정렬장치(810)는 지지 프레임(800)의 상측에 설치되며, 적재판(940)으로 떨어진 농작물을 후방으로 밀어서 정렬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정렬장치(8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800)의 상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정렬 브라켓(820)과, 정렬 브라켓(820)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회전바(830)와, 회전바(83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회전바(830)의 회전시 농작물을 적재판(940)의 후방으로 밀어내는 갈퀴부재(84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정렬 브라켓(820)은 지지 프레임(800)의 전단부 상측 중앙에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며, 정렬 브라켓(820)의 전단부 일측이 가이드 프레임(300) 후단의 수직 프레임(350) 일측에 힌지 결합된다. 정렬 브라켓(820)의 상단 양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는 한 쌍의 회전바(830)가 각각 결합된다. 회전바(830)는 전술한 이송모터(74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며, 이를 위해 한 쌍의 정렬 브라켓(82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포라켓(821)과 체인(822)이 설치되는데, 수직 프레임(350) 내부에 설치된 복수 개의 스포라켓(750) 중 어느 하나와 정렬 브라켓(820)에 설치된 복수 개의 스포라켓(821) 중 어느 하나가 체인(823)으로 연결되어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갈퀴부재(840)는 회전바(830)의 양단에 일단이 각각 결합되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결합부재(841)와, 정렬 브라켓(820) 일측의 결합부재(841)를 상호 연결하는 바(bar) 형상의 지지부재(842)를 포함한다. 이때, 지지부재(842)는 결합부재(841)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며, 회전바(830)의 회전시 정렬 브라켓(820)의 일측에서 타원궤도를 그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지지부재(842)의 외측면에는 지지부재(8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가로바(843)가 형성되는데, 이들 가로바(843)는 지지부재(842)의 외측 즉, 적재판(94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각각의 가로바(843)에는 가로바(84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세로바(844)가 수직 하향으로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바(830)의 회전시 가로바(843)와 함께 세로바(844)가 적재판(940)의 후방으로 일정 간격 이동하면서 농작물을 한 다발씩 적재판(940)의 후방으로 밀어내며, 이때 지지부재(842)의 길이와 가로바(843)의 개수 및 가로바(843)들 사이의 간격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갈퀴부재(840)에 의해 밀려나는 농작물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부재(842)의 길이가 길고 가로바(843)의 개수가 많을수록 적재판(940) 위에서 농작물이 더 멀리 밀려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굴곡진 지면 이동시 가이드 프레임의 회동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실린더에 의한 가이드 프레임의 회동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100)는 아래와 같이 작동된다.
먼저, 사용자는 발판(260)에 탑승한 상태에서 컨트롤 박스(222)의 스위치들을 조작하여 농작물 수확기(100)를 구동한다. 구동모터(230)의 작동에 의해 농작물 수확기(100)의 주행이 이루어지면, 조향핸들(220)을 조작하여 주행 방향을 조정하며, 이송모터(740)의 작동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710)와 정렬장치(810)가 작동한다.
조향핸들(220)을 조작하여, 이랑 또는 골에 심어진 농작물의 일 열이 한 쌍의 가이드부재(400) 사이로 들어오게끔 농작물 수확기(100)의 주행 방향을 조정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발판(260)에 올라선 상태로 높은 지점에서 농작물의 위치와 가이드부재(400)의 끝단 진행 방향을 함께 주시할 수 있으므로, 농작물 수확기(100)의 정확한 주행 방향을 쉽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작물 수확기(100)가 굴곡진 지면을 주행하더라도, 지면의 굴곡에 맞춰 가이드 프레임(300)이 이동 프레임(20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지면에 대한 예취날(510)의 높이를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농작물의 절단 높이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품질을 관리할 수 있다. 이때, 필요한 경우에는 예취날 높이조절장치(600)를 이용하여 예취날(510)의 절단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 쌍의 가이드부재(400) 사이로 들어온 농작물은 예취날(510)에 의해 절단되며, 동시에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710)에 잡혀서 가이드 프레임(300)의 후방으로 이송된다. 컨베이어 벨트(710)를 따라 가이드 프레임(300)의 후단 상부로 이송된 농작물은 수집박스(900)의 적재판(940) 위로 떨어지며, 갈퀴부재(840)에 의해 뒤쪽으로 밀려난다. 적재판(940) 위에 적당한 양의 농작물이 적재되면 적재판(940)과 함께 농작물을 별도의 수집함으로 옮겨 담을 수 있으며, 이때 아래층의 적재판(940)이 스프링부재(930)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여 낙하하는 농작물을 받게 된다.
농작물 수확기(100)를 다른 장소로 급히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실린더(390)를 작동하여 가이드 프레임(300)을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린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프레임(300) 전방의 보조휠(332)과 지면의 접촉없이 이동하게 되므로, 빠른 속도로 주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프레임(200)의 후방에 수집함 적재 프레임(1000)이 설치되고, 그 위에 복수 개의 수집함(10)을 적재하여 이동할 수 있다.
예취날(510)에 의해 절단된 농작물은 컨베이어 벨트(710)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어 수집박스(900)의 적재판(940) 위로 떨어지고, 갈퀴부재(840)에 의해 적재판(940) 후단으로 밀려서 쌓인다. 적재판(940)에 적당한 양의 농작물이 쌓이면 적재판(940)과 함께 농작물을 별도의 수집함(10)으로 옮겨 담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의할 경우 농작물 수확기(100)가 후방에 수집함(10)을 적재한 상태로 이동하므로, 수집함(10)을 가져오기 위해 수확 작업 중 농작물 수확기(100)를 멈춰 세우거나, 농작물이 쌓인 적재판(940)을 들고 작업자가 수집함(10)이 있는 쪽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게 된다.
수집함 적재 프레임(1000)은 이동 프레임(200)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 프레임(1100)과, 연장 프레임(1100)의 후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안착 프레임(1200)을 포함한다. 수집함 적재 프레임(100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1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프레임(1100)에 대하여 안착 프레임(1200)을 수직하게 세워서 이동할 수 있으며, 수집함(10) 적재시에는 도 12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프레임(1100)과 평행하게 안착 프레임(1200)을 눕히고 그 위에 복수 개의 수집함(10)을 겹쳐 쌓을 수 있다.
여기서 안착 프레임(1200)은, 연장 프레임(1100)의 후단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전방 프레임(1300)과, 전방 프레임(1300)의 중앙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안착바(1400)와, 안착바(1400)의 후단 상측에 결합되는 후방 프레임(1500)과, 안착바(1400)를 사이에 두고 전방 프레임(1300)과 후방 프레임(150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측방 프레임(1600)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전방 프레임(1300)은 연장 프레임(1100)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결합바(1310)와, 결합바(1310)의 저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힌지핀에 의해 연장 프레임(1100)의 후단 양측에 타측이 각각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 브라켓(1320)과, 결합바(1310)의 저면과 결합 브라켓(1320)의 외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보강블록(1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합바(1310)는 'ㄴ'자 단면 형태로서 안착바(1400)의 전단이 후단 중앙에 결합되는 수평부(1311)와, 수평부(1311)의 전단에서 수직하게 상향 절곡되는 수직부(1312)를 포함한다. 또한, 힌지핀은 한 쌍의 결합 브라켓(1320)과 연장 프레임(1100)을 관통하는 스크류볼트(134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크류볼트(1340)의 일측에는 안착 프레임(1200)의 고정을 위해 너트(135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안착 프레임(1200)을 하향 회동하여 눕히면, 결합바(1310)의 저면이 연장 프레임(1100)의 상측에 지지되고, 안착바(1400)의 전단이 연장 프레임(1100)의 후단에 지지되어, 연장 프레임(1100)은 더 이상 하향 회동하지 못하고 연장 프레임(1100)에 대하여 평행하게 누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측방 프레임(1600)의 후단은 후방 프레임(1500)의 전단에 결합되며, 측방 프레임(1600)의 전단은 하향 절곡되어 전방 프레임(1300)의 상측에 결합된다.
즉, 안착바(1400) 양측의 측방 프레임(1600)과 안착바(1400) 후방의 후방 프레임(1500)은 안착바(1400)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농작물 수확기(100)의 이동시 안착바(1400) 위에 적재된 수집함(10)의 유동에 따른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안착바(1400)에 적재된 수집함(10)의 전방 이탈은 결합바(1310)의 수직부(1312)에 의해 방지되고, 측방 이탈은 측방 프레임(1600)에 의해 방지되며, 후방 이탈은 후방 프레임(1500)에 의해 방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농작물 수확기 200 : 이동 프레임
220 : 조향핸들 260 : 발판
300 : 가이드 프레임 383 : 힌지축
390 : 리프트 실린더 400 : 가이드부재
420 : 미끄럼부 500 : 절단장치
510 : 예취날 600 : 예취날 높이조절장치
700 : 이송장치 710 : 컨베이어 벨트
800 : 지지 프레임 810 : 정렬장치
840 : 갈퀴부재 900 : 수집박스
1000 : 수집함 적재 프레임

Claims (14)

  1. 하부에 차륜이 설치되고 상부에는 조향핸들이 설치되는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며, 농작물을 모아서 세워주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농작물의 절단을 위한 예취날을 갖는 절단장치와, 절단된 농작물의 이송을 위한 이송장치가 구비되는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프레임이 상기 이동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주행시 지면의 굴곡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이 상기 이동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는 힌지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하 방향 회동에 따라 상기 이동 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농작물을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방으로 밀어내는 정렬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정렬장치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전단부 일측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후단에 힌지 결합되는 정렬 브라켓과, 상기 정렬 브라켓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이송장치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의 양단에 일측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회전바의 회전시 상기 농작물을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방으로 밀어내는 갈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 사이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리프트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예취날의 높이를 조절하는 예취날 높이조절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1 가로 프레임과, 상기 제1 가로 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수직하게 형성되는 세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의 상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외곽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외곽 프레임 사이에 상기 외곽 프레임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중간 프레임과, 상기 중간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절단장치와 상기 예취날 높이조절장치를 지지하며 상기 외곽 프레임에 후단 양측이 힌지 결합되는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예취날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중간 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중간프레임과 상기 지지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보조 프레임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바와, 상기 높이조절바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에 지지되며 상기 높이조절바의 상단 높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전단부 저면에 미끄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부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전단부 저면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단에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전단을 감싸도록 상향 만곡지게 형성되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집함이 적재되는 수집함 적재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수집함 적재 프레임은, 상기 이동 프레임의 후단 일측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 프레임과, 상기 연장 프레임의 후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수집함이 안착되는 안착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안착 프레임은, 상기 연장 프레임의 후단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전방 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되는 안착바와, 상기 안착바의 후단 상측에 결합되는 후방 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후방 프레임의 전단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전방 프레임의 양측 상단에 하향 절곡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측방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KR1020190025158A 2019-03-05 2019-03-05 농작물 수확기 KR20190143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158A KR20190143346A (ko) 2019-03-05 2019-03-05 농작물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158A KR20190143346A (ko) 2019-03-05 2019-03-05 농작물 수확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162A Division KR101969465B1 (ko) 2018-06-19 2018-06-19 농작물 수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346A true KR20190143346A (ko) 2019-12-30

Family

ID=69103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158A KR20190143346A (ko) 2019-03-05 2019-03-05 농작물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433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571A (ko) * 2021-09-27 2023-04-04 주식회사 태광공업 탑승수단을 갖는 보행용 동력 제초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571A (ko) * 2021-09-27 2023-04-04 주식회사 태광공업 탑승수단을 갖는 보행용 동력 제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3168B2 (en) Conveyor feeder house chain slat
EP0343880A1 (en) Apparatus for harvesting berries on low plants
US200901654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rvesting Standing Vegetable Crops
GB2033715A (en) Row crop attachment
CA2717245C (en) Mechanized harvester
BR102019008401A2 (pt) Espigadeira de cultivo em fileira e divisor de cultivo para uma máquina agrícola, e, combinada
KR100818251B1 (ko) 농작물용 줄기 제거 장치
KR20190143346A (ko) 농작물 수확기
CN113853111A (zh) 用于组装农业机器的结构底盘和收割机
CN113853936B (zh) 一种可有序集菜的水培生菜整板式收获机
KR102218754B1 (ko) 마늘줄기 절단장치
CA1249727A (en) Blueberry harvester
US4215527A (en) Multi-row crop header with feed assist roller
KR20200027610A (ko) 다목적 작업기
US3992860A (en) Towed tobacco harvester
US5709071A (en) Chili harvester with adjustable spiral picker units
KR101969465B1 (ko) 농작물 수확기
CN106961919B (zh) 一种叶菜类植株收割机
US20230284559A1 (en) Independent Front Platform for Agricultural Machines and Agricultural Harvester
RU2700880C2 (ru) Подборщик продуктов урожая и машина для сбора урожая
KR20150119569A (ko) 뿌리 수확을 위한 줄기 제거장치
US2313670A (en) Pickup attachment for harvesting implements
MXGT05000009A (es) Maquina cosechadora de hortalizas con deposito y sistema de descarga.
US7559188B2 (en) Harvester rollers with fingers and lifting and conveyor mechanisms
KR101560533B1 (ko) 수확 및 정렬 자동 부추 수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