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3226A - Manufacturing method of pupping snack with grains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pupping snack with grai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3226A
KR20190143226A KR1020180070907A KR20180070907A KR20190143226A KR 20190143226 A KR20190143226 A KR 20190143226A KR 1020180070907 A KR1020180070907 A KR 1020180070907A KR 20180070907 A KR20180070907 A KR 20180070907A KR 20190143226 A KR20190143226 A KR 20190143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s
grain
rice
pressure
puff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9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11064B1 (en
Inventor
이진영
신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인스
Priority to KR1020180070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064B1/en
Publication of KR20190143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32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0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23L7/174Preparation of puffed cereals from wholegrain or grain pieces without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 A23L7/178Preparation of puffed cereals from wholegrain or grain pieces without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by pressure release with o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30Puffing or expanding
    • A23P30/32Puffing or expanding by pressure release, e.g. explosion puffing; by vacuum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rain Derivative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raw material for puffing including a washing proces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puffing snack by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uffing grain produc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safe product by removing a harmful element for soil-derived microorganisms which can be generated in a process of storing, manufacturing, distributing and storing grains, and removing 90% or more of residual agricultural chemicals remaining on an outer surface at 99% or more, thereby not only securing safety compared to another product, but also providing convenience, increasing product production efficiency, and particularly, enabling a puffing grain product to have a unique texture of grains without adding separate saccharides, salts and food additives by having unique flavor and taste of grains.

Description

퍼핑 곡물 제품의 제조 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pupping snack with grains}Manufacturing method of puffing grain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of pupping snack with grains}

본 발명은 세척 공정을 포함한 퍼핑용 원료의 제조 공정 및 이를 이용한 퍼핑 스낵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producing a raw material for puffing including a washing process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puffed snack using the same.

식품의 메가트랜드에서도 나타나듯이 편의성을 지니고 있는 raw material에서 ready-to-eat까지 연계가 가능한 상품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프리미엄 유망 품목임과 동시에 유기농, 친환경으로의 전환이 손쉽고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인증까지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곡물 가공품을 개발하는 것은 FTA 이후 무너진 국내 농산물의 생존을 위해 국내산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혀 농가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mega trend of food, there is a need to develop products that can be connected from ready-to-eat raw materials with convenience.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of grain processed products that can be easily converted to organic and eco-friendly and functional functional foods as well as premium promising items, can add value of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to survive the collapse of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after the FTA. It can contribute to raising the income of farms.

한편,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안전성 강화 공정이 필요하고, 특히, 분말과 배합, 성형을 통해 주원료, 부원료 및 첨가물로 구성되어 있어서 원료의 형태가 나타나지 않는 제품에 대한 소비자 불신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곡물 원형이 그대로 보여서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신뢰도를 증가시킨 제품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영유아 및 어린이 제품에 설탕과 소금을 사용하지 않고, 무첨가 제품이면서도 고소한 곡물 고유의 풍미를 강화시킬 수 있는 제품에 대한 소비자 욕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need for a safety enhancement process that satisfies consumers, and in particular, in a situation where consumer distrust of products that do not appear in the form of raw materials is increased because it is composed of main ingredients, subsidiary materials and additives through powder, blending and molding, There is a need for a product that has been shown to be intact and has increased safety and reliability. In particular, there is a continuous increase in consumer desire for a product that does not use sugar and salt in infants and children's products, and which can enhance the inherent flavor of grain without additives.

그러나, 퍼핑 공정을 거쳐서 제조하는 곡물 스낵의 경우, 별도의 세척 공정을 거치지 않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기존의 곡물 제품은 대부분 인조미를 사용하거나, 인조미가 아닌 쌀이나 곡물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곡물을 분쇄하여 가루화한 후 재성형해서 인조미처럼 건조 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국내 일부 개발 제품도 통곡물을 사용하나 이 경우 곡물 고유의 거친 식감이 문제가 되고, 또한 곡물 내부까지 제대로 퍼핑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심지가 남아 있는 듯한 딱딱한 식감과 약간의 질긴 식감도 남아있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grain snacks prepared through a puffing process have a problem of not undergoing a separate washing process. In addition, most of the existing grain products, even when using artificial rice, or non-artificial rice or grain as it is mostly used after crushing and crushing the powder and remolded to dry like artificial rice. In addition, some domestically developed products also use whole grains, but in this case, the grain's own coarse texture becomes a problem, and there is also a hard texture and a bit of tough texture that remain as the wick remains due to poor puffing. There is.

또한, 찹쌀을 결착제 및 점착제로 사용하는 것은 기존 제품은 찹쌀이 갖고 있는 끈적끈적한 찰기 (stichyness)로 인하여 몰드에 늘러붙어서 제대로 제조하는 것이 어려웠다. 특히, 통곡물은 원료간의 결착력이 중요하나, 찹쌀을 사용한 제품이 전무한 것은 몰드와 원료간의 점착성에 의하여 제조 과정 중 탄화가 심화되고 늘러붙은 탄화물에 의해 생산이 어려웠다.In addition, the use of glutinous rice as a binder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was difficult to manufacture properly by sticking to the mold due to the sticky stickiness (sticky stickiness) of the existing product. In particular, whole grains are important for binding between raw materials, but none of the products using glutinous rice has been difficult to produce due to increased carbonization and increased carbid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due to the adhesion between mold and raw materials.

이에, 통곡물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곡물 고유의 질감과 식품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식품 첨가물이 없는 곡물 제품(gluten free) 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while using the whole grains as it is, not only can improve the texture of the grain and the stability of food, but also the situation that requires the development of a grain product (gluten free) without a separate food additive.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as described above,

일 양상은 저장, 제조, 유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곡물의 외표면에 붙어 있는 토양 유래 미생물과 잔류 농약 및 외부 표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병해충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곡물 원료를 세척한 후, 퍼핑 공정을 수행하여, 미생물의 번식에 안전하고 곡물 고유의 풍미가 손실되지 않는 퍼핑 곡물 제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One aspect is to purge grain raw materials, including the removal of soil-derived microorganism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grains, pesticides and pests that may occur on the outer surface during storage,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puffed grain product which is safe for propagation of microorganisms and does not lose the inherent flavor of the grain.

또 다른 양상은 주원료, 결착제, 및 부원료로서 통곡물을 사용하고, 별도의 첨가물을 사용하지 않기 위해, 세척 공정을 거쳐 결착제 중 하나로서 찹쌀 외표면에 남아있는 점성을 띠는 이물질을 세척 공정을 통하여 제거하여 점성을 곡물 안쪽에는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겉표면에 늘러붙은 것을 최대한 제거하여 세척 찹쌀을 결착 및 접착력을 갖는 곡물로 사용하는 퍼핑 곡물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Another aspect is to wash the viscous foreign matter remain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lutinous rice as one of the binders through a washing process in order to use whole grains as a main raw material, a binder, and a subsidiary material, and to avoid using a separate additi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uffed grain product using the washed glutinous rice as a grain having a binding and adhesive force by removing as much as possible from the outer surface while maintaining the viscosity inside the grain by removing it through.

또 다른 양상은 인조미를 사용하지 않아, 원료 -> 분쇄 -> 배합 -> 성형 -> 건조 -> 퍼핑 -> 포장으로 이루어지는 7 단계 공정을, 세척 원료 제조 공정 기술 개발을 통해 안전성이 있으면서 간소화된 퍼핑 곡물 제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aspect is that it does not use artificial rice, and it is a safe and simplified puffing process through the development of cleaning raw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 with a seven-step process consisting of raw material-> grinding-> blending-> molding-> drying-> puffing-> packaging. It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grain product.

또 다른 양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퍼핑 곡물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 puffed grain product produced by the method.

일 양상은 곡물을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곡물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곡물의 수분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수분 조절된 곡물을 퍼핑하는 단계; 상기 퍼핑된 곡물을 가공하는 단계; 또는 상기 가공된 곡물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퍼핑 곡물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One aspect includes washing grains; Drying the washed grains; Adjusting the moisture of the dried grains; Puffing the moisture controlled grain; Processing the puffed grain; Or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puffed grain product comprising the step of packaging the processed grain.

상기 곡물은, 주원료, 및 결착제; 또는 주원료, 결착제, 및 부원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원료로서, 곡물의 예는 백미류, 미곡류, 두태류, 맥류, 조류, 잡곡류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고, 상세하게는, 쌀, 백미, 현미, 흑미, 옥수수, 밀, 보리, 조, 수수, 기장, 귀리, 라이밀, 메밀, 포니오, 퀴노아, 서리태, 백태, 약콩, 팥, 또는 녹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착제로서, 점성을 갖는 미곡류의 예는, 찹쌀, 찰현미, 찰흑미,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원료로서, 영양곡의 예는 옥수수, 밀, 보리, 조, 수수, 기장, 귀리, 라이밀, 메밀, 포니오, 퀴노아, 서리태, 백태, 약콩, 팥, 또는 녹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물은 통곡물(whole grain)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통곡물은 곡물을 분쇄하거나, 잘게 쪼개거나, 분쇄 후 다시 성형하거나 하는 등 곡물을 가공한 것이 아닌 그대로의 곡물을 의미할 수 있다. The grain, main raw material, and a binder; Or main raw materials, binders, and minor raw materials. As the main raw material, examples of cereals may include white rice, rice grains, soybean meal, wheat flour, algae, grains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in particular, rice, white rice, brown rice, black rice, corn, wheat, barley, crude , Sorghum, millet, oats, rye, buckwheat, pony, quinoa, frosted, white, white beans, red beans, red beans, or green beans. In addition, examples of the rice flour having viscosity as the binder may include glutinous rice, waxy brown rice, waxy black rice, or a combination thereof. As the side ingredients, examples of nutritional grains may include corn, wheat, barley, crude, sorghum, millet, oats, lymil, buckwheat, pony, quinoa, frosted, white pollen, medicinal beans, red beans, or green beans. The grain may be whole grain. As used herein, the term whole grains may refer to grains as they are not processed, such as grinding grains, crushing, or shaping after grinding.

상기 퍼핑 곡물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퍼핑 곡물 제품은 인조미를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퍼핑 곡물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퍼핑 곡물 제품은 추가적인 당류, 염류, 또는 식품 첨가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당류, 염류, 또는 식품 첨가물은 보존성 향상, 품질유지 또는 향상, 조직감 부여 및 유지, 맛, 색상, 또는 향 향상 등을 위해 식품에 식품 본연의 특성 이외에 인위적인 특성을 부여할 목적을 갖고 첨가되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당류, 염류 또는 식품 첨가물의 예시에는, 후술될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퍼핑 곡물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첨가되는 건조 식품, 코팅 원료, 또는 시즈닝 원료는 제외된다.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puffed grain product, and the puffed grain product may be one containing no artificial flavor. In addition, the method of making the puffed grain product, and the puffed grain product may be free of additional sugars, salts, or food additives. The sugars, salts, or food additives are substances added for the purpose of imparting artificial properties to foods in addition to the natural properties of foods for improving preservation, maintaining or improving quality, providing and maintaining texture, improving taste, color, or flavor. It may mean. Examples of the sugars, salts or food additives exclude dry foods, coating raw materials, or seasoning raw materials which are added to the method of making the puffed grain products disclosed herein as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퍼핑 곡물 제품은, 주원료로서 곡물을 70 내지 95 중량%; 결착제로서 미곡류를 5 내지 20중량%; 및/또는 부원료로서 영양곡을 2 내지 10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The puffed grain product comprises 70 to 95% by weight of grain as the main raw material; 5 to 20% by weight of cereals as a binder; And / or 2 to 10% by weight of nutritious grains as an auxiliary ingredient.

상기 세척하는 단계는, 주원료로서 곡물, 결착제로서 점성을 갖는 미곡류, 또는 부원료로서 영양곡을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은 수침 후 건조 공정을 거치는 일반적인 세척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은 곡물 외표면의 토양 유래 미생물과 잔류 농약 및 외부 표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병해충을 제거하기 위하여 스팀 분사 후 이물질과 곡물 외표면에 남아있는 미강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약 80 내지 300℃ 의 습기를 포함하고 있는 스팀 에어를 곡물에 분사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곡물 외표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미강에 수분을 공급하여 곡물 입자와 층 분리가 일어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후에, 일정한 압력 (0.005 내지 0.3atm)을 가하여 곡물 외표면의 이물질만을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이 때 남아있는 잔여 미강과 이물질을 이송기와 풍구기를 사용하여 잔여 수분과 이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곡물 내표면의 품온은 80 내지 160℃, 90 내지 140℃, 90 내지 120℃, 또는 90 내지 105℃일 수 있다. 곡물 내표면의 품온이 160℃를 넘는 경우, 곡물 내부의 전분질 물질이 밖으로 용출되어 퍼핑 공정을 거친 후 제품의 풍미와 질감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인체에 해로운 벤조피렌을 생성할 수 있다. 세척 곡물을 이송하고 풍구를 거치는 공정은 잔여 미분과, 과피 안쪽에 존재할 수 있는 병해충의 알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잔류 농약을 최대한 제거하여 외부 표면에 의해 오염이 가능한 미생물과 병해충 및 잔류 농약을 제거하는 공정이다.The washing step includes washing grains as a main raw material, rice grains having a viscosity as a binder, or nutritious grains as a side feed. The washing may include a general washing step of going through a drying process after immersion. In addition, the washing may include removing foreign substances and rice bran remain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ain after steam injection in order to remove soil-derived microorganisms and residual pesticides and pests that may occu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grain. Specifically, it may be to spray the steam air containing moisture of about 80 to 300 ℃ to the grain. In this way,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grains can be removed, and moisture can be supplied to the rice bran so that grain separation can occur with the grains. Thereafter, by applying a constant pressure (0.005 to 0.3 atm) to remove only the foreign matt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ain by suction, at this time to remove the remaining moisture and foreign matter by using a conveyor and a blower to the remaining rice bran and foreign matter It may further include.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of the grain may be 80 to 160 ℃, 90 to 140 ℃, 90 to 120 ℃, or 90 to 105 ℃. If the grain temperature of the surface of the grain exceeds 160 ℃, the starch material inside the grain may be eluted out, after the puffing process may reduce the flavor and texture of the product, it may produce benzopyrene harmful to the human body. The process of transporting the washed grain and passing through the tuyere removes the remaining fines, foreign substances such as eggs of pests that may exist inside the skin, and removes pesticides as much as possible to remove microorganisms, pests and residual pesticides that may be contaminated by the external surface. It is a process of removal.

상기 건조하는 단계는, 30 내지 100℃, 또는 30 내지 80 ℃의 온도에서 수행되거나,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일 수 있다. 상기 건조 온도가 100℃를 넘을 경우, 곡물 외표면의 크랙이 심해지면서 곡물 내부의 전분질을 포함한 영양 성분의 손실을 가져오거나, 곡물의 갈변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원료로써의 상품성을 떨어질 수 있다. 상기 건조 시간은 1시간 내지 20시간, 2시간 내지 18시간, 또는 4시간 내지 10시간일 수 있다. 원료의 품질의 측면에서, 상기 건조는 낮은 온도에서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는 간접열의 송풍 방식으로 곡물 외표면에 열원이 직접적으로 닿지 않게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The drying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30 to 100 ° C., or 30 to 80 ° C., or preferably 40 to 60 ° C. When the drying temperature exceeds 100 ℃, the crack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ains are severe, resulting in the loss of nutritional components, including starch in the grains, or the browning of the grains can be rapidly progressed to reduce the commerciality as raw materials. The drying time may be 1 hour to 20 hours, 2 hours to 18 hours, or 4 hours to 10 hours. In terms of the quality of the raw materials, it may be desirable for the drying to be carried out for a relatively long time at low temperatures. In addition, the drying may be performed so that the heat source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grain by the indirect heat blowing method.

건조된 곡물의 수분을 조절하는 단계는 곡물의 수분 함량을 5 내지 18%로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세척 후 곡물의 수분 함량이 저하되어 퍼핑 공정에 따른 결착력이 결여되면 제품의 질감이 저하되고, 부서짐성 (brittleness)이 높아져서 제품의 성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성형 후에도 저장에 따른 안전성이 떨어지고 제품이 부서져서 상품화가 어려워지는 단점을 가질 수 있다. Adjusting the moisture of the dried grain may be to adjus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grain to 5 to 18%. If the moisture content of the grains is reduced after washing, and thus the binding force is insufficient due to the puffing process, the texture of the product may be degraded, and brittleness may be increased, thereby preventing the molding of the product. In addition, it may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 safety of storage after molding and the product is broken and difficult to commercialize.

바람직한 곡물의 수분은 일반적인 도정 공정을 거쳐서 농산물로 판매되는 미곡류의 경우 수분이 12~14%이나, 퍼핑 공정을 위한 수분 함량은 이보다 높은 범위 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세척 공정을 거친 곡물의 경우 수분 함량은 5 내지 18% 범위로 곡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두류 (백태, 서리태, 약콩, 강낭콩, 팥 등)의 경우 보다 낮은 수분 함량을 가질 수 있고, 맥류 (쌀보리, 찰보리, 귀리 등)의 경우 세척 전 곡물보다 높은 수분 함량을 갖는 것이 퍼핑 공정에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미곡류의 경우,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구매되는 백미의 경우 수분 함량이 12 내지 13%이나, 일 구체예에 따른 세척 공정 및 건조 공정을 거친 미곡의 경우 이보다 낮은 수분 함량을 가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퍼핑 공정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10 내지 16% 이내의 수분 함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수분 함량의 조절은 곡물 내부까지 수분이 침투하여 수분이 골고루 정치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할 수 있다. 수분을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상온 또는 미온 (20~60℃)에서 곡물 외표면이 골고루 가습될 수 있도록 조절하면서 수분을 공급하면서 정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분을 공급할 때 낮은 온도의 수증기 또는 상온의 가습을 포함하는 수증기로 곡물 표면에 미세 입자의 형태로 공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분을 공급하는 시간은 1~12시간 이내로 곡물의 종류와 입자의 크기, 곡물이 갖고 있는 경도 및 퍼핑 공정을 거쳐서 만들려고 하는 퍼핑 제품의 크기와 두께에 따라서도 다르게 된다. 이렇게 수분을 조절한 원료는 상온보다는 냉장 온도 (15℃ 내지 0℃)에서 보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referred grain moisture is 12-14% for rice grains sold as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a general milling process, but the water content for the puffing process may be in a higher range. In the case of grains subjected to a washing proces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oisture content may be differently applied depending on the type of grain in a range of 5 to 18%. For soybeans (white, frosted, medicinal beans, kidney beans, red beans, etc.) it may have a lower moisture content, and for the varieties (rice barley, green barley, oats, etc.) it is more desirable for the puffing process to have a higher water content than the grains before washing. can do. Particularly, in the case of rice grains, a commercially available white rice has a water content of 12 to 13%, but in the case of rice grains which have undergone a washing process and a drying proces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ost of them have a lower moisture content. It may be desirable to have a moisture content within 10-16% in order for the puffing process to take place properly. Control of the moisture content may require time for the moisture to penetrate into the grain and allow the moisture to evenly settle. In the step of controlling moisture, it is preferable to settle while supplying moisture while controlling the outer surface of the grain to be evenly humidified at room temperature or lukewarm temperature (20-60 ° C.), and more preferably at a low temperature when supplying moisture. It is more preferable to supply in the form of fine particles to the grain surface with water vapor containing steam or humidification at room temperature. The time for hydration is less than 1 to 12 hours, depending on the type of grain and the size of the grain, the hardness of the grain, and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puffed product to be made through the puffing process. Thus, the moisture-controlled raw material is more preferably stored at a refrigeration temperature (15 ℃ to 0 ℃) rather than room temperature.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곡물을 혼합하여 퍼핑하기 전에, 곡물에 건조 식품을 추가적으로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 식품의 예는, 버섯, 야채, 김, 멸치, 초콜렛 등과 같은 후리가케 원료,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건조 믹스 제품, 과일 건조물, 야채 건조물, 김 등과 같은 건조 해조류, 라면 스프를 포함하는 시즈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물의 퍼핑 공정은 원료 곡물의 수분 함량, 퍼핑에 적합한 곡물의 투입량, 투입된 곡물을 퍼핑시키기 위한 온도, 압력, 시간 등 다양한 요소의 복합적인 공정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method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additionally including the dry food in the grain, before mixing and puffing the grain. Examples of the dried foods include furikake raw materials such as mushrooms, vegetables, seaweed, anchovies, chocolate, etc., or dry mix products containing them, dried seaweeds such as fruit dried, vegetable dried, laver, and the like, seasonings including ramen soup, and the like. can do. The grain puffing process may be performed through a complex process of various factors such as moisture content of the raw grain, the amount of grain suitable for puffing, temperature, pressure, and time for puffing the grain.

일반적인 퍼핑 공정과 달리, 일 구체예에 따른 세척 공정을 통한 세척 곡물을 사용하여 수분을 조절한 후 수행되는 퍼핑 공정은 퍼핑 공정 이후 부서짐성이 가장 중요한 질감의 지표가 될 수 있으므로, 부서짐성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또한, 세척 곡물을 사용하여 퍼핑하는 경우, 곡물 고유의 맛과 향이 풍부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염류나 당류, 식품첨가물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다양한 맛과 향을 낼 수 있다. 또한, 본 세척 공정을 거쳐서 제조하는 퍼핑 곡물의 경우 곡물의 입자 크기, 강도, 수분함량이 다른 곡물도 혼합하여 퍼핑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세척 곡물에 적합한 퍼핑 공정 중 퍼핑 온도는 200 내지 270℃일 수 있다. 온도가 낮을 경우 곡물 내부까지 단시간안에 빠르게 호화되지 않아 심지가 남아 있는 듯한 식감을 주며, 곡물이 빠르게 부서지게 된다. 270℃가 넘게 되면 곡물의 탄화가 빠르게 일어나고 카라멜화(caramelization)가 빠르게 나타나서 퍼핑 공정 중 어두운 갈색을 나타내며, 저장 과정 중 급격하게 색상이 변하게 되므로 제품화에 따른 어려움을 나타낼 수 있다. 퍼핑 시간은 곡물의 경도에 따라서, 상이할 수 있으며, 곡물 입자의 크기와도 매우 밀접한 관계를 나타낸다. 세척 곡물은 곡물의 크기가 크고 단단한 두류, 맥류 등도 세척 공정을 거쳐서 일부 외표면의 호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미곡류와 같이 혼합하여 퍼핑이 가능할 수 있고, 이렇게 퍼핑되는 과정에서 보다 부드러운 식감을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초 이내로 퍼핑하는 것이 곡물이 부드럽고, 영유아의 경우 침에 의해서 녹아서 목에 걸리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곡물 퍼핑 제품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 퍼핑에 따른 압력은 곡물의 크기, 종류, 시간과도 매우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며, 이 때 압력의 양은 1.0 내지 5.0 atm일 수 있고, 곡물의 강도와 퍼핑 크기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곡물 퍼핑 장치를 통한 곡물에 압력을 가하는 방식에 있어서, 압력을 가하는 방식은 세 가지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세 가지 방식은, 압력을 가한 후, 상기 가한 압력의 제거를 한번에 수행하는 일방향 방식, 압력을 가한 후, 상기 가한 압력의 제거를 복수의 횟수, 예를 들면, 적어도 2회 이상, 적어도 3회 이상, 적어도 5회 이상 나누어서 수행하는 이방향 방식, 압력을 가한 후, 상기 가한 압력의 제거를 한번에 수행하고, 다시 압력을 가한 후, 상기 다시 가한 압력의 제거를 한번에 수행하는 이단계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세가지 방식은, 퍼핑 장치의 버튼을 눌러 작동시켜 최대로 압력을 가하고, 버튼을 한번에 해제하여 작동을 중지시키는 일방향 방식, 퍼핑 장치의 버튼을 눌러 작동시켜 최대로 압력을 가하고, 버튼을 해제하여 작동을 중지시키는데 있어서, 적어도 2회 이상으로 나누어서 퍼핑 장치의 버튼의 해제(예를 들면, 전체 압력을 가하는 높이를 기준으로 반반 나누어서 버튼의 작동을 해제하거나 또는 3.3:3.3:3.3 등으로 세번을 나누어서 해제하거나, 또는 3:7 등의 임의의 비율로 버튼을 해제하는 것을 포함한다.)하는 일방향 방식, 퍼핑 장치의 버튼을 눌러 작동시켜 최대로 압력을 가하고, 버튼을 한번에 해제하여 작동을 중지시키고, 다시 버튼을 눌러 작동시켜 최대로 압력을 가하고, 버턴을 한번에 해제하는 것을 반복하는 이단계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Unlike the general puffing process, the puffing process performed after controlling the moisture by using the washing grains through the washing proces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the index of the most important texture after the puffing process, thereby minimizing brittleness. It can be important. In addition, when puffed using the washing grains, since the intrinsic taste and aroma can be maintained in abundance, it can produce various flavors and aromas compared to using separate salts, sugars, or food additives.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uffed grains manufactured through the present washing process, it may be possible to mix and puff grains having different grain sizes, strengths, and moisture contents. The puffing temperature during the puffing process suitable for washing grains may be between 200 and 270 ° C. When the temperature is low, the grains inside the grains are not quickly gelatinized, giving the texture that the wick remains, and the grains break down quickly. When the temperature exceeds 270 ° C, carbonization of grains occurs rapidly and caramelization occurs quickly, resulting in dark brown color during the puffing process, and color change rapidly during the storage process, which may indicate difficulties in commercialization. The puffing time may vary depending on the hardness of the grains and is very close to the size of the grain particles. Washing grains may be puffed by mixing with grains because the grain size is large and hard soybeans, sorghum, etc. may undergo gelatiniza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grains, and may exhibit a softer texture during the puffing process. Preferably, the puffing within 4 to 20 seconds, the grain is soft, in the case of infants may be able to produce a grain puffing product that can suppress the phenomenon of neck dissolution by saliva. The pressure according to the puffing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size, type, and time of the grain, and the amount of pressure may be 1.0 to 5.0 atm,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strength and the size of the puff. In addition, in the method of applying pressure to the grain through the grain puffing device, the method of applying pressure may be performed in three ways. The three methods are a one-way method of performing the removal of the applied pressure at one time after applying the pressure, and removing the applied pressure after applying the pressure a plurality of times, for example, at least two times or at least three times. The two-way method may be performed by dividing at least five times or more, and after applying pressure, performing the removal of the applied pressure at once, applying the pressure again, and performing the removal of the applied pressure at once. Can be. For example, the three methods, press the button of the puffing device to actuate the maximum pressure, one-way method to release the button at once to stop the operation, press the button of the puffing device to actuate the maximum pressure, the button In order to stop the operation by releasing the function, release the button of the puffing device by dividing it at least two times (for example, by halving the button by half based on the height of the total pressure, or 3.3: 3.3: 3.3, etc.). Or release the button in any ratio, such as 3: 7, etc.), by pressing the button on the puffing device to apply maximum pressure and release the button at once Stop, press the button again to apply maximum pressure, and release the button all at once. Can be.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주원료로서 곡물이 백미인 경우, 일방향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주원료로서 곡물이 현미인 경우, 이방향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주원료로서 곡물이 백미와 현미의 혼합인 경우, 수분 함량을 증가시켜 보다 부드럽게 제조하기 위해서는 일방향 방식으로, 고소한 식감을 보다 강조하기 위해서는 이방향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고, 부원료로서 영양곡이 포함된 경우, 이단계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Further, for example, when the grain is white rice as the main raw material, it may be carried out in a one-way manner, when the grain is brown rice as the main raw material, it may be carried out in a two-way manner, the grain as white rice and brown rice as the main raw material In the case of mixing, it can be carried out in a one-way way to increase the moisture content to produce more smoothly, in a two-way way to more emphasize the savory texture, and when a nutrient grain is included as a side ingredient, it can be performed in a two-step way have.

상기 퍼핑 곡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제조된 퍼핑 곡물 제품을 가공하는 단계; 또는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퍼핑된 곡물을 가공하는 단계는 퍼핑된 곡물 가공 제품을 그대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퍼핑 곡물 제품을 가공하는 단계는 제조된 퍼핑 가공 제품 외표면에 코팅 원료 또는 시즈닝을 처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원료 또는 시즈닝의 예는 상기한 바와 같은 건조식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포장하는 단계는 탈산제를 포함하여 포장하는 것일 수 있다. 세척된 원료를 사용하는 곡물 가공 제품의 경우, 세척 공정에서 수분이 침투하고 다시 건조 공정을 거치고 재수분화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다양한 곡물 조직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고, 별도의 유통기한 연장을 위한 처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탈산제를 포함하여 포장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때 탈산제는 산소제거 및 방습 효과를 함께 나타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method for producing puffed grains comprises the steps of processing the prepared puffed grain product; Or it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packaging. Processing the puffed grains includes allowing the puffed grain processed product to be consumed as is. The step of processing the puffed grain product may include treating the coating material or seasoning on the manufactured outer surface of the puff processed product. Examples of the coating material or seasoning may include a dry food as described above. The packaging may be to include a deoxidizer. In the case of grain processed products using the washed raw materials, various grain tissue changes may occur due to the infiltration of moisture in the washing process, drying and rehydration, and the treatment for extending the shelf life separately. Since it does not, it is more preferable to package including a deoxidizer. At this time, the deoxidizer is more preferable to exhibit both the oxygen removal and moisture-proof effect.

또 다른 양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퍼핑 곡물 제품을 제공한다. Another aspect provides a puffed grain product produced by the method.

퍼핑 곡물 제품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다. Puffed grain products are as described above.

일 양상에 따른 퍼핑 곡물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하면, 곡물의 저장, 제조, 유통 및 보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토양 유래 미생물에 대한 위해 요소를 제거하고, 외표면에 99% 이상 잔존하는 잔류 농약을 90% 이상 제거하여 안전한 제품을 만들 수 있어, 다른 제품에 비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이성을 부여하며, 제품 생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특히 곡물 고유의 풍미와 맛을 지니기 때문에 별도의 당류나 염류 및 식품 첨가물을 첨가하지 않아도 곡물 고유의 질감을 갖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uffed grain product according to one aspect, to remove the harmful factors for soil-derived microorganisms that may occur during the storage, manufacture, distribution and storage of grains, and to remove residual pesticides remaining more than 99% on the outer surface It can be made safer by removing more than 90%, which not only ensures safety compared to other products, but also provides convenience, increases product production efficiency, and especially since it has the unique flavor and taste of grain. Even without adding sugars, salts, and food additives, the grains have an inherent texture.

도 1은 일 구체예에 따라 제조된 곡물 스낵의 부서짐성을 나타낸 사진이다(a: 대조군, b: 실험군). Figure 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brittleness of grain snacks prepar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control, b: experimental group).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 1> 백미와 찹쌀을 이용한 퍼핑 스낵의 제조(백미 90% + 찹쌀 10%)Example 1 Preparation of Puff Snacks Using White Rice and Glutinous Rice (White Rice 90% + Glutinous Rice 10%)

백미와 찹쌀은 곡물 내부에 아밀로펙틴과 아밀로오즈를 모두 함유하고 있으므로 세척 공정 중 곡물 외부로 전분질이 빠져나오지 않게 하여야 한다. 세척 공정은 100~150℃로 수증기 0.5~5% 전후의 스팀 에어로 0.01~0.03 atm의 수증기를 1~5분 이내로 가한 후, 풍구기를 2~5회를 거쳐서 곡물 외부에 묻어 있는 이물을 제거하였다. 또한, 전분질 용출을 억제하기 위하여 건조 공정을 위해 30~40℃로 4~8시간 이내로 건조하였고, 원료의 수분 은 15% 이하로 낮춘 후에 사용하였다. 이후에, 30~40℃에서 가습을 통하여 2~6시간 정치시킨 후, 다시 수분의 함량을 15% 이상으로 올려서 사용하였다. 백미의 경우 수분 함량이 낮아도 성형은 잘 유지되나, 보다 부드러운 식감을 원할 경우 보다 높은 수분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퍼핑 공정은 일방향(One way) 방식의 straight로 압력을 가하였다. 240~250℃의 보다 낮은 온도에서 호화를 가능하게 하며, 미색의 백미 고유의 색감을 유지하기 위해서 낮은 온도에서 길게 퍼핑하였다. 이 때 퍼핑의 압력은 1.5 내지 3.0atm, 및 10초 전후를 사용하였다. 이후에, 백미 고유의 질감을 나타내며 고유의 색과 향을 지니기 위하여 탈산제와 방습제를 포함하여 포장하였다. 대조군으로서는, 찰기를 갖고 있지 않은 곡물을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의 곡물 제품을 사용하였다. 이후에, 실시예 1에 따른 곡물 스낵의 부서짐성과, 대조군의 부서짐성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White rice and glutinous rice contain both amylopectin and amylose in the grains, so that the starch must not escape the grains during the washing process. The washing process was performed by adding steam of 0.01 to 0.03 atm within 1 to 5 minutes with steam air around 0.5 to 5% of steam at 100 to 150 ° C., and then removing foreign substances on the outside of the grains through 2 to 5 times. In addition, to inhibit starch elution was dried within 4 ~ 8 hours at 30 ~ 40 ℃ for the drying process, the moisture of the raw material was used after lowering to 15% or less. Thereafter, the mixture was allowed to stand for 2 to 6 hours through humidification at 30 to 40 ° C, and then used to raise the content of moisture to 15% or more. In the case of white rice, molding is well maintained even though the moisture content is low, but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higher moisture when a softer texture is desired. The puffing process was pressurized in a straight way in one way. Puffing was carried out at low temperatures to enable gelatinization at lower temperatures of 240-250 ° C. and to maintain the intrinsic color of the off-white rice. At this time, the pressure of the puff was used at 1.5 to 3.0 atm, and around 10 seconds. Afterwards, the package was packaged with a deoxidizer and a desiccant to exhibit a unique texture of white rice and have a unique color and aroma. As a control, a grain product in which no grains without stickiness were used was used. Thereafter, the crushing properties of the grain snacks according to Example 1 and the crushing properties of the control group were compa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1.

도 1은 일 구체예에 따라 제조된 곡물 스낵의 부서짐성을 나타낸 사진이다(a: 대조군, b: 실험군). Figure 1 is a photograph showing the brittleness of grain snacks prepar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control, b: experimental group).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찰기를 갖고 있는 곡물을 접착제로 이용하는 경우, 부서짐성이 개선되어, 통곡물 그대로 사용하여도 물성이 개선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s shown in Figure 1, when using a grain having an adhesive as an adhesive, it was found that the brittleness is improved, even when used as a whole grains can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또한, 실시예 1에 따른 곡물의 스낵의 9대 영양성분 분석을 수원여자대학교 식품 분석연구센터에 의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In addition, the nine nutritional analysis of the snack of the grain according to Example 1 was commissioned to the Food Analysis Research Center of Suwon Women's University,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시험항목Test Items 결과result 100g(ml) 당Per 100 g (ml) 표시량Display quantity %영양소 기준치% Nutrient Standard 열량(kcal/100g)Calories (kcal / 100g) 393.50393.50 393.50393.50 393.50393.50 나트륨(mg/100g)Sodium (mg / 100g) 2.492.49 2.492.49 2.492.49 0%0% 탄수화물(g/100g)Carbohydrate (g / 100g) 86.6986.69 86.6986.69 86.6986.69 27%27% 당류(g/100g)Sugars (g / 100g) 불검출Not detected 0.000.00 0.000.00 0%0% 지방(g/100g)Fat (g / 100g) 1.941.94 1.941.94 1.941.94 4%4% 트랜스지방(g/100g)Trans Fat (g / 100g) 0.020.02 0.020.02 0.020.02 포화지방(g/100g)Saturated Fat (g / 100g) 0.740.74 0.740.74 0.740.74 5%5% 콜레스테롤(mg/100g)Cholesterol (mg / 100g) 불검출Not detected 불검출Not detected -- -- 단백질(g/100g)Protein (g / 100g) 7.327.32 7.327.32 7.327.32 13%13%

<실시예 2> 현미와 찹쌀을 이용한 퍼핑 스낵의 제조(현미 90% + 찹쌀 10%)Example 2 Preparation of Puffed Snack Using Brown Rice and Glutinous Rice (90% Brown Rice + 10% Glutinous Rice)

찹쌀은 곡물 내부에 아밀로펙틴과 아밀로오즈를 모두 함유하고 있으므로 세척 공정 중 곡물 외부로 전분질이 빠져나오지 않게 하여야 한다. 현미는 도정도가 백미보다 낮기 때문에 열과 수분에 매우 민감하며 산화가 빠르게 일어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나, 스팀에어를 통하여 세척시 탄화물이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에 온도, 습도의 조절이 보다 중요하다. 세척 공정은 120~250℃로 수증기 5~40% 전후의 스팀 에어로 0.005~0.02 atm의 수증기를 2~5분 이내로 가한 후 (보다 구수한 맛을 내기 위해서는 10분까지도 가능함), 풍구기를 3~5회를 거쳐서 곡물 외부에 묻어 있는 이물을 제거하였다. 현미의 경우, 백미보다 높은 온도와 압력, 시간을 가하여 현미 외표면의 호화가 일부 일어나면서 미강 및 이물질을 탄화시켜 제거하는 것이 퍼핑 후 제품의 식감을 보다 올려줄 수 있다. 또한, 현미 외표면에 묻어있는 미강을 제거하고, 전분질 용출을 억제하기 위하여 건조 공정은 25~35℃로 4~10시간 이내로 건조하였고, 원료의 수분은 13% 이하로 낮춘 후에 사용하였다. 이후에, 30~40℃에서 가습을 통하여 4~8시간 정치시킨 후, 수분은 13% 이상으로 올려서 사용하였다. 현미의 경우 백미보다 수분 함량이 낮아도 성형이 잘 유지가 된다. 퍼핑 공정은 이방향(Two way) 방식으로 곡물 외표면의 단단한 부위가 보다 잘 호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 250~270℃의 보다 높은 온도에서의 호화를 위해, 또는 현미 고유의 색감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백미보다 높은 온도에서 짧게 퍼핑하였다. 이 때 퍼핑의 압력은 1.5 내지 3.0atm, 및 시간은 6~10초 전후를 사용하였다. 현미 고유의 질감을 나타내며 색과 향을 지니기 위하여 탈산제와 방습제를 포함하여 포장하였다. Since glutinous rice contains both amylopectin and amylose in the grains, it is important to prevent starch from escaping the grain during the washing process. Brown rice is very sensitive to heat and moisture because it is lower than white rice, and oxidation can occur quickly, but care should be taken. Howeve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is more important because carbides may remain when washing through steam air. The washing process is 120 ~ 250 ℃, and steam steam around 5 ~ 40% is added to steam at 0.005 ~ 0.02 atm within 2 ~ 5 minutes (for 10 minutes for a more delicious taste), 3 ~ 5 times The foreign matter on the outside of the grains was removed through. In the case of brown rice, carbonization of the rice bran and foreign matters may increase the texture of the product after puffing, while some of the surface of the brown rice is gelatinized by applying higher temperature, pressure, and time than white rice. In addition, in order to remove the rice bran on the outer surface of brown rice, and to suppress starch elution, the drying process was dried within 4 to 10 hours at 25 ~ 35 ℃, the moisture of the raw material was used after lowering to 13% or less. Thereafter, the mixture was allowed to stand for 4 to 8 hours through humidification at 30 to 40 ° C., and then the moisture was used to raise to 13% or more. In the case of brown rice, molding is maintained well even though the moisture content is lower than that of white rice. The puffing process allows the hard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grain to be more luxuriously polished in a two way manner. Puffs were shorter at temperatures higher than white rice for gelatinization at higher temperatures of 250-270 [deg.] C. or for maintaining the unique color of brown rice. At this time, the pressure of the puff was 1.5 to 3.0 atm, and the time was used around 6 to 10 seconds. It is packaged with deoxidizer and desiccant to show the unique texture of brown rice and have color and aroma.

실시예 2에 따른 곡물의 스낵의 9대 영양성분 분석을 수원여자대학교 식품 분석연구센터에 의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Analysis of the nine nutritional components of the snack of the grain according to Example 2 was commissioned to the Food Analysis Research Center of Suwon Women's University,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시험항목Test Items 결과result 100g(ml) 당Per 100 g (ml) 표시량Display quantity %영양소 기준치% Nutrient Standard 열량(kcal/100g)Calories (kcal / 100g) 402.29402.29 402.29402.29 402.29402.29 나트륨(mg/100g)Sodium (mg / 100g) 3.523.52 3.523.52 3.523.52 0%0% 탄수화물(g/100g)Carbohydrate (g / 100g) 84.2584.25 84.2584.25 84.2584.25 26%26% 당류(g/100g)Sugars (g / 100g) 0.400.40 0.400.40 0.400.40 0%0% 지방(g/100g)Fat (g / 100g) 3.773.77 3.773.77 3.773.77 7%7% 트랜스지방(g/100g)Trans Fat (g / 100g) 0.010.01 0.010.01 0.010.01 포화지방(g/100g)Saturated Fat (g / 100g) 0.930.93 0.930.93 0.930.93 6%6% 콜레스테롤(mg/100g)Cholesterol (mg / 100g) 불검출Not detected 불검출Not detected -- -- 단백질(g/100g)Protein (g / 100g) 7.847.84 7.847.84 7.847.84 14%
14%

<실시예 3> 현미, 백미 및 찹쌀을 이용한 퍼핑 스낵의 제조(현미 45% + 백미 45% +찹쌀 10%)Example 3 Preparation of Puff Snacks Using Brown Rice, White Rice, and Glutinous Rice (45% Brown Rice + 45% White Rice + 10% Glutinous Rice)

백미와 찹쌀은 실시예 1, 현미는 실시예 2와 같은 공정으로 세척한 후 원료를 배합비대로 혼합한 후 퍼핑하였다. 수분 함량을 증가시켜 보다 부드럽게 제조하기 위해서는 일방향(One way) 방식으로, 고소한 식감을 보다 강조하기 위해서는 이방향(Two way)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퍼핑 공정의 온도는 250 내지 265℃이었고, 압력은 내지 1.5 내지 3.0atm이었고, 시간은 6 내지 10초 전후이었다. 세척 원료 고유의 질감을 나타내며 색과 향을 지니기 위하여 탈산제와 방습제를 포함하여 포장하였다. White rice and glutinous rice in Example 1, brown rice was washed in the same process as in Example 2 and then the raw materials were mixed in a blending ratio and then puffed. In order to produce more smoothly by increasing the moisture content in one way (One way) method, to emphasize more savory texture was prepared in two way (Two way) method. The temperature of the puffing process was 250-265 ° C., the pressure was 1.5-3.0 atm, and the time was around 6-10 seconds. It is packed with deoxidizer and desiccant in order to have the texture of washing material and have color and aroma.

실시예 3에 따른 퍼핑 스낵의 세균수 시험성적서를 수원여대식품분석 연구센터에 의뢰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The bacterial count test report of the puffing snack according to Example 3 was requested to Suwon Women's University Food Analysis Research Center,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시험·검사항목Test / inspection item 시험·검사 기준Test and inspection standard 시험·검사 결과Test and inspection result 판정Judgment 비고Remarks 세균수Bacteria N=5, c=2, m=10000, M=50000N = 5, c = 2, m = 10000, M = 50000 10, 0, 0, 35, 010, 0, 0, 35, 0 적합fitness

(상기 표 3은 식품공전 미생물실험 규격 중 "식품 중 통계적 개념의 미생물 기준, 규격을 적용한 것임; n: 검사 시료수, c: 최대 허용 시료수, m: 미생물 최소 허용 기준, 결과가 m 이하인 경우 적합, M: 미생물 한계 허용 기준, 결과가 n중 하나라도 M을 초과한 경우 부적합 판정됨.)(Table 3 above is the "microbial standard of the statistical concept in food, the standard applied in the food industry microbiological test standards; n: the number of test samples, c: the maximum number of samples, m: minimum microbial acceptance criteria, the result is less than m Good, M: microbial limit acceptance criteria, non-compliance if any one of n exceeds M)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구체예에 따른 퍼핑 스낵의 경우, 일반 세균 검사 결과, 매우 낮게 나타나서, 통곡물을 그대로 사용하여도 안전한 스낵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shown in Table 3, in the case of the puffed sna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a result of the general bacterial test, it was found to be very low, it can be confirmed that a safe snack can be produced even when using whole grains.

또한, 실시예 3에 따른 곡물의 스낵의 9대 영양성분 분석을 수원여자대학교 식품 분석연구센터에 의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In addition, the nine nutritional analysis of the snack of the grain according to Example 3 was commissioned to the Food Analysis Research Center of Suwon Women's University,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시험항목Test Items 결과result 100g(ml) 당Per 100 g (ml) 표시량Display quantity %영양소 기준치% Nutrient Standard 열량(kcal/100g)Calories (kcal / 100g) 401.48401.48 401.48401.48 401.48401.48 나트륨(mg/100g)Sodium (mg / 100g) 9.129.12 9.129.12 9.129.12 0%0% 탄수화물(g/100g)Carbohydrate (g / 100g) 85.5585.55 85.5585.55 85.5585.55 26%26% 당류(g/100g)Sugars (g / 100g) 0.200.20 0.200.20 0.200.20 0%0% 지방(g/100g)Fat (g / 100g) 3.203.20 3.203.20 3.203.20 6%6% 트랜스지방(g/100g)Trans Fat (g / 100g) 0.010.01 0.010.01 0.010.01 포화지방(g/100g)Saturated Fat (g / 100g) 0.930.93 0.930.93 0.930.93 6%6% 콜레스테롤(mg/100g)Cholesterol (mg / 100g) 불검출Not detected 불검출Not detected -- -- 단백질(g/100g)Protein (g / 100g) 7.627.62 7.627.62 7.627.62 14%14%

<실시예 4> 현미, 찹쌀 및 귀리를 이용한 퍼핑 스택의 제조 (현미 85% + 찹쌀 10%+귀리 5%)Example 4 Preparation of Puff Stack Using Brown Rice, Glutinous Rice, and Oats (85% Brown Rice + 10% Glutinous Rice + 5% Oats)

현미는 실시예 2, 찹쌀은 실시예 1과 같이 세척하였다. 귀리의 세척 공정은 120~250℃로 수증기 20 내지 50% 전후의 스팀 에어로 0.01 내지 0.05 atm의 수증기를 2~10분 이내로 가한 후 (보다 구수한 맛을 내기 위해서는 10분까지도 가능함), 풍구기를 3~5회를 거쳐서 곡물 외부에 묻어 있는 이물을 제거하였다. 귀리의 경우, 백미, 현미보다 높은 온도와 압력, 시간을 가하여 귀리 외표면의 호화가 일부 일어나면서 미강 및 이물질을 탄화시켜 제거하는 것이 퍼핑 후 제품의 식감을 보다 올려줄 수 있다. 귀리는 세척 후 수분 흡수율이 매우 높고 부피가 팽창하며 고유의 이취가 가장 빠르게 나타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퍼핑 원료로 사용시 수분을 완전히 건조시키는 것이 퍼핑 가공 제품을 제조한 후 완제품의 유통기한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귀리 외표면에 묻어 있는 미강을 제거하고, 전분질 용출을 억제하기 위하여 25~35℃로 4~10시간 이내로 건조하였다. 원료의 수분은 10~14% 이하로 낮춘 후에 사용하였다. 이후에, 30~40℃에서 가습을 통하여 4~12시간 정치시킨 후, 수분은 10~14%로 올려서 사용하였다. 귀리 및 기타 미곡류가 아닌 다른 곡물을 포함하는 퍼핑 공정은 이단계(Two step) 방식으로 곡물 외표면의 단단한 부위가 보다 잘 호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 260~270℃의 보다 높은 온도에서의 호화를 위해, 현미 고유의 색감을 유지하기 위해서, 또는 귀리의 풍미와 호화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압력을 반복해서 가해줌으로써 조직이 보다 잘 성형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때 퍼핑의 압력은 1.5 내지 3.0atm 이었고, 시간은 2~6초로 2회 반복하였다. 현미와 귀리 고유의 질감을 나타내며 색과 향을 지니기 위하여 탈산제와 방습제를 포함하여 포장하였다. Brown rice was washed in Example 2, glutinous rice as in Example 1. Oat washing process is 120 ~ 250 ℃, steam 0.01 ~ 0.05 atm steam is added within 2 ~ 10 minutes with steam air around 20 ~ 50% (to 10 minutes for more delicious taste), and 3 ~ 3 After five times, the foreign matter on the outside of the grain was removed. In the case of oats, carbonization of the rice bran and other foreign substances may increase the texture of the product after puffing, as some gelatiniza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oats occurs by applying higher temperature, pressure, and time than white rice and brown rice. Oats have a very high water absorption after washing, their volume expands, and their intrinsic odor is the fastest. Therefore, completely drying the moisture when used as a puffing material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the shelf life of the finished product after manufacturing the puffed product. do. In addition, the rice bran on the oat outer surface was removed and dried within 25 hours at 25 ° C to 35 ° C for 4-10 hours to suppress starch elution. The moisture of the raw material was used after lowering to 10-14% or less. Thereafter, the mixture was allowed to stand for 4 to 12 hours through humidification at 30 to 40 ° C., and then used to raise the water to 10 to 14%. The puffing process, which includes oats and other grains other than cereals, allows the hard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grain to be more luxuriously in two steps. For gelatinization at a higher temperature of 260-270 ° C., the pressure was repeatedly applied to maintain the intrinsic color of brown rice or to adjust the flavor and gelatinization of the oats so that the tissue can be formed better. At this time, the pressure of the puff was 1.5 to 3.0 atm, and the time was repeated twice with 2 to 6 seconds. It is packaged with deoxidizer and desiccant to have the unique texture of brown rice and oats and to have color and aroma.

또한, 실시예 4에 따른 곡물의 스낵의 9대 영양성분 분석을 수원여자대학교 식품 분석연구센터에 의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In addition, the nine nutritional analysis of the cereal snacks according to Example 4 was commissioned to the food analysis research center of Suwon Women's University,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below.

시험항목Test Items 결과result 100g(ml) 당Per 100 g (ml) 표시량Display quantity %영양소 기준치% Nutrient Standard 열량(kcal/100g)Calories (kcal / 100g) 399.09399.09 399.09399.09 399.09399.09 나트륨(mg/100g)Sodium (mg / 100g) 4.424.42 4.424.42 4.424.42 0%0% 탄수화물(g/100g)Carbohydrate (g / 100g) 84.0684.06 84.0684.06 84.0684.06 26%26% 당류(g/100g)Sugars (g / 100g) 0.350.35 0.350.35 0.350.35 0%0% 지방(g/100g)Fat (g / 100g) 3.333.33 3.333.33 3.333.33 6%6% 트랜스지방(g/100g)Trans Fat (g / 100g) 0.010.01 0.010.01 0.010.01 포화지방(g/100g)Saturated Fat (g / 100g) 0.780.78 0.780.78 0.780.78 5%5% 콜레스테롤(mg/100g)Cholesterol (mg / 100g) 불검출Not detected 불검출Not detected -- -- 단백질(g/100g)Protein (g / 100g) 8.228.22 8.228.22 8.228.22 15%15%

Claims (8)

주원료로서 곡물, 및 결착제로서 점성을 갖는 미곡류를 80 내지 300 ℃의 습기를 포함하고 있는 스팀 에어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곡물 및 미곡류를 30 내지 80 ℃에서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곡물 및 미곡류의 수분함량을 곡물의 종류에 따라 5 내지 18%로 수분 함량을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수분 조절된 곡물 미곡류를 혼합한 후, 200 내지 270 ℃에서 4 내지 20초간 1.0 내지 5.0 atm의 압력으로 퍼핑하여 퍼핑 곡물 제품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상기 퍼핑의 압력을 가하는 방식은 곡물의 종류 및 곡물의 특성에 따라 세 가지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인 단계를 포함하는 퍼핑 곡물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Washing by spraying steam air containing moisture of 80 to 300 DEG C with grains as a main raw material and viscous cereals with viscosity as a binder;
Drying the washed grains and cereals at 30 to 80 ° C .;
Adjust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dried grains and rice grains to 5 to 18% according to the type of grains; And
After mixing the moisture-controlled grain cereals, puffing at a pressure of 1.0 to 5.0 atm for 4 to 20 seconds at 200 to 270 ℃ to produce a puffed grain product, the method of applying the pressure of the puff is the type of grain And performing in three way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grai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 가지 방식은,
압력을 가한 후, 상기 가한 압력의 제거를 한번에 수행하는 일방향 방식;
압력을 가한 후, 상기 가한 압력의 제거를 복수의 횟수로 나누어서 수행하는 이방향 방식; 및
압력을 가한 후, 상기 가한 압력의 제거를 한번에 수행하고, 다시 압력을 가한 후, 상기 다시 가한 압력의 제거를 한번에 수행하는 이단계 방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인 것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ee ways,
After applying pressure, one-way mode of performing the removal of the applied pressure at once;
A two-way method in which after the pressure is applied, the removal of the applied pressur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imes; And
And applying the pressure, then removing the applied pressure at once, applying the pressure again, and then removing the re-applied pressure at on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물 및 점성을 갖는 미곡류는 인조미를 포함하지 않고, 통곡물인 것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ereals and viscous rice grains do not contain artificial flavors and are whole grai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시 주원료로서 곡물은, 백미류, 미곡류, 두태류, 맥류, 조류, 잡곡류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ain as the main raw material comprises white rice, cereals, soybeans, wheat, algae, cereals, or a combination thereof.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로서 점성을 갖는 미곡류는 찹쌀, 찰현미, 찰흑미, 및 그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ice flour having viscosity as the adhesive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utinous rice, waxy brown rice, waxy black rice, and mixtures thereof.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퍼핑 곡물 제품은, 추가적인 당류, 염류, 또는 식품 첨가물을 포함하지 않아, 별도의 성형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 것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uffed grain product does not include additional sugars, salts, or food additives and does not include a separate molding proces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퍼핑 곡물 제품은 부원료로서 영양곡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uffed grain product further comprises nutritional grains as a side ingredi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퍼핑 곡물 제품을 가공하는 단계; 또는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processing the manufactured puffed grain product; Or packaging.
KR1020180070907A 2018-06-20 2018-06-20 Manufacturing method of pupping snack with grains KR1021110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907A KR102111064B1 (en) 2018-06-20 2018-06-20 Manufacturing method of pupping snack with grai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907A KR102111064B1 (en) 2018-06-20 2018-06-20 Manufacturing method of pupping snack with grai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3226A true KR20190143226A (en) 2019-12-30
KR102111064B1 KR102111064B1 (en) 2020-06-08

Family

ID=6910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907A KR102111064B1 (en) 2018-06-20 2018-06-20 Manufacturing method of pupping snack with grai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06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4366A (en) * 2020-12-23 2021-04-20 山东省农业机械科学研究院 Fruit and vegetable infrared pressure difference puffing and drying equipment and proces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111A (en) * 1997-06-19 1999-01-15 다루이시로 Instant brown r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70119886A (en) * 2006-06-16 2007-12-21 예종성 A manufacturing of rice pastry
KR20100027633A (en) * 2008-09-03 2010-03-1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improvement of extraction yield and ginsenoside contents of ginseng using puffing
KR20110132871A (en) * 2010-06-03 2011-12-09 강원도 Manufacturing method for nutritional snack using puffing cereal and healty-functional snack molding-syru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111A (en) * 1997-06-19 1999-01-15 다루이시로 Instant brown r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70119886A (en) * 2006-06-16 2007-12-21 예종성 A manufacturing of rice pastry
KR20100027633A (en) * 2008-09-03 2010-03-1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improvement of extraction yield and ginsenoside contents of ginseng using puffing
KR20110132871A (en) * 2010-06-03 2011-12-09 강원도 Manufacturing method for nutritional snack using puffing cereal and healty-functional snack molding-syrup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4366A (en) * 2020-12-23 2021-04-20 山东省农业机械科学研究院 Fruit and vegetable infrared pressure difference puffing and drying equipment and process
CN112674366B (en) * 2020-12-23 2022-03-29 山东省农业机械科学研究院 Fruit and vegetable infrared pressure difference puffing and drying equipment and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1064B1 (en)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6163A (en) Process of manufacturing a starch-based food product
Anglani Sorghum for human food–A review
Gomes et al. Bread with flour obtained from green banana with its peel as partial substitute for wheat flour: physical,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cceptance.
Wani et al. Fenugreek enriched extruded product: optimization of ingredient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EP0987949B1 (en) Milled cereal by-product which is an additive for flour and dough
Niu et al. Whole wheat noodle: Processing, quality improvement, and nutritional and health benefits
KR101428862B1 (en) Brown rice citron flak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bolaji et al. Evaluation of chemical, functional and sensory properties of flour blends from sorghum, African yam bean and soybean for use as complementary feeding
Pato et al. The quality of instant noodle made from local corn flour and tapioca flour
CN110786461A (en) Oat and processing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CA2206775A1 (en) Wholegrain food products
KR102111064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upping snack with grains
KR101145411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flake grain and the flake grain manufactured thereof
WO2005092118A1 (en) Manufacturingn process for fusion rice cake having characteristics in extended preservation period
JP4836520B2 (en) Pop germinated grai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111300B1 (e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unctional SeolKi Rice Cake Adding Radish
KR20200000075A (en) Method for preparing rice cake composition using rice cake composition and microwave
KR101481154B1 (en) Puffed cereal containing sea algae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KR20090041034A (en) Manufacturing method of instant the scorched rice
KR102106681B1 (en) Preparation Method of Paprika and Laver Snack
KR20240045763A (en) Manufacturing method of hand-made rice chip and soup
RU2260953C2 (en) Method for producing of hardtacks
US3505078A (en) Process for preparing a honey-graham flavored cereal
JP2015192657A (en) Method for producing puffed powder
Kumari Cere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