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3093A - 태양광 발전 차양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 차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43093A KR20190143093A KR1020180070625A KR20180070625A KR20190143093A KR 20190143093 A KR20190143093 A KR 20190143093A KR 1020180070625 A KR1020180070625 A KR 1020180070625A KR 20180070625 A KR20180070625 A KR 20180070625A KR 20190143093 A KR20190143093 A KR 201901430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light collecting
- unit
- battery cell
- angl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750 UV prote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92 f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ZZUFCTLCJUWOSV-UHFFFAOYSA-N furosemide Chemical compound C1=C(Cl)C(S(=O)(=O)N)=CC(C(O)=O)=C1NCC1=CC=CO1 ZZUFCTLCJUWOS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224 prote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0 reinforced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3—Containers; Encapsulations, e.g. encapsulation of photodi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9—Protective back shee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차양은, 제1 프레임, 및 제1 프레임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이 공유하는 공유 프레임에 형성되며, 제2 프레임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도록 회전하는 각도조절부, 및 제1 프레임에 결합되며 지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태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제1 집광부,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결합되며 지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제2 집광부를 포함하는 집광부를 포함한다. 집광부를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차양은 태양 직사광선을 막아줄 뿐만 아니라 차양에 도달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차양에 관한 것이다.
차양은 옥외 테라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옥외에 설치된 차양은 주간(晝間)에 태양으로부터 테라스에 도달하는 직사광선을 막아 테라스를 이용하는 사람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한다. 날씨가 좋은 날에는 테라스 이용자들이 태양 직사광선을 쬐지 않고도 야외 환경에서 활동할 수 있다.
한편, 전력 생산에 있어서 과거에는 석탄 또는 석유를 연소시켜 발전을 수행하는 화력 발전이 주를 이루었다. 그 이후 핵분열 연쇄반응을 통해서 발생한 에너지로 물을 끓여 발생시킨 수증기로 터빈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원자력 발전이 전력 생산에 주로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녹색 성장 정책 및 탈원전 정책의 시행으로 지속적으로 친환경 에너지가 주목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 중 태양광 발전은 발전에 따른 공해가 발생하지 않고 필요한 장소에 필요한 만큼 발전이 가능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므로 아파트 단지의 외벽면 또는 건물 옥상에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기타 친환경 에너지(풍력 발전, 수력 발전, 조력 발전, 및 파력 발전 등)는 설치시 규모가 상대적으로 크므로, 설치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태양광 발전이 소규모 발전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태양광이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시킨 태양 전지에 도달하면, 태양광이 가진 에너지에 의해 전지 내부에서 정공(hole)과 전자가 발생한다. 발생한 정공과 전자는 서로 분리되어 전위차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전력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직사광선을 막아주는 차양의 기능과 함께, 복수개의 전지셀을 포함하는 집광부가 차양에 도달하는 태양광을 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 차양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이 공유하는 공유 프레임에 각도 조절부가 형성되어 제2 프레임에 의해 외주면이 커버되는 제2 집광부가 지면과 형성하는 각도가 조절가능한 태양광 발전 차양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전지셀은 돌출부를 가지는 집광판과 수용부를 가지는 전지셀 커버가 서로 결합되어 집광판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제어되는 태양광 발전 차양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집광부와 제2 집광부는 복수개의 전지셀 배면(하면)에 형성되어 특정 광량조건에 발열 동작하는 전열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차양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차양은,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이 공유하는 공유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도록 회전하는 각도조절부,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며 지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제1 집광부,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결합되며 지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제2 집광부를 포함하는 집광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집광부 및 상기 제2 집광부는 각각 백시트, 상기 백시트의 일면 상에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부, 상기 백시트의 일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전열부 하부면에 형성되는 하부필름, 상기 하부필름의 일면 상에 형성되며 태양광 에너지를 수용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복수개의 전지셀, 상기 하부필름의 일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전지셀 사이에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완충부, 및 상기 전지셀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지셀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상부필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집광부는 외부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광량 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지셀은 전면 중앙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전지셀 커버, 및 배면에 상기 전지셀 커버의 수용부와 결합가능한 돌출부를 형성하며, 전면에 도달하는 태양광 에너지를 수용하는 집광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집광부가 받는 광량 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도조절부 및 상기 전지셀의 집광판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제2 집광부 및 상기 집광판의 각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차양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태양광으로부터 사람 또는 물체를 보호하는 것에 더하여 차양에 도달하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이에 따라서 사용하는 전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어부에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제2 집광부 및 집광판의 각을 변화시킴으로써, 태양 고도에 따라 태양광 에너지 발전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전지셀 배면에 전열부를 형성하여 차양 상면이 적설된 상황에서도 원활하게 발전을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전지셀 간에 완충부를 형성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전지셀을 보호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부필름을 전지셀의 상면에 형성함으로써 우천시 전지셀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우박과 같이 전지셀과 직접 충돌할 경우 전지셀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환경으로부터 전지셀을 보호하여 본 발명 태양광 발전 차양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태양광 발전 차양의 수명을 연장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차양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차양에서 집광부(제1 집광부 또는 제2 집광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차양이 건물에 설치된 경우 각도조절부의 동작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차양에서 전지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차양의 제어부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차양에서 집광부(제1 집광부 또는 제2 집광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차양이 건물에 설치된 경우 각도조절부의 동작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차양에서 전지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차양의 제어부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차양(1)은, 제1 프레임(10), 및 제1 프레임(10)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제2 프레임(20)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제1 프레임(10) 및 제2 프레임(20)이 공유하는 공유 프레임(15)에 형성되며, 제2 프레임(20)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도록 회전하는 각도조절부(30), 및 제1 프레임(10)에 결합되며 지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태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제1 집광부(50), 및 상기 제2 프레임(20)에 결합되며 지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제2 집광부(60)를 포함하는 집광부(4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차양(1)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프레임(10)이 형성되고, 제1 프레임(10)의 말단에는 제2 프레임(20)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이 형성되는 형태는 통상적인 차양 프레임이 형성되는 형태와 같으며,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은 각각 지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을 포함하여 프레임부라고 하며, 프레임부는 집광부(40)의 외주면을 커버하여 집광부(40)가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집광부(40)가 받을 수 있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집광부(40)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 사이에는 공유 프레임(15)이 형성될 수 있다. 공유 프레임(15)은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을 연결한다. 또한, 공유 프레임(15)의 양 말단은 제2 프레임(20)과 결합되어 공유 프레임(15)의 움직임에 따라 제2 프레임(20)이 함께 움직이게 된다. 공유 프레임(15)이 회전 운동을 하기 위하여 공유 프레임(15)의 내주면에는 공유 프레임(15)을 회전시키는 각도조절부(30)가 형성된다. 각도조절부(30)는 회전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회전 모터를 포함한 각도조절부(30)가 회전함에 따라 공유 프레임(15)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공유 프레임(15)과 결합된 제2 프레임(20)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0)과 제2 프레임(20)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는 집광부(40)가 형성된다. 즉, 제1 프레임(10)과 공유 프레임(15)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는 제1 집광부(50)가 형성되고, 제2 프레임(20)과 공유 프레임(15)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는 제2 집광부(60)가 형성된다. 제1 집광부(50) 및 제2 집광부(60)는 지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본 발명 태양광 발전 차양(1)에 도달하는 태양에너지를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한다. 제1 집광부(50) 및 제2 집광부(60)가 지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태양의 고도에 따라 차양이 커버할 수 있는 테라스의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각도'는 제1 집광부(50) 또는 제2 집광부(60)가 포함되어 무한으로 확장된 가상의 면이 지면과 만났을 때, 가상의 면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규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차양(1)에서 집광부(40)(제1 집광부(50) 또는 제2 집광부(60))의 분해사시도이다.
제1 집광부(50) 및 제2 집광부(60)는 각각 백시트(110), 백시트(110) 일면 상에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부(120), 백시트(110)의 일면 상에 형성되며 전열부(120) 하부면에 형성되는 하부필름(130), 하부필름(130)의 일면상에 형성되며 태양광 에너지를 수용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복수개의 전지셀(150), 전지셀(150)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부필름(160)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백시트(110)는 복수개의 전지셀(150)들이 설치될 수 있는 베이스 판의 역할을 한다. 백시트(110)는 복수개의 전지셀(150)들을 보호하기 위해 내습성, 절연성, 내후성, 내구성 및 자외선 차단 기능을 제공하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PET 재질의 연성 재질 혹은 PCB 재질의 강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백시트(110)의 일면 상에는 지그재그 형태로 전열부(120)가 형성된다. 즉, 전열부(120)는 백시트(110)의 상면에 형성되며, 전열부(120)는 통전시 발열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저항이 큰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전열부(120)는 태양광 발전 차양(1)에 적설 등이 발생하여 집광부(40)가 태양광을 받을 수 없는 경우 발열하도록 동작한다. 전열부(120)가 동작함으로써 집광부(40) 상면에 적설된 눈은 용융되어 제거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계절에 상관없이 집광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열부(120)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발열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부필름(160)과 하부필름(130)이 각각 복수개의 전지셀(150)들의 전면(상면)과 배면(하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상부필름(160)과 하부필름(130)은 박막의 폴리머 시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성, 탄성, 내열성을 고려하여 상부필름(160)과 하부필름(130)의 소재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부필름(160)은 우천 또는 우박과 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전지셀(150)들을 보호하기 위해 강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강화 부재는 광투과성이 좋으면서 외부 충격을 견딜 수 있는 강화유리 또는 강화플라스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필름(160)에 강화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우천시 전지셀(150)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우박과 같이 전지셀(150)과 직접 충돌할 경우 전지셀(150)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환경으로부터 전지셀(150)을 보호함으로써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 차양(1)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태양광 발전 차양(1)의 수명을 연장하는 이점이 있다.
상부필름(160)과 하부필름(130)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전지셀(150)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 형성된다. 복수개의 전지셀(150)들은 전지셀(150)에 도달하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한다. 이 때, 전지셀(150)은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태양광에너지를 전지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태양광에너지(빛에너지)가 전지셀(150)에 도달하게 되면 태양광에너지에 의해 전지셀(150) 내부에 정공(hole)과 전자가 발생한다. 정공과 전자는 서로 다른 전극으로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발생한 정공은 전지셀(150)의 후면에 형성된 전극으로, 발생한 전자는 전지셀(150)의 전면에 형성된 전극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전지셀(150) 내부에서는 전위차가 발생하게 되고, 전위차를 통해 전류가 발생, 전력이 생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태양광에너지가 전지셀(150)에 도달되어 전력이 생산되는 것을 광기전 효과(photovoltaic effect)라 한다. 생산된 전력은 외부로 전달되거나 배터리와 같은 에너지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ESS(Energy Storage System)를 구성, 전력이 필요할 때에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양 구조에 태양광을 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전지셀(150)을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태양광으로부터 사람 또는 물체를 보호하는 것에 더하여 차양에 도달하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이에 따라서 사용하는 전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완충부(140)가 하부필름(130)의 일면 상에 형성되며 복수개의 전지셀(150) 사이에 탄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140)는 배열된 전지셀(150)들 사이의 측면 공간을 채우도록 형성됨으로써, 전지셀(150)들이 외부로부터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서로 충돌하여 추가적인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한다. 따라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집광부(40)(제1 집광부(50) 및 제2 집광부(60))를 보호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집광부(40)는 외부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센서부(300)는 광량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광량을 감지하는 센서는 집광부(40)에서 복수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센서가 받는 광량을 측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차양(1)이 건물에 설치된 경우 각도조절부(30)의 동작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차양(1)에서 전지셀(15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차양(1)의 제어부(200)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센서부(300)는 광량을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부(300)는 측정된 광량 정보를 제어부(200)에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고, 제어부(200)는 전송받은 광량 정보에 따라 태양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0)는 집광부(40)의 복수의 위치에 형성된 센서부(300)로부터 전송받은 광량 정보에 기초하여 어느 방향으로 집광판이 향하고 있을 때 발전 효율이 최대화 될 수 있는지 판단한다. 이에 따라서 제어부(200)는 각도조절부(3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각도조절부(30)가 회전하도록 하고, 각도조절부(30)와 연결된 공유 프레임(15), 제2 프레임(20), 및 공유 프레임(15)과 제2 프레임(20) 사이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제2 집광부(6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집광부(60)가 회전하여 지면과 이루는 각도(θ2)가 조절됨으로써, 태양에너지를 더 많이 받을 수 있는 각도로 차양의 형태가 변화할 수 있어 발전 효율을 최대화하는 이점이 있다.
이 때, 제2 집광부(60)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θ2)는 제1 집광부(50)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θ1)보다 크거나 같도록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집광부(60)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θ2)는 제1 집광부(50)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θ1)보다 작게 되면 적설된 눈을 용융시킬 경우 눈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제2 집광부(60)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θ2)는 직각 이하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그 각도(θ2)가 둔각이 될 경우 제2 집광부(60)를 구성하는 전지셀(150)들이 하늘이 아닌 지면을 향하게 되어 집광 기능을 상실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전지셀(150)은 배면(후면)에 돌출부(154)를 가지고 전면은 태양광 에너지를 수용하는 집광판(152)과, 전면(상면) 중앙부에 집광판(152)의 돌출부(154)와 결합될 수 있도록 수용부(153)가 형성된 전지셀 커버(151)를 포함할 수 있다. 집광판(152)의 돌출부(154)가 전지셀 커버(151)의 수용부(153)에 결합됨으로써 집광판(152)이 회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받은 광량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200)는 집광부(4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집광판(152)이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집광판(152)이 회전하여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태양에너지를 더 많이 받을 수 있는 각도로 차양의 형태가 변화할 수 있어 발전 효율을 최대화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광량을 감지하는 센서에서 측정되는 광량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 제어부(200)는 집광부(40) 상면이 적설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전열부(12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전열부(120)가 발열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이러한 광량 정보 및 집광부(40)에 의해 생산되는 전력량 정보 등은 제어부(200)에 취합되어 표시부(40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400)에 나타나는 정보에 의하여 본 발명 태양광 발전 차양(1)의 발전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표시부(400)는 제어부(200)와 유선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도 있고, 무선으로 연결된 휴대단말일 수도 있다. 또한, 휴대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발전 상태가 나타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 태양광 발전 차양(1)은 전술한 바와 같이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 Energy Storage System)를 포함할 수 있어 주간에 생산한 전기에너지를 에너지 저장 소자에 저장한 후, 야간에 차양 하부에 형성된 조명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조명부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야간에도 주간에 생산한 전력을 사용하여 테라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차양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태양광 발전 차양
10 : 제1 프레임
15 : 공유 프레임
20 : 제2 프레임
30 : 각도조절부
40 : 집광부
50 : 제1 집광부
60 : 제2 집광부
110 : 백시트
120 : 전열부
130 : 하부필름
140 : 완충부
150 : 전지셀
151 : 전지셀 커버
152 : 집광판
153 : 수용부
154 : 돌출부
160 : 상부필름
200 : 제어부
300 : 센서부
400 : 표시부
10 : 제1 프레임
15 : 공유 프레임
20 : 제2 프레임
30 : 각도조절부
40 : 집광부
50 : 제1 집광부
60 : 제2 집광부
110 : 백시트
120 : 전열부
130 : 하부필름
140 : 완충부
150 : 전지셀
151 : 전지셀 커버
152 : 집광판
153 : 수용부
154 : 돌출부
160 : 상부필름
200 : 제어부
300 : 센서부
400 : 표시부
Claims (5)
-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이 공유하는 공유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도록 회전하는 각도조절부;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며 지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제1 집광부,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결합되며 지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제2 집광부를 포함하는 집광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차양.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집광부 및 상기 제2 집광부는 각각
백시트;
상기 백시트의 일면 상에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부;
상기 백시트의 일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전열부 하부면에 형성되는 하부필름;
상기 하부필름의 일면 상에 형성되며 태양광 에너지를 수용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복수개의 전지셀;
상기 하부필름의 일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전지셀 사이에 탄성 부재로 형성되는 완충부; 및
상기 전지셀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지셀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상부필름;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차양.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집광부는 외부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광량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차양.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전면 중앙부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전지셀 커버; 및
배면에 상기 전지셀 커버의 수용부와 결합가능한 돌출부를 형성하며, 전면에 도달하는 태양광 에너지를 수용하는 집광판;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차양.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집광부가 받는 광량 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도조절부 및 상기 전지셀의 집광판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제2 집광부 및 상기 집광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태양광 발전 차양.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0625A KR102677900B1 (ko) | 2018-06-20 | 2018-06-20 | 태양광 발전 차양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0625A KR102677900B1 (ko) | 2018-06-20 | 2018-06-20 | 태양광 발전 차양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43093A true KR20190143093A (ko) | 2019-12-30 |
KR102677900B1 KR102677900B1 (ko) | 2024-06-25 |
Family
ID=69102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0625A KR102677900B1 (ko) | 2018-06-20 | 2018-06-20 | 태양광 발전 차양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77900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45344A (zh) * | 2020-03-19 | 2020-06-05 | 诸葛小莲 | 一种光伏硅晶板的多功能安装架 |
KR20240059862A (ko) | 2022-10-28 | 2024-05-08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태양광패널 및 차양슬랫을 일체화한 외부차양 구조 |
KR20240062184A (ko) | 2022-10-28 | 2024-05-09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경사형 태양광패널 및 차양슬랫을 일체화한 외부차양 구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175119A1 (en) * | 2006-01-13 | 2007-08-02 | Haynie Rayburn A | Window awning/storm panel system |
KR20130109398A (ko) * | 2012-03-27 | 2013-10-08 |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 제설유닛이 구비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및 그 제설유닛의 제어방법 |
KR20150100396A (ko) * | 2014-02-25 | 2015-09-02 |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 태양광 발전 광선반 |
KR101767870B1 (ko) | 2017-02-28 | 2017-08-30 | 김지영 | 태양 추적기능을 갖는 태양광 파라솔 |
-
2018
- 2018-06-20 KR KR1020180070625A patent/KR10267790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175119A1 (en) * | 2006-01-13 | 2007-08-02 | Haynie Rayburn A | Window awning/storm panel system |
KR20130109398A (ko) * | 2012-03-27 | 2013-10-08 |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 제설유닛이 구비된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및 그 제설유닛의 제어방법 |
KR20150100396A (ko) * | 2014-02-25 | 2015-09-02 |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 태양광 발전 광선반 |
KR101767870B1 (ko) | 2017-02-28 | 2017-08-30 | 김지영 | 태양 추적기능을 갖는 태양광 파라솔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45344A (zh) * | 2020-03-19 | 2020-06-05 | 诸葛小莲 | 一种光伏硅晶板的多功能安装架 |
CN111245344B (zh) * | 2020-03-19 | 2021-10-08 | 江阴复睿金属科技有限公司 | 一种光伏硅晶板的多功能安装架 |
KR20240059862A (ko) | 2022-10-28 | 2024-05-08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태양광패널 및 차양슬랫을 일체화한 외부차양 구조 |
KR20240062184A (ko) | 2022-10-28 | 2024-05-09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경사형 태양광패널 및 차양슬랫을 일체화한 외부차양 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77900B1 (ko) | 2024-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Norton et al. |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s | |
US6812397B2 (en) | Photocurrent-generating fabric and support for such a fabric | |
US20090205270A1 (en) | Structured Photovoltaic Roofing Elements, Systems and Kits | |
KR101709847B1 (ko) | 태양전지 발전장치 | |
KR102677900B1 (ko) | 태양광 발전 차양 | |
KR101303317B1 (ko) | 태양광 발전장치 | |
JP2006317128A (ja) | 太陽光発電装置および太陽熱温水装置 | |
JP4043100B2 (ja) | 太陽電池装置 | |
JP3315108B1 (ja) | シーソー式ソーラー発電温水器システム | |
KR20230023794A (ko) | 3차원 태양 전기 발전 시스템 및 그 배치 방법 | |
KR101767870B1 (ko) | 태양 추적기능을 갖는 태양광 파라솔 | |
JP7026385B2 (ja) | 太陽光発電装置 | |
KR101028032B1 (ko) | 주차장시설물 | |
US20110139220A1 (en) | Solar device and solar system comprising the same | |
KR101272852B1 (ko) | 태양광 발전장치 | |
KR101192070B1 (ko) | 하이브리드형 발전장치 | |
Ikedi | Experimental study of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for fixed and solar tracking photovoltaics systems | |
KR20050040376A (ko) | 한정된 공간을 이용한 태양전지모듈 설치구조 | |
Sahab et al. | Optimum orientation of solar panels in Baghdad city | |
KR20120053127A (ko) | 경사형 태양전지 셀 모듈 | |
AU2020102692A4 (en) | Smart solar tile | |
Corkish et al. | Integrated solar photovoltaics for buildings | |
Visa et al. | Renewable Energy Sources and Systems | |
KR20230118285A (ko) | 태양광 패널이 결합된 건축 외장재 제조방법 및 건축 외장재 | |
KR100644389B1 (ko) | 태양에너지 집열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