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0396A - 태양광 발전 광선반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 광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0396A
KR20150100396A KR1020140022153A KR20140022153A KR20150100396A KR 20150100396 A KR20150100396 A KR 20150100396A KR 1020140022153 A KR1020140022153 A KR 1020140022153A KR 20140022153 A KR20140022153 A KR 20140022153A KR 20150100396 A KR20150100396 A KR 20150100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helf
light shelf
photovoltaic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1077B1 (ko
Inventor
정유근
박우현
박정태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22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077B1/ko
Publication of KR20150100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02S20/32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specially adapted for solar trac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광선반은 상면에 태양전지가 구비된 제1광선반 및 상기 제1광선반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면에 태양전지가 구비된 제2광선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 광선반{Photovoltaic Power Generating Light Shelf}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광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을 통해 광선반의 각도를 변화하여 태양광의 반사 각도를 조절하여 실내 채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태양전지를 통한 태양광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 광선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축환경에 대한 인식과 문화 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건축 공간의 질적 향상에 대한 요구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자연광은 에너지 절약뿐만 아니라, 밝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작업 성능을 향상시키고, 재실자에게 심리적, 생리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 공간은 창호 따위의 개구부를 통해 태양광을 받아들여 채광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창호를 통하여 자연광이 유입되면 창호와 가까운 곳의 주광 조도는 지나치게 높아지고, 창호에서부터 멀리 떨어진 곳의 조도는 상대적으로 낮아지기 때문에 창호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는 인공 조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입사되는 태양광을 반사하여 실내 공간의 천장으로 반사광을 입사시켜 실내 공간을 간접적으로 채광하는 광선반이 개시되었다. 이러한 광선반은 반사광선이 실내 공간으로 고르게 반사되면서 채광의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광선반은 광선반을 통한 반사광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태양의 위치 변화에 따른 채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태양광의 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전지가 적용된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창호 시스템이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BIPV 창호 시스템의 태양전지에 의한 태양광 발전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태양전지가 태양과 정면으로 마주하고 있어야 한다. 그렇지만, 이전의 BIPV 창호 시스템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태양의 위치를 추적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태양광 발전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KR1306640 10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을 통해 광선반의 각도를 변화하여 태양광의 반사 각도를 조절하여 실내 채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태양전지를 통한 태양광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 광선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 광선반은 상면에 태양전지가 구비된 제1광선반 및 상기 제1광선반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면에 태양전지가 구비된 제2광선반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광선반 및 상기 제2광선반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상기 제1광선반 및 상기 제2광선반의 구동을 가이드하고, 상기 제1광선반 및 상기 제2광선반을 건축물에 결합하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은, 가로부재 및 상기 가로부재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로부재와 소정 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세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광선반 및 제2광선반을 자동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광선반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광선반의 상면에 태양전지를 구비하여 광선반을 통한 태양광의 반사광을 실내로 입사시켜 실내의 조명효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태양광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광선반이 두 개 이사의 부재로 분할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일부는 태양광을 반사하는 광선반의 역할을 수행하고, 일부는 회전각도를 변경하여 태양광이 최대로 입사될 수 있는 각도로 설치함으로써 태양광 발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광선반의 돌출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실내로 입사되는 태양광 및 반사광의 입사 위치, 범위 및 조사 강도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광선반을 모두 창호의 창과 평행하게 구비함으로써 창의 일부를 가리는 블라인드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광선반을 제어부 및 구동부를 통해 구동함으로써 태양의 고도 및 방위각에 대응되도록 자동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여섯째, 광선반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 롤러를 통해 구동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동시에 부드러운 구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광선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광선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레일이 포함된 태양광 발전 광선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레일이 포함된 태양광 발전 광선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광선반이 건축물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광선반이 건축물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광선반의 사용양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태양광 발전 광선반의 사시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광선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광선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광선반(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으로 구성된다.
제1광선반(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는 입사되는 태양광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300)가 구비된다. 도 1에서는 복수의 태양전지(300)가 2열로 배치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 태양전지(300)의 크기, 개수 및 배치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제1광선반(100)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태양전지(300)를 사용하거나,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복수의 태양전지(300)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1광선반(100)의 양측면,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제2광선반(200)과 접하는 일면과 인접한 양측면에는 제2광선반(200)과의 결합을 위한 힌지와 같은 결합부재(110)가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결합부재(110)는 제1광선반(1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제2광선반(200)은 제1광선반(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태양광의 입사 각도에 따라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태양광 효율을 향상시키거나, 회전되며 광선반 전체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여 실내로 반사되는 반사광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1광선반(100)과 마찬가지로 상면에 태양광 발전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300)가 구비된다. 도 1에서는 복수의 태양전지(300)가 1열로 배치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제1광선반(100)과 마찬가지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 태양전지(300)의 크기, 개수 및 배치 방법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2광선반(200)의 폭이 제1광선반(100)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제2광선반(200)은 제1광선반(100)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거나, 제1광선반(100) 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제2광선반(200)의 일측에는 제1광선반(100)에 구비된 결합부재(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부(210)재가 구비된다. 이러한 체결부(210)재는 제1광선반(100)의 결합부재(110)와 결합되어 제2광선반(200)을 회전 가능하게 제1광선반(100)에 결합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일실시예로 도 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광선반(100)의 결합부재(110)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평판형상의 부재가 제2광선반(200)의 일면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일 뿐, 경첩 등을 이용하여 제2광선반(200)을 제1광선반(100)에 결합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구성 및 방법을 통해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을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 두 개로 구성되도록 설명하였으나,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두 개 이상의 광선반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레일이 포함된 태양광 발전 광선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레일이 포함된 태양광 발전 광선반의 분해 사시도이다. 가이드 레일(4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이 양측면, 바람직하게는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을 결합하는 결합부재(110) 및 체결부(210)개가 구비된 양면과 동일한 양면에 구비되어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의 구동을 가이드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400)은 제1광선반(100)의 직선운동에 따라 제2광선반(200)의 회전각도가 조절되고,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이 창호(1100)에서 돌출되는 거리를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가이드 레일(400)은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로 구성된다.
가로부재는 창호(1100) 일측에 구비되어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이 창호(1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의 구동을 지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가로부재는 지표면과 수평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용양태 및 건축물(1000)의 설치 지역을 고려하여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될 수도 있다.
가로부재의 길이는 최소한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이 모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광선반(100)의 폭 및 제2광선반(200)의 폭을 합친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고,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이 창호(1100)의 창과 소정길이 이격될 수 있도록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의 폭을 모두 합친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로부재의 길이가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의 폭을 합친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면,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과 창의 이격거리를 조절하여 내부로 입사되는 반사광의 각도 및 입사량 등을 보다 넓은 범위에서 조절이 가능하다.
세로부재는 가로부재의 일단에 가로부재와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되어 제2광선반(200)이 세로부재를 따라 이동하며 제2광선반(200)의 경사각도가 제어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장치이다. 세로부재는 바람직하게 가로부재의 창호(1100) 측 일단에 가로부재와 수직하게 구비되는 것이 좋지만, 건축물(1000)의 위치 높이 등을 고려하여 세로부재의 경사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의 연결부위는 완만하게 만곡되도록 라운딩 처리되는 것이 좋다. 가로부재 및 세로부재의 연결부위가 각이 형성되어 있으면 제2광선반(200)이 세로부재로 이동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연결부위가 라운딩 처리되어 만곡되면 제2광선반(200)이 만곡된 부위를 따라 가로부재에서 세로부재로 용이하게 이동된다.
전술한 가이드 레일(400)은 별도의 레일 부재를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광선반이 구비되는 건축물(1000)의 창호(1100) 일면에 가이드 홈을 형성하여 가이드 레일(400)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창호(1100) 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이 가이드 레일(400)이 되는 것이다.
이때,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의 가이드 레일(400)과 대응되는 일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이 가이드 레일(400)을 따라 용이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롤러(500)가 구비되고, 가이드 레일(400)에는 롤러(5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500)는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을 연결하는 힌지 등의 결합부재(110)를 소정길이 연장하고, 연장된 결합부재(110)의 종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 각각의 일면에 연장된 결합부재(110)의 길이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510)를 구비하고, 연결부(510)의 종단에 롤러(500)가 구비된다. 이때,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에 각각 구비되는 연결부(510), 특히 제2광선반(200)에 구비되는 연결부(510)는 결합부재(110)와 대응되는 타측 종단에 구비되는 것이 좋다. 사용양태에서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겠지만, 제2광선반(200)은 가이드 레일(400)의 세로부재를 따라 이동하여야 하는데 롤러(500)가 제2광선반(200)의 종단면보다 내측에 있으면 제2광선반(200)이 창호(1100)와 충돌하여 세로부재로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110)의 종단에 롤러(500)가 구비되고,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 각각에 결합부재(110)와 소정 길이 이격되도록 롤러(500)가 구비된 연결부(510)가 구비됨에 따라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은 각각 하나의 연결부(510) 및 결합부재(11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안정적으로 가이드 레일(4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이 구동하는 경우 롤러(500)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가이드 레일(400)을 따라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구동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태양광 발전 광선반(10)의 일측에는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을 자동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는 모터 등을 통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의 돌출 위치 및 제2광선반(20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거나, 제어부(미도시)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시간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에는 태양의 고도각 및 위도각에 따른 태양광의 입사 각도 등을 입력한 후 태양의 고도각 및 위도각에 따라 태양광 발전의 최대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구동부를 제어하여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 광선반의 사용양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광선반이 건축물(1000)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광선반(10)은 건축물(10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1000)의 창호(1100) 일측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건물의 일측에 구비된 광선반은 입사되는 태양광을 반사시켜 실내로 유입되는 반사광의 각도를 조절하여, 실내 조명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에 각각 구비된 태양전지(300)를 통해 태양광 발전이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광선반이 건축물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 광선반의 사용양태도이다. 태양광 발전 광선반(10)은 도 6a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이 상호 평행하게 구비되어 있는 상태를 초기상태로 하여 설명한다. 초기 상태는 가이드 레일(400)의 가로부재의 길이에 따라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은 건축물(1000)의 창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2광선반(200)이 건축물(1000)과 인접하도록 구비된 상태로 설명하기로 한다.
태양의 고도가 변함에 따라 입사광의 각도가 변경되면 태양전지(300)의 발전효율이 저하되고, 실내로 유입되는 반사광의 입사량 및 조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이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거나, 구동부의 조작을 통해 제1광선반(100)을 건축물(100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제1광선반(100)이 건축물(100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광선반(200) 역시 가이드 레일(400)을 따라 제1광선반(100)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광선반(200)이 이동 중 가로부재의 끝단까지 이동하면 제2광선반(200)이 종단부에 구비된 제2광선반(200)의 종단에 구비된 연결부(510)와 연결된 롤러(500)가 세로부재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며 제2광선반(200)의 경사 각도가 변경된다.
이와 같이, 제2광선반(200)의 경사 각도가 변경 가능하기 때문에 태양의 입사각과 수직하게 제2광선반(200)의 각도를 변경하면 태양전지(300)에 의한 태양광 발전의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광선반(100)을 계속해서 건축물(1000)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2광선반(200)은 도 6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세로부재를 따라 이동하며 제1광선반(100)과 수직이 되도록 경사각이 기울어 질 수 있다. 이는, 가이드 레일(400)의 세로부재가 가로부재와 수직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제2광선반(200)은 제1광선반(100)과 수직한 각도까지 기울어지는 것이다. 만약, 가이드 레일(400)의 세로부재가 가로부재와 이루는 경사 각도가 변경되면 제2광선반(200)의 최대 경사 각도 역시 이와 동일한 각도로 제한된다.
만약, 세로부재의 길이가 제2광선반(200)의 폭 보다 긴 경우에는 제1광선반(100) 역시 소정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으며, 세로부재의 길이가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의 폭을 합친 길이 이상이라면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이 모두 지평선과 수직하게 구비되어 창호(1100)의 적어도 일부를 가림으로써 블라인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태양전지(300)의 태양광 발전 효율을 감소하겠지만, 소정의 태양광 발전은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의 이동에 따라 태양광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1100)의 하단과 제1광선반(100)의 종단이 이루는 각도(θ)가 변경되어 실내로 입사되는 태양광 및 반사광의 입사범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6a와 같이,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이 외부로 많이 돌출되는 경우에는 창호(1100)와 인접한 실내로 유입되는 태양광이 감소되고, 도 6b와 같이 제1광선반(100)이 건축물(1000)과 가까워질 수록 돌출 길이가 짧아져 창호(1100)와 인접한 실내로 유입되는 태양광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제1광선반(100) 및 제2광선반(200)의 돌출 길이에 따라 실내로 반사되는 태양광의 양이나 조도 등도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태양광 발전 광선반
100 : 제1광선반
110 : 결합부재
200 : 제2광선반
210 : 체결부
300 : 태양전지
400 : 가이드 레일
500 : 롤러
510 : 연결부
1000 : 건축물
1100 : 창호
θ: 창호의 하단과 태양광 발전 광선반의 종단이 이루는 각도

Claims (4)

  1. 상면에 태양전지가 구비된 제1광선반; 및
    상기 제1광선반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면에 태양전지가 구비된 제2광선반;
    을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광선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선반 및 상기 제2광선반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는 상기 제1광선반 및 상기 제2광선반의 구동을 가이드하고, 상기 제1광선반 및 상기 제2광선반을 건축물에 결합하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 광선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가로부재; 및
    상기 가로부재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로부재와 소정 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세로부재;
    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 광선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선반 및 제2광선반을 자동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더 구비되는 태양광 발전 광선반.
KR1020140022153A 2014-02-25 2014-02-25 태양광 발전 광선반 KR101591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153A KR101591077B1 (ko) 2014-02-25 2014-02-25 태양광 발전 광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153A KR101591077B1 (ko) 2014-02-25 2014-02-25 태양광 발전 광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396A true KR20150100396A (ko) 2015-09-02
KR101591077B1 KR101591077B1 (ko) 2016-02-02

Family

ID=54242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153A KR101591077B1 (ko) 2014-02-25 2014-02-25 태양광 발전 광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10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573B1 (ko) * 2018-10-04 2019-07-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다기능 태양광패널
KR20210059520A (ko) * 2019-11-15 2021-05-25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 광선반
KR102335997B1 (ko) * 2021-05-27 2021-12-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각도 가변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1685B2 (ja) * 2009-02-23 2013-09-25 テンケーソーラ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効率再生可能な太陽エネルギシステム
JP2013243225A (ja) 2012-05-18 2013-12-05 Hitachi Power Solutions Co Ltd 太陽光発電装置
JP2014022408A (ja) 2012-07-12 2014-02-03 Ohbayashi Corp 太陽光発電ユニット、及び、建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573B1 (ko) * 2018-10-04 2019-07-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다기능 태양광패널
KR20210059520A (ko) * 2019-11-15 2021-05-25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 광선반
KR102335997B1 (ko) * 2021-05-27 2021-12-0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각도 가변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077B1 (ko) 201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87585B (zh) 百葉窗板控制系統及配置可調光重定向百葉窗板的方法
US10738473B2 (en) Solar shading module, glazed structure, building, and method of operating a solar shading module
EP2542749B1 (en) System for combining exterior lighting and artificial lighting
US20120011782A1 (en) Fenestration system with solar cells
KR101502719B1 (ko)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021166B1 (ko) 확대반사수단을 갖는 역방향 자연채광장치
US20180128441A1 (en) Daylighting system
KR100930236B1 (ko) 태양광 채광 시스템
KR101591077B1 (ko) 태양광 발전 광선반
US20040201977A1 (en) Light channelling window panel for shading and illuminating rooms
US8656980B2 (en) Adjustable light shelf
US8223433B2 (en) Stationary sunlight redirecting element and system
US10794557B2 (en) Daylighting panel
KR102062838B1 (ko) 태양광 집광형 블라인드
KR102089366B1 (ko) 후면 투광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2028860B1 (ko) 태양광 발전 및 조명 기능을 제공하는 블라인드
JP2001060407A (ja) 昼光利用システム
Khosravi et al. Core sunlighting system, a new approach to daylighting in buildings
KR101194198B1 (ko) 브이형 슬랫을 갖는 블라인드형 태양광 발전장치
RU223665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вещения солнечным светом помещений многоэтажного жилого дома
JP2014063599A (ja) 採光装置
KR101494827B1 (ko) 가동식 창호거치 태양광발전 광선반 장치
KR102056933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광선반
WO2015102332A1 (ko) 자연채광장치용 픽셀 거울형 반사경
KR20130117539A (ko) 수동형 베네시안 타입 광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